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564B1 -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564B1
KR101187564B1 KR1020090044266A KR20090044266A KR101187564B1 KR 101187564 B1 KR101187564 B1 KR 101187564B1 KR 1020090044266 A KR1020090044266 A KR 1020090044266A KR 20090044266 A KR20090044266 A KR 20090044266A KR 101187564 B1 KR101187564 B1 KR 10118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broiler
mushrooms
flammulina velutipes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512A (ko
Inventor
김선구
김근기
최용락
이상범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5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키고 육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팽이버섯 폐기물을 건조처리 혹은 발효처리하여 사료 첨가제로서 급여함으로써 팽이버섯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뿐 아니라 육계의 육질 또한 아미노산 함량 증가와 지방산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팽이버섯, 육계, 사료 첨가제, 육질, 사육환경

Description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A method for reusing disused mushroom resource as feed additives for broiler chick and feed additives for feeding broiler chick having improved chicken meat quality}
본 발명은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키고 육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은 담자균류의 주름버섯목(Agaricales) 송이과(Tricholomataceae)에 속하는 균으로 야생에서 팽나무, 뽕나무, 사시나무 등의 활엽수 줄기나 뿌리를 분해하는 백색 부후균의 하나로서 오래 전부터 인공재배에 의해 생산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버섯재배의 기계화를 통하여 재배농장이 확대되어 매일 약 75 톤(연간 23,000 톤)의 생산체계를 갖추게 되어 농가소득의 주요 작목으로 정착 되었다. 재배된 팽이버섯을 수확하여 식용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폐기 처리되는 균사체(뿌리부분)의 량은 년 간 8,200 톤에 이르고 있어(농진청, 2006), 부존자원 및 폐기자원의 사료화는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환경오염의 방지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Lignin은 난분해성 페놀 고분자 화합물에 속하므로 동물에 의하여 소화가 어렵지만 담자균류 중 백색 부후균은 리그닌분해효소인 ligninase를 분비함으로 이를 사료첨가제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 졌고(Park et al., 1978; Lee and Kim, 1982), Oh et al.,(1984)은 느타리버섯 재배 배지를 육계에 이용할 수 있는 범위로서, 밀기울 4%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버섯균은 자연생태계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분해자로서 역할을 주로 하므로 버섯균은 섬유소 분해능이 우수하여 일반 세균이나 효모균이 분해하기 어려운 리그닌 복합체도 포도당 등의 단당류 형태로 분해하여 토양 미생물의 증식을 조장하기도 한다(Bumpus 등, 1985; Cripps 등, 1990; Ready, 1995). 따라서 폐기되어지는 균사체의 사료화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폐기 균사체의 사료화를 위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폐기처분되는 팽이버섯 균사체를 육계에 급여하여 육계의 사육환경개선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효율적으로 급여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 형태로 제공하여 계분의 가스발생감소와 장내 병원미생물 감소 등 육계의 사육환경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육계의 육질을 개선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견지에 의하면,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견지에 의하면,
실온에서 건조처리한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에 대한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육계의 육질을 개선하며, 이때 사용량은 사료 충 중량의 1-5%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견지에 의하면,
실온에서 건조처리한 팽이버섯 폐기물을 당분해 미생물 발효균주로서 기탁번호 KACC91018의 Bacillus subtilis A8-8 균주 혹은 기탁번호 KACC91407의 Klebsiella sp . Sc 균주로 접종ㆍ발효시켜 수득된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에 대한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육계의 육질을 개선하며, 이때 사용량은 사료 충 중량의 1-5%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게 된다. 이때 팽이버섯 폐기물은 수확된 팽이버섯의 뿌리, 또는 생산 및 재배도중 발생한 상품가치없는 팽이버섯 부산물을 의미한다.
이같은 팽이버섯 폐기물은 실온에서 건조한 다음 분말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혹은 상기 건조 처리 후 당분해 미생물 발효균주로서 Bacillus subtilis A8-8 균주(동아대 미생물유전 실험실에서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로서 기탁번호KACC 91018) 혹은 Klebsiella sp . Sc(동아대 미생물유전 실험실에서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로서 기탁번호 KACC 91407) 균주로 접종ㆍ발효시킨 다음 분말 타입으로 제공하면 어떠한 이유에서 볼 때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종 조건은 LB평판배지 이용하여 37℃에서 2일 간 배양하는 조건하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같은 조건은 미생물들이 버섯 중의 다당류를 분해하기 최적 조건이므로 선정되는 것이다.
상기 발효 조건은 실온에서 2주 간 배양 조건하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같은 조건은 미생물들이 미이용 버섯자원을 완전히 분해하기 최적 조건이므로 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온에서 건조처리한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에 대한 사료첨가제로 사용하며, 이때 사용량은 사료 충 중량의 1-5% 범위내이면 육질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계분의 가스발생 감소와 장내 병원미생물 감소 등 육계의 사육환경 또한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량은 시판중인 육계사료는 육계가 요구하고 있는 최소한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료 첨가제를 과다 첨가하면 영양균형을 깨뜨려서 육계의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선정된 것으로, 사료의 5%까지 첨가급여 하여도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으며, 닭고기의 육질개선을 위하여 최소 1% 수준의 첨가 급여를 권장한다.
이때 사용되는 팽이버섯 폐기물은 수확된 팽이버섯의 뿌리, 또는 생산 및 재배도중 발생한 상품가치없는 팽이버섯 부산물을 의미한다.
나아가, 실온에서 건조처리한 팽이버섯 폐기물을 당분해 미생물 발효균주로서 Bacillus subtilis A8-8 균주 혹은 Klebsiella sp . Sc 균주로 접종ㆍ발효시켜 수득된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에 대한 사료첨가제로 사용하며, 이때 사용량은 사료 충 중량의 1-5%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질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육계의 사육환경 또한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팽이버섯 폐기물은 수확된 팽이버섯의 뿌리, 또는 생산 및 재배도중 발생한 상품가치없는 팽이버섯 부산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실시 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육계의 육질은 육의 보수력 증진, 저장성 증진, 아미노산 함량 증가, 불포화 지방산 증가 등의 관점에서 볼 때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으며, 육계의 사육환경 또한 장내 살모넬라 및 대장균 감소,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발생 감소 등의 관점에서 볼 때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었으므로, 팽이버섯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이버섯 폐기물을 건조처리 혹은 발효처리하여 사료 첨가제로서 급여함으로써 팽이버섯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뿐 아니라 육계의 육질 또한 아미노산 성분 증가, 지장산 조성 개선(불포화지방산 증가)시킬 수 있다.
재료 및 방법
1. 공시동물 및 시험장소
본 발명에서는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소재인 한신 부화장에서 부화된 1일령 육계 병아리(한협3호 토종닭)를 임의로 96수 씩 선별하여 건조타입 사료첨가제 실험과 발효타입 사료첨가제 실험에 각각 공시하였다. 병아리들은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부속농장에서 7주간 사육한 후 도계하여 닭고기 품질 검사를 실시하 였다.
2. 팽이버섯 폐기물의 준비(건조 타입 및 발효 타입)
본 발명에 사용된 버섯은 경상남도 청도군 소재인 (주)그린피스공장에서 생산된 팽이버섯으로 포장작업에서 폐기되는 부산물(뿌리부분, 상품가치가 없는 버섯도 포함)을 신선하게 유지하여 톱밥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후 사료분쇄기(Cutting Mill-J-NCM, 지시코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20 mesh로 분말을 만들어 건조 타입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였다.
나아가 상기 분말화된 팽이버섯 폐기물 1.5kg에 Bacillus subtilis A8-8 균배지 1.5ℓ, Klebsiella sp. Sc균 배지 1.5ℓ를 혼합하여 배양한 다음 발효 타입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접종 및 발효는 우선 고상발효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다당류들을 분해하는 Bacillus subtilis A8-8 균주(동아대학교 미생물유전 연구실에서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기탁번호 KACC 91018)와 Klebsiella sp. Sc 균주(동아대학교 미생물유전 연구실에서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기탁번호 KACC 91407)를 LB 배지 (polypepton 10 g/ℓ, yeast extract 5 g/ℓ, NaCl 10 g/ℓ, glucose 1 g/ℓ)에 각각 접종하여 37℃에서 2일간 배양 하였다.
이어서 수득된 2가지 고상배양액들을 건조된 팽이버섯 폐기물 분말과 1:1:1 (v:v:w)의 비율(즉, A8-8균주 고상배양액 1.5ℓ, Sc 균주 고상배양액 1.5ℓ, 팽이버섯 폐기물 분말 1.5 kg)로 골고루 혼합한 다음, 이를 실온에서 2주 동안 발효시켰다. 이후 발효산물을 완전히 동결 건조시킨 후 Mixer를 이용하여 완전히 파쇄하 고 사료 첨가물로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팽이버섯의 준비과정은 도 1에 나타내었고, 건조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 분말의 성분 측정 결과는 하기표 1에 정리하였다.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Crude Ash Ca P
10.52 23.04 2.56 7.69 6.82 0.017 0.759
* All values are expressed on a dry matter basis.
3. 사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료는 농협에서 제조된 육계전용사료(농협사료로서 함안공장에서 생산된 육계전기사료와 육계후기사료)로서, 4주령 이전은 옥수수-소맥피-대두박 위주 조단백질 19.50% 이상, MEn 3,050 kcal/ kg 이상인 육계전기사료<크럼블>과 4주령 이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 조단백질 19.50% 이상, MEn 3,100 kcal/ kg 이상인 육계후기사료<펠렛>를 기초 사료로 급여하였다.
4. 실험결과
실시예 1: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시
병아리 96수를 4개 처리구에 처리당 3반복으로 실험설계하고 반복 당 병아리 8수씩 배치하였다. 대조구(Control)는 시험 전 기간 동안 기초사료만을 급여하였고, 시험1구(T1)는 기초사료에 분쇄 팽이버섯 1% 첨가, 시험2구(T2)는 기초사료에 분쇄 팽이버섯 3% 첨가, 시험3구(T3)는 분쇄 팽이버섯 5%를 각각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하였으며, 기간별 관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초이기(입추?1주령)
입추 1주일은 예비기로서 1일령 육계병아리를 사육실로 이동하여 4개 시험구에 24마리씩 배치하였다. 사육실을 철제 망으로 칸막이 하고 바닥과 철제 망 4방면을 신문지로 막이 보온을 유지하였고, 백열전구(220 V)를 설치하여 1주간은 32℃ 온도에서 24시간 점등시켜 사육하였다. 사료와 물은 대양테크-T에서 구입한 사료통(중추용)과 물통(초생추용)을 이용하여 자유 급식시켰으며, 초이기 동안 사료는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구분 없이 기초사료(육계전기사료)만을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2) 육계전기(2?4주령)
4개 시험구에 24마리씩 배치되었던 병아리들을 2주령 째부터 8수씩 3반복으로 나누어 배치시켰으며, 반복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8수의 총 무게가 서로 비슷하도록 배치하였다. 사육온도는 2주령 29℃, 3주령 26℃, 4주령 23℃에서 24시간 점등시켜 사육하였으며, 시험구별로 준비된 사료를 급여 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 급식하도록 하였다.
