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395A -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 Google Patents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395A
KR20050074395A KR1020050054742A KR20050054742A KR20050074395A KR 20050074395 A KR20050074395 A KR 20050074395A KR 1020050054742 A KR1020050054742 A KR 1020050054742A KR 20050054742 A KR20050054742 A KR 20050054742A KR 20050074395 A KR20050074395 A KR 2005007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s
various
feed
livestock
pro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균
Original Assignee
웰리네사람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리네사람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리네사람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4395A/ko
Publication of KR2005007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9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으로서, (a) 버섯을 건조하여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b) 분쇄된 분말에 생수를 1 : 1 내지 1: 300의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 (c) 상기의 준비된 재료에 발효용 효소를 1 : 10 내지 1 : 1000 의 비율로 첨가하여10℃내지 60℃에서 1일 내지 15일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발효액을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90℃ - 150℃로 열수 추출하여 30℃이하로 냉각하는 단계;(e) 각종 축, 수산업의 사양에 따른 일반적인 사료용 재료에 추출물을 1 : 1 내지 700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흡착시키는 단계; (f) 상기의 혼합된 재료를 건조하여 분말 또는 고형화 하여 제품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는 상황버섯, 자작나무버섯(말굽버섯), 차가버섯, 장수버섯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하는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로 가금류사육용, 가축류 사육용, 애완동물사육용, 수산물양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하면 면역력이 강화되어 폐사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생장이 촉진되고 중량이 증가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특히 사료제조 시에 첨가하거나 예방 및 치료용으로 급여되는 각종 항생제나 화학첨가물의 해독작용이 예측되며 상황버섯 등 각종 버섯의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각종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등의 영양성분을 증가시키며 각종 버섯의 면역력 강화 효능 작용으로 인하여 각종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강한 고품질의 축,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가축 및 애완용 동물의 경우 조류독감 및 가축 등의 독감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글루칸 등의 효능으로 애완동물의 건강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변취(便臭)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본 제조 기술에 의한 고기능성 바이오사료를 급여하므로 생산되는 축산 물은 가금류의 경우 산란율이 높아지고 산란기간이 40 - 50 일 정도 길어지고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미네랄, 아미노산이 증가한다. 또한 축산물의 경우 기존의 축산물에 비하여 육즙이 많고 육질이 개선될 뿐 아니라 노린내 등 잡내가 없어지고 지방이 현저히 감소하여 콜레스테롤이 저하된다. 넙치양식, 대하양식 등 수산물 양식의 경우에도 면역력이 강화되어 폐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수산물의 육질이 개선 될 뿐 아니라 각종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맛과 영양이 뛰어난 최상의 축,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생산되는 모든 축, 수산물은 상황버섯 등 각종버섯의 유효성분을 통하여 맛과 영양이 현저히 강화되고 항암 및 면역강화기능을 강화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세계 축, 수산물에 진출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The method for producing a high-funtional bio feed and product thereof}
본 발명은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방식의 예를 들면 일부 버섯을 분말화 하여 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는 방법과 버섯을 분말화 하여 열수 추출하여 급여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황버섯, 자작나무버섯, 차가버섯 등 목질 버섯은 키틴 등의 조직 내에 유효성분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급여를 하여도 큰 개선점이 없으며 원료의 추출기술의 부족으로 고단가가 되어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기술은 모든 축, 수산물, 애완용동물의 사육 시에 적용이 가능하여 상황버섯 등 각종 버섯의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및 각종 미네랄 및 각종 아미노산을 섭취 시키므로 고품질의 축, 수산물을 사육하는 방식이다. 특히 상황버섯 등 목질 진흙버섯으로 단백 다당체 등 유효성분이 키틴과 셀룰로스의 세포벽에 쌓여 있어 열수추출을 할 경우에도 0.43% 이내로 소량만의 유효성분이 추출된다. 본 제조기술인 특수발효법 등을 통하여 생산되는 고기능성 바이오사료는 생산원가가 기존의 사료의 비용과 큰 차이가 없이 저렴하여 세계농산물시장의 개방으로 어려운 농어촌의 현실 타개책으로서 효과가 탁월한 기능성 축, 수산물의 생산이 가능한 고기능성 바이오사료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축,수산물은 기존의 영양성분에 버섯의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및 각종 무기질 및 각종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염분이 첨가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싱겁지 않고, 고소하고 담백하며 깊은 맛을 내어 일반인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영양식으로도 각광을 받을 것이다.
