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366A -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366A
KR20160046366A KR1020140141669A KR20140141669A KR20160046366A KR 20160046366 A KR20160046366 A KR 20160046366A KR 1020140141669 A KR1020140141669 A KR 1020140141669A KR 20140141669 A KR20140141669 A KR 20140141669A KR 20160046366 A KR20160046366 A KR 20160046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late
cooking
thermal spraying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환
Original Assignee
정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환 filed Critical 정인환
Priority to KR102014014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366A/ko
Publication of KR2016004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기 및 스팀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가열 조리하는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중앙에 열기 공급공, 외측에 물 저장부를 형성하는 하부 본체(10) 상부로 중앙에 열기 분출수단(20), 외측에 기름 수거판(30)을 안착 설치하여 하부 열원의 열기와 스팀에 의해 가열 조리하되,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은 열기 분출공(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열기 분출판(21)과 상기 열기 분출구 상부에 간격 조절구(25)에 의해 이격 설치되는 접시 모양의 열기 분산판(27)으로 구성되어 열기 분출공(22)을 통과한 열기를 열기 분산판(27)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면서 조리판(40)을 고르게 가열하므로 열 효율성을 더 좋게 함은 물론 조리 대상물에서 낙하는 되는 기름을 기름 수거판(30)에 의해 별도 수거하여 연기, 그름, 냄새 방지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Roasting grill using mixed heat and steam method}
본 발명은 열기 및 스팀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가열 조리하는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중앙에 열기 공급공, 외측에 물 저장부를 형성하는 하부 본체 상부로 중앙에 열기 분출수단, 외측에 기름 수거판을 안착 설치하여 하부 열원의 열기와 스팀에 의해 가열 조리하되, 상기 열기 분출수단은 하부 열원의 열기를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여 조리판을 고르게 가열하므로 열 효율성을 더 좋게 하고, 조리 대상물에서 낙하는 되는 기름을 별도 수거하여 연기, 그름, 냄새 방지 효과가 우수한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 등과 같은 조리 대상물을 구워서 조리할 때 구이용 불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이용 불판은 주로 중앙에 열기 공급공이 형성된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 상부에 안착 설치하는 상부 조리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조리판 위에 고기 등의 조리 대상물을 올려 놓고 하부 열원에 의해 직접 가열 조리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하부 열원의 열기가 하부 본체의 열기 공급공을 통해 조리판을 가열하여 조리 대상물을 간접 가열하거나 조리판의 구멍을 통해 조리 대상물을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조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이용 불판은 고기 등의 조리 대상물을 하부 열원의 열기에 의해서만 직,간접으로 가열하여 조리하기 때문에 조리 대상물이 조리판에 늘어 붙어 잘 타고, 연기도 많이 나게 되어 조리판을 자주 교체 사용하여야 함은 물론 고기 등의 경우에 육즙이 쉽게 말라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리판에 구멍이 형성된 경우, 고기 등에서 나오는 기름이 하부 열원으로 낙하되어 냄새, 연기 등이 더욱 심하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 구이용 불판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부 열원의 열기가 아닌 스팀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방식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조리 대상물, 특히 고기 등의 경우에 수분이 너무 스며들고 열기에 의해 가열 조리하는 것이 아니라서 맛이 현저히 떨어지고 조리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구이용 불판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부 열원의 열기와 함께 스팀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방식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조리 대상물이 조리판에 늘어 붙지 않아 잘 타지 않고 육즙도 쉽게 마르지 않으면서 열기에 의해 가열 조리하는 것이어서 맛도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갖고 있으나, 하부 열원의 열기와 스팀이 조리판을 고르게 가열 조리하지 못하여 