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658A -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의 이온 전도성 개선을 위한 첨가제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의 이온 전도성 개선을 위한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658A
KR20160052658A KR1020167008742A KR20167008742A KR20160052658A KR 20160052658 A KR20160052658 A KR 20160052658A KR 1020167008742 A KR1020167008742 A KR 1020167008742A KR 20167008742 A KR20167008742 A KR 20167008742A KR 20160052658 A KR20160052658 A KR 2016005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weight
formula
organic
oc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405B1 (ko
Inventor
그레고리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6005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위한 전극 물질, 바람직하게는 양전극 물질, 상기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전극 물질을 혼입시킨 리튬 이온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전극 물질은 하기를 포함한다:
- 전기 전도성 첨가제, 예컨대 탄소;
- 리튬의 옥시드, 포스페이트,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실리케이트인 활성 물질;
- 폴리머 결합제, 예컨대 PVDF; 및
- 명시된 화학 제형에 상응하는 유기 염, 예를 들어 LiPDI, LiTDI, LiPDCI, LiDCTA, LiFSI, LiTFSI (임의로는, 혼합물로서).
유기 염은 전극의 이온 전도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Description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의 이온 전도성 개선을 위한 첨가제 {ADDITIVES FOR IMPROVING THE IONIC CONDUCTIVITY OF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Li-이온 유형의 리튬 저장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 저장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Li-이온 배터리 전극 물질, 그 제조 방법 및 Li-이온 배터리에서의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물은 상기 전극 물질을 혼입시킴으로써 제조되는 Li-이온 배터리이다.
Li-이온 저장 배터리 또는 리튬 배터리의 기본 전지는 일반적으로 리튬 금속으로 만들어진 또는 탄소 기재의 애노드 (방전시) 및 일반적으로 금속 옥시드 유형의 리튬 삽입 화합물, 예컨대 LiMn2O4, LiCoO2 또는 LiNiO2 로 만들어진 캐쏘드 (마찬가지로, 방전시) 를 포함하는데, 그 사이에 리튬 이온을 전도시키는 전해질이 삽입된다.
사용시에, 따라서 배터리의 방전 동안, 이온 형태 Li+ 로 애노드에 의한 (-) 극에서의 산화에 의해 방출된 리튬은 전도성 전해질을 통해 이동하고, 캐쏘드 (+) 극의 활성 물질의 결정 격자에서의 환원 반응에 의해 삽입될 것이다. 배터리의 내부 회로의 각 Li+ 이온의 통과는 외부 회로의 전자의 통과에 의해 정확히 보완되는데, 컴퓨터 또는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 분야, 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보다 큰 전력 및 에너지 밀도의 적용 분야의 각종 기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류를 발생시킨다.
충전시, 전기화학 반응은 뒤바뀌고, 리튬 이온은 (+) 극, "캐쏘드" (방전시의 캐쏘드는 재충전시의 애노드가 됨) 에서의 산화에 의해 방출되고, 이들은 전도성 전해질을 통해 그로부터의 역 방향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이들은 방전 동안 순환됨), (-) 극, "애노드" (마찬가지로, 방전시의 애노드는 재충전시의 캐쏘드가 됨) 에서의 환원에 의해 침착 또는 삽입될 것이며, 이때 이들은 단락 회로의 가능한 원인인 리튬 금속의 댄드라이트(dendrite) 를 형성할 수 있다.
캐쏘드 또는 애노드는 일반적으로 하기로 이루어진 복합 물질이 침착된 하나 이상의 집전 장치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 (리튬에 대하여 전기화학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활성임), 결합제로서 작용하고 일반적으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같은 관능기화 또는 비관능기화 플루오로폴리머,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유형의 수성-기재 폴리머,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인 하나 이상의 폴리머, 더불어 하나 이상의 전자-전도성 첨가제 (일반적으로, 탄소의 동소체 형태임).
