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199A - Nozzle - Google Patents

Nozz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199A
KR20100059199A KR1020080117884A KR20080117884A KR20100059199A KR 20100059199 A KR20100059199 A KR 20100059199A KR 1020080117884 A KR1020080117884 A KR 1020080117884A KR 20080117884 A KR20080117884 A KR 20080117884A KR 20100059199 A KR20100059199 A KR 20100059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branch
nozzle
abrasive
branch condu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69799B1 (en
Inventor
송건영
이재창
배성준
김기선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799B1/en
Publication of KR2010005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1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6Outlets formed, e.g. cut, in the circumference of tubular or spher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nozzle is provided to effectively polish the whole area of the object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objects by installing the injection nozzle of various shapes on a first nozzle. CONSTITUTION: A nozzle(1) spraying the abrasive on the objects comprises a first conduit(10) and a plurality of branch conduits(51,52). The first conduit is installed on a blasting machine. The abrasive flows in the first conduit. Multiple manifolds are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duit and are branched off from the first conduit.

Description

노즐{nozzle}Nozzle

본 발명은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재를 분사하는 노즐로서, 대상물 특히 돌출형성된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연마하도록 구성된 노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for spraying abrasives, the nozzle being configured to effectively polish an object, in particular a protruded object.

일반적으로 조선, 건설 등의 산업분야에서는 강판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제작한다. 특히 조선산업에 있어서, 강판을 용접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결합부위를 비롯한 특정부분이 쉽게 부식되어 오염된다.In general, in the field of shipbuilding, construction, etc. to manufacture a structure using a steel plate. Particularly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process of welding the steel sheets, certain parts including the joints are easily corroded and contaminated.

따라서, 부식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도장을 해야 한다. 도장을 하기 위해서는 도장 작업 전, 블라스팅 장치에 의해 연마재를 분사하는 등의 표면처리 작업을 통해 용접 부위의 오염 및 녹 등을 미리 제거해야 한다. Therefore, this part should be painted to prevent contamination by corrosion. In order to apply the coating, contamination and rust of the welded part should be removed in advance through surface treatment such as spraying an abrasive by a blasting apparatus before the painting operation.

이와 같은 표면처리작업에 있어서, 연마재를 고속으로 분사시켜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노즐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블라스팅 장치에 사용되는 노즐이 블라스팅 장치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연마재를 분사시키는 분사구가 하나로 이루어진다.In such a surface treatment operation, a nozzle for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by spraying the abrasive at high speed is important. Conventionally, a nozzle used for a blasting apparatus is fixed to a blast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nozzle for spraying the abrasive is made of one.

이렇게 고정 설치되고 단일 분사구를 갖는 노즐은 분사영역이 좁기 때문에 연마 대상물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대상물 전체를 한번에 연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nozzle is fixed and has a single injection hole, the injection area is narrow, so that when the area of the object to be polished is lar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ntire object cannot be polished at once.

특히,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경우에는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가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어 대상물의 일부만을 연마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ojected object, a blind spot that does not reach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nozzle is generated, so that only a part of the object is polished, thereby reducing work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가능한 영역을 향상시키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zzle which improves a polishable are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전체 영역을 연마할 수 있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zzle capable of polishing the entire area of the projected obje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라스팅 장치에 설치되어, 대상물에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서, 상기 블라스팅 장치에 위빙(weaving)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마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제 1 도관;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이 상기 대상물측으로 수렴하도 록 형성되는 노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zzle for injecting an abrasive to an object, the nozzle is installed in the blasting apparatus, the first conduit is installed in the blasting apparatus so that weaving (weaving), the abrasive is introduced and moved; A nozzle having a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provided to branch from the first conduit downstream of the first conduit, wherein the nozzles are formed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respectively converges to the object side; Is provided.

이 때, 상기 분기도관은 각각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된 후 상기 대상물측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branch conduit may be formed to be branched from the first conduit and then be folded to the object side.

한편, 상기 대상물은 상기 제 1 도관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object may be locat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duit.

