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069B1 -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069B1
KR100884069B1 KR1020060115220A KR20060115220A KR100884069B1 KR 100884069 B1 KR100884069 B1 KR 100884069B1 KR 1020060115220 A KR1020060115220 A KR 1020060115220A KR 20060115220 A KR20060115220 A KR 20060115220A KR 100884069 B1 KR100884069 B1 KR 100884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eering column
fixing bracket
steering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937A (ko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069B1/ko
Priority to DE102006058526.7A priority patent/DE102006058526B4/de
Priority to US11/642,450 priority patent/US20080116676A1/en
Publication of KR2008004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069B1/ko
Priority to US12/690,880 priority patent/US832773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 Y10T74/20146Control lever on steering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레버가 잠금 상태에서 작동 레버가 컬럼 커버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컬럼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메인 하우징; 상기 컬럼 튜브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일측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부에 상기 상부 하우징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 그리고 일단은 상기 컬럼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을 밀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고정 브라켓을 치차 결합시키는 작동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 OF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에서 작동 레버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에서 작동 레버의 해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에서 작동 레버가 컬럼 커버 외부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티어링 컬럼 110: 스티어링 휠
120: 작동 레버 130: 메인 하우징
140: 상부 하우징 150: 제1힌지 축
160: 제2힌지 축 170: 탄성 부재
180: 고정 브라켓 190: 완충 부재
210: 컬럼 커버 220: 홈
230: 컬럼 튜브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 레버가 잠금 상태에서 작동 레버가 컬럼 커버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은 운전자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차량의 바퀴에 전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꾼다. 이러한 스티어링 시스템은 운전석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이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와,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을 포함한다.
또한, 스티어링 컬럼(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외부에 설치되는 컬럼 튜브(column tube)(60)와, 상기 컬럼 튜브(60)의 외면에 설치되는 메인 하우징(20)과, 상기 컬럼 튜브(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30)과, 상기 스티어링 컬럼(10)의 틸팅(tilting)과 텔레스코핑(telescoping) 작동을 위한 작동 레버(40)를 포함한다.
작동 레버(40)의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움직여 운전자의 기호에 맞게 스티어링 컬럼(10)의 틸팅과 텔레스코핑 작동을 수행한 후, 작동 레버(40)를 잠궈 상부 하우징(30)을 고정한다.
이러한 스티어링 컬럼(10)은, 내부 부품의 보호 및 외관상, 컬럼 커버(column cover)(50)에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작동 레버(40)의 일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컬럼 커버(5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외관상 좋지 않았다.
또한, 차량이 충돌한 경우, 관성력에 의하여 운전자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운전자의 무릎이 돌출된 작동 레버(40)에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가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북미 또는 유럽 등에서는 다양한 체구를 가진 운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틸팅 및 텔레스코핑 작동이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이 적용된 차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더불어, 유럽의 신차평가제도(New Car Assessment Program, NCAP)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 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스티어링 컬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 중에는(즉, 작동 레버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작동 레버가 컬럼 커버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무릎이 스티어링 컬럼에 부딪혔을 때 운전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한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컬럼 커버 내부에 장착된 스티어링 컬럼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여 스티어링 컬럼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외관을 좋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은 컬럼 커버에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스티어링 컬럼은, 컬럼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메인 하우징; 상기 컬럼 튜브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일측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부에 상기 상부 하우징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 그리고 일단은 상기 컬럼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을 밀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고정 브라켓을 치차 결합시키는 작동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레버의 타단은 상기 컬럼 커버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상기 작동 레버의 타단에는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작동 레버의 상면에는 완충 부재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 하우징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게재되어 있을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100)은 컬럼 커버(210)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컬럼 커버(210)는 그 재질이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100)은 그 내부에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부에 컬럼 튜브(2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일단에는 스티어링 휠(110)이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에서 작동 레버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에서 작동 레버의 해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100)은 메인 하우징(130), 상부 하우징(140), 고정 브라켓(180), 그리고 작동 레버(120)를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130)은 상기 컬럼 튜브(23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컬럼 튜브(230)를 보호한다.
상부 하우징(140)은 제1힌지 축(150)을 기준으로 상기 컬럼 튜브(2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힌지 축(150)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140)을 회전시켜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스티어링 휠(110)의 위치를 조정한다.상기 상부 하우징(140)의 하단부에는 상부 하우징(140)을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180)은 제2힌지 축(160)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 상면에는 상부 하우징(140)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브라켓(180)은 상부 하우징(140)을 특정 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180)의 타측 하면은 작동 레버(120)가 회전하며 고정 브라켓(180)을 밀기 용이하도록 일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일정 형상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메인 하우징(130)과 고정 브라켓(180) 사이에는 탄성 부재(170)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7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70)는 작동 레버(120)가 고정 브라켓(180)을 밀어 고정 브라켓(180)과 상부 하우징(140)이 치차 결합하는 경우 오므라든다. 그러나, 작동 레버(120)가 고정 브라켓(180)을 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부재(170)는 고정 브 라켓(17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고정 브라켓(180)과 상부 하우징(140)의 치차 결합이 풀리도록 한다.
작동 레버(120)는 그 일단이 제3힌지 축(200)을 기준으로 컬럼 커버(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컬럼 커버(210)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작동 레버(120)의 타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운전자는 상기 홈(22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작동 레버(120)를 상기 제3힌지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작동 레버(120의 일면에는 운전자의 무릎이 부딪혔을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부재(19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완충 부재(190)는 폼플라스틱(foam plasti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120)의 상면은 고정 브라켓(180)과 접촉하여 고정 브라켓(180)을 밀기 용이하도록 일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일정 형상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120)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작동 레버(120)가 고정 브라켓(180)을 밀어 고정 브라켓(180)과 상부 하우징(140)이 치차결합시켜 상기 상부 하우징(140)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120)의 타단은 컬럼 커버(210)에 끼워 맞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 레버(120)는 상기 컬럼 커버(210)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홈(22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작동 레버(120)를 제3힌지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고정 브라켓(180)을 밀던 힘 은 사라지고 탄성 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 브라켓(180)과 상부 하우징(140)의 치차 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상기 상부 하우징(140)을 제1힌지 축(15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부 하우징(140)의 위치를 조정한 후, 작동 레버(120)를 밀어 고정 브라켓(180)과 상부 하우징(140)을 치차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상부 하우징(140)의 위치는 고정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 중에는, 즉 작동 레버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작동 레버가 컬럼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작동 레버에 충돌할 수 있는 확률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의 일면에 폼플라스틱이 부착되어 있어, 운전자의 무릎이 작동 레버에 부딪힌 경우에도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 레버가 컬럼 커버를 닫으므로 스티어링 컬럼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Claims (6)

