KR20100059199A - 노즐 - Google Patents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199A
KR20100059199A KR1020080117884A KR20080117884A KR20100059199A KR 20100059199 A KR20100059199 A KR 20100059199A KR 1020080117884 A KR1020080117884 A KR 1020080117884A KR 20080117884 A KR20080117884 A KR 20080117884A KR 20100059199 A KR20100059199 A KR 20100059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branch
nozzle
abrasive
branch condu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799B1 (ko
Inventor
송건영
이재창
배성준
김기선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7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6Outlets formed, e.g. cut, in the circumference of tubular or spher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노즐이 개시된다. 블라스팅 장치에 설치되어, 대상물에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서, 상기 블라스팅 장치에 위빙(weaving)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마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제 1 도관;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이 상기 대상물측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되는 노즐은 위빙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노즐로부터 토출된 연마재가 미치는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분기도관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이 한 점에서 모이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노즐에 의해서는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던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사각지대까지 연마재를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가진 분사노즐을 제 1 노즐에 교체설치함으로써 대상물, 특히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전체영역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블라스팅, 노즐, 도관

Description

노즐{nozzle}
본 발명은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재를 분사하는 노즐로서, 대상물 특히 돌출형성된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연마하도록 구성된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 건설 등의 산업분야에서는 강판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제작한다. 특히 조선산업에 있어서, 강판을 용접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결합부위를 비롯한 특정부분이 쉽게 부식되어 오염된다.
따라서, 부식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도장을 해야 한다. 도장을 하기 위해서는 도장 작업 전, 블라스팅 장치에 의해 연마재를 분사하는 등의 표면처리 작업을 통해 용접 부위의 오염 및 녹 등을 미리 제거해야 한다.
이와 같은 표면처리작업에 있어서, 연마재를 고속으로 분사시켜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노즐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블라스팅 장치에 사용되는 노즐이 블라스팅 장치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연마재를 분사시키는 분사구가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고정 설치되고 단일 분사구를 갖는 노즐은 분사영역이 좁기 때문에 연마 대상물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대상물 전체를 한번에 연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경우에는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가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어 대상물의 일부만을 연마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가능한 영역을 향상시키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전체 영역을 연마할 수 있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라스팅 장치에 설치되어, 대상물에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서, 상기 블라스팅 장치에 위빙(weaving)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마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제 1 도관;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이 상기 대상물측으로 수렴하도 록 형성되는 노즐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분기도관은 각각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된 후 상기 대상물측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물은 상기 제 1 도관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도관의 내경은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한 편,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는 상기 제 1 도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분기도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2 도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관의 하류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도관은 제 1 도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관은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과 용접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기도관은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분기도관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관의 위빙 축은 상기 한 쌍의 분기도관이 형성된 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은 각각 복수개의 파이프가 용접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이 위빙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노즐로부터 토출된 연마 재가 미치는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분기도관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이 한 점에서 모이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노즐에 의해서는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던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사각지대까지 연마재를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가진 분사노즐을 제 1 노즐에 교체 설치함으로써 대상물, 특히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전체영역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이 블라스팅 장치에 설치된다. 이 때, 편의상 상기 노즐(1)이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 전체를 도시하지 아니하고 상기 노즐(1)이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노즐(1)은 블라스팅 장치에 형성된 지지편(80)에 위빙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급관(70)을 통해 유입된 연마재가 복수개의 분기도관(50)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도 1의 F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노즐(1)은 제 1 도관(10), 상기 제 1 도관(10)과 연통하는 제 2 도관(30) 및 상기 제 2 도관(30)으로부터 분기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도관(10)은 연마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도관으로서, 바람직하게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도관(10)의 일 단부는 연마재를 공급하는 공급관(70)과 연결된다.
이 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관(10)은 상기 공급관(70)과 수직하게 연결된다. 이로 인해 호스(미도시)로부터 공급관(70)으로 유입된 연마재가 수직방향전환을 하여 상기 제 1 도관(10)으로 유입된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노즐(1)이 설치되는 각종 기구들이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도관(10) 및 상기 공급관(70)은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관(10)은 외측면에는 하우징(75)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75)은 상기 제 1 도관(10)을 비롯하여 상기 제 1 도관(10)과 연결된 공급관(70)의 외측면을 함께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75)은 알루미늄 등과 같이 가볍고 내식성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상기 블라스팅 장치에 위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노즐(1)의 외측면에 설치된 하우징(75)의 전후방측부에는 각각 연결편(90)이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연결 편(90)은 상기 하우징(75)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75)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연결편(90)은 각각 블라스팅 장치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80)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편(80)을 관통하는 샤프트(85)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샤프트(85)는 각각 상기 제 1 도관(10)을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이 위빙동작을 할 때, 위빙축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관(10)의 하류측에는 제 2 도관(30)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도관(30)은 상기 제 1 