한편, 상기 제 1 도관의 내경은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Meanwhile,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it may be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한 편,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는 상기 제 1 도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분기도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2 도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관의 하류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econd conduit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it and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conduit is installed at a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conduit, and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are coupled downstream of the second conduit. Can be.

이 때, 상기 제 2 도관은 제 1 도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duit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nduit.

한편, 상기 제 2 도관은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과 용접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nduit may be welded to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이 때, 상기 분기도관은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nch conduit may be made of two.

한편, 상기 한 쌍의 분기도관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관의 위빙 축은 상기 한 쌍의 분기도관이 형성된 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air of branch conduits may be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the weaving axis of the first conduit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n which the pair of branch conduits are formed.

한편,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은 각각 복수개의 파이프가 용접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may b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a plurality of pipes.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이 위빙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노즐로부터 토출된 연마 재가 미치는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the abrasives discharged from the nozzle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the weaving operation of the nozzle.

또한, 복수개의 분기도관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이 한 점에서 모이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노즐에 의해서는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던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사각지대까지 연마재를 분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nsion lines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brasives respectively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are gathered at one point, the abrasives can be sprayed to the blind spots of the protruding objects that could not be polished by the conventional nozzle. have.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가진 분사노즐을 제 1 노즐에 교체 설치함으로써 대상물, 특히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전체영역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ind the entire area of the objec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object,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formed by replacing the injection nozzle having a variety of shapes in the first nozz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Figure 3 is a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sid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이 블라스팅 장치에 설치된다. 이 때, 편의상 상기 노즐(1)이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 전체를 도시하지 아니하고 상기 노즐(1)이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노즐(1)은 블라스팅 장치에 형성된 지지편(80)에 위빙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급관(70)을 통해 유입된 연마재가 복수개의 분기도관(50)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도 1의 F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Referring to FIG. 1, a nozz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lasting apparatus. At this time, for convenience, a part of the blasting apparatus in which the nozzle 1 is installed is shown, not the whole blasting apparatus in which the nozzle 1 is installed. The nozzle 1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iece 80 formed in the blasting apparatus so that weaving is possible, and the abrasive introduced through the supply pipe 70 is inj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50. Here, the F direction of FIG. 1 is defined to be forward.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노즐(1)은 제 1 도관(10), 상기 제 1 도관(10)과 연통하는 제 2 도관(30) 및 상기 제 2 도관(30)으로부터 분기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nozz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nozzle 1 may include a first conduit 10 and a second condu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nduit 10. 30 and a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50 branching from the second conduit 30.

상기 제 1 도관(10)은 연마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도관으로서, 바람직하게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도관(10)의 일 단부는 연마재를 공급하는 공급관(70)과 연결된다.The first conduit 10 is a conduit through which the abrasive is introduced and moves, preferably made of cemented carbide. One end of the first conduit 10 is connected with a supply pipe 70 for supplying abrasive.

이 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관(10)은 상기 공급관(70)과 수직하게 연결된다. 이로 인해 호스(미도시)로부터 공급관(70)으로 유입된 연마재가 수직방향전환을 하여 상기 제 1 도관(10)으로 유입된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onduit 10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70. As a result, the abrasive introduced into the supply pipe 70 from the hose (not shown) is converted in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roduced into the first conduit 10.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노즐(1)이 설치되는 각종 기구들이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도관(10) 및 상기 공급관(70)은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first conduit 10 and the supply pipe 70 may be connected in various forms in order to effectively use the space of the blasting apparatus in which the various mechanisms in which the nozzle 1 is installed are install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관(10)은 외측면에는 하우징(75)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75)은 상기 제 1 도관(10)을 비롯하여 상기 제 1 도관(10)과 연결된 공급관(70)의 외측면을 함께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75)은 알루미늄 등과 같이 가볍고 내식성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conduit 10 is provided with a housing 75 on the outer surface. In this case, the housing 75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70 connected to the first conduit 10 including the first conduit 10 together. At this time, the housing 75 is preferably manufactured using a light and strong corrosion resistance material such as aluminum.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상기 블라스팅 장치에 위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노즐(1)의 외측면에 설치된 하우징(75)의 전후방측부에는 각각 연결편(90)이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연결 편(90)은 상기 하우징(75)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1 and 4, the nozz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lasting apparatus to be weavable. To this end, the connecting piece 90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ousing 75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1,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ece 90 may be screwed to the housing 75, respectively.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75)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연결편(90)은 각각 블라스팅 장치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80)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편(80)을 관통하는 샤프트(85)와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connecting pieces 90 coupled to the housing 75 penetrate the support pieces 80 in a stat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ir of support pieces 80 formed in the blasting apparatus, respectively. Is coupled to the shaft 85.

