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154A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154A
KR20160056154A KR1020140156203A KR20140156203A KR20160056154A KR 20160056154 A KR20160056154 A KR 20160056154A KR 1020140156203 A KR1020140156203 A KR 1020140156203A KR 20140156203 A KR20140156203 A KR 20140156203A KR 20160056154 A KR20160056154 A KR 2016005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air
engine room
cooling
construct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크이케다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154A/ko
Publication of KR2016005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건설기계는 엔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 프레임의 차체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 상에 배치되며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을 갖는 엔진룸, 상기 엔진룸 내에 설치되며 크랭크샤프트가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정렬된 엔진, 상기 엔진룸 내에서 상기 엔진의 횡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면 패널의 상기 제1 공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1 냉각팬, 및 상기 엔진룸 내에서 상기 엔진의 횡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측면 패널의 상기 제2 공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냉각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룸을 갖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에는 작업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엔진룸 내에는 엔진,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 팬, 오일쿨러, 오일쿨러 팬, 유압 펌프, 유압 모터 컨트롤밸브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엔진 작동시, 상기 유압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회전되는 상기 라디에이터 팬에 의해 외부공기는 상기 엔진룸 내에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내에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여 상호 열교환을 하여 상기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상기 오일쿨러 팬에 의해 외부공기는 엔진룸 내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엔진룸 내로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오일쿨러를 통과하여 상호 열교환을 하여 상기 작업기로부터 유압탱크로 귀환되는 작동유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 팬 및 상기 오일쿨러 팬의 회전으로 상기 엔진룸 내로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엔진룸 내의 엔진의 주변을 지나가기 때문에 엔진 본체를 공랭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엔진룸 내부의 장치들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인해 상기 엔진룸 내로 흡입된 공기의 흐름이 좋지 않아 공랭에 의한 냉각 효과가 감소된다. 또한, 엔진은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공기에 의한 엔진 본체의 냉각 효율이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엔진 본체의 공기에 의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 엔진룸을 갖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는 엔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 프레임의 차체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 상에 배치되며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을 갖는 엔진룸, 상기 엔진룸 내에 설치되며 크랭크샤프트가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정렬된 엔진, 상기 엔진룸 내에서 상기 엔진의 횡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면 패널의 상기 제1 공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1 냉각팬, 및 상기 엔진룸 내에서 상기 엔진의 횡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측면 패널의 상기 제2 공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냉각팬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엔진룸 내에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제1 측면 패널의 상기 제1 공기 흡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 측면 패널의 상기 제2 공기 흡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메인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고 유압 탱크로 귀환하는 작동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엔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냉각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유압 펌프, 및 상기 엔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냉각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유압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압 펌프들은 상기 엔진의 전방측에 종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상부 패널의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엔진룸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엔진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3 유압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은 상기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 및 상기 공기 배출구를 제외하고는 밀폐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설기계의 엔진은 엔진룸 내에서 차체 진행 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과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상기 엔진룸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제1 및 제2 냉각팬들은 상기 엔진룸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엔진의 양측부를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엔진 본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기팬은 상기 엔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룸 내의 공기를 상부 패널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강제 배출시켜 엔진 본체의 공기에 의한 냉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건설기계의 엔진 및 유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건설기계의 엔진 및 유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건설기계의 엔진 및 유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건설기계(10)는 하부 주행체(20), 하부 주행체(20)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탑재되며 엔진(200)을 수용하는 엔진룸(100)을 갖는 상부 선회체(30), 및 상부 선회체(30)에 설치된 운전실(50)과 붐, 암 및 버켓을 구비하는 작업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주행체(20)는 상부 선회체(30)를 지지하고, 엔진(2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하부 주행체(20)는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무한궤도식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하부 주행체(20)는 주행 휠들을 포함하는 휠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상부 선회체(30)는 베이스로서의 상부 프레임(32)을 구비하고, 하부 주행체(20) 상에서 지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하여 작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운전실(50)은 상부 프레임(32)의 좌측 전방부에 설치되고, 작업 장치(60)는 상부 프레임(32)의 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40)는 상부 프레임(32)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건설기계가 하중을 상부로 올리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 외력의 평형을 이루어 상기 건설기계를 안정시킬 수 있다. 엔진룸(100)은 상부 프레임(32)의 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40)는 엔진룸(100)의 후방의 일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운전실(50) 내에서 작업자가 의자에 않아 정면을 향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을 차체 전후 방향(D1)이라 하고 좌우 방향을 차체 폭 방향(D2)이라 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패널들이 상부 프레임(32)의 측방에 장착되어 엔진(200)을 수용하는 엔진룸(100)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측면 패널들(110, 120, 130)은 상부 프레임(32)의 측방에 장착되고 상부 패널(140)은 제1 내지 제3 측면 패널들(110, 120, 130) 상에 배치되어 카운터웨이트(40)와 함께 엔진룸(100)을 형성할 수 있다. 카운터웨이터(40)는 상기 패널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110, 120)은 상부 프레임(32)의 차체 폭 방향(D2)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3 측면 패널(130)은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110, 1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110, 120)은 차체 전후 방향(D1)을 따라 연장하고, 제3 측면 패널(130)은 차체 폭 방향(D2)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엔진룸(100)은 차체 폭 방향(D2)으로 긴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패널(140)은 제1 내지 제3 측면 패널들(110, 120, 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 패널(110) 및 제2 측면 패널(120)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공기 흡입구(112) 및 제2 공기 흡입구(1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40)에는 엔진룸(1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엔진룸(100)은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112, 122) 및 공기 배출구(142)를 제외하고는 거의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들에는 엔진룸(100) 내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개구부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엔진(200)은 엔진룸(100) 내의 차체 프레임(32) 상에 설치되어, 상기 건설기계를 움직이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엔진은 굴삭기용 디젤 엔진일 수 있다.
