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543B1 - 닭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닭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543B1
KR102134543B1 KR1020190158124A KR20190158124A KR102134543B1 KR 102134543 B1 KR102134543 B1 KR 102134543B1 KR 1020190158124 A KR1020190158124 A KR 1020190158124A KR 20190158124 A KR20190158124 A KR 20190158124A KR 102134543 B1 KR102134543 B1 KR 10213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chicken feed
p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으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으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으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4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bl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성을 높일 수 있는 닭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분말화된 한약재박, 커피찌꺼기, 과일껍질, 버섯부산물, 목초액, 미강, 굴 껍질 및 혈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분말과,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과 매실 분말을 포함한다. 이러한 닭사료 조성물에 따르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질병에 대한 면역성을 높여 닭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닭사료 조성물{Chicken feed composition}
본 발명은 닭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질병에 대한 면역성을 높일 수 있는 닭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축산 과정에서 닭의 세균성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 닭의 폐사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세균성 및 염증성 질환으로 야기되는 폐사율을 낮추기 위해 닭은 사육할 때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닭 사육 과정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된 항생물질은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균의 출현, 닭을 통한 인간의 항생제의 섭취, 및 환경오염 등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닭의 주요 전염성 질환인 광우병, 조류독감, 구제역, 살모넬라증, 및 콕시듐 질환 등은 집단사육 및 밀집사육 등과 관련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항생물질을 사료에 첨가제로서 사용하면 상기 질환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성장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하여, 양계업계에서는 닭의 성장 촉진 및 질병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여 왔으며, 항생제가 남용되고 오용되는 등이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동물에 축적된 항생제는 육류를 통해 인간이 항생제를 섭취하게 되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균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고가의 항생제로 인해 축산 농가에 경제적인 부담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닭의 안전성, 축산의 경제성, 및 닭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종래의 축산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축산방법의 하나로 천연 항균 물질을 사용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질병에 대한 면역성을 높여 닭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닭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닭사료 조성물은,
분말화된 한약재박, 커피찌꺼기, 과일껍질, 버섯부산물, 목초액, 미강, 굴 껍질 및 혈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분말과,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과 매실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분말은, 상기 한약재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커피찌꺼기 10 내지 20 중량부, 과일껍질 12 내지 17 중량부, 버섯부산물 6 내지 10 중량부, 목초액 0.1 내지 0.5 중량부, 미강 70 내지 120 중량부, 굴 껍질 10 내지 20 중량부, 혈분 3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은, 연잎 및 황칠나무잎을 1 : 2 중량비로 준비하고 물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70℃에서 약 3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스팀기에 약 75℃에서 40분간 투입하여 스팀 히팅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을 25℃로 냉각시킨 다음, 235℃에서 15분 동안 열풍건조하고 나서 90℃에서 1시간 동안 제1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열처리된 결과물을 120℃에서 45분 동안 제2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열처리된 생성물 100 중량부에 설탕 3 중량부, 물 50 중량부를 차례로 부가하고 이를 6일 동안 발효 숙성하거나, 상기 제2열처리된 생성물 100 중량부에 설탕 3 중량부를 부가한 다음, 물 50 중량부 및 설탕 3 중량부를 추가로 부가하며 유산균을 접종하고 이를 온도 35℃, 상대습도 83% 의 조건에서 6일 동안 발효 숙성하는 단계;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5 ~ 40 중량부이고, 상기 매실 분말의 함량은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실 분말은, 상기 매실을 선별 및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45℃ 에서 급속냉동하여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매실의 씨를 제거하고, 60 mesh로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은 천연방부제, 살균 및 항균 작용을 갖는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포함하고, 또한 매실분말의 복합적인 효능에 의하여 항산화능이 더 개선되고 만들어진 사료가 쉽게 부패하지 않게 되어,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닭에게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닭을 소비하는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의 보존기일은 종래의 다른 닭사료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증가되며, 분말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기 보관은 물론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을 보다 자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닭사료 조성물은, 분말화된 한약재박, 커피찌꺼기, 과일껍질, 버섯부산물, 목초액, 미강, 굴 껍질 및 혈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분말로 이루어지며, 상기 닭사료 조성물은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과 매실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의 함량은 베이스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5 ~ 40 중량부이고, 상기 매실 분말의 함량은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이다.