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807A -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807A
KR20160044807A KR1020140139734A KR20140139734A KR20160044807A KR 20160044807 A KR20160044807 A KR 20160044807A KR 1020140139734 A KR1020140139734 A KR 1020140139734A KR 20140139734 A KR20140139734 A KR 20140139734A KR 20160044807 A KR20160044807 A KR 2016004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lergic
frac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139B1 (ko
Inventor
윤주병
이현용
염지현
김광현
전지현
장환봉
황연하
성승규
최동락
Original Assignee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13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139B1/ko
Application filed by 동화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to ES15851222T priority patent/ES2823733T3/es
Priority to EP15851222.8A priority patent/EP3207935B1/en
Priority to JP2017540535A priority patent/JP6381818B2/ja
Priority to RU2017116794A priority patent/RU2671501C1/ru
Priority to AU2015331082A priority patent/AU2015331082B2/en
Priority to BR112017007748-5A priority patent/BR112017007748B1/pt
Priority to CA2964735A priority patent/CA2964735C/en
Priority to PCT/KR2015/010994 priority patent/WO2016060525A1/ko
Priority to CN201580068461.5A priority patent/CN107106622B/zh
Priority to MX2017004998A priority patent/MX2017004998A/es
Priority to US15/519,116 priority patent/US10688143B2/en
Publication of KR2016004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807A/ko
Priority to PH12017500706A priority patent/PH12017500706A1/en
Priority to ZA2017/03307A priority patent/ZA201703307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19Acanthaceae (Acanthus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ulmo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justicia)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IgE 항체 분비를 억제하며,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의 탈과립 (degranulation)을 억제할 수 있고,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Justicia genus}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justicia)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의 쥐꼬리망초속 (Justicia genus)은 쥐꼬리망초과에서 가장 큰 속으로, 약 600개의 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범열대성 및 열대성 기후를 갖는 지역에서 발견된다. 쥐꼬리망초속 식물은 다년생 초 또는 아관목이며, 그들은 두 개 입술모양의 화관(corolla)에 의하여 쉽게 인식된다. 대표적인 쥐꼬리망초속 식물로는 Justicia procumbens L., Justicia pectoralis Jacq ., Justicia gendarussa Burm . f., Justicia anselliana , Justicia adhatoda L 등이 있으나,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생리학적 활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 쥐꼬리망초속 (Justicia genus) 쥐꼬리망초 (Justicia procumbens L)는 한해살이풀로서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에 분포한다. 쥐꼬리망초의 높이는 30cm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2~4cm, 너비는 1~2cm으로 양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다. 꽃은 연한 자홍색으로 7~9월에 피며, 결실기는 9월~10월이다.
1963년 Gell P.G.H. & Coombs R.R.A는 인체내에 일어나는 과민성반응(hypersensitivity)을 크게 4가지로 구분하였는데, 이중 알레르기성 반응은 급성 반응(acute reaction)으로 분류되는 1형 과민성반응 (Type I hypersensitivity)에 해당하고 2~4형 과민성 반응(Type II-IV hypersensitivity)은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비 알레르기성 반응에 해당한다 (Gell PGH & Coombs RRA, et al. Oxford, England: Blackwell, 1963).
알레르기는 알레르겐이라고 불리우는 외래성 물질과 접한 생체가 그 물질에 대하여 정상과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이라고 정의된다. 알레르기는 꽃가루, 약물, 식물성 섬유, 세균, 음식물, 염색약, 화학물질 등의 다양한 알레르겐들 뿐만 아니라 습도, 온도, 운동 등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중이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나필락시스 및 두드러기와 같은 여러 질환들이 야기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반응은 주로 IgE 항체 의존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런 IgE 항체를 매개로 하는 알레르기성 반응을 아토피 (Atopy)라고 명명한다 (Mitsuyasu et al. Ile50Val variant of IL4Rα upregulates IgE synthesis and associates with atopic asthma. Nature genetics 19.2, 119-120, 1998). 알레르겐에 의해 활성화된 Th2 림프구가 인터류킨-4(IL-4) 또는 인터류킨-5 (IL-5)와 같은 여러 생리활성 물질들 (cytokines)을 분비하고 이들 생리활성물질들이 B 림프구를 자극하여 IgE 항체 분비가 촉진된다 (SHIMODA et al. Lack of IL-4-induced Th2 response and IgE class switching in mice with disrupted State6 gene. Nature 380, 630-633, 1996). 분비된 IgE 항체는 비만세포(mast cell)나 호염기구(basophil)등의 세포 표면에 있는 FceR1과 결합하여 이들 세포를 활성화 시킨다. 활성화된 세포들은 탈과립을 통해 여러 생리활성 물질들뿐만 아니라 히스타민, 류코트리엔, 프로스타글란딘D2등의 분비를 촉진시켜 혈관이완 (vasodilation), 평활근 수축 (smooth muscle contraction), 점액분비 (mucous secretion)등의 여러 알레르기 질환 및 기도 염증, 기도수축등과 같은 여러 호흡기 질환과 관련된 반응들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jorck, T., & Dahlen, S. E. Leukotrienes and histamine mediate IgE-dependent contractions of human bronchi: pharmacological evidence obtained with tissues from asthmatic and non-asthmatic subjects. Pulmonary pharmacology, 6(1), 87-96, 1993; Stone et al., IgE, mast cells, basophils, and eosinophils.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25(2), S73-S80, 2010).