엔진(200)은 크랭크샤프트(210)가 차체 전후 방향(D1)을 따라 종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엔진룸(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엔진(200)은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부(202) 및 제2 측부(204)를 가질 수 있다. 엔진(200)은 엔진룸(100) 내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므로, 엔진(200)의 제1 측부(202)는 제1 측면 패널(110)을 향하고 엔진(200)의 제2 측부(204)는 제2 측면 패널(120)을 향할 수 있다.
엔진(200)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메인 펌프(P1)(300), 제1 유압 펌프(P2)(310) 및 제2 유압 펌프(P3)(31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펌프(300), 제1 유압 펌프(310) 및 제2 유압 펌프(312)는 엔진(200)의 출력단(216)에 차체 전후 방향(D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200)으로부터의 동력은 메인 펌프(300), 제1 유압 펌프(310) 및 제2 유압 펌프(312)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메인 펌프(300)는 유압라인(340)을 통하여 컨트롤밸브(MCV)(330)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밸브(330)는 굴삭기의 유압 시스템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일 수 있다. 컨트롤밸브(330)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붐 실린더, 암 실린더 및 버킷 실린더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액추에이터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 장치의 상기 액추에이터들 각각은 메인 펌프(30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엔진(200)의 횡방향의 일측에는 라디에이터(220)가 설치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220)는 제1 측면 패널(110)의 제1 공기 흡입구(1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220)는 냉각수 순환 라인(230)에 설치되어 실린더 블록, 실린더 헤드 등을 순환하는 엔진(200)의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엔진(200)의 횡방향의 타측에는 오일쿨러(222)가 설치될 수 있다. 오일쿨러(222)는 제2 측면 패널(120)의 제2 공기 흡입구(12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오일쿨러(222)는 유압라인(340)에 설치되어 메인 펌프(300)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고 유압탱크(T)(360)로 귀환하는 작동유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냉각팬(400)은 엔진룸(100) 내에서 엔진(200)의 횡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측면 패널(110)의 제1 공기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라디에이터(2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팬(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엔진룸(100) 내에서 엔진(200)의 제1 측부(202)를 향하여 흐르고 엔진 본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냉각팬(402)은 엔진룸(100) 내에서 엔진(200)의 횡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며, 제2 측면 패널(120)의 제2 공기 흡입구(122)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오일쿨러(222)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냉각팬(402)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엔진룸(100) 내에서 엔진(200)의 제2 측부(204)를 향하여 흐르고 엔진 본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냉각팬(400)은 제1 유압 모터(4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1 유압 모터(410)는 제1 유압 펌프(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압 펌프(310)로부터 제1 유압라인(342)를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제1 유압 모터(410)가 구동되고, 제1 유압 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제1 냉각팬(400)이 회전함에 따라, 냉각수 순환 라인(230)에 설치된 라디에이터(220)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냉각팬(402)은 제2 유압 모터(41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2 유압 모터(412)는 제2 유압 펌프(3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압 펌프(312)로부터 제2 유압라인(344)를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제2 유압 모터(412)가 구동되고, 제2 유압 모터(412)의 구동에 의해 제2 냉각팬(402)가 회전함에 따라, 리턴 유압라인(350)에 설치된 오일쿨러(222)를 통과하여 유압탱크(360)로 귀환하는 작동유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는 엔진(200) 상부에 배치되며, 엔진룸(100) 내의 공기는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1 냉각팬(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엔진룸(100) 내에서 엔진(200)의 제1 측부(202)를 향하여 흐르고 엔진 본체를 냉각시킨 후,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냉각팬(402)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엔진룸(100) 내에서 엔진(200)의 제2 측부(204)를 향하여 흐르고 엔진 본체를 냉각시킨 후,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엔진(200)에 공급하기 위한 흡입구(240) 및 엔진(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250)는 상부 패널(140)의 개구부를 통해 각각 연장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 신기는 흡입구(240) 및 에어 필터(242)를 거쳐 엔진(200)의 흡기 매니폴드(212)로 공급될 수 있다. 엔진(200)의 배기 매니폴드(214)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소음기(252)를 거쳐 배기구(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엔진(200)은 엔진룸(100) 내에 차체 진행 방향(D1)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엔진(200)의 양측면에 라디에이터(220) 및 오일쿨러(22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팬(400)이 라디에이터(220) 및 엔진(200)의 제1 측부(20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냉각팬(402)이 오일쿨러(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팬(400)은 제1 측면 패널(110)의 제1 공기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라디에이터(2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냉각팬(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엔진(200)의 제1 측부(202)와 부딪혀 난기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 본체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엔진(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냉각팬(402)은 