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193A -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193A
KR20160054193A KR1020140153448A KR20140153448A KR20160054193A KR 20160054193 A KR20160054193 A KR 20160054193A KR 1020140153448 A KR1020140153448 A KR 1020140153448A KR 20140153448 A KR20140153448 A KR 20140153448A KR 20160054193 A KR20160054193 A KR 2016005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pad panel
vehicle
lower cras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690B1 (ko
Inventor
안재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690B1/ko
Priority to US14/863,445 priority patent/US9751485B2/en
Priority to DE102015219248.2A priority patent/DE102015219248A1/de
Priority to CN201510662559.5A priority patent/CN105584447B/zh
Publication of KR2016005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 내측에 직조 및 적층 구조의 연속성을 갖는 연속섬유 복합소재(CFT)를 인서트하여 강성을 증가시키고,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배면에 동시 성형된 포켓부를 통해 충격흡수폼을 결착함으로써 차량 충돌 발생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을 타격하는 승객 무릎의 추가적인 침입을 억제하고 승객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Knee bolste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테스트시 강화된 승객상해규제를 만족시키고 제조원가 및 작업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차량의 탑승자는 전방의 크래쉬패드를 향하여 밀려나게 된다. 이 때문에 차량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에어백 및 안전벨트 등이 기본적으로 장착된다. 탑승객의 신체 중 복부 윗쪽 부분은 에어백 및 안전벨트를 통하여 보호되나, 엔진룸이 밀려나 크래쉬패드의 내측 아랫쪽에 위치하는 카울크로스바 및 크래쉬패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로워판넬이 탑승자의 무릎을 타격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서 탑승자 무릎의 상해치를 저감하기 위하여 크래쉬패드(대시보드) 내측 하부에는 니볼스터가 장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니볼스터는 카울크로스바(1) 일측에 마련된 u자형 브라켓(2)에 충격흡수용 폼(3)을 결합하고 전방에 체결되는 스틸(steel) 또는 GMT(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 소재의 니볼스터 판넬(4)과 이를 덮어 미관을 위한 고분자 재질의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5)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차량 충돌시 승객의 무릎이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5)을 타격하면 강체인 니볼스터 판넬(4)이 추가적인 무릎 침입을 막고 후방에 위치한 충격흡수용 폼(3)이 U자형 브라켓(2)과 함께 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 니볼스터 구조는 복잡한 구조와 함께 조립 하드웨어 및 부품수의 증대로 투자비를 증대시키고 시스템의 원가를 상승하는 문제를 가진다.
한국등록특허 10-140584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 내측에 직조 및 적층 구조의 연속성을 갖는 연속섬유 복합소재(CFT)를 인서트하여 강성을 증가시키고,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배면에 동시 성형된 포켓부를 통해 충격흡수폼을 결착함으로써 차량 충돌 발생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을 타격하는 승객 무릎의 추가적인 침입을 억제하고 승객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돌로 인해 승객의 무릎이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을 타격시 승객의 무릎이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승객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하기 위하여, 차량의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에 형성되는 니볼스터 장치로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을 복합소재를 인서트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강성을 증대하고, 상기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배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폼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배면에는 충격흡수폼을 안착시켜 장착하기 위한 포켓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격흡수폼은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좌우 일측에 장착되거나 또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소재로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에 인서트되어 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속섬유 복합소재 등이 사용되며, 상기 충격흡수폼의 후방에는 카울크로스바의 일측에 형성된 후방지지브라켓이 배치되고, 이 후방지지브라켓은 충격흡수폼의 변형시 함께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는 차량 충돌로 인해 승객의 무릎이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을 타격시 승객 무릎의 추가적인 침입을 억제하고 승객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충돌 테스트시 강화된 승객상해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는 부품수 절감에 의해 제조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축소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에 인서트되는 연속섬유 복합소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 발생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을 타격하게 되는 승객 무릎의 추가적인 침입을 억제하고 승객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은 차량 실내의 운전석 전면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은 차량의 충돌 발생으로 인해 승객의 무릎이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을 타격하는 경우 승객 무릎이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복합소재(12)를 인서트 소재로 이용하여 사출성형된다.
상기 복합소재(12)로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속섬유 복합소재(CFT, Continuous Fiber Thermoplastics)가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속섬유 복합소재는 연속섬유와 열가소성소재로 이루어진 복합소재로서, 다시 말해 연속섬유(장섬유)와 열가소성소재를 그물형태로 엮어 직물(FABRIC)로 직조한 뒤 직조된 직물들을 다층구조로 적층 제조하여 구성된 복합소재로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에 인서트되어 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연속섬유로는 유리섬유(GF), 탄소섬유(CF) 등이 사용되고, 열가소성소재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연속섬유 복합소재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일부분에만 인서트 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인서트 되는 등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강성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PPF(Polypropylene Mineral Filled) 등의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의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은 그 배면에 충격흡수폼(30)을 결착시킬 수 있는 포켓부(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20)는 충격흡수폼(30)을 안착시킨 형태로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되며,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성형시 동시 성형 가능하다.
