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389B1 -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 Google Patents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389B1
KR100803389B1 KR1020070051129A KR20070051129A KR100803389B1 KR 100803389 B1 KR100803389 B1 KR 100803389B1 KR 1020070051129 A KR1020070051129 A KR 1020070051129A KR 20070051129 A KR20070051129 A KR 20070051129A KR 100803389 B1 KR100803389 B1 KR 100803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ed
green tea
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091A (ko
Inventor
최영생
Original Assignee
최영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생 filed Critical 최영생
Publication of KR2008000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은 어육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대맥분말 또는 소맥분말 30중량부, 해초분말 300중량부, 어유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 사료 제조단계와,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하여 제조한 녹차 농축액 0.05 내지 0.2중량부와, 송화가루 0.01 내지 0.2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중량부의 무화과 즙을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와, 상기 첨가물이 혼합된 사료에 수분이 40 내지 50 중량 %함유 되도록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된 사료를 가압하여 100 내지 120℃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면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장어, 녹차. 양식, 사료, 송화가루

Description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method for manufacture fodder for domestic eel}
본 발명은 어류 양식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장어 양식을 위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수산물이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수산물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어류 양식 또한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안의 오염과 양식생물의 질병 등으로 어류양식을 통한 수산물 공급량은 크게 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원인은 적극적으로 양식어장을 개발하지 못한 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연안어장의 오염이 수반된 양식환경의 악화로 연중 양식생물이 질병에 노출되면서 생산성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해상가두리나 육상 넙치양식장의 경우 연간 총생산 경비의 10%이상을 질병예방 및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수산양식산업의 경제성을 크게 악화시키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양식생물의 질병예방이나 치료목적으로 각종 약제를 남용함에 따라 양식생물의 식품안정성은 떨어지고 내병성도 나빠질 뿐만 아니라 국내 외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PCB나 다이옥신 등의 환경호르몬으로 식품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어 양식생물에 대한 기호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각종 수산약품 및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품안정성이 확보된 신선한 양식어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질병이 발생되기 이전에 특정 병원체에 대한 백신을 적극 활용하거나 면역증강물질의 투여로 어체의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불특정 질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어류 자체의 면역능을 증강시켜 주는 물질에 관한 연구가 폭넓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로는 β-glucan(Won et al., 2004), 기생충 구제제인 levamisole(Kajita et al., 1990), 달걀 유래 산생물인 EF203(Yoshida et al., 1993)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물질부터, 감귤 발효액(Song et al., 2002), 그리고 미역, 다시마, 파래와 같은 각종 해조류(Choi et al., 1995; Nakagawa et al., 1985; Yone et al.,1996)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연구된 바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각종 생약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사료 효율 개선 및 면역 기능 증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으나(Hwang et al., 1999; Kwon et al., 1999), 아직까지는 식품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어류 자체의 면역능을 증강시켜 줄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형편이다.
한편, 장어는 고단백 스테미너 식품으로, 비타민 A, B, E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장어의 지방에는 DHA 1332mg과 EPA 742mg 그리고 레시친(Lecithin)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데 레시친은 인체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 뇌세포 에는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물질이다.
장어는 성장단계가 여러 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인공산란, 부화를 할 수 없는 특이 종으로 그 생리적 특성 때문에 성장중간 단계인 실장어를 체포하여 적당한 환경에서 양식해야 하는데, 실장어에서 식용장어까지의 일반적 양식과정에서 대량밀집 형태의 양식으로 인한 세균성 질병 및 기생충성 질병 등 각종 감염성 질병이 발병하여 양식장어가 집단 폐사 하는 사례가 많다.