3) 육계후기(4?7주령)
4주령 이후에는 4수용 3단 철제 케이지에서 사육하였으며, 밤과 낮의 일교차가 심한 날에는 15℃?24℃를 유지하기 위한 보온관리를 하였다. 시험구마다 준비된 사료를 공급하였고 사료와 물은 자유 급식시켰다. 기타 관리는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부속농장 가축사육 관행법에 준하였다.
실험분석방법
1) 일반성분 분석
건조 팽이버섯의 폐기물일반성분은 AOAC(1995)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수분은 건조법, 무기물과 조단백질 함량은 IC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조지방 함량은 Soxhlet 추출법 및 조회분 함량은 전기회화로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체중 및 사료섭취량
체중은 시험개시 후 매주 마다 조사하였으며, 증체량(Weight Gain)은 1주일간의 총 증체량을 사육수수로 나누어 1수당 증체량으로 표시하였다. 사료섭취량(Feed intake)은 사료 총 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여 총섭취량을 구하고 사육수수로 나누어 1수당 섭취량으로 표시하였으며, 사료요구율(Feed/Gain)은 사료섭취량을 1주일 증체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3) 도체특성
시험 종료 시에 생체중을 측정하고 외면혈관절단법을 사용하여 신속히 방혈을 유도한 다음 중탕탈모법(59?60℃, 20?60 sec)으로 탈모시켰다. 이어서 머리와 발목 및 내장전체를 제거한 다음 도체중을 측정하고 부분육을 조사하였다. 부분육은 경부(제1경추에서 제14경추사이), 익부(좌우 양쪽 날개부위), 흉부(흉골과 늑골이 포함된 가슴육), 척부(제1흉추와 17흉추사이), 요부(장골과 좌골이 포함된 골반부), 대퇴부(대퇴골과 경골 및 비골을 포함한 근육)로 분할하였다. 가식내장(근위, 간, 심장)의 무게를 측정하고, 닭고기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을 채취하였다.
4)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
(1) pH(수소이온지수)
가슴과 다리 근육의 pH는 근막, 지방 등을 제거한 후 세절한 시료 10 g을 증류수 90 ㎖와 함께 Homogenizer(동양과학, T25)에서 14,000 rpm으로 10초간 균질한 다음 pH-meter(pHM210 Standard pH Meter, Consort, BE/C835, France)로 측정하였다.
(2) 육색(Meat color)
육색은 가슴 천흉근과 상오구근 그리고 정강이 대퇴2, 4두근과 비복근의 단면을 이용하여 Chroma meter(Minolta, JP/CR.300, Japan)를 사용하여 Hunter 값의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도색(redness)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을 고루 9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하였고, 이때의 표준색은 y값이 92.40, x값이 0.3136, y값이 0.3196인 백색타일의 calibration plate를 표준으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가열감량(Cooking loss) 및 총 수분함량(Total water content)
가열 감량은 시료를 일정하게 절단하여 철망에 넣은 후 시료를 넣은 철망을 원심분리 튜브에 넣고, Laboratory Film(Fara film, Menasha, USA)으로 원심분리 튜브 상단을 밀봉하였다. 밀봉한 원심분리튜브를 70℃의 항온수조에 30분간 가열하고 꺼내어 10분간 냉각 후 1,3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가열감량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112009030391166-pat00001
Cooking loss(%) =
총 수분함량은 유리샬레의 무게를 잰 후 시료를 일정하게 절단하여 유리샬레에 올려놓고 무게를 재었다. 그런 후 Drying oven(대한랩테크, LDO-080N, Korea)에서 102℃로 하여 16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2시간, 1시간, 30분, 15분마다 측정하여 변화가 없을 때의 수치를 측정하였다. 지문이 묻지 않도록 비닐장갑을 끼고 이동하였으며, Directer balance(XB220A, Precisa, swiss)에서 0.000단위까지 측정하였다.
Figure 112009030391166-pat00002
총수분 함량(W(%)) =
(상기 식에서, c는 철망 무게(a) 와 시료무게(b)의 합이며,
d는 항량시 무게를 의미한다.)
(4) 보수력(Water-holding capacity)
보수력 측정을 위한 수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30391166-pat00003
보수력 =
(5)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 용해성(Water and Salt soluble protein solubility)
단백질의 용해성은 Saffle과 Galbreath(1964)의 방법에 따라서 실험하였다. 수용성 단백질 추출은 시료 2 g에 증류수 12 ㎖를 가하여 Homogenizer(T25, 동양과학, Korea)를 사용하여 10,000 rpm에서 1분간 균질하고 이것을 원심분리기 (KR/Union 5KR, Hanil, Korea)에서 2,450 rpm, Rotor code 1, 온도 15℃에서 Centrifuging하여 상등 액을 취해 비커에 넣은 다음 남은 잔사에 증류수 12 ㎖를 넣어 다시 Centrifuging 한 뒤 상층 액을 취하여 비커에 모은 후 그 추출액을 가지고 시험관에 Burret 시약* 과 Burret 시약 : 추출액을 3 : 2로 섞어 자외-가시선 분광광도계(UV-9100, HUMAN,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측정하는 Biuret 법(Cooper, 1977)으로 측정하였다. 염용성 단백질 추출은 수용성 단백질 추출을 하고 남은 잔사에 동일한 방법으로 증류수 대신 NaCl을 12 ㎖ 넣고 두 번 상층액을 걸러 비커에 모은 후 그 추출액을 가지고 Biuret 시약과 혼합한 후 자외-가시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측정하였다. 용해된 단백질 량은 mg/ g으로 나타내었다.
○ Biuret 시약* = (CuSo4?H2O(3 g) + KOOCCH(OH)CH(OH)COONa?4H2O(9 g) + 0.2N NaOH(8 g) + Potassium iodine(K.I)(5 g))
○ 0.2N NaOH 8 g을 1000 ㎖에 녹인 후 500 ㎖을 따서 CuSo4?H2O와 KOOCCH(OH)CH(OH)COONa?4H2O를 녹인 후 나머지 500 ㎖에 요오드화칼륨인 Potassium iodine(K.I) 5 g을 녹여 혼합 후 1 ℓ를 제조한다.
일반성분분석과 동일한 도축방법, 저장방법으로 -21℃ 냉동고에 저장한 후 실험 시 해동하여 조지방 함량과 아미노산 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6) 아미노산
세절한 시료 10 g을 증류수 50㎖와 혼합하여 Homogenizer(T25, 동양과학, Korea)에서 약 1,400 rpm에서 5분간 균질화시킨 다음 Slurry를 Centrifuging(4,000 rpm/20 min)시켜 Whatman No 2.로 여과시켰다. 여과액에 12% TCA solution을 증류수와 같은 동량 50 ㎖을 첨가시켜 침전시킨 다음 냉건소에서 1시간 침전 시켰다. 침전된 것을 균형을 바르게 하기 위해 Centrifuging(4,000 rpm/20 min)시킨 후 상등액을 분별깔때기(Separatory Funnel)에 넣고, 상등액에 Ethyl ether 50 ㎖를 가하여 TCA와 lipid를 제거하기 위해 3회 반복하여 하층을 재추출하였다. 이렇게 회수한 하층을 evaporator(40℃)로 혹시나 남아있을 12% TCA solution 과 Ethyl ether를 감압 건조하여 증발시킨 후 농축액 3 ㎖와 0.2M Lithium citrate loading buffer(pH 2.2) 7 ㎖를 희석시켜 10 ㎖를 만든 후 membrane filter(0.45 ㎛)로 여과하여 자동 아미노산 분석기 (Bioteck Biochrom 30, Pharmacia., UK)에 40 ㎕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은 하기표 2의 조건하에 분석하였다.
Item Condition
System Pharmacia bioteck boichrom 30, UK
Data analysis Amino acid analyzer
Injection volume 40 μl
Buffer Lithium citrate buffer
Temp. range Reaction coil : 40 to 145℃
Column 20 to 99℃
(7) 조지방 함량
조지방 함량은 Folch법(1957)을 이용하여 조지방 함량 구하였다. 세절한 시료(A) 3 g(오차허용기준 : 3.00±0.03 g)을 50 ㎖ conical type 튜브에 넣고 Folch Ⅰ인 혼합 solvent(Chloroform : methanol(2:1))를 15 ㎖를 첨가한 다음 Homogenizer(T25, 동양과학, Korea)를 이용하여 2,500 rpm에서 3분간 균질화시켰다. Homogenizer에 묻은 지질 조각을 FolchⅠ 5 ㎖를 이용하여 50 ㎖ conical type 튜브에 모은 후 균질화된 시료에서 조지방의 추출액이 완전히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 2시간 동안 항온실에 방치하였다. 방치 후 추출액을 100 ㎖메스실린더에 설치된 여과지(Whatman No 1.)에 여과시켰고, 50 ㎖ conical type 튜브에 남아있는 지질 조각도 포함시키기 위해 Folch Ⅰsolvent 5 ㎖을 50 ㎖ conical type 튜브에 넣고 세척시켜 함께 여과시켰다. 여과지에 다시 FolchⅠ solvent를 골고루 5 ㎖넣어 조지방 추출을 유도한 후 메스실린더에 0.88% NaCl를 총 여액의 1/3 정도 첨가하여 shaking시켜 상층(methanol, 증류수, NaCl)과 하층(조지방, Chloroform)을 분리시켰다. 분리된 하층의 높이(B)를 측정한 후 Aspirator(VE11, JEOTECH, Korea)를 이용하여 연결된 모세관으로 상층액을 버리고 하층(lipid layer)만을 취하였다. lipid layer에서 10 ㎖(C)를 dish에 넣고 Dry Oven(LDO-080N, 대한랩테크, Korea) 60℃ 이상에서 30분 동안 Chloroform을 완전히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dish 무게에서 dish무게를 빼 조지방 무게(D)를 구했다.