상기 한 쌍의 샤프트(85)는 각각 상기 제 1 도관(10)을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이 위빙동작을 할 때, 위빙축으로 작용하게 된다. The pair of shafts 85 serve as the weaving axis when the nozz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first conduit 10 respectively performs the weaving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관(10)의 하류측에는 제 2 도관(30)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도관(30)은 상기 제 1 도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마재의 속도를 높이는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도관(30)의 내경(D2)은 상기 제 1 도관(10)의 내경(D1)보다 작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second conduit 30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conduit 10. The second conduit 30 functions as an orifice for increasing the speed of the abrasive flowing from the first conduit 10, and the inner diameter D 2 of the second conduit 30 is the first conduit 10. It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 1 ) of.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관(30)은 상기 제 1 도관(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도관(30)의 상류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제 2 플랜지(3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관(10)의 하류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플랜지(34)와 나사결합되는 제 1 플랜지(14)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conduit 3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nduit 10.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flange 3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stream end of the second conduit 30, and the second flan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first conduit 10). A first flange 14 is formed that is screwed with 34.

이와 같이 상기 제 2 플랜지(34)가 형성된 제 2 도관(30)은 상기 제 1 플랜지(14)가 형성된 제 1 도관(10)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해진다.As such, the second conduit 30 having the second flange 34 is screwed to the first conduit 10 having the first flange 14, thereby being separated and coupled.

또한, 상기 제 2 도관(30)은 연마재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경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2 도관(30)의 내경(D2)이 상기 제 1 도관(10)의 내경(D1)보다 작아 연마재가 유입되는 상기 제 2 도관(30)의 상류측 단부가 쉽게 마모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uit 30 is preferably made of cemented carbide to prevent abrasion by abrasives. This is because the inner diameter D 2 of the second conduit 3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 1 of the first conduit 10 and the upstream end of the second conduit 30 into which the abrasive is introduced is easily worn. to b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관(30)의 하류측에는 상기 제 2 도관(30)과 연통되어 분기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50)이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50)은 상기 제 2 도관(30)과 용접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50 branch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nduit 30 are coupl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conduit 3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50 may be welded to the second conduit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기도관(50)은 두 개로 이루어지는데 편의상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분기도관을 제 1 분기도관(51), 좌측에 위치하는 분기도관을 제 2 분기도관(52)이라고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nch conduit 50 is composed of two. For convenience, the branch conduit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based on FIG. 2 is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branch conduit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Called branch conduit 52.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도관(30)으로부터 연마재가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 분기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are made of cemented carbide. As a result, the abrasive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while the abrasive is branched and moved from the second conduit 30 to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상기 제 2 분기도관(52)을 통해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이 대상물(미도시)측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brasive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respectively, is formed to converge toward an object (not shown).

즉,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상기 제 2 분기도관(52)을 통해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들은 공간 상의 어느 한 점(P)에서 모이도록 형성된다. 이 때, 대상물(미도시)은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도관(51, 52)의 단부와 공간 상의 어느 한 점(P)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the extension lines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brasiv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are formed to collect at any point P in the space. In this case, an object (not shown) may be located betwee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conduits 51 and 52 and any point P in the space.