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은, 1:2 중량비의 연잎과 황칠나무잎을 세척한 다음, 이를 스팀기에 넣고 70 내지 80℃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스팀 히팅을 실시한 후 25℃로 냉각하는 과정을 거치고 220 내지 250℃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열풍건조된 결과물을 80 내지 100℃에서 0.5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열처리된 생성물에 물, 설탕 및 유산균을 넣고 온도 30-40℃, 상대습도 80-90% 의 조건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발효물을 -25℃ 내지 -30℃에서 동결건조하고 이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어진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상록활엽수림이며, 제주도와 완도, 보길도, 해남 등 남ㆍ서해안 일대에 자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이다. 황칠나무에 함유된 정향성분은 소량의 터펜(Terpene)류와 다량의 세스퀴터펜(Sesquiterpene)류가 포함되어 있는데, 채취시기나 장소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germacrene-d, β-selinene,α-amorphene, α-selinene, δ-cadinene,γ-cadinene, T-muurolol, β-elemene, bicyclo [4,4,0] dec- 1 -en - 2 - isopropyl - 5 - methyl - 9-methylene, β-cadinene, germacrene-B, α-copaene, α-humulene, α-cadinene과 소량의 linalool L, α-terpinene, α-cubebene, α-ylangene,(+)-calarene, 3,7-guaiadine, (-)-isoledene, β-cubebene, limonene, aromadendrene, cadina-1,4-di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Jeollanam do, 1996). 또한 황칠나무는 세스퀴테르펜 등의 정유 성분 뿐만 아니라, 아라키딕산, 팔미틱산, 아르기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맥경화, 간기능 개선, 항산화, 뼈 재생 촉진, 면역 증강, 항균, 항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황칠나무는 천연방부제 역할을 할 수 있고 연잎과 함께 발효 및 추출과정에서 작은 함량의 설탕의 존재하에서 발효 및 추출이 가능하다. 황칠나무잎 이외에 줄기, 수피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연잎은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레시틴, 아르기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닭의 대사를 촉진시킨다. 또한 퀼세틴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항바이러스 및 항균 작용에 효과가 크다.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물을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에서 동결건조하고 이를 200 내지300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닭사료는 건조 및 분쇄된 분말 형태를 이루지만, 필요에 따라 적정량의 물과 혼합되어 액상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에서,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의 함량은 베이스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5 ~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 중량부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3 중량부이다.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항균 작용 및 천연 방부제 역할이 우수하여 닭사료 조성물의 저장 및 보존 기간이 늘어나고 면역력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어진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은 항균 및 천연방부 작용이 우수하여 이를 함유한 닭사료 조성물을 먹은 닭은 면역력 등이 증가되어 산란율 등이 증가된다. 그런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은 쓴맛이 있는데, 이러한 쓴맛은 부가된 매실 분말에 의하여 순화된다.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에 포함된 매실 분말은 폴리페놀과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나트륨과 같은 무기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포도당, 과당 및 설탕을 함유하고 있고, 소화촉진, 항산화물질, 항 콜레스테롤작용 등의 작용을 한다. 이러한 매실 분말이 닭사료에 포함됨에 따라 최종 제품인 닭고기와 계란의 맛과 영양분 등에서 그 고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매실 분말은 닭사료를 장기간 저장하며, 미생물의 살균 기능을 갖는다.
상기 매실 분말은, 매실을 선별 및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45℃ 에서 급속냉동하여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매실의 씨를 제거하고, 60 mesh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얻는다.
매실 분말의 함량은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5 ~ 40 중량부이다. 매실 분말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의 쓴 맛을 없애줄 수 있다. 매실은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화합물이 DPPH 라디컬(radical)에 전자를 공여함으로써 자유기를 소거하는 활성을 측정한 것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홀수 전자 때문에 518 nm에서 강한 흡수 밴드(band)를 보이나 페놀성(phenolic) 화합물과 같이 수소에 전자를 제공해주는 전자공여체와 반응을 하게 되면 전자나 수소 라디컬(hydrogen radical)을 받아 페녹시 라디컬(phenoxy radical)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흡수 밴드도 사라지게 되고 안정된 분자가 된다. 또한 공여된 전자는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그 수에 비례하여 진보라색의 DPPH의 색깔은 점점 옅어지게 되고 흡광도 감소하게 된다.