음전극에서의 종래의 활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리튬 금속, 그래파이트, 규소/탄소 복합물, 규소, CFx 유형의 플루오로그래파이트 (x 는 0 내지 1 임) 및 LiTi5O12 유형의 티타네이트이다.
양전극에서의 종래의 활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LiMO2 유형, LiMPO4 유형, Li2MPO3F 유형, Li2MSiO4 유형 (이때, M 은 Co, Ni, Mn, Fe 또는 이들의 조합임), LiMn2O4 유형 또는 S8 유형이다.
최근에, 전해질의 전극의 코어로의 투과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만드는 첨가제를 사용해 왔다. 고에너지 배터리, 다시 말해 보다 높은 전기 저장 용량을 갖는 배터리에 관한 수요 성장의 결과로서, 전극의 두께가 증가하고 있고 따라서 전해질의 투과성이 배터리의 전체 저항성에 있어서 중요해지고 있다. 상기 투과성의 개선 목적으로, 특허 WO2005/011044 는 Al2O3 및 SiO2 와 같은 금속 옥시드의 "무기" 충전제의 첨가를 기재한다.
이들 무기 충전제는 전극의 종래의 제조 방법 동안에 첨가된다. 상기 종래의 방법은, 예를 들어 N-메틸피롤리돈, 아세톤, 물 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용매 또는 용매들의 혼합물 중에 상이한 성분들을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a) 복합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중량% 또는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2 중량% 의 함량 범위의, 하나 이상의 전도성 첨가제;
b) Li/Li+ 쌍에 대해 2V 보다 큰 전기화학 전위를 갖는, 리튬을 갖는 삽입 화합물을 가역적 형성할 수 있는 전극 활성 물질로서의 리튬 옥시드, 포스페이트,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실리케이트;
c) 폴리머 결합제.
이어서, 수득한 잉크가 집전 장치 상에 코팅되고, 용매 또는 용매들은 30 내지 200℃ 범위의 가열에 의해 증발된다.
이들 무기 충전제의 결함은 전극의 활성 물질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용량을 감소시킨다는 점이지만, 또한 이들 충전제만이 전해질의 거시적 확산의 개선을 가능하게 만든다.
사실상, 전극에서, 배터리의 성능에 대해 제한하는 활성 물질/전해질 계면의 전하 저항성인 것이다. 상기 저항성은 거시적 무기 충전제의 첨가에 의해 개선될 수 없는 미시적 효과이다.
출원인은, 활성 물질의 표면에서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갖도록 선택된 유기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염의 첨가가 전극의 이온 전도성의 증가를 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우선 Li-이온 저장 배터리의 전극의 제형, 바람직하게는 캐쏘드 제형의 이온 전도성 첨가제로서의 유기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 염은 또한 Na-이온 배터리의 전극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물은 배터리 전극으로서의 상기 제형의 용도이다.
이온-전도성 첨가제는 상기 기재된 전극의 제조 방법의 조건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친핵성 용매에 대한 불안정성 및 온도 불안정성으로 인해 LiPF6, 대부분의 전해질에서 현재 사용되는 리튬 염은 이온 전도성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를 포함하는, Li-이온 배터리 전극 복합 물질, 바람직하게는 양전극 물질에 관한 것이다:
a) 복합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중량% 또는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2 중량% 의 함량 범위의, 하나 이상의 전자-전도성 첨가제;
b) Li/Li+ 쌍에 대해 2V 보다 큰 전기화학 전위를 갖는, 리튬을 갖는 삽입 화합물을 가역적 형성할 수 있는 전극 활성 물질로서의 리튬 옥시드, 포스페이트,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실리케이트;
c) 폴리머 결합제;
d) 하나 이상의 식 A 및/또는 B 의 유기 염:
Figure pct00001
식 (A) 에서, -Xi- 는 독립적으로 하기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고: -N=, -N--, -C(R)=, -C-(R)-, -O-, -S(=O)(R)= 또는 -S(R)=, R 은 F, CN, NO2, S-CN, N=C=S, -OCnHmFp, -CnHmFp (n, m 및 p 는 정수임)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식 (A) 의 화합물은 하기 나타낸 이미다졸레이트, 유리하게는 리튬 이미다졸레이트이다:
Figure pct00002
[식 중, R 은 F 또는 -CnHmFp 를 나타냄]. 이들 리튬 염은 물에 대한 그 불감응성으로 인해 특히 유리한데, 이는 전극의 제조 방법에서의 가능한 단순 사용을 만든다.