이를 위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상기 제 2 분기도관(52)은 상기 제 1 도관(10)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 2 도관(30)으로부터 분기된 후 대상물(미도시) 측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된다.To this end,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are branched from the second conduit 30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irst conduit 10 and then bent toward an object (not shown). It is formed to lose.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들은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 상의 어느 한 점에서 만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은 상기 제 1 도관(10)의 중심축과 일치하고 대상물은 상기 제 1 도관(1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for example, extension lines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respectively, may be formed at any point o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Meet in. In this case,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may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duit 10 and the object may be locat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duit 10.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들은 반드시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 상의 어느 한 점에서 만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을 벗어난 어느 한 점에서 만날 수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extension lines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respectively, must be at any one point o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Not meet at, but may meet at any point beyo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as needed.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도관(10)의 위빙축은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이 형성된 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2 and 3,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At this time, the weaving axis of the first conduit 10 described abov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n which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ar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의 내경(D3)은 상기 제 2 도관(30)의 내경(D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도관(3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 관(52)을 통해 이동하는 연마재의 속도가 상기 제 2 도관(30)을 이동할 때 보다 증가하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iameter D 3 of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 2 of the second conduit 30. This causes the velocity of the abrasive branching out of the second conduit 30 and moving through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to increase when moving the second conduit 30. do.

다만, 상기 제 2 도관(30)을 통해 이동하는 연마재가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 각각 분기되는 과정에서 압력 및 속도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의 내경(D3)을 결정하여야 한다.However, since the abrasive moving through the second conduit 30 is branched into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respectively, pressure and speed loss may occur, thereby preventing or The inner diameter D 3 of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should be determined in the direction of minimiz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각각 복수개의 파이프가 용접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분기도관(51)은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에 대해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상부 파이프(56) 및 상기 상부 파이프(56)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부 파이프(57)가 용접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are each formed by welding a plurality of pipes are integrally formed. Referring to FIG. 2, for example, the first branch conduit 51 of the upper pipe 56 and the upper pipe 56 branched in a direction gradually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The lower pipe 57 located downstream is welded and integrally formed.

이 때, 상기 하부 파이프(57)는 상기 상부 파이프(56)로부터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에 대해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꺾이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ipe 57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upper pipe 56 in a direction gradually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분기도관(51)은 초경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초경합금의 특성상 상기 제 1 분기도관(51) 전체를 구부려 제작하거나 주물에 의해 제작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제 1 분기도관(51)은 상기 상부 파이프(56) 및 하부 파이프(57)를 각각 제작하고 소정의 각도로 절단한 후 그 절단면을 접촉시켜 용접결합함으로써 제작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ranch conduit 51 is preferably made of cemented carbide. At this time, it is difficult to bend or manufacture the whole first branch conduit 51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mented carbide. Therefore, the first branch conduit 51 is manufactured by fabricating the upper pipe 56 and the lower pipe 57 and cutting them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contacting and cutting the cut surfaces thereof.

다만, 초경합금이 아닌 다름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각각 주물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의 연장선들이 상기 제 2 도관(30)의 중심축 상의 어느 한 점에서 만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분기도관(51) 및 제 2 분기도관(52)은 각각 꺽어진 형상뿐만 아니라 구부러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being made of a different metal other than cemented carbide,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by casting. At this time, the extension lines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respectively may meet at any point o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The first branch conduit 51 and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may each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bent shape as well as a bent shape.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블라스팅 장치에 형성된 지지편(80)(도 3을 참조)에 위빙가능하게 설치된 노즐(1)이 블라스팅 작업의 대상물(100), 특히 돌출부(120)의 상측에 위치한다.4 to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s 4 to 6, the nozzles 1 weavably provided on the support piece 80 (see Figure 3) formed in the blasting apparatus are located above the object 100 of the blasting operation,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120.

이 때, 상기 노즐(1)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위빙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노즐(1)이 자동으로 위빙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노즐(1)의 일 측에는 캠링크(200)가 설치되고, 상기 캠링크(200)에는 안내홀(210)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nozzle 1 may perform a weaving operation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this regard, in order for the nozzle 1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weaving operation, for example, a cam link 2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nozzle 1 and a guide hole 210 is installed at the cam link 200. Is formed.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캠링크(200)에 구동모터(미도시)와 축결합되는 캠 플레이트(미도시)가 연결된다. 이 때 구동모터에 의해 캠 플레이트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캠 플레이트상에 형성된 롤러가 상기 안내홀(2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이러한 캠 플레이트의 회전운동 및 상기 롤러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노즐(1)은 위빙운동을 하게 된다.A cam plate (not shown) coupled to a driving motor (not shown) is axially connected to the cam link 200 form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when the cam plate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the roller formed on the cam plate is recipr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210.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plate and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oller, the nozzle 1 is in the weaving movement.