활성산소는 인체 내에서 질병과 노화를 일으키는 원인물질로서, 활성산소의 항산화 능력노화억제 작용의 척도로 평가할 수 있는데 매실 분말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매실은 휘발성 성분인 벤즈알데하이드가 30.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벤즈알데하이드는 매실에 존재하는 시안 배당체인 아미그달린(amygdalin)의 분해에 의해서 생성되며 휘발성이 강한 방향성의 알데하이드(aldehyde)로 매실 장아찌나 매실주의 독특한 풍미를 생성하고 그 유도체에는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고 더욱이 벤즈알데하이드는 산화되면 방부효과가 높은 안식향산으로 변하며 안식향산에는 강한 정균작용이 있어 살균, 해독효과가 있다.
한약재박은 한약을 제조하기 위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버려지는 찌꺼기를 닭이 먹을 수 있도록 분쇄한 것이다. 이를 사용하면 닭의 생리적 기능을 강화시키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임으로써 닭이 건강하게 사육될 수 있다. 그리고 한약재박은 상기 분말화된 한약재박은 당귀, 산수유, 홍화씨, 홍삼, 가시오가피 및 녹양의 혼합물로부터 추출액을 생성한 후 남은 부산물이 포함된 것이다. 한약재박은 원래 폐기되던 것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면 닭사료 제조비용이 저렴해질 수 있다. 한약재박에 잔류하는 유효성분은 30% 이상이며 한약재 추출액보다 더 중요한 성분이 잔류하기도 하여 매우 유용하다.
상기 당귀, 산수유, 홍화씨, 홍삼, 가시오가피 및 녹양은 1-5 : 1-5 : 1-5 : 1-2 : 0.5 -1 : 1-2의 혼합비로 혼합된다. 이러한 혼합비의 한약재를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액을 얻은 다음 분사물을 이용하여 한약재박을 얻는다.
가시오피는 닭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황화씨는 닭의 골절 및 관절염을 예방하고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자연치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산수유는 닭의 무기력증을 해소하고 정력을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녹양은 닭의 생식기능과 면역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약재박을 이용하면 닭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무항생제 사육이 가능해질 수고 사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분말은, 분말화된 한약재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커피찌꺼기 10 내지 20 중량부, 과일껍질 12 내지 17 중량부, 버섯부산물 6 내지 10 중량부, 목초액 0.1 내지 0.5 중량부, 미강 70 내지 120 중량부, 굴 껍질 10 내지 20 중량부, 혈분 3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한다. 굴 껍질 이외에 게껍질, 조게, 홍합껍질 및 그 조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분말은 커피찌꺼기 및 과일껍질을 포함하는데, 커피찌꺼기 및 과일껍질은 음식물인 커피와 과일과 커피를 섭취하면서 발생되는 폐기물로서, 이러한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닭사료의 양의 늘려줌과 동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커피 찌꺼기는 커피원두 분말을 가공하여 고온고압 추출을 실시한 후 남은 찌거기를 의미한다. 커피 찌꺼기는 사육되는 닭의 면역력을 높여줌으로서 병에 걸릴 가능성을 낮추어준다.
과일껍질분말은 바나나껍질, 참외껍질, 멜론껍질, 사과껍질, 수박껍질, 귤껍질, 감껍질, 포도껍질, 레몬껍질, 망고껍질, 자몽껍질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과일껍질분말은 일구현예에 의하면 바나나껍질과, 귤껍질과 사과껍질의 조합물을 이용한다. 바나나껍질과, 귤껍질과 사과껍질의 조합물의 혼합비는 1 : 1: 1 내지 1 : 2 : 2 이다.
상기 과일껍질분말은 단백질, 탄수화물(주로 전분), 비타민 B1, B2, B6 В9 칼슘, 인,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니켈, 코발트, 요오드와 같은 유기 화학 물질의 함량이 높고, 이에 따라 사육되는 닭의 영양성분의 높아진다. 특히, 과일껍질로서 바나나껍질을 이용한 경우에는 닭사료의 칼륨 성분이 높아진다.