또한 상황버섯 등 각종 버섯의 유효성분을 통하여 축, 수산물 및 애완동물의 항암 및 면역강화기능과 생장력을 강화시키므로 축, 수산물의 품질을 현저하게 높여 주어 이를 섭취하는 인류에게까지 건강에 도움을 주는 상황버섯 등 각종 버섯을 이용한 고기능성 바이오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이다.
목질 진흙버섯(桑黃)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의 진흙버
섯속(Phellinus Quel. em. Imaz.)에 속하는 버섯으로서, 뽕나무줄기에 자생하며 삿갓 표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이므로 상황(桑黃)이라고 잘 알려져 있다.
상황은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에 사과나무, 뽕나무 및 참나무 등의 수간에 자생하는 버섯이라 하여 상이(桑耳), 상신(桑臣), 호고안(胡孤眼)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농본초경(新農本草徑)에서 상이(桑
耳)는 상근백피(桑根白皮)(桑本, Morus alba L., 桑皮)의 항에 기록하고 있으며, 명대(明代)의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목이(木耳)의 항으로 분류하여 상이(桑耳), 상유(桑孺), 상아(桑蛾), 상신(桑臣) 및 상황(桑黃) 등으로 기록하고 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상이(桑耳), 상황(桑黃)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목질진흙(桑黃)은 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P. igniarius(L. exFr.) Quel, P. yucatensis (Murr.) Imazek, Fomes yucatensis Murrill., Phropolyporus yucatensis Murr. 등의 여러 가지로 명명하고 있으나, 상목(桑木), 양(楊), 두명(杜鳴)등의 광엽수에 자생하는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 (Lex Fr.) Quel ] 은 광의적으로 해석한 상황버섯의
학명이고, 진정한 의미의 상황(桑黃)인 목질진흙버섯은 말똥진흙버섯과 달리 뽕나무(桑樹)에서만 자생하며, 학명은 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이다(原色日本菌類圓鑑, 1975).
목질진흙(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 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다 자란 후의 형태는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혓바닥같은 형태의 윗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목질진흙(상황)버섯의 약리작용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한다.
Ikegawa 등(Gann, 59, 155, 1968)은 목질진흙(상황)버섯이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과 표고버섯(Lent inusedodes)보다 종양저지율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메다 등(Protein Nucleic acid Enzyme, 21, 426, 1976)은 항암
활성이 96.7%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정 등(약학회지, 38, 158, 1994)은 균사체의 단백다당체가 육종(Sarcoma) 180 복수암 및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고 하였으며, 김 등(Arch, Pharm. Res., 17, 337, 1994)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분석한 결과 글루코오스(Glucose)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 갈락토오스(Galactose), 만노오스(Mannose), 아라비노스(Arabinose)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 등(생약학회지, 22, 233, 1991)은 목질진흙(상황)버섯균사체의 열수추출물은 NK 세포기능에 작용하여 숙주의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시킴으로써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LD50은 1,500mg/kg이상으로 안전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차가버섯은 바이러스에 의해 자작나무에 착생하여 자작나무의 수액을 먹고 자라는 매우 독특한 천연버섯이다.