  1. 컬럼 커버에 내장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컬럼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 메인 하우징;
    상기 컬럼 튜브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일측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부에 상기 상부 하우징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 그리고
    일단은 상기 컬럼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을 밀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고정 브라켓을 치차 결합시키는 작동 레버;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의 타단은 상기 컬럼 커버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의 타단에는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의 상면에는 완충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 하우징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게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1020060115220A 2006-11-21 2006-11-21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100884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220A KR100884069B1 (ko) 2006-11-21 2006-11-21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DE102006058526.7A DE102006058526B4 (de) 2006-11-21 2006-12-12 Lenksäule eines Fahrzeugs
US11/642,450 US20080116676A1 (en) 2006-11-21 2006-12-20 Steering column of vehicle
US12/690,880 US8327734B2 (en) 2006-11-21 2010-01-20 Steering column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220A KR100884069B1 (ko) 2006-11-21 2006-11-21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937A KR20080045937A (ko) 2008-05-26
KR100884069B1 true KR100884069B1 (ko) 2009-02-19

Family

ID=3932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220A KR100884069B1 (ko) 2006-11-21 2006-11-21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16676A1 (ko)
KR (1) KR100884069B1 (ko)
DE (1) DE102006058526B4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247Y1 (ko) 2004-02-19 2004-06-25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기구 에너지흡수장치
KR20050082613A (ko) * 2004-02-19 2005-08-24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기구 에너지흡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1819B (it) 1989-09-04 1992-01-14 S I A C Stampaggi Ind Assembla Meccanismo di controllo particolarmente studiato per il posizionamento angolare della colonna sterzo di veicoli in genere
JPH03112469U (ko) * 1990-03-06 1991-11-18
JPH0443572U (ko) * 1990-08-16 1992-04-14
US5566585A (en) * 1994-03-03 1996-10-22 Chrysler Corporation Tilt steering column locking mechanism
US5452624A (en) * 1994-03-03 1995-09-26 Chrysler Corporation Tilt steering column locking mechanism
US6282977B1 (en) * 1997-10-28 2001-09-04 Nsk Ltd. Tilt adjusting-type steering apparatus
DE10141010A1 (de) * 2001-08-21 2003-03-06 Volkswagen Ag Arretiervorrichtung mit einem Betätigungshebel für eine verstellbare Lenksäule
AU2002360018A1 (en) * 2001-12-27 2003-07-15 Nsk Ltd. Vehicle tilt type steering device
JP4218379B2 (ja) * 2002-07-11 2009-02-04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30030B1 (ko) * 2003-06-16 2005-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틸트 스티어링 장치
JP4411049B2 (ja) 2003-10-07 2010-02-10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247Y1 (ko) 2004-02-19 2004-06-25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기구 에너지흡수장치
KR20050082613A (ko) * 2004-02-19 2005-08-24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기구 에너지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58526B4 (de) 2019-10-02
KR20080045937A (ko) 2008-05-26
DE102006058526A1 (de) 2008-05-29
US20080116676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2932B2 (ja) 車両の加速ペダル装置
KR100884069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US7665386B2 (en) Vehicular brake pedal structure for preventing injury
KR101189958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휠
JP3839285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1252738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US8327734B2 (en) Steering column of vehicle
JP4574303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703310B2 (ja) 自動車のコラムカバー構造
US20120126522A1 (en) Steering column telescope adjustment stop
JP2004268713A (ja) 車両用ニープロテクタ装置
KR100526983B1 (ko) 무릎보호장치
JP2005247026A (ja)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04098868A (ja) 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410331B1 (ko) 자동차용 범퍼 구조
KR20070084660A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 장치
JP3799806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CN111674299B (zh) 一种座椅防下潜结构及汽车座椅
KR970007370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샤프트
KR20050027544A (ko) 자동차 무릎보호장치
JPH057901Y2 (ko)
KR100527904B1 (ko) 차량의 운전자 무릎보호장치
JP3729709B2 (ja) コラムシフト装置の衝撃吸収機構
KR100558737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JP2004268826A (ja) 車体前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