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936A -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936A
KR20160059936A KR1020150062241A KR20150062241A KR20160059936A KR 20160059936 A KR20160059936 A KR 20160059936A KR 1020150062241 A KR1020150062241 A KR 1020150062241A KR 20150062241 A KR20150062241 A KR 20150062241A KR 20160059936 A KR20160059936 A KR 2016005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utes
hypoglycemic agent
natural plant
powd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232B1 (ko
Inventor
이종환
피아오졍아이
Original Assignee
이종환
피아오졍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환, 피아오졍아이 filed Critical 이종환
Publication of KR2016005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아래 열거한 중량의 원료로 조성된다. 여주 40-80분, 어성초 20-60분, 헛개나무 20-45분, 탱자 10-30분이다. 그 제조법은 상기 원재료를 찌고 말리고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어 일정한 비율로 혼합시킨다. 본 발명의 원재료는 모두 천연식물이며 자주 쓰이는 무독한 약재다. 그것은 청열해독, 이기산여, 소간, 건비위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소화 기능과 간 기능을 강화하고 취장기능 회복에 좋은 작용할 수 있다. 이것을 섭취하므로 혈당약 복용량을 감소시키고 혈당을 강하시키며 양약의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및 그 제조방법{Hypoglycemic agent with a natural 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한약(중성약) 제조 영역에 속하며, 구체적으로 보조 혈당 강하제 제조 영역에 속한다.
근래에 와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음식패턴이 바뀌며, 나날이 생활 리듬이 빨라지고, 운동량이 감소되는 생활방식 등 많은 요인으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당뇨 발병률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으며, 당뇨병은 종양, 심장질환을 뒤를 이어 인류건강을 위협하는 만성질환이 되었다. 국제 당뇨병 연맹(IDF)은 2013년 세계적으로 20~79세 성년 당뇨병 환자 비중이 8.3%, 3.82억 명으로, 80%는 저성장 국가에 분포되어 있다고 발표했다. 2035년에는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는 5.92억 명에 다다를 것으로 예측하며, 중국이 25%로서 으뜸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2013년 세계적으로 당뇨병과 연관되어 510만 명이 죽었으며, 이는 전체 사망률의 8.93%나 된다. 향후 50년 내에 당뇨병은 가장 심각한 공중위생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임상학적으로 당뇨병을 I형과 II형으로 나눈다. I형은 청소년과 젊은 사람 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급성인 경우가 많다. 인슐린 분비의 절대부족으로 기인되었으므로, 케톤산 중독이 쉽게 발생한다. 치료에는 인슐린에 민감하므로, 항상 인슐린 주사를 필요로 한다. II형 당뇨병은 성인, 노인 및 비만인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만성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진단을 받기 전에 이미 50%가 췌장 베타 세포의 기능이 손실되며,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한다. 베타 세포 기능의 손상은 혈당을 점진적으로 올라가게 하고 병세를 악화 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어, 임상적으로 생물체가 인슐린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뜨린다.
당뇨병은 삼다 일소의 증상이 있다. 다음, 다식, 다뇨 및 체중 감소이다. 이런 내용들은 일찍이 중 의학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를 소갈증이라고 한다. 당뇨병은 만성질환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에게 오는 증상 이외에도 심장, 혈관, 눈, 신장 및 신경계통 같은 곳에 일련의 병을 일으켜, 당뇨병 환자의 생활과 건강 및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준다.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당뇨성 눈병, 당뇨성 신경병변, 당뇨성 하지혈관병변, 당뇨성 신장병, 당뇨성 심장병이 있다. 그리하여 환자는 장기간 혈당에 대한 통제를 필요로 한다.
오늘날 당뇨병을 치료하는 약물로는 주로 인공 인슐린, 술포닐 요소, 구아디닌류를 많이 쓰인다. 그러나 혈당 강하 약물은 부작용이 있고, 장기 복용하면 간이나 신장의 기능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장기 복용이 가능하고 간이나, 신장 및 신경 등에 손상을 주지 않는 약물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채택한다.