차가버섯은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캐나다, 미국 등의 북아메리카에서 유럽의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이르기까지 광대하게 펼쳐져 있는 타이가 기후대의 자작 나무 삼림지대에서 자생한다. 차가(Chaga) 버섯의 학명은 Inonotus Obliquus로써 자작나무에서 자라며 Birch Mushroom, Birch Clinker, Polypore, Black Birch Touchwood, Tschagapilz, Clinker Polypore, Charcoal Shelf 등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차가버섯은 자작나무에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자작나무와 싸우는 과정에서 생기며, 10년 정도 자작나무 몸속에서 성장한 후 나무의 껍질을 깨고 표면으로 나오고, 표면으로 나온 후 에도 10년에서 15년 정도 더 자란다. 차가버섯은 자작나무의 몸속에 2m 정도의 긴 뿌리를 내리고 그 뿌리를 이용하여 자작나무의 수액을 섭취하며 성장한다. 차가버섯은 자작나무 외에도 오리나무, 양물푸레나무, 버드나무, 단풍나무 마가목 등에서 발견되지만 이것은 효능이 없어 사용하지 않는다. 성장한 버섯의 표면은 매우 거칠고 검으며 많은 균열을 가지고 있고 속 부분은 황색을 띠며 단단하고 옅은 노랑 색의 엽맥이 있습니다. 큰 자작나무에서는 직경이 50cm 에 달하는 버섯도 발견된다. 차가버섯은 다른 버섯과는 달리 착생과 성장 과정이 독특합니다. 버섯의 사전적 의미는 “고등식물처럼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므로 다른 생물체나 유기물에 붙어서 기생생활(寄生生活) 혹은 부생생활(腐生生活)을 하는 균류(菌類)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字實體)를 형성하는 무리의 총칭”이다. 이 중 차가버섯은 자작나무에 기생(寄生)하는 것을 제외하면 모든 점에서 일반적인 버섯과 구별되는 특이성을 지니고 있다. 보통 버섯과 같은 진균류는 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균사는 버섯의 열매, 혹은 씨와 같은 것이다. 그러나 차가버섯은 Barren flower(열매를 맺지 못하는 식물) 종류로서 성장한 버섯의 몸에 균사가 없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번식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인 버섯은 균사와 포자가 다른 생물이나 유기체에 자리를 잡고 착생하지만 차가버섯은 자작나무가 외부에서 침투하는 바이러스와 싸우는 과정에서 태어난다. 또한 차가버섯은 자실체가 아닌 균핵(菌核)이 전체의 90%를 이루고 있으며, 살아있는 나무에 기생하는 거의 유일한 버섯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버섯은 고사목이나 나무등걸에 기생하면서 나무의 목질(木質, lignin)을 주 양식으로 하지만 차가버섯은 살아있는 자작나무에 기생하면서 목질과 함께 자작나무 수액을 주 양식으로 하고 있다.
말굽버섯(자작나무버섯)은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학명은 Fomes fomentarius 이고 분류는 구멍장이버섯과 말굽버섯속이다. 분포지역은 말굽버섯은 북위45도 이상에서 영하 20~50도의 혹한지역의 자작 나무에서 수액을 빨아먹고 성장한다. 크기는 두께 10∼20㎝, 지름 20∼50㎝이고 자작나무·너도밤나무·단풍나무류와 같은 활엽수의 고목 또는 생목(生木)에 발생하여 여러 해 동안 자란다. 버섯의 갓 모양은 반원형에서 종(鐘) 모양 또는 말굽 모양이다. 갓 두께는 10∼20㎝이고, 지름은 20∼50㎝이지만, 작은 종(種)은 지름이 3~5㎝밖에 안 되는 것도 있다. 표면은 회색으로 두꺼우며, 단단한 껍질로 덮여 있고, 회황갈색이나 흑갈색 물결무늬 또는 가로로 심한 홈줄이 나 있다. 갓 둘레는 둔하고 황갈색이다. 표피는 황갈색이며 질긴 모피처럼 생겼다. 아랫면은 회백색이고, 줄기구멍은 여러 층이고 빽빽한 회색 또는 연주황색의 작은 구멍이 있다. 포자는 타원형으로 흰색 무늬가 있고, 크기는 16~18×5~6㎛이다. 목재를 백색으로 썩게 만드는 버섯이다.
