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940A -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940A
KR20140112940A KR1020130027652A KR20130027652A KR20140112940A KR 20140112940 A KR20140112940 A KR 20140112940A KR 1020130027652 A KR1020130027652 A KR 1020130027652A KR 20130027652 A KR20130027652 A KR 20130027652A KR 20140112940 A KR20140112940 A KR 20140112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rriage
wall
adsorption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7391B1 (en
Inventor
송건영
김기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391B1/en
Publication of KR2014011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expanding a working range of a carriag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apparatus for expa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arriage comprising: the carriage configured to perform a work by traveling and being attached to the work piece; and a running section extend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work piece and extends a running section of the carriag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apparatus for expa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arriage,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uspension portion of which the carriage cannot be operated.

Description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xtending a working range of a carriage,

본 발명은 캐리지의 작업구간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대상물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가 작업 대상물의 말단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section expanding apparatus for a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section expanding apparatus for a carriage that extends a work section of a carriage so that a carri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nsion device for a working range of a carriage.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블록(block)들을 용접 등을 통해 조립되어 완성된다. In general, ships or offshore structures are assembled by assembling blocks made of various sizes through welding or the like.

용접작업에 의해 용접된 작업 대상물에는 용접선(weld line)이 생성된다. 이러한 용접선 등의 용접부위에는 별도의 보호 도막이 없으므로 쉽게 부식되어 오염된다. 따라서 부식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 용접부위에 도장작업을 수행해야 한다.A weld line is created in the workpiece welded by the welding operation. Since there is no separate protective coating on the welding part such as weld line, it is easily corroded and contamin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at the welds to prevent corrosion by corrosion.

한편 이러한 도장 작업에 앞서 표면처리 작업이 선행된다. 표면처리 작업은, 용접 부의의 오염 및 녹 등을 미리 제거하기 위해 용접부위를 그랑인딩(grinding)하거나 용접부위에 연마재를 분사하는 등의 블라스팅(blasting) 작업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prior to such painting operation, the surface treatment work is performed. The surface treatment operation refers to a blasting operation such as grinding a welded portion or spraying an abrasive on a welded portion to remove contamination and rust of the welded portion in advance.

여기서 블라스팅 작업이란, 재료의 표면에 모래나 등의 연마재를 첨가한 물 등을 압축 공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표면의 스케일, 녹, 도막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Here, the blasting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of removing scales, rust, coatings, etc. of the surface by strongly spraying the surface of the material with water added with an abrasive such as sand or the like by compressed air or other methods.

이러한 표면처리 작업은 작업 환경이 열악하여 수작업으로 수행할 경우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 등을 발생시킬 우려가 많아 자율주행을 하는 캐리지를 통해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Such surface treatment work is generally performed by carrying out the surface treatment through the carriage which is self-running because the work environment is poor and the worker is likely to cause musculoskeletal diseases or the like when performed by hand.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라 캐리지는 주행구간의 한계에 의해 작업범위가 제한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carriage has a limited working range due to the limit of the travel section.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캐리지(1)는, 캐리지(1)의 중앙부에서 블라스팅 작업이 수행되므로,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캐리지(1)의 중앙부가 도달할 수 없다.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carriag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central portion of the carriage 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tal end of the workpiece W, Can not be reached.

이와 같이 캐리지(1)에 의한 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부분을 보류부(F)라고 하는데, 이러한 보류부(F)에 대한 작업은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The portion in which the carriage 1 can not perform the operation is referred to as a holding portion (F), and the holding portion (F) is manually operated.

이러한 보류부(F)의 존재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필요로 하여 결국 블라스팅 작업 전체의 생산성을 악화시킨다. The presence of such retention part F requires manual work by the operator, which ultimately deteriorates the productivity of the entire blasting operation.

따라서 자율주행하는 캐리지(1)를 이용하면서도 보류부(F)가 없어지도록 캐리지의 작업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for a carriage that can expand the working range of the carriage so that the retaining portion F disappears while using the carriage 1 that runs autonomously.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59615(삼성중공업 주식회사), 2004.07.06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59615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Jul. 2004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캐리지가 작업할 수 없는 보류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extending a working range of a carriage,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retention portion in which a carriage can not be operat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 대상물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 및 상기 작업 대상물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키는 주행구간 연장유닛을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rriage which is adsorbed on a workpiece to travel and perform an operation; And a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connected to the work object to extend the travel section of the carriage.