또한, 알레르기 반응에 의하여 혈액 내 호산구(eosinophil)의 수가 증가하는 호산구 증가증(eosinophilia)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는 알레르기성 비염 및 천식, 아토피 피부염등과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어있다 (Mullarkey et al. Allergic and nonallergic rhinitis: their characterization with attention to the meaning of nasal eosinophilia.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65.2 122-126, 1980; Humbles et al. A critical role for eosinophils in allergic airways remodeling. Science 305.5691, 1776-1779, 2004; Grewe et al. A role for Th1 and Th2 cells in the immuno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Immunology today 19.8, 359-361, 1998). 특히, 폐조직에서 호산구의 증가는 천식(eosinophilic asthma) 및 폐렴 (eosinophilic pneumonia)등을 야기시키는 주요 원인 인자이며, 인터류킨-5와 이오탁신(eotaxin)등이 특정조직으로의 호산구 증가를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Van Oosterhout et al. Effect of anti-IL-5 and IL-5 on airway hyperreactivity and eosinophils in guinea pigs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47.3, 548-552, 1993; Ying et al. Eosinophil chemotactic chemokines (eotaxin, eotaxin-2, RANTES,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3 (MCP-3), and MCP-4), and CC chemokine receptor 3 expression in bronchial biopsies from atopic and nonatopic (Intrinsic) asthmatics. The Journal of Immunology 163.11, 6321-6329, 1999).
상기와 같은 연구에 기초하여, IgE 항체 분비를 억제하고 비만세포나 호염기구의 탈과립을 억제하며 호산구와 같은 염증세포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꾸준히 있어왔다.
알레르기 관련 질환에는 증상이 발생한 몸의 부위에 따라 알레르기 비염, 천식, 과민성 폐장염, 호산구성 폐렴, 아토피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혈관 부종,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위장관염, 구강-알레르기 증후군 등이 있다. 또한, 유발원인에 따라 직업성 천식, 직업성 비염, 직업성 피부염, 음식에 의한 두드러기, 음식 의존성 아나필락시스, 운동 유발성 아나팔릭시스, 운동 유발성 천식, 곤충에 쏘인 후 발생하는 아나필락시스, 고무 장갑을 끼고 생긴 피부 발진, 약물을 복용하고 생긴 두드러기, 혈관 조영제를 사용하는 검사를 받은 후 생긴 아나필락시스, 처그-스트라우스 증후군, 특발성 호산구 증다증 등이 있다.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항히스타민약물, 항류코트리엔약물, 스테로이드약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약효 및 부작용 때문에 약물사용에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알레르기 비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항히스타민제, 비충혈제거제, 항류코트리엔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항히스타민제는 졸음 등의 부작용이 있고, 슈도에페드린과 같은 비충혈제거제는 마약성분으로 두통이나 뇌졸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류코트리엔제는 우울증, 자살충동과 같은 신경정신관련 부작용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천식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로는 항류코트리엔제, 스테로이드제, 베타2 아드레날린 작용제 (b2-agonist), 항 IgE제 (Omalizumab)등이 있으며, 항류코트리엔제의 경우 위에 기술한 부작용 뿐만 아니라 천식에서의 약효 또한 적어 경증도 또는 병용요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스테로이드 치료제는 그 부작용 때문에 주로 경구형 보다는 흡입형으로 사용되고 있어 복약 순응도에서 경구형에 비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베타2 아드레날린 작용제 또한 흡입형으로 국소적인 폐의 평활근 이완 (smooth muscle relaxation)작용을 통해 기관지 수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천식 증상을 완화시키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며 장기 복용 시 오히려 천식을 악화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Salpeter, et al. Meta-analysis: effect of long-acting β-agonists on severe asthma exacerbations and asthma-related death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4.12 904-912, 2006). 항 IgE제 (Omalizumab)는 스테로이드/베타2 아드레날린 작용제에 효과가 없는 중증 천식 (severe asthma)에 사용되고 있으며, 약효는 뛰어나나 가격이 비싸고, 주사제형으로 사용되어 투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치료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조절제, 항히스타민제등이 사용되고 있다. 타크로리무스 (Tacrolimus)와 같은 면역억제제의 경우 그 효과는 뛰어나지만 고혈압, 신장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알레르기 관련 질환 치료제들은 사용의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여전히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알레르기에 의한 복잡한 작용기전 때문에 한가지 타겟을 주로 조절하는 단일 성분의 합성의약품 보다는 다양한 성분을 통해 여러 기전에 복합적으로 효과를 갖는 생약 추출물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에 복합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갖는 생약 추출물에 대한 보고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항알레르기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식물 생약 추출물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자들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을 연구하던 중, 이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효과적으로 IgE 항체 분비를 억제하며,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의 탈과립 (degranulation)을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알레르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쥐꼬리망초 속 식물이 J. adhatoda L., J. albobracteata L, J. anselliana , J. aurea Schltdl., J. betonica , J. calycina , J. ciliate , J. comata L., J. diffusa , J. dumetorum , J. extensa, J. flava , J. gendarussa Burm . f., J. ghiesbreghtiana , J. glauca , J. hayatai , J. heterocarpa T. Anders., J. hyssopifolia L., J. ideogenes , J. insularis , J. neesii , J. pectoralis Jacq ., J. plectrantus, J. prostrate , J. purpurea , J. reptans , J. rhodoptera , J. schimperiana , J. secunda , J. sericea, J. simplex , J. spicigera , J. valida 및 쥐꼬리망초(J. procumbens 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쥐꼬리망초 속 식물이 쥐꼬리망초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쥐꼬리망초는 쥐꼬리망초의 전초, 지상부, 뿌리, 잎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은 유기용매 추출물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헥산,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획물은 n-헥산, 아세트산에틸 및 수포화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용매 분획물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획물은 유기 용매를 제외한 물 분획물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비염,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중이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나필락시스 및 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알레르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품이 건강기능식품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IgE 항체 분비를 억제하며,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의 탈과립 (degranulation)을 억제할 수 있고,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쥐꼬리망초 추출물에 의한 폐세척액내 염증세포의 감소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의 쥐꼬리망초속 (Justicia genus)”은 쥐꼬리망초과에서 가장 큰 속이며, 약 600개의 종으로 이루어져 있고, 범열대성 및 열대성 기후를 갖는 지역에서 발견되는 식물이다.