일반적으로 껍질이 단단하여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할 때는 잘게 썰어 달여 차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고, 간경변·발열·눈병·복통·감기·변비·폐결핵·소아식체·식도암·위암·자궁암 등에 약용한다. 해열과 이뇨 작용이 있으며, 히포크라테스도 상처의 뜸을 뜨는 데 이 버섯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맛은 약간 쓰고 밋밋하다. 자라는 극내한성 버섯으로 대단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구멍장이 버섯과의 버섯입니다.본초도감(本草圖監)에서는 말굽버섯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화균지(樺菌芝)이며, 기원은 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Ployporaceae) 진균인목제(木蹄)(Fomess fomantarius (Fr.) Kickx)의 子實體이다.형태는 子實體는 다년생으로 木質이며 側生하고 모양은 말굽형으로 가로와 세로는 5∼20 ×7∼40cm,두께는 3-20cm이다. 갓표면은 반들반들하고 딱딱한 殼皮가 있으며, 灰色과 褐色 내지 紫黑色을 나타내고 동심의 고리능선이 있으며, 갓의 주변은 무디다. 菌管은 여러층으로 층의 순서는 뚜렷하지 않고, 매층은 3-5mm이며 균모의 살의 색에 비해 엷다. 管孔面은 灰色 내지 淡褐色이고 管孔은 圓形으로 매 1mm사이에 3-4개가 있다. 胞子는 장타원형이고 무색이다. 성분은 다당류, fomentariol, fomantaric acid 및 saponin 등이다. 맛은 쓰고 떫고 평하다. 효능은 消積, 化瘀, 抗癌작용이 있다. 주된 치료는 소아 음식먹고 체한데, 식도암, 위암, 자궁암을 치료한다.
고대 그리스의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는 상처에 뜸을 뜨는 데 이 버섯을 사용했으며, 지혈, 염증치료에도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기원전 8000년 중석기 시대 유적에서 말굽버섯이 발굴됨으로써 가장 오래 된 버섯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본 버섯은 '유기 게르마늄(Ge-132)'을 많게는 1,462ppm(인삼의 7배)나 함유 하고 있어 인체에 노폐물과 중금속을 배출하여 당뇨 및 성인병 예방에 특효하며, 인체의 순환기 및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신진대사를 원활히 함과 동시에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대단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된 바 있다. 그리고 항암 효과를 가져오는 주성분으로 인정되는 '베타 크루칸'은 암의 발생과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스테로이드'성분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소멸시키는 작용을 하여 항암에 특별한 효능이 입증 되었다. 말굽버섯은 자작나무에서 자라는 것을 최상품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자작나무 자체만으로도 요긴하게 쓰이기 때문이다. 자작나무 껍질은 한의학과 민간에서는 백화피(白樺皮),화피(樺皮) 등으로 부르며 황달, 설사, 신장염, 폐결핵, 위염, 갖가지 옹종 등의 치료에 이용한다. 자작나무 껍질은 맛이 쓰고 성질이 차다.간경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기침을 멈추고 담을 삭이는 작용이 있다.해독작용도 탁월하고 염증을 없애는 효과가 상당히 강하며, 이뇨작용이 있어서 신장염이나, 부종을 고치는 데에도 쓸 수 있다. 그리고 수액의 성분에 있어서 무기질 함량에 있어서는 자작나무 수액이 고로쇠 나무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연구 분석되어 최상의 수액이라고 합니다
장수버섯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학명 Fomitella fraxinea이다. 분류는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이며 분포지역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이다. 자생지는 아카시아 그루터기 또는 줄기에서 자생한다. 크기는 자실체 크기 50∼150mm, 두께 5∼15mm이고 먹으면 장수한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으며, 불로초라고도 불린다. 또한 버섯의 빛깔이 여러 해 동안 보존된다 하여 만년버섯이라고도 한다. 자실체는 크기 50∼150mm, 두께 5∼15mm로, 편평한 반원 모양이다. 자실체의 빛깔은 노란색·황갈색·흑갈색이다. 표면에는 얇은 각피가 있으며 털이 없고 확실하지 않은 고리 무늬가 있다. 자실체는 어릴 때에 탄력이 있으나 자라면서 코르크질화하면서 갈색으로 변한다. 포자는 달걀 모양으로 표면이 평활하며 무색이다. 상황버섯보다는 못하지만 항암 효과와 여러 약효기능을 가지고 있다. 