버섯부산물은, 버섯재배가 끝나고 버섯을 채취한 후, 버려지는 버섯 배지를 일컫는다. 통상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버섯 배지로서 참나무나 소나무의 톱밥을 사용하며, 이것을 내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통에 채워 넣고 뚜껑을 하여 고압 멸균시킨 후 버섯 종균을 무균 접종하여 재배하고, 일정시간이 지나 버섯의 재배가 끝나면 버섯을 채취한 다음, 플라스틱 통에 들어 있는 버섯 배지를 외부에서 공기를 불어 넣어 밖으로 빼내는데, 이것을 버섯 부산물 또는 버섯 폐배지라 하며 버섯재배 분야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버섯 부산물의 예로는 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싸리버섯, 팽이버섯, 해송버섯 등의 폐배지를 들수 있으나, 재배가 가능한 버섯의 배지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버섯은 수분, 탄수화물,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회분으로 구성되면서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조성이 좋을 뿐만이 아니라 미량원소도 풍부하여 단백질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버섯을 재배하고 난 배지에는 가축에게 유익한 많은 양의 영양원을 포함하고 있다.
참고적으로, 버섯 배지에는 많은 영양소가 들어 있지만 다량의 섬유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가축이 소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버섯이 재배되는 과정에서 버섯이 섬유질을 흡수하여 분해함으로써 소화가 용이하게 되고, 가소화 양분이 높아져서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미강은 벼에서 왕겨를 뽑고 난 다음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공정에서 분리되는 고운 속겨를 말하는 것으로, 식물섬유로 인해 장의 활동을 활발하고 장의 세균 발런스를 유지시켜 주어 장을 튼튼하게 하며, 비타민 B1. B6. E가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와 지방간 예방 및 피부질환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혈분은 도출 폐혈액으로부터 얻은 것으로서, 닭이 혈분을 섭취하면 체내흡수가 잘 되게 하여 철분공급원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혈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882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것을 사용한다.
굴껍질은 바다에 서식하고 있는 굴(oyster)의 껍데기를 건조 후 모래알 크기로 분쇄한 것으로서 굴껍질을 섭취한 닭의 소화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자연 방사되는 닭의 경우에는 자연상태의 흙에서 직접 모래와 같은 성분을 섭취할 수 있지만, 상기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닭은 모래주머니에 필요한 모래나 흙을 별도로 공급하여야 한다
목초액은 나무와 그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천연물질로써 살균, 항균 작용을 하고 항산화작용이 우수한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함유한 닭사료는 천연 항균 작용을 갖고 있고 닭의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은 합성화학물질인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닭의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매우 훌륭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닭사료 조성물은 분말화되어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한약재박,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및 매실분말을 함유하고 있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높은 닭으로 키울 수 있고 항암 기능 등과 같은 기능을 갖는 계란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가축 가공과정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폐혈분을 이용하여 닭에 철분 공급원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말화된 한약재박, 커피찌꺼기, 과일껍질, 버섯부산물, 목초액, 미강, 굴껍질 및 혈분을 혼합하여 베이스 분말을 제조하는 제1단계를 실시한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 분말에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매실분말 및 물을 부가하고 90 내지 15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제2단계를 행한다. 물의 함량은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50 중량부이다.
