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416B1 -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416B1
KR102448416B1 KR1020190163594A KR20190163594A KR102448416B1 KR 102448416 B1 KR102448416 B1 KR 102448416B1 KR 1020190163594 A KR1020190163594 A KR 1020190163594A KR 20190163594 A KR20190163594 A KR 20190163594A KR 102448416 B1 KR102448416 B1 KR 10244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gs
slug
powder
lactic acid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110A (ko
Inventor
김수완
Original Assignee
김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완 filed Critical 김수완
Priority to KR102019016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4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육 시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급이하고 절식 시 소세미를 급이하며 굼벵이를 사육한 다음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저온 진공건조한 뒤 분말화한 후 비타민 C 분말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of health supplement for improving liver injury compris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and Vitamin C}
본 발명은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한 굼벵이의 건조 분말과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가오는 식량위기 속에 식용곤충이 미래식량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지난 2013년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는 딱정벌레의 일종인 갈색거저리를 미래의 식량자원으로 지정했다. 식용곤충은 고단백, 저지방 자원으로 육류 수산물 등을 영양학적으로 대체할 수 있고, 크기가 작고 한 살이가 짧아 좁은 사육 공간에서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 시 많은 비용이 소요되지 않은 장점이 있으며, 일반 가축보다 암모니아를 적게 배출하여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고 유기 폐기물을 먹이로 주면서 사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식용곤충 시장의 규모(식용곤충 시장 : 2016~2024년 글로벌 업계 분석 및 전망, Persistence Market Research, 2016)를 살펴보면, 2016년에는 4억 2천만 달러(한화 5,000억 원) 정도였으나, 2024년에는 7억 2천만 달러의 규모로 확대될 것을 내다보고 있으며, 연평균 6% 이상의 속도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메뚜기, 누에번데기, 백강잠누에, 갈색저거리 유충,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귀뚜라미 7 종의 곤충에 대하여 식용곤충으로 인정하고 있다.
굼벵이는 변태를 하는 곤충류에서 나타나는 유충을 일컬으며, 식용곤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에 해당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5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새로운 이름을 공모하여 흰점박이꽃무지의 ‘꽃’과 굼벵이의 ‘벵이’를 합성한 ‘꽃벵이’란 명칭을 지었다. 허준의 동의보감 탕액편을 살펴보면, “굼벵이는 성질이 약간 차고 맛이 짜며, 독성이 있다. 악혈, 어혈, 비기, 눈에 생긴 군살, 백막, 뼈가 부러지거나 삔데, 쇠붙이에 다쳐 속이 막힌 것을 치료하고 젖이 잘 나오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대한약전규격집에는 굼벵이가 천연 항생 단백질인 프로테신을 함유하여 강장 및 간기능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명시되어 있다. 본초강목에서는 간질환과 시력감퇴, 종기, 성인병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적혀있다.
이와 같이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2037205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굼벵이 추출분말과 밀크씨슬을 혼합하고 관능성 기호증진제 등을 첨가하여 츄어블 태블렛 제품으로 제조함으로써 굼벵이 제품 섭취 시에 나타날 수 있는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밀크씨슬의 혼합으로 인해 기능성이 향상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2029205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굼벵이와 각종 한약재를 혼합하여 성인병의 예방 및 개선에 효능이 있는 젤 형태의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약재를 준비하고 중탕으로 가열하면서 2-5일간 숙성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조하는 것이 간편하지 않고, 성인병 예방 및 개선에 근거가 되는 실험결과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하여 간손상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개발 필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굼벵이 사육 시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급이하고 절식 시 싸라기와 쌀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소세미를 급이하는 사육 단계, 굼벵이를 진공 챔버에 넣고 일정 시간 감압을 한 후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굼벵이의 함수율을 설정된 초기 함수율로 낮추는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미리 설정된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으로 2차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 단계, 건조된 굼벵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및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사육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젖산간균, 비피더스균, 연쇄상구균 및 장내구균 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사육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에 우유를 혼합하여 발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단계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비타민 C 분말이 50 내지 20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은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사육 단계에서 굼벵이 사료인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제공함으로써 폐 버섯배지의 발효 속도가 향상된다.