도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마재의 속도를 높이는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도관(30)의 내경(D2)은 상기 제 1 도관(10)의 내경(D1)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관(30)은 상기 제 1 도관(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도관(30)의 상류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제 2 플랜지(3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관(10)의 하류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플랜지(34)와 나사결합되는 제 1 플랜지(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플랜지(34)가 형성된 제 2 도관(30)은 상기 제 1 플랜지(14)가 형성된 제 1 도관(10)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 2 도관(30)은 연마재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경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2 도관(30)의 내경(D2)이 상기 제 1 도관(10)의 내경(D1)보다 작아 연마재가 유입되는 상기 제 2 도관(30)의 상류측 단부가 쉽게 마모되기 때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관(30)의 하류측에는 상기 제 2 도관(30)과 연통되어 분기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50)이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50)은 상기 제 2 도관(30)과 용접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기도관(50)은 두 개로 이루어지는데 편의상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분기도관을 제 1 분기도관(51), 좌측에 위치하는 분기도관을 제 2 분기도관(52)이라고 한다.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도관(30)으로부터 연마재가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 분기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상기 제 2 분기도관(52)을 통해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이 대상물(미도시)측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상기 제 2 분기도관(52)을 통해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들은 공간 상의 어느 한 점(P)에서 모이도록 형성된다. 이 때, 대상물(미도시)은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도관(51, 52)의 단부와 공간 상의 어느 한 점(P)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상기 제 2 분기도관(52)은 상기 제 1 도관(10)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 2 도관(30)으로부터 분기된 후 대상물(미도시) 측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들은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 상의 어느 한 점에서 만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은 상기 제 1 도관(10)의 중심축과 일치하고 대상물은 상기 제 1 도관(1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들은 반드시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 상의 어느 한 점에서 만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을 벗어난 어느 한 점에서 만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도관(10)의 위빙축은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이 형성된 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의 내경(D3)은 상기 제 2 도관(30)의 내경(D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도관(3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 관(52)을 통해 이동하는 연마재의 속도가 상기 제 2 도관(30)을 이동할 때 보다 증가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 2 도관(30)을 통해 이동하는 연마재가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 각각 분기되는 과정에서 압력 및 속도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의 내경(D3)을 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각각 복수개의 파이프가 용접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분기도관(51)은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에 대해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상부 파이프(56) 및 상기 상부 파이프(56)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부 파이프(57)가 용접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하부 파이프(57)는 상기 상부 파이프(56)로부터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에 대해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꺾이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분기도관(51)은 초경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초경합금의 특성상 상기 제 1 분기도관(51) 전체를 구부려 제작하거나 주물에 의해 제작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제 1 분기도관(51)은 상기 상부 파이프(56) 및 하부 파이프(57)를 각각 제작하고 소정의 각도로 절단한 후 그 절단면을 접촉시켜 용접결합함으로써 제작된다.
다만, 초경합금이 아닌 다름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각각 주물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들이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 상의 어느 한 점에서 만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각각 꺽어진 형상뿐만 아니라 구부러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블라스팅 장치에 형성된 지지편(80)(도 3을 참조)에 위빙가능하게 설치된 노즐(1)이 블라스팅 작업의 대상물(100), 특히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 때, 상기 노즐(1)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위빙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노즐(1)이 자동으로 위빙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노즐(1)의 일 측에는 캠링크(200)가 설치되고, 상기 캠링크(200)에는 안내홀(2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캠링크(200)에 구동모터(미도시)와 축결합되는 캠 플레이트(미도시)가 연결된다. 이 때 구동모터에 의해 캠 플레이트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캠 플레이트상에 형성된 롤러가 상기 안내홀(2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이러한 캠 플레이트의 회전운동 및 상기 롤러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노즐(1)은 위빙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연마재가 토출되는 상기 노즐(1)의 단부는 프레임(150)에 의해 구획되 는 연마실(14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15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스커트(160)에 의해 밀폐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이 돌출부(120)의 중심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 상기 노즐(1)은 제 1 위치에 있다고 한다.
상기 노즐(1)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도 4를 기준으로 제 1 분기도관(51)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상기 돌출부(120)의 우측면을 연마하고, 제 2 분기도관(52)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상기 돌출부(120)의 좌측면을 연마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위빙동작을 수행하여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이 돌출부(120)의 좌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 상기 노즐(1)은 제 2 위치에 있다고 한다.
상기 노즐(1)이 제 1 위치(도 4를 참조)에서 제 2 위치로 위빙하는 과정에서 제 1 분기도관(51)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돌출부(120)의 A부분을 연마한다. 이 때, 상기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돌출부(120)의 B부분을 연마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위빙동작을 수행하여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이 돌출부(120)의 우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 상기 노즐(1)은 제 3 위치에 있다고 한다.
상기 노즐(1)이 제 2 위치(도 5를 참조)에서 제 1 위치(도 4를 참조)를 지나 제 3 위치로 위빙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 1 분기도관(51)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돌출부(120)의 A부분(도 5를 참조)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120)의 우측면 중 연마되지 않은 A'부분을 연마하게 된다.
이 때,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돌출부(120)의 B부분(도 5를 참조)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120)의 좌측면 중 연마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는 B'부분을 연마하게 된다. 여기서 A부분(도 5를 참조)과 B'부분은 일부가 겹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대상물, 특히돌출형성된 대상물의 전체영역을 빠짐없이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이 때, 연마과정에서 꺽어진 각도, 이격거리 등이 상이하게 제작된 분기도관 및 제 2 도관이 합체된 부품을 교체 설치함으로써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전체영역을 빠짐없이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도관 14 : 제 1 플랜지
30 : 제 2 도관 34 : 제 2 플랜지
51 : 제 1 분기도관 52 : 제 2 분기도관

