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086A -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 Google Patents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086A
KR20220157086A KR1020210064701A KR20210064701A KR20220157086A KR 20220157086 A KR20220157086 A KR 20220157086A KR 1020210064701 A KR1020210064701 A KR 1020210064701A KR 20210064701 A KR20210064701 A KR 20210064701A KR 20220157086 A KR20220157086 A KR 20220157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ltrasonic welding
boss
holder
we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계
이상도
김성주
이영훈
김남규
김승범
Original Assignee
도림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림공업(주) filed Critical 도림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06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086A/ko
Publication of KR2022015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involving interference fits, e.g. force-fits or press-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 장치는 배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착보스가 구비되고, 배면 가장자리에 돌출편이 구비된 몸체; 상기 융착보스를 수용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는 보강판; 상기 돌출편에 결합되는 클립; 및 상기 몸체의 배면 타측에 결합되는 OBD 브라켓;을 포함하는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시, 상기 융착보스를 녹여 상기 몸체에 상기 보강판을 고정시키는 초음파 융착 장치로서,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그; 상기 하판의 직 상방에 위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융착보스을 가압하면서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융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ULTRASONIC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RASH PAD LOWER ASSEMBLY}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초음파 융착 장치와 관련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3407호를 통하여, 복수 개의 파트가 열융착에 의하여 결합된 구조를 갖는 어셈블리를 제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초음파 융착 장치의 일례를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는 (i) 차량의 핸들 하부에 결합되어, (ii) 운전자의 무릎 전방에 위치되며, (iii) 차량의 퓨즈 박스를 커버하는 물품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6985호의 [도 1]을 통하여,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전술한 공보에는 '크래쉬패드(10)'로 표기되어 있음]의 일반적인 형태와 구비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아래에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몇몇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100)는, 좌측부에 개구(11)가 형성되고, 우측부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착보스(12)가 구비되고, 배면 가장자리에 돌출편(13)이 구비된 몸체(1); 상기 융착보스(12)를 수용하는 홀(21)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1)의 우측부 배면에 결합되는 보강판(2); 상기 돌출편(13)에 결합되는 클립(3); 및 상기 몸체(1)의 배면에 결합되되, 상기 개구(11)의 주위에 배치되는 OBD 브라켓(4)[ON BOARD DIAGNOSTICS BRACKET(4)];을 포함한다.
KR 10-2020-0033407 A (2020.03.30. 공개) KR 10-0529174 B1 (2005.11.17. 공고) KR 10-1673690 B1 (2016.11.07. 공고) KR 10-1026985 B1 (2011.03.29. 공고)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조립)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 장치는, 배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착보스가 구비되고, 배면 가장자리에 돌출편이 구비된 몸체; 상기 융착보스를 수용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는 보강판; 상기 돌출편에 결합되는 클립; 및 상기 몸체의 배면 타측에 결합되는 OBD 브라켓;을 포함하는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시, 상기 융착보스를 녹여 상기 몸체에 상기 보강판을 고정시키는 초음파 융착 장치로서,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그; 상기 하판의 직 상방에 위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융착보스을 가압하면서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융착유닛;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 장치는, 상기 지그에 구비되고, 상기 지그에 상기 몸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OBD 브라켓의 존재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지그에 구비되고, 상기 지그에 상기 몸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의 존재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착유닛은, 상기 하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베이스의 하부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블록; 상기 블록에 결합되는 융착기; 상기 레일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와 마주하는 홀더; 상기 홀더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홀더의 하부로 돌출되는 누름막대; 및 상기 홀더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완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막대와 상기 완충기는, 상기 홀더를 기준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언급된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의 제조(조립)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 장치를 이용하면, 몸체에 보강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에 보강판을 고정하기 전,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통하여, 클립과 OBD 브라켓의 누락 유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의 예시적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융착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융착유닛에 의하여, 융착보스가 가압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 장치(200)[이하 '초음파 융착 장치(200)'라 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초음파 융착 장치(200)의 분해도이다.
초음파 융착 장치(200)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언급된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1)의 제조(조립)시, 융착보스(12)를 녹여 몸체(1)에 보강판(2)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100)에 관한 설명을 덧붙이면, ⓐ 개구(11)는 차량의 퓨즈 박스 전방에 위치되며, 개구(11)에는 차후 개폐(또는 탈착) 가능한 커버(미도시)가 부착된다. ⓑ 몸체(1)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다. ⓒ 돌출편(13)은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이때 모든 돌출편(13)에 클립(3)이 부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 보강판(2)은 몸체(1)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몸체(1)의 강도를 보강하여, 차량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보강판(2)은 몸체(1)에 비하여 강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홀(21)의 주변부는 융착보스(12)를 감싸는 형태로 융기될 수 있고, 융기된 부분의 길이는 융착보스(12)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다. ⓔ 클립(3)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몸체(1)가 차체 패널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 OBD 브라켓(4)은 차량의 전자 장치와 퓨즈 박스를 연결하는 각종 케이블들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OBD 브라켓(4)은 금속 재질일 수 있고, 볼트 등의 기계적 결합요소를 매개로 몸체(1)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융착 장치(200)는 하판(210), 지그(220), 상판(230)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융착유닛(240)을 필수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제1 센서(250)와 제2 센서(260)를 부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융착 장치(200)는 프레스 기계(미도시)에 설치된다. 하판(210)은 프레스 기계의 테이블에 결합되고, 상판(230)은 하판(210)의 직 상방에서 수직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프레스 기계의 메인 슬라이드에 결합된다.