조지방(%) = (D × B) / C / A × 100
5) 닭고기의 저장성
사양시험이 종료된 육계 토종닭을 도축 한 후 도체에서 가슴과 대퇴부위를 채취하여 껍질(skin)을 제거하고, 과도한 지방과 결체조직을 제거한 후 근육(Lean meat)부분만을 취하여 소비자용 랩(wrap)에 포장하여 냉장실(2±1℃)에서 저장하면서 0, 3, 6, 9일에 각각 TBARS(지방산패도)과 VBN(휘발성 염기태 질소)을 측정하였다.
(1) TBARS(지방 산패도)
TBARS는 Witte 등(1970)의 방법에 따라 세절한 시료 10 g을 20% trichloroacetic acid(in 2M phosphoric acid) 25 ㎖를 첨가하여 균질화(14,000 rpm, 2 min)한 후 증류수로 100 ㎖를 맞춘 다음 농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유리막대로 shaking한 후 여과(Whatman No 1.)하였다. 여과액 5 ㎖와 0.005 M 2-thiobarbituric acid 용액 5 ㎖를 시험관에서 반응시켜 실온 암소에서 15시간 방치한 후, 자외-가시선 분광광도계(UV-9100, HUMAN, USA)에서 530 nm으로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TBARS(mg of malonaldehyde / kg sample) = absorbance at 530 nm × 5.3
(2) VBN(휘발성 염기태 질소)
VBN의 측정은 미량확산법을 이용하여 세절한 시료 10 g를 취해서 증류수 90 ㎖와 함께 혼합하고 Homogenizer(T25, 동양과학, Korea)에서 14,000 rpm으로 5분간 Homogenizing한 다음 여과지(Whatman No 1.)에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 3 ㎖를 Conway unit 외실에 넣고, 내실에는 0.01 N boric acid 1 ㎖와 Conway reagent 50 ㎕(0.066% methyl red: bromocresol green/EtOH = 1:1)를 3방울 떨어뜨렸다. 뚜껑과 접착부위에 글리세린을 바르고 뚜껑을 닫은 후 50% Potassium carbonate(K2CO3 50 g / D.W. 100 ㎖) 1 ㎖를 외실에 주입 후 즉시 밀폐시켰다. (단, 공시험구에는 50% Potassium carbonate 용액을 외실에 주입하지 않는다.) 밀폐시킨 Conway unit 용기를 수평으로 교반시킨 다음 35℃에서 120분간 방치 후 0.02 N sulfuric acid(H2SO4)로 내실의 boric acid의 용액을 신속히 적정하였다. 시료를 S g, 공시험 측정치를 b ㎖, 본 실험 적정치를 a ㎖, 0.02N H2SO4의 표준화 지수를 F라고 할 때, 다음 식에 의해서 VBN값을 산출하였다.
VBN mg% (mg/100 g sample) = (a-b) × F(0.98) × 28 × 100/S(sample의 량)
(상기 식에서, F: 0.02N - H2SO4 표준화 지수 = 이론치 실제치
28 = 0.02 N- H2SO4 1 ㎖ 소모하는데 필요한 N의 양이다.)
6) 장내 병원성 미생물
시험 종료 후 닭을 에틸 에테르를 이용하여 마취시키고 의료용 가위와 핀셋을 이용해 오른쪽 복부(외복사근, 내복사근)를 절개하여 맹장을 고정시킨 후 10㎝ 정도 위치에서 실로 묶은 다음 잘라서 맹장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맹장을 1 ㎝정도 절개하여 내용물을 3 g정도 수거한 후 멸균된 50 ㎖ conical type 튜브에 넣고 멸균된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였다. 먼저 10-1로 희석하고 10-1?10-9까지 계단 희석을 실시하였고, 희석 중 10-4, 10-5, 10-6에서 각각 0.1 ㎖를 선택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E.coli와 salmonella의 colony수는 각각 DIGITAL COLONY COUNTER(KT00 -74A, Kartech, Korea)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배지는 S,S agar(Item No. 29081, 아산제약, Korea)와 MacConkey agar(Item No. 29021, 아산제약, Korea)를 이용하였으며, 각 배지의 특성 과 배양 조건은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조사된 미생물의 수는 log10을 취하여 나타내었다.
7) 계분의 가스 발생량
사양시험이 종료된 시점에 각 처리별로 24시간 내에 배설된 신선 배설물을 수거한 다음 처리당 3반복으로 각 1.6 ℓ 페트병 속에 순수 배설물 70 g씩 정량하여 채운 후 0, 1, 3, 6, 9, 12, 15일, 1일 이후 3일 간격으로 가스 포집기(GV-100S, Gastec, Japan)를 이용하여 NH3 가스를 측정하였다. 이 때 배설물이 들어있는 병의 입구는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천으로 가볍게 봉한 후 상온(20℃ 전후)에 보관하였으며, 가스측정 튜브(Detector tube, Gastec, Japan)는 NH3 량(ppm)에 따라 No. 3L(0.5?78 ppm), No. 3La(2.5?200 ppm), No. 3M(10?1,000 ppm)를 교환하여 측정하였다.
Selective media Micro organisms ATCC reaction Incubation method Incubation time(days)
S,S
agar1
S. typhimurium 14028 colorless black centers colonys Aerobic condition 1
S. flexneri 12022 colorless colonies
E. faecalis 29212 Inhibition(complete)
E. coli 25922 Inhibition(partial), colonies pink to rose-red
Mac
Conkey
agar2
E. coli 25922 pink color Aerobic condition 1
S. typhimurium 14028 colorless colony
P. mirabilis 12453 colorless colony,
swarming Inhibition
E. faecalis 29212 Inhibition
1Salmonella, Shigella agar: Selection discrimination separation(Item No. 29021, 아산제약, Korea)
2MacConkey agar : Pathogenic Intestinal bacillus, separation discrimination(Item No. 29081, 아산제약, Korea)
7. 통계 분석
시험 및 분석 등을 통해서 얻어진 성적들은 SAS package(2008)의 ANOVA Procedure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Duncan's의 New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시
분쇄 팽이버섯 대신 발효처리 팽이버섯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실험결과 대비>
실시예 1의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시 효과
1.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1) 체중변화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의 사료에 0%(C), 1%(T1), 3%(T2), 5%(T3)를 첨가하여 급여 시 체중 변화는 하기표 4에 정리하였다. 주령별 체중에서 T1과 T2에서 대조구보다 초기에 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주령부터는 체중이 낮아졌으며, T3에서는 전체 주령에서는 다른 시험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 주령에서 처리 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Treatment 1) Week
2 3 4 5 6 7
C 151.3±2.5 286.7±4.4 494.1± 7.9 727.1± 9.2 1002.8±16.1 1276.8±42.9
T1 154.0±4.0 290.4±2.5 506.3±10.9 730.4±24.5 1011.1±37.3 1242.4±26.6
T2 154.4±1.6 290.8±0.8 502.5± 8.1 704.8± 8.8 974.9±20.7 1231.0±23.0
T3 151.9±3.1 280.4±4.7 475.4±19.4 696.0±14.0 960.6±16.4 1231.4±27.4
Pooled SE 1.30 1.94 6.42 7.92 12.03 14.34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2)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하기표 5에 정리하였다. 2주령에서 7주령까지 증체량은 미 이용버섯을 첨가 급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낮아지는 결과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Treatment 1)
Week C T1 T2 T3 Pooled SE
Weight Gain
(g/bird)
2~4 342.9± 6.08 352.3± 7.13 348.1± 8.93 323.5±16.60 5.582
5~7 782.6±35.06 736.1±15.65 728.5±31.11 746.0±11.87 13.257
2~7 1125.50±41.11 1088.4±22.76 1076.6±22.25 1079.5±25.32 13.665
Feed intake
(g/bird)
2~4 597.3± 4.45 609.7± 6.49 607.1±10.46 597.3± 6.46 3.542
5~7 1693.4±35.67 1656.5±29.91 1712.8±28.67 1695.0±32.33 14.881
2~7 2290.8±38.38 2266.2±33.83 2319.8±27.95 2292.3±38.74 15.980
Feed
/Gain
2~4 1.743±0.035 1.732±0.020 1.745±0.016 1.854±0.079 0.024
5~7 2.169±0.065 2.252±0.061 2.359±0.102 2.242±0.035 0.036
2~7 2.039±0.055 2.084±0.047 2.157±0.058 2.124±0.020 0.024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상술한 표 4와 표 5에서 첨가제를 사료의 1%, 3%, 5%씩 급여하였을 때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에 있어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므로, 이로부터 판단컨대 사료첨가제를 1%~5%사이에 급여하여도 육계생산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2. 도체 특성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게 0%(C), 1%(T1), 3%(T2), 5%(T3) 첨가 급여 시 처리별 도체생산량과 도체율은 하기표 6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C T1 T2 T3
Live weight(g) 1352.92a 1372.00a 1259.00b 1270.43b
Carcass weight(g) 886.15a 877.80a 797.17b 810.42b
Carcass ratio(%) 65.50a 64.01a 63.35a 63.80a
Giblets Gizzard, g(%) 19.08(1.41)c 20.11(1.47)b 18.78(1.49)ab 19.85(1.56)a
Liver, g(%) 34.83(2.58)c 37.68(2.75)b 38.72(3.08)a 34.50(2.72)bc
Heart, g(%) 8.67(0.64)ab 8.61(0.63)b 7.72(0.61)b 8.63(0.68)a
Cut-ups Breast, g(%) 162.33(12.00)b 184.50(13.45)a 151.33(12.02)b 156.50(12.32)b
Thigh, g(%) 226.50(16.74)a 225.67(16.45)a 207.33(16.47)a 213.33(16.79)a
Wing, g(%) 91.67(6.78)a 97.33(7.10)a 90.00(7.15)a 89.67(7.06)a
Neck, g(%) 65.67(4.66)a 63.00(4.79)a 57.67(4.58)ab 50.67(3.99)b
Chest, g(%) 54.75(4.05)ab 66.00(4.74)a 58.75(4.63)a 55.50(4.51)a
Waist, g(%) 99.75(7.24)a 107.25(7.88)a 80.25(6.26)c 84.75(6.67)bc
a,b.c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도체중이 C, T1, T2, T3에서 각각 886.15, 877.80, 797.17, 810.42 g인데 비하여 도체율은 C 65.50, T1 64.01, T2 63.35, T3 63.80%로서 미 이용버섯 첨가 시 도체율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본 실험에서는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바 근위와 간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부분육에서 가슴육 생산율은 T1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퇴육 생산율은 차이가 없었다. 날개육 생산율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팽이버섯 폐기물을 첨가 급여하여도 도체생산에 차이가 없으나 가식 내장의 생산은 높아졌다고 본다.
