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788A - 목이버섯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목이버섯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788A
KR20160044788A KR1020140139686A KR20140139686A KR20160044788A KR 20160044788 A KR20160044788 A KR 20160044788A KR 1020140139686 A KR1020140139686 A KR 1020140139686A KR 20140139686 A KR20140139686 A KR 20140139686A KR 20160044788 A KR20160044788 A KR 20160044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mushroom
vitamin
cont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소라
안민실
송은주
서상영
최민경
한현아
유영진
김영선
김희준
송영주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6004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목이버섯 가공방법으로, 수확된 목이버섯을 비닐하우스 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이버섯 가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이버섯 가공방법은, 비닐하우스에서 목이버섯을 건조시켜 목이버섯의 바타민 D 성분을 크게 증가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된 목이버섯은 낮은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가지게 되어 상품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목이버섯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식품{Method for processing Auricularia auricula and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목이버섯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중 비타민 D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목이버섯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목이버섯류 (Auricularia auricula)는 목이과 (Auriculariaceae), 목이속 (Auricularia)에 속하며 목이속에는 (흑)목이버섯 (Auricularia auricula-judae), 목이버섯과 같은 학명이면서 야생종인 갈색목이버섯, 그리고 종이 다른 털목이버섯 (Auricularia polytricha) 등이 포함되어 있다.
목이버섯은 갈색목이버섯이나 털목이버섯에 비해 유기산과 아미노산의 전체 함량과 감칠맛을 내는 성분인 citric acid와 glutamic acid, asparagine 함량이 높기 때문에 훌륭한 천연조미료로 가능하며 비타민 D2 함량 역시 5.43 ㎍/g DW으로 높고 식이섬유는 59.13%, β-glucan도 8.29%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 (Kim et al., 2012b). 목이버섯은 표고버섯, 느타리, 팽이, 양송이, 석이, 운지, 영지 등의 버섯류 가운데에서도 비타민 D2 (ergocalciferol)와 D3 (cholecalciferol)를 합한 비타민 D 함량이 1.68 ㎍/g로 가장 높으며 표고버섯(건 동고)에 비해 2.3배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Lee et al., 1997) 비타민 D 함량은 문헌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다.
최근 다양한 연구에 의해 목이버섯의 기능성이 밝혀지고 있는데 목이버섯은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발된 당뇨병에 걸린 rat의 혈장 내 glucose와 총 cholesterol, triglyceride, GOT, GPT 함량을 감소시켜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며 (Kim et al., 2007), dichloromethane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주의 inflammatory cytokines (IL-6, TNF-α, IL-1β)을 감소시켜 항염 효과를 보이고 (Damte et al., 2011), 또한 백혈병과 복수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 효과 (Reza et al., 2011), 항산화 활성 (Kho et al., 2009), 혈당 강하 (Yuan et al., 1998) 및 지질 강하 효과 (Jeong et al., 2007) 등도 보고되었다. 건조방법은 품질, 유효성분과 생리활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Chang et al., 2011; Choi et al., 2011; Jeong et al., 2010; Kim et al., 2006) 특히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아가리쿠스, 털목이버섯 버섯 등은 건조방법과 수화 과정 중 품질 차이가 많이 발생하고 (Ha et al., 2001; Kim et al., 2012a; Lee et al., 1995; Yoo et al., 2003) 버섯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D는 자외선 B파 (UVB) 조사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Lee and Yim, 2011) 건조버섯 대량 생산 현장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다소 문제점이 있다.
목이버섯은 건목이 형태로 중국에서 주로 대량 수입되고 있으며 2013년 약 615톤이 수입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목이버섯 봉지재배가 가능해짐에 따라 재배농가가 급증하고 있으며 2013년 약 198.1톤이 수확되었고 2014년에는 약 300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아직까지 목이버섯의 건조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목이버섯의 기능성과 가공방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술 개발은 아직까지 개시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이버섯의 기능 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목이버섯 가공방법과 목이버섯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이버섯 가공방법으로, 채취된 목이버섯을 외부 자외선 투과율이 30 내지 40%인 비닐하우스 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이버섯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는 72시간 이상 진행된다.
본 발명은 목이버섯 함유 식품으로, 상기 식품은 불린건목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이버섯 함유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품은 증숙면 또는 수제비이며, 상기 불린건목이는 밀가루 대비 10 내지 15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은 목이버섯 함유 요구르트를 제공하며, 상기 요구르트에 함유된 시럽은 절단 목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이버섯 가공방법은, 비닐하우스에서 목이버섯을 건조시켜 목이버섯의 비타민 D 성분을 크게 증가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된 목이버섯은 낮은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가지게 되어 상품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건조 후 목이버섯 사진이다.