이를 막기 위해 양식현장에서 각종 어병균의 구제목적으로 세균성 질환에 대한 항생제를 사료에 첨가하거나 양식장의 물에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바이러스나 일부 기생충 등의 병원체에 의한 감염성 질환에는 효과가 없고, 이에 대해 수온조절 및 담수 등의 극단적인 물리적 방법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해양어류의 양식현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감염성 질병의 원인 규명, 사육환경의 악화요인과 개선책, 양식어류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 감소요인과 대책, 어종별 다발 질환의 종류 및 증상 조사, 질병에 대한 효율적인 예방 및 치료대책의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036831호에는 양만수를 이용한 내수어종의 치어 양식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2005-0123002호에는 오가피를 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양식사료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 0585500호에는 양식 민물장어 사료첨가제 및 이것을 포함하는 양식 민물장어 사료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양식 민물장어 사료 첨가제는 키토산에 영지버섯 추출액을 첨가한 혼 합물을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혼합물 키토산올리고당 유도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첨가재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 대량생산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어의 육질을 단백하게 하고, 기름진 육질을 고소한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어 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식되는 장어의 어병을 줄일 수 있는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은 어육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대맥분말 또는 소맥분말 30중량부, 해초분말 30중량부, 어유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 사료 제조단계와,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하여 얻은 농축액 0.05 내지 0.2중량부와, 송화가루 0.01 내지 0.2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 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중량부의 무화과 즙을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와,
상기 첨가물이 혼합된 사료에 수분이 40 내지 50 중량%함유 되도록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된 사료를 100 내지 120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면서 성형하는 가압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양식용 사료는 어육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대맥분말 또는 소맥분말 30중량부, 해초분말 30중량부, 어유 5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사료와 ,
상기 1차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 하여 얻은 녹차 농축액 0.1중량부와, 송화가루 0.1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의 무화과 즙이 포함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어양식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장어양식사료에 첨가되는 녹자 농축액은 녹차잎을 저온의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이를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송화 가루는 4,5월에 소나무로부터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녹차는 중금속을 해독하는 효능이 있으며,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이라는 성분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골수에 도달하기 전에 인체로부터 제거하여주는 효능이 있다. 특히 녹차는 맹독성 물질로 알려져 있는 다이옥신의 흡수를 억제하고, 배설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며, 녹차의 식이섬유가 다이옥신을 흡착하여 소화기 내에서 흡수되는 것을 막고, 변으로 배설하는 한편, 클로로필 성분이 다이옥신과 결합, 복합체를 형성하여 소화관의 다이옥신 흡수를 막기 때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녹차에는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 사포닌은 강력한 계면활성을 지녀 세균번식과 물의 오염을 막아준다. 그리고 녹차잎 0.5g은 카드늄을 비롯한 9가지 중금속이온을 함유한 시료용액에 첨가하여 30분 동안 방치 후 여액중 중금속을 측정한 결과 카드늄은 77% 납은 80% 구리는 61%의 흡착율을 나타내어 녹차가 중급속 효과가 강하다는 것이 알려졌다. 한편, 쥐에게 3주일간 고농도의 납과 카드늄 음료수를 투여한 동물실험에서 녹차 음용군은 증류수 음용구에 비하여 납중독 시 30%의 체중감소 억제효과를 보였고, 카드늄 중독시 6%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특히 간과 대퇴골에서는 녹차 음용군은 증류수 음용군에 비하여 납은 40 내지 50% 카드늄은 20 내지 40%의 뚜렷한 감소효과를 나타내 보였다. 이와 같이 녹차는 음용이가 식품에서 다이옥신 및 납, 카드늄과 같은 중금속의 장내흡수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4,5월에 채취된 송화가루는 아스파라긴산, 드레오닌, 세린, 글루타민산, 프콜린, 그리닌, 알라닌, 시스틴, 단백질,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B1, B2, 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을 강화하고, 위장을 보호하는 것으로 본초강목, 당본초 등에 개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녹차를 이용한 장어 양식 사료의 제조방법은 어육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대맥분말 또는 소맥분말 30중량부, 해초분말 30중량부, 대두분말 10 중량부 어유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 사료 제조단계와;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하여 제조한 녹차 농축액 0.05 내지 0.2중량부와, 송화가루 0.01 내지 0.2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 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중량부의 무화과 즙를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1차 사료와 상기 첨가물이 혼합된 사료를 수분이 40 내지 50 중량% 함유 되도록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된 사료를 100 내지 120℃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면서 가압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사료제조단계에 있어서, 상기 어육은 고등어, 참치, 정어리, 꽁치 등의 생선의 살과 내장으로 이루어지며 새우, 게 등의 가루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맥분말,소맥분말 및 대두분말은 100 내지 120℃의 스팀을 이용하여 찐 후 건조하여 분쇄하거나 볶은 후 분쇄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대두분말은 백태 또는 서리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해초분말은 미역, 다시마, 김, 우뭇가사리를 건조한 후 이를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첨가물 혼합단계에 있어서, 상기 녹차 즉, 장어 양식 첨가제로 사용하기 위한 녹차 농축액은 첫물 차잎을 1000cc에 250g 내지 300g을 혼합한 후 80-82℃에 약 4시간 동안 저온 열 추출한다. 그리고 저온 열 추출한 1차 추출액을 침전시키 후 여과하고, 여과된 1차 추출액 400cc를 얻는다. 