천연식물로 된 혈당 강하제의 성분 및 함량은 여주 40~80분, 어성초 20~50분, 헛개나무 20~45분, 탱자 10~30분, 민들레 10~30분, 감초 1~5분을 포함한다.
여주는 맛이 쓰고, 무독하며 성질이 차다. 여주 과실은 영양이 풍부하고, 매 100그램의 식용부분에는 단백질이 0.9그램, 지방 0.2그램, 당류 3.2그램, 섬유질 1.1그램, 카로틴 0.08밀리그램, 비타민B 10.07밀리그램, 비타민B2 0.04밀리그램, 비타민C 84밀리그램이 들어있다. 여주에는 또 유사 인슐린인 여주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어, 훌륭한 혈당 강하제 작용을 한다. 그밖에 여주는 배당체와 쓴맛이 식욕을 증진시키고, 비장을 튼튼하게 하여 식욕을 강화한다. 알카로이드 물질인 키니네를 함유하고 있어, 배뇨가 잘 되게 하며, 혈액순환, 소염, 해열 심열을 식히고 눈을 맑게 하는 효과가 있다.
어성초는 맛이 맵고, 차고 서늘한 성질이 있다. 청열해독과 부기를 가라앉히고 소화기능을 강화하며, 부스럼을 낫게 하고, 배뇨를 도우며, 습을 제거하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여 소화를 돕는다. 약리연구에서 어성초는 주로 휘발성 기름, 데카노일 아세탈, 어성초 주요성분 등 많은 종류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막대균, 구균, 독감 바이러스, 유행성 독감, 렙토스피라 등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고, 아울러 인체의 면역력을 올리고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오늘날 국내외 어성초 성분요소는 이미 빈혈, 변비, 위장염,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과민성비염, 두드러기, 다양한 염증, 암 등의 방면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 및 치료보조역할을 하며, 어성초는 머지않아 영양보건, 예방 및 질병을 제거하는데 실용적으로 개발될 것을 미리 예견하고 있다.
헛개나무는 달며 신맛이 있으며, 성질이 편하고 무해하다. 근육과 뼈를 풀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체증을 달래며, 숙취, 속 답답증, 갈증, 구토 및 대소변을 원활히 하며, 간을 보호하며, 글리코겐 전환을 촉진해서 혈당을 강하시킨다.
탱자는 맛이 쓰고, 성질이 냉하여, 기운을 파하고, 적을 해소하며, 담을 제거하며, 어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소화기능을 개선한다.
민들레는 청열해독 작용을 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습을 다스리고, 삽통 및 습열로 황변 되는 것을 치료한다.
감초는 맛이 달고, 성질이 편하다. 생 감초는 비장을 보양하여 기운을 돋우며, 청열해독, 거담, 기침을 멈추게 하고, 통증을 완화시키고, 각종 약재와 어울린다.
좋기로는 상기한 각 재료는 여주 50~70분, 어성초 35~45분, 헛개나무 25~35분, 탱자 15~25분, 민들레 15~25분, 감초 1~3분이다.
더욱 좋기는 상기한 각 재료는 여주 67분, 어성초 40분, 헛개나무 33분, 탱자 20분, 민들레 20분, 감초 1분이다.
본 발명은 또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의 제조법을 공개하며, 그 제조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1) 여주를 깨끗이 씻어 섭씨 80~120도에서 1~30분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 분쇄하여 여주 가루를 만든다. 어성초를 깨끗이 씻은 다음 섭씨 80~120도에서 1~30분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 분쇄하여 어성초 가루를 만든다. 헛개나무를 깨끗이 씻어 섭씨 120~220도에서 1~30분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 분쇄하여 헛개나무 가루를 만든다. 신선한 민들레를 깨끗이 씻어 섭씨 70~110도에서 1~15분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 분쇄하여 민들레 가루를 만든다. 탱자를 깨끗이 씻어 섭씨 80~120도에서 1~30분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 분쇄하여 탱자 가루를 만든다. 생 감초를 햇볕에 말려서 분쇄하여 감초 가루를 만든다.
2) 위에서 기술한 내용대로 상기 1)의 분말들을 비율대로 섞는다.
