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734A -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734A
KR20160062734A KR1020157006773A KR20157006773A KR20160062734A KR 20160062734 A KR20160062734 A KR 20160062734A KR 1020157006773 A KR1020157006773 A KR 1020157006773A KR 20157006773 A KR20157006773 A KR 20157006773A KR 20160062734 A KR20160062734 A KR 20160062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horizontal
space
freezing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856B1 (ko
Inventor
이현수
김아기
Original Assignee
이현수
김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수, 김아기 filed Critical 이현수
Publication of KR2016006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60P3/205Refrigerated goods vehicles with means for dividing the interior volume, e.g. movable walls or intermediate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suspended by wires, chains or the like from horizontal rails, e.g. the rails forming part of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2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divided into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차의 냉동 트레일러 내 적재공간을 적재물의 부피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어서 냉기 공급을 위한 유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적재공간의 가변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동 트레일러 내 상부 공간에서 이동해 상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격벽과 냉동 트레일러 내 후방 공간에서 이동해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수직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격벽과 수직 격벽의 위치 이동을 통해 냉동 트레일러 내 냉각 공간에서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LOADING SPACE VARIABLE REFRIGERATION SYSTEM OF REFRIGERATOR CAR}
본 발명은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차의 냉동 트레일러 내 적재공간을 적재물의 부피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어서 냉기 공급을 위한 유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적재공간의 가변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라 신선도가 변질될 수 있는 식자재 등의 화물은 냉동차를 이용하여 운반하고 있다.
냉동차는 각종 냉동 식품이나 저온 식품 등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저온 식,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태와 적재용량에 따라 소형의 스트레이트 트럭(Straight Truck)과 중대형의 세미 트레일러(Semi Trailer)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냉동차, 냉동 트레일러, 냉동기 등과 같은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같은 용어가 냉장 기능을 제외한 냉동 기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데 냉장차, 냉장 트레일러, 냉장기 등과 같은 용어 역시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차량 적재부에 함체상의 냉동 트레일러(20)를 형성하고 그 차량의 헤드측 또는 트레일러의 상부 일측에 냉동기(21)를 부설하여 상기 냉동기(21)의 증발기를 통해 그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 온도가 저온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통상 이 같은 냉동기(21)는 냉동차의 메인엔진(Main engine) 또는 서브엔진(Sub engine)으로 구동되는 엔진구동형 냉동기이다.
상기 냉동기(21)의 냉각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의 순서로 순환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된다.
상기 냉동기(21)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냉동 트레일러(20)에 구비된 보조 엔진의 동력에 의해 압축기가 구동되고, 상기 압축기가 구동됨에 따라 고온저압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에 이르러 중온고압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응축기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며 증발기로 유입되어, 액체상태의 냉매가 순간적으로 기화되면서 주변열을 흡수하므로 증발기의 주변에는 차가운 공기가 형성되므로 별도의 배기팬에 의해 차가운 공기를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한 냉각사이클을 지속적으로 순환반복하므로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에는 설정된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냉동 및 냉장을 요하는 모든 식음료 및 저온보관 물품 등을 최적의 온도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동 트레일러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동기(21)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는 냉동 트레일러(20)의 상부에 배치된 덕트(30)에 의해 냉동 트레일러(20) 내부의 모든 공간으로 공급된다. 최근에는 이 같은 덕트(30)의 좌우측이 일부 개방되게 구성하고 말단이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개방부에 의해 일부 냉기가 위에서 적재물(L)로 공급되고 또한 말단 개방부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는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 공간을 순환(circulation)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이 같은 냉동 트레일러(20)의 냉동 시스템은 적재물(L)의 양과 부피에 무관하게 냉동 트레일러(20) 내부 전체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기를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재물(L)의 양과 부피가 적을 경우에는 불필요한 에너지(열 또는 연료)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실제 냉동차는 차량별로 정해진 적재중량을 가지게 되는데, 아이스크림과 같이 고중량·저부피의 적재물들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냉동 트레일러 내에 적재공간이 남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냉동 트레일러(20) 내를 완전히 채우지 않는 적은 양과 부피의 적재물(L)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전체 내부 공간을 저온상태로 만들게 되는데, 이는 장거리 운송시 큰 유류 비용 부담과 냉동 시스템의 과부하를 야기하게 된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냉동 트레일러 내 공간을 고정된 격벽으로 분할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 역시 적재물의 양과 부피가 항시 유동적인 현장 상황에서는 비효율적이며, 오히려 적재물의 양을 제한하고 적재 작업을 불편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차의 냉동 트레일러 내 적재공간을 적재물의 부피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 트레일러 내 상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격벽과 냉동 트레일러 내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수직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격벽과 수직 격벽을 통해 냉동 트레일러 내 냉각 공간에서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 또는 수직 격벽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냉기가 전달되는 하층의 냉각 공간과 냉기가 전달되지 않는 상층의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냉기가 전달되는 전층의 냉각 공간과 냉기가 전달되지 않는 후층의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의 천정면과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수평 격벽들이 냉동 트레일러의 수평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배치되며,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다수의 수평 격벽들 중 선택된 수평 격벽들 또는 모든 수평 격벽들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의 상부면에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양측면이 사선 형태로 형성되되 전단의 측면은 마주하는 다른 수평 격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사면으로 형성되고 후단의 측면은 마주하는 다른 수평 격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 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들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조정되는 조정키; 상기 조정키의 회전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리는 다수의 와이어; 다수의 수평 격벽에 대응하여 수평 격벽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도르래;를 포함하고, 각 도르래를 통해 연결된 각 와이어의 말단은 각각의 수평 격벽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조정키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풀어내면 와이어에 연결된 각 수평 격벽이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수평 격벽에서 트레일러의 측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걸림편이 형성되며, 수평 격벽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수평 격벽의 걸림편과 마주하는 트레일러의 측면에는 자세 전환이 가능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특정 수평 격벽에 대한 스토퍼를 잠금 전환하여 해당 수평 격벽의 걸림편이 스토퍼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수평 격벽의 하강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은 상하 방향 이동 및 자세 전환이 가능한 다수의 단위 수평 격벽들로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다수의 단위 수평 격벽들의 높이와 자세를 냉동 트레일러 내에 적재물의 수평 위치별 높이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적재물의 수평 위치별 높이에 맞추어 부분적으로 굴곡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기는 냉동 트레일러의 전단에 마련된 냉기 공급 구멍으로부터 공급되어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설치된 덕트를 따라 냉동 트레일러의 내부로 전달되며, 덕트의 초입 부분은 신축 가능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다수의 파트로 분리가능해 수평 격벽들의 선택적인 승하강에 따라 분리되며, 하강된 수평 격벽들 중 말단의 수평 격벽에 고정된 덕트에서 냉기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냉동 트레일러의 전후 방향을 따라 메인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메인 공기통로의 좌우측에 각각 보조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공기통로는 냉기를 냉동 트레일러의 후단으로 전달해 분출시키고 상기 보조 공기통로는 측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냉기를 측면으로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공기통로는 냉동 트레일러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트로 분리가능하며, 파트별로 냉기를 배출할 수 있는 개폐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 내 측면 상부에 고정된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해, 평상시에는 트레일러 내 측면에 면상으로 접촉되어 있고 비냉각 영역의 설정시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해 냉동 트레일러의 게이트와 평행이 되어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의 하부에는 트레일러 내부 바닥면의 요철 형상과 대응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차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이송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이동 가이드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격벽을 지지하는 회전축은 상부가 상기 이동 가이드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격벽에 