이러한 포켓부(20)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좌우 일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 충격흡수폼(30)이 고정되게 결합 장착된다.
다시 말해, 충격흡수폼(30)은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좌우 일측에 장착되거나 또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충격흡수폼(30)은 변형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PE)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배면에 인접한 형태로 결착되어, 차량의 충돌 발생시 변형되면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에 부딪힌 승객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충격흡수폼(30)의 후방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후방지지브라켓(42)이 배치 구성된다.
상기 후방지지브라켓(42)은 카울크로스바(40, 차량의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 내측에서 차폭을 가로지르면서 설치됨)의 일측에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 및 충격흡수폼(30)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충돌 발생시 충격흡수폼(30)과 함께 변형되어 승객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니볼스터 장치는, 차량의 충돌 발생시 승객의 무릎이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을 타격하게 될 때, 기존의 니볼스터판넬 없이, 강성이 증대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이 추가적인 무릎 침입을 막고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10)의 배면에 위치한 충격흡수폼(30)이 후방지지브라켓(42)과 함께 변형되어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
12 : 복합소재
20 : 포켓부
30 : 충격흡수폼
40 : 카울크로스바
42 : 후방지지브라켓

Claims (5)

  1. 차량의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에 형성되는 니볼스터 장치로서,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을 복합소재를 인서트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강성을 증대하고, 상기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배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폼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배면에는 충격흡수폼을 안착시켜 장착하기 위한 포켓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폼은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좌우 일측에 장착되거나 또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는 로워 크래쉬패드 판넬에 인서트되어 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속섬유 복합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폼의 후방에는 카울크로스바의 일측에 형성된 후방지지브라켓이 배치되고, 이 후방지지브라켓은 충격흡수폼의 변형시 함께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KR1020140153448A 2014-11-06 2014-11-06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KR101673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448A KR101673690B1 (ko) 2014-11-06 2014-11-06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US14/863,445 US9751485B2 (en) 2014-11-06 2015-09-23 Knee bolster device for vehicle
DE102015219248.2A DE102015219248A1 (de) 2014-11-06 2015-10-06 Kniepolst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1510662559.5A CN105584447B (zh) 2014-11-06 2015-10-14 用于车辆的护膝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448A KR101673690B1 (ko) 2014-11-06 2014-11-06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193A true KR20160054193A (ko) 2016-05-16
KR101673690B1 KR101673690B1 (ko) 2016-11-07

Family

ID=5580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448A KR101673690B1 (ko) 2014-11-06 2014-11-06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51485B2 (ko)
KR (1) KR101673690B1 (ko)
CN (1) CN105584447B (ko)
DE (1) DE1020152192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2567B2 (en) 2016-06-09 2018-10-30 Hyundai Motor Company Knee bolster of glove box for vehicle
US10315602B2 (en) 2016-07-19 2019-06-11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knee bolster devic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690B1 (ko) * 2014-11-06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KR101756000B1 (ko) * 2016-03-24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KR20220157086A (ko) 2021-05-20 2022-11-29 도림공업(주)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479A (ko) * 1999-06-29 2001-01-15 정주호 자동차의 무릎보호 지지대
JP2003312419A (ja) * 2002-04-22 2003-11-06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ニーボルスター
KR20120029714A (ko) * 2010-09-17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JP2012523334A (ja) * 2009-04-14 2012-10-04 グミヴェルク クライブル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加熱重合レジンおよびエラストマーからなる複合材料部材
KR101405848B1 (ko) 2012-11-19 201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16722A (en) * 1971-03-22 1973-05-16 Chrysler Uk Vehicle bodies
US5311960A (en) * 1992-12-17 1994-05-17 Ford Motor Company Two piece multifunctional composite structural cross vehicular beam
JP3052766B2 (ja) * 1994-02-22 2000-06-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内装材による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
US6679967B1 (en) * 1998-02-04 2004-01-20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Method for making a modular energy-absorbing assembly
US7360822B2 (en) * 1998-02-04 2008-04-22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Modular energy absorber and method for configuring same
US6199942B1 (en) * 1998-02-04 2001-03-13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Modular energy absorbing assembly
US6017084A (en) * 1998-02-04 2000-01-25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Energy absorbing assembly
US6186546B1 (en) * 1999-04-15 2001-02-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Knee bolster
DE10146495B4 (de) * 2001-09-21 2005-10-20 Porsche Ag Kniestütze für Insassen
US8158539B2 (en) * 2001-11-07 2012-04-17 Flexform Technologies, Llc Heat deflection/high strength panel compositions
FR2839482B1 (fr) * 2002-05-07 2004-10-22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passif de protection et vehicule ainsi equipe