제2 측면 패널(120)의 제2 공기 흡입구(122)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오일쿨러(222)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냉각팬(402)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엔진(200)의 제2 측부(204)와 부딪혀 난기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 본체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엔진(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엔진(200)은 엔진룸(100) 내에서 차체 진행 방향(D1)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엔진(200)과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110, 120) 사이 그리고 엔진(200)과 카운터웨이트(40)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엔진룸(100)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냉각팬들(400, 402)은 엔진룸(1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엔진(200)의 양측부를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엔진 본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건설기계의 엔진 및 유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건설기계는 배기팬 및 유압 모터의 추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건설기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건설기계는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엔진룸(10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팬(500)은 엔진룸(100) 내에서 엔진(200)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상기 엔진룸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기팬(500)은 제3 유압 모터(5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3 유압 모터(510)는 제3 유압 펌프(3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압 펌프(314)로부터 제3 유압라인(346)를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제3 유압 모터(510)가 구동되고, 제3 유압 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배기팬(500)이 회전함에 따라, 엔진룸(10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엔진(200)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메인 펌프(P1)(300), 제1 유압 펌프(P2)(310), 제2 유압 펌프(P3)(312) 및 제3 유압 펌프(P4)(31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펌프(300), 제1 유압 펌프(310), 제2 유압 펌프(312) 및 제3 유압 펌프(314)는 엔진(200)의 출력단(216)에 차체 전후 방향(D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200)으로부터의 동력은 메인 펌프(300), 제1 유압 펌프(310), 제2 유압 펌프(312) 및 제3 유압 펌프(314)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엔진(200)은 엔진룸(100) 내에 차체 진행 방향(D1)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엔진(200)의 양측면에 라디에이터(220) 및 오일쿨러(22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팬(400)이 라디에이터(220) 및 엔진(200)의 제1 측부(20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냉각팬(402)이 오일쿨러(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각팬(400)은 제1 측면 패널(110)의 제1 공기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라디에이터(2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냉각팬(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엔진(200)의 제1 측부(202)와 부딪혀 엔진 본체를 냉각시키고 엔진(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냉각팬(402)은 제2 측면 패널(120)의 제2 공기 흡입구(122)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오일쿨러(222)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냉각팬(402)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엔진(200)의 제2 측부(204)와 부딪혀 엔진 본체를 냉각시키고 엔진(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엔진(200)은 엔진룸(100) 내에서 차체 진행 방향(D1)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엔진(200)과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110, 120) 사이 그리고 엔진(200)과 카운터웨이트(40)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엔진룸(100)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냉각팬들(400, 402)은 엔진룸(1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엔진(200)의 양측부를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엔진 본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기팬(500)은 엔진(200) 상부에 배치되어 엔진룸(100) 내의 공기를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강제 배출시켜 엔진 본체의 공기에 의한 냉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상기 건설기계는 흡음 부재의 추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건설기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건설기계는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112, 122) 그리고 공기 배출구(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엔진룸(100) 내에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흡음 부재(600)는 제1 측면 패널(110) 및 라디에이터(220) 사이에 제1 공기 흡입구(11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602)는 제2 측면 패널(120) 및 오일쿨러(222) 사이에 제2 공기 흡입구(1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흡음 부재(604)는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엔진(200)은 엔진룸(100) 내에서 차체 진행 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엔진(200)과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110, 120)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상기 흡입 부재를 상기 공간에 설치하여 엔진룸(100) 내에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룸 내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상기 건설기계는 흡음 부재의 추가를 제외하고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건설기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건설기계는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112, 