2. 사육 단계에서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에 우유를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발효 작용이 촉진되고, 단백질이나 지방 등 우유의 영양성분이 사료에 혼합되어 굼벵이가 섭취하게 되므로 굼벵이의 생장 속도가 더욱 향상된다.
3. 혼합 단계에서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굼벵이와 비타민 C의 기능성 효과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간손상 개선 효과가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은 굼벵이에게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사료를 급이하고 절식 시 소세미를 급이하는 사육 단계, 굼벵이에게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저온 진공건조를 수행하는 건조 단계, 건조된 굼벵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의 장점은 굼벵이에게 급이되는 사료의 발효 속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육 단계에서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다른 장점은 굼벵이의 생장 속도가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육 단계에서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에 우유를 혼합하여 발효한 다음 굼벵이에게 급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또 다른 장점은 간손상 개선 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혼합 단계에서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을 혼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사육 단계에서 굼벵이에게 급이되는 사료는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굼벵이의 영양공급원은 탄수화물의 일종인 셀룰로오스(cellulose)로, 주로 식물 세포벽을 구성하는 다당류이다. 굼벵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곤충 유충은 식물성 먹이를 섭취하고 이를 소화시켜 셀룰로오스로 분해한 후 생명활동의 영양분으로 사용한다.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경우 폐 버섯배지는 셀룰로오스가 노출된 단세포 단위로 빠르게 분해되어 체내에 바로 흡수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굼벵이가 발효된 폐 버섯배지 사료를 섭취하게 되면 사료의 물리적, 화학적 분해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에너지 소모가 최소화 되므로 굼벵이의 생장 속도가 향상되어 굼벵이의 사육 기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결과적으로 굼벵이 분말의 생산성이 향상되어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사료로 사용되는 폐 버섯배지는 연질목이거나 또는 연질목에서 쉽게 생장하는 버섯의 인공 배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 버섯배지는 버섯 재배과정에서 굼벵이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영양분이 축적되고 굼벵이가 섭취하는 경우 흡수가 쉬운 상태로 변성된다. 폐 버섯배지는 느타리 버섯을 재배한 배지일 수 있다. 느타리 버섯은 일반적으로 연질목에서 쉽게 자라며 경질목에서는 생육하기 어렵고, 일반적으로 느타리 버섯 재배 시 참나무를 이용한다. 따라서, 폐 버섯배지는 느타리 버섯을 재배한 참나무 원목 배지의 분쇄물 또는 참나무 톱밥 배지, 느타리 버섯을 재배한 인공 배지일 수 있다.
폐 버섯배지를 락스로 소독한 후 유산균과 혼합하고 3~4일 간격으로 골고루 섞어주며 체를 이용하여 불순물 및 톱밥을 제거하면서 10일 내지 30일간 발효시킨다. 유산균은 물질을 발효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일반 미생물을 혼합하는 것 보다 유산균을 혼합하는 경우 폐 버섯배지의 발효 속도가 향상된다. 유산균은 젖산간균, 비피더스균, 연쇄상구균, 장내구균 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사육 단계에서 굼벵이에게 급이되는 사료는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에 우유를 혼합한 후 발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 혼합 시 발효 속도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우유, 설탕물, 포도당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우유를 추가할 수 있다. 우유를 추가하는 경우 유산균의 영양 공급원이 되어 발효가 촉진될 뿐만 아니라, 단백질이나 지방 등 우유의 영양성분이 사료에 혼합되어 굼벵이가 섭취하게 되므로 굼벵이의 생장 속도가 더욱 증가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한 후 발효시킨 사료는 굼벵이에게 급이된다. 상기 사료는 굼벵이에게 20일 내지 40일간 급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일 내지 30일간 급이될 수 있다. 상기 사료를 굼벵이에게 급이하는 경우 시중에서 파는 일반 참나무 톱밥 사료를 급이하는 경우와는 달리 굼벵이의 사육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를 위한 굼벵이 분말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사육 단계에서 절식 시 굼벵이에게 싸라기와 쌀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소세미를 급이할 수 있다. 절식은 일반적으로 굼벵이 사육 시 사료 급이를 중단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절식 시 사료 급이 중단 후 싸라기와 쌀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소세미를 급이함으로써 굼벵이의 이미취를 제거하고 배변을 유도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굼벵이의 급격한 무게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굼벵이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굼벵이를 수확하기 전 사료 공급을 중단하고 절식을 수행한다. 사료 공급을 중단한 후 6시간 뒤 싸라기와 쌀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소세미를 2일 내지 15일간 급이하며 배변을 유도함으로써 절식에 의해 굼벵이의 변이 제거되고, 절식을 마친 굼벵이는 건조를 위해 수확된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건조 단계에서 굼벵이를 진공 챔버에 넣고 일정 시간 감압을 한 후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굼벵이의 함수율을 설정된 초기 함수율로 낮추는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미리 설정된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으로 2차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 방법은 건조 대상물의 내부에서 가열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건조 대상물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여 굼벵이의 속과 겉을 포함한 전체를 고르고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건조 대상물 내부에 포함된 수분 자체에 전자기 에너지를 직접 인가하므로 영양소 파괴가 최소화 된다는 장점이 있다.