하판(210)은 소정 면적을 갖고, 평평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판(230)은 소정 면적을 갖고, 평평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판(230)은 하판(210)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판(210)의 직 상방에 위치된다.
하판(2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부포스트(211, 211'...)가 구비될 수 있고, 상판(23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하부포스트(211, 211'...)와 대응되는 개수의 상부포스트(231, 2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포스트(211)와 상부포스트(231)는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다. 하부포스트(211)와 상부포스트(231)는 상판(230)의 이동을 제한[상판(230)이 하판(210)에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지 않도록 함]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지그(220)는 하판(210)의 상면 중앙에 구비된다. 지그(220)는 하판(2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그(220)는 몸체(1)의 전면을 지지하는 경사면(221)을 구비한다. 경사면(221)의 세부 형태는 몸체(1)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경사면(221)의 경사도는 융착보스(12)와 몸체(1)의 사잇각에 대응된다. 그에 따라, 지그(220)에 몸체(1)가 안착된 상태에서, 융착보스(12)는 하판(210)과 수직을 이룬다.
제1 센서(250)는 지그(220)에 구비되고, 지그(220)에 몸체(1)가 안착된 상태에서, OBD 브라켓(4)의 존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센서(260)는 지그(220)에 구비되고, 지그(220)에 몸체(1)가 안착된 상태에서, 클립(3)의 존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센서(250)와 제2 센서(26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 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센서(250)와 제2 센서(260)는 융착유닛(240)의 이동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유닛(240)은 상판(230)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융착보스(12)를 가압하면서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융착유닛(240)은 1개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융착유닛(240)은 몸체(1)에 구비되는 융착보스(1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융착유닛(24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유닛(240)은 베이스(241), 실린더(242), 레일(243), 블록(244) 및 융착기(245)로 구성될 수 있고, 홀더(246), 누름막대(247) 및 완충기(2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41)는 상판(230)의 하면에 결합된다. 베이스(241)는 볼트 등의 기계적 결합요소를 매개로 상판(230)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242)는 유압 또는 전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일 수 있고, 베이스(241)의 하부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때, 실린더(242)의 로드 단부는 하판(210)을 향한다.
레일(242)은 소정 길이를 갖고, 베이스(241)의 하부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블록(244)은 실린더(242)의 로드에 결합되며, 실린더(242)의 로드에 인출될 때, 레일(242)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융착기(245)는 브라켓 등에 의하여, 블록(244)의 측면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융착기(245)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융착보스(12)의 단부를 녹이는 기능을 한다.
홀더(246)는 레일(246)의 하부에 결합되고, 블록(244)의 직 하방에 위치된다. 홀더(246)는 레일(246)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누름막대(247)는 홀더(246)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홀더(246)의 하부로 돌출된다. 막대(247)는 프레스 기계에 설치된 상판(230)이 하판(210)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보강판(2)의 홀(21) 주변부를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누름막대(247)는 홀더(246)를 기준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누름막대(274)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누름막대(274)는 나사 결합 형태로, 홀더(246)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홀더(246)에 복수 개의 누름막대(247)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완충기(248)는 홀더(246)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블록(244)의 하면과 마주한다. 완충기(248)는 실린더(242)에서 로드가 인출되어, 융착기(245)가 융착보스(12)의 단부를 가압할 때, 블록(244)을 지지하여, 융착기(245)가 보다 부드럽게 융착보스(12)의 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만든다.
완충기(248)는 홀더(246)를 기준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완충기(248)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완충기(248)는 나사 결합 형태로, 홀더(246)에 부착될 수 있다.
초음파 융착 장치(200)는 지그(220)에 안착된 몸체(1)에 OBD 브라켓(4) 또는 클립(3)이 누락된 경우[제1 센서(250)와 제2 센서(260)를 통해, 클립(3)과 OBD 브라켓(4)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경보 신호가 발생하고, 융착유닛(240)이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초음파 융착 장치(2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프레스 기계에 초음파 융착 장치(200)가 설치되고, 상판(230)이 하판(210)으로부터 일정 거리 멀어진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하여, 지그(220)에 몸체(1)가 안착된다. 이때 몸체(1)의 배면에는 보강판(2)이 덧대어진 상태이다.
계속해서, 제1 센서(250)와 제2 센서(260)에 의하여, 클립(3)과 OBD 브라켓(4)의 누락 유무가 판별된다.
