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983B1 - 무릎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무릎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983B1
KR100526983B1 KR10-2004-0016067A KR20040016067A KR100526983B1 KR 100526983 B1 KR100526983 B1 KR 100526983B1 KR 20040016067 A KR20040016067 A KR 20040016067A KR 100526983 B1 KR100526983 B1 KR 10052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attached
impact
keyset
cras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813A (ko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9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93Additional pads or cushions in vehicle compartments, e.g. 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1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using energy absorbing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원활히 흡수하여 무릎을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릎보호장치는, 일측이 차량의 크래시패드(10)에 부착되고 타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횡설된 연결파이프(20)에 부착되며, 하방으로 만곡하게 성형되어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니볼스터(3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의 키셋(40) 부근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크래시패드(10)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파이프(20)에 부착되어, 상기 키셋(40) 부근에 가해지는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브라켓(50)으로 구성되어, 인스트루 패널 내부의 좁은 공간인 키셋 부근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의 무릎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릎보호장치 {Apparatus for protecting knees}
본 발명은 무릎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원활히 흡수하여 무릎을 보호하는 무릎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내부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키셋이 스티어링 칼럼쪽에서 크래시패드쪽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차종이 늘고 있는데, 이것은 차량의 디자인면에서는 어떻게 보일지 모르나,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매우 위험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탑승자의 무릎이 크래시패드에 강하게 부딪히고 연달아 키셋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치명적인 상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U자형의 니볼스터라는 충격흡수용부재를 크래시패드 안쪽에 장착하여 니볼스트가 안으로 굽혀지는 탄성에 의하여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고 있으나, 키셋의 위치가 스티어링 칼럼에서 크래시패드로 이동함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크래시패드에 가해진 충격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릎보호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일측이 차량의 크래시패드(1)에 부착되고 타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횡설된 연결파이프(2)에 부착되며, 하방으로 만곡하게 성형되어 상기 크래시패드(1)에 가해진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니볼스터(3)를 나타낸다.
도 2는 무릎과의 충돌이 발생한 종래의 무릎보호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충돌 순간 운전자의 무릎이 크래시패드(1)에 부딪히고 곧바로 키셋(4)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무릎보호장치는 키셋의 위치가 스티어링 칼럼에서 크래시패드로 이동함에 따라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게 됨으로써 크래시패드 후면에 부착된 니볼스트가 충분히 휘어지면서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무릎이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원활하게 흡수하여 탑승자의 무릎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무릎보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측이 차량의 크래시패드에 부착되고 타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횡설된 연결파이프에 부착되며, 하방으로 만곡하게 성형되어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니볼스터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의 키셋 부근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크래시패드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파이프에 부착되어, 상기 키셋 부근에 가해지는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브라켓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릎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일측이 차량의 크래시패드(10)에 부착되고 타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횡설된 연결파이프(20)에 부착되며, 하방으로 만곡하게 성형되어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니볼스터(3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의 키셋(40) 부근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크래시패드(10)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파이프(20)에 부착되어, 상기 키셋(40) 부근에 가해지는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브라켓(50)으로 구성됨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무릎과의 충돌이 발생한 본 발명의 무릎보호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충돌 순간 니볼스터(30)와 충격흡수브라켓(50)이 휘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릎보호장치의 에너지 흡수도를 도시하는 도로서, 충격흡수브라켓(50)을 적용했을 때와 미적용했을 때의 충격 흡수도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브라켓(50)은 판 형태로 하며 상기 키셋(40)의 일부를 감싸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크래시패드(10)와 연결파이프(20)에 부착되어 설치된 니볼스터(30)가 안으로 휘면서 상기 크래시패드(10)에 가해진 무릎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무릎이 상기 크래시패드(10)에 부딪히면서 받는 충격이 그만큼 저감되는데, 이때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내의 키셋(40) 부근은 공간이 협소하여 상기 니볼스터(30)가 충분히 안으로 휠 수 없기 때문에 충격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탑승자의 무릎이 상기 키셋(40)으로 연달아 심한 충돌이 일어나면서 상해를 입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키셋(40)이 위치한 협소한 공간에 충격흡수브라켓(50)을 상기 크래시패드(10)와 상기 연결파이프(20)를 연결하여 부착하게 되면, 상기 키셋(40) 부근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니볼스터(30)와 함께 상기 충격흡수브라켓(50)이 그 충격을 동시에 흡수하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이 그만큼 감소되는 것이다.
상기 충격흡수브라켓(50)을 적용했을 때의 충격흡수도가 상기 충격흡수브라켓(50)을 미적용했을 때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도 3의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그래프의 x 축은 무릎에 가해진 하중을, 그래프의 y 축은 변위를 나타낸다.
도 3의 그래프에서의 예를 들면, 무릎에 가해진 하중이 6000N 일 경우 상기 충격흡수브라켓(50)을 적용한 사양(100)의 충격시 발생하는 변위는 94 정도이며, 상기 흡수브라켓(50)을 적용하지 않은 사양(200)의 경우의 충격시 발생하는 변위는 이 보다 큰 116 정도로서, 이것은 충격흡수브라켓(50)을 적용한 사양(100)의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사양(200)의 경우보다 보다 적은 변위로써 충격을 흡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브라켓(50)을 적용하게 되면 충격시 변위가 적게 발생하므로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효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키셋(40)으로 인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내의 공간이 좁아졌다고 하더라도, 상기 충격흡수브라켓(50)을 장착하게 되면 적은 변위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내의 키셋 부근에 간단하게 충격흡수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인스트루 패널 내부의 좁은 공간인 키셋 부근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의 무릎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릎보호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무릎과의 충돌이 발생한 종래의 무릎보호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릎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무릎과의 충돌이 발생한 본 발명의 무릎보호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릎보호장치의 에너지 흡수도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래시패드 20 : 연결파이프
30 : 니볼스터 40 : 키셋
50 : 충격흡수브라켓