진공 건조 방법을 이용하면 수분이 급속도로 증발하기 때문에 건조 대상물의 조직이 파괴되거나 변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건조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낮은 온도에서도 굼벵이의 건조가 가능하게 되어 화학적 변성이 최대한 방지되므로 굼벵이의 이미취가 현저히 감소되어 기호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서는 마이크로파 저온 진공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굼벵이를 건조시킨다. 마이크로파 저온 진공 건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저온에서 단시간에 굼벵이가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영양학적으로 풍부하고 굼벵이의 유효 성분이 보존되어 있으며 섭취 시 거부감이 낮은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건조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1차 건조를 위해 굼벵이를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진공 챔버 내에 넣고 배기를 진행하여 감압시킨다. 상기 감압은 300 내지 500torr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이 시작되면 굼벵이의 표피와 조직이 물러지기 시작하면서 부풀어 오르게 되고 압력 감소에 의해 굼벵이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게 된다. 상기 진공 챔버에서의 감압은 10 내지 60분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 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안 가열된 상태와 같이 굼벵이의 조직이 이완될 수 있고, 감압 유지가 10 내지 60분이 경과 후 진공 챔버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5 내지 10분 동안 인가한다. 마이크로파를 인가하는 동안 굼벵이 조직 내부의 수분이 가열되어 외부로 급속하게 방출되고, 이 과정에서 굼벵이의 조직이 붕괴되거나 변형되어 이후 수행되는 2차 건조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진공 챔버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굼벵이의 초기 함수율이 75% 내지 80%가 되도록 건조하고, 바람직하게는 77%가 되도록 건조한다. 건조된 굼벵이의 초기 함수율이 75% 미만인 경우 굼벵이의 조직 파괴가 심화되어 1차 건조 이후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초기 함수율이 80% 초과인 경우 2차 건조 시 건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차 건조가 종료된 후 추가적으로 건조를 수행하기 위해 굼벵이가 배치된 진공 챔버에 미리 설정된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으로 2차 건조한다. 설정된 건조 온도는 29℃ 내지 35℃가 바람직하며, 설정된 건조 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분말화 단계에서 건조된 굼벵이는 50~400 메쉬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할 수 있다. 입자크기가 50 메쉬 미만인 경우 쉽게 비산되어 손실될 수 있으며, 입자크기가 400 메쉬 초과인 경우 섭취 시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의 혼합 단계에서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을 상기 굼벵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비타민 C 분말이 50 내지 20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굼벵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비타민 C 분말이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아 부재료를 많이 첨가하게 되고 비타민 C로 인한 굼벵이의 기능성 효과의 상승작용이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굼벵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비타민 C 분말이 200 중량부 초과인 경우 굼벵이 함유량이 감소되므로 기능성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아래에서 제조예와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1-1 : 유산균 배양액 제조
물 1L에 밀가루 20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120℃에서 60분 동안 멸균 처리를 하고 20℃로 냉각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양액 100 중량부 대비 Lactobacillus 속의 유산균 2 중량부를 접종하고 밀폐된 용기에 넣은 후 25 내지 35℃에서 5일간 혐기 배양하여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 폐 버섯배지 준비
느타리버섯 농장에서 버섯을 생산한 직후 가져온 참나무 톱밥 배지를 락스로 소독하여 폐 버섯배지로 준비하였다.