조리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조리판에서 낙하되는 기름이 하부 본체의 저장된 물이나 하부 열원으로 낙하되어 조리 과정중에 냄새, 연기, 그름 등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실용신안출원 제20-1997-8482호 특허출원 제10-2006-108778호 특허출원 제10-2007-76415호 특허출원 제10-2009-1035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중앙에 열기 공급공, 외측에 물 저장부를 형성하는 하부 본체 상부로 중앙에 열기 분출수단, 외측에 기름 수거판을 안착 설치하여 하부 열원의 열기와 스팀에 의해 가열 조리하되, 상기 열기 분출수단은 하부 열원의 열기를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여 조리판을 고르게 가열하므로 열 효율성을 더 좋게 하고, 조리 대상물에서 낙하는 되는 기름을 별도 수거하여 연기, 그름, 냄새 방지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에 하부 열원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공급하는 열기 공급공을 형성하고 외측에 물을 담아 두는 물 저장부를 형성하는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열기 공급공 상부로 안착 설치되어 하부 열원의 열기를 분출하는 열기 분출수단과, 상기 하부 본체 상부로 안착 설치되되 중앙에 적어도 열기 분출수단 보다 직경이 큰 스팀공을 형성하고 외측에 낙하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 수거부를 형성하는 기름 수거판 및, 상기 기름 수거판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조리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열기 분출수단은 열기 분출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열기 분출판과 상기 열기 분출구 상부에 간격 조절구에 의해 이격 설치되는 접시 모양의 열기 분산판으로 구성되어 열기 분출공을 통과한 열기를 열기 분산판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면서 조리판을 고르게 가열 조리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열기 분출수단의 열기 분출판은 열기 분출공을 방사상 위치에서 와류를 일으키도록 측방으로 경사 안내하도록 형성하고, 하부에 등각 위치로 안착 지지홈을 갖는 지지 다리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지지 다리는 열기 분출판을 부분 타발 및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열기 분출수단의 간격 조절구는 열기 분출판과 열기 분산판 사이에 원판 형태의 스페이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하여 이격 설치하되, 상기 열기 분출판과 열기 분산판 사이의 이격 간격에 따라 하부 열원의 열기 세기를 조리판에 달리 조절하며 전달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열기 분출수단의 열기 분산판은 하부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되게 안내하는 경사 곡면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에 열기 공급공, 외측에 물 저장부를 형성하는 하부 본체 상부로 중앙에 열기 분출수단, 외측에 기름 수거판을 안착 설치하여 하부 열원의 열기와 스팀에 의해 가열 조리하되, 상기 열기 분출수단은 열기 분출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열기 분출판과 상기 열기 분출구 상부에 간격 조절구에 의해 이격 설치되는 접시 모양의 열기 분산판으로 구성되어 열기 분출공을 통과한 열기를 열기 분산판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면서 조리판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도록 하므로 열 효율성을 더 좋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기 분출수단는 열기 분출판과 열기 분산판 사이의 이격 간격에 따라 하부 열원의 열기 세기를 조리판에 달리 조절하여 전달하므로 열 효율성이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조리판에서 조리 과정중에 낙하되는 기름을 하부 본체의 물 저장부나 하부 열원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기름 수거판에서 별도 수거하여 종래에 비해 연기, 냄새, 그름 발생이 현저히 저하되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면서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구이용 불판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구이용 불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2의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열기 분출수단을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열기 분출수단의 요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하부 열원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공급하는 열기 공급공(11)을 형성하고 외측에 물을 담아 두는 물 저장부(12)를 형성하는 하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10)의 열기 공급공(11) 상부로 안착 설치되어 하부 열원의 열기를 분출하는 열기 분출수단(20)과,
상기 하부 본체(10) 상부로 안착 설치되되 중앙에 적어도 열기 분출수단(20) 보다 직경이 큰 스팀공(31)을 형성하고 외측에 낙하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 수거부(32)를 형성하는 기름 수거판(30) 및,