대한 보조적인 상부 폐쇄 수단으로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냉동 트레일러의 천정면과 평행한 자세로 이송 장치의 이동 가이드에 와이어를 통해 매달려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는 이동 가이드의 이동과 함께 와이어에 대한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상태에서 수평 격벽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비냉각 영역의 높이를 보조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상부 슬라이딩판과 하부 슬라이딩판이 맞물려 슬라이딩되게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상부 슬라이딩판과 하부 슬라이딩판이 서로 포개어 접혀진 상태로 수평 격벽과 평행을 이루게 수평 격벽측에 고정되어 있고 비냉각 영역의 설정시에는 상부 슬라이딩판과 하부 슬라이딩판이 서로 슬라이딩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수직 자세로 세워져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의 말단에는 해당 수직 격벽이 세워진 자세에서 냉기가 흐르는 덕트를 눌러 막을 수 있는 조임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상부 마감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판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하부 마감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슬라이딩판의 말단에는 트레일러 내부 바닥면의 요철 형상과 대응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차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이송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이동 가이드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에는 수직 격벽의 상부 슬라이딩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다수의 패널이 이어져서 전체적으로 굴곡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전체 패널이 수평 격벽과 평행을 이루게 수평 격벽측에 고정되어 있고 비냉각 영역의 설정시에는 패널들이 수직 자세로 세워져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패널들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마감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의 말단 패널에는 트레일러 내부 바닥면의 요철 형상과 대응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차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격벽은 이송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 상기 이동 가이드에 결합되는 지지 트랙; 및 상기 이동 가이드의 상부에 고정되어 냉기가 흐르는 덕트를 눌러 막을 수 있는 조임구;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에는 수직 격벽의 상부 슬라이딩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 트레일러 내에 내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유 수단을 위치시켜 냉동 트레일러 내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유 수단은 냉동 트레일러 내 천정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공간 격벽이며, 다수의 공간 격벽들 중 선택된 공간 격벽의 내부 부피를 조정해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 격벽들은 평상시에는 접혀져 있고 비냉각 영역의 설정시에는 다수의 공간 격벽들 중 선택된 공간 격벽들에 대해 내부 부피를 부풀림으로써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 격벽의 측면은 접거나 펴질 수 있는 주름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 격벽의 상부에는 내부 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 도르래에 걸린 와이어의 일측 말단은 공간 격벽의 하부벽에 고정되고 와이어의 타측 말단은 공간 격벽의 밖에 설치된 외부 도르래를 통해 조정키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조정키를 통해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공간 격벽의 부피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차의 냉동 트레일러 내 적재공간을 적재물의 부피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어서 냉기 공급을 위한 유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냉동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운전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적재공간의 가변이 신속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재시나 적재공간의 가변을 위해 별도의 인력을 필요치 않아 인력부담과 경비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은 트레일러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적어 적재공간의 손실없이 설치 운영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통상의 냉동 트레일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기존 냉동 트레일러의 불합리한 냉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 개요도.
도 6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 개요도.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 개요도.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공간 격벽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우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냉동 식품이나 저온 식품 등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저온 식,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냉동차는 차량 적재부에 함체상의 냉동 트레일러(20)가 설치된다. 이 같은 냉동차는 차량의 헤드측 또는 트레일러의 상부 일측에 냉동기를 부설하여 상기 냉동기의 증발기를 통해 그 냉동 트레일러의 내부 온도가 저온 상태가 되는데, 배기팬에 의해 차가운 공기를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냉동 트레일러의 전체 내부 공간은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 공간(A)이 된다.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에는 각종 냉동 식품이나 저온 식품 등의 적재물이 적재되게 되는데, 상황에 따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L)이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를 가득 채우는 경우도 있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L)이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를 일부 채우는 경우도 있다.
물론 도 3의 (b)와 같이 적재물(L)이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를 가득 채우는 경우에는 냉동 트레일러(20) 내부의 냉각 공간(A)과 적재물(L)의 부피가 거의 같아 큰 문제가 없지만, 도 3의 (c)와 같이 적재물(L)이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를 일부 채우는 경우에는 냉동 트레일러(20) 내부의 냉각 공간(A)과 적재물(L)의 부피가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냉동 트레일러(20)의 냉동 시스템은 적재물(L)의 양과 부피에 무관하게 냉동 트레일러(20) 내부 전체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기를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재물(L)의 양과 부피가 적을 경우에도 전체 내부 공간 즉 냉각 공간(A)에 대하여 냉각을 실시하기 때문에 장거리 운송시 큰 유류 비용 부담과 냉동 시스템의 과부하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 냉각 공간(A)을 여건에 따라 줄이는 적재공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해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L)의 양과 부피가 적을 경우에는 비냉각 영역(B)을 늘려 냉동 시스템을 통한 냉각이 부피가 줄어든 냉각 공간(A)에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 같이 비냉각 영역(B)을 늘려 냉각 공간(A)을 줄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면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이 같은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은 냉동 트레일러(20)의 상부 공간에서 움직이면서 비냉각 영역(B)의 상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격벽(Horizontal Bulkhead)과, 냉동 트레일러(20)의 후방 공간에서 움직이면서 비냉각 영역(B)의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수직 격벽(Vertical Bulkhead)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 격벽은 적재물(L)의 상부 공간을 구획하여 차단하도록 냉동 트레일러(20)의 수평 절단면(예컨데, 냉동 트레일러의 천정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일의 수평 격벽으로 구성되거나,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분할된 수평 격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격벽은 적재물(L)의 후방 공간을 구획하여 차단하도록 냉동 트레일러(20)의 수직 절단면(예컨데, 냉동 트레일러의 개폐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게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그 구체적인 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수평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2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냉기가 전달되는 하층의 냉각 공간(A)과 냉기가 전달되지 않는 상층의 비냉각 영역(B)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20)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냉기가 전달되는 전층의 냉각 공간(A)과 냉기가 전달되지 않는 후층의 비냉각 영역(B)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이 같은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은 적재물의 냉동 트레일러(20)의 벽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벌룬(Balloon)을 부풀려 그 부풀려진 부피를 통해 비냉각 영역(B)을 설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 실시예 4를 통해 그 구체적인 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서 냉동 트레일러(20) 내 비냉각 영역(B)은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한 다수의 수평 격벽(110)과,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여닫이식 게이트로 동작하는 수직 격벽(120)의 위치 이동을 통해 설정된다. 그리고 커넥터(130)의 설치를 통해 하강된 수평 격벽(110)으로 인한 길이 부족분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수평 격벽(110)은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과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수평 격벽(110)이 냉동 트레일러(20)의 수평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배치된다. 다수의 수평 격벽(110)은 승강 장치(150)에 대한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 같은 수평 격벽(110)의 하강 높이에 의해 비냉각 영역(B)의 높이가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격벽(110)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이다. 수평 격벽(110)의 상부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터(130)의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부(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평 격벽(110)은 양측면은 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격벽(110)에서 전단(냉동차의 트랙터측, 보다 정확하게는 냉기가 분출되는 냉기 공급측)의 측면은 마주하는 다른 수평 격벽(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사면(112)으로 형성되고, 이와 달리 후단(냉동차의 게이트측)의 측면은 마주하는 다른 수평 격벽(1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 사면(113)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같은 수평 격벽(110)의 사선형 조립구조에 의해 전단에 배치된 수평 격벽(110)부터 차례대로 하강할 수 있으며, 후단에 배치된 수평 격벽(110)이 전단에 배치된 수평 격벽(110) 보다 먼저 하강되는 것은 방지된다. 한편 각 수평 격벽(110)에서 트레일러(20)의 측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걸림편(114)이 형성된다.