그리고 1차 추출액 400cc를 가열하면서 100cc로 농축한 후 85℃를 유지한 상태에서 진공포장 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녹차농축액을 냉장 보관하면서 장어 양식용 사료에 첨가제로 사용한다. 상기 녹차 농축액 취출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녹차농축액을 상술한 바와 같이 0.05 내지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녹차농축액이 0.0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그 양이 너무 적어 본 발명이 기대하는 장어의 폐사율을 저하시 킬 수 없으며, 반대로 0.2중량부 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장어의 성장이 느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첨가물 혼합단계에 있어서, 상기 무화과 즙은 무화과를 세척한 후 이를 가압장치 예컨데, 기름틀 등을 이용하여 가압추출하고, 이를 50℃에서 저온살균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무화과 즙의 추출 시 무화과의 수분이 50 중량 % 함유하도록 1차 건조시킨 후 이를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추출 할 수도 있다. 상기 녹차 농축액과 무화과 즙의 혼합은 장어의 상처의 치유효과를 높이고, 상기 어유를 혼합함으로써 장어의 단백질을 보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무화과 즙은 녹차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중량부 포함된다. 무화과 즙을 5중량부 이하로 첨부한 경우 상기 녹차 농축액과 무화과 즙의 혼합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5중량부 이상으로 함유시킨 경우 장어의 성장이 느려지는 경향이 있었다. 상기 어유는 사료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0 중량부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단계는 첨가물이 혼합된 사료를 1 내지 3mm 의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가압배출시킴으로써 과립상태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는 어육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대맥 분말 또는 소맥분말 30중량부, 해초분말 30중량부, 어유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사료와,
상기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하여 제조한 녹차 농축액 0.05 내지 0.2중량부와, 송화가루 0.01 내지 0.2중량부와, 상기 녹차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중량부의 무화과즙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녹차 농축액 0.1중량부, 무화과 즙 10중량부, 어유 5중량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사료는 어육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대맥분말 또는 소맥분말 30중량부, 해초분말 30중량부, 어유 5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 사료를 제조하고,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후 농축하여 얻은 녹차 농축액 0.05중량부와, 송화가루 0.01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 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의 무화과 즙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장어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여과조와 포말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는 순환여과식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2,000 미의 실장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사료를 145주간 공급하면서 양식하여 제1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2>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 후 녹차 농축액 0.1중량부와, 송화가루 0.1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 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의 무화과 즙과, 5 중량부의 어유를 혼합한 후 성형하여 장어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여과조와 포말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는 순환여과식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실장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사료를 145주간 공급하면서 양식하여 제2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3>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 후 녹차 농축액 0.15중량부와, 송화가루 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 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의 무화과 즙과, 7 중량부의 어유를 혼합한 후 성형하에 장어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여과조와 포말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는 순환여과식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실장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사료를 145주간 공급하면서 양식하여 제3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4>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 후 녹차 농축액 0.2중량부와, 송화가루 0.2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 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의 무화과 즙과, 10 중량부의 어유를 혼합한 후 성형하에 장어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여과조와 포말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는 순환여과식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실장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사료를 145주간 공급하면서 양식하여 제4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5>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저온추출 후 녹차 농축액 0.25중량부와, 송화가루 0.2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 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의 무화과 즙과, 15 중량부의 어유를 혼합한 후 성형하에 장어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여과조와 포말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는 순환여과식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실장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사료를 145주간 공급하면서 양식하여 제5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상기 비교에는 실험예 1의 실험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장어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시판되는 장어용 사료만을 이용하여 양식하였다. 이때, 장어에 급이 되는 사료의 종류만 달리할 뿐 장어 양식장의 크기, 수온, 산소량, 직사광선 차광 및 사육 마릿수 등 제반조건은 실험군과 비교군이 동일하게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5 실험군과 비교군을 양식한 후, 성장율, 폐상율, 어병발생정도를 비교하여 하기 표 1를 얻었다.