제조예 1-3 :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 제조
상기 제조예 1-2의 폐 버섯배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1의 유산균 배양액 1 중량부를 정량 가압 분사하여 접종한 후 고르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기 위해 밀폐형 용기로 옮겨 담았다. 상기 밀폐형 용기 내 온도를 36℃로 유지하면서 5일간 혐기 발효하여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 폐 버섯배지에 우유를 혼합한 사료 제조
상기 제조예 1-2의 폐 버섯배지 100 중량부 대비 우유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고르게 혼합하여 폐 버섯배지에 우유를 혼합한 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우유를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 제조
상기 제조예 1-2의 폐 버섯배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1의 유산균 배양액 1 중량부를 정량 가압 분사하여 접종하고 우유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고르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발효하기 위해 밀폐형 용기로 옮겨 담았고, 상기 밀폐형 용기 내 온도를 36℃로 유지하면서 5일간 혐기 발효하여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우유를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6 :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설탕물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 제조
상기 제조예 1-2의 폐 버섯배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1의 유산균 배양액 1 중량부를 정량 가압 분사하여 접종하고 설탕물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고르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하여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설탕물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7 :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포도당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 제조
상기 제조예 1-2의 폐 버섯배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1의 유산균 배양액 1 중량부를 정량 가압 분사하여 접종하고 포도당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고르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하여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포도당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 굼벵이에게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급이한 후 절식 시 소세미를 급이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사료를 굼벵이 사육용 케이지에 넣어 30일간 굼벵이에게 급이하며 사육하였다. 이후 절식을 수행하기 위해 굼벵이를 상기 사육용 케이지에서 꺼낸 후 사료가 들어있지 않은 빈 케이지에 넣어 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싸라기와 쌀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소세미를 2일간 공급하며 배변을 유도하였다.
실시예 1-2 : 굼벵이에게 폐 버섯배지에 우유를 혼합한 사료를 급이한 후 절식 시 소세미를 급이
사육 시 상기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사료를 굼벵이에게 급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사육하고 절식시켰다.
실시예 1-3 : 굼벵이에게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우유를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급이한 후 절식 시 소세미를 급이
사육 시 상기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사료를 굼벵이에게 급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사육하고 절식시켰다.
실시예 1-4 : 굼벵이에게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설탕물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급이한 후 절식 시 소세미를 급이
사육 시 상기 제조예 1-6에서 제조된 사료를 굼벵이에게 급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사육하고 절식시켰다.
실시예 1-5 : 굼벵이에게 폐 버섯배지에 유산균과 포도당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급이한 후 절식 시 소세미를 급이
사육 시 상기 제조예 1-7에서 제조된 사료를 굼벵이에게 급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사육하고 절식시켰다.
비교예 1-1 : 굼벵이에게 참나무 톱밥 사료를 급이한 후 절식 시 물을 급이
사육 시 시중에서 판매하는 참나무 톱밥 사료를 굼벵이에게 급이하고 절식 시 물을 2일간 급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사육하고 절식시켰다.