이어서 열처리된 생성물을 40 내지 50℃에서 숙성하는 제3단계를 수행한다. 그러고 나서 제3단계의 결과물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제4단계를 거쳐 본 발명의 닭사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베이스 분말에,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및 물을 부가하고 이를 혼합 및 10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0℃에서 제1열처리하는 제2-1단계와, 상기 제2-1단계에 따라 얻은 결과물에 매실분말을 부가하고 90℃ 내지 100℃, 예를 들어 95 내지 100℃에서 제2열처리하는 제2-2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2단계가 제2-1단계에 비하여 열처리온도가 낮도록 제어한다. 제2단계가 상술한 반응조건에서 실시될 때 닭사료에서 황칠나무잎의 쓴맛이나 특유의 톡쏘는 맛 등이 없어 사료로서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에 따르면, 천연방부제, 살균 및 항균 작용을 갖는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포함하고, 또한 매실분말의 복합적인 효능에 의하여 항산화능이 더 개선되고 만들어진 사료가 쉽게 부패하지 않게 되어,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닭에게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닭을 소비하는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닭사료 조성물의 보존기일은 종래의 다른 닭사료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증가되며, 분말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기 보관은 물론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황칠나무잎 복합제 발효분말의 제조
연잎 및 황칠나무잎을 1 : 2 중량비로 준비하고 이를 물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70℃에서 약 3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이를 스팀기에 약 75℃에서 40분간 투입하여 스팀 히팅을 행하였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을 25℃로 냉각시킨 다음, 235℃에서 15분 동안 열풍건조하고 나서 90℃에서 1시간 동안 제1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제1열처리된 결과물을 120℃에서 45분 동안 제2열처리를 실시한 후, 제2열처리된 생성물 100 중량부에 설탕 3 중량부를 부가하였다.
이후 얻어진 혼합물에 물 50 중량부를 부가하고 이를 약 6일 동안 발효 숙성하였다. 발효 숙성이 끝난후 얻은 결과물을 약 -30℃에서 동결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300 메쉬의 입경을 갖는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얻었다.
제조예 2: 황칠나무잎 복합제 발효분말의 제조
연잎 및 황칠나무잎을 1 : 2 중량비로 준비하고 이를 물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어서 70℃에서 약 3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이를 스팀기에 약 75℃에서 40분간 투입하여 스팀 히팅을 행하였다.
이후 상기 결과물을 25℃로 냉각시킨 다음, 235℃에서 15분 동안 열풍건조하고 나서 90℃에서 1시간 동안 제1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제1열처리된 결과물을 120℃에서 45분 동안 제2열처리를 실시한 후, 제2열처리된 생성물 100 중량부에 설탕 3 중량부를 부가하였다.
이후 얻어진 혼합물에 물 50 중량부, 설탕 3 중량부 및 유산균을 넣고 온도 35℃, 상대습도 83%의 조건에서 약 6일 동안 발효 숙성하여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물을 얻었다.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물을 -30℃에서 동결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300 메쉬의 입경을 갖는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얻었다.
상기 유산균은 한국생명공학연구서로부터 분양받았으며,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은 MRS배지로 배양하였으며, 약 37℃의 온도로 고정된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유산균 배양액을 접종할 때, 상기 배양액의 생균수가 105~106 CFU/g이 되도록 보정한 후 접종하였다. 상기 배양액의 접종량은 닭사료 총 중량 대비 2 중량%이다.
제조예 3: 매실 분말의 제조
매실을 선별 및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이를 약 -45℃에서 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건조된 매실의 씨를 제거한 다음, 이를 60mesh의 사이즈로 분쇄하여 매실 분말을 얻었다.
제조예 4: 분말화된 한약재박의 제조
당귀, 산수유, 홍화씨, 홍삼, 가시오가피 및 녹양이 3 : 3 : 2 : 1 : 1 : 1 으로 혼합된 혼합재료 100 중량부에 물 4000 중량부를 부가하고 이를 약 70℃에서 6시간 가열하여 1리터의 농축액을 만들었다. 상기 농축액을 여과하여 한약 추출액을 얻고 남은 부산물을 40℃에서 10시간 1차 건조하고 55℃에서 2차 건조하였다. 건조물을 통상의 분쇄기에 투입하여 망을 통과하며 분쇄하여 분말화된 한약재박을 제조하였다.
참조제조예 1
90℃에서 2시간 동안 제1열처리를 실시하고 제2열처리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얻었다.
참조제조예 2
90℃에서 1시간 동안 제1열처리를 실시하고 제1열처리된 결과물을 제2열처리 없이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얻었다.