식 (B) 에서, Rf 는 F, CF3, CHF2, CH2F, C2HF4, C2H2F4, C2H3F2, C2F5, C3F6, C3H2F5, C3H4F3, C4F9, C4H2F7, C4H4F5, C5F11, C3F5OCF3, C2F4OCF3, C2H2F2OCF3 또는 CF2OCF3 을 나타내고, Z 는 F, CN, SO2Rf, CO2Rf 또는 CORf 로부터 선택되는 전자 끄는 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에서, M+ 은 리튬 양이온, 나트륨 양이온, 4 차 암모늄 또는 이미다졸륨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d) 는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유리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로 가변적일 수 있다.
폴리머 결합제는 유리하게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와 같은 관능기화 또는 비관능기화 플루오로폴리머,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유형의 수성-기재 폴리머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로부터 선택된다.
전자-전도성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의 상이한 동소체 형태 또는 전도성 유기 폴리머로부터 선택된다.
전극의 제조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상기 기재된 전극 복합 물질의 제조 방법이다:
i)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현탁물의 제조 단계:
- 하나 이상의 식 A 및/또는 B 의 유기 염;
- 전자-전도성 첨가제;
- 폴리머 결합제;
- 하나 이상의 휘발성 용매;
- 리튬 옥시드, 포스페이트,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전극 활성 물질, 및
ii) (i) 에서 제조한 현탁물로부터 개시한, 필름의 제조 단계.
현탁물을 임의의 기계적 방식으로, 예를 들어 로터-스테이터(rotor-stator) 또는 앵커 교반기를 사용해, 또는 초음파에 의해서 분산 및 균질화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현탁물을 순수 상태 또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용매(들) 중의 용액의 형태의 폴리머, 순수 상태 또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용매(들) 중의 현탁물의 형태의 유기 염, 전자-전도성 첨가제 및 순수 상태의 활성 물질로부터 임의로는 50 내지 150℃ 의 온도에서의 건조 단계 후에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용매(들) 는 유기 용매 또는 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유기 용매로서 유기 용매 N-메틸피롤리돈 (NMP) 또는 디메틸 술폭시드 (DMSO) 를 언급할 수 있다.
현탁물을 단일 단계, 또는 2 또는 3 개의 연이은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현탁물을 2 개의 연이은 단계로 제조하는 경우, 하나의 구현예는 제 1 단계에서 용매, 유기 염(들) 및 임의로는 폴리머 결합제 모두 또는 일부를 함유하는 분산물을 기계적 방식을 사용해 제조한 후, 제 2 단계에서 복합 물질의 기타 성분을 상기 제 1 분산물에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필름을 제 2 단계의 종료시에 현탁물로부터 수득한다.
현탁물을 3 개의 연이은 단계로 제조하는 경우, 하나의 구현예는 제 1 단계에서 용매 중의 유기 염(들) 및 임의로는 폴리머 결합제 모두 또는 일부를 함유하는 분산물을 제조한 후, 제 2 단계에서 활성 물질을 첨가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분말을 수득한 다음, 용매 및 복합 물질의 성분의 나머지를 첨가해 현탁물을 수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필름을 제 3 단계의 종료시에 현탁물로부터 수득한다.