실험예 1 : 굼벵이 생육 향상 여부 평가
실시예 1-1 내지 1-5의 굼벵이와 비교예 1-1의 굼벵이를 사육 시 약 1주일 간격으로 굼벵이의 무게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또한 절식 시 1일 간격으로 굼벵이의 무게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굼벵이의 무게를 측정할 때에는 매 측정 시 굼벵이 100마리 중 무작위로 20마리씩 선정하였다. 각 무게의 단위는 g으로 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5의 굼벵이는 비교예 1-1의 굼벵이에 비해 사육 기간에 따른 무게 증가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3의 굼벵이는 실시예 1-1, 1-2, 1-4, 1-5의 굼벵이보다 무게 증가 속도가 월등히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1-5의 굼벵이는 비교예 1-1의 굼벵이에 비해 절식 기간에 따른 무게 감소 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 향상 여부 평가 (단위 : g)
급이 1일차 급이 1주차 급이 2주차 급이 3주차 급이 4주차 절식 1일차 절식 2일차
실시예 1-1 0.40±0.21 0.93±0.22 1.20±0.17 1.29±0.28 1.50±0.02 1.51±0.31 1.50±0.28
실시예 1-2 0.41±0.13 0.83±0.30 1.19±0.33 1.27±0.40 1.51±0.11 1.50±0.22 1.49±0.33
실시예 1-3 0.40±0.20 1.28±0.15 1.79±0.28 2.68±0.19 3.49±0.33 3.48±0.17 3.47±0.01
실시예 1-4 0.40±0.25 0.93±0.02 1.23±0.31 1.33±0.33 1.61±0.10 1.60±0.13 1.60±0.11
실시예 1-5 0.39±0.33 0.94±0.17 1.24±0.22 1.35±0.30 1.62±0.02 1.61±0.13 1.60±0.11
비교예 1-1 0.40±0.33 0.54±0.18 0.67±0.21 0.78±0.27 0.89±0.25 0.68±0.33 0.37±0.38
실시예 2-1 : 굼벵이를 마이크로파 저온 진공 건조 방법으로 1차 건조 후 저온으로 2차 건조
굼벵이를 세척한 후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 대상 굼벵이를 준비하였다. 상기 건조 대상 굼벵이를 마이크로파 저온 진공 건조기의 진공 챔버 내부에 배치한 후 배기를 진행하며 감압시켰다. 상기 감압은 400torr까지 되었고, 감압된 상태는 50분간 유지되었다. 상기 50분이 경과한 후 상기 진공 챔버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10분 동안 인가하며 초기 함수율이 77%가 되도록 1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상기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진공 챔버의 온도를 30℃로 설정해놓고 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2-2 : 굼벵이를 마이크로파 저온 진공 건조 방법으로 1차 건조 후 고온으로 2차 건조
상기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진공 챔버의 온도를 80℃로 설정해놓고 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건조하였다.
실시예 2-3 : 굼벵이를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으로 1차 건조 후 저온으로 2차 건조
상기 실시예 2-1의 건조 대상 굼벵이를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챔버 내부에 배치한 후 챔버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10분 동안 인가하며 초기 함수율이 77%가 되도록 1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상기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챔버의 온도를 30℃로 설정해놓고 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2-4 : 굼벵이를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으로 1차 건조 후 고온으로 2차 건조
상기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챔버의 온도를 80℃로 설정해놓고 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건조하였다.
실시예 2-5 : 굼벵이를 진공 건조 방법으로 1차 건조 후 저온으로 2차 건조
상기 실시예 2-1의 건조 대상 굼벵이를 진공 건조기의 챔버 내부에 배치한 후 배기를 진행하며 감압시켰다. 상기 감압은 400torr까지 되었고, 감압된 상태를 100분간 유지하여 초기 함수율이 77%가 되도록 1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상기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챔버의 온도를 30℃로 설정해놓고 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2-6 : 굼벵이를 진공 건조 방법으로 1차 건조 후 고온으로 2차 건조
상기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챔버의 온도를 80℃로 설정해놓고 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5와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건조하였다.
비교예 2-1 : 굼벵이를 열풍 건조 방법으로 1차 건조 후 저온으로 2차 건조
상기 실시예 2-1의 건조 대상 굼벵이를 열풍 건조기의 챔버 내부에 배치한 후 챔버 내부로 60℃의 열풍을 24시간 동안 인가하며 초기 함수율이 77%가 되도록 1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상기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챔버의 온도를 30℃로 설정해놓고 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비교예 2-2 : 굼벵이를 열풍 건조 방법으로 1차 건조 후 고온으로 2차 건조
상기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챔버의 온도를 80℃로 설정해놓고 2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굼벵이를 건조하였다.