참조제조예 3: 매실 분말의 제조
매실을 선별 및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이를 약 70℃에서 열풍건조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건조된 매실의 씨를 제거한 다음, 이를 60mesh의 사이즈로 분쇄하여 매실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 닭사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3에 따라 얻은 분말화된 한약재박 100 중량부, 커피찌꺼기 25 중량부, 과일껍질 15 중량부, 버섯부산물 8 중량부, 목초액 0.2 중량부, 미강 90 중량부, 굴 껍질 15 중량부, 혈분 5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열풍건조하여 분말화하여 베이스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베이스 분말 100 중량부에 제조예 1의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 중량부, 및 물 10 중량부를 부가하여 이를 혼합하고 120℃에서 제1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 중량부는 베이스 분말 100 중량부와 혼합되는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중 1/3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어서 제1열처리된 생성물에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20 중량부 및 물 10 중량부와, 제조예 3의 매실분말을 부가하고 이를 100℃에서 제2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제조예 3의 매실 분말의 함량은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8 중량부이다. 그리고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20 중량부는 베이스 분말 100 중량부와 혼합되는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중 2/3에 해당하는 양이다.
상기 생성물을 45℃에서 숙성하여 이를 분쇄하여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함유하는 닭사료 조성물을 얻었다. 제2열처리과정에서 숙성이 진행되었다.
실시예 2: 닭사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의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대신 제조예 2의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닭사료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닭사료 조성물의 제조
매실 분말의 함량이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닭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닭사료 조성물의 제조
매실 분말의 함량이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닭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닭사료의 제조
제2열처리시 제조예 3의 매실 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닭사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3: 닭사료의 제조
매실 분말의 함량이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3 중량부 및 40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닭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항산화능 평가
(1) 제조예 1-2 및 참조제조예 1-2
제조예 1-2 및 참조제조예 1 내지 2에 따라 얻어진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의 항산화능을 자유라디칼 소거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산화능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하여 평가하며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류다리칼을 갖는 화합물로서 항산화능이 물질과 만나면 환원작용에 의하여 라디칼이 소거되어 탈색이 되는데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항산화능 평가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각 시료 10mg에 0.2mM DDPH 용액 0.9ml를 가하고 이를 강하게 교반한 다음, 25℃의 차광조건에서 30분 동안 반응을 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517nm에서의 흡광도를 사용하여 자류라디칼 소거 활성을 산출하였다.
구분 항산화능(%)
제조예 1 42
제조예 2 35
참조제조예 1 16
참조제조예 2 22
표 1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제조예 1 및 2에 따라 얻은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이 참조제조예 1 및 2의 경우와 비교하여 항산화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항산화능이 우수한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을 이용하면 보존기일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
(2) 제조예 3 및 참조제조예 3
제조예 3 및 참조제조예 3에 따라 얻어진 매실 분말의 항산화능을 자유라디칼 소거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시료 10mg에 0.2mM DDPH 용액 0.9ml를 가하고 이를 강하게 교반한 다음, 25℃의 차광조건에서 30분 동안 반응을 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517nm에서의 흡광도를 사용하여 자류라디칼 소거 활성을 산출하였다.
구분 항산화능(%)
제조예 3 38
참조제조예 3 11
표 2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제조예 3에 따라 동결건조하여 얻은 매실 분말이 참조제조예3에 따라 열풍건조한 경우와 비교하여 항산화능이 매우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예 2: 닭의 산란율 조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 따라 얻은 닭사료 조성물을 18주령 및 43 주령 산란계를 10마리씩 나누어서 사료를 급여 30부간 실험을 진행하고, 산란율 지속시간을 조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18주령 산란율 43주령 산란율
실시예 1 11 12
실시예 2 12 14
실시예 3 10 11
실시예 4 13 14
비교예 1 7 8
표 3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닭사료를 먹은 닭의 산란율이 비교예 1의 닭사료를 먹은 닭의 산란율과 비교하여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2의 닭사료를 먹은 닭의 산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가예 3: 계란의 품질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의 닭사료 조성물을 18주령 및 43주령 산란계를 10마리씩 나누어서 사료를 급여 30부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닭이 낳은 계란의 중량, 난각 및 난색을 평가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닭사료를 병아리 때부터 산란시까지 급여하고 6개월 후 산란한 본 발명의 계란과, 비교예 1 내지 3의 닭사료를 급여하여 산란한 계란과, 시판계란을 대상으로 계란의 무게, 난각 두께, 비린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하기 표 4에는 비교를 위하여 시판계란에 대한 것을 함께 조사하였다.