한편, 연마재가 토출되는 상기 노즐(1)의 단부는 프레임(150)에 의해 구획되 는 연마실(14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15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스커트(160)에 의해 밀폐된다.Meanwhile, an end portion of the nozzle 1 through which the abrasive is discharged is located in the polishing chamber 140 partitioned by the frame 150. At this time,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50 is closed by a skirt 160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이 돌출부(120)의 중심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 상기 노즐(1)은 제 1 위치에 있다고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nozz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such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faces the center side of the protrusion 120. At this time, the nozzle 1 is said to be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노즐(1)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도 4를 기준으로 제 1 분기도관(51)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상기 돌출부(120)의 우측면을 연마하고, 제 2 분기도관(52)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상기 돌출부(120)의 좌측면을 연마한다.When the nozzle 1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first branch conduit 51 with reference to FIG. 4 polishes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and discharges from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The abrasive is to polish the left side of the protrusion 120.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위빙동작을 수행하여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이 돌출부(120)의 좌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 상기 노즐(1)은 제 2 위치에 있다고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nozz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weaving operation so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faces the left side of the protrusion 120. At this time, the nozzle 1 is said to be in the second position.

상기 노즐(1)이 제 1 위치(도 4를 참조)에서 제 2 위치로 위빙하는 과정에서 제 1 분기도관(51)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돌출부(120)의 A부분을 연마한다. 이 때, 상기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돌출부(120)의 B부분을 연마한다.In the process of weaving the nozzle 1 from the first position (see FIG. 4) to the second position,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first branch conduit 51 polishes the A portion of the protrusion 120. At this time,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polishes the B portion of the protrusion 120.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위빙동작을 수행하여 제 2 도관(30)의 중심축이 돌출부(120)의 우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 상기 노즐(1)은 제 3 위치에 있다고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nozzle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weaving operation so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duit 30 faces the right side of the protrusion 120. At this time, the nozzle 1 is said to be in the third position.

상기 노즐(1)이 제 2 위치(도 5를 참조)에서 제 1 위치(도 4를 참조)를 지나 제 3 위치로 위빙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 1 분기도관(51)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돌출부(120)의 A부분(도 5를 참조)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120)의 우측면 중 연마되지 않은 A'부분을 연마하게 된다.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first branch conduit 51 while the nozzle 1 performs the weaving opera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see FIG. 5) to the third position past the first position (see FIG. 4) A portion of the protrusion 120 (see FIG. 5) as well as the unpolished A ′ por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protrusion 120 is polished.

이 때, 제 2 분기도관(52)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마재는 돌출부(120)의 B부분(도 5를 참조)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120)의 좌측면 중 연마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는 B'부분을 연마하게 된다. 여기서 A부분(도 5를 참조)과 B'부분은 일부가 겹친다.At this time, the abrasive discharged from the second branch conduit 52 is not only a portion B of the protrusion 120 (see FIG. 5) but also a portion B ′ including an unpolished portion of the left side of the protrusion 120. Will be polished. Here, the portion A (see FIG. 5) and the portion B 'overlap.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은 대상물, 특히돌출형성된 대상물의 전체영역을 빠짐없이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이 때, 연마과정에서 꺽어진 각도, 이격거리 등이 상이하게 제작된 분기도관 및 제 2 도관이 합체된 부품을 교체 설치함으로써 돌출형성된 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전체영역을 빠짐없이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process, the nozzle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olish the entire region of the object, particularly the protrusion-formed object. At this time, by replacing and installing the parts in which the branched conduits and the second conduits are made with different angles and separation distances during the polishing process, the entire area of the object can be effectively polish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rojected object. Can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nozz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ele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나타내는 도면이다.4 to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 1 도관 14 : 제 1 플랜지10: first conduit 14: first flange

30 : 제 2 도관 34 : 제 2 플랜지30: second conduit 34: second flange

51 : 제 1 분기도관 52 : 제 2 분기도관51: first branch conduit 52: second branch conduit

Claims (10)