본 발명의 “쥐꼬리망초 속 식물”은 쥐꼬리망초과 쥐꼬리망초 속에 속하는 식물로, 이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어 알레르기성 질환에 사용될 수 있는 한 쥐꼬리망초과 쥐꼬리망초 속에 속하는 식물을 제한없이 포함가능하다. 이와 같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J. adhatoda L., J. albobracteata L, J. anselliana , J. aurea Schltdl., J. betonica , J. calycina , J. ciliate , J. comata L., J. diffusa , J. dumetorum , J. extensa , J. flava , J. gendarussa Burm . f., J. ghiesbreghtiana, J. glauca , J. hayatai , J. heterocarpa T. Anders., J. hyssopifolia L., J. ideogenes , J. insularis , J. neesii , J. pectoralis Jacq ., J. plectrantus , J. prostrate , J. purpurea , J. reptans , J. rhodoptera, J. schimperiana , J. secunda , J. sericea , J. simplex , J. spicigera , J. valida, 및 J. procumbens 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중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 쥐꼬리망초속 (Justicia genus) 쥐꼬리망초 (Justicia procumbens L)”은 한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에 분포한다. 높이는 30cm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2~4cm, 너비는 1~2cm으로 양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다. 꽃은 연한 자홍색으로 7~9월에 피며, 결실기는 9월~10월이다. 쥐꼬리망초의 전초는 가을에 채취하여 말려 사용하며, 청열, 해독, 이습, 활혈, 지통의 효능이 있고, 세균성설사, 황달, 신염부종, 근골동통, 타박상 등에 사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의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IgE 항체 분비를 억제하며,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의 탈과립 (degranulation)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Th2 면역 기능 억제에 유용하여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2종 이상의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경우, 이는 추출 전 식물들을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각각의 식물을 추출 또는 분획한 후 혼합한 혼합 추출물 또는 분획물들을 모두 제한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더욱 바람직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은 예컨대 쥐꼬리망초(Justicia procumbens L.)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쥐꼬리망초는 구입하거나 재배한 것을 모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전초, 지상부, 잎, 뿌리, 줄기, 꽃 등을 모든 부위를 제한없이 포함하나 특히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의 전초 또는 지상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 추출물, 조추출물 또는 이의 농축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 의 저급 알코올, 헥산,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콜은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은 1 내지 100%(v/v%),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0%, 95%, 100% 알코올일 수 있다. 부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때는 수포화 부탄올(75~85% 부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분획물”은 쥐꼬리망초 조추출물을 농축하여 이를 다시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이들의 수용액 또는 비극성 용매를 개별적(또는 조합)으로 가하여 이를 더욱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 (2차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는 헥산, 아세트산에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헥산, 아세트산에틸 및 수포화 n-부탄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각각의 유기용매 층을 제외한 물 분획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분획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쥐꼬리망초 속 식물을 음건하고 분쇄하는 단계;
2) 분쇄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3)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1) 단계에 사용되는 쥐꼬리망초 속 식물은 직접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의 추출은 침지(냉침, 온침),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환류 추출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의 추출온도는 4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일 수 있고, 추출 시간은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5시간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 효율에 따라 상기 추출 횟수를 한정하지 않으나, 추출 횟수는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분획물을 얻기 위하여 1차 추출물의 농축물에 대해 5~20배(v/w)의 정제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다음에 헥산, 아세트산에틸, 부탄올(수포화 부탄올 포함),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유기용매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개별적(또는 순차적)으로 가하여 이를 더욱 추출함으로써 분획물(2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4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인 것이 좋으며, 추출 시간은 2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시간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 효율에 따라 상기 추출 횟수를 한정하지 않으나, 추출 횟수는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조추출물 내지 분획물은 의약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잔존하는 저급 알코올 및 유기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감압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통상적인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각종 알레르기 유발 자극에 의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고, 항원항체 반응에 기인하는 병적 증상은 물론이고 항원항체반응이 증명되는 질환과 매우 유사하지만 항원항체반응은 증명되지 않는 것, 또는 그러한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호흡기계, 소화기계, 순환기계 등에 나타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비염,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중이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나필락시스 및 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또는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일 수 있다.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단독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1종 이상의 의약품, 생약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식물의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해당 식물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과 혼합한 뒤 추출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추출된 후 혼합될 수 있다.