가장 좋기로는 여주 열매는 손상이 없는 상태의 것으로 선별하고, 또 가장 좋기로는 여주를 찌는 온도가 섭씨 90~110도 이며, 시간은 1~15분이다.
가장 좋기로는 어성초를 찌는 온도는 섭씨 90~110도이고, 시간은 1~15분이다.
가장 좋기로는 헛개나무를 가지와 나무 껍질 및 나무 잎을, 찌기 전에 2~3센티미터로 잘게 썬다. 가장 좋기로는 헛개나무를 섭씨 160~200도에서 찌는데 시간은 5~15분이다.
가장 좋기로는 어성초를 섭씨 160~200도에서 찌는데 시간은 1~15분이다.
가장 좋기로는 민들레를 섭씨 80~100도에서 찌는데 시간은 1~12분이다.
가장 좋기로는 탱자는 손상이 없는 것으로 고르되, 탱자를 섭씨 90~110도에서 찌는데 시간은 10~20분이다.
가장 좋기로는 위에서 말하는 서늘한 곳에서 말린다는 것은 태양을 피하여 서늘한 곳에서 말리고, 통풍이 잘되고 그늘진 곳을 말한다.
본 발명은 또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의 사용법을 공개한다. 매회 3g 상기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를 물에 타서 복용한다. 매일 3회 식전, 식후 상관없이 복용한다.
상기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의 원료는 모두 천연식물이며, 게다가 자주 쓰이는 무독성 약재이다. 또한 상기 원료는 조제 중에 모두 청열해독, 기를 모으고 어혈을 풀어주는 이기산여, 간 기능을 향상시키고, 비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본 혈당 강하제는 소화기능, 간 기능을 강화시키며, 췌장 기능의 회복을 촉진하여 혈당 치료약물의 복용량을 감소시키고, 혈당을 양호하게 통제할 수 있으며, 게다가 부작용 없이, 당뇨 치료제 보조제 역할도 하고, 당뇨 치료제의 복용량도 줄여준다.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우선적으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되고,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묘사되는 내용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여기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즉 이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할 수 없다.
실시예 1: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
1) 여주를 씻고 찌는데, 그 온도는 섭씨 120도이며, 시간은 1분간이다. 그런 다음 응달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어성초를 씻고 찌는데, 그 온도는 섭씨 120도이며, 시간은 1분간이다. 응달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헛개나무를 씻고 찌는데, 온도는 섭씨 220도이며, 시간은 1분간이다. 그런 다음 응달에서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신선한 민들레를 씻어 섭씨 110도에서 1분간 쪄서 응달에 건조하여 민들레 가루를 만든다. 탱자를 씻어 섭씨 120도에서 1분간 쪄서 그늘에 말려서 탱자가루를 낸다. 생 감초를 햇볕에 말려 분쇄하여 생 감초 가루를 만든다.
다음 중량의 원료를 사용하여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를 만든다. 여주 40분, 어성초 20분, 헛개나무 20분, 탱자 10분, 민들레 30분, 감초 5분.
실시예 2: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
1) 여주를 씻고 찌는데, 온도는 섭씨 80도이며, 시간은 30분간이다. 그런 다음 응달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어성초를 씻고 찌는데, 온도는 섭씨 80도이며, 시간은 1~30분이다. 그런 후 응달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헛개나무를 씻고 찌는데, 온도는 섭씨 120도이며, 시간은 30분간이다. 그런 다음 응달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신선한 민들레를 씻어 섭씨 70도에서 15분간 쪄서 응달에 말려서 민들레 가루를 만든다. 탱자를 씻어 섭씨 80도에서 30분간 쪄서 그늘에서 말려 탱자가루를 낸다. 생 감초를 햇볕에 말려 분쇄하여 생 감초 가루를 만든다.
2) 다음 중량의 원료를 사용하여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를 만든다. 여주 80분, 어성초 60분, 헛개나무 45분, 탱자 10분, 민들레 10분, 감초 1분.