122) 그리고 공기 배출구(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엔진룸(100) 내에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흡음 부재(600)는 제1 측면 패널(110) 및 라디에이터(220) 사이에 제1 공기 흡입구(11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602)는 제2 측면 패널(120) 및 오일쿨러(222) 사이에 제2 공기 흡입구(1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흡음 부재(604)는 상부 패널(140) 및 배기팬(500) 사이에 공기 배출구(14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흡음 부재는 글래스 울, 우레탄 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진(200)은 엔진룸(100) 내에서 차체 진행 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엔진(200)과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110, 120)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상기 흡입 부재를 상기 공간에 설치하여 엔진룸(100) 내에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냉각팬들(400, 402)은 엔진룸(1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엔진(200)의 양측부를 향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엔진 본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기팬(500)은 엔진(200) 상부에 배치되어 엔진룸(100) 내의 공기를 상부 패널(140)의 공기 배출구(142)를 통해 강제 배출시켜 엔진 본체의 공기에 의한 냉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굴삭기에 대하여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휠 로더, 크레인차, 불도저 등과 같이 엔진이 탑재된 엔진룸을 갖는 다른 건설기계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설기계 20: 하부 주행체
30: 상부 선회체 32: 상부 프레임
40: 카운터웨이트 50: 운전실
60: 작업 장치 100: 엔진룸
110: 제1 측면 패널 112: 제1 공기 흡입구
120: 제2 측면 패널 122: 제2 공기 흡입구
130: 제3 측면 패널 140: 상부 패널
142: 공기 배출구 200: 엔진
210: 크랭크샤프트 212: 흡기 매니폴드
214: 배기 매니폴드 220: 라디에이터
230: 냉각수 순환 라인 240: 흡입구
242: 에어 필터 250: 배기구
252: 소음기 300: 메인 펌프
310: 제1 유압 펌프 312: 제2 유압 펌프
314: 제3 유압 펌프 330: 컨트롤밸브
340: 유압라인 342: 제1 유압라인
344: 제2 유압라인 400: 제1 냉각팬
402: 제2 냉각팬 410: 제1 유압 모터
412: 제2 유압 모터 500: 배기팬
510: 제3 유압 모터 600: 제1 흡음 부재
602: 제2 흡음 부재 604: 제3 흡음 부재

Claims (8)

  1. 엔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 프레임의 차체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 상에 배치되며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을 갖는 엔진룸;
    상기 엔진룸 내에 설치되며, 크랭크샤프트가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정렬된 엔진;
    상기 엔진룸 내에서 상기 엔진의 횡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면 패널의 상기 제1 공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1 냉각팬; 및
    상기 엔진룸 내에서 상기 엔진의 횡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측면 패널의 상기 제2 공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2 냉각팬을 포함하는 건설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엔진룸 내에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패널의 상기 제1 공기 흡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 측면 패널의 상기 제2 공기 흡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메인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고 유압탱크로 귀환하는 작동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냉각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유압 펌프; 및
    상기 엔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냉각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유압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압 펌프들은 상기 엔진의 전방측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의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엔진룸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3 유압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은 상기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들 및 상기 공기 배출구를 제외하고는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KR1020140156203A 2014-11-11 2014-11-11 건설기계 KR20160056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03A KR20160056154A (ko) 2014-11-11 2014-11-11 건설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03A KR20160056154A (ko) 2014-11-11 2014-11-11 건설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54A true KR20160056154A (ko) 2016-05-19

Family

ID=5610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03A KR20160056154A (ko) 2014-11-11 2014-11-11 건설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1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2381B2 (ja) 建設機械
CN102666174A (zh) 作业车辆
CN107923141B (zh) 工程机械
KR20170023703A (ko) 하이브리드 작업 차량
JP5468393B2 (ja) 建設機械
WO2004113699A1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フード,建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及び建設機械の冷却装置
KR20160056153A (ko) 건설기계
JP2014122496A (ja) 作業機械
KR102406369B1 (ko) 건설기계
KR20160056154A (ko) 건설기계
JP3511280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CN111886386B (zh) 建筑机械
JP2019157490A (ja) 作業車両
CN103561984A (zh) 作业车辆
JPH11269918A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3511283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4353532A (ja) 作業機械
JP2008296615A (ja) 建設機械
JP6549895B2 (ja) 熱交換器ユニット
JP2009155906A (ja) 建設機械の燃料冷却装置
JPH11241369A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5960024B2 (ja) 建設機械の排気装置
JP3511281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0274242A (ja) 建設機械
JPH11158916A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