도 2a 및 2b는 건조 후 목이버섯의 총 폴리페놀과 면역기능물질인 비타민 D2 함량을 조사한 결과이다.
도 3은 건조 후 수화복원력을 조사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표시되는 약어는 본 명세서 내에서 별도의 다른 지칭이 없다면 당업계에서 통용되어, 이해되는 수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수확된 목이버섯을 자외선 처리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에서 목이버섯을 건조하였는데, 이때 자외선 B파 조사량은 차광막에 의해 일부 차단되어 투과율이 30 내지 40%이었다. 특히 본 발명자는 자외선 B파 조사량을 상기 조건으로 차단하는 경우, 목이버섯의 비타민 D 함량이 건조 후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닐하우스 내 온도 변화는 15∼35℃, 평균온도는 23∼25℃, 평균습도는 55∼65% 조건에서 실시한다. 자외선 B파 하루 누적 조사량은 3,500∼4,300J/m2이었다. 즉, 본 발명에서 외부 공기가 일부 차단된 비닐하우스에서 목이버섯을 건조하는 경우, 비타민 D의 함량이 특이적으로 증가하며, 아울러 색도와 수화복원력도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본 발명은 조사되는 일광을 일정 부분 차단시키는 비닐하우스에서 목이버섯을 처리하여, 열풍이나 동결 건조, 비닐하우스 내 건조 등에 비하여 비타민 D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며, 아울러 색도, 수화복원력 등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하 상세한 분석 방법 및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건조시간, 건조수율 및 색도
목이버섯의 건조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을 검토하고자 생목이버섯을 열풍건조와 동결건조, 비닐하우스 건조하여 건조시간, 추출수율, 색도와 유효성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하기 표 1은 건조시간 및 건조수율, 색도 등을 정리한 표이고, 도 1은 건조 후 사진이다.
목이버섯 건조방법별 색도 및 외관 특징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건조시간은 건조방법에 따른 차이가 확연히 나타나는데, 비닐하우스 건조 시 72시간이 소요되어 가장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으며 동결건조는 36시간이 소요되었고 열풍건조의 경우 12.5∼21.5 시간으로 나타나 건조시간이 짧았는데 높은 온도인 80℃에서는 40℃에 비해 9시간 단축되었다.
건조시간이 차이가 있었던 반면 건조수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7.4∼7.8%로 비슷하여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색도 L, a, b값은 처리에 따른 차이가 많았다. 열풍건조의 경우 온도가 올라갈수록 L값은 감소하고 a와 b값이 증가하여 명도는 떨어지고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동결건조의 경우 L값은 처리구 가운데 가장 높아 다른 처리구와 큰 차이가 있었으며 a, b값은 열풍건조의 70∼80℃ 사이 값을 보였다. 그러나 비닐하우스 건조는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대체로 낮은 편으로 관찰되었다. 건조 목이버섯 판매시 색도는 중요한 구매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비닐하우스 건조와 같이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낮아 검은색에 가까워지면 오히려 좋은 품질로 평가되지만 동결건조의 경우와 같이 색이 흐리면 상품성이 없는 것으로 취급되므로, 이 결과를 통하여 목이 버섯을 비닐하우스 건조 방식으로 가공하는 경우, 목이버섯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의 목이버섯을 건조한 후 외관의 형태를 육안 관찰한 결과, 비닐하우스 건조와 50℃, 60℃ 열풍건조는 형태가 양호하고 색도 좋았던 반면 40℃와 80℃는 외관이 좋질 않았는데 특히 80℃는 고온으로 인해 형태 수축이 심하여 상품성이 낮았다.
동결건조된 목이버섯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형태 수축은 적게 나타났으나 균사체 가루가 날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색이 흐리게 건조되어 상품성이 거의 없었다.
총 폴리페놀과 비타민 D 2 함량
도 2a 및 2b는 건조 후 목이버섯의 총 폴리페놀과 면역기능물질인 비타민 D2 함량을 조사한 결과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던 처리구는 60℃, 70℃ 열풍건조와 동결건조구로써 1.41∼1.51 ㎎/g DW로 나타났으나 비닐하우스 건조시에는 1.25 ㎎/g DW로 다소 감소하였다.