알레르기성 질환에 효과가 있어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예시는 쥐꼬리망초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천심련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혼합 추출물, 쥐꼬리망초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나도공단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혼합 추출물, 쥐꼬리망초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차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혼합추출물 또는 쥐꼬리망초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혼합추출물 등이 있다. 또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여지초, 함수초, 한련초, 관동화, 목진피, 포도엽, 내복자, 백질려, 검인, 대황, 오약, 호장근, 오미자 등 알레르기 억제 반응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다른 양태로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알레르기제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복합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 등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즈, 메틸 셀루로오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 미정질 셀룰로오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플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이산화규소 등의 광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어야 한다.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제제화 방법, 환자의 상태 및 체중, 환자의 성별, 연령, 질환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배설 속도, 반응 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처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투여량 또는 복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나, 성인 기준으로 0.001 mg/kg 내지 1000 mg/kg을 1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정맥내, 진피내, 및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투여는 경구, 비경구, 정맥내, 진피내, 및 피하 주사 경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경우, 이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필요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경우, 대상체에서는 IgE 항체 분비가 억제되고,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의 탈과립 (degranulation)이 억제되며, 특히 Th2 면역 기능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체내에서 일어나는 알레르기성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투여에 의하여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알레르기성 질환은 각종 알레르기 유발 자극에 의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고, 항원항체 반응에 기인하는 병적 증상은 물론이고 항원항체반응이 증명되는 질환과 매우 유사하지만 항원항체반응은 증명되지 않는 것, 또는 그러한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 또는 호흡기계, 소화기계, 순환기계 등에 나타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비염,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중이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나필락시스 및 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대상체는 동물을 말하며,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치료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포유 동물이다. 이러한 대상체의 바람직한 예에는 인간과 같은 영장류가 포함된다. 또한 이와 같은 대상체들에는 알레르기 반응 증상을 갖거나 이와 같은 증상을 가질 위험이 있는 대상체들이 모두 포함된다.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은 단일 또는 다중 용량으로, 단독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조성물들(다른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제 등)과 조합으로, 대상체에서 원하는 성과 또는 객관적이거나 또는 주관적인 잇점을 제공하는 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제로써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식품에 포함되어 섭취시, IgE 항체 분비를 억제하며,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의 탈과립 (degranulation)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Th2 면역 기능 억제에 유용하여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기능성 식품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식품이 건강기능식품인 알레르기 질환 에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은 식품의 생체 조절 기능을 강조한 식품으로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목적에 작용 및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이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성분은 생체 방어와 신체 리듬의 조절, 질환의 방지 및 회복에 관계하는 신체 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하게 되며, 식품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 감미료 또는 기능성 원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상기 음료에는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야채 음료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 정제, 과립, 분말, 캡슐, 액상의 용액,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여러 가지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가 있으며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나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무수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제조를 위한 과육 등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명의 또다른 양태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및 바디 세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향장 제품, 샴푸,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젤 등의 형태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클렌징액, 수렴액 및 보습액으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총 액상 중량에 대하여 0.1중량%~10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고,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값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균등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쥐꼬리망초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쥐꼬리망초는 대한민국 일대에서 채집하여 음건하였으며, 한국 국립생물자원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으로부터 식물의 기원을 동정받았다 (확증표본번호: NIBRVP0000469673). 추출용매를 물과 유기용매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n-부탄올, n-헥산,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클로로포름, 아세톤으로 달리하여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제조예 1.1 물 추출물