실시예 3: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
1) 여주를 씻고 찌는데, 온도는 섭씨 100도이며, 시간은 5분간이다. 그런 다음 응달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어성초를 씻고 찌는데, 온도는 섭씨 100도이며, 시간은 5분간이다. 그런 후 응달에서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헛개나무를 씻고 찌는데, 온도는 섭씨 180도이며, 시간은 10분간이다. 그런 다음 응달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신선한 민들레를 씻어 섭씨 90도에서 6분간 쪄서 응달에 말려서 민들레 가루를 만든다. 탱자를 씻어 섭씨 100도에서 15분간 쪄서 그늘에 말려서 탱자가루를 낸다. 생 감초를 햇볕에 말려 분쇄하여 생 감초 가루를 만든다.
다음 중량의 원료를 사용하여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를 만든다. 여주 67분, 어성초 40분, 헛개나무 33분, 탱자 20분, 민들레 20분, 감초 1분.
실시예 4: 본 발명의 천연식물 혈당강하제로 II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임상실험
1. 자료와 방법
일반자료: 본 실험에 참가한 환자는 모두 60명이고, 이는 여자 28명, 남자 3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령은 50-82세로, 환자를 무작위로 2개조로 나누고, 치료조와 대조조를 각각 30명으로 한다.
2. 치료방법
대조조는 매회 Glimpiride 0.2mg를 매일 3차례 복용하고, 치료조는 같은 약 외에 상기 실시예 3으로 제조된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를 회당 3g씩 하루 3회 복용 하여 30일을 한 주기로 치료한다.
3. 관찰방법
2개조의 치료 전, 후의 공복 혈액 중 포도당, 인슐린, C peptide와 Triglyceride 수준을 비교하고 치료 후에 다식 다음 다뇨 등 임상증상의 개선 상황을 비교 관찰한다.
4.결과
혈액 중 포도당, 인슐린, C peptide, Triglyceride의 지표는, 정상범위가 혈당 3.6-6.1mmol/L, 혈중 인슐린 0.86-11uiv/ml, C peptide 0.53-4.38ng/ml, Triglyceride 0.45-1.81mmol/L이다.
혈당mmol/L 인슐린uiv/ml C peptideng/ml Triglyceride
mmol/L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대조조
30인
15.9 10.3 0.8 2.2 0.2 0.4 4.2 3.0
치료조
30인
16.3 6.9 0.9 6.4 0.1 2.9 3.8 1.5
표 1 대조조와 치료조의 II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 시작 2개월 후 혈액검사의 평균치
표 1을 보면, 대조조와 치료조에 대한 치료 전, 후의 혈당 범위, 인슐린, C peptide와 Triglyceride 치수는 모두 변화가 있으며, 혈당과 Triglyceride 치수는 현저하게 내려가고, 인슐린과 C peptide는 현저하게 올라갔다. 치료조의 변화가 대조조보다 현저하게 크다. 2개조 환자들은 모두 다식 다뇨 다음 증상이 많이 개선되었다.
실시예 5: 본 발명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의 II형 당뇨병 임상 치료 관찰
1.자료와 방법
일반자료: 환자 50명으로, 여자는 23명 남자는 27명이다. 연령 50-82세 환자를 무작위로 2개조로 나눈다. 치료조 25명, 대조조 25명.
2.치료방법
대조조는 회당 melbine(DMBG) 0.85g을 매일 3회 복용 한다. 치료조는 회당 melbine(DMBG) 0.5g을 매일 2회 복용하는 외에 실시예 3의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를 매회 3g씩 하루에 3회 추가하여, 30일간 치료를 한 주기로 한다.
3.관찰방법
2개조의 치료 전, 후 공복 혈액 중 포도당, 인슐린, C peptide와 Triglyceride의 수준을 측정하고, 치료 후 다식 다음 다뇨 증상의 개선 상황을 비교한다.
4.결과
혈액 중 포도당, 인슐린, C peptide, Triglyceride의 지표는, 정상범위가 혈당3.6-6.1mmol/L, 혈액 인슐린 0.86-11uiv/ml, C peptide0.53-4.38ng/ml, Triglyceride 0.45-1.81mmol/L이다.