JP4011441B2 (ja) * 2002-05-10 2007-11-2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2004168096A (ja) * 2002-11-18 2004-06-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3981826B2 (ja) * 2002-12-25 2007-09-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2004268713A (ja) * 2003-03-07 2004-09-3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ニープロテクタ装置
US7311328B2 (en) * 2003-09-05 2007-12-25 Salflex Polymers Ltd. Instrument panel subassembly including a glove box door
US7393013B2 (en) * 2003-09-05 2008-07-01 Salflex Polymers Ltd. Structural knee bolster
DE10360124A1 (de) * 2003-12-20 2005-07-28 Daimlerchrysler Ag Knieaufprallelement für Kraftfahrzeuge
DE102004011330B3 (de) * 2004-03-09 2005-09-01 Dr.Ing.H.C. F. Porsche Ag Knieschutzeinrichtung für Insassen eines Kraftfahrzeugs
KR100526983B1 (ko) 2004-03-10 2005-1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무릎보호장치
KR100551835B1 (ko) * 2004-07-20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니 볼스트 브래킷 구조
KR100589270B1 (ko) * 2004-08-17 2006-06-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용 니 볼스터 장착구조
KR20060070087A (ko) 2004-12-20 2006-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다단 충격 흡수 타입 차량용 니 볼스터 장치
US7416212B2 (en) * 2005-03-25 2008-08-26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bsorption structure of a container device for an instrument panel for absorbing energy applied from knees of an occupant
US20060232055A1 (en) * 2005-04-15 2006-10-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ing structure
US7201434B1 (en) * 2005-11-04 2007-04-10 Cadence Innovation Llc Energy-absorbing bolster for an automotive instrument panel assembly
JP2007168594A (ja) * 2005-12-21 2007-07-05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4845510B2 (ja) * 2005-12-28 2011-12-2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ニープロテクタ
US7625036B2 (en) * 2006-04-04 2009-12-01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Multi-sectional modular energy absorber and method for configuring same
US7338075B2 (en) 2006-07-14 2008-03-04 Honda Motor Co., Ltd. Knee bolster
JP2008049871A (ja) * 2006-08-25 2008-03-0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ニープロテクタ構造
JP4545732B2 (ja) * 2006-10-31 2010-09-15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7810869B2 (en) * 2008-10-07 2010-10-12 Honda Motor Co., Ltd. Glove box knee bolster assembly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8267428B2 (en) * 2009-12-18 2012-09-18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Energy absorbing countermeasure
KR101188615B1 (ko) * 2010-08-04 2012-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무릎 보호장치
JP5498921B2 (ja) * 2010-11-22 2014-05-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US9399435B2 (en) * 2012-04-23 2016-07-26 Global Ip Holdings, Llc Cargo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n automotive vehicle seat having a cargo trim panel made by a composite, compression molding process and having a wood grain finish
EP2849973B1 (en) * 2012-05-15 2017-08-16 ABC Group Inc. Passive knee bolster
MY189721A (en) * 2013-09-27 2022-02-28 Calsonic Kansei Corp Knee protector structure for vehicle
KR101673690B1 (ko) * 2014-11-06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US9457755B2 (en) * 2015-01-09 2016-10-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One piece instrument panel with molded upper bi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479A (ko) * 1999-06-29 2001-01-15 정주호 자동차의 무릎보호 지지대
JP2003312419A (ja) * 2002-04-22 2003-11-06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ニーボルスター
JP2012523334A (ja) * 2009-04-14 2012-10-04 グミヴェルク クライブル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加熱重合レジンおよびエラストマーからなる複合材料部材
KR20120029714A (ko) * 2010-09-17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KR101405848B1 (ko) 2012-11-19 201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2567B2 (en) 2016-06-09 2018-10-30 Hyundai Motor Company Knee bolster of glove box for vehicle
US10315602B2 (en) 2016-07-19 2019-06-11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knee bolster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219248A1 (de) 2016-05-12
CN105584447A (zh) 2016-05-18
US20160129870A1 (en) 2016-05-12
US9751485B2 (en) 2017-09-05
CN105584447B (zh) 2019-08-30
KR101673690B1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690B1 (ko)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US9821753B2 (en) Energy absorber elements and vehicle systems
JP6855208B2 (ja) 車両用ニーボルスター装置
KR101864809B1 (ko) 개량된 에너지 흡수 시스템
JP2008526590A (ja) エネルギー吸収装置を備えたバンパシステム
KR101694024B1 (ko) 차량의 무릎 보호 구조물
KR20140074771A (ko) 차량용 전방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757693B1 (ko) 범퍼 에어백 장치
US20150192183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10047209A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及び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20150145118A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101689874B1 (ko) 차량용 완충장치
CN107627990A (zh) 具有侧安全气囊的车辆座椅
KR100427246B1 (ko) 자동차용 무릎보호 장치
KR100379962B1 (ko) 자동차용 범퍼 구조
KR20050093140A (ko) 허니컴방식 무릎충격흡수구조
KR01252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에어백장치
KR100527904B1 (ko) 차량의 운전자 무릎보호장치
KR101283206B1 (ko) 자동차의 전면 범퍼 구조
KR20140014927A (ko) 차량용 범퍼 에어백 장치.
KR0160032B1 (ko) 자동차의 타이바아구조
KR100222352B1 (ko)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20030020680A (ko) 차량의 크래시 패드 구조
KR20120062033A (ko) 차량의 충격에너지 흡수 구조
KR20030073798A (ko) 자동차용 범퍼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