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778A - 더욱 얇은 설계를 구비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더욱 얇은 설계를 구비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778A
KR20060108778A KR1020067018631A KR20067018631A KR20060108778A KR 20060108778 A KR20060108778 A KR 20060108778A KR 1020067018631 A KR1020067018631 A KR 1020067018631A KR 20067018631 A KR20067018631 A KR 20067018631A KR 20060108778 A KR20060108778 A KR 20060108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ransverse
transverse direction
shiel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르 스틴 헨드리쿠스 페트루스 지스베르투스 반
마르셀 피터 메이저
폴 요하네스 매리너스 포터즈
미첼 폰테뉴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2006010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aper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이 커넥터는 복수의 말단(7)과, 말단을 지지하는 전기 절연체(5)와, 쉴드(6)와, 적어도 횡방향 측벽(19)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20)을 포함한다. 개구(23)는 상기 측벽(19)에 제공되고, 쉴드는 상기 개구(23)에 수용되는 양각(60b)를 포함한다.
커넥터, 말단, 절연체, 쉴드, 측벽, 하우징, 개구, 양각.

Description

더욱 얇은 설계를 구비하는 커넥터{A CONNECTOR WITH A THINNER DESIGN}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의 연결 방향을 따라 상보적인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말단과,
상기 말단을 지지하는 전기 절연체와,
쉴드(shield)와,
적어도 횡방향 측벽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커넥터는 EP1220370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외부 하우징이 완전히 쉴드를 둘러싼다.
이러한 커넥터가 얇다 하더라도 더욱 얇은 커넥터를 달성할 계속적인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기 절연체가 그러한 커넥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얇은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종속항에 기재된 하나 또는 몇몇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0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또 다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커넥터의 말단의 확대도이다.
도1 및 도2는 모바일 전화기에 대한 입/출력 플러그와 같은 커넥터 또는 플러그(1)를 도시한다. 상기 커넥터 또는 플러그는 점선으로 표시된 길이 방향의 연결 방향 LD을 따라, 상보적인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2, 도 2에만 도시)에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커넥터(1)는 외부 하우징(20)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세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또는 기부(3) 및 상부 또는 커버(4)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또한 열가소성의 전기 절연 소재로 된 전기 절연체(5)를 포함하고, 쉴드(6)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쉴드는 접혀진(folded) 금속 쉬트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쉴드(6)는 외부 하우징(20) 내부에 위치된다.
도1의 예에서, 쉴드(6)는 하부(6a) 및 상부(6b)를 포함한다. 쉴드(6)는 절연체(5)를 둘러싸거나 커버한다.
절연체(5)는 한 줄로 배치된 복수의 말단(7)이 제공된다. 상기 말단(7)은 길이 방향 LD를 따라 절연체(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상기 말단은 케이블(8)의 각각의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면, 쉴드(6)는 케이블(8)의 브레이드(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브레이드는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차폐하게 된다.
변형율 경감 요소(strain relieving element)(9)(overmoulded bushing)는 외부 하우징의 후방에 제공됨으로써, 케이블(8)이 굽혀질 때, 말단과 와이어 사이의 (납땜) 연결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변형율 경감부(9)는 길이 방향 LD에 대하여 각이 져있고, 오프셋되어 있다.
절연체(5)는 커넥터(1)이 극성을 갖게 하고, 커넥터(1)을 커넥터(2)와 정렬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향한 페그(10, 10')가 제공된다. 페그(10, 10')는 커넥터(1)과 상보적인 커넥터(2)를 기계적으로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각각 래치(11, 11')를 포함한다.
버튼(15, 15')이 기부(3)상에 제공됨으로써 커넥터(1)와 커넥터(2)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해제하도록 래치(11, 11')를 제어한다.