상기 주행구간 연장유닛은, 상기 작업 대상물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며, 상기 캐리지이 흡착되는 흡착용 플레이트부; 및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에 마련되어 흡착용 플레이트부를 상기 작업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includes a suction plate portion that is shaped to the distal end of the workpiece and on which the carriage is suctioned; And a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attaching / detaching unit provided on the adsorption plate section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adsorption plate section to the workpiece.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루는 제1 벽부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벽부와 함께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루며, 상기 제1 벽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벽부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sorption plat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late connected to a first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workpiece, And a second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wall, forming the workpiece together with the first wall.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일 수 있다.The second plate may have an asymmetric shap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have different shapes.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dsorption plat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te coupling portion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latch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and inserted into a latching groove provided on the first plate.

상기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2 벽부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플레이트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detachable portion includes a clamping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and clamping the second plate to the second wall portion; And a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plate and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to press the first plate toward the second plate.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호 대칭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클램퍼(clamp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mping unit may include a clamper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late.

상기 제1 플레이트 가압부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가압용 나사홈에 치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is mov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is moved toward and away from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first plate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plate; And a pressing member that is engaged with a pressing screw groove provided on the first plat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to press the supporting member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상기 제1 플레이트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재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guide portion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guide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in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and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first plate.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표면에 마련되는 흡착용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sorption plate may include an adsorbing sealing member provided on a surface thereof.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말단부에 마련되는 형상맞춤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sorption plate portion may include an elastic body for shape-shaping provided at a distal end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구간 연장유닛이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함으로써, 캐리지가 작업할 수 없는 보류부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work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retention portion that the carriage can not work by extending the travel section of the carriag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작업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는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제1 플레이트 가압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지지부재 가이드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작업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carri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orkpiece.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the carriage of Fig. 2;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i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9 is a view showing 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of Fig. 5.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guide portion of Fig.
11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the carriage of FIG.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a carri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orkpiec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obsc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작업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D’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는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제1 플레이트 가압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지지부재 가이드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도 2의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orkpiece,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B' portion of FIG. 5,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the carriage of FIG. 2,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9 is a view showing a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of FIG. 5, FIG. 10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guide portion of FIG. 9, 11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the carriage of FIG.

도 2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는, 작업 대상물(W)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110)와, 작업 대상물(W)에 연결되어 캐리지(110)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키는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을 포함한다.2 to 11, the working range expanding apparatus for a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age 110 that is adsorbed on a workpiece W to travel and perform an operation, a workpiece W And a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carriage 110 to extend the travel section of the carriage 110.

작업 대상물(W)은 제1 벽부(W1)와, 제1 벽부(W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벽부(W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벽부(W1)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벽부(W2)는 제1 벽부(W1)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workpiece W includes a first wall portion W1 and a second wall portion W2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W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all portion W1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wall portion W2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all portion W1.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벽부(W1)와 제2 벽부(W2)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제1 벽부(W1)와 제2 벽부(W2)가 만나는 부위에는 용접선(W3)이 마련된다.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second wall portion W2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a weld line W3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second wall portion W2 meet.

캐리지(110)는 작업 대상물(W)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지(110)는 용접선(W3)에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블라스팅 작업용 캐리지(110)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라인딩 등 작업 다양한 작업을 위해 작업 대상물(W)을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110)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The carriage 110 is adsorbed on the workpiece W and travels to carry out the work.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riage 110 is described as a carriage 110 for blasting operation for performing a blasting operation on the weld line W3.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캐리지(110)는 캐리지 본체(111)와, 캐리지 본체(111)와 연결되며 제1 벽부(W1) 및 제2 벽부(W2) 각각에서 구름운동하는 주행 휠(112)을 포함한다.The carriage 110 includes a carriage body 111 and a traveling wheel 112 connected to the carriage body 111 and rolling in each of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second wall portion W2 .

캐리지 본체(111)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주행 휠(112)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미도시)와, 제1 벽부(W1)와 제2 벽부(W2) 각각에 흡착되는 흡착부를 포함한다. The carriage main body 111 includes a driving motor (not shown),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traveling wheel 112, a first wall portion W1 and a second wall portion W2, And an adsorbing portion which is adsorbed on each of them.