블라스팅 장치에 설치되어, 대상물에 연마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서,As a nozzle installed in the blasting apparatus for spraying abrasives on the object, 상기 블라스팅 장치에 위빙(weaving)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마재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제 1 도관;A first conduit installed in the blasting apparatus to be weaved, the first conduit in which the abrasive is introduced and moved;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기도관을 포함하고,A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provided downstream of said first conduit so as to branch from said first conduit,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연마재의 토출 방향이 상기 대상물측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되는 노즐.And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abrasive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respectively, to the object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기도관은 각각 상기 제 1 도관으로부터 분기된 후 상기 대상물측으로 꺾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And the branch conduits are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object side after each branched from the first condu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상물은 상기 제 1 도관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And the object is locat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du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도관의 내경은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And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it is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 1 도관의 하류측에는 상기 제 1 도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분기도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2 도관이 설치되고,Downstream of the first conduit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duit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onduit an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conduit, 상기 제 2 도관의 하류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And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are coupled downstream of the second condu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2 도관은 제 1 도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And the second condui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ndu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2 도관은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과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노즐.And the second conduit is welded to 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분기도관은 두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And the branch conduit consists of two piece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한 쌍의 분기도관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관의 위빙 축은 상기 한 쌍의 분기도관이 형성된 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And the pair of branch conduits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the weaving axis of the first conduit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on which the pair of branch conduits are form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복수개의 분기도관은 각각 복수개의 파이프가 용접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The plurality of branch conduits are nozzle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pipes are formed integrally welded.
KR1020080117884A 2008-11-26 2008-11-26 nozzle KR1010697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84A KR101069799B1 (en) 2008-11-26 2008-11-26 nozz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84A KR101069799B1 (en) 2008-11-26 2008-11-26 nozz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199A true KR20100059199A (en) 2010-06-04
KR101069799B1 KR101069799B1 (en) 2011-10-04

Family

ID=4236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884A KR101069799B1 (en) 2008-11-26 2008-11-26 nozz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7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928B1 (en) * 2010-07-13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Grit blasting apparatus having longi clamping device
KR101334386B1 (en) * 2012-04-17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Abrasive air jet machining apparatus having multi­outlet nozz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8092A (en) 1977-05-27 1978-12-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Blast nozzle
JPS63144962A (en) * 1986-12-08 1988-06-1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Two throw nozzle for sand bla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928B1 (en) * 2010-07-13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Grit blasting apparatus having longi clamping device
KR101334386B1 (en) * 2012-04-17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Abrasive air jet machining apparatus having multi­outlet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799B1 (en)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5596B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ation of laterally directed fluid jets
CA2922030C (en) Flat jet nozzle, and use of a flat jet nozzle
KR101808725B1 (en) Plate-end processing method and blasting device
KR20140112416A (en) Blasting gun for wet blast
KR101228062B1 (en) Blasting nozzle
KR101069799B1 (en) nozzle
JP3609109B2 (en) Super high pressure fan jet nozzle
KR102211328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polishing surface,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pparatus for cleaning a polishing surface
JP5866725B2 (en) Stripe coat coating apparatus and stripe coat coating method
JP6052683B2 (en) Stripe coat painting tool and paint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same
JP2013017950A5 (en)
KR20130010616A (en) Sand blaster
EP2578360B1 (en) Grinding apparatus with a slot nozzle
JP2013129021A (en) Nozzle for blast processing
KR20220005754A (en) Portable blasting equipment
KR20140112940A (en)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KR100796820B1 (en) Pipe cleaning device using waterjet system
KR200472489Y1 (en) Blasting nozzle safety apparatus
KR20160036761A (en) Blasting Apparatus for pipe
KR200433065Y1 (en) Nozzle for surface treatment
KR101432752B1 (en) Air grinder
CN219633502U (en) Abrasive jet head
CN216779627U (en) Water sandblast machine observation window belt cleaning device and water sandblast machine
JP2020040020A (en) Spraying method and spray nozzle
KR101764732B1 (en) Cutting device for welding torch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