3. 닭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1) pH(수소이온지수)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 시 닭고기의 pH의 변화는 하기표 7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Breast Thigh
C 5.75±0.015bc 6.46±0.048b
T1 5.83±0.017a 6.43±0.023b
T2 5.73±0.028c 6.30±0.014c
T3 5.81±0.010ab 6.64±0.009a
Pooled SE 0.0148 0.0379
a,b,c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가슴부위와 대퇴부위 근육 모두에서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가슴근육은 pH 5.7~5.8범위에 있었고, 다리근육은 pH 6.3~6.6범위를 나타내었다. 근육의 pH는 도축 후 24시간 이내에 pH 7.0에서 pH 5.4~5.8까지 떨어진다는 공지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정상의 범위라고 본다.
2) 육색(Meat color)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 시 육색의 변화는 하기표 8에 정리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L*)값은 가슴근육에서는 T2와 T3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다리근육에서는 T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reatment 1) Breast Thigh
L* a* b* L* a* b*
C 49.08±0.14c 4.02±0.04a 9.75±0.03b 53.11±0.15b 10.03±0.39c 11.62±0.15 b
T1 49.15±0.32c 3.89±0.17a 9.86±0.07b 52.50±0.33b 11.53±0.19b 11.77±0.10ab
T2 50.26±0.37b 3.77±0.19a 10.10±0.28ab 54.63±0.07a 7.59±0.17d 11.87±0.21ab
T3 51.40±0.37a 2.69±0.00b 10.53±0.20a 51.01±0.66c 14.19±0.39a 12.21±0.10 a
Plood SE 0.316 0.169 0.117 0.423 0.733 0.090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적색도를 나타내는(a*)값의 가슴근육에서는 T3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다리근육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T1과 T3에서 높았다(p<0.05). 또한 황색도를 나타내는(b*)값의 가슴과 다리근육에서 첨가제를 많이 급여할수록 모든 처리구간에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3) 가열감량( Cooking loss ), 총 수분함량( Total water ) 및 보수력( Water - Hording Capacity) 측정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후 생산된 닭고기에 대한 가열감량(Cooking loss), 총 수분함량(Total water) 및 보수력(Water - Hording Capacity)은 하기표 9에 정리하였다.
Treatment1) Breast Thigh
C.L1 T.W2 W.H.C3 C.L1 T.W2 W.H.C3
C 7.49±0.14d 74.58±0.37 89.96±0.17a 17.37±1.85 76.59±0.23 77.66±2.46
T1 14.57±0.07b 73.64±0.18 80.24±0.14c 16.02±0.71 76.32±0.93 78.88±1.17
T2 16.14±0.33a 74.19±0.13 78.25±0.46d 17.06±0.42 77.46±0.38 78.06±0.47
T3 12.14±0.31c 74.59±0.39 83.78±0.48b 15.56±0.89 75.88±0.36 79.41±1.14
Plood SE 0.991 0.169 1.350 0.521 0.290 0.670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가슴근육의 가열감량은 C 7.49%에 비하여, T1 14.57, T2 16.14, T3 12.14%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면 다리근육에는 팽이버섯을 급여한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처리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총 수분함량은 가슴과 다리근육 모두에서 처리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수력은 가슴근육에서 대조구 89.96, T1 80.24, T2 78.25, T3 83.78%로 처리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버섯을 급여한 경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다리근육에서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가열감량은 단백질 변성에 의하여 변화하며, 보수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공지 사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가열감량이 높은 처리구에서 보수력이 낮아지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팽이버섯 급여는 가슴근육의 보수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 용해성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가슴과 다리근육 내 수용성 단백질 및 염용성 단백질의 용해성은 하기표 10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W.S.P.S1 S.S.P.S2
Breast Thigh Breast Thigh
C 0.42±0.041a 0.45±0.020a 0.45±0.018c 0.40±0.017c
T1 0.34±0.003b 0.43±0.003ab 0.58±0.012b 0.37±0.000c
T2 0.30±0.010b 0.43±0.006ab 0.78±0.002a 0.54±0.011b
T3 0.28±0.009b 0.41±0.008b 0.48±0.018c 0.65±0.024a
Plood SE 0.0190 0.007 0.040 0.035
a,b,c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가슴근육에서 수용성단백질의 용해성은 팽이버섯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p<0.05)하는 경향이었고, 다리근육에서도 다소 감소하였다(p<0.05). 염용성단백질의 용해성은 가슴근육에서 대조구 0.45에 비하여 T1 0.58, T2 0.78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p<0.05), T3에서는 0.48로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다리근육에서는 1%의 팽이버섯을 급여한 T1에서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나 T2 와 T3 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였다. 염용성 단백질은 근원섬유단백질로서 육가공 산업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바 팽이버섯 급여에 의하여 용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조지방 함량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후 생산된 닭고기의 조지방 함량은 하기표 11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Breast Thigh
C 2.96±0.047a 3.16±0.099c
T1 1.79±0.017b 4.62±0.008b
T2 1.65±0.019c 7.16±0.101a
T3 1.35±0.028d 7.11±0.021a
Plood SE 0.185 0.516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가슴근육에서 조지방 함량은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다리근육에서는 반대로 C구 3.16, T1 4.62, T2 7.16, T3 7.11%로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의 급여로 인한 조지방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p<0.05). 이는 근내지방의 함량이 높을수록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 함량이 높고, Oleic acid와 같은 불포화지방산은 조리중 휘발성 육향을 발산해 관능적 후각을 자극하는 특유의 향을 지니고 있으며, 맛의 풍미를 느끼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의 급여는 다리근육의 조지방 함량과 불포화 지방산 함량의 증가로 특유의 향과 맛의 품미를 높이는데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 아미노산 조성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게 첨가 급여 시 닭고기 중의 아미노산 조성은 하기표 12 및 도 2,3에 정리하였다.
Effects on dietary dehydrated Flammulina velutipes on free amino acid in breast of broiler chicks (%)
Free amino acid Treatments 1)
C T1 T2 T3
alanine 2.72 2.70 2.68 2.76
arginine 1.26 1.43 1.32 1.50
asparagine 0.63 0.70 0.66 0.55
asparatic acid 0.00 0.00 0.00 0.00
cysteine 0.16 0.10 0.11 0.05
glutamic acid 2.15 3.50 2.67 2.47
glycine 0.83 0.88 1.11 1.20
histidine 0.48 0.62 0.65 0.75
isoleucine 0.63 0.74 0.89 0.95
leucine 1.11 1.54 1.65 1.84
lysine 1.19 1.45 1.93 2.12
methionine 0.34 0.40 0.55 0.58
phenylalanine 0.68 1.00 0.80 0.97
proline 0.86 0.00 0.04 0.03
serine 1.52 1.80 2.05 2.15
threonine 1.00 1.38 1.57 1.75
tyrosine 0.80 0.95 1.14 1.35
valine 0.85 1.05 1.24 1.31
Total 17.21 20.24 21.06 22.33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상기표 12에서 보듯이, 가슴근육 중의 아미노산 함량은 C, T1, T2, T3에서 각각 17.21, 20.24, 21.06 22.33%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T1, T2, T3에서는 증가하였다. 특히 glutamic acid는 C 및 T1, T2, T3구에서 각각 2.15, 3.50, 2.67, 2.47%으로 팽이버섯첨가에 의하여 상당 수준 높아졌다. 그러나 alanine함량은 C구의 2.72% 비하여 T1, T2 및 T3구에서 각각 2.70, 2.68, 2.76%으로 팽이버섯 첨가수준을 높혀도 함량의 변화가 적었으며, cystine과 proline의 함량은 오히려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요 아마노산의 성분은 팽이버섯 첨가에 의하여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2에서 보듯이, 전체적으로 볼 때 처리구에서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argin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ne, serine, threonine, valine등 주요 아미노산들은 팽이버섯 급여수준이 1%인 이상인 경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아미노산의 종류별 함량 분포를 나타낸 도 3에서 보듯이, alanine은 처리 간에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glutamic acid는 C구와 T1, T2, T3구에서 각각 2.74, 3.79, 3.14, 4.43%으로 팽이버섯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cystine의 함량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glycine함량은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 처리에서 오히려 감소되었다. T2, T3구에서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argin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serine, valine 등이며, asparagine과 histidine은 T3구에서 높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가슴근육에서는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수준이 1%일 때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고, 다리근육에서는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수준이 3~5%일 때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펩티드, 아민, 당, 유기산, 헥산 등의 비휘발성 화합물들과 함께 가열할 때 맛을 나타내는 바,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을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닭고기의 풍미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n dietary dehydrated Flammulina velutipes o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in thigh of broiler chicks (%)
Free amino acid Treatments 1)
C T1 T2 T3
alanine 3.22 3.00 3.72 2.80
arginine 1.80 1.18 2.15 2.10
asparagine 0.93 0.53 0.99 1.29
asparatic acid 0.00 0.00 0.00 0.00
cysteine 0.02 0.18 0.16 0.12
glutamic acid 2.74 3.79 3.14 4.43
glycine 1.55 1.42 1.35 1.31
histidine 0.49 0.65 0.46 0.75
isoleucine 0.35 0.38 0.41 0.40
leucine 0.64 0.72 0.78 0.76
lysine 1.85 2.00 2.16 2.13
methionine 0.14 0.15 0.23 0.22
phenylalanine 0.43 0.50 0.50 0.47
proline 1.18 1.13 1.15 1.24
serine 2.53 2.41 3.44 3.48
threonine 0.95 1.68 1.76 1.26
tyrosine 0.50 0.51 0.52 0.58
valine 0.53 0.55 0.63 0.63
Total 19.85 20.78 23.55 24.30
Effects of dietary dehydrated Flammulina velutipes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east of broiler chicks(%)
Fatty acid
Treatment 1)
C T1 T2 T3
C14:0 1.45±0.01 a 1.40±0.01 b 1.42±0.01 ab 1.40±0.01 b
C16:0 23.43±0.21 23.63±0.08 23.48±0.35 23.30±0.37
C16:1 5.07±0.04 b 5.20±0.08 b 5.62±0.12 a 5.39±0.17 ab
C17:0 0.16±0.01 b 0.25±0.01 a 0.24±0.02 a 0.22±0.02 a
C18:0 7.93±0.50 a 6.82±0.27 b 6.13±0.21 b 5.85±0.16 b
C18:1 44.16±0.22 45.31±0.50 45.07±0.66 45.19±0.36
C18:2(n-6) 13.82±0.12 ab 13.31±0.14 b 13.72±0.13 b 14.34±0.28 a
C18:3(n-3) 0.47±0.01 b 0.52±0.02 ab 0.53±0.02 a 0.57±0.01 a
C20:4 2.57±0.03 2.61±0.01 2.84±0.18 2.77±0.09
C22:5(n-3) 0.41±0.03 b 0.45±0.00 ab 0.44±0.01 ab 0.47±0.02 a
C22:6(n-3) 0.53±0.01 0.50±0.02 0.51±0.02 0.51±0.01
SFA 1 32.97±0.30 a 32.10±0.34 ab 31.27±0.40 bc 30.77±0.51 c
USFA 2 67.03±0.30 c 67.90±0.34 bc 68.73±0.40 ab 69.24±0.51 a
USFA/SFA 2.03±0.03 c 2.12±0.03 bc 2.20±0.04 ab 2.26±0.06 a
n-6/n-3 9.80±0.12 a 9.08±0.08 b 9.29±0.24 b 9.21±0.09 b
(7) 지방산 조성
건조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육계에게 첨가 급여 시 닭고기 중의 지방산 조성은 표 12d와 표 12e에 나타내었다. 가슴근육에서 지방산 조성은 건조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첨가 급여함으로서 포화지방산 중 C14:0와 C18:0의 감소하였고(p<0.05), 반면 C16:1과 C17:0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불포화 지방산 중에는 C18:3(n-3)과 C22:5(n-3)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으며, 포화지방산에 대한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높아졌다(p<0.05).