하지만, 폴리페놀에 비하여, 목이버섯의 비타민 D2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 1.89∼6.77 ㎍/g DW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동결건조의 경우 5.90 ㎍/g DW를 보였고 비닐하우스 건조시 6.77 ㎍/g DW로 1.15배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열풍건조의 경우 80℃에서 비타민 D2 함량은 5.01 ㎍/g DW이었고 40℃에서는 1.89 ㎍/g DW로 나타나 건조온도가 낮아질수록 큰 폭으로 감소하여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는데 이는 건조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비타민 D2가 파괴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품질이 양호한 목이 버섯의 가공방법은 50℃, 60℃ 열풍건조와 비닐하우스 건조이었으나 유효성분인 비타민 D2의 함유량면에서 50℃, 60℃ 열풍건조는 비닐하우스 건조의 52.4% 이하로 나타났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건조가 다소 유효성분 증대에 효과적이었다.
수화복원력
도 3은 건조 후 수화복원력을 조사한 결과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목이버섯은 수화 후 30분 내 10.6∼13.7배로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210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가 이후 증가세가 주춤하였다. 동결건조는 수화복원력이 가장 높아 30분 수화 후 13.7배, 270분 경과 후에는 23.0배로 무게가 급격히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열풍건조는 건조온도가 올라갈수록 수화복원력이 낮아졌는데 270분 경과 후 40℃ 처리구에서 22.4배로 동결건조와 비슷하였으나 80℃의 경우 13.8배로 8.5배나 감소하여 건조온도가 수화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컸다. 외관이 우수하였던 열풍건조 50℃, 60℃ 처리구의 수화복원력은 19.3∼21.0배로 나타났다. 역시 외관이 좋았던 비닐하우스 건조의 경우 17.8배의 수화복원력을 보여 동결건조보다는 떨어졌으나 열풍 60℃ 건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비닐건조의 경우, 온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고온의 열풍 건조와 유사한 수준의 수화 복원력을 나타내므로, 목이버섯의 상품성 확보에도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화 후 색도와 경도
건조방법을 달리한 목이버섯의 수화 후 품질을 알아보고자 색도와 경도, 외관을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목이버섯 건조방법에 따른 수화 후 색도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색도의 경우 건조 후 분말의 색도를 측정한 표 1과는 다르게 목이버섯 표면의 색도 L, a, b값은 비닐하우스 건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양호하였다. 반면 동결건조 처리구는 비닐하우스 건조와 비슷하거나 약간 색도가 감소하였고 열풍건조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L, a, b값 모두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열풍건조와 비닐하우스 건조 처리구에서 186.4∼217.5 g/??5㎜로 통계적으로 처리간 유의성 차이는 없었지만 열풍건조 처리구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경도가 다소 감소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수화복원력의 차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경도 차이는 많지 않았다. 동결건조의 경우에는 110.0 g/??5㎜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보여 조직의 탄력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외관의 특징을 관찰한 결과 80℃ 열풍건조시에는 탄력이 부족하고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나 나머지 열풍건조 처리온도와 비닐하우스 건조에서는 외관과 탄력이 양호하였다. 동결건조의 경우에는 표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은 수화복원력으로 인해 표면이 갈라지고 외관이 좋지 않았으며 좋지 않은 특이한 향도 느낄 수 있었다. 동결건조는 건조 후와 마찬가지로 수화 후에도 품질이 좋지 않아 일반적인 작물에서 동결 건조에서 품질이 우수한 것과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수화 후 품질은 경도가 높고 수화복원력이 좋은 비닐하우스 건조와 40∼60℃ 열풍건조가 양호하였다.
이상을 요약하자면 건조방법에 따른 목이버섯의 품질특성은 열풍건조 50℃ 내지 60℃, 비닐하우스 건조에서 양호하였으며 비타민 D2 함량은 비닐하우스 건조에서 6.77 ㎍/g DW로 가장 높게 나타나 영양학적 측면에서 이용가치가 높았다. 또한 수화 후 품질 역시 50℃ 내지 60℃의 열풍건조와 비닐하우스 건조에서 높은 경도와 좋은 외관을 보였다. 그러나 목이버섯의 동결건조는 건조 후와 수화 후 모두 품질이 좋지 않아 상품성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 품질이 우수한 건조 목이버섯 생산을 위해서는 비타민 D2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건조 후 색도와 외관, 수화 후 경도와 외관 등이 양호한 비닐하우스 건조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가공 시간을 고려한다면 50℃ 내지 60℃의 열풍건조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목이버섯 함유 식품
목이버섯을 이용한 증숙면 제조
본 발명자는 목이버섯을 응용한 식품으로 증숙면을 이용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 증숙면은 국수를 제조할 때 반죽을 고온으로 익혀 증숙하여 뽑아내는 면으로 이미 호화상태이기 때문에 냉동보관하였다가 먹기 직전 해동하여 끓는 물에 1분 정도 끓여 먹는 것으로 일반면보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는 특징이 있다. 증숙면은 수제비와 동일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므로, 증숙면은 수제비로 대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포함한다.