하기 표 1에 있어서, 양식되고 있는 각 실험군의 양식장어를 무작위로 200마리 선정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비교군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그리고 폐사율은 2,000마리가 약식되는 과정에서 145주동안 폐사된 실장어를 백분율로 환산한 것이며, 어병발생빈도는 양식되는 동안에 어병이 발생된 횟수를 기재한 것이다.
표 1
성장율(%) 폐사율(%) 어병발생빈도(횟수) 수질오염
제 1실험군 107 0.54 1 보통
제 2실험군 110 0.43 1 양호
제 3실험군 109 0.49 0 양호
제 4실험군 102 0.45 1 보통
제 5실험군 99.2 0.5 1 보통
비교군 100 7.95 3 보통
상기 실험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양식되는 장어는 기존의 사료를 이용하여 양식하는 것에 비하여 성장율이 2 내지 10%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폐사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녹차 농축액과 송화가루가 혼합된 장어 사료을 급이 하였을 때에 폐사율은 종래 7 내지 10%에서 현 0.5% 정도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장어에서 육성기에 이르기까지 0.50%미만 이었다. 이는 자연폐사 수준이다.
삭제
한편, 상기 제1 내지 5 실험군과 비교군을 양식한 후 육질분석, 장어양식에 따른 시식한 소비자의 느낌을 실험하였다.
<1> 육질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얻은 제1,2실험군과 비교군의 육질을 분석하여 하기 표를 얻었다. 육질분석은 장어를 머리, 내장, 뼈를 제거하고 순수한 근육조직만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수분분석기, 조단백질은 Kjeldahl질소정량 법(N6.25), 조지방은 Soxhlet추출법을 이용하였다.
항목 제 1실험군 제2실험군 제 3실험군 제 4실험군 제5실험군 비교군
수분함량 (moisture 49.13중량% 48.34중량% 47.55 중량% 49.99 중량% 54.5중량% 50.23중량%
조단백질 (crude protein) 18.77중량% 19.99 중량% 18.78 중량% 18.34 중량% 15.76중량% 16.54중량%
조지방 (crude lipid) 25.99중량% 26.12중량% 25.89중량% 26.55 중량% 26.45중량% 26.56중량%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어 육질이 비교군 보다 제 1 내지 제 4실험군이 상대적으로 유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시식한 소비자의 느낌조사
본 실험에 따른 양식 장어 사료를 급이한 장어의 무작위로 착출한 100명에게 비교군의 장어와 같이 시식하게 하고, 하기 표 2를 얻었다.