한편 다리근육에서도 건조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첨가급여 함으로써 지방산 조성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C14:0과 C16:0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C16:1과 C17:0가 감소하였다(p<0.05). 또한 불포화 지방산에서 C18:3(n-3)가 증가하였으며(p<0.05), C22:6(n-3)은 다소 감소하였다. 포화 지방산에 대한 불포화 지장산의 비율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건조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급여함으로써 가슴근육의 지방산 조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dietary dehydrated Flammulina velutipes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igh of broiler chicks(%)
Fatty acid
Treatment 1)
C T1 T2 T3
C14:0 0.77±0.08 bc 0.69±0.01 c 0.90±0.03 ab 1.03±0.03 a
C16:0 23.43±0.15 ab 23.63±0.27 bc 23.48±0.08 c 23.30±0.32 a
C16:1 6.00±0.12 a 5.94±0.15 a 5.50±0.06 b 5.47±0.14 b
C17:0 0.29±0.02 a 0.21±0.00 b 0.21±0.00 b 0.21±0.01 b
C18:0 7.02±0.20 6.88±0.19 7.03±0.31 6.53±0.17
C18:1 43.65±0.48 43.97±0.31 44.29±0.42 43.47±0.18
C18:2(n-6) 14.64±0.28 15.11±0.21 15.26±0.28 15.26±0.14
C18:3(n-3) 0.50±0.02 b 0.56±0.01 a 0.53±0.02 ab 0.57±0.01 a
C20:4 2.69±0.05 2.71±0.01 2.72±0.01 2.72±0.01
C22:5(n-3) 0.47±0.01 0.52±0.02 0.50±0.03 0.53±0.02
C22:6(n-3) 0.54±0.02 a 0.49±0.02 ab 0.54±0.02 a 0.46±0.01 b
SFA 1 31.52±0.41 30.71±0.31 30.66±0.24 31.51±0.33
USFA 2 68.48±0.41 69.29±0.31 69.34±0.24 68.49±0.33
USFA/SFA 2.18±0.04 2.26±0.04 2.26±0.03 2.17±0.03
n-6/n-3 9.73±0.12 9.65±0.08 9.74±0.30 9.80±0.17
4. 닭고기의 저장성
1) TBARS(지방산패도)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게 첨가 급여 후 생산된 닭고기의 저장 중 지방산패도의 변화는 하기표 13 및 14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Day
0 3 6 9
C 0.066±0.000aC 0.074±0.003cB 0.134±0.001aA 0.138±0.003aA
T1 0.022±0.008bD 0.087±0.002bC 0.106±0.002bB 0.143±0.003aA
T2 0.021±0.002bC 0.106±0.005aA 0.083±0.001cB 0.098±0.003cA
T3 0.012±0.002cC 0.062±0.002dB 0.062±0.002dB 0.118±0.003bA
Plood SE 0.0068 0.0051 0.0082 0.0055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A,B,C,D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가슴근육의 저장기간 중 TBARS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저장 3일 후 TBARS가는 C구와 T1, T2, T3구에서 각각 0.074, 0.087, 0.104, 0.062로서 T2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저장 6일 후 TBARS가는 각각 0.134, 0.106, 0.083, 0.062로서 C구에서 현저히 높았고(p<0.05), 저장 9일 후에는 각각 0.138, 0.143, 0.098, 0.118로서 C구와 T1구에서 높았고 T2, T3구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Treatment 1) Day
0 3 6 9
C 0.014±0.000bD 0.074±0.002bC 0.120±0.002bB 0.127±0.003 bA
T1 0.021±0.002aC 0.062±0.001cB 0.164±0.006aA 0.157±0.002 aA
T2 0.025±0.002aC 0.084±0.001aB 0.086±0.002cB 0.148±0.005abA
T3 0.024±0.002aD 0.058±0.003cC 0.093±0.004cB 0.168±0.008 aA
Plood SE 0.001 0.005 0.009 0.005
a,b,c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A,B,C,D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상기표 14에서 보듯이, 다리근육에서 저장 중의 처리구간 TBARS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TBARS가는 모든 처리구에서 높아졌다. 저장 6일 후 TBARS가는 C구와 T1, T2, T3구에서 각각 0.120, 0.164, 0.086, 0.093으로 C구와 T1구에서 높은 반면 T2, T3구에서는 훨씬 낮았다(p<0.05). 저장 9일 후 TBARS가는 각각 0.127, 0.157, 0.148, 0.168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의 첨가는 닭고기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평가된다.
5. 장내 병원성 미생물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육계 맹장 내용물중의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와 E. coli) 수는 하기표 15에 정리하였다. 하기표내에서 관찰된 미생물의 수는 Log10으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Treatment 1) Salmonella E. coli
C 5.036±0.051a 5.405±0.299c
T1 3.720±0.035b 6.003±0.028b
T2 3.323±0.089c 4.759±0.019d
T3 3.031±0.020d 6.327±0.028a
Plood SE 0.80 0.64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맹장 내 Salmonella균수는 건조 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한 결과였으며(p<0.05) 첨가 수준에 따라 살모넬라 균수는 계속 감소하였다. 그러나 대장균인 E. coli수는 대조구에서 5.405인데 비하여 T1, T2, T3에서 각각 6.003, 4.759, 6.327으로 팽이버섯 급여수준이 높을 경우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본 실험 결과 팽이버섯 급여는 병원성 미생물인 Samonella균수를 감소시켰으나, 대장균인 E. coli에 대해서는 감소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6. 계분의 가스 발생량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계분 중의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표 16에 정리하였다.
Treatment1 ) Day
0 1 3 6 9 12 15
C 153.34±1.9 aD 526.22±10.5abB 652.13±2.9aA 362.22±3.0aC 54.44±2.9bE 27.50±0.5aF 21.67±1.4aF
T1 143.20±0.8abD 548.89±10.3 aB 615.83±3.0bA 356.67±5.8aC 63.33±1.9aE 25.00±0.6aF 20.78±1.4aF
T2 137.75±1.3 bC 479.56±6.2 bA 441.60±0.9cB 126.67±1.9bD 34.17±1.4cE 25.00±1.2aF 16.28±0.2bG
T3 118.20±7.6 cC 372.89±12.7 cB 393.07±0.1dA 96.67±9.0cD 22.22±0.6dE 12.11±1.2bE 5.29±0.6cE
Plood SE 4.22 20.87 33.31 37.57 4.96 1.86 2.01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A,B,C,D,E,F,G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계분의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3일까지는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6일 이후부터 빠른 속도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일째 암모니아 발생량은 C구, T1구, T2구, T3구에서 각각 652.13, 615.83, 441.60, 393.07 ppm으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가스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건조 미 미용 팽이버섯 첨가수준이 증가 할수록 가스발생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6일 이후에도 뚜렷하여 팽이버섯첨가가 계분의 가스발생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가 소화기 내 미생물 군을 변화시켜 가스발생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의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시 효과
1. 증체 및 사료효율
1) 체중변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0%(C), 1%(T1), 3%(T2), 5%(T3) 첨가 급여 시 체중 변화는 하기표 17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Week
1 2 3 4 5 6 7
C 40.6±0.1a 139.0±2.5 279.7± 8.0a 457.3±10.8 703.0±21.6 959.7±31.0 1228.3±55.2
T1 40.6±0.1a 143.7±0.9 271.3± 4.1a 462.1± 8.1 707.3±13.9 974.3±12.4 1325.7±47.3
T2 40.0±0.2b 137.7±3.8 255.0±12.8ab 421.0±12.8 672.3±31.2 927.0±38.4 1228.0±55.2
T3 40.6±0.1a 133.7±1.8 239.3± 3.2b 411.4±22.9 632.3±38.8 933.0±28.0 1237.4±25.1
Plood SE 0.089 1.505 5.773 9.159 14.986 13.675 23.674
a,b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사양초기 병아리들의 주령별 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처리 버섯을 첨가한 경우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3주령 이후 체중에서는 처리 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특히 7주령에서 체중은 대조구가 1228.3, T1 1325.7, T2 1228.0, T3 1237.4 g으로 발효처리 버섯을 급여한 경우 대조구와 체중이 같거나 상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에서와 같이 육계사료에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5%까지 급여하여도 증체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2)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하기표 18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Week C T1 T2 T3 Plood SE
Weight Gain
(g/bird)
2~4 318.3± 8.84 318.5± 8.80 283.3± 9.21 277.8±21.14 8.010
5~7 770.9±46.29 863.5±39.41 807.0±42.44 826.0± 6.02 18.791
2~7 1089.3±54.15 1182.0±47.89 1090.3±51.54 1103.8±23.42 22.734
Feed intake
(g/bird)
2~4 571.9±17.64 576.7± 9.68 556.7±21.54 524.3±13.91 9.293
5~7 1720.2±59.54 1793.9±43.79 1695.9±66.90 1663.0±18.13 26.028
2~7 2292.0±76.58 2370.6±50.28 2252.5±88.35 2187.4±23.66 34.085
Feed/Gain 2~4 1.796± 0.01 1.813± 0.04 1.964± 0.02 1.901± 0.09 0.030
5~7 2.239± 0.06a 2.082± 0.05b 2.105± 0.03ab 2.013± 0.01b 0.031
2~7 2.108± 0.04a 2.009± 0.05ab 2.068± 0.02ab 1.983± 0.03b 0.021
a,b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2~4주령까지 증체량을 보면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첨가수준을 높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5~7주령에서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은 증체량을 보였다. 전체 증체량을 나타낸 2~7주령에서도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은 증체량을 보였으며, 1%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 T1에서 2~4주령, 5~7주령, 2~7주령 모두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증체량을 보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첨가수준 1%한해서 증체량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1%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 T1 처리구가 전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첨가%를 높일수록 사료 섭취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 요구율은 2~4주령에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5~7주령에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사료요구율이 급격히 감소하여(p<0.05), 2~7령에서는 1%급여구와 3%급여구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결국 사료효율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1에 의한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 시 사료요구율의 개선이 보이지 않은 반면, 발효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 결과 사료요구율이 개선 된 것은 육계에 있어서 발효에 의한 팽이버섯의 소화이용성이 개선됨을 입증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2. 도체특성
발효 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게 첨가 급여 시 도체특성은 하기표 19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C T1 T2 T3
Live weight(g) 1284.58d 1388.25a 1302.00c 1322.08b
Carcass Weight(g) 824.25b 887.25a 807.53b 846.08b
Carcass ratio(%) 64.16a 63.91a 62.02a 63.99a
Total viscera, g(%) 246.08(19.16)a 257.37(18.54)a 222.48(17.09)a 225.08(17.03)a
Giblets Gizzard, g(%) 12.58(0.98)a 12.33(0.89)a 12.46(0.96)a 11.97(0.91)a
Liver, g(%) 35.42(2.76)a 34.90(2.52)a 31.85(2.45)a 34.14(2.58)a
Hear, g(%) 8.92(0.69)a 7.65(0.55)a 8.40(0.65)a 8.89(0.67)a
a,b,c,d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도체율은 대조구가 64.16, T1 63.91, T2 62.02, T3 63.99%로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처리 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T2에서 다소 낮았으나 T1, T3에서는 대조구와 동일한 수준에 이르러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가 도체율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고 판단되었다.