이어서, 몸체(1)에 클립(3)과 OBD 브라켓(4)이 제대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 프레스 기계가 작동하여, 상판(230)이 하판(210) 방향으로 이동하고, 융착유닛(240)에 구비된 누름막대(247)가 용착보스(12)의 주변부를 가압하게 된다.
계속해서, 실린더(241)에서 로드가 인출되어, 블록(244)이 레일(243)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 융착기(245)가 융착보스(12)의 단부에 밀착되고, 이때 융착보스(12)의 단부가 녹으면서, 보강판(2)이 몸체(1)에 고정된다.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100)의 제조(조립)시, 앞서 설명된 초음파 융착 장치(200)를 이용하면, 몸체(1)에 보강판(2)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에 보강판(2)을 고정하기 전, 제1 센서(250)와 제2 센서(260)를 통하여, 클립(3)과 OBD 브라켓(4)의 누락 유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설명할 때 사용된 각종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은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을 독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적 목적으로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바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와 본질적 기술사상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차이가 있는 변형 실시예들을 무수히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일부 표현들에 의해 제한되어선 안 되고,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에 의거하여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200 : 초음파 융착 장치
210 : 하판
220 : 지그
230 : 상판
240 : 융착유닛
241 : 베이스
242 : 실린더
243 : 레일
244 : 블록
245 : 융착기
246 : 홀더
247 : 누름막대
248 : 완충기
250 : 제1 센서
260 : 제2 센서

Claims (8)

  1. 배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착보스가 구비되고, 배면 가장자리에 돌출편이 구비된 몸체; 상기 융착보스를 수용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배면 일측에 결합되는 보강판; 상기 돌출편에 결합되는 클립; 및 상기 몸체의 배면 타측에 결합되는 OBD 브라켓;을 포함하는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시, 상기 융착보스를 녹여 상기 몸체에 상기 보강판을 고정시키는 초음파 융착 장치로서,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그;
    상기 하판의 직 상방에 위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융착보스을 가압하면서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융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 구비되고, 상기 지그에 상기 몸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OBD 브라켓의 존재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융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 구비되고, 상기 지그에 상기 몸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의 존재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융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유닛은,
    상기 하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베이스의 하부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에 결합되는 융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유닛은, 상기 레일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와 마주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홀더의 하부로 돌출되는 누름막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유닛은, 상기 홀더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완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막대는, 상기 홀더를 기준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상기 홀더를 기준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 장치.
KR1020210064701A 2021-05-20 2021-05-20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KR20220157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01A KR20220157086A (ko) 2021-05-20 2021-05-20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01A KR20220157086A (ko) 2021-05-20 2021-05-20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86A true KR20220157086A (ko) 2022-11-29

Family

ID=8423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01A KR20220157086A (ko) 2021-05-20 2021-05-20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08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174B1 (ko) 2003-06-10 2005-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로워 크래쉬 패드 결합장치
KR101026985B1 (ko) 2008-12-04 2011-04-11 한일이화주식회사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KR101673690B1 (ko) 2014-11-06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KR20200033407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서연이화 초음파 융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174B1 (ko) 2003-06-10 2005-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로워 크래쉬 패드 결합장치
KR101026985B1 (ko) 2008-12-04 2011-04-11 한일이화주식회사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KR101673690B1 (ko) 2014-11-06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KR20200033407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서연이화 초음파 융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0835B2 (en) Method for welding a plastic housing
JP3973029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CN1660559B (zh) 应用脊增强焊接强度的树脂部件的激光焊接
WO2021100475A1 (ja) 演奏操作装置
CN105008185B (zh) 配线模块及配线模块的组装方法
CN1115661C (zh) 超声波传感器及其制造方法
EP3571077B1 (en) Composite hybrid roof frame and methods to produce the same
KR20220157086A (ko)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JP6094548B2 (ja) 電子装置収容筐体
JP2007038441A (ja) インサート成形品
KR920021373A (ko) 조향 휘일 경적 스위치 장치
KR100589270B1 (ko) 글로브 박스용 니 볼스터 장착구조
CN102481882A (zh) 线束布线装置
CN101190676B (zh) 仪表板支撑结构
JP2007216927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CN216468054U (zh) 一种转向管柱护套全包围结构和汽车
US3508986A (en) Method of sonically welded channel plates
US7088223B2 (en) Sound generator for a parking assistance system
CN107206954A (zh) 安全气囊安装结构及安全气囊安装方法
KR101223778B1 (ko) 차량에서의 전조등 통과, 감지기와, 감지기용 보호 판재의 장치
JP2014220384A (ja) 電子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402535B (en) Method of laser welding overlapping sheets and corresponding railway vehicle body
CN101973240B (zh) 安全气囊壳体
KR102146488B1 (ko) 열풍융착장치
JPH08192465A (ja) 樹脂製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