음건한 쥐꼬리망초를 전초(whole body), 지상부(Above ground part), 뿌리 (Root), 잎 (Leaf), 꽃 (flower)등으로 분류한 후 분쇄기 (코리아메디㈜, KSP-35)로 분쇄하였다. 분쇄기로 분쇄한 상태의 쥐꼬리망초 각 부위별로 약 5g을 정확히 취해 정제수를 사용하여 50ml씩 2회 (1차 2시간, 2차 1시간), 90 ℃ 항온 수욕조(현대과학, B-09)에서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지로 자연여과한 뒤, 여액을 50~60℃에서 감압 농축기(EYELA, N-1100)로 증발 농축한 뒤, 진공 건조기(JEIO Tech, OV-12)로 6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1.05g를 수득하였고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제조예 1.2. 에탄올 추출물
추출용매를 에탄올로 달리하고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쥐꼬리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쥐꼬리망초의 전초, 지상부, 뿌리, 잎, 꽃을 각각 100% 에탄올로 추출하여 부위 별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쥐꼬리망초의 지상부를 에탄올 10%, 20%, 30%, 40%, 50%, 60%, 70%, 80%, 90%, 95%, 100%(v/v%) 로 농도를 달리하여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은 0.16 내지 1.04g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제조예 1.3. 이소프로판올 추출물의 제조
추출용매를 이소프로판올로 달리하고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쥐꼬리망초 이소프로판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용매인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은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v/v%)로 농도를 달리하여 사용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은 0.19~1.01g 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제조예 1.4. 기타 유기용매별 추출물의 제조
메탄올, n-부탄올, n-헥산,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클로로포름, 아세톤과 같은 다양한 유기용매를 추출용매로하여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특별히 구별하여 언급하지 않는 한, 추출용매는 100%(v/v)로 하여 사용하였다. 추출용매 외에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을 수행하였으나, 메탄올 추출물 제조시에는 분쇄된 쥐꼬리망초 300g에 메탄올 3L을 사용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은 0.19~1.01g 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제조예 2. 쥐꼬리망초 95% 에탄올 추출물 유기용매 분획물의 제조
분쇄기로 분쇄한 상태의 쥐꼬리망초 약 15g을 95% 에탄올을 사용하여 150ml씩 2회 (1차 2시간, 2차 1시간), 90 ℃ 항온 수욕조(현대과학, B-09)로 90 ℃에서 환류 추출하여 감압 여과한 뒤, 여액을 50~60℃에서 감압 농축기(EYELA, N-1100)로 증발 농축한 뒤 진공 건조기(JEIO Tech, OV-12)로 6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95% 에탄올 추출물(1.1~1.7g)을 제조하였다. 상기 95% 에탄올 추출물을 분획여두에 증류수 65ml를 가하여 현탁한 뒤, n-헥산, 아세트산에틸, 수포화 n-부탄올을 각각 40ml로 가하여 진탕하였다. 분획여두에서 유기 용매의 층분리를 확인한 뒤 해당 유기 용매를 감압 농축(동일 과정 3회 반복)하여 유기용매 분획물 (0.1~0.14g) 및 유기용매층를 제외한 물층 분획물 (0.25~0.34 g)을 제조하였고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5
실시예 1. 쥐꼬리망초 추출물의 IgE 항체 분비 억제능
쥐꼬리망초 추출물의 알레르기성 반응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U266B1 세포주를 이용한 IgE 항체 분비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U266B1 세포주는 미국 세포주 은행 (ATCC #TIB-196)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5% 태아 송아지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가 포함된 RPMI 배지에 2×105세포/mL 농도로 희석한 후, 24 웰 플레이트에 400 ㎕/well 씩, 96 웰 플레이트에 100 ㎕/well 분주하고 37℃, 5 % CO2 배양기에 넣어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U266B1 세포주에는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표 1 내지 5의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분획물을 5 mg/mL 로 처리하였으며, 24 웰 플레이트의 배지는 IgE 항체 분비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고, 96 웰 플레이트는 세포독성 (cytotoxicity)를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먼저 IgE 항체 분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24 웰 플레이트에 있는 배지를 수집하여 125xg 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찌꺼기를 제거하였으며, 배지 중 100 ㎕를 10배 희석 한 후 IgE 효소결합 면역흡착분석법(ELISA, 고마바이오텍)을 이용하여 IgE 분비 정도를 측정하였다. 약물에 의한 IgE 분비 억제 정도는 다음과 같은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1]
Figure pat00006
측정 결과를 표 6 내지 표 8 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at00007
[표 7]
Figure pat00008
[표 8]
Figure pat00009
상기 표 6 내지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쥐꼬리망초의 저급 알코올, 유기용매 추출물들이 B 림프구에서 IgE 분비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추출물은 부위와 상관없이 모두 IgE 억제능력이 거의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쥐꼬리망초 부위별 모든 실험군에서 25~40%의 IgE 억제능력을 보였다.
또한,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95% 에탄올 조추출물에서 2차로 추출한 표 5의 다양한 유기용매 분획물 역시 우수한 B 림프구에서의 IgE 분비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쥐꼬리망초의 유기용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들은 IgE 분비 억제를 통해 알레르기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포 독성 실험은 96 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72시간 동안 배양된 세포에서 CCK-8 assay kit(Dojindo, Japan)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 정도(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6 내지 8에 기재된 모든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80%이상의 세포 생존능력(cell viability)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쥐꼬리망초 유기용매 추출물 및 분획물은 세포 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쥐꼬리망초 추출물의 탈과립 억제능 측정
상기 표 1 내지 5와 같이 제조된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탈과립 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비만세포 (mast cell)와 호염기구(basophil) 에서 β-헥소사미다아제(β-hexosaminidase) 분비 정도를 측정하여 탈과립 억제능을 확인하였다(de Haan et al. Lipid-rich enteral nutrition regulates mucosal mast cell activation via the vagal anti-inflammatory reflex.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305.5 G383-G391, 2013; Sewell et al. Induction of interleukin-4 and interleukin-5 expression in mast cells is inhibited by glucocorticoids. Clinical and diagnostic laboratory immunology 5.1 18-23, 1998).