Claims (3)

  1. 일측이 차량의 크래시패드에 부착되고 타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횡설된 연결파이프에 부착되며, 하방으로 만곡하게 성형되어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니볼스터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의 키셋 부근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크래시패드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파이프에 부착되어, 상기 키셋 부근에 가해지는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브라켓은 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브라켓은 상기 키셋의 일부를 감싸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장치.
KR10-2004-0016067A 2004-03-10 2004-03-10 무릎보호장치 KR10052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67A KR100526983B1 (ko) 2004-03-10 2004-03-10 무릎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67A KR100526983B1 (ko) 2004-03-10 2004-03-10 무릎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13A KR20050090813A (ko) 2005-09-14
KR100526983B1 true KR100526983B1 (ko) 2005-11-09

Family

ID=3727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67A KR100526983B1 (ko) 2004-03-10 2004-03-10 무릎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690B1 (ko) 2014-11-06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13A (ko)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028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パネル用衝撃保護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フロントパネル
KR100526983B1 (ko) 무릎보호장치
KR100542107B1 (ko) 차량의 무릎 보호장치 보강구조
KR20070084660A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 장치
JPH02200570A (ja) 自動車のコラムカバー構造
KR100501237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범퍼
KR20050027544A (ko) 자동차 무릎보호장치
KR100527904B1 (ko) 차량의 운전자 무릎보호장치
KR100802804B1 (ko) 운전자의 다리 보호장치
KR20050099318A (ko) 차량의 운전자 무릎보호장치
KR100580038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60118634A (ko) 자동차의 운전석 무릎보호장치 구조
KR100622419B1 (ko) 차량의 무릎 보호 장치
KR100489254B1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를 위한 다단 충격흡수 구조
KR100795001B1 (ko) 충격 흡수형 슈라우드 브래킷을 구비한 조향장치
KR20060042357A (ko) 차량의 니플레이트 지지구조
KR20050042942A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 장치
KR200251473Y1 (ko) 오버 헤드타입 차량의 탑승자 보호장치
KR200193453Y1 (ko) 조수석용 에어 백 하우징
KR100884069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200181014Y1 (ko) 차량용 충돌 방호장치
KR100222352B1 (ko)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970007370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샤프트
KR20060041527A (ko) 자동차의 무릎보호 브라켓 구조
KR100369554B1 (ko) 자동차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