실험예 2 : 굼벵이 분말 관능 평가
굼벵이 분말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1 내지 2-6의 굼벵이와 상기 비교예 2-1, 2-2의 건조된 굼벵이를 분쇄기로 300 메쉬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 굼벵이 분말은 정제수에 10배 희석하여 100ml의 음료로 제조하였다. 성인 남녀 각각 15명씩 총 3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상기 음료를 시음한 뒤 냄새, 색상, 식감,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할 때에는 9점 척도법에 따라 점수를 메기고 평균값을 구하였다.
실시예 2-1 내지 2-6의 굼벵이 분말은 비교예 2-1, 2-2의 굼벵이 분말에 비해 관능 평가 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2-1의 굼벵이 분말은 관능 평가 항목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굼벵이 분말 관능 평가 (1점 : 매우 나쁨, 9점 : 매우 좋음)
냄새 색상 식감 종합적인 기호도
실시예 2-1 8.5 8.0 8.9 8.1 8.5
실시예 2-2 7.4 7.5 8.1 8.0 7.9
실시예 2-3 6.5 7.4 7.0 7.0 7.1
실시예 2-4 6.3 7.2 6.9 7.0 6.9
실시예 2-5 5.5 6.4 6.5 6.6 6.0
실시예 2-6 5.5 6.1 6.0 6.0 5.9
비교예 2-1 3.2 5.5 4.5 3.9 5.1
비교예 2-2 2.9 5.0 4.0 3.0 3.5
제조예 3-1 :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 1:1 혼합물 제조
굼벵이 분말 100mg/kg과 비타민 C 분말 100mg/kg을 물 500ml에 희석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2 :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 1:3 혼합물 제조
굼벵이 분말 100mg/kg과 비타민 C 분말 300mg/kg을 물 500ml에 넣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3 :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 1:0.2 혼합물 제조
굼벵이 분말 100mg/kg과 비타민 C 분말 20mg/kg을 물 500ml에 넣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 간손상 유발 쥐에게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 1:1 혼합물 투여
체중 250g 내외의 6주령 SD-수컷 쥐를 ㈜샘타코(BIO KOREA)에서 8마리를 구입하였다. 상기 SD-수컷 쥐를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해 일반 배합사료로 1주일간 예비사육을 하였다. 사육장은 폴리카보네이트 사육 상자를 사용했고, 온도 및 습도는 22±2℃, 55±5%로 조정했으며, 명암은 8:00am~8:00pm으로 12시간마다 실내조명을 명/암으로 유지하였다. 상기 예비사육된 쥐에게 올리브 오일에 12.5%로 희석된 사염화탄소 4ml/kg을 3일 간격으로 2회 복강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발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예 3-1의 혼합물을 1일 1회, 총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실시예 3-2 : 간손상 유발 쥐에게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 1:3 혼합물 투여
상기 제조예 3-2의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3 : 간손상 유발 쥐에게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 1:0.2 혼합물 투여
상기 제조예 3-3의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 간손상 유발 쥐에게 굼벵이 분말 투여
굼벵이 분말 100mg/kg을 물 500ml에 희석하여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 간손상 유발 쥐에게 비타민 C 분말 투여
비타민 C 100mg/kg을 물 500ml에 희석하여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1 : 정상 쥐에게 음용수 투여
상기 실시예 3-1의 예비사육된 쥐에게 음용수를 4주간 급이하였다.
비교예 3-2 : 간손상 유발 쥐에게 음용수 투여
상기 실시예 3-1의 간손상 유발 쥐에게 음용수를 4주간 급이하였다.
실험예 3 : 혈청 내 간손상 지표 개선 평가
혈청 내 간손상 지표 개선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3-1 내지 3-5의 쥐와 비교예 3-1, 3-2 쥐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실온에서 30분간 방치되었고, 이후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에서 간손상 지표와 관련된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ALP(alkaline phosphatase)를 분석하기 위해 자동생화학 분석장치(Hitachi 3100, Hitachi Ltd, Japan)를 이용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쥐 8마리의 평균치와 표준오차로 표기하였으며, 각 실시예와 비교예 간 차이의 유의성을 알기 위한 통계학적 방법은 SPSS 18.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행하였다.