상기 기름 수거판(3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조리판(40)으로 구성하되,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은 열기 분출공(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열기 분출판(21)과 상기 열기 분출구 상부에 간격 조절구(25)에 의해 이격 설치되는 접시 모양의 열기 분산판(27)으로 구성되어 열기 분출공을 통과한 열기를 열기 분산판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면서 조리판을 고르게 가열 조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본체(10)는 상부 테두리에 안착부(13)를 단차 형성하여 기름 수거판(30)의 상부 테두리에 단차 형성된 안착 지지부(33)를 안착 설치하는데, 상기 기름 수거판(30)의 저면이 하부 본체(10)의 물 저장부(12)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 보다 상부로 이격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물 저장부(12)의 물을 가열하여 발생한 스팀이 기름 수거판(30)의 스팀공(31)과 열기 분출수단(20) 사이 간극(T)을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되는 하부 열원의 열기와, 기름 수거판(30)의 스팀공(31)에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조리판(40)을 고르게 가열 조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은 열기 분출판(21)과 간격 조절구(25) 및 열기 분산판(27)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에 볼트공을 형성하여서 볼트 조립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 제작하는데, 상기 열기 분출판(21)은 열기 분출공(22)을 방사상 위치에서 와류를 일으키도록 측방으로 경사 안내하도록 형성하고, 하부에는 등각 위치로 안착 지지홈(23a)을 갖는 지지 다리(23)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지지 다리(23)는 별도 접합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열기 분출판(21)을 부분 타발 및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 다리(23)를 부분 타발 및 절곡한 위치에는 수직으로 열기를 안내하는 보조 열기 토출공(23b)이 더 형성된다.
상기 간격 조절구(25)는 열기 분출판(21)과 열기 분산판(27) 사이에 원판 형태의 스페이서(26)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하여 이격 설치하되, 상기 열기 분출판(21)과 열기 분산판(27) 사이의 이격 간격에 따라 하부 열원의 열기 세기를 조리판(40)에 달리 조절하며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열기 분출판(21)과 열기 분산판(27) 사이의 이격 간격이 크면 열기 분산판(21)에서 토출된 열기가 외 측방 보다 조리판(40)에 더 신속하게 전달되어 열원의 열기 세기가 크게 되고, 반대로 이격 간격이 적으면 열기 분산판(21)에서 토출된 열기가 더욱 측방으로 분산되면서 조리판(40)에 더디게 전달되어 열원의 열기 세기가 좀 작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기 분산판(27)은 접시 모양으로 하부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되게 안내하는 경사 곡면부(28)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10)의 열기 공급공(11)에는 열기 분출판의 지지 다리(23)에 형성된 안착 지지홈(23a)을 안착 설치하기 위해 수직 절곡한 수직 절곡부(15)를 형성하고, 상기 기름 수거판(30)의 스팀공(31)에는 하부 본체의 물 저장부(12)에서 가열된 스팀을 상부로 안내하기 위해 경사지게 절곡한 경사 절곡부(3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리판(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로서, 41은 조리판에 형성된 구멍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하부 본체(10)를 하부 열원(예를 들면 가스렌지, 전기렌지, 브루스터, 숯불 등)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본체(10)의 물 저장부(12)에 적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중앙의 열기 공급공(11) 상부에 열기 분출수단(20)을 안착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은 하부 위치의 열기 분출판(21) 하부 등각 위치에 지지 다리(23)를 돌출 형성하는데, 상기 지지 다리(23)에 형성된 안착 지지홈(23a)을 열기 공급공(11) 외측의 수직 절곡부(15) 상부에 안착시켜 움직임이 없도록 안착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열기 분출판(21)의 지지 다리(23)는 열기 분출판(21)을 부분 타발한 후 수직으로 절곡하여 간단히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본체(10) 상부 테두리의 안착부(12)에 기름 수거판(30)의 안착 지지부(33)가 안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기름 수거판(30) 중앙의 스팀공(31)은 열기 분출수단(20) 보다 직경이 커서 스팀이 공급될 수 있는 이격 간극(T)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기름 수거판(30) 상부에 조리판(40)을 안착 설치하여 조리 준비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조리판(40) 상부에 고기 등과 같은 조리 대상물을 올려 놓고 하부 열원의 열기와 함께 스팀에 의해 고르게 가열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열원의 