커넥터(1)과 상보적인 커넥터(2)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은 EP1220370을 참조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0)은 일반적으로 제2 횡방향 TD2 방향의 두께 T2보다 얇은 제1 횡방향 TD1 방향의 T1 두께를 가진 평면 형상을 구비한다. TD1 및 TD2 방향은 길이 방향 LD에 대하여 수직이고, 서로 수직이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20)은 제1 횡방향 TD1을 따라 외향으로 대면하는 두 개의 주된 대향 측벽(17, 19)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측벽(17, 19)은 제2 횡방향 TD2 및 길이 방향 LD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개구(21, 23)를 관통하여 한정되는 컷아웃(cutout)은 측벽(17, 19)에 제공된다. 이러한 횡방향 개구(21, 23)는 말단(7) 및 절연체(5)가 길이 방향 LD로 전방 돌출하는 외부 하우징(20)의 전면 개구(25)와 연통한다.
양각(60a, 60b)은 각 쉴드 부분(6a, 6b)에 주어진다. 상기 양각(60a, 60b)은 전기 절연체(5)를 수용하는 함몰부를 한정함으로써 상기 절연체(5)는 양각(60a, 60b)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양각(60a, 60b)는 각각 횡방향 개구(21, 23)에 수용됨으로써, 양각(60a, 60b)의 외부 표면이 횡방향으로 노출되고, 측벽(17, 19)의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이 된다.
따라서, 제1 횡방향 TD1 방향의 커넥터(1)의 두께 T1은 측벽(17, 19)의 두께만큼 가령, 2 mm 만큼 감소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는 측벽(17, 19) 중 하나에만 제공됨으로써, 쉴드 부분(6a, 6b)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양각을 수용 할 수 있다.
쉴드(6)는 쉴드가 관통하는 측벽(들)의 외부 표면(들)과 반드시 동일 평면이 될 필요는 없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
도3 및 도4는 커넥터(1)의 얇은 두께(T1)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3 및 도4는 도1 및 도2의 커넥터(1)와 동일한 일반 설계이지만, 도1 및 도2의 노출되는 쉴드(6)와 같은 노출되는 쉴드(6)가 없는 커넥터(1)를 도시한다.
상세하게는 그러한 쉴드(6)는 도3 및 도4의 커넥터(1)에는 없을 수 있다.
도3 및 도4에는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두 개의 말단(7)만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커넥터(1)는 물론 두 개이상의 말단(7)을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의 각 말단(7)은 길이 방향 LD를 따라 연장하고, 접촉 말단부(31) 및 스프링부(33)를 포함한다. 부분(31)은 절연체(5) 외부로 돌출하고, 부분(33)은 절연체(5)에 끼워 넣어진다.
각각의 말단(7)에 대하여 스프링부(33)는 절연체(5)에 의하여 운반되고, 접촉 단부(31)를 케이블(8)의 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접촉 단부(31)의 통상적인 목적은 커넥터(2)의 접촉 요소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됨으로써 커넥터(1, 2)가 접촉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스프링부(33)는 접촉 부분(31)이 절연체(5)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커넥터(1)에 연결하는 동안 커넥터(2)의 접촉 요소의 가능한 손상을 감소시킨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부(33)는 구부러진 형상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부러진 형상은 길이 방향 LD 및 제2 횡방향 TD2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면에서 연장한다.
따라서, 말단(7)은 제2 횡방향 TD2를 따라 더욱 큰 폭(W2)을 구비하고, 제1 횡방향 TD1을 따라 더욱 작은 폭 W1을 구비한다.