Claims (10)

  1. 블라스팅 장치에 설치되어, 대상물에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서,
    상기 블라스팅 장치에 위빙(weaving)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마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제 1 도관;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이 상기 대상물측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되는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도관은 각각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된 후 상기 대상물측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상기 제 1 도관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관의 내경은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는 상기 제 1 도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분기도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2 도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관의 하류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관은 제 1 도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관은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과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노즐.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도관은 두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기도관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관의 위빙 축은 상기 한 쌍의 분기도관이 형성된 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은 각각 복수개의 파이프가 용접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KR1020080117884A 2008-11-26 2008-11-26 노즐 KR10106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84A KR101069799B1 (ko) 2008-11-26 2008-11-26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84A KR101069799B1 (ko) 2008-11-26 2008-11-26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199A true KR20100059199A (ko) 2010-06-04
KR101069799B1 KR101069799B1 (ko) 2011-10-04

Family

ID=4236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884A KR101069799B1 (ko) 2008-11-26 2008-11-26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7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928B1 (ko) * 2010-07-13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론지 클램핑 장치를 갖는 그리트 블라스팅 장치
KR101334386B1 (ko) * 2012-04-17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멀티형 노즐을 구비한 미세입자 분사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8092A (en) 1977-05-27 1978-12-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Blast nozzle
JPS63144962A (ja) * 1986-12-08 1988-06-1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サンドブラスト用2連ノズ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928B1 (ko) * 2010-07-13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론지 클램핑 장치를 갖는 그리트 블라스팅 장치
KR101334386B1 (ko) * 2012-04-17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멀티형 노즐을 구비한 미세입자 분사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799B1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5596B (zh) 形成側向流體噴射之裝置及方法
CA2922030C (en) Flat jet nozzle, and use of a flat jet nozzle
KR20140112416A (ko) 습식 블라스트용 분사 건
KR101228062B1 (ko) 블라스팅 노즐
KR101069799B1 (ko) 노즐
JP3609109B2 (ja) 超高圧ファンジェットノズル
JP5866725B2 (ja) ストライプコート塗装装置及びストライプコート塗装方法
KR101768607B1 (ko) 스트라이프 코팅 도장 공구 및 이를 구비한 도장 장치
JP2013017950A5 (ko)
KR20130010616A (ko) 샌드블라스터
EP2578360B1 (en) Grinding apparatus with a slot nozzle
JP2013129021A (ja) ブラスト処理用ノズル
KR20220005754A (ko) 포터블 블라스팅 장비
KR20140112940A (ko)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KR100796820B1 (ko) 워터젯을 이용한 배관 세척장치
KR200472489Y1 (ko) 블라스팅 노즐 안전장치
KR20160036761A (ko) 배관용 블라스팅 장치
KR20160001955U (ko) 클리닝 및 샌딩 블라스트 장치
KR200433065Y1 (ko) 표면처리용 노즐
KR101432752B1 (ko) 에어 그라인더
CN219633502U (zh) 一种磨料喷射头
CN216779627U (zh) 水喷砂机观察窗清洗装置和水喷砂机
JP2020040020A (ja) 吹付け方法及び吹付けノズル
KR101764732B1 (ko) 용접용 토치 청소기용 커팅장치
KR102548514B1 (ko) 작업성이 향상된 블라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