이 같은 다수의 수평 격벽(110)들은 승강 장치(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 장치(150)는 작업자에 의해 조정되는 조정키(151)와, 상기 조정키(151)의 회전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리는 다수의 와이어(152)와, 다수의 수평 격벽(110)에 대응하여 수평 격벽(1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152)가 감기는 도르래(153)를 포함하며, 각 도르래(153)를 통해 연결된 각 와이어(152)의 말단은 각각의 수평 격벽(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정키(151)를 회전시켜 와이어(152)를 풀어내면 와이어(152)에 연결된 각 수평 격벽(110)은 아래로 하강하게 되는 구조이다. 여기에서 수평 격벽(110)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수평 격벽(110)의 걸림편(114)과 마주하는 트레일러(20)의 측면에는 자세 전환이 가능한 스토퍼(155)가 설치된다. 작업자는 특정 수평 격벽(110)에 대한 스토퍼(155)를 잠금 전환하여 해당 수평 격벽(110)의 걸림편(114)이 스토퍼(155)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수평 격벽의 하강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작업자는 특정 수평 격벽(110)에 대한 스토퍼(155)를 풀림 전환하여 해당 수평 격벽(110)의 걸림편(114)이 스토퍼(155)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평 격벽의 하강을 허용시킬 것이다. 물론 이 같은 수평 격벽(110)의 승하강은 조종키(151)를 통한 와이어(152) 길이 조정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며, 상세한 과정은 후술되는 동작 설명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트레일러(20) 내로 공급되는 냉기는 트레일러(20)의 전단에 마련된 냉기 공급 구멍(191)으로부터 공급되며, 공급되는 냉기는 수평 격벽(110)의 하부면에 설치된 덕트(190)를 따라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상기 덕트(190)의 초입 부분은 수평 격벽(110)의 승하강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신축 가능한 연질의 재질(예컨데 직물)로 이루어지거나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덕트(190)는 수평 격벽(11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이 같은 덕트(190)는 다수의 파트로 분리가능해 수평 격벽(110)의 승하강에 따라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다수의 덕트(190) 중 말단의 덕트(190)에서 냉기를 분출하게 될 것이다. 다른 예로 덕트(30)의 좌우측이 일부 개방되게 구성하고 말단이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우 개방부에 의해 일부 냉기가 위에서 적재물(L)로 공급되고 또한 말단 개방부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는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 공간을 순환(circulation)하는 방식에서도 이 같은 격벽 대응 분리형 덕트 구조는 적용 가능하다.
상기 수직 격벽(120)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이다. 이 같은 수직 격벽(120)은 트레일러(20) 내 측면 상부에 고정된 회전축(121)에 의해 회전가능해, 평상시에는 트레일러(20) 내 측면에 면상으로 접촉되어 있고 비냉각 영역(B)의 설정시에는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해 트레일러(20)의 게이트와 평행이 되어 비냉각 영역(B)을 설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 격벽(120)은 트레일러(20)의 수직 단면적에 따라 갯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데 수직 단면적이 작은 트레일러(20)일 경우 상기 수직 격벽(120)은 트레일러(20)의 수직 단면적과 대응하는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트레일러(20)의 일측 측면에 구비된 하나의 회전축(121)에 의해 열리고 닫힐 것이다. 이와 달리 수직 단면적이 큰 트레일러(20)일 경우 상기 수직 격벽(120)은 트레일러(20)의 수직 단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트레일러(20)의 양측 측면에 구비된 두 개의 회전축(121)에 의해 열리고 닫힐 것이다. 즉 상기 수직 격벽(120)은 회전축(121)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일종의 여닫이식 게이트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 격벽(120)의 하부에는 공기 차단부(122)가 부착될 수 있다. 실제 트레일러(20)의 내부 바닥면은 공기의 하부 순환이 가능하도록 요철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직 격벽(120)의 하부에도 이 같은 요철면을 통한 냉기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공기 차단부(122)가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공기 차단부(122)는 트레일러(20)의 내부 바닥면의 요철 형상과 대응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 격벽(120)의 회전 동작에 걸리지 않도록 연성의 재질(예컨데 스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다수의 수직 격벽(120)은 이송 장치(1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이송 장치(160)는 수평 격벽(110)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161)과, 상기 레일(16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162)와, 상기 이동 가이드(162)에 설치되는 와이어(164)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격벽(120)을 지지하는 회전축(121)은 상부가 상기 이동 가이드(162)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162)는 롤러(163)에 놓여져 상기 레일(161)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레일(161)을 따라 이동된 수직 격벽(120)은 이동된 후 닫혀지게 되어 이 같은 수직 격벽(120)의 이동 거리에 의해 비냉각 영역(B)의 범위가 결정된다.
한편 개별 수평 격벽(110)이 정해진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냉각 공간(A)을 자유롭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보조적인 상부 폐쇄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30)는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이다. 이 같은 커넥터(130)는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과 평행한 자세로 이송 장치(160)의 이동 가이드(162)에 와이어(164)를 통해 매달려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 커넥터(130)는 이동 후 수평 격벽(110)과의 결합 작업의 편의를 위해 케이싱(132)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 가이드(162)에 와이어(164)를 통해 매달려 배치된다. 커넥터(130)는 이동 가이드(162)의 이동과 함께 와이어(164)에 대한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하강하게 되며, 하강된 상태에서 말단의 수평 격벽(110)의 삽입부(111)에 삽입되어 비냉각 영역(B)의 높이를 보조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5의 동작 개요도와, 도 6 내지 도 16의 상세 동작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체적인 적재공간의 가변 동작은 다수의 수평 격벽(110)들 중 적재물(L) 위의 수평 격벽(110)들을 선택하여 적재물(L)의 높이까지 하강시켜 적재물 상부의 비냉각 영역(B)을 설정하고(도 5의 (a)), 하강된 수평 격벽(110)의 높이까지 커넥터(130)를 하강시키고(도 5의 (b)), 이 커넥터(130)와 수직 격벽(120)을 적재물(L)의 말단 부분까지 이동시키고(도 5의 (c)), 하강된 수평 격벽(110)들 중 마지막 커넥터(130)에 커넥터(130)를 결합시켜 적재물 상부의 비냉각 영역(B) 설정을 마무리하고(도 5의 (d)), 수직 격벽(120)을 회전시켜 적재물(L) 말단의 비냉각 영역(B)을 설정(도 5의 (e))함으로써 완료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평 격벽(110)의 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수평 격벽(110)의 대기 상태로서, 수평 격벽(110)은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 부근에 위치한다.
도 6의 (b)는 다수의 수평 격벽(110)들 중 하강하는 수평 격벽(110)으로, 작업자의 조정키(151) 조정을 통해 와이어(152)가 풀리면 와이어(152) 말단의 지지대(154)가 하강하면서 이 지지대(154)에 걸림편(114)이 올려진 수평 격벽(110)은 하강하게 된다.