흡착부는, 제1 벽부(W1)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 패드(113) 및 제2 벽부(W2)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 패드(미도시)와, 각각의 흡착 패드(113)에 연결되어 각각의 흡착 패드(113)에 부압을 형성하는 진공 이젝터(vacuum ejector, 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adsorbing portion includes an adsorption pad 113 vacuum-adsorbed to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an adsorption pad (not shown) vacuum-adsorbed to the second wall portion W2, And a vacuum ejector (not shown) for forming a negative pressure on the pad 113.

또한 캐리지 본체(111)는, 블라스팅 작업용 연마재를 공급하는 연마재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다.The carriage body 111 is connected to an abrasive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abrasive for blasting operation.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은, 작업 대상물(W)에 연결되어 캐리지(110)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킨다. 이러한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은,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며, 캐리지(110)가 흡착되는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와,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에 마련되어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를 작업 대상물(W)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140)를 포함한다.The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workpiece W to extend the travel section of the carriage 110. [ The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120 includes a suction plate portion 130 that is shaped like a distal end portion of the workpiece W and on which the carriage 110 is sucked and a suction plate portion 130 provided on the suction plate portion 130, And a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detachable portion 140 detachably connecting the portion 130 to the workpiece W. [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된다. 이와 같이 흡착용 플레이트부(130)가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됨으로써, 캐리지(110)의 주행과정에서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와 작업 대상물(W) 사이의 틈에 의해 흡착패드(113)의 진공흡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30 is shap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workpiece W. The suction plate 130 is shaped to the distal end of the workpiece W so that the gap between the adsorption plate 130 and the workpiece W during the carriage 110 travel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acuum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bing member 113 from dropping.

이러한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제1 벽부(W1)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벽부(W2)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132)를 포함한다. 즉 제1 플레이트(131)는 제1 벽부(W1)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고, 제2 플레이트(132)는 제2 벽부(W2)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된다.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30 includes a first plate 131 connected to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a second plate 132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portion W2. That is, the first plate 131 is shap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wall W1 and the second plate 132 is shap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wall W2.

또한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레이트 결합부(133)를 더 포함한다.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30 further includes a plate coupling portion 133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to each other.

이러한 플레이트 결합부(133)는, 제2 플레이트(132)에 마련되며, 제1 플레이트(131)에 마련되는 걸림홈(134)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35)를 포함한다.The plate coupling portion 133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35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132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34 provided on the first plate 131.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도 2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32)를 제1 플레이트(13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서 밀어주어 걸림돌기(135)를 걸림홈(134)에 삽입하는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may be formed by pushing the second plate 132 from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first plate 131 as shown in FIGS. 135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134, as shown in Fig.

한편 제2 벽부(W2)의 말단부의 형상은 작업 대상물(W)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2가지의 제2 벽부(W2)의 말단부 형상을 하나의 제2 플레이트(132)가 담당할 수 있도록, 제2 플레이트(132)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마련된다. 즉 제2 플레이트(132)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으로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wall portion W2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workpiece W. The shape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plate 1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hap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two different second wall portions W2 can be taken up by one second plate 132. [ That is, the second plate 132 is provided in an asymmetrical shape having different shapes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벽부(W2)의 전단부의 형상은 곡선형이고 후단부의 형상이 직선형일 경우, 제2 플레이트(132)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형상은 각각 제2 벽부(W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상맞춤되는 직선형 및 곡선형으로 마련된다.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wall portion W2 is curved and the shape of the rear end portion is linea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plate 132 are, Shaped and curved so as to be fitted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ar end W2.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제2 플레이트(132)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으로 마련됨으로써, 하나의 제2 플레이트(132)가 2가지의 제2 벽부(W2)의 말단부 형상을 담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plate 132 is provided in an asymmetrical shape having different shapes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so that one second plate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two second wall portions W2 I can chat.

따라서 제2 벽부(W2)의 말단부 형상 대비 절반의 개수에 해당되는 제2 플레이트(132)만을 생산하면 제2 벽부(W2)의 모든 말단부 형상에 대응할 수있어 생산비가 절감되며 제2 플레이트(132)의 보관이 용이하다. Therefore, if only the second plate 132 corresponding to the half of the shape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wall W2 is manufactur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second plate 132 can be manufactured, It is easy to store.

한편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말단부에 마련되는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31)의 말단부에 제1 형상맞춤용 탄성체(136)가 배치되고, 제2 플레이트(132)의 말단부에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7)가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30 further includes elastic members 136, 137 provided at the distal end por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hape-fitting elastic member 136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shape-fitting elastic member 137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late 132.