식 A 및/또는 B 의 유기 염의 용해를 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물은 전극 복합 물질의 제조에서의, 이온 전도성 첨가제로서의 하나 이상의 식 A 및/또는 B 의 유기 염의 용도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주제물은 상기 물질을 혼입시킨 Li-이온 배터리이다.
실시예 1:
Figure pct00003
교반을 로터-스테이터를 사용해 수행한다. 0.0197 g 의 LiTDI (상기 식) 를 플라스크에 둔다. 용해를 7.08 g 의 NMP 로 수행하고, 용액을 25℃ 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둔다. 0.1974 g 의 PVDF (Kynar®)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켜 둔다. 이어서, 0.1982 g 의 Super P 탄소 (Timca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시켜 둔다. 마지막으로, 4.5567 g 의 LiMn2O4 및 2.52 g 의 NMP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시켜 둔다. 이어서, 현탁물을 알루미늄 시이트 위에 100 μm 두께의 필름 형태로 확산시킨다. 필름을 130℃ 에서 5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실시예 2:
Figure pct00004
교반을 로터-스테이터를 사용해 수행한다. 0.0212 g 의 LiTDI 를 플라스크에 둔다. 용해를 2.84 g 의 NMP 로 수행하고, 용액을 25℃ 에서 10 분 동안 교반시켜 둔다. 0.1063 g 의 PVDF (Kynar®)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켜 둔다. 이어서, 0.1059 g 의 Super P 탄소 (Timca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시켜 둔다. 마지막으로, 4.5580 g 의 LiNi1/3Mn1/3Co1/3O2 및 4.52 g 의 NMP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시켜 둔다. 현탁물을 알루미늄 시이트 위에 250 μm 두께의 필름 형태로 확산시킨다. 필름을 130℃ 에서 8 시간 동안 건조시켜 둔다.

Claims (10)

  1. 하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극 복합 물질, 바람직하게는 양전극 물질:
    a) 복합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중량% 또는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2 중량% 의 함량 범위의, 하나 이상의 전자-전도성 첨가제;
    b) Li/Li+ 쌍에 대해 2V 보다 큰 전기화학 전위를 갖는, 리튬을 갖는 삽입 화합물을 가역적 형성할 수 있는 전극 활성 물질로서의 리튬 옥시드, 포스페이트,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실리케이트;
    c) 폴리머 결합제;
    d) 하나 이상의 식 A 및/또는 B 의 유기 염:
    Figure pct00005

    [식 A 에서 -Xi- 는 하기 기 또는 원자를 나타내고: -N=, -N--, -C(R)=, -C-(R)-, -O-, -S(=O)(R)= 또는 -S(R)=, R 은 F, CN, NO2, S-CN, N=C=S, -OCnHmFp 및 -CnHmFp (n, m 및 p 는 정수임) 를 나타내고; 식 B 에서 Rf 는 F, CF3, CHF2, CH2F, C2HF4, C2H2F4, C2H3F2, C2F5, C3F6, C3H2F5, C3H4F3, C4F9, C4H2F7, C4H4F5, C5F11, C3F5OCF3, C2F4OCF3, C2H2F2OCF3 또는 CF2OCF3 을 나타내고, Z 는 F, CN, SO2Rf, CO2Rf 또는 CORf 로부터 선택되는 전자 끄는 기를 나타내고, M+ 는 리튬, 나트륨, 4 차 또는 이미다졸륨 양이온을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식 A 의 화합물이 이미다졸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미다졸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기 염(들) 이 물질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결합제가 플루오로폴리머, 수성-기재 폴리머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전도성 첨가제가 탄소의 상이한 동소체 형태 또는 전도성 유기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6.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물질의 제조 방법:
    i)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현탁물의 제조 단계:
    - 하나 이상의 식 A 및/또는 B 의 유기 염;
    - 전자-전도성 첨가제;
    - 폴리머 결합제;
    - 하나 이상의 휘발성 용매;
    - 리튬 옥시드, 포스페이트,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전극 활성 물질, 및
    ii) (i) 에서 제조한 현탁물로부터 개시한, 필름의 제조 단계.