열기는 하부 본체(10) 중앙의 열기 공급공(11)을 통해 열기 분출수단(20)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면서 조리판(40)을 고르게 가열 조리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은 열기 분출판(21) 상부에 간격 조절구(25)에 의해 이격된 위치로 열기 분산판(27)이 설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상기 하부 열원의 열기가 열기 분출판(21)의 방사상 위치에서 측 방향으로 형성된 열기 분출공(22)을 통해 와류를 일으키도록 측방향으로 분출됨과 함께 열기 분출판의 지지 다리 위치로 관통 형성된 보조 열기 토출공(23b)에서 수직으로 분출된 후 접시 모양의 열기 분산판(27) 하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 곡면부(28)에 의해 외 측방을 향해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기 분출판(21)과 열기 분산판(27)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스페이서(26) 수효에 따라 열기 분출판(21)과 열기 분산판(27) 사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여 조리판(40)에 전달되는 하부 열원의 세기를 달리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열기 분출판(21)과 열기 분산판(27) 사이의 이격 간격이 크면 열기 분산판(21)에서 토출된 열기가 외 측방 보다 조리판(40)에 더 신속하게 전달되어 열원의 열기 세기가 크게 되고, 반대로 이격 간격이 적으면 열기 분산판(21)에서 토출된 열기가 더욱 측방으로 분산되면서 조리판(40)에 더디게 전달되어 열원의 열기 세기가 좀 작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 열원의 열기를 열기 분출수단(21)에서 외 측방을 향해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여 조리판(40)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 조리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본체(10)의 물 저장부(12)에서 하부 열원에 의해 가열된 스팀은 하부 본체(10) 중앙의 스팀공(11)과 열기 분출수단(20) 사이의 이격 간극(T)을 통해 상부로 공급하는데,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되는 열기와 함께 외 측방으로 분산되어 상부 조리판(40)을 더 효과적으로 가열 조리하는 상승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리판(40) 상부에 올려 놓은 조리 대상물은 열기 분출수단(20)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되는 하부 열원의 열기와 스팀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 조리하기 때문에 고기 등이 일부는 익고 일부는 잘 익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태우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리판(40)의 고기 등에서 낙하되는 기름이 조리판의 구멍(41)을 통해 하부 본체 상부에 안착된 기름 수거판(30)의 기름 수거부(32)로 낙하되어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조리판(40)의 구멍(41)을 통해 낙하되는 기름이 종래와 같이 하부 본체(10)의 물 저장부(12)나 하부 열원으로 직접 낙하되는 것이 아니어서 연기, 그름, 냄새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쾌적한 조리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하부 본체 11: 열기 공급공
12: 물 저장부 20: 열기 분출수단
21: 열기 분출판 22: 열기 분출공
25: 간격 조절구 27: 열기 분산판
28: 경사 곡면부 23: 지지 다리
30: 기름 수거판 31: 스팀공
32: 기름 수거부 40: 조리판

Claims (4)

  1. 중앙에 하부 열원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공급하는 열기 공급공(11)을 형성하고 외측에 물을 담아 두는 물 저장부(12)를 형성하는 하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10)의 열기 공급공(11) 상부로 안착 설치되어 하부 열원의 열기를 분출하는 열기 분출수단(20)과,
    상기 하부 본체(10) 상부로 안착 설치되되 중앙에 적어도 열기 분출수단(20) 보다 직경이 큰 스팀공(31)을 형성하고 외측에 낙하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 수거부(32)를 형성하는 기름 수거판(30) 및,
    상기 기름 수거판(3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조리판(40)으로 구성하되,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은 열기 분출공(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열기 분출판(21)과 상기 열기 분출구 상부에 간격 조절구(25)에 의해 이격 설치되는 접시 모양의 열기 분산판(27)으로 구성되어 열기 분출공을 통과한 열기를 열기 분산판에서 외 측방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면서 조리판을 고르게 가열 조리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의 열기 분출판(21)은 열기 분출공(22)을 방사상 위치에서 와류를 일으키도록 측방으로 경사 안내하도록 형성하고, 하부에 등각 위치로 안착 지지홈(23a)을 갖는 지지 다리(23)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지지 다리(23)는 열기 분출판(21)을 부분 타발 및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의 간격 조절구(25)는 열기 분출판(21)과 열기 분산판(27) 