이러한 제1 및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는, 흡착용 플레이트부(130)가 작업 대상물(W)에 결합 시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와 작업 대상물(W) 사이의 미세한 틈도 메울 수 있어 흡착패드(113)의 진공흡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한다.The first and second shape-adjusting elastic members 136 and 137 ar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30 and the workpiece W when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workpiece W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prevent the vacuum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pad 113 from being lowered.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는 발포성 고무 등으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패드의 흡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고탄력의 밀폐부재가 제1 및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hape-adjusting elastic members 136 and 137 are made of foam rubber or the lik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high-elasticity sealing memb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attraction force of the vacuum pad Can be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shape-fitting elastic members (136, 137).

이러한 제1 및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136, 137)는, 장기간의 사용 시 교체를 위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131, 132) 각각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first and second shape-fitting elastic members 136 and 137 are replace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31 and 132 for replacement in long-term use.

한편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표면에 마련되는 흡착용 밀폐부재(138)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130 further includes an adsorbing sealing member 138 provided on the surface thereof.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131,132)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흡착용 밀폐부재(138)가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의 표면(더욱 자세히는 흡착 패드(113)가 흡착되는 부위)에 코팅되어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31 and 132 are made of aluminum, and the adsorbing sealing member 138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130 (more specifically, ) To maintain the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pad more stably.

이러한 흡착용 밀폐부재(138)는, 고무 또는 내마모성 섬유소재에 우레탄 등의 수지 성분을 코팅한 밀폐부재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흡착용 플레이트를 보호하며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흡착용 밀폐부재(138)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The adsorbing sealing member 138 is formed of a sealing member formed by coating a rubber or a wear-resistant fiber material with a resin component such as urethan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sealing member 138 for adsorption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maintaining the adsorption force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140)는, 흡착용 플레이트부(130)에 마련되어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를 작업 대상물(W)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attaching / detaching section 140 is provided on the adsorption plate section 130 and removably attaches the adsorption plate section 130 to the workpiece W.

이러한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140)는, 제2 플레이트(132)에 마련되며, 제2 플레이트(132)를 제2 벽부(W2)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150)와, 제1 플레이트(131)에 마련되며, 제1 벽부(W1)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31)를 제2 플레이트(132)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를 포함한다.The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detachable portion 140 includes a clamping portion 150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132 and clamping the second plate 132 to the second wall portion W2, And a first plate pressing part 160 which is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art W1 and presses the first plate 131 toward the second plate 132.

클램핑부(150)는 제2 플레이트(132)를 제2 벽부(W2)에 클램핑한다. 이러한 클램핑부(150)는, 제2 플레이트(132)의 상측에 상호 대칭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클램퍼(clamper,151, 152)를 포함한다.The clamping portion 150 clamps the second plate 132 to the second wall portion W2. The clamping unit 150 includes clamper 151 and 152 which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late 132 and are provided in a pair.

이러한 클램퍼(151,152)는, 회전에 의해 제2 플레이트(132)를 가압하는 클램핑용 가압부재(153)와, 클램핑용 가압부재(1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플레이트(132)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54)를 포함한다.These clampers 151 and 152 are provided with a clamping pressing member 153 which presses the second plate 132 by rotation and a clamping pressing member 153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lamping pressing member 153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132 And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154.

클램핑용 가압부재(153)는, 연결부재(154)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2 플레이트(132)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제2 플레이트(132)를 제2 벽부(W2)에 고정시킨다.The clamping pressing member 153 fixes the second plate 132 to the second wall portion W2 in such a manner that the pressing member 153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154 and presses the second plate 132 by rota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퍼(151,152)는, 제2 플레이트(132)의 상측에 마련됨으로써, 캐리지(110)의 주행 중 캐리지(110)와의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다.The clamper 151 and 1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late 132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with the carriage 110 while the carriage 110 is running.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퍼(151,152)는,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 플레이트(132)의 전단부 및 후단부 방향에 각각 배치됨으로, 제2 벽부(W2)의 말단부의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132)를 180도 회전시키더라도 제2 플레이트(132)를 제2 벽부(W2)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clamper 151 and 1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arranged in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plate 132 respective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wall portion W2 The second plate 132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wall W2 even if the second plate 132 is rotated by 180 degrees.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는, 제1 벽부(W1)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31)를 제2 플레이트(132) 방향으로 가압한다. 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160 is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W1 to press the first plate 131 toward the second plate 132. [

이러한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는, 제1 벽부(W1) 및 제1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 벽부(W1)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3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61)와, 제1 플레이트(131)에 마련되는 가압용 나사홈(163)에 치합되며, 지지부재(16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부재(161)가 제1 벽부(W1)에 지지되도록 지지부재(161)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62)를 포함한다.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160 is movable in a direction that approaches and separates from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first plate 131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a support member 161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61 so that the support member 161 is engaged with the first screw hole 163 of the first plate 131, And a pressing member 162 for pressing the support member 161 to be supported by the wall portion W1.