도 6의 (c)는 다수의 수평 격벽(110)들 중 하강하지 않는 수평 격벽(110)으로, 작업자가 미리 스토퍼(155)를 자세전환하여 스토퍼(155)에 걸림편(114)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52)가 풀리더라도 해당 수평 격벽(110)은 하강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평 격벽(110A, 110B)들의 선택적 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수평 격벽(110A, 110B)들의 대기 상태로서, 이웃한 수평 격벽(110A, 110B)들은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 부근에 위치한다. 이때 이웃한 수평 격벽(110A, 110B)들에는 빗장(115)이 끼워져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도 7의 (b)는 수평 격벽(110A, 110B)들 중 좌측의 수평 격벽(110A)이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작업자는 먼저 빗장(115)을 이동시켜 이웃한 수평 격벽(110A, 110B)들의 결합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의 조정키(151) 조정을 통해 와이어(152)가 풀리면 와이어(152) 말단의 지지대(154A)가 하강하면서 좌측의 수평 격벽(110A)은 하강하게 된다. 여기에서 좌측의 수평 격벽(110A)에 대한 스토퍼(155A)는 풀림 전환되어 있고 우측의 수평 격벽(110B)에 대한 스토퍼(155B)는 잠금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의 수평 격벽(110A)만이 선택적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스토퍼(155A, 155B)의 자세 전환은 작업자에 의해 미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120) 및 커넥터(130)의 대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상시 2 개의 수직 격벽(120)은 각각 냉동 트레일러(20)의 양측면에 붙어 있는 자세로 배치되며, 커넥터(130)는 레일(161)의 이동 가이드(도시 생략)에 와이어(164)에 의해 묶여 고정된 케이싱(132)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커넥터(130)의 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a)와 (b)는 하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에 의해 와이어(164)가 풀리면 레일(161)의 이동 가이드(162)에 고정되어 있던 케이싱(132)은 천천히 하강하게 되며, 이 같은 하강 높이는 이미 설치한 수평 격벽(110)의 하강 높이에 맞추어 작업자에 의해 조정될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커넥터(130)를 수평 격벽(110)에 결합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커넥터(130)를 지지하는 이동 가이드(162)를 레일(161)을 따라 전진 이동시켜 커넥터(130)가 들어있는 케이싱(132)을 수평 격벽(110)에 근접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32)에서 커넥터(130)를 빼내서 해당 커넥터(130)를 수평 격벽(110)의 삽입부(111)에 일부 삽입시킴으로써 커넥터(130)를 수평 격벽(11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162)를 레일(161)을 따라 후진 이동시켜 케이싱(132)은 뒤로 빼게 된다. 물론 이후 이 케이싱(132)은 다시 상승시켜 공간을 확보할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커넥터(130)를 수평 격벽(110)에 결합시킨 후 마무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30)가 적재물(L)에 비해 튀어나와 있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커넥터(130)를 밀어서 적재물(L)과 길이를 맞추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120)의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 가이드(162)에 고정된 수직 격벽(120)은 이동 가이드(162)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커넥터(130)의 말단에 위치되고, 회전축(121)에 의해 닫혀 도 15와 같이 냉각 공간(A)을 폐쇄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131은 커넥터(130)와 수직 격벽(120)의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공기 차단부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120)의 바닥 밀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트레일러(20)의 내부 바닥면은 공기의 하부 순환이 가능하도록 요철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직 격벽(120)의 하부에도 이 같은 요철면을 통한 냉기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공기 차단부(122)가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공기 차단부(122)는 트레일러(20)의 내부 바닥면의 요철 형상과 대응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폐 솔(124)과 상기 밀폐 솔(124)을 회전시키는 회전대(12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대(123)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밀폐 솔(124)은 상부로 회전되어 고정되면 해당 수직 격벽(120)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며, 하부로 회전되어 고정되면 밀폐 솔(124)이 트레일러(2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요철의 파인 부분에 삽입되어 냉각 공간(A)으로부터 냉기가 배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밀폐 솔은 연성의 재질(예컨데 스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 냉동 트레일러(20) 내 비냉각 영역(B)은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한 다수 또는 단일의 수평 격벽(210)과,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부 벽과 하부 벽이 맞물려 슬라이딩되어 접이식 게이트로 동작하는 수직 격벽(220)의 위치 이동을 통해 설정된다.
특히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커넥터(130)가 필요치 않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제 2 실시예의 수평 격벽(210)은 제 1 실시예의 수평 격벽(11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제 1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수평 격벽(110) 중 선택된 일부 수평 격벽(110)만이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을 위해 하강하는 구조이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수평 격벽(210) 모두가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을 위해 하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는 굳이 수평 격벽(210)을 다수로 분할하지 않고 냉동 트레일러(20) 내 수평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단일의 수평 격벽(210)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기본적으로 트레일러(20) 내로 공급되는 냉기는 냉동 트레일러(20)의 전단에 마련된 냉기 공급 구멍(291)으로부터 공급되며, 공급되는 냉기는 덕트(290)를 따라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덕트(290)는 냉동 트레일러(20)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메인 공기통로(292)가 형성되고, 이 메인 공기통로(292)의 좌우측에 각각 보조 공기통로(293, 29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공기통로(292)는 냉기를 냉동 트레일러(20)의 후단으로 전달해 후단에서 분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보조 공기통로(293, 294)는 보조 공기통로(293, 294)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다수의 통공(296)을 통해 냉기를 측면으로 분출시킴으로써 하부 공간에 냉기를 부분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290)의 메인 공기통로(292)는 냉동 트레일러(2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트로 분리가능하며, 파트별로 개폐문(295)을 갖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특정 파트의 개폐문(295)를 개방하게 되면 트레일러(20)의 전단에 마련된 냉기 공급 구멍(29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는 개방된 개폐문(295)을 통해 해당 위치에서 냉동 트레일러(20) 내부로 분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같은 덕트(290)에 대하여는 관련 도면을 통해 자세히 후술될 것이다.
상기 수직 격벽(220)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상부 슬라이딩판(221)과 하부 슬라이딩판(223)이 맞물려 슬라이딩되게 만들어진 구조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슬라이딩판(221)과 하부 슬라이딩판(223)은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며 하부 슬라이딩판(223)이 상부 슬라이딩판(2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조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 격벽(210)의 하부면에는 이송 장치(260)가 설치되어 상기 수직 격벽(22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직 격벽(220)은 상부 슬라이딩판(221)과 하부 슬라이딩판(223)이 서로 포개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 격벽(210)의 하부면에 면상으로 접촉되어 대기하게 되며, 이동 후 상부 슬라이딩판(221)과 하부 슬라이딩판(223)이 서로 슬라이딩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수직 자세로 세워져 비냉각 영역(B)을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수직 격벽(220)은 상부 슬라이딩판(221)과 하부 슬라이딩판(223)이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일종의 접이식 게이트이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221)의 말단에는 해당 수직 격벽(220)이 곧게 세워진 자세에서 덕트(290)의 메인 공기통로(292) 및 보조 공기통로(293, 294)를 눌러 막을 수 있는 조임구(2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221)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B)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상부 마감재(222)가 각각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슬라이딩판(223)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B)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하부 마감재(224)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딩판(223)의 말단에는 비냉각 영역(B)으로의 하부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공기 차단부(226)가 형성된다. 이 공기 차단부(226)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냉동 트레일러(20)의 바닥 요철면을 통한 냉기의 유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 같은 수직 격벽(220)은 이송 장치(2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이송 장치(260)는 상기 수평 격벽(210)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261)과, 상기 레일(26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262)와, 상기 이동 가이드(262)에 설치되는 와이어(264)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262)에는 수직 격벽(220)의 상부 슬라이딩판(22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262)는 롤러(263)에 놓여져 상기 레일(261)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레일(261)을 따라 이동된 수직 격벽(220)은 이동된 후 세워지고 펼쳐지게 되어, 이 같은 수직 격벽(220)의 이동 거리에 의해 비냉각 영역(B)의 범위가 결정된다.