혈당mmol/L 인슐린uiv/ml C peptideng/ml Triglyceride
mmol/L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대조조
(25인
12 8.1 0.5 0.8 0.3 0.5 3.0 2.8
치료조
25인
11 7.8 0.6 0.9 0.4 0.7 3.1 2.5
표 2 대조조와 치료조의 II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 시작 2개월 후 혈액검사의 평균치
표 2를 보면 2개조의 치료 전, 후 공복 혈액 중 포도당, 인슐린, C peptide와 Triglyceride 치수가 변화되었다. 혈당과 Triglyceride은 낮아지고 인슐린과 C peptide는 상승 하였으며, 치료조는 당뇨병 치료약 melbine (DMBG)을 감량하고, 본 발명의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를 추가하니 대조조와 동일한 효과를 보았다. 양 조의 환자의 다식 다음 다뇨가 많이 개선되었다.
실시예 6: 본 발명 천연 식물 혈당 강하제의 II 형 당뇨병 임상 치료 관찰
1.자료와 방법
일반자료: 환자 20명으로, 여자12명, 남자 8명으로 구성되며, 연령은 70-82세 환자.
2.치료방법
모든 환자에게 실시예 3의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를 복용시키는데, 매회 3g 매일 3회로서, 치료 주기는 30일로 한다.
3.관찰방법
치료 전, 후 공복 혈액 중 포도당, 인슐린, C peptide와 Triglyceride 수준을 비교하고 치료 전, 후 다식 다음 다뇨 증상의 개선상황을 비교 한다.
4.결과
혈액 중 포도당, 인슐린, C peptide, Triglyceride 지표는 정상범위가 혈당3.6-6.1mmol/L, 혈액 인슐린 0.86-11uiv/ml, C peptide0.53-4.38ng/ml, Triglyceride 0.45-1.81mmol/L이다.
혈당mmol/L 인슐린uiv/ml C peptideng/ml Triglyceride
mmol/L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치료전 치료후
12 8.0 5.0 8.1 0.9 1.8 2.4 1.6
표 3 II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 시작 2개월 후 혈액검사의 평균치
표 3을 보면 환자가 천연식물 혈당 강하제를 복용한 후 Triglyceride은 치료 전에 비해 낮아지고, 인슐린과 C peptide는 개선되었으며, 치료 전, 후와 비교하여 다식 다음 다뇨 증상은 모두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노인환자는 각 기관의 기능이 떨어져서 약의 부작용에 대응하는 능력에도 한계가 있다. 그 외의 다수 노인은 이미 고혈압 관상동맥경화증 등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당뇨병까지 추가되면 복용할 약은 더 많아지며 부작용도 쉽게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당뇨병이 심각한 상태가 아닌 경우 본 발명의 천연 식물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고 적당한 운동과 음식 조절로서 혈당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약으로 인한 부작용을 면할 수 있다.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임신 당뇨병이나 비만이 있는 사람들은 당뇨병 예방으로 장기적으로 본 발명의 제품을 복용하면 유리하다.
분명히 말해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한정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다른 형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모든 형식을 여기에 기술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 기술방안에서 파생한 유사한 실시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일종의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에 있어서, 여주 40-80분, 어성초 20-60분, 헛개나무 20-45분, 탱자 10-30분, 민들레 10-30분, 감초 1-5분의 원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는 여주 50-70분, 어성초 35-45분, 헛개나무 25-35분, 탱자 15-25분, 감초 1-3분의 원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는 여주 67분, 어성초 40분, 헛개나무 33분, 탱자 20분, 민들레 20분, 감초 1분의 원료 약재로 이루어진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의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여주를 깨끗이 씻어서 섭씨 80-120도로 1-30분 동안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서 분쇄하며, 어성초도 깨끗이 씻어서 섭씨 80-120도로 1-30분 동안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서 가루를 내며, 헛개나무를 씻어서 섭씨 120-220도로 1-30분 동안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서 분쇄하여 가루를 내며, 신선한 민들레를 씻어서 섭씨 70-110도로 1-15분 동안 찐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려서 가루를 내며, 탱자를 씻어서 섭씨 80-120도에서 1-30분 동안 찌고 말려서 가루를 내며, 생 감초를 햇볕에 말려서 가루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방법.