하기 표 4에서 비린내는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X: 비린내 없음 ◎: 비린내 아주 심함
○:비린내 있음 △:비린내 약간 있음
구분 계란 무게(g) 난각 두께(mm) 비린내
실시예 1 8.3 0.49 X
실시예 2 9.5 0.5 X
실시예 3 6 0.48 X
비교예 1 0 0.40
비교예 2 3 0.39
비교예 3 1 0.42
시판계란 1 0.43
표 4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닭사료를 먹은 닭이 낳은 계란의 무게와 난각의 두께가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 증가되었고 시판계란 및 비교예 1-3의 닭사료를 먹은 닭이 낳은 계란과 비교하여 비린내가 사라져 계란의 품질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예 4: 계란의 영양 분석
실시예 1의 닭사료 조성물을 병아리 때부터 산란시까지 주고 6개월 후 산란한 본 발명의 계란과, 시판계란을 대상으로 계란의 콜레스테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계란의 콜레스테롤 분석 검사방법은 국제화학분석방법규격(AOAC) Official Method 994.10에 따라 평가한다.
구 분 콜레스테롤
(mg/100mg)
실시예 1 387.0
시판계란 520.2
표 5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른 닭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은 계란의 콜레스테롤이 시판계란에 비하여 작아 영양적으로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예 6: 닭육질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닭사료 조성물을 먹은 닭을 도축하였고, 얻어진 닭 육질을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닭을 25℃에서 저장한 다음 시간 경과에 따른 pH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pH 변화는 근막, 지방 등을 제거한 후 시료 10g을 증류수 90ml와 함께 균질기로 13,500 rpm에서 10초간 균질하여 pH-측정기(Orion 230A, USA)로 측정하였다.
구분 채취직후 1일째 5일째 9일째
암모니아 농도(ppm)
실시예 1 20 22.5 51 100
실시예 2 21 22 45 97
비교예 1 30 55 79 131
표 6 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1 및 2의 닭사료분말을 먹은 닭의 육질은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5일, 10일 및 30일 경과후 pH 변화가 작다. 닭 육질의 pH는 육질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10일이 지나더라도 그 pH 변화가 매우 작다. 이와 같이 pH가 높게 유지되면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5)

  1. 분말화된 한약재박, 커피찌꺼기, 과일껍질, 버섯부산물, 목초액, 미강, 굴 껍질 및 혈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분말과,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과 매실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분말은, 상기 한약재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커피찌꺼기 10 내지 20 중량부, 과일껍질 12 내지 17 중량부, 버섯부산물 6 내지 10 중량부, 목초액 0.1 내지 0.5 중량부, 미강 70 내지 120 중량부, 굴 껍질 10 내지 20 중량부, 혈분 3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은, 연잎 및 황칠나무잎을 1 : 2 중량비로 준비하고 물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7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스팀기에 75℃에서 40분간 투입하여 스팀 히팅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을 25℃로 냉각시킨 다음, 235℃에서 15분 동안 열풍건조하고 나서 90℃에서 1시간 동안 제1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열처리된 결과물을 120℃에서 45분 동안 제2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열처리된 생성물 100 중량부에 설탕 3 중량부, 물 50 중량부를 차례로 부가하고 이를 6일 동안 발효 숙성하거나, 상기 제2열처리된 생성물 100 중량부에 설탕 3 중량부를 부가한 다음, 물 50 중량부 및 설탕 3 중량부를 추가로 부가하며 유산균을 접종하고 이를 온도 35℃, 상대습도 83% 의 조건에서 6일 동안 발효 숙성하는 단계;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사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5 ~ 40 중량부이고,
    상기 매실 분말의 함량은 상기 황칠나무잎 복합체 발효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사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 분말은,
    상기 매실을 선별 및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45℃ 에서 급속냉동하여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매실의 씨를 제거하고, 60 mesh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사료 조성물.