지지부재(161)는, 제1 벽부(W1) 및 제1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 벽부(W1)에 지지되어 제1 플레이트(131)를 지지한다. The support member 161 is movable in a direction in which it approaches and separates from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first plate 131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W1 to support the first plate 131 .

가압부재(162)는, 제1 플레이트(131)에 마련되는 가압용 나사홈(163)에 치합되며, 지지부재(16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부재(161)가 제1 벽부(W1)에 지지되도록 지지부재(161)를 가압한다.The pressing member 162 is engaged with the pressing screw groove 163 provided in the first plate 131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161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 161 is connected to the first wall portion W1, So that the support member 16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61.

이러한 가압부재(162)는, 조작의 편의를 위해 가압부재용 회전 노브(164)를 포함한다.The pressing member 162 includes a rotary knob 164 for the pressing member for the sake of operational convenience.

제1 플레이트(131)의 가압용 나사홈(163)에 치합된 가압부재(162)는,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지지부재(161)를 제1 벽부(W1) 및 제1 플레이트(131)로 이동시킨다.The pressing member 162 engaged with the pressing screw groove 163 of the first plate 131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to move the supporting member 161 to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first plate 131, .

제1 벽부(W1)로 이동된 지지부재(161)는 제1 벽부(W1)의 하측벽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고, 결국 가압부재(162)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부재(161)가 제1 플레이트(131)를 제1 플레이트(131)의 하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The support member 161 moved to the first wall portion W1 is contacted with the lower wall of the first wall portion W1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eventually the support member 161 is press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urging member 162,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plate 131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131.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는, 제1 플레이트(131)의 하측에서 제1 플레이트(131)를 지지함으로써, 캐리지(110)의 주행 중 캐리지(110)와의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다.The first plate pressing par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pports the first plate 131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131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arriage 110 during traveling of the carriage 110 Do not induce.

또한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는, 지지부재(161)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재 가이드부(165)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160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guide portion 165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161. [

이러한 지지부재 가이드부(165)는, 지지부재(161)에 마련되며 제1 플레이트(131)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66)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167)을 포함한다.The support member guide portion 165 includes a guide pin 167 which is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161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66 formed in the first plate 131.

이러한 가이드 핀(167)은 지지부재(161)의 이동 시 가이드 홈(166)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가압부재(162)에 의한 가압 시 지지부재(161)가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guide pin 167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166 when the support member 161 is moved so that the support member 16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when the presser member 162 is pressed by the presser member 162.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흡착용 플레이트부(130)는, 클램퍼(151,152)에 의해 제2 플레이트(132)가 제2 벽부(W2)에 고정되고,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에 의해 제1 플레이트(13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캐리지(110)의 주행과정에서 캐리지(110)의 무게에 의해 제1 벽부(W1) 또는 제2 벽부(W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The second plate 132 is fixed to the second wall W2 by the clamper 151 and 152 and the second plate 132 is fixed to the second wall W2 by 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160, The plate 131 is stably supported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wall portion W1 or the second wall portion W2 due to the weight of the carriage 110 in the traveling process of the carriage 110. [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range extending apparatus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을 작업 대상물(W)에 결합한다. 즉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은 작업 대상물(W)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는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를 선정한다.First, the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120 is coupled to the workpiece W. That is, the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120 selects 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which are fitted to the distal end of the work W,

클램퍼(151,152)와 제1 플레이트 가압부(160)를 통해 제1 플레이트(131) 및 제2 플레이트(132)를 작업 대상물(W)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are stably fixed to the workpiece W through the clamper 151 and 152 and the first plate presser 160. [

이후 캐리지(110)가 작업 대상물(W)의 제1 벽부(W1) 및 제2 벽부(W2)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한다.Thereafter, the carriage 110 is adsorbed on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second wall portion W2 of the work W and travels to perform the blasting operation.