표 2
장어 구이의 육질 장구이의 향, 고소한 맛 자연산의 맛이 난다
제 1실험군 8 9 9 10
제 2실험군 10 8 10 15
제 3실험군 8 9 10 12
제 4실험군 7 9 8 10
제 5실험군 6 8 6 17
비교군 6 9 9 8
상기 표는 소금구이한 장어를 무작위로 추출한 100명에게 시식토록 하고 50명 60 이상이 양호하다고 인정한 것을 10, 30명이 양호하다고 인정한 것을 5, 10명 이상 양호하다고 인정한 것을 3으로 설정하고 이를 경계로 환산하였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료에 의해 양식된 장어의 육질이 단단하고, 고소한 맛이 향상되었다고 평가되었다. 특히 자연산의 장어처럼 인식하는 시식자가 60% 이상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는 양식된 장어에 육질을 단단하게 하고, 사육 시 장어의 폐사율이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특히 장어의 성장율을 높일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어육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대맥분말 또는 소맥분말 30중량부, 해초분말 30중량부, 어유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1차 사료 제조단계와,
    상기 1차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녹차잎을 녹차잎을 1000cc에 250g 내지 300g을 혼합한 후 80-82℃에서 1차 추출액하고 상기 1차출액을 가열하여 100cc로 농축한 녹차 농축액 0.05 내지 0.2중량부와, 송화가루 0.01 내지 0.2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녹차농축액 100 기준 중량부에 대해 무화과의 수분이 50중량% 함유하도록 1차 건조시 킨 후 이 무화과를 가압하여 추출 한 무화과 즙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와,
    상기 첨가물이 혼합된 사료에 수분이 40 내지 50 중량%함유 되도록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된 사료를 100 내지 120℃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면서 가압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양식용 사료 제조방법.
  2. 삭제
KR1020070051129A 2006-07-13 2007-05-25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KR100803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6010 2006-07-13
KR1020060066010 2006-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091A KR20080007091A (ko) 2008-01-17
KR100803389B1 true KR100803389B1 (ko) 2008-02-13

Family

ID=3922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129A KR100803389B1 (ko) 2006-07-13 2007-05-25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701A (ko) 2018-07-09 2018-07-1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라키돈산을 포함하는 뱀장어 사육용 사료 조성물
KR20190055031A (ko) 2019-04-29 2019-05-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라키돈산을 포함하는 뱀장어 사육용 사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30A (ko) 2020-02-20 2021-08-30 이동문 상황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장어 사료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81A (ko) * 1997-08-08 1999-03-05 조건식 양어의 항병성 사료
KR100585500B1 (ko) 2005-01-27 2006-06-07 코미뱀부인터내셔날(주) 양식 민물장어 사료첨가제 및 이것을 함유한 양식민물장어 사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81A (ko) * 1997-08-08 1999-03-05 조건식 양어의 항병성 사료
KR100585500B1 (ko) 2005-01-27 2006-06-07 코미뱀부인터내셔날(주) 양식 민물장어 사료첨가제 및 이것을 함유한 양식민물장어 사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701A (ko) 2018-07-09 2018-07-1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라키돈산을 포함하는 뱀장어 사육용 사료 조성물
KR20190055031A (ko) 2019-04-29 2019-05-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라키돈산을 포함하는 뱀장어 사육용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091A (ko)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2755709A1 (de) Verfahren zum anheben des metallgehalts in gewebe
KR101761377B1 (ko)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529610A (zh) 治疗剂
Šulcerová et al. Effect of addition of pollen and propolis to feeding mixtures during the production of broiler chickens ROSS 308 to the colour of thigh and breast muscle and pH determination
KR100803389B1 (ko)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KR100855755B1 (ko) 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육방법 및 가금육을사용한 신규한 면류
KR101127453B1 (ko) 감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JP2004141145A (ja) 飼料用添加物
KR102526310B1 (ko)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609909B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水产饲料添加剂
KR100902406B1 (ko) 장어양식용 사료
KR100766808B1 (ko) 기능성 젓갈의 제조방법
KR102333548B1 (ko) 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7564B1 (ko)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KR102633771B1 (ko) 철갑상어 분말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이용 조성물
Hassanien et al. Effect feeding of supplemented ration with algae on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for Damascus goats
KR20080109700A (ko) 상황버섯으로 숙성한 홍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KR20050074395A (ko)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CN105053520A (zh) 一种含骨粉的饲料及其制备方法
Chen et al. Effects of Sorghum distillery residue supplemented with ocimum gratissimum on erythrocyte profiles, egg traits, and immunity of laying hens
Attalla et al. Influence of olive leaves additive on growth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Sarotherodon galilaeus
KR101840437B1 (ko) 패류 가공부산물이 포함된 어류용 친환경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10594A (zh) 一种金枪鱼血粉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