KR1020190158124A 2019-12-02 2019-12-02 닭사료 조성물 KR10213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24A KR102134543B1 (ko) 2019-12-02 2019-12-02 닭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24A KR102134543B1 (ko) 2019-12-02 2019-12-02 닭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543B1 true KR102134543B1 (ko) 2020-07-16

Family

ID=7183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124A KR102134543B1 (ko) 2019-12-02 2019-12-02 닭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474A (ko) * 2020-08-25 2022-03-04 윤경식 황칠과 함초를 사용하여 항산화제가 풍부한 란을 얻기 위한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20230024454A (ko) 2021-08-11 2023-0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메이에르 중탕가열 방식을 이용한 습식 닭고기 동물사료 제조방법 및 동물사료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2574A (zh) * 2014-06-11 2014-10-08 马鞍山市五谷禽业专业合作社 一种富含蛋白质的鸡饲料配方及其制备方法
CN104171599A (zh) * 2014-07-16 2014-12-03 郑志保 一种促进生长、提高抗病性、改善肉质的鸡饲料
KR20170067927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가축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6082A (ko) * 2016-05-30 2017-12-11 (주)현농 가축의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3270B1 (ko) * 2017-04-03 2018-01-30 (주)라파프로폴리스 산란계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산란계 사육방법
KR20180075979A (ko) * 2016-12-27 2018-07-05 민경갑 당 영양소 첨가 복합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곡물 발효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하는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KR101949105B1 (ko) * 2018-11-14 2019-02-15 김정민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6516B1 (ko) * 2018-10-11 2019-03-08 고원국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2574A (zh) * 2014-06-11 2014-10-08 马鞍山市五谷禽业专业合作社 一种富含蛋白质的鸡饲料配方及其制备方法
CN104171599A (zh) * 2014-07-16 2014-12-03 郑志保 一种促进生长、提高抗病性、改善肉质的鸡饲料
KR20170067927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가축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6082A (ko) * 2016-05-30 2017-12-11 (주)현농 가축의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5979A (ko) * 2016-12-27 2018-07-05 민경갑 당 영양소 첨가 복합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곡물 발효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하는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KR101813270B1 (ko) * 2017-04-03 2018-01-30 (주)라파프로폴리스 산란계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산란계 사육방법
KR101956516B1 (ko) * 2018-10-11 2019-03-08 고원국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105B1 (ko) * 2018-11-14 2019-02-15 김정민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474A (ko) * 2020-08-25 2022-03-04 윤경식 황칠과 함초를 사용하여 항산화제가 풍부한 란을 얻기 위한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102428386B1 (ko) * 2020-08-25 2022-08-03 윤경식 항산화제가 풍부하면서 콜레스테롤이 낮은 란을 얻을 수 있는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20230024454A (ko) 2021-08-11 2023-0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메이에르 중탕가열 방식을 이용한 습식 닭고기 동물사료 제조방법 및 동물사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105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841A (ko) 면실류, 미강, 비트펄프 및 유황이 함유된 참나무톱밥 배지에서 생산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이용한 굼벵이 양식용 사료 제조방법
KR20180117837A (ko) 면실류, 미강, 비트펄프 및 유황이 함유된 참나무톱밥 배지에서 생산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포함한 굼벵이 양식용 유황 발효 톱밥 및 그 유황 톱밥 제조방법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George et al. Effects of graded level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meal as feed additive on growth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s
KR101335081B1 (ko) 강황과 캡사이신을 사과부산물과 함께 발효하여 항바이러스와 항균력이 있는 항생제 대체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CN1759718A (zh) 以水产活体为生物反应器生产绿色保健水产品及方法
JPS61119144A (ja) 肉質改善用飼料
CN107047984B (zh) 高钙芳香型生物复配饲料及其制备方法和奶羊投喂方法
KR102292878B1 (ko) 인삼을 이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사육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102315313B1 (ko) 면역력 증진 및 악취제거용 애완동물 보조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6285B1 (ko)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 및 항균용 무항생제 사료 및 사료 첨가물
KR20100057277A (ko) 가축사육용 발효식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축사육 방법.
KR100911279B1 (ko) 무항생제 사료조성물
CN110833120A (zh) 一种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526310B1 (ko)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609909B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水产饲料添加剂
KR101812705B1 (ko) 조류독감 및 구제역 억제기능을 갖는 사료첨가제
KR101326274B1 (ko) 매실을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방법
CN105053621A (zh) 一种黄斑篮子鱼稚鱼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485057B1 (ko) 감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0803389B1 (ko)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CN107410167A (zh) 一种生态虫子鸡的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