실시예 3-1 내지 3-3의 쥐는 비교예 3-2의 쥐보다 AST, ALT, ALP 수치가 모두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3-1의 쥐는 AST, ALT, ALP 수치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3-2의 쥐에 비해 실시예 3-4의 쥐는 AST와 ALT 수치가 낮아졌고, 실시예 3-5의 쥐는 AST 수치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내 간손상 지표 개선 평가 결과 (단위 : IU/L)
AST ALT ALP
실시예 3-1 203.40±48.44 174.95±25.44 478.44±59.37
실시예 3-2 241.13±30.29 200.94±15.75 501.42±84.32
실시예 3-3 255.17±75.51 215.14±18.33 521.44±27.89
실시예 3-4 265.13±137.33 231.01±122.42 559.30±88.86
실시예 3-5 286.30±151.28 251.03±219.01 620.41±160.09
비교예 3-1 184.33±43.88 41.11±4.20 435.46±31.30
비교예 3-2 303.73±86.48 247.47±75.41 547.34±51.83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굼벵이 사육 시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한 사료를 급이하고 절식 시 싸라기와 쌀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소세미를 급이하는 사육 단계;
    상기 사육된 굼벵이를 진공 챔버에 넣고 일정 시간 감압을 한 후 마이크로파를 인가하여 상기 굼벵이의 함수율을 설정된 초기 함수율로 낮추는 1차 건조를 수행한 후 미리 설정된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으로 2차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굼벵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및
    상기 분말화된 굼벵이 분말과 비타민 C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소세미를 급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료 공급을 중단한후 6시간뒤 소세미를 2일 내지 15일간 급이하여 배변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육 단계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젖산간균, 비피더스균, 연쇄상구균 및 장내구균 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육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폐 버섯배지와 유산균에 우유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분말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비타민 C 분말이 50 내지 20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90163594A 2019-12-10 2019-12-10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10244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594A KR102448416B1 (ko) 2019-12-10 2019-12-10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594A KR102448416B1 (ko) 2019-12-10 2019-12-10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110A KR20210073110A (ko) 2021-06-18
KR102448416B1 true KR102448416B1 (ko) 2022-09-27

Family

ID=7662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594A KR102448416B1 (ko) 2019-12-10 2019-12-10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4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9456A (zh) * 2017-07-31 2017-11-07 福建农林大学 一种蜂王幼虫干粉的微波真空干燥方法
KR101919770B1 (ko) * 2017-09-08 2018-11-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천곤충산업 굼벵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869B1 (ko) * 2015-07-29 2017-06-29 이우석 곤충 사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9456A (zh) * 2017-07-31 2017-11-07 福建农林大学 一种蜂王幼虫干粉的微波真空干燥方法
KR101919770B1 (ko) * 2017-09-08 2018-11-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천곤충산업 굼벵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110A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869B1 (ko) 분말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되는 김치 조성물
CN107509906B (zh) 一种苦荞果蔬复合酵素粉及其制备方法
CN105167072A (zh) 一种功能性枸杞酵素及其制品的生产方法
KR101980323B1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고단백질 식품의 제조방법
KR101296837B1 (ko) 감귤박과 맥주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1511365B1 (ko) 유산균과 산야초를 이용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KR101726741B1 (ko)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KR102143376B1 (ko) 갈색거저리를 포함하는 환자용 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5740A (ko) 귀뚜라미 분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878B1 (ko) 인삼을 이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사육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507704B1 (ko) 천연 식물소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해독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KR102145624B1 (ko)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102448416B1 (ko)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US5164183A (en) Growth promoter for bifidobacterium speci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00071427A (ko)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KR102562888B1 (ko)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방법
CN108740790A (zh) 一种酱豆及其制作方法
CN105661247A (zh) 一种葡萄复合粉及其制备方法
CN101263868A (zh) 泡菜汁在制备防治猪腹泻药物及饲料添加剂中的应用
KR20210057395A (ko) 식용곤충 분말의 제조방법
KR20040061707A (ko) 기능성 녹용, 동결 건조된 녹혈 또는 녹각의 제조 방법과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KR101662806B1 (ko) 비타민 강화 미강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CN108740969A (zh) 一种老麦酱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