이때 제1 벽부(W1)와 제2 벽부(W2)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131) 및 제2 플레이트(132)에 의해 캐리지(110)가 진공흡착 상태를 유지하며 제1 벽부(W1) 및 제2 벽부(W2)의 말단부에 인접한 부위까지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rriage 110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by 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connected to the first wall W1 and the second wall W2, and the first wall W1, And a portion adjacent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wall portion W2.

즉 제1 플레이트(131) 및 제2 플레이트(132)에 의해 캐리지(110)의 주행구간이 연정되어 결국 캐리지(110)의 작업범위가 확장된다.That is, the carriage 110 travels by 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and thus the working range of the carriage 110 is expand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는, 주행구간 연장유닛(120)이 캐리지(110)의 주행구간을 연장함으로써, 캐리지(110)의 작업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xpand the working range of the carriage 110 by extending the traveling section of the carriage 110 by the traveling section extension unit 120,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가 작업 대상물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ing range expanding device of a carri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orkpiece.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제1 플레이트(131a)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11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제1 플레이트(131a)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at the first plate 131a differs from the first plate 131a. In other respects,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2 to 11, The plate 131a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31a)는, 제1 벽부(W1)의 상부면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139)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폐부재(139)는 제1 플레이트(131a)의 상면부 표면에 마련된 흡착용 밀폐부재(138a)에서 연장되어 마련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late 131a includes a shielding member 139 that partially shield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W1. The shielding member 139 is provided extending from the adsorbing sealing member 138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31a.

따라서 제1 벽부(W1)와 제1 플레이트(131a)의 결합 시 차폐부재(139)가 제1 벽부(W1)와 제1 플레이트(131a) 사이의 틈을 덮어주어 캐리지(110)의 주행 시 흡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first plate 131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hielding member 139 covers the gap between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first plate 131a, Thereby preventing weakening.

한편 차폐부재(139)는 흡착용 밀폐부재(138a)와 동일한 재질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shielding member 139 has the same material as the adsorbing closure member 138a.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는, 차폐부재(139)가 제1 벽부(W1)와 제1 플레이트(131a) 사이의 틈을 덮어주어 캐리지(110)의 흡착패드(113)가 제1 벽부(W1)와 제1 플레이트(131) 사이의 틈에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캐리지(110)의 주행과정에서 흡착패드(113)의 진공흡착력이 약해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range expanding apparatus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ielding member 139 covers the gap between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first plate 131a and the suction pad 113 of the carriage 110, Is not affected by the gap between the first wall portion W1 and the first plate 1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acuum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pad 113 from being weakened in the traveling process of the carriage 110.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rawings,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descri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캐리지 111: 캐리지 본체
112: 주행 휠 113: 흡착패드
120: 주행구간 연장유닛 130: 흡착용 플레이트부
131,131a: 제1 플레이트 132: 제2 플레이트
133: 플레이트 결합부 134: 걸림홈
135: 걸림돌기 136: 제1 형상맞춤용 탄성체
137: 제2 형상맞춤용 탄성체 138, 138a: 흡착용 밀폐부재
139: 차폐부재 140: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
150: 클램핑부 151,152: 클램퍼
153: 클램핑용 가압부재 154: 연결부재
160: 제1 플레이트 가압부 161: 지지부재
162: 가압부재 163: 가압용 나사홈
164: 가압부재용 회전 노브 165: 지지부재 가이드부
166: 가이드 홈 167: 가이드 핀
W: 작업 대상물 W1: 제1 벽부
W2: 제2 벽부 W3: 용접선
110: carriage 111: carriage body
112: traveling wheel 113: adsorption pad
120: traveling section extension unit 130: adsorption plate section
131, 131a: first plate 132: second plate
133: plate engaging portion 134: engaging groove
135: locking projection 136: first shape fitting elastic body
137: elastic member for second shape 138, 138a: sealing member for adsorption
139: shielding member 140: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attachment / detachment part
150: clamping parts 151 and 152: clamper
153: pressing member for clamping 154: connecting member
160: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161: supporting member
162: pressing member 163: pressing screw groove
164: rotary knob for pressure member 165: support member guide portion
166: guide groove 167: guide pin
W: workpiece W1: first wall portion
W2: second wall portion W3: weld line

Claims (13)