생 체중에 대한 총 내장의 무게비율은 첨가 급여수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고,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시킨 실시예 1의 결과와는 반대로 가식내장의 무게비율은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게 나왔으나, 근위와 간 그리고 심장의 무게 또한 처리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도체율과 총 내장, 가식내장 즉, 전체적인 도체특성에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에 의한 발달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3. 닭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1) pH(수소이온지수)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닭고기의 pH는 하기표 20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Breast Thigh
C 5.69±0.006b 6.037±0.013c
T1 5.81±0.009a 6.407±0.024a
T2 5.82±0.029a 6.233±0.023b
T3 5.71±0.000b 6.210±0.010b
Plood SE 0.018 0.040
a,b,c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가슴근육의 pH는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3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T1과 T2에서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다리근육에서도 pH는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2) 육색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육색은 하기표 21에 정리하였다. 가슴근육에서는 명도를 나타내는(L*)값 대조구에 비하여 T1에서 다소 낮았으나(p<0.05), T2와 T3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어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첨가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다리근육에서도 처리 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Treat ment 1) Breast Thigh
L* a* b* L* a* b*
C 53.62±0.38a 4.43±0.08a 11.66±0.32a 50.76±0.65 12.01±0.39a 15.23±0.30ab
T1 52.30±0.27b 4.31±0.10a 11.37±0.28ab 50.06±0.38 12.64±0.17a 16.22±0.51a
T2 52.91±0.12ab 3.41±0.05c 10.89±0.12b 50.70±0.44 11.01±0.40b 14.48±0.05 b
T3 53.36±0.12a 3.89±0.05b 11.30±0.06ab 49.31±0.27 10.98±0.09b 11.08±0.19c
Plood SE 0.184 0.125 0.125 0.262 0.245 0.599
a,b,c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적색도를 나타내는(a*)값은 가슴과 다리근육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낮았으며,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적색도는 낮아지는 결과였다(p<0.05),
황색도를 나타내는(b*)값은 가슴과 다리근육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낮은 편이었다. 가슴근육에서 황색도는 처리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다리근육에서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황색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T1에서는 황색도가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1%수준에서 첨가는 육색에 영향이 없으나 3%와 5% 수준에서는 적색도와 황색도가 낮아졌다고 본다.
3) 가열감량, 총 수분함량 및 보수력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후 생산된 닭고기의 가열감량, 총 수분함량 및 보수력은 하기표 22에 정리하였다.
Treatment1 ) Breast Thigh
C.L1 T.W2 W.H.C3 C.L1 T.W2 W.H.C3
C 20.72±0.06c 64.06±0.40bc 67.65±0.10a 31.05±0.01a 68.37±0.08b 54.56±0.09d
T1 21.93±0.34b 64.66±0.13b 66.09±0.46b 29.67±0.22b 67.01±0.22c 55.46±0.28c
T2 22.59±0.27b 63.47±0.03c 64.42±0.45c 29.62±0.17b 70.05±0.08a 57.66±0.28b
T3 24.51±0.18a 65.60±0.22a 62.64±0.15d 26.22±0.49c 67.34±0.05c 59.55±0.15a
Plood SE 0.426 0.258 0.582 0.550 0.361 0.593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가슴근육에서 가열감량은 대조구 20.72, T1 21.93, T2 22.59, T3 24.51%로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함으로써 가열감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반면 다리근육에서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함으로써 가열감량이 유의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채 등(2004)이 현미급여 결과 가슴근육의 가열감량이 약간씩 증가했다는 보고와 유사하였다.
총 수분함량은 가슴근육에서 대조구 64.06, T1 64.66, T2 63.47, T 65.60%이었고, 다리근육에서는 대조구 68.47, T1 67.01, T2 70.05, T3 67.34%로서 처리 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었으나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보수력은 가슴근육에서는 대조구 67.65, T1 66.09, T2 64.42, T3 62.64%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보수력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다리근육에서는 대조구 54.56, T1 55.46, T2 57.66, T3 59.55%로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로부터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 급여가 가슴근육 보다는 다리근육에서 가열감량을 낮추고 보수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의미한다.
4)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 용해성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게 첨가 급여 시 닭고기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에 대한 수용성단백질 및 염용성 단백질 용해성은 하기표 23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W.S.P.S1 S.S.P.S2
Breast Thigh Breast Thigh
C 0.37±0.002c 0.50±0.002c 0.42±0.002c 0.84±0.009c
T1 0.36±0.003d 0.56±0.014b 0.43±0.004b 0.85±0.011bc
T2 0.43±0.006a 0.68±0.007a 0.48±0.004a 0.96±0.010a
T3 0.40±0.002b 0.44±0.003d 0.43±0.004bc 0.88±0.007b
Plood SE 0.008 0.027 0.007 0.014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식육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은 그 용해성에 따라 수용성단백질, 염용성단백질 및 유기질단백질로 분류된다. 본 연구결과 수용성단백질의 용해성은 가슴과 다리근육 모두에서 T2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T3에서는 낮아진 결과를 보였다. 염용성단백질의 용해성 또한 T2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T3에서는 낮아진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는 수용성단백질과 염용성단백질의 함량을 높여주는 작용을 하였을 것으로 사료되는데, 육가공에 있어서 수용성단백질은 풍미에 기여하며, 염용성단백질은 근원섬유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육가공 산업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결과 수용성, 염용성단백질의 용해성에 대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적당한 첨가 급여수준은 사료의 3%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조지방 함량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닭고기의 조지방 함량은 하기표 24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Breast Thigh
C 1.11±0.035b 1.62±0.033c
T1 1.16±0.012ab 1.95±0.054b
T2 1.22±0.056ab 2.01±0.073b
T3 1.25±0.031a 2.23±0.050a
Plood SE 0.023 0.070
a,b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급여에 따른 조지방 함량은 가슴과 다리근육 모두에서 급여수준을 높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슴근육에서 조지방 함량이 C구에서 1.11, T1 1.16, T2 1.22, T3 1.25%로 괄목할 만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점차 증가 되었다. 다리근육에서는 조지방 함량이 C구에서 1.62, T1 1.9 5, T2 2.01, T3 2.23%으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급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급여는 육계의 근 내 지방함량을 높여 육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6) 아미노산 조성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닭고기의 아미노산 조성은 하기표 25 및 도 4,5에 정리하였다.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Flammulina velutipes on the free amino acid in breast of broiler chicks (%)
Free amino acid Treatments 1)
C T1 T2 T3
alanine 1.96 2.41 2.12 2.40
arginine 1.43 1.72 1.53 1.74
asparagine 0.76 0.90 0.81 1.02
asparatic acid 1.19 1.51 1.19 1.39
cysteine 0.00 0.00 0.00 0.09
glutamic acid 2.74 3.37 3.28 3.58
glycine 0.82 1.01 0.82 0.91
histidine 0.61 0.91 0.83 0.97
isoleucine 0.70 0.88 0.76 0.87
leucine 1.44 1.72 1.47 1.69
lysine 1.44 1.84 1.39 1.85
methionine 0.52 0.64 0.55 0.62
phenylalanine 0.84 1.00 0.85 0.97
proline 0.00 0.87 0.37 0.94
serine 1.51 1.85 1.63 1.83
threonine 1.13 1.41 1.52 1.41
tyrosine 0.98 1.23 1.05 1.25
valine 1.02 1.29 1.12 1.27
Total 19.09 24.56 21.29 24.80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상기표 25에서 보듯이, 가슴근육에서 아미노산 함량은 C, T1, T2, T3에서 각각 19.09, 24.56, 21.29, 24.80%으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함으로써 전체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다. 성분별 변화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alanine, arginine, asparagine, asparatic acid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glutamic acid는 상당한 수준으로 높아졌다. Glyc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은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대체로 높았으며,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ne은 T1과 T3에서는 높았으나 T2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Proline은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처리구에서만 함량이 인지되었다. Serine, threonine, tyrosine, valine들도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에 많은 아미노산 합성인자들이 존재하여 함량과 조성에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여겨진다.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Flammulina velutipes on free amino acid in thigh of broiler chicks (%)
Free amino acid Treatments 1)
C T1 T2 T3
alanine 2.14 2.74 2.47 2.63
arginine 1.28 2.04 1.29 1.70
asparagine 0.80 1.18 1.03 0.44
asparatic acid 1.46 1.90 1.60 2.22
cysteine 0.07 0.04 0.12 0.04
glutamic acid 3.41 4.00 3.57 3.46
glycine 1.20 1.60 1.33 2.11
histidine 0.55 0.82 0.69 0.75
isoleucine 0.50 0.75 0.54 0.75
leucine 0.99 1.35 1.05 1.31
lysine 1.46 2.60 1.45 1.96
methionine 0.36 0.53 0.39 0.43
phenylalanine 0.56 0.78 0.59 0.72
proline 0.43 1.71 1.80 1.31
serine 1.76 2.70 2.10 2.66
threonine 1.15 1.78 1.71 1.63
tyrosine 0.73 1.03 0.76 0.98
valine 0.75 1.14 0.84 0.96
Total 17.46 25.95 20.90 26.36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상기표 26의 다리근육내 아미노산 함량 결과에서 보듯이, C, T1, T2, T3에서 각각 17.46, 25.95, 20.90, 20.36%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T1, T2, T3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T2에서는 T1, T3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서 좀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미노산 종류별 함량은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아미노산들이 T1, T2, T3에서 높게 나타났다.glutamic acid, alanine, arginine, asparatic acid의 함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 외의 주요 아미노산들도 처리구에서 함량이 높은 경향인데, 특히 lysine, serine, valine 등이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발효 팽이버섯의 급여수준을 증가시켜도 그에 상응하여 아미노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리근육의 아미노산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효처리 팽이버섯 급여수준을 1-5%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으나 1%수준을 급여하여도 무방하다고 본다.