제조공정
증숙면을 하기 단계로 제조하였다.
재료 혼합(거칠게 간 불린 건목이, 생목이 첨가) → 반죽(물 첨가) → 압축 성형(110℃, 2∼3초) → 건조(상온, 90초) → 절단(30∼40cm) → 건조(상온, 1시간) → 포장 → 냉동 보관
본 실시예에서 불린건목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제조된 건조 상태의 목이 버섯을 4시간 동안 25℃ 물에 불린 후 믹서로 굵게 갈아 제조하였다. 생목이는 수세 후 바로 믹서로 굵게 갈아 제조하였다.
불린 건목이와 생목이 첨가량별 국수 품질특성
불린 건목이와 생목이 첨가 국수 재료 혼합비율
Figure pat00003
불린 건목이와 생목이 첨가 국수 색도
Figure pat00004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불린건목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과 b값(황색도)는 낮아지고 a값(적색도)는 낮아졌으나 생목이는 L값은 증가하고 a값과 b값은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불린 건목이와 생목이 첨가 국수 물성
Figure pat00005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불린건목이와 생목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원하는 변형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힘)과 점착성(반고체 상태의 샘플을 삼킬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성질, 점착성=견고성*응집성), 씹힘성(고체 상태의 샘플을 삼킬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힘, 씹힘성=점착성*탄력성)이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물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불린 건목이와 생목이 첨가 국수 열량, 비타민 D 2 함량 및 기호도
Figure pat00006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목이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열량은 감소하였고 특히 생목이에서 불린건목이에 비해 열량이 다소 낮았다. 면역기능물질인 비타민 D2는 생목이버섯 첨가시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불린건목이 10~15% 첨가시 0.81~1.09μg/100g을 나타나는 특이적 현상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영양소 보충을 위해서는 반드시 불린건목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린건목이 20% 첨가시 비타민 D2 함량은 1.49μg/100g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기호도는 15%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밀가루 대비 10 내지 15 중량% 수준으로 불린건목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린 건목이 10% 함유 국수의 쌀가루 첨가량별 품질특성
본 실시예에서 쌀을 첨가하는 이유는 밀가루에 있는 글루텐이 일부 과민성 장질환, 알러지, 자가면역질환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쌀이 많이 들어가면 반죽하면서 생성되는 쫀득쫀득한 글루텐이 감소하여 식감은 오히려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국수 재료 혼합비율
Figure pat00007
불린건목이 국수 제조시 쌀가루 첨가량별 색도
Figure pat00008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는 높아져 색이 밝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불린건목이 국수 제조시 쌀가루 첨가량별 물성
Figure pat00009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과 점착성, 씹힘성이 증가하여 물성이 조금 단단해졌다.
불린건목이 국수 제조시 쌀가루 첨가량별 열량, 비타민 D 2 함량 및 기호도
Figure pat00010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열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비타민 D2 함량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밀가루 대비 15 내지 20 중량% 첨가시 전반적인 기호도도 양호하였다.
목이버섯을 이용한 요구르트 제조
먼저, 하기 방식으로 시럽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 : 요구르트 제조 → 요구르트 배양 → 시럽 제조불린건목이(절단, 곱게 감): 설탕 1: 물 1) → 졸임(100, 5~6분) → 요구르트와 시럽 혼합
이에 대한 상세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요구르트 제조방법
1) clean bench 안에서 알콜램프 켜고 110mL 유리병을 화염멸균 시킨 후 시료 무게를 정량하였다.
2) 메스실린더로 우유 100mL를 정량 후 유리병에 넣었다.
3) 시판용 유산균주(ABT-5)를 증류수에 용해하여 0.2mL씩 넣었다.
→ ABT-5균 0.02g/1mL 증류수
4) 시료와 우유를 spatula를 이용해 섞는다.