MC/9 마우스 비만 세포주는 미국 세포주 은행(ATCC #CRL-8306)에서 구입하였고, RBL-2H3 랫트 호염기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 (KCLB #22256)에서 구입하였다. MC/9 비만세포주와 RBL-2H3 호염기구는 각각 2×106 세포/mL과 5×105 세포/mL 농도로 희석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400 ㎕씩 분주하였으며, 여기에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표 1 내지 표 5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10 mg/mL 또는 20 mg/mL 로 30분 동안 전처리한 후, 200 nM PMA/10 mM A23187로 1시간 동안 탈 과립을 유도하였다. 정상군에는 DMSO를 처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PMA/A23187 만을 처리하였다. 탈과립을 통해 배지로 방출된 β-헥소사미다아제와 1% Triton-X100으로 용해한 세포용해물의 β-헥소사미다아제를 4-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Sigma #N-9376)과 1시간 동안 37℃에서 반응시켰으며, 그 후 0.2M 글리신 (pH10.7)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흡광값은 405nm에서 측정하였으며, β-헥소사미다아제의 분비 정도는 하기의 식 2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2]
Figure pat00010
상기의 식을 이용하여 얻은 β-헥소사미다아제 분비%를 통해 쥐꼬리망초 추출물의 탈과립 억제능을 하기의 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β-heXo: β-헥소사미다아제)
[식 3]
Figure pat00011
결과를 표 9 내지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pat00012
[표 10]
Figure pat00013
[표 11]
Figure pat00014
상기 표 9 내지 표 11 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쥐꼬리망초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 및 유기용매 추출물은 모두 비만세포와 호염기구에서 탈과립을 억제하였다.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쥐꼬리망초의 각 부위별 물추출물에서는 호염기구의 탈과립 억제능이 모든 부위 추출물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은 반면,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 부위별로 12~28%의 높은 억제 능력이 고르게 확인되었다. 특히, 전초 및 지상부의 에탄올 추출물은 호염기구의 탈과립 억제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95% 에탄올 조추출물에서 2차로 추출한 표 5의 유기용매 분획물 역시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에서의 우수한 탈과립 억제 효능을 보여주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따라, 쥐꼬리망초의 유기용매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에서 탈과립 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알레르기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Balb /c 마우스 비염 모델에서의 IgE 분비 억제능 확인
동물모델에서 실제로 알레르기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 비염 모델에서 IgE 분비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5주령 Balb/c 마우스를 구입한 후 1주일간 순화시키고, 순화 일주일 후부터 0, 7, 14일에 0.1% 난백알부민(OVA 1mg/mL, Al(OH)3 20mg/ml)로 제조하여 100μl/mouse 양을 복강 주사하여 전신 감작시켰다. 최종 전신감작 후 일주일 뒤부터 매일 일주일간 오전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95% 에탄올 추출물 200 mg/kg을 경구 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3 mg/kg은 복강투여 한 후 한 시간 뒤 0.4% OVA 용액으로 비강점적하고, 오후에 0.4% 난백알부민 용액으로 또 한번 비강점적하였다. 약물투여 7일 후 부검하여 하대정맥에서 전혈을 채취하고 12000rpm,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내의 IgE농도는 IgE 효소결합 면역흡착분석법(ELISA, 고마바이오텍)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IgE 분비 억제능은 하기 식 4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4]
Figure pat00015
[표 12]
Figure pat00016
상기 표 1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쥐꼬리망초 추출물은 알레르기 비염 모델에서 IgE 분비를 약 60% 이상 억제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덱사메타손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쥐꼬리망초 추출물은 덱사메타손을 대체할 수 있는 잠재적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덱사메타손은 중증도의 상태에만 처방되는데 쥐꼬리망초 추출물은 생약 추출물이므로 경증에도 처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4. 아나필락시스 억제능 확인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CR 마우스 아나필락시스 모델에서 쇼크사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ICR 마우스는 체중에 의거하여 군 분리 (n=10/그룹) 하였으며, 하루 전날 절식한 후, Compound 48/80 (Sigma #C2313)을 16mg/kg 농도로 복강투여하여 아나필락시스를 유도하였다. 상기 제조예 1의 쥐꼬리망초 95% 에탄올 추출물 100 mg/kg 및 양성대조군 DSCG (Cromolyn sodium, Sigma #C0399) 200 mg/kg 을 아나필락시스 유도 1시간 전에 복강투여하였으며, 아나필락시스 유도 후 20분간 사망률 (Mortality)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아나필락시스 억제능은 하기 식 5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5]
Figure pat00017
[표 13]
Figure pat00018
상기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쥐꼬리망초 추출물은 아나필락시스를 약 90% 억제하여 매우 우수한 아나필락시스 억제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인 DSCG이 60% 정도의 억제능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여 매우 현저한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쥐꼬리망초 추출물은 우수한 알레르기 억제 효과에 의하여 아나필락시스 쇼크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Balb /c 마우스 천식 모델에서의 천식 억제 효능 확인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쥐꼬리망초 물 추출물 및 95%, 10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Balb/c 마우스 천식 모델에서 천식질환과 관련된 여러 지표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5주령 Balb/c 마우스를 구입한 후 1주일간 순화시키고, 순화 일주일 후부터 0, 14일에 0.1% 난백알부민(OVA 1mg/mL, Al(OH)3 20mg/mL)를 100ul/mouse 양으로 마우스에 복강 주사하여 전신 감작시켰다. 최종 전신감작 후 일주일 뒤 (21일째)부터 매일 10일간 제조예 1의 물 추출물 200 mg/kg 및 95%, 100% 에탄올 추출물 200 mg/kg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3 mg/kg은 복강투여하였다. 한 시간 뒤 네블라이져 (PARI Boy SX, 독일 GmbH사)를 이용하여 0.2% 난백알부민 용액을 분무하여 1시간 동안 흡입시켰다. 