이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8의 동작 개요도와, 도 19 내지 도 26의 상세 동작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체적인 적재공간의 가변 동작은, 적재물(L)이 냉동 트레일러(20) 내에 적재되면(도 18의 (a)), 적재물(L)의 말단 부분의 메인 공기통로(292)를 열고 이와 함께 수직 격벽(220)을 적재물(L)의 말단 부분까지 이동시키며(도 18의 (b)), 수직 격벽(220)을 회전시켜 수직상으로 세워 조임구(225)에 의해 적재물(L)의 말단 부분의 메인 공기통로(292) 및 보조 공기통로(293, 294)를 막고(도 18의 (c)), 수직 격벽(220)의 하부 슬라이딩판(223)을 슬라이딩시켜 수직상 길이를 연장시키며(도 18의 (d)), 수평 격벽(210)을 적재물(L)의 높이까지 하강(도 18의 (e))시킴으로써 완료될 것이다.
여기에서 위 기술에서는 수직 격벽(220)을 먼저 설치하고 그 후 수평 격벽(210)을 하강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와 반대로 수평 격벽(210)을 먼저 하강시키고 그 후 수직 격벽(22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덕트(290)의 냉기 공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a)는 전체 덕트(290)의 중간 부위를 나타낸 것으로 냉동 트레일러(20)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메인 공기통로(292)가 형성되고, 이 메인 공기통로(292)의 좌우측에 각각 보조 공기통로(293, 29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공기통로(292)는 냉기를 냉동 트레일러(20)의 후단으로 전달해 후단에서 분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보조 공기통로(293, 294)는 보조 공기통로(293, 294)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다수의 통공(296)을 통해 냉기를 측면으로 분출시킴으로써 하부 공간에 냉기를 부분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9의 (b)는 전체 덕트(290)의 말단 부위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290)의 메인 공기통로(292)는 냉동 트레일러(2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트로 분리가능하며, 파트별로 개폐문(295)을 갖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특정 파트의 개폐문(295)를 개방하게 되면 트레일러(20)의 전단에 마련된 냉기 공급 구멍(29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는 개방된 개폐문(295)을 통해 해당 위치에서 냉동 트레일러(20) 내부로 분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9의 (c)는 전체 덕트(290)의 냉기 공급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으로 공급된 냉기는 덕트(290)의 메인 공기통로(292)를 통해 냉동 트레일러의 후단측으로 공급되며, 동시에 덕트(290)의 보조 공기통로(293, 294)를 통해 전체 구간에서 부분적으로 분출된다. 이때 메인 공기통로(292)의 특정 지점에서 개폐문(295)이 열리면 해당 냉기는 아래로 분출된 후 전체 공간을 순환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2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a)는 후면도이고, 도 20의 (b)는 측면도로서 수평 격벽(210)의 하부면에 면상으로 접촉되어 대기하는 수직 격벽(22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격벽(220)은 상부 슬라이딩판(221)과 하부 슬라이딩판(223)이 서로 포개어 접혀져 있다. 이 상부 슬라이딩판(221)의 양측면의 상부 마감재(222)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판(223)의 양측면의 하부 마감재(224)는 접혀져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221)의 말단에는 해당 수직 격벽(220)이 곧게 세워진 자세에서 덕트(290)의 메인 공기통로(292) 및 보조 공기통로(293, 294)를 눌러 막을 수 있는 조임구(22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참조부호 264는 수직 격벽(220)을 움직일 때 사용하는 와이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220)의 마감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의 (a)는 상부 슬라이딩판(221)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221)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B)으로의 하부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상부 마감재(2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221)의 말단에는 해당 수직 격벽(220)이 곧게 세워진 자세에서 덕트(290)의 메인 공기통로(292) 및 보조 공기통로(293, 294)를 눌러 막을 수 있는 조임구(225)가 형성된다.
도 21의 (b)는 하부 슬라이딩판(221)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하부 슬라이딩판(223)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B)으로의 하부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하부 마감재(2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220)의 설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격벽(220)를 지지하는 이동 가이드(262)를 레일(261)을 따라 전진 이동시켜 수직 격벽(220)을 적재물(L)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적재물(L) 위의 메인 공기통로(292)의 개폐문(295)을 연다.
다음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격벽(220)을 수직으로 세우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상부 슬라이딩판(221)의 조임구(225)가 덕트(290)의 메인 공기통로(292) 및 보조 공기통로(293, 294)를 눌러 막도록 한다.
이후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격벽(220)에서 하부 슬라이딩판(223)을 내리고 공기 차단부(226)를 하부 공간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공기 차단부(226)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220) 냉기 밀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은 후면도로서 수직 격벽(220)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슬라이딩판(223)의 양측 하부 마감재(224)가 펼쳐져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 측면과 맞닿게 되고, 또한 하부 슬라이딩판(223)의 하부에 공기 차단부(226)가 설치되어 밀폐 솔(228)이 트레일러(2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요철의 파인 부분에 삽입되어 냉각 공간(A)으로부터 냉기가 배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격벽(210)을 하강된 후 상부 슬라이딩판(223)의 양측 상부 마감재(224)가 펼쳐져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 측면과 맞닿게 됨으로써 전체 냉각 공간(A)은 비냉각 영역(B)과 분리될 것이다.
<제 3 실시예>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서 냉동 트레일러(20) 내 비냉각 영역(B)은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한 다수 또는 단일의 수평 격벽(310)과,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트랙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롤업식 게이트로 동작하는 수직 격벽(320)의 위치 이동을 통해 설정된다.
이 같은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커넥터(130)가 필요치 않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제 3 실시예의 수평 격벽(310)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수평 격벽(110, 21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특히 다수의 수평 격벽(210) 모두가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을 위해 하강하는 구조를 갖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기본적으로 트레일러(20) 내로 공급되는 냉기는 냉동 트레일러(20)의 전단에 마련된 냉기 공급 구멍(391)으로부터 공급되며, 공급되는 냉기는 덕트(390)를 따라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제 3 실시예의 덕트(390)는 제 2 실시예의 덕트(29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수직 격벽(320)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다수의 패널(322)이 길게 이어져서 만들어져 전체적으로 굴곡이 가능하게 된 구조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널(322)들간의 연결 부위는 힌지가 내장되어 굴곡이 가능하며 이 연결 부위에는 휠(323)이 설치된다. 이 같은 수직 격벽(320)은 이송 장치(360)에 결합된 지지 트랙(321)에 의해 지지된다. 평상시에는 지지 트랙(321)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대기하게 되며, 이 지지 트랙(321)에서 끌어내려져서 수직 자세로 세워지게 되면서 비냉각 영역(B)을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수직 격벽(320)은 지지 트랙(3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일종의 롤업식 게이트이다. 상기 수직 격벽(320)에서 각각의 패널(322)들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B)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마감재(324)가 각각 형성된다. 이 같은 수직 격벽(320)의 패널(322)들은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격벽(320)의 말단 패널(322)에는 비냉각 영역(B)으로의 하부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공기 차단부(326)가 형성된다. 이 공기 차단부(326)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냉동 트레일러(20)의 바닥 요철면을 통한 냉기의 유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 같은 수직 격벽(320)은 이송 장치(3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이송 장치(360)는 상기 수평 격벽(310)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361)과, 상기 레일(36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362)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362)에는 상기 지지 트랙(321)이 결합되어, 이동 가이드(362)의 이동에 따라 지지 트랙(321) 및 수직 격벽(320)이 함께 이동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362)는 롤러(363)에 놓여져 상기 레일(361)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레일(361)을 따라 이동된 지지 트랙(321) 상의 수직 격벽(320)은 이동된 후 아래로 펼쳐지게 되어, 이 같은 수직 격벽(320)의 이동 거리에 의해 비냉각 영역(B)의 범위가 결정된다.