귀화식물인 아카시아 그루터기 또는 줄기에 모여난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세계는 현재 농산물 시장의 개방으로 인하여 외국에 비해 소규모 축,수산업인 우리나라는 생산원가 등 경쟁력이 떨어져 국가 경쟁력이 약하여 농어촌의 현실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방법은 과학적인 방법으로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켜 품질로 국가 경쟁력을 키워 나아가야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로 인하여 생산되는 농산물은 맛과 영양, 기능면에서 탁월한 제품으로 1차 식품 또는 2차 가공 식품으로 제조하여 고부가가치를 가지고 국내는 물론 세계시장에 긍정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국제 농산물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종 버섯을 이용하여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버섯, 자작나무버섯(말굽버섯), 차가버섯, 장수버섯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하는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로 가금류사육용, 가축류사육용, 애완동물사육용, 수산물양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하면 면역력이 강화되어 폐사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생장이 촉진되고 중량이 증가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특히 사료제조 시에 첨가하거나 예방 및 치료용으로 급여되는 각종 항생제나 화학첨가물의 해독작용이 예측되며 버섯의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각종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등의 영양성분을 증가시키며 각종 버섯의 면역력 강화 효능 작용으로 인하여 각종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강한 고품질의 축,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가축 및 애완용 동물의 경우 조류독감 및 가축 등의 독감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글루칸 등의 효능으로 애완동물의 건강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변취(便臭)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본 제조 기술에 의한 고기능성 바이오사료를 급여하므로 생산되는 축산 물은 가금류의 경우 산란율이 높아지고 산란기간이 40 - 50 일 정도 길어지고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미네랄, 아미노산이 증가한다. 또한 축산물의 경우 기존의 축산물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하며, 육즙이 많고 육질이 개선될 뿐 아니라 노린내 등 잡내가 없어지고 지방이 현저히 감소하여 콜레스테롤이 저하된다. 넙치양식, 대하양식 등 수산물 양식의 경우에도 면역력이 강화되어 폐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수산물의 육질이 개선 될 뿐 아니라 각종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맛과 영양이 뛰어난 최상의 축,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생산되는 모든 축, 수산물은 버섯의 유효성분을 통하여 맛과 영양이 현저히 강화되고 항암 및 면역강화기능을 강화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는 고기능성 축,수산물을 생산하여 국내 및 해외의 모든 수요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버섯을 건조하여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b) 분쇄된 분말에 생수를 1 : 1 내지 1: 300의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 (c) 상기의 준비된 재료에 발효용 효소를 1 : 10 내지 1 : 1000 의 비율로 첨가하여 10℃내지 60℃에서 1일 내지 15일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발효액을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90℃ - 150℃로 열수 추출하여 30℃이하로 냉각하는 단계;(e) 각종 축, 수산업의 사양에 따른 일반적인 사료용 재료에 추출물을 1 : 1 내지 700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흡착시키는 단계; (f) 상기의 혼합된 재료를 건조하여 분말 또는 고형화 하여 제품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각종 버섯을 이용한 고기능성 바이오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이에 따른 생산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버섯, 자작나무버섯(말굽버섯), 차가버섯, 장수버섯 등을 원료로하여 제조하는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로 가금류사육용, 가축류사육용, 애완동물사육용, 수산물양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하면 면역력이 강화되어 폐사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생장이 촉진되고 중량이 증가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특히 사료제조 시에 첨가하거나 예방 및 치료용으로 급여되는 각종 항생제나 화학첨가물의 해독작용이 예측되며 상황버섯 등 각종 버섯의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각종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등의 영양성분을 증가시키며 각종 버섯의 면역력 강화 효능 작용으로 인하여 각종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강한 고품질의 축,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가축 및 애완용 동물의 경우 조류독감 및 가축 등의 독감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글루칸 등의 효능으로 애완동물의 건강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변취(便臭)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본 제조 기술에 의한 고기능성 바이오사료를 급여하므로 생산되는 축산 물은 가금류의 경우 산란율이 높아지고 산란기간이 40 - 50 일 정도 길어지고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미네랄, 아미노산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사료로 축, 수산물을 사육 및 양식하여 생산되는 축, 수산물은 기존의 축, 수산물과 비교 실험한 결과, 상황버섯 등 각종버섯의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및 각종 미네랄, 아미노산의 증가되어 육즙이 많고 육질이 개선될 뿐 아니라 노린내 등 잡내가 없어지고 지방이 현저히 감소하여 콜레스테롤이 저하된다. 