최종 감작 (30일째) 후 5시간 뒤에 부검하여 전혈을 채취하고 혈액은 12000rpm,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또한, 폐조직을 확보한 후 기관절개술을 통해 1 mL의 인산완충 용액을 흘려주여 폐세척액 (BALF)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폐세척액은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생리활성물질들(IL-4, IL-5)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침천물 (pellet)은 염증세포 수를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분리된 혈청내의 IgE농도는 IgE 효소결합 면역흡착분석법(ELISA, 고마바이오텍)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분리된 폐세척액내 생리활성 물질인 인터류킨-4(IL-4)와 인터류킨-5(IL-5)는 각각에 해당하는 효소결합 면역흡착분석법(ELISA, IL-4: Enzo #ADI-900-043, IL-5: R&D system #M5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4 에 나타내었고, 각각의 분비 억제능은 실시예 3의 식 4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폐세척액 침전물을 인산완충용액 0.5mL을 첨가하여 재용해시킨 후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0.1 mL씩 첨가하였으며, 800rpm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들을 바닥에 부착시켰다 (샘플당 3 well). 그 후, 디프퀵 염색 용액(Diff Quik staining solution, Sysmex)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무작위 2~6곳 위치의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샘플당 200개 전후의 세포를 세어 각 염증세포 별 비율(%)을 계산하였다. 전체 염증 세포수는 혈구계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현미경으로 측정하였으며, 각 염증세포 별 비율(%)를 이용하여 호산구의 수를 환산하여, 도 1 에 나타내었다.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등분산검증을 위해 Levene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유의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표 14]
Figure pat00019
상기 표 14및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쥐꼬리망초 95% 에탄올, 100% 에탄올 추출물은 천식관련 지표인 혈청 IgE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보다 더 우수한 IgE 분비 억제능을 보였다. 또한 쥐꼬리망초 95% 에탄올, 100% 에탄올 추출물은 IL-4 역시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과 유사한 정도로 낮췄으며, 폐세척액 내 염증 세포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특히 10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호산구 수와 총 염증 세포수를 정상군 수준까지 낮추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쥐꼬리망초 추출물이 우수한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천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의약품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쥐꼬리망초 속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mg
유당 100mg
탈 10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쥐꼬리망초 속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쥐꼬리망초 속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쥐꼬리망초 속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쥐꼬리망초 속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쥐꼬리망초 속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예, 영양캔디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쥐꼬리망초 속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4. 화장료의 제조
쥐꼬리망초 속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mg
글리세린 3.0 ㎎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항산화제 0.3
방부제 적량
정제수 적량

Claims (15)

  1.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꼬리망초 속 식물은 J. adhatoda L., J. albobracteata L, J. anselliana , J. aurea Schltdl., J. betonica , J. calycina , J. ciliate , J. comata L., J. diffusa , J. dumetorum , J. extensa, J. flava , J. gendarussa Burm . f., J. ghiesbreghtiana , J. glauca , J. hayatai , J. heterocarpa T. Anders., J. hyssopifolia L., J. ideogenes , J. insularis , J. neesii , J. pectoralis Jacq ., J. plectrantus, J. prostrate , J. purpurea , J. reptans , J. rhodoptera , J. schimperiana , J. secunda , J. sericea, J. simplex , J. spicigera , J. valida 및 쥐꼬리망초(Justicia procumbens 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쥐꼬리망초 속 식물은 쥐꼬리망초(Justicia procumbens L.) 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쥐꼬리망초는 쥐꼬리망초의 전초, 지상부, 뿌리, 잎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유기용매 추출물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헥산,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n-헥산, 아세트산에틸 및 수포화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용매 분획물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유기 용매를 제외한 물 분획물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비염,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중이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나필락시스 및 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알레르기제.
  13.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 식품인 조성물.
  15.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39734A 2014-10-16 2014-10-16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4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734A KR101747139B1 (ko) 2014-10-16 2014-10-16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CT/KR2015/010994 WO2016060525A1 (ko) 2014-10-16 2015-10-16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17540535A JP6381818B2 (ja) 2014-10-16 2015-10-16 キツネノマゴ属植物の抽出物または分画物を含む組成物
RU2017116794A RU2671501C1 (ru) 2014-10-16 2015-10-16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или фракцию из растения рода justicia
AU2015331082A AU2015331082B2 (en) 2014-10-16 2015-10-16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BR112017007748-5A BR112017007748B1 (pt) 2014-10-16 2015-10-16 uso de um extrato
ES15851222T ES2823733T3 (es) 2014-10-16 2015-10-16 Composición que contiene extracto o fracción de una planta del género Justicia
EP15851222.8A EP3207935B1 (en) 2014-10-16 2015-10-16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CN201580068461.5A CN107106622B (zh) 2014-10-16 2015-10-16 含有爵床属植物的提取物或部位的组合物
MX2017004998A MX2017004998A (es) 2014-10-16 2015-10-16 Composicion que contiene un extracto o fraccion de una planta del genero justicia.