종래의 기술의 배향에 대하여 수직인 말단(7)의 이러한 특정한 배향으로 인하여 제1 횡방향 TD1 방향의 커넥터(1)의 두께(T1)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TD2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되는 말단(7)의 수는 통상적인 커넥터에 비하여 줄어든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말단(7)은 길이 방향 LD와 횡방향 TD2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면에 대하여 0도와 45도 사이의 각만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얇은 커넥터(1)를 달성하기 위하여, 말단(7)의 이러한 배향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쉴드(6)를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내의 개구에 관한 도1 및 도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길이 방향의 연결 방향(LD)을 따라 상보적인 커넥터(2)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복수의 말단(7)과,
    상기 말단을 지지하는 전기 절연체(5)와,
    쉴드(6)와,
    적어도 횡방향 측벽(17, 19)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20)을 포함하고,
    개구(21, 23)가 상기 측벽(17, 19)에 제공되고, 쉴드(6)가 상기 개구(21, 23) 내에 수용되는 양각(60a, 60b)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60a, 60b)의 외부 표면은 상기 측벽(17, 19)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3, 4)은 두 개의 대향하는 횡방향 측벽(17, 19)을 포함하고, 개구(21, 23)는 각각의 횡방향 측벽(17, 19)에 제공됨으로써 쉴드(6)의 각각의 양각(60a, 60b)을 수용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60a, 60b)의 외부 표면은 대향하는 측벽(21, 23)의 각각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20)은 제2 횡방향(TD2) 두께(T2)보다 얇은 제1 횡방향(TD1) 두께(T1)를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측벽(17, 19)은 상기 제1 횡방향(TD1)을 따라 외향으로 대면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말단(7)은 길이 방향의 연결 방향(LD)을 따라 연장하고, 제1 횡방향(TD1)을 따라 더 작은 폭(W1)을 구비하고, 제2 횡방향(TD2)을 따라 더 큰 폭(W2)을 구비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말단(7)은 길이 방향의 연결 방향(LD) 및 제2 횡방향(TD2)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면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스프링부(33)를 포함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33)는 실질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구비하는 커넥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7)은 제2 횡방향 (TD2)을 따라 한 줄로 나란히 위치되는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60a, 60b)은 전기 절연체(5)를 수용하는 함몰부를 한정함으로써 상기 절연체가 양각(60a, 60b)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는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1)와, 케이블(8)을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KR1020067018631A 2004-02-13 2005-02-11 더욱 얇은 설계를 구비하는 커넥터 KR200601087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290401A EP1575133B1 (en) 2004-02-13 2004-02-13 A connector with a thinner design
EP04290401.1 2004-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778A true KR20060108778A (ko) 2006-10-18

Family

ID=3481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631A KR20060108778A (ko) 2004-02-13 2005-02-11 더욱 얇은 설계를 구비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1788668A3 (ko)
KR (1) KR20060108778A (ko)
CN (1) CN1918754A (ko)
AT (1) ATE357070T1 (ko)
DE (1) DE602004005302T2 (ko)
TW (1) TW200534541A (ko)
WO (1) WO20050813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66A (ko) 2014-10-20 2016-04-29 정인환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7241A1 (de) * 1986-08-19 1988-03-03 Feinmetall Gmbh Kontaktiervorrichtung
US5055070A (en) * 1990-08-29 1991-10-08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Overmolded shielded connector
JP3520468B2 (ja) * 2000-06-21 2004-04-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NL1017001C2 (nl) * 2000-12-28 2002-07-01 Fci S Hertogenbosch B V Connector en kabel die deze omvat.
JP4584504B2 (ja) * 2001-08-20 2010-11-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平衡伝送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66A (ko) 2014-10-20 2016-04-29 정인환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57070T1 (de) 2007-04-15
CN1918754A (zh) 2007-02-21
EP1575133B1 (en) 2007-03-14
EP1575133A1 (en) 2005-09-14
EP1788668A3 (en) 2008-03-26
EP1788668A2 (en) 2007-05-23
DE602004005302D1 (de) 2007-04-26
TW200534541A (en) 2005-10-16
DE602004005302T2 (de) 2008-02-14
WO2005081368A1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646A (en)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l latching and ground structure
KR100883950B1 (ko) 메이팅 커넥터에 축적된 정전하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커넥터
US713490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function latching member
KR101168093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US7086889B2 (en) Interlocking memb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700121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748819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US20080064263A1 (en) Cable connector
US2023018786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with hybrid connection for conductive terminals
JP6859998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09792124B (zh) 连接器结构
KR20170081202A (ko) 커넥터
KR20030044875A (ko) 결속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US6464534B1 (en) Flexible circuit assembly having a flexible circuit support connected to a flexible circuit
KR20080076901A (ko) 전기 커넥터
CN109755782B (zh) 连接器装置
US7556530B2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KR20060108778A (ko) 더욱 얇은 설계를 구비하는 커넥터
US7470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235736B2 (en) Connector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JP7070720B2 (ja) コネクタ装置
US2023017893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hree metal shells joined together
JP6958589B2 (ja) 電気コネクタ
JP7112062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