  7. 제 6 항에 있어서, 휘발성 용매(들) 가 유기 용매 및 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N-메틸피롤리돈 또는 디메틸 술폭시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물질을 포함하는 Li-이온 배터리.
  10. 전극 복합 물질의 제조에서의, 이온-전도성 첨가제로서의 하나 이상의 식 A 및/또는 B 의 염의 용도.
KR1020167008742A 2013-09-05 2014-07-17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의 이온 전도성 개선을 위한 첨가제 KR102243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8485A FR3010236B1 (fr) 2013-09-05 2013-09-05 Additifs pour ameliorer la conductivite ionique des electrodes de batteries li-ion
FR13.58485 2013-09-05
PCT/FR2014/051833 WO2015033038A1 (fr) 2013-09-05 2014-07-17 Additifs pour améliorer la conductivité ionique des électrodes de batteries lithium-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658A true KR20160052658A (ko) 2016-05-12
KR102243405B1 KR102243405B1 (ko) 2021-04-21

Family

ID=5002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742A KR102243405B1 (ko) 2013-09-05 2014-07-17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의 이온 전도성 개선을 위한 첨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197349A1 (ko)
EP (1) EP3042410B1 (ko)
JP (1) JP6475244B2 (ko)
KR (1) KR102243405B1 (ko)
CN (1) CN105518916B (ko)
CA (1) CA2922757C (ko)
FR (1) FR3010236B1 (ko)
WO (1) WO20150330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907A1 (ko) * 2019-02-28 2020-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1916197B2 (en) 2021-03-31 2024-02-27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additives for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5286B2 (en) 2012-05-18 2018-01-02 Gruenenthal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1r,4r)-6′-fluoro-N,N-di methyl-4-phenyl-4′,9′-dihydro-3′H-spiro[cyclohexane-1,1′-pyrano-[3,4,b]indol]-4-amine and a salicylic acid component
FR3033448B1 (fr) * 2015-03-03 2021-09-10 Arkema France Electrodes de batteries li-ion a conductivite amelioree
CN106008262B (zh) * 2016-06-13 2018-05-08 武汉海斯普林科技发展有限公司 4,5-二氰基-2-三氟甲基咪唑、其制备中间体及其盐的制备方法
US20200087262A1 (en) * 2017-03-27 2020-03-19 HYDRO-QUéBEC Salts for use in electrolyte compositions or as electrode additives
FR3081727B1 (fr) * 2018-06-01 2022-04-15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un sel de lithium de bis(fluorosulfonyl)imide
WO2020033538A1 (en) * 2018-08-08 2020-02-13 Brightvolt, Inc. Solid polymer matrix electrolyte (pm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and batteries made therewith
US11705554B2 (en) 2020-10-09 2023-07-18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s and/or components thereof comprising nitrogen-containing spec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m
CN112271335A (zh) * 2020-11-13 2021-01-26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镍正极材料的锂离子电池的电解液和锂离子电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4599A1 (en) * 2001-10-24 2003-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s
US20080206647A1 (en) * 2007-02-21 2008-08-28 Nippon Shokubai Co., Ltd. Ethylene oxide copolymer, polymer composi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11071100A (ja) * 2009-08-31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2500833A (ja) * 2008-08-29 2012-01-12 サントル ナスィオナル ド ラ ルシェルシュ スィアンティフィク 五員環状アニオン塩及び電解質へのその利用
WO2013083894A1 (fr) * 2011-12-06 2013-06-13 Arkema France Utilisation de melanges de sels de lithium comme electrolytes de batteries li-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359A (ja) * 2000-08-07 2002-02-15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
