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985B1 -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985B1
KR101026985B1 KR1020080122636A KR20080122636A KR101026985B1 KR 101026985 B1 KR101026985 B1 KR 101026985B1 KR 1020080122636 A KR1020080122636 A KR 1020080122636A KR 20080122636 A KR20080122636 A KR 20080122636A KR 101026985 B1 KR101026985 B1 KR 10102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ver
fuse box
crash pad
fu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185A (ko
Inventor
박철형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9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us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는, 차량의 운전석 좌측 하단에 형성되는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상하측라인은 상기 크래쉬패드의 외부 상하측라인까지 확장하도록 하여 미관상 수려함을 강조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퓨즈 박스 커버를 힌지부를 사용하여 회전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개폐의 편의성을 강조하도록 한다.
크래쉬패드, 퓨즈, 걸림턱, 가이드봉, 클립

Description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FUSE BOX COVER ASSEMBLY OF CRASH PAD}
본 발명은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퓨즈 박스 커버의 형상 및 구성을 개량하도록 하여, 외관상 미관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강화하도록 한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크래쉬패드(crush pad)는 운전자가 운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운전대와 계기판 등이 전면부분에 설치되는 플라스틱 패널을 통칭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크래쉬패드에는 공조버튼, 온도조절버튼, 오디오 및 각종 편의장치가 장착된다.
그 중, 본 발명은 운전석 좌측 하단에 설치되는 크래쉬패드 및 상기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 커버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종래 크래쉬패드에 설치되어 있는 퓨즈 박스 커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설치되는 퓨즈 박스 커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10)의 정면부에는 퓨즈를 교체하기 위해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퓨즈 박스 커버(2)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부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조립부에는 퓨즈 박스 커버(2)의 가이드 리브(3)를 걸기 위한 걸림턱(4)과 후크(5)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턱(4)이 있다.
상기 퓨즈 박스 커버(2)의 조립은 커버 상단부의 가이드 리브(3)를 크래쉬 패드(1)의 걸림턱(4)에 걸고 그 걸리는 접촉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커버의 후크(5)가 크래쉬패드(1)의 걸림턱(4)에 걸리면서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퓨즈 박스 커버(2)는 정비사가 손으로 상기 퓨즈 박스 커버(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6)를 잡아 당겨 탈거하도록 하고, A/S를 행한 이후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크래쉬패드(1)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를 A/S하기 위해 상기 퓨즈 박스 커버(1)의 조립과 탈거를 반복하는 경우 상기 후크(5)의 체결력이 헐거워져 상기 퓨즈 박스 커버(2)와 크래쉬패드(1)와의 체결력이 약하게 되어 간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간극은 자동차의 주행 중 노이즈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크래쉬패드(1)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를 A/S하기 위해 상기 퓨즈 박스 커버(1)의 탈거를 행하는 경우, 상기 퓨즈 박스 커버(1)가 크래쉬패드(1) 와 완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정비 작업을 행하는 관계로 인하여, 상기 퓨즈 박스 커버(1)의 분실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 및 상기 퓨즈 박스 커버(1)를 조립하는 경우에도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추가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퓨즈 박스 커버(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1) 외관에 상기 퓨즈 박스 커버(2)의 외관 라인이 노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 커버의 조립구조의 개선을 행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는 커버의 외곽라인을 확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미관상 수려함을 강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달성하도록 형성된 본원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는, 차량의 운전석 좌측 하단에 형성되는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상하측라인은 상기 크래쉬패드의 외부 상하측라인까지 확장되고, 좌측라인은 사이드커버에 접하도록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크기를 확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우측 라인은 상기 크래쉬패드의 외부 우측라인까지 형성되어, 상기 크래쉬패드 외부 전체가 퓨즈 박스 커버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내측 하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크래쉬패드에는 가이드봉이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회전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내측 상부 양 측면에는 차량용클립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크래쉬패드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퓨즈 박스 커버가 상기 크래쉬패드에 결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좌우측에는 사용자가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마련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다 간단하게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주행 중 발생하는 노이즈의 원인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외관상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의 퓨즈 박스 커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차량의 운전석 좌측 하단의 크래쉬패드에 설치되어 있는 퓨즈 박스 커버의 외곽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또한,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개폐시에는 상기 퓨즈 박스 커버 자체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어, 퓨즈를 정비하기 위해 상기 퓨즈 박스 커버를 상기 크래쉬패드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퓨즈 박스 커버의 분실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본 발명을 강구하게 되었는 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는,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상하측라인이 상기 크래쉬패드(100)의 외부 상하측라인까지 확장되고, 좌측라인은 사이드커버(120)에 접하도록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우측 라인은 상기 크래쉬패드(100)의 일부분을 점유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래쉬패드(100)의 외부 우측라인까지 형성되어, 상기 크래쉬패드(100) 외부 전체가 퓨즈 박스 커버(110)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크래쉬패드(100)는 운전석 좌측 하단에 형성되는 플라스틱 패널부분을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110)는 그 크기를 상당히 크게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외곽라인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상 수려함을 강화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관련 도면이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1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110)를 사용하여 크래쉬패드(100)에 설치하도록 한 조립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내측 하단에는 힌지부(13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크래쉬패드(100)에는 가이드봉(150)이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회전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내측 상부 양 측면에는 차량용클립(14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크래쉬패드(100)에는 걸림턱(170)이 형성되어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가 상기 크래쉬패드(100)에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110)는 크래쉬패드(100)에 힌지부(130)에 의해 회전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종래 퓨즈(200)를 정비하기 위해 상기 퓨즈 박스 커버를 별도로 분리하여 정비를 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상당한 정도로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 버(110)의 양 측면에는 손잡이부(160)를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를 크래쉬패드(100)로부터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160)는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좌우측 단부에 설치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상기 손잡이부분의 위치가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미관상 수려함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도 8에는 도 5의 도면에서 A-A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110)는 크래쉬패드(100)에 형성된 가이드봉(150)을 중심으로 힌지부(130)를 사용하여 회전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110)는 체결용클립(140)을 사용하여 상기 크래쉬패드(100)의 걸림턱(170)에 결합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100)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110) 조립체는 힌지부(130)를 사용하여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고 있어, 종래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를 분리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는 데 그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 커버(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크기가 운전석 좌측 하단에 형성되는 크래쉬패드(100)의 외부 전 체를 포함할 정도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종래 상기 크래쉬패드(100)에 형성되는 퓨즈 박스 커버(110)의 외곽라인이 발생하는 것을 없애도록 하여 미관상 수려함을 강조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의 퓨즈 박스 커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쉬패드에 형성된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크래쉬패드 110: 퓨즈 박스 커버
120: 사이드커버 130: 힌지부
140: 체결용클립 150: 가이드봉
160: 손잡이부 170: 걸림턱
200: 퓨즈