5) 30 incubator에 이틀간 배양한다.(40시간)
시럽 제조법
하기 조성으로 불린 목이버섯 시럽을 제조하였다.
시료종류 불린 목이버섯
(g)

(mL)
설탕
(g)
최종무게
(g)
절단목이 100 100 100 222.8
곱게 간 목이 100 100 100 245.2
버섯 형태별 품질특성
하기 표는 시럽에 첨가되는 버섯 형태별 품질특성 결과이다.
Figure pat00011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목이버섯 시럽 첨가에 따른 pH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첨가량 증가에 따라 당도와 점도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는 색도, 생균수, 비타민 D 함량 및 전반적인 기호도 결과이다.
Figure pat00012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목이버섯 시럽 첨가량 증가에 따라 요구르트의 명도(L값), 적색도(a값), 황색도(b값)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절단목이에 비해 곱게 간 목이에서 더 낮아졌다. 또한 생균수는 목이버섯 시럽 첨가량 증가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다. 반면 비타민 D2는 목이버섯 시럽 무첨가구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다가 목이버섯 시럽 첨가량 증가에 따라 높아져 25% 첨가시에 3.39~3.42g/100g을 보였다ㅏ. 전반적인 기호도는 곱게 간 목이보다 절단목이에서 양호하였으며 10~15% 첨가시 좋은 기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목이버섯 가공방법으로, 채취된 목이버섯을 외부 자외선 투과율이 30 내지 40%인 비닐하우스 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이버섯 가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72시간 이상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이버섯 가공방법.
  3. 목이버섯 함유 식품으로,
    상기 식품은 불린건목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이버섯 함유 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증숙면 또는 수제비이며, 상기 불린건목이는 밀가루 대비 10 내지 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이버섯 함유 식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요구르트이며, 상기 요구르트에 함유된 시럽은 절단 목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이버섯 함유 식품.


KR1020140139686A 2014-10-02 2014-10-16 목이버섯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식품 KR20160044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2965 2014-10-02
KR1020140132965 2014-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788A true KR20160044788A (ko) 2016-04-26

Family

ID=5591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686A KR20160044788A (ko) 2014-10-02 2014-10-16 목이버섯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47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9782A (zh) * 2016-07-02 2018-01-09 全柏江 提高健康功能性及保质期的木耳紫菜的制造方法
CN114698769A (zh) * 2022-03-15 2022-07-05 大连工业大学 一种木耳黑色素的固定化方法及其在果冻制备中的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9782A (zh) * 2016-07-02 2018-01-09 全柏江 提高健康功能性及保质期的木耳紫菜的制造方法
CN114698769A (zh) * 2022-03-15 2022-07-05 大连工业大学 一种木耳黑色素的固定化方法及其在果冻制备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376B1 (ko) 갈색거저리를 포함하는 환자용 죽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86466A (zh) 一种富含小麦胚芽多肽的营养保健面条
KR102404589B1 (ko)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20100080111A (ko) 천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KR20160044788A (ko) 목이버섯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목이버섯을 포함하는 식품
KR101226149B1 (ko) 꾸지뽕 효소를 이용한 빵의 제조 방법
KR20150053524A (ko) 돼지감자와 당조고추를 이용한 소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02621A (ko) 상황버섯을 활용한 기능성 과립차 제조방법
KR20150068152A (ko)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3721A (ko) 복령버섯을 함유한 식품 제조방법
CN105581242A (zh) 一种小麦低聚肽富锌桔梗营养面条
KR20070013652A (ko) 상황버섯이 첨가된 건강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KR20150122099A (ko) 예덕나무의 껍질와 잎을 이용한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CN106805113A (zh) 一种茯苓百合灵芝面条
Abdul-Malek et al. Beneficial properties of edible mushrooms and their potential utilisation of mushroom waste in food products
KR20170014238A (ko)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4240A (ko)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된장, 쌈장, 청국장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617043B1 (ko) 아임계 가속용매추출법을 이용하는 베리류 및 녹차 추출물이 포함된 가공적성이 증진된 면류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면류 제품
KR20120128394A (ko) 황기의 착즙액을 함유한 면조성물
KR102448416B1 (ko)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20130073567A (ko) 흑표고버섯 및 그 제조방법
KR102078000B1 (ko) 굼벵이를 사육하는 방법
KR20190053613A (ko) 식용곤충 고형식품 제조방법
KR101346311B1 (ko) 끓임용 땅콩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