(7) 지방산 조성
발효처리 미이용 팽이버섯을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 시 닭고기의 지방산 조성은 표 27 및 28에 제시되었다. 가슴근육의 지방산 조성은 하기표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급여함으로써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포화지방산 중 C14:0, C16:0, C16:1, 및 C17:0 함량이 증가하였고,C18:0이 감소하였다. 불포화지방산에서는 C18:2(n-6)가 다소 증가하였으며, C18:3(n-3)과 C20:4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C, T1, T2, T3에서 각각 67.69%, 67.71%, 68.85% 및 69.76%으로 많이 증가하였으며(p<0.05), USFA/SFA 비율도 현저하게 변화하였다(p<0.05).
한편 다리근육의 지방산 조성은 하기표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급여함으로써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포화지방산 중 C16:0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C16:1은 증가하였다. 불포화지방산 중에는 C18:2(n-6), C18:3(n-3), C22:5(n-3)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C, T1, T2, T3에서 각각 68.53%, 70.38%, 70.79% 및 72.22%를 나타내었다(p<0.05), USFA/SFA 비율도 현저하게 변화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발효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함으로써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의 지방산 조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 된다.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Flammulina velutipes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east of broiler chicks(%)
Fatty acid Treatment 1)
C T1 T2 T3
C14:0 1.41±0.00 b 1.44±0.02 b 1.59±0.03 a 1.54±0.07 ab
C16:0 22.89±0.30 a 23.71±0.91 a 22.51±0.40 ab 21.14±0.29 b
C16:1 5.05±0.04 b 5.23±0.11 b 5.62±0.12 a 5.05±0.14 b
C17:0 0.17±0.01 c 0.23±0.01 b 0.30±0.00 a 0.32±0.02 a
C18:0 7.84±0.02 a 6.91±0.39 b 6.75±0.26 b 7.25±0.11 ab
C18:1 44.72±0.25 b 44.26±0.48 a 44.64±0.31 a 45.19±0.24 a
C18:2(n-6) 13.89±0.18 b 14.11±0.05 b 14.21±0.17 b 15.08±0.23 a
C18:3(n-3) 0.52±0.00 b 0.57±0.03 ab 0.63±0.02 a 0.59±0.01 a
C20:4 2.57±0.02 b 2.62±0.04 ab 2.86±0.11 a 2.87±0.10 a
C22:5(n-3) 0.42±0.03 0.47±0.01 0.44±0.01 0.48±0.01
C22:6(n-3) 0.53±0.01 a 0.45±0.02 c 0.46±0.01 bc 0.50±0.02 ab
SFA 1 32.31±0.31 a 32.29±0.63 a 31.15±0.46 ab 30.24±0.22 b
USFA 2 67.69±0.31 b 67.71±0.63 b 68.85±0.46 ab 69.76±0.22 a
USFA/SFA 2.10±0.03 b 2.10±0.06 b 2.21±0.05 ab 2.31±0.02 a
n-6/n-3 9.47±0.29 9.50±0.14 9.30±0.22 9.60±0.14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Flammulina velutipes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igh of broiler chicks(%)
Fatty acid Treatment 1)
C T1 T2 T3
C14:0 0.80±0.08 0.67±0.02 0.68±0.03 0.74±0.02
C16:0 23.04±0.21 a 21.85±0.17 b 20.81±0.25 c 19.58±0.15 d
C16:1 5.88±0.09 b 6.50±0.15 a 6.50±0.06 a 6.72±0.13 a
C17:0 0.26±0.02 a 0.22±0.01 b 0.22±0.00 b 0.26±0.00 a
C18:0 7.37±0.05 a 6.89±0.14 b 7.50±0.17 a 7.21±0.13 ab
C18:1 43.78±0.30 43.41±0.17 43.52±0.40 43.78±0.17
C18:2(n-6) 14.59±0.14 d 16.02±0.01 c 16.32±0.09 b 17.12±0.08 a
C18:3(n-3) 0.56±0.03 c 0.74±0.01 a 0.65±0.01 b 0.77±0.02 a
C20:4 2.71±0.10 2.79±0.06 2.74±0.13 2.82±0.03
C22:5(n-3) 0.48±0.02 bc 0.45±0.01 c 0.56±0.01 a 0.53±0.03 ab
C22:6(n-3) 0.53±0.06 0.48±0.01 0.50±0.02 0.47±0.02
SFA 1 31.47±0.27 a 29.63±0.08 b 29.21±0.36 ab 27.78±0.04 b
USFA 2 68.53±0.27 b 70.38±0.08 b 70.79±0.36 ab 72.22±0.04 a
USFA/SFA 2.18±0.03 b 2.38±0.01 b 2.43±0.04 ab 2.60±0.01 a
n-6/n-3 9.27±031 9.60±0.04 9.56±0.02 9.67±0.10
4. 닭고기의 저장성
1) TBARS(지방산패도)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TBARS가는 하기표 29 및 30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Day
0 3 6 9
C 0.055±0.002aD 0.210±0.005aC 0.290±0.002aB 0.374±0.004bA
T1 0.045±0.002bD 0.209±0.003aC 0.295±0.003aB 0.333±0.002cA
T2 0.054±0.002aD 0.180±0.002bC 0.204±0.004bB 0.373±0.002bA
T3 0.050±0.002abD 0.163±0.004cC 0.297±0.002aB 0.396±0.002aA
Plood SE 0.0015 0.0061 0.0119 0.0070
a,b,c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A,B,C,D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가슴근육의 TBARS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3일까지 TBARS가의 변화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량을 높일수록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에 의하여 항산화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저장 6일 이후 에는 처리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9일는 대조구 0.374, T1구 0.333, T2구 0.373, T3구 0.396으로 T1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구보다도 높았다. 따라서 저장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가슴근육에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에 의한 항산화효과는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reatment 1) Day
0 3 6 9
C 0.056±0.001bD 0.229±0.002 C 0.368±0.036abB 0.587±0.002aA
T1 0.043±0.001cD 0.239±0.003 C 0.356±0.006 bB 0.514±0.003bA
T2 0.070±0.001aD 0.233±0.003 C 0.285±0.003 cB 0.495±0.005cA
T3 0.060±0.001bD 0.233±0.003 C 0.419±0.002 aB 0.493±0.003cA
Plood SE 0.003 0.002 0.016 0.012
a,b,c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A,B,C,D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다리근육에서 TBARS값의 변화는 상기표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 3일 까지는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저장 6일 이 후 TBARS값은 처리구인 T1과 T2에서 낮아졌다(p<0.05). 저장 9일 이 후 TBARS값은 C구에서 0.587, T1구 0.514, T2구 0.495, T3는 0.493으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TBARS값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따라서 다리근육에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항산화효과는 저장기간이 진행 될수록 향상되었다고 보이며, 그 효과는 3% 급여 시 높다고 사료된다.
2) VBN(휘발성 염기태 질소)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VBN 함량은 하기표 31 및 32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Day
0 3 6 9
C 1.791±0.039bD 17.018±0.183cC 37.151±1.232bB 41.186±0.387bA
T1 2.359±0.124aD 22.876±0.266aC 42.028±0.154aB 44.614±0.207aA
T2 1.782±0.015bC 17.024±0.000cB 44.245±0.177aA 44.623±1.306aA
T3 2.173±0.018aD 17.769±0.230bC 44.289±0.813aA 39.723±0.494bB
Pooled SE 0.080 0.743 0.932 0.718
a,b,c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A,B,C,D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단백질의 변패정도를 나타내는 VBN 값은 상기표31에서 보는바와 같이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가슴근육에서 VBN 값은 처리 간에는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저장 6일 이후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 처리구 모두에서 VBN 값이 대조구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9일 후에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육은 숙성되는 과정에서 효소들에 의해서 단백질이 분해되고 유리아미노산과 비단백태 질소화합물이 증가되는 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함으로써 숙성을 촉진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다리근육에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VBN값의 변화(하기표 32참조)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진행 되었다.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대조구에서 보다 VBN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저장 3일에 VBN값은 C, T1, T2, T3에서 각각 11.589, 13.462, 14.337, 15.822이었고, 저장 6일에는 각각 33.915, 36.265, 39.235, 41.498로서 저장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VBN값의 변화는 선명하게 차이를 나타내었다.