사이에 원판 형태의 스페이서(26)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하여 이격 설치하되, 상기 열기 분출판(21)과 열기 분산판(27) 사이의 이격 간격에 따라 하부 열원의 열기 세기를 조리판(40)에 달리 조절하며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분출수단(20)의 열기 분산판(27)은 하부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되게 안내하는 경사 곡면부(28)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20140141669A 2014-10-20 2014-10-20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20160046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669A KR20160046366A (ko) 2014-10-20 2014-10-20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669A KR20160046366A (ko) 2014-10-20 2014-10-20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366A true KR20160046366A (ko) 2016-04-29

Family

ID=5591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669A KR20160046366A (ko) 2014-10-20 2014-10-20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3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908B1 (ko) * 2019-01-25 2019-12-02 장문영 구이팬
KR102543463B1 (ko) 2023-01-12 2023-06-13 김현상 구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482A (ko) 1995-07-31 1997-02-24 김광호 반도체 장치 소자분리 방법
KR20060108778A (ko) 2004-02-13 2006-10-18 에프씨아이 더욱 얇은 설계를 구비하는 커넥터
KR20070076415A (ko) 2006-01-18 2007-07-24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KR20090010353A (ko) 2007-07-23 2009-01-30 주식회사 에코그린 엘리미네이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배출가스습식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482A (ko) 1995-07-31 1997-02-24 김광호 반도체 장치 소자분리 방법
KR20060108778A (ko) 2004-02-13 2006-10-18 에프씨아이 더욱 얇은 설계를 구비하는 커넥터
KR20070076415A (ko) 2006-01-18 2007-07-24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KR20090010353A (ko) 2007-07-23 2009-01-30 주식회사 에코그린 엘리미네이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배출가스습식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908B1 (ko) * 2019-01-25 2019-12-02 장문영 구이팬
KR102543463B1 (ko) 2023-01-12 2023-06-13 김현상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962B1 (ko) 고기구이용 불판
US5967135A (en) Cooking device with convection powered fan and water reservoir
CA2664144C (en) Cooking apparatus with concave emitter
US5617778A (en) Gas Barbecue Assembly
US5735260A (en) Tile for use with a cooking grill
CN107708507B (zh) 改进用于烹调的木炭燃烧的系统及方法
AU2017258917A1 (en) Grilling Oven
US20120234308A1 (en) Grill System
US2002016646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rting a barbecue grill into a smoker device
KR101721910B1 (ko) 직화구이 스팀 불판
US9486000B2 (en) Grilltop smoker box
KR20160046366A (ko)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1522716B1 (ko)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US10610052B2 (en) Grill
KR101570035B1 (ko) 고기구이용 불판
WO2015190649A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102389711B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101482503B1 (ko)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20160086614A (ko) 석쇠형 불판
KR10141763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스ㆍ숯불 겸용 구이용 로스터 및 그 로스터가 설치된 테이블
DE102011114563A1 (de) Gesicherte, geregelte und gerichteten gleichmäßigen Erzeugung von Grillwärme mittels Holzkohle, oder ein anderer kohleartiger Brennstoff in einem PAD mit einem speziell geformten Deckel.
KR101251739B1 (ko) 구이판
KR101938531B1 (ko) 구이판
KR101100800B1 (ko) 원적외선 세라믹 조리장치
KR101308233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