이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28의 동작 개요도와, 도 29 내지 도 33의 상세 동작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전체적인 적재공간의 가변 동작은, 적재물(L)이 냉동 트레일러(20) 내에 적재되면 적재물(L)의 말단 부분의 메인 공기통로(392)를 열고 이와 함께 이동 가이드(362)를 이동시켜 수직 격벽(320)을 적재물(L)의 말단 부분까지 이동시키며(도 28의 (a)), 수평 격벽(310)을 적재물(L)의 높이까지 하강시키면서 이와 연결된 수직 격벽(320)도 함께 하강시키게 되며(도 28의 (b)), 수직 격벽(320)을 끌어내려 수직상 길이를 연장시킴(도 28의 (c))으로써 완료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도 28의 (c)에서 알 수 있듯이 이동 가이드(362) 상의 조임구(365)에 의해 적재물(L)의 말단 부분의 메인 공기통로(392) 및 보조 공기통로(393, 394)는 막혀질 것이다.
여기에서 위 기술에서는 수평 격벽(310)을 하강시키고 그 후 수직 격벽(320)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와 반대로 수직 격벽(320)을 먼저 설치하고 그 후 수평 격벽(310)을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3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의 (a)는 후면도로서, 수평 격벽(320)의 아래에는 양측을 따라 레일(361)이 구비되며, 이 레일(361)을 따라 이동 가이드(36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 가이드(362)에는 지지 트랙(321)이 고정되어 있어 이동 가이드(362)의 움직임에 따라 이 지지 트랙(321)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지지 트랙(321)에는 수직 격벽(320)을 구성하는 셔터 패널(322)들의 휠(323)이 내장된다.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324는 각각의 패널(322)들의 양측면에 구성되어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B)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마감재이다.
도 29의 (b)는 측면도로서, 수직 격벽(320)을 구성하는 셔터 패널(322)들이 천정면 즉 수평 격벽(310)에 평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셔터 패널(322)들은 지지 트랙(321)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지지 트랙(321)의 일측은 수평 격벽(310)과 평행한 상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평 격벽(310)과 수직인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 격벽(310)과 평행한 부분의 지지 트랙(321)에 위치한 셔터 패널(322)들은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게 되지만, 셔터 패널(322)들이 이동하여 수평 격벽(310)과 수직인 부분으로 오게 되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냉기의 차단벽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320)이 천정면 즉 수평 격벽(310)에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각각의 셔터 패널(322)들은 아직 내려오지 않은 상태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에서 수직 격벽(320)이 일부 아래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과 비교적으로, 도면에서 일부 셔터 패널(322)들이 지지 트랙(321)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 상태이다. 이에 따라 냉동 트레일러(20) 내 냉각 공간(A)으로만 냉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메인 공기통로(392)의 마지막 개폐문(395)는 열게 되고, 이동되어 온 이송 장치(360)의 조임구(365)에 의해 적재물(L)의 말단 부분의 메인 공기통로(392) 및 보조 공기통로(393, 394)는 막히게 된다.
이해를 위해 도 32에는 수평 격벽(310)의 하강 없이 수직 격벽(320)이 내려와 세워지는 것만으로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33에는 수평 격벽(310)이 하강하고 그 상태에서 수직 격벽(320)이 내려와 세워짐으로써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격벽(320)을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 패널(322)의 양측 마감재(324)가 펼쳐져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 측면과 맞닿게 되고, 또한 하부 셔터 패널(322)의 하부에 공기 차단부(326)가 설치되어 밀폐 솔(328)이 트레일러(2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요철의 파인 부분에 삽입되어 냉각 공간(A)으로부터 냉기가 배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서 냉동 트레일러(20) 내 비냉각 영역(B)은 내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유 수단을 냉동 트레일러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점유 수단은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문에 냉동 트레일러 내에 있는 점유 수단의 수와 부피를 조절하는 것 만으로 냉각시켜야할 공간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 같은 점유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공간 격벽(410)과 같이 천정면에 설치되어서 내부를 부풀려 내부 공간을 조절하는 형태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바 풍선과 같은 원리로 쉽게 내부 공간이 조절 가능한 형태라면 굳이 냉동 트레일러의 천정면에 고정되지 않더라도 트레일러의 내부에 위치하기만 한다면 냉동 트레일러 내 냉각 공간(A)은 조정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되는 상기 점유 수단은 공간 격벽(410)일 수 있으며, 냉동 트레일러(20) 내 비냉각 영역(B)은 천정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을 통해 설정된다.
이 같은 제 4 실시예에서는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수직 격벽과 수벽 격벽이 별도로 필요치 않다는 차이점을 가지며,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 중 선택된 공간 격벽(410)의 내부 부피를 원하는 정도만큼 늘이는 것으로 비냉각 영역(B)을 설정하게 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은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덕트가 트레일러 내 천정면에 길게 설치된 대형 트레일러에 적합하지만, 본 제 4 실시예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은 천정면에 덕트가 없는 소형 트럭(Straight Truck)에 더욱 적합하며, 물론 대형 트레일러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제 4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별도의 덕트 없이 선단부의 구멍을 통해 냉기가 트레일러(20)의 내부로 공급되며 대부분의 경우 바닥면이 요철로 구성되지 않은 소형 트럭(Straight Truck)를 예로 하여 설명하게 될 것이다.
상기 공간 격벽(410)들은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에 고정되는데, 개별 공간 격벽(410)이 냉동 트레일러(20)의 폭과 같은 폭을 갖게 하고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이 냉동 트레일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경우로, 개별 공간 격벽(410)이 냉동 트레일러(20)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게 하여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이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에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격벽(410)을 활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적재물(L)이 적재된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에서 각 공간 격벽(410)들은 접혀져 있는 상태여서 냉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냉동기(21)에서 공급되는 냉기는 그대로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공급될 것이다.
한편 도 3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5의 (a)에서는 냉동 트레일러(20) 내에 적재물(L)이 바닥면을 가득 채우면서 적재되는데 이 적재물(L)의 높이가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 보다 낮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은 모두 내부 부피가 부풀어 올라 그 하부 말단이 적재물(L)의 상단면에 근접하게 변형될 것이다. 이에 따라 냉기가 냉각시켜야할 냉동 트레일러(20) 내 공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부풀어 오른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을 제외한 공간이 될 것이다.