    2) 상기 제조방법 1)의 가루를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여주는 섭씨 90-110도에서 1-15분간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성초는 섭씨 90-110도에서 1-15분간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는 섭씨 160-200도에서 5-15분간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탱자는 섭씨 90-110도에서 10-20분간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민들레는 섭씨 80-100도에서 1-12분간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제조방법.
KR1020150062241A 2014-11-19 2015-05-01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667834.8A CN104474103B (zh) 2014-11-19 2014-11-19 一种天然植物降糖剂及其制备方法
CN201410667834.8 2014-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936A true KR20160059936A (ko) 2016-05-27
KR101660232B1 KR101660232B1 (ko) 2016-09-27

Family

ID=5274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241A KR101660232B1 (ko) 2014-11-19 2015-05-01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0232B1 (ko)
CN (1) CN1044741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797A (ko) * 2019-05-28 2020-12-08 스레이 천연식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3812A (zh) * 2017-07-14 2017-09-19 贵州省苑博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猕猴桃保健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44B1 (ko) * 2010-08-10 2012-11-13 (주)파이토엠앤에프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차의 제조방법
KR20120131337A (ko) * 2011-05-25 2012-12-05 김원규 인진쑥, 헛개나무, 민들레, 대추, 갈근 및 오가피의 각각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130089361A (ko) * 2012-02-02 2013-08-12 주식회사 스마트푸드디엠 당뇨병 개선을 위한 혈당 저하 및 조절용 조성물
CN103989724A (zh) * 2014-04-08 2014-08-20 哈尔滨医科大学 降血糖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8213A (zh) * 2012-07-02 2012-10-03 李静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
CN103816420A (zh) * 2014-03-07 2014-05-28 柯利佳 一种全部以药食同源药材制备的祛痘组合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44B1 (ko) * 2010-08-10 2012-11-13 (주)파이토엠앤에프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차의 제조방법
KR20120131337A (ko) * 2011-05-25 2012-12-05 김원규 인진쑥, 헛개나무, 민들레, 대추, 갈근 및 오가피의 각각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130089361A (ko) * 2012-02-02 2013-08-12 주식회사 스마트푸드디엠 당뇨병 개선을 위한 혈당 저하 및 조절용 조성물
CN103989724A (zh) * 2014-04-08 2014-08-20 哈尔滨医科大学 降血糖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797A (ko) * 2019-05-28 2020-12-08 스레이 천연식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74103B (zh) 2018-04-06
KR101660232B1 (ko) 2016-09-27
CN104474103A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3621B (zh) 一种预防和治疗糖尿病的食品或保健食品
CN104186793B (zh) 一种保健茶及其制备方法
US20110318438A1 (en) Pharmacologically effective composition of herbs for treatment on symptoms of influenza and colds
CN1939418A (zh) 一种食药同源的中草药组合物
CN103238798A (zh) 一种石斛营养片及制备方法
CN110960638A (zh) 一种降尿酸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543248B (zh) 一种特别适合“三高一酸”人群饮用的凉茶及其制备方法
CN106492073A (zh) 一种具有降尿酸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082672A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养生粥及其制作方法
CN110839805A (zh) 一种植物固体饮料
CN104013845A (zh) 一种降血糖中药制剂的配方及制备方法
KR101660232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474472A (zh) 具有降三高作用的苦丁茶含片及其生产方法
CN106798854B (zh) 余甘桑叶片及其制备方法
CN102631482B (zh) 一种具有防治糖尿病及并发症的中药组合物
KR102198434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제제
CN101103750A (zh) 田七保健普洱茶
CN107712890A (zh) 一种宁心安神膏滋及其制备方法
CN107412618A (zh) 一种黄精洋参养生茶及其制备方法
CN104800600A (zh) 一种治疗高血压的药物
CN104547494A (zh) 治疗甲亢的中药组合物药酒及制备工艺
CN104758772A (zh) 一种提高糖耐量的山姜花提取物及其用途
CN104524359B (zh) 一种中药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17044809A (zh) 一种辅助降血糖发酵茶包及其制备方法
CN104225185A (zh) 一种降血糖口香糖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