US15/519,116 US10688143B2 (en) 2014-10-16 2015-10-16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CA2964735A CA2964735C (en) 2014-10-16 2015-10-16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PH12017500706A PH12017500706A1 (en) 2014-10-16 2017-04-17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ZA2017/03307A ZA201703307B (en) 2014-10-16 2017-05-12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734A KR101747139B1 (ko) 2014-10-16 2014-10-16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07A true KR20160044807A (ko) 2016-04-26
KR101747139B1 KR101747139B1 (ko) 2017-06-14

Family

ID=5574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734A KR101747139B1 (ko) 2014-10-16 2014-10-16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688143B2 (ko)
EP (1) EP3207935B1 (ko)
JP (1) JP6381818B2 (ko)
KR (1) KR101747139B1 (ko)
CN (1) CN107106622B (ko)
AU (1) AU2015331082B2 (ko)
BR (1) BR112017007748B1 (ko)
CA (1) CA2964735C (ko)
ES (1) ES2823733T3 (ko)
MX (1) MX2017004998A (ko)
PH (1) PH12017500706A1 (ko)
RU (1) RU2671501C1 (ko)
WO (1) WO2016060525A1 (ko)
ZA (1) ZA201703307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931A1 (ko) * 2016-04-15 2017-10-19 동화약품주식회사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688143B2 (en) 2014-10-16 2020-06-23 Dong Wha Pharm.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KR102174934B1 (ko) * 2020-04-09 2020-11-05 동화약품주식회사 SARS-CoV-2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61871A1 (ko) * 2020-06-22 2021-12-30 동화약품주식회사 6'-하이드록시 저스티시딘-b(6'-hydroxy justicidin b)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61870A1 (ko) * 2020-06-22 2021-12-30 동화약품주식회사 6'-하이드록시 저스티시딘-b(6'-hydroxy justicidin b)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5836A4 (en) * 2017-09-21 2021-06-02 Hokuriku University BONE REMODELING ACCELERATOR
WO2019060759A1 (en) 2017-09-21 2019-03-28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ISOLATION, PRESERVATION, COMPOSITIONS AND USES OF PLANT EXTRACTS JUSTICIA
US20200253143A1 (en) * 2017-09-21 2020-08-13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Iplants of justicia and their us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5411B1 (en) * 1999-06-09 2002-04-02 University Of Cincinnati Rain forest plant extract with cellular cholesterol lowering properties
WO2003055558A1 (en) * 2001-12-31 2003-07-10 Dalmia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oly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bronchial asthma and the process
CU23197A1 (es) 2005-10-25 2007-03-23 Ct Internac De Salud La Prader COMPOSICION FARMACéUTICA A BASE DE EXTRACTOS DE PLANTAS PARA EL TRATAMIENTO Y PREVENCION DE LA MIGRANA
JP2007230977A (ja) * 2006-03-03 2007-09-13 Naris Cosmetics Co Ltd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i
US10195136B2 (en) 2011-08-24 2019-02-05 Avon Products, Inc. Collagen and elastin stimulat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2327431A (zh) * 2011-09-16 2012-01-25 重庆市南川区瑞丰农业开发有限责任公司 治疗湿疹的中草药
JP6249516B2 (ja) * 2012-08-29 2017-12-20 花王株式会社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活性化剤
WO2014034802A1 (ja) * 2012-08-29 2014-03-06 花王株式会社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活性化剤
CN103285053A (zh) * 2013-06-28 2013-09-11 陆英杰 红树植物老鼠簕提取物的制备方法
KR101747139B1 (ko) 2014-10-16 2017-06-14 동화약품주식회사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6744425B2 (ja) * 2016-04-15 2020-08-19 トンファ ファー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キツネノマゴ抽出物を含む呼吸器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8143B2 (en) 2014-10-16 2020-06-23 Dong Wha Pharm.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WO2017179931A1 (ko) * 2016-04-15 2017-10-19 동화약품주식회사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869904B2 (en) 2016-04-15 2020-12-22 Dong Wha Pharm.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extract of Justicia procumbens L
KR102174934B1 (ko) * 2020-04-09 2020-11-05 동화약품주식회사 SARS-CoV-2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06309A1 (en) * 2020-04-09 2021-10-14 Dong Wha Pharm.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sars-cov-2
WO2021261871A1 (ko) * 2020-06-22 2021-12-30 동화약품주식회사 6'-하이드록시 저스티시딘-b(6'-hydroxy justicidin b)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61870A1 (ko) * 2020-06-22 2021-12-30 동화약품주식회사 6'-하이드록시 저스티시딘-b(6'-hydroxy justicidin b)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2383A (ja) 2017-11-02
WO2016060525A1 (ko) 2016-04-21
RU2671501C1 (ru) 2018-11-01
US10688143B2 (en) 2020-06-23
EP3207935B1 (en) 2020-08-12
EP3207935A1 (en) 2017-08-23
EP3207935A4 (en) 2018-05-16
JP6381818B2 (ja) 2018-08-29
AU2015331082A1 (en) 2017-05-11
ES2823733T3 (es) 2021-05-10
PH12017500706A1 (en) 2017-10-09
CA2964735C (en) 2022-11-01
CN107106622A (zh) 2017-08-29
AU2015331082B2 (en) 2018-12-13
ZA201703307B (en) 2018-07-25
US20170360862A1 (en) 2017-12-21
CA2964735A1 (en) 2016-04-21
KR101747139B1 (ko) 2017-06-14
BR112017007748B1 (pt) 2021-03-09
BR112017007748A2 (ko) 2018-01-30
MX2017004998A (es) 2018-01-24
CN107106622B (zh)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139B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RU2423139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Actinidia,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2006738B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5489A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180019839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 조성물
JP7277571B2 (ja) イノトジオール化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アレルギー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101700850B1 (ko) 소맥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면역반응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3610A (ko) 모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과민성 면역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180019838A (ko) 기능 및 풍미가 개선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38962B1 (ko)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0406187B2 (en) Method f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ortulaca grandiflora hook.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7657A (ko) 비파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90136543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달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2420B1 (ko) 황기 및 형개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4314A (ko) 오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86008B1 (ko) 레스베라트롤 쌀 또는 레스베라트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07673B1 (ko) 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7048161A (ja) レンコン節部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アレルギー剤
KR101715154B1 (ko) 회양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1805A (ko) 석류풀 추출물, 질경이택사 추출물, 담팥수 추출물 또는 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4558A (ko) 아토피 및 면역과민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