작업 대상물에 흡착되어 주행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캐리지; 및
상기 작업 대상물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의 주행구간을 연장시키는 주행구간 연장유닛을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A carriage which is adsorbed on a workpiece to travel and perform work; And
And a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connected to the work object to extend a travel section of the carri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구간 연장유닛은,
상기 작업 대상물의 말단부에 형상맞춤되며, 상기 캐리지이 흡착되는 흡착용 플레이트부; 및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에 마련되어 흡착용 플레이트부를 상기 작업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veling section extension unit includes:
An adsorption plate portion fitted to the distal end of the workpiece and adsorbing the carriage; And
And a travel section extension unit attachment / detachment section provided on the absorption plate section and detachably coupling the absorption plate section to the work obj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루는 제1 벽부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벽부와 함께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루며, 상기 제1 벽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벽부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A first plate connected to a first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workpiece; And
And a second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arrang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wall to form the workpiece together with the first wa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plate has an asymmetric shape having different shapes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And a plate engaging portion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ate-
And a latch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and inserted into a latching groove provided on the first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구간 연장유닛 착탈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2 벽부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플레이트 가압부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raveling section extension unit attachment /
A clamp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and clamping the second plate to the second wall part; And
And a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plate and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to press the first plate toward the second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호 대칭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클램퍼(clamper)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lamping unit
And a clamper which is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is provided as a pai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가압부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가압용 나사홈에 치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1 벽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is movable in a direction that approaches and separates from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first plate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plate; And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a pressing screw groove provided on the first plat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so as to press the supporting member such that the support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Expans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재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plate pressing portion includes:
And a support member guiding portion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member guide portion
And a guide pin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and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first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표면에 마련되는 흡착용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sorption plate section includes a sealing member for adsorption provided on a surface there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용 플레이트부는, 말단부에 마련되는 형상맞춤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sorption plate portion includes an elastic body for shape-shaping provided at a distal end portion thereof.
KR1020130027652A 2013-03-15 2013-03-15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KR101497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652A KR101497391B1 (en) 2013-03-15 2013-03-15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652A KR101497391B1 (en) 2013-03-15 2013-03-15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940A true KR20140112940A (en) 2014-09-24
KR101497391B1 KR101497391B1 (en) 2015-03-02

Family

ID=5175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652A KR101497391B1 (en) 2013-03-15 2013-03-15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3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30B1 (en) 2015-12-31 2017-03-30 한국원자력연구원 Integrated electrolytic recovery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used nuclear fuel
KR20220008439A (en) * 2020-07-13 2022-01-21 한국광기술원 Ship surface treat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26B1 (en) * 2017-02-15 2018-11-06 삼성중공업(주) Spray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19B1 (en) * 2005-07-05 2006-08-07 Stx조선주식회사 Apparatus extending welding section of welding carriage
KR101205316B1 (en) * 2011-02-17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guiding welding carri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30B1 (en) 2015-12-31 2017-03-30 한국원자력연구원 Integrated electrolytic recovery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used nuclear fuel
KR20220008439A (en) * 2020-07-13 2022-01-21 한국광기술원 Ship surface treat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391B1 (en)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4857B2 (en) Wire saw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workpiece
KR100814157B1 (en) Air presser tube type polishing device
KR20190002311U (en) Blasting apparatus
US20130247727A1 (en) Ultrasonic Trimming Method
KR101497391B1 (en)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section of carriage
US20120228092A1 (en) Flexible track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20160050287A (en) Apparatus for grinding welding bead
KR20140048680A (en) Grinding robot for removing welding-bid of shipbuilding
JP6615643B2 (en)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workpiece
KR20150121960A (en) Welding tip change apparatus for spot welding
KR101874540B1 (en) Belt grinders with easily maintenance
KR20090011384A (en) A surface cutting device for over and curved surface
KR101400019B1 (en) Blasting apparatus
TWM523516U (en) Mobile cleaning device
KR101649118B1 (en) Welding tip change apparatus for spot welding
KR20140005451U (en) Portable cover for intercepting propagation of dust generation
KR20140006098U (en) Grinder assistive apparatus
KR101368882B1 (en) Seal apparatus for blasting
KR200479168Y1 (en) Tip dresser of spot welder using air imoact ratchet wrench
KR200305787Y1 (en) The handle of pipe orbital welding carriage with respect to ergonomics
KR102327189B1 (en) Robotic spoiler sanding automation method.
JP3171575U (en) Air spot drill with metal dust absorption path
CN113829201B (en) Grinding machine for pipeline outer wall welding seam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1359638B1 (en) Blasting apparatus
KR20100059199A (e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