Claims (5)

  1. 차량의 운전석 좌측 하단에 형성되는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퓨즈박스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퓨즈박스커버(110)의 상하측라인은 상기 크래쉬패드(100)의 외부 상하측라인까지 확장되고, 좌측라인은 사이드커버(120)에 접하도록 확장되며, 우측라인이 상기 크래쉬패드(100)의 외부 우측라인까지 형성되어 상기 크래쉬패드(100)의 외부 전체가 퓨즈박스커버(110)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퓨즈박스커버(110)의 내측 하단에는 힌지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크래쉬패드(100)에는 상기 힌지부(130)에 대응되는 가이드봉(150)이 형성되어 상기 퓨즈박스커버(110)의 회전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퓨즈박스커버(110)의 내측 상단에는 차량용클립(140)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쉬패드(100)에는 상기 차량용클립(140)에 대응되는 걸림턱(170)이 형성되어 상기 퓨즈박스커버(110)가 상기 크래쉬패드(100)에 결합하도록 한 차량용 크래쉬패드의 퓨즈박스커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박스 커버(110)의 좌우측에는 사용자가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6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KR1020080122636A 2008-12-04 2008-12-04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KR10102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36A KR101026985B1 (ko) 2008-12-04 2008-12-04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36A KR101026985B1 (ko) 2008-12-04 2008-12-04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185A KR20100064185A (ko) 2010-06-14
KR101026985B1 true KR101026985B1 (ko) 2011-04-11

Family

ID=4236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636A KR101026985B1 (ko) 2008-12-04 2008-12-04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86A (ko) 2021-05-20 2022-11-29 도림공업(주)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941U (ja) * 1983-03-10 1984-09-2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キヤブオ−バ−型トラツクにおける物入構造
US5979965A (en) * 1993-05-14 1999-11-09 Kansei Corporation Structure of instrument panel portion for use in veh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941U (ja) * 1983-03-10 1984-09-2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キヤブオ−バ−型トラツクにおける物入構造
US5979965A (en) * 1993-05-14 1999-11-09 Kansei Corporation Structure of instrument panel portion for use in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86A (ko) 2021-05-20 2022-11-29 도림공업(주) 크래쉬 패드 로어 어셈블리 제조를 위한 초음파 융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185A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061B1 (ko) 도어트림용 핸들
EP2103465B1 (en) Vehicle do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67804B2 (ja) バックドア
JP2009190647A5 (ko)
KR20090064667A (ko) 히든타입 아웃사이드핸들
KR101026985B1 (ko) 크래쉬패드의 퓨즈 박스 커버 조립체
JP3882571B2 (ja) バックドアの手掛け部構造
JP5096386B2 (ja) プルポケットの取付構造
JP6360460B2 (ja) リッド支持構造
KR101327034B1 (ko)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JP2009083543A (ja) 自動車
CN208927593U (zh) 汽车模型隐藏式门把手开启结构
JP3561484B2 (ja) 車両のリヤゲート構造
KR101199062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결합구조
CN202500410U (zh) 翻盖式双扣灯箱锁
KR101074272B1 (ko) 차량용 도어 트림 체결구조
CN220483190U (zh) 一种汽车用前储物盒及汽车
CN104340025B (zh) 遮阳板的构造
TWM554859U (zh) 汽車車門
JP2019082228A (ja) カバーの取付構造
JP2011098707A (ja) ハンド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3903363B2 (ja) ドアグリップ取付け構造
JP4090818B2 (ja) 車両における内装部品のポケット構造
CN208010067U (zh) 马蹄形锁以及一种自行车
KR200264235Y1 (ko) 스페어타이어 체결 클램프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