다른 경우로 도 35의 (b)에서는 냉동 트레일러(20) 내에 적재물(L)이 바닥면을 일부 채우면서 적재되는데 이 적재물(L)의 높이가 냉동 트레일러(20)의 천정면 보다 낮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 중 하부에 적재물(L)이 있는 공간 격벽(410)들은 내부 부피가 부풀어 올라 그 하부 말단이 적재물(L)의 상단면에 근접하게 변형될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 중 하부에 적재물(L)이 없는 공간 격벽(410)들은 내부 부피가 부풀어 올라 그 하부 말단이 냉동 트레일러(2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변형될 것이다. 이에 따라 냉기가 냉각시켜야할 냉동 트레일러(20) 내 공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부풀어 오른 다수의 공간 격벽(410)들을 제외한 공간이 될 것이다. 특히 하부 말단이 냉동 트레일러(2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변형된 공간 격벽(410)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의 수직 격벽과 마찬가지로 냉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공간 격벽(410)들은 내부와 외부 간에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부 부피가 늘어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내부 부피의 변형을 위한 예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격벽(410)의 측면은 접거나 펴질 수 있는 주름벽(4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공기를 채우게 되면 주름벽(411)이 펴지면서 전체적으로 공간 격벽(410)은 부풀어 오르게 될 것이다. 또한 주름벽(411)을 접는 동작에 따라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전체적으로 공간 격벽(410)의 내부 부피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이 같은 주름벽(411)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공간 격벽(410)의 상부에는 내부 도르래(412)가 설치되고, 이 내부 도르래(412)에 걸린 와이어(452)의 일측 말단은 공간 격벽(410)의 하부벽(413)에 고정되며, 와이어(452)의 타측 말단은 공간 격벽(410)의 밖에 설치된 외부 도르래(453)를 통해 조정키(454)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3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기 전에 작업자가 조정키(454)를 통해 와이어(452)를 풀게 되면 공간 격벽(410)의 하부벽(413)이 하강하면서 주름벽(411)이 펴지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공간 격벽(410)을 통한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도 3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트레일러(20)의 냉각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작업자가 조정키(454)를 통해 와이어(452)를 당기게 되면 공간 격벽(410)의 하부벽(413)이 상승하면서 주름벽(411)이 접히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공간 격벽(410)을 통한 비냉각 영역(B)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즉 작업자가 조정키(454)를 통해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간단히 공간 격벽(410)의 부피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 격벽(410)의 접히고 펴지는 동작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해당 공간 격벽(410)의 하부벽(413)에는 개방된 개방구(414)가 배치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공간 격벽(410)이 완전히 밀폐되게 되면 내외부 간 온도의 차이에 따라 공기의 밀도차(부피차)가 심하게 일어나므로 공간 격벽(410)의 심각한 변형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혹한의 날씨를 제외하고는 이 개방구(414)를 통해 차가운(무거운) 공기가 공간 격벽(410)의 내부로 들어오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공간 격벽(410)을 통한 비냉각 영역(B)의 설정 효과는 거의 감소하지 않는다.
<제 5 실시예>
도 37과 도 3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제 냉동 트레일러(20)의 내부에는 다양한 크기의 적재물들이 실리게 되는데, 한 가지 종류의 적재물만이 실리는 경우가 적고 대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적재물들이 혼합되어 실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트레일러 내 적재물(L)의 전체적인 상부 높이는 일정치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에 상술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평 격벽(110, 210, 310)을 사용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수평한 수평 격벽이 적재물(L)의 최상단 높이에 맞추어 하강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불필요한 냉각 공간(A)도 함께 설정하게 만들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 트레일러(20) 내 상부 영역을 구획하는 수평 격벽(510)이 적재물(L)의 최상단 높이에 맞추어 일괄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지 않고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L)의 불규칙한 상부 돌출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수평 격벽(510)을 구성하게 된다.
먼저 도 37에서와 같이 다수의 수평 격벽(510)들이 서로 연결되어 트레일러 내 상부 영역을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을 이용한 냉동 트레일러(20) 내 비냉각 영역(B)은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 이동 및 자세 전환이 가능한 다수의 단위 수평 격벽(510)들과,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한 수직 격벽(320)의 위치 이동을 통해 설정된다.
도 37의 예에서 개별 단위 수평 격벽(510)들은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며 자세의 전환(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전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수평 격벽(110, 210, 310)들은 적재물(L)의 최상단 높이에 맞추어 전체 수평 격벽(110, 210, 310)이 일률적인 높이와 자세로 하강하게 될 것이나, 이와 달리 도 37의 예에서는 각각의 단위 수평 격벽(510)들을 서로 연결하게 되면 비냉각 영역(B)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며, 여기에서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개별 단위 수평 격벽(510)들의 높이와 자세를 냉동 트레일러(20) 내에 적재물(L)의 수평 위치별 높이에 맞추어 유연하게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불필요하게 냉각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각을 위한 에너지(열 또는 연료) 소모는 더욱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같은 원리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수평 격벽(510)을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 냉동 트레일러(20) 내에 적재물(L)의 수평 위치별 높이에 맞추어 하강시킨 후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부분적으로 굴곡변형시킴으로써 냉각 공간(A)의 최적화된 설정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6)

  1. 냉동 트레일러 내 상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격벽과 냉동 트레일러 내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수직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격벽과 수직 격벽을 통해 냉동 트레일러 내 냉각 공간에서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 또는 수직 격벽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냉기가 전달되는 하층의 냉각 공간과 냉기가 전달되지 않는 상층의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냉기가 전달되는 전층의 냉각 공간과 냉기가 전달되지 않는 후층의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의 천정면과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수평 격벽들이 냉동 트레일러의 수평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배치되며,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다수의 수평 격벽들 중 선택된 수평 격벽들 또는 모든 수평 격벽들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의 상부면에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양측면이 사선 형태로 형성되되 전단의 측면은 마주하는 다른 수평 격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사면으로 형성되고 후단의 측면은 마주하는 다른 수평 격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 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들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조정되는 조정키;
    상기 조정키의 회전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리는 다수의 와이어; 및
    다수의 수평 격벽에 대응하여 수평 격벽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도르래;를 포함하고,
    각 도르래를 통해 연결된 각 와이어의 말단은 각각의 수평 격벽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조정키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풀어내면 와이어에 연결된 각 수평 격벽이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각 수평 격벽에서 트레일러의 측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걸림편이 형성되며,
    수평 격벽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수평 격벽의 걸림편과 마주하는 트레일러의 측면에는 자세 전환이 가능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특정 수평 격벽에 대한 스토퍼를 잠금 전환하여 해당 수평 격벽의 걸림편이 스토퍼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수평 격벽의 하강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은 상하 방향 이동 및 자세 전환이 가능한 다수의 단위 수평 격벽들로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다수의 단위 수평 격벽들의 높이와 자세를 냉동 트레일러 내에 적재물의 수평 위치별 높이에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적재물의 수평 위치별 높이에 맞추어 부분적으로 굴곡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냉기는 냉동 트레일러의 전단에 마련된 냉기 공급 구멍으로부터 공급되어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설치된 덕트를 따라 냉동 트레일러의 내부로 전달되며, 덕트의 초입 부분은 신축 가능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다수의 파트로 분리가능해 수평 격벽들의 선택적인 승하강에 따라 분리되며, 하강된 수평 격벽들 중 말단의 수평 격벽에 고정된 덕트에서 냉기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냉동 트레일러의 전후 방향을 따라 메인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메인 공기통로의 좌우측에 각각 보조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공기통로는 냉기를 냉동 트레일러의 후단으로 전달해 분출시키고 상기 보조 공기통로는 측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냉기를 측면으로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통로는 냉동 트레일러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트로 분리가능하며, 파트별로 냉기를 배출할 수 있는 개폐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냉동 트레일러 내 측면 상부에 고정된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해, 평상시에는 트레일러 내 측면에 면상으로 접촉되어 있고 비냉각 영역의 설정시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해 