JP2002050345A (ja) * 2000-08-07 2002-02-15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40121234A1 (en) 2002-12-23 2004-06-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thode composition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7998622B2 (en) * 2004-12-02 2011-08-16 Kabushiki Kaisha Ohara All soli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a solid electrolyte therefor
JP5224675B2 (ja) * 2005-11-28 2013-07-03 株式会社日本触媒 リチウムジシアノトリアゾレート
CA2534243A1 (fr) * 2006-01-25 2007-07-25 Hydro Quebec Particules d'oxyde metallique enrobees a faible taux de dissolution, procedes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dans les systemes electrochimiques
JP5826448B2 (ja) * 2007-02-21 2015-12-02 株式会社日本触媒 エチレンオキシド系共重合体を含む重合体組成物、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90286163A1 (en) * 2008-02-29 2009-11-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lectrolyte mixtures useful for li-ion batteries
JP2011198508A (ja) * 2010-03-17 2011-10-06 Sony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液、電動工具、電気自動車および電力貯蔵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4599A1 (en) * 2001-10-24 2003-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s
US20080206647A1 (en) * 2007-02-21 2008-08-28 Nippon Shokubai Co., Ltd. Ethylene oxide copolymer, polymer composi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12500833A (ja) * 2008-08-29 2012-01-12 サントル ナスィオナル ド ラ ルシェルシュ スィアンティフィク 五員環状アニオン塩及び電解質へのその利用
JP2011071100A (ja) * 2009-08-31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3083894A1 (fr) * 2011-12-06 2013-06-13 Arkema France Utilisation de melanges de sels de lithium comme electrolytes de batteries li-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907A1 (ko) * 2019-02-28 2020-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1916197B2 (en) 2021-03-31 2024-02-27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additives for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22757C (fr) 2021-06-01
US20160197349A1 (en) 2016-07-07
CN105518916B (zh) 2019-06-04
JP6475244B2 (ja) 2019-02-27
EP3042410A1 (fr) 2016-07-13
KR102243405B1 (ko) 2021-04-21
CA2922757A1 (fr) 2015-03-12
FR3010236A1 (fr) 2015-03-06
WO2015033038A1 (fr) 2015-03-12
CN105518916A (zh) 2016-04-20
FR3010236B1 (fr) 2017-01-13
JP2016532275A (ja) 2016-10-13
EP3042410B1 (fr)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405B1 (ko)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의 이온 전도성 개선을 위한 첨가제
JP2020064866A (ja) 電池電極用水性スラリー
KR101526677B1 (ko)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유황 양극
JP2018534727A (ja) 炭素−セレン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利用
CN110707287B (zh) 一种金属锂负极及其制备方法和锂电池
CN103855431B (zh) 一种提高锂离子电池循环性能的化成方法
WO2013185629A1 (zh) 一种高能量密度充放电锂电池
KR20180044389A (ko) 희생 염을 포함하는 양극이 제공된 리튬-이온 배터리의 셀의 형성 방법
KR20160133521A (ko) 장수명 리튬-이온 배터리
JP5151329B2 (ja) 正極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2018511143A (ja) 導電率の改善されたLiイオン電池の電極
CN113067033A (zh) 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JP2013196910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7396270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2621001A1 (en) Positive electrod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positive electrode
US10916763B2 (en) Surface-fluorinated silicon-containing electrodes
US20150155561A1 (en) An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6654276A (zh) 一种以peo为粘结剂的固态锂电池电极制备方法
CN105513827A (zh) 一种(lmo-ncm-ac)/(lto-ac)混合电池电容电极材料及电极片
WO2014006973A1 (ja) 蓄電デバイス用電極、そ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法
CN108987705A (zh) 一种电极材料组合物、锂离子电池正极片和锂离子电池
JP2005519426A (ja) アノードとして炭素質材料と炭化モリブデンとを有する電気化学電池
CN108987803B (zh) 一种用于锂硫电池的锂金属负极成膜电解液及其添加剂
JP7396271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TW200830606A (en) Electrolyte for lithium ion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