Treatment 1) Day
0 3 6 9
C 0.931±0.000dD 11.589±0.210cC 33.915±0.154dB 36.442±0.307cA
T1 1.499±0.024cD 13.462±0.222bC 36.265±0.320cB 41.629±0.384bA
T2 1.711±0.009bD 14.337±0.384bC 39.235±0.230bB 43.302±0.189aA
T3 2.137±0.024aD 15.827±0.554aC 41.496±0.691aB 44.195±0.395aA
Plood SE 0.131 0.488 0.885 0.916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A,B,C,D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는 계육의 품질보존을 위한 저장성을 개선시키지 못하였고, 오히려 단백질 변패 수치를 높여서 저장성이 나빠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8. 장내병원성 미생물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육계 맹장 내용물중의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와 E. coli) 수는 하기표 33에 정리하였다. 관찰 된 미생물의 수는 Log10으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맹장 내 병원성 미생물조사 결과 Salmonella균수는 대조구 5.445, T1구 5.277, T2구 5.201, T3구 5.049로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Salmonella균수는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대장균인 E. coli 역시 대조구 5.579, T1구 5.355, T2구 5.292, T3구 5.188으로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Treatment 1) Salmonella E. Coli
C 5.445±0.049 a 5.579±0.041 a
T1 5.277±0.047 b 5.355±0.023 b
T2 5.201±0.030 b 5.292±0.047b
T3 5.049±0.068 c 5.188±0.076 c
Plood SE 0.155 0.156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본 실험 결과 미생물 발효 처리된 팽이버섯 급여는 육계의 맹장 내 병원성 미생물인 Samonella와 E. coli의 수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9. 계분의 가스 발생량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에 첨가 급여 시 계분의 암모니아가스 발생량 측정치는 하기표 34에 정리하였다.
Treatment 1) Day
0 1 3 6 9 12 15
C 0.13±0.01dG 38.22±1.4bF 130.52±0.9bE 205.62±1.5dB 211.53±2.8cA 192.58±2.5cC 176.50±2.3aD
T1 0.26±0.02cG 41.67±1.9bF 127.11±0.7bE 330.08±4.2aA 276.17±6.6aB 258.21±1.8aC 156.64±0.6bD
T2 0.49±0.01aG 77.33±2.5aF 137.51±0.8aE 273.73±5.3bA 247.29±2.6bB 213.33±5.1bC 156.28±2.6bD
T3 0.35±0.01bG 42.89±2.1bF 100.23±1.1cE 224.12±3.2cB 244.07±4.6bA 174.98±2.2dC 131.48±1.1cD
Plood SE 0.04 4.86 4.28 14.66 7.16 9.47 4.88
a,b,c,d : Values(Mean±SE) within columns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A,B,C,D,E,F,G : Values(Mean±SE) within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p<0.05)
1) C, none; T1, 1% Flammulina velutipes; T2, 3% Flammulina velutipes; T3, 5% Flammulina velutipes
대조구인 C에서 생계분의 가스발생량은 저장 9일에 최고치에 이르렀고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처리구 인 T1, T2, T3에서 가스발생량은 저장 6일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그 이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6일의 가스발생량은 C, T1, T2, T3에서 각각 205.62, 330.08, 273.73, 234.12 ppm이었고, 저장 9일에는 각각 211.53, 276.17, 247.29, 244.07 ppm으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스발생량의 변화는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함으로써 더 높아진 결과였다.
<실험결과 정리>
- 1. 건조처리 미 이용 버섯자원의 급여효과
건조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의 급여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육계 병아리 96수를 4개 그룹으로 나누어 대조구(C)는 기초사료만 급여하였고, 시험 1구(T1)는 기초사료에 건조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 1%를, 시험 2구(T2)는 건조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 3%를, 시험 3구(T3)는 건조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 5%를 6주 동안 급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조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기초사료에 0, 1, 3, 및 5% 첨가하여 급여하여도 증체와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서 처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2. 도체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T1, T2와 T3에 낮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육색의 적색도는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 시 가슴근육에서는 낮았으나 대퇴 근육에서는 높았으며(p<0.05), 황색도는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가슴과 다리근육에서 향상되었다(p<0.05).
4.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 시 가슴근육의 가열감량은 높아졌으나(p<0.05), 보수력은 낮아졌으며(p<0.05), 다리근육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수용성 단백질의 용해성은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낮았으나(p<0.05), 염용성 단백질의 용해성은 높게 증가하였다(p<0.05).
6. 가슴근육의 조지방 함량은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p<0.05), 다리근육의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7. 가슴근육의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높았고, 다리근육의 아미노산 함량은 건조처리 미이용 버섯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8. 건조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첨가 급여한 경우 가슴근육에서 지방산 조성은 포화 지방산 함량을 감시키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켰다(p<0.05).
9.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의 저장 중 지방산패도는 대조구와 T1에 비하여 T2와 T3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10.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한 경우 맹장 내 Salmonella균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E. coli수는 감소하지 않았다.
11. 계분의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은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 수준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 2. 발효처리 미 이용 버섯자원의 급여효과
발효처리 된 미 이용버섯의 급여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육계 병아리 96수를 4개 그룹으로 나누어서 대조구(C)는 기초사료만 급여하였고, 시험 1구(T1)는 기초사료에 발효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 1%를, 시험 2구(T2)는 발효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 3%를, 시험 3구(T3)는 발효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 5%를 6주 동안 급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처리 된 팽이버섯 폐기물을 기초사료에 1, 3, 5% 첨가 시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개선되었다.
2. 도체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T1, T2, T3에서 다소 낮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3.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 시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에서 적색도와 황색도는 낮아졌으며(p<0.05), 명도의 차이는 분명하지 않았다.
4.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 시 다리근육에서는 가열감량과 보수력이 개선되었으나(p<0.05), 가슴근육에서는 저하 되었다.
5.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의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 용해성은 T2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T3에서 가장 낮았다.
6.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의 조지방 함량은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 급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7.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함으로써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의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드 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나, T1, T3에 비하여 T2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8. 발효 처리 미 이용 팽이버섯을 급여함으로써 가슴근육과 다리근육 내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9. 발효 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함으로써 저장 6일과 9일에 다리근육의 지방산패도는 낮아졌으나(p<0.05), VBN값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10. 발효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의 급여수준을 높일수록 Salmonellarbs과 E. coli균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11. 계분 중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은 발효 처리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함으로써 증가하였다.
도 1은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팽이버섯 폐기물, 건조 타입 폐기물 분말, 당분해 미생물 발효균주로 접종, 발효시켜 수득된 발효 타입 폐기물 분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시 육계 가슴부위내 유리 아미노산 성분분석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시 육계 다리 부위내 유리 아미노산 성분분석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발효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시 육계 가슴부위내 유리 아미노산 성분분석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발효 팽이버섯 폐기물을 급여시 육계 다리부위내 유리 아미노산 성분분석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5)

  1. (a) 팽이버섯 폐기물을 상온에서 건조하고 분말화하는 단계;
    (b)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KACC91018 와 클렙시엘라 (Klebsiella sp.) KACC91407 를 각각 LB 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2일간 배양하는 단계; 및
    (c)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KACC91018 를 배양한 LB 배지, 상기 클렙시엘라 (Klebsiella sp.) KACC91407 를 배양한 LB 배지, 및 상기 분말화된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을 1:1:1 (L:L:kg) 의 비율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주간 고상발효시켜 발효산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육계 급여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2. 삭제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KACC91018 를 배양한 LB 배지, 클렙시엘라 (Klebsiella sp.) KACC91407 를 배양한 LB 배지, 및 분말화된 건조 팽이버섯 폐기물을 1:1:1 (L:L:kg)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주간 발효한 발효산물을 육계 급여용 사료 총 중량에 대해 1~3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급여용 사료.
  4. 상온에서 건조하고 분말화한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 급여용 사료 총 중량에 대해 3~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계 급여용 사료.
  5. 삭제
KR1020090044266A 2009-05-21 2009-05-21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KR10118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266A KR101187564B1 (ko) 2009-05-21 2009-05-21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266A KR101187564B1 (ko) 2009-05-21 2009-05-21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512A KR20100125512A (ko) 2010-12-01
KR101187564B1 true KR101187564B1 (ko) 2012-10-05

Family

ID=4350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266A KR101187564B1 (ko) 2009-05-21 2009-05-21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5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6967A (zh) * 2013-11-23 2014-03-19 张晨 一种肉鸡用复合微生态制剂
US20160324199A1 (en) * 2013-12-27 2016-11-10 Origin Biotechnology Kabushikikaisha Ergothioneine-containing hen's egg, feed and feeding and raising method for laying hen that lays ergothioneine-containing hen's eg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122B1 (ko) 1999-09-22 2002-05-24 이태근 농가 부산물을 이용한 가축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9227B1 (ko) 2006-02-23 2007-08-13 김호년 버섯배지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 미생물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 미생물 사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122B1 (ko) 1999-09-22 2002-05-24 이태근 농가 부산물을 이용한 가축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9227B1 (ko) 2006-02-23 2007-08-13 김호년 버섯배지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 미생물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 미생물 사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6967A (zh) * 2013-11-23 2014-03-19 张晨 一种肉鸡用复合微生态制剂
CN103636967B (zh) * 2013-11-23 2015-04-01 德州市畜牧协会 一种肉鸡用复合微生态制剂
US20160324199A1 (en) * 2013-12-27 2016-11-10 Origin Biotechnology Kabushikikaisha Ergothioneine-containing hen's egg, feed and feeding and raising method for laying hen that lays ergothioneine-containing hen's egg
US9788567B2 (en) * 2013-12-27 2017-10-17 Origin Biotechnology Kabushikikaisha Ergothioneine-containing hens egg and method of preparing hens fee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512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rne et al. Enzyme preparations in compound feed for ducklings
US20160135483A1 (en) Aquaculture feed formed from fermented soybean meal and earthworm meal, including the fermentation preparation method for the mixture ingredient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936055A (zh) 一种延长鲜加工鸡肉货架期的肉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71207A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CN102524522A (zh) 一种含松针粉的绿色畜禽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493466B1 (ko)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KR101018270B1 (ko) 식품폐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발효사료
KR101187564B1 (ko)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CN107125498A (zh) 一种提高罗非鱼免疫力的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KR100822875B1 (ko) 불가사리와 파리를 이용한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11279B1 (ko) 무항생제 사료조성물
KR101358253B1 (ko) 홍삼박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3501B1 (ko) 에르고티오네인이 함유된 채란용 닭의 사료 및 채란용 닭의 사육 방법
Jana et al. A new strategy for improvement of tamarind seed based chicken diet after microbial detannification and assessment of its safety aspects
KR100902406B1 (ko) 장어양식용 사료
KR100803389B1 (ko) 장어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료
CN107712386A (zh) 产蛋鸵鸟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691772A (zh) 梭子蟹饲料及其制备方法
Ajiboye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ly processed maggot (Musca domestica) meal as a replacement for fishmeal in broiler diets.
KR100691557B1 (ko) 폐유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가금용 혼합사료, 이를이용하여 풍미가 우수하고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알의생산방법
Malik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pullet chicks fed graded levels of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Martius) Solms-Laubach} meal diets at the starter phase (0-8 weeks)
Van Schoor The assessment of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pre-pupae, grown on human faecal waste, as a protein source in broiler and layer di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