냉동 트레일러의 게이트와 평행이 되어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의 하부에는 트레일러 내부 바닥면의 요철 형상과 대응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차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이송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이동 가이드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격벽을 지지하는 회전축은 상부가 상기 이동 가이드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에 대한 보조적인 상부 폐쇄 수단으로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형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냉동 트레일러의 천정면과 평행한 자세로 이송 장치의 이동 가이드에 와이어를 통해 매달려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는 이동 가이드의 이동과 함께 와이어에 대한 작업자의 조정에 따라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상태에서 수평 격벽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비냉각 영역의 높이를 보조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상부 슬라이딩판과 하부 슬라이딩판이 맞물려 슬라이딩되게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상부 슬라이딩판과 하부 슬라이딩판이 서로 포개어 접혀진 상태로 수평 격벽과 평행을 이루게 수평 격벽측에 고정되어 있고 비냉각 영역의 설정시에는 상부 슬라이딩판과 하부 슬라이딩판이 서로 슬라이딩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수직 자세로 세워져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의 말단에는 해당 수직 격벽이 세워진 자세에서 냉기가 흐르는 덕트를 눌러 막을 수 있는 조임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판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상부 마감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판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하부 마감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판의 말단에는 트레일러 내부 바닥면의 요철 형상과 대응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차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이송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이동 가이드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에는 수직 격벽의 상부 슬라이딩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다수의 패널이 이어져서 전체적으로 굴곡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전체 패널이 수평 격벽과 평행을 이루게 수평 격벽측에 고정되어 있고 비냉각 영역의 설정시에는 패널들이 수직 자세로 세워져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29. 제 28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들의 양측면에는 측면을 통한 비냉각 영역으로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접이식의 마감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의 말단 패널에는 트레일러 내부 바닥면의 요철 형상과 대응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차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이송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수평 격벽의 하부면에 고정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
    상기 이동 가이드에 결합되는 지지 트랙; 및
    상기 이동 가이드의 상부에 고정되어 냉기가 흐르는 덕트를 눌러 막을 수 있는 조임구;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에는 수직 격벽의 상부 슬라이딩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32. 냉동 트레일러 내에 내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유 수단을 위치시켜 냉동 트레일러 내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 수단은 냉동 트레일러 내 천정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공간 격벽이며, 다수의 공간 격벽들 중 선택된 공간 격벽의 내부 부피를 조정해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격벽들은 평상시에는 접혀져 있고 비냉각 영역의 설정시에는 다수의 공간 격벽들 중 선택된 공간 격벽들에 대해 내부 부피를 부풀림으로써 비냉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격벽의 측면은 접거나 펴질 수 있는 주름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격벽의 상부에는 내부 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 도르래에 걸린 와이어의 일측 말단은 공간 격벽의 하부벽에 고정되고 와이어의 타측 말단은 공간 격벽의 밖에 설치된 외부 도르래를 통해 조정키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조정키를 통해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공간 격벽의 부피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KR1020157006773A 2014-10-29 2014-10-29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KR101643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0241 WO2016068357A1 (ko) 2014-10-29 2014-10-29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734A true KR20160062734A (ko) 2016-06-02
KR101643856B1 KR101643856B1 (ko) 2016-07-29

Family

ID=5580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773A KR101643856B1 (ko) 2014-10-29 2014-10-29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469237B2 (ko)
KR (1) KR101643856B1 (ko)
CA (1) CA2883228C (ko)
WO (1) WO2016068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6179A1 (de) * 2016-04-12 2017-10-12 Fahrzeugwerk Bernard Krone GmbH & Co. KG Kühlbarer Nutzfahrzeugaufbau
EP3231645A1 (de) * 2016-04-12 2017-10-18 Fahrzeugwerk Bernard Krone GmbH & Co. KG Kühlbarer nutzfahrzeugaufbau
US10473384B2 (en) * 2016-07-11 2019-11-12 Logan H. Stollenwerck, III Cooler divider
DE102016215405A1 (de) * 2016-08-17 2018-0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nterteilen von Kabinen und/oder Laderäumen, insbesondere von Fahrzeugen, in eine Anzahl von Unterabschnitten
CA3138468A1 (en) * 2019-04-30 2020-11-05 Maxiloda Limited Cargo stacking devices and systems
US11772448B2 (en) * 2019-11-21 2023-10-03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 system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ompartments for storing hems
CN112660013B (zh) * 2020-12-31 2022-05-31 中华全国供销合作总社济南果品研究院 一种蓄冷式冷藏车及与之配合的蓄冷电池自动更换装置
CN113581670B (zh) * 2021-08-30 2023-05-30 广东华丰药业有限公司 一种医药冷链物流用的冷藏运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349A (ko) * 1997-08-22 1999-03-15 윤종용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909A (en) * 1909-07-10 1911-05-30 Frank Thompson Refrigerator-car.
US2756564A (en) * 1955-01-12 1956-07-31 Mead E Robertson Ventilating attachment
US3638450A (en) * 1970-03-23 1972-02-01 Union Carbide Corp Flexible partition for refrigerated storage chamber
US4211412A (en) * 1978-09-01 1980-07-08 Gordon Barlow Design Fighting U.F.O's
JP3163246B2 (ja) * 1996-01-29 2001-05-08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冷凍冷蔵貨物自動車の荷箱構造
US6086128A (en) * 1998-09-08 2000-07-11 Whitehead, Sr.; Michael T. Passenger compartment divider for a motor vehicle
JP2001080697A (ja) * 1999-09-14 2001-03-27 Raisen:Kk 異種液置換式コンテナーによる液体輸送方法
JP4480256B2 (ja) * 2000-11-13 2010-06-16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冷凍バンの移動式中仕切り装置
JP4004762B2 (ja) * 2001-10-05 2007-11-07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荷箱内の中仕切り装置
KR200343251Y1 (ko) * 2003-10-14 2004-02-27 오창영 냉동탑차용 냉동공간 조절 장치
US7140665B2 (en) * 2005-02-25 2006-11-28 Q-Sales & Leasing Llc Temperature protection system for cargo trailers
US7393034B2 (en) * 2006-07-14 2008-07-01 Brussard Associates, Inc. Moveable strip door suspension system
US20090142154A1 (en) * 2007-11-30 2009-06-04 William Hammond Roll-up insulated partitioning system for trailers
US8186917B2 (en) * 2009-01-21 2012-05-29 Fg Products, Inc. Partitioning cargo spaces
FR2976545B1 (fr) * 2011-06-15 2015-05-15 Pommier Furgocar S R L Agencement de moyens de montage et de manipulation d'une cloison escamota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349A (ko) * 1997-08-22 1999-03-15 윤종용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8357A1 (ko) 2016-05-06
US9469237B2 (en) 2016-10-18
CA2883228C (en) 2018-06-05
US20160121780A1 (en) 2016-05-05
CA2883228A1 (en) 2016-04-29
KR101643856B1 (ko) 2016-07-29
USRE48198E1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856B1 (ko)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US5660057A (en) Carbon dioxide railroad car refrigeration system
CA2922092C (en) Galley cart and galley system of an aircraft
AU784717B2 (en) Cooling air supplying device in refrigerator
CN102853609B (zh) 冷冻冰箱
BR102015003270A2 (pt) Carrinho de cozinha, e, método para controlar um escoamento de sublimado de co2 em um carrinho de cozinha
JP4310299B2 (ja) 冷蔵庫
JPS61222835A (ja) 冷凍車などのボデ−
JP7038512B2 (ja) 航空機のギャレーの空気供給・返送システム
CN205106910U (zh) 模块化冷藏快递柜
JP4231826B2 (ja) 冷凍コンテナ
JP2015052441A (ja) 冷凍車
US200802827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a mixture of water ice and CO2 snow
JP6086877B2 (ja) 箱型荷台
JPH09269173A (ja) 冷蔵庫
JP4187161B2 (ja) コンテナ装置
JP3981062B2 (ja) 保冷システム
JP2007127317A (ja) 車載用小型保冷庫の移動間仕切り構造
JP6403641B2 (ja) 箱型荷台
KR102669260B1 (ko) 가변형 냉동탑
JP7307375B2 (ja) コンテナ
JP5394731B2 (ja) 保冷庫
JPH09254704A (ja) 貨物自動車用荷箱の中仕切装置
JPH09138050A (ja) 冷蔵庫
JP200901985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