넙치양식, 대하양식 등 수산물 양식의 경우에도 면역력이 강화되어 폐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수산물의 육질이 개선 될 뿐 아니라 각종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맛과 영양이 뛰어난 최상의 축,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생산되는 모든 축, 수산물은 버섯의 유효성분을 통하여 맛과 영양이 현저히 강화되고 항암 및 면역강화기능에도 좋은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기능성 바이오사료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섯을 건조하여 분쇄하여 생수를 1 : 1 내지 1: 300의 비율로 첨가한 다음 발효용 효소를 1 : 10 내지 1 : 1000 의 비율로 첨가하여 10℃내지 60℃에서 1일 내지 15일 동안 1차 발효시킨다. 발효액을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90℃ - 150℃로 열수 추출하여 30℃이하로 냉각한 다음 각종 축, 수산업의 사양에 따른 일반적인 사료용 재료에 추출물을 1 : 1 내지 700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흡착시킨 다음 건조하여 분말 또는 고형화 하여 제품화 하는 고기능성 바이오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1
시험구의 닭을 동일한 품종을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의 공정대로 상황버섯을 원료로 사료를 제조하여 닭에게 급여하여 계란, 계육을 생산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1과 동일한 품종을 상황버섯을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닭에게 급여하여 계란, 계육을 생산하였다.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의하여 생산된 계란, 계육을 농촌진흥청축산기술연구소와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주)과학기술분석센터에 의뢰하여 영양분석을 의뢰하여 표1과 표2에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계육 비교분석>
성분명 시료명 성분 분석결과
일반성분 아미노산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Ca(mg) P(mg) Mg(mg) `아스파트르산(mg) 티레오닌(mg) 세린(mg) 글루탐산(mg) 글리신(mg)
계 육 대조구 69.4 19.0 10.6 0.9 10 170 20 570 260 220 950 340
시험구 74.33 21.91 0.29 1.28 149 1896 210 2025 970 873 3413 912
증감 +4.93 +2.91 -10.31 +0.38 +139 +726 +190 +1455 +710 +653 +2463 +572
성분명시료명 성분 분석결과
아미노산
알라닌(mg) 발린(mg) 이소루신(mg) 루신(mg) 티로신(mg) 페닐알라닌(mg) 라이신(mg) 히스티딘(mg) 아르기닌(mg) 포롤린(mg)
계 육 대조구 360 310 300 490 200 240 530 220 410 260
시험구 1259 914 878 1798 701 1022 1893 761 1289 779
증감 +899 +604 +578 +1308 +501 +782 +1363 +541 +879 +519
<계란 비교분석>
성분명시료명 일반성분 및 무기질 등(100g당) 아미노산(mg/100g)
필수아미노산
수분(%) 단백질(g) 지방(g) 회분(g) Ca(mg) Glucose(mg) 발린 트레오닌 이소루신 라이신 히스티딘
계란 대조구 74.9 12.5 10.7 1.0 39 0 420 290 340 450 160
시험구 78.2 11.8 7.6 0.9 45.4 710 851 449 747 864 292
증감 +3.3 -0.7 -3.1 -0.1 +6.4 +710 +431 +159 +407 +414 +132
성분명시료명 아미노산(mg/100g)
필수아미노산 비필수아미노산
아르기닌 메티오닌 세린 루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글루탐산 글리신 알라닌 프롤린 시스테인 아스파트르산
계란 대조구 400 210 430 550 260 320 800 210 360 240 160 640
시험구 711 406 501 1075 382 561 1547 385 678 499 165 1169
증감 +371 +196 +71 +525 +122 +241 +747 +175 +318 +259 +5 +529
성분명시료명 지방산조성(g/100g 지방산)
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mg) DHA 아라키돈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팔미톨레산 스테아르산
계란 대조구 470 0 0 45.3 12.6 0.5 0.5 25.5 3.3 8.6
시험구 353.6 0.4 1.3 49.2 13.4 0.4 0.4 24.2 2.9 7.8
증감 -116.4 +0.4 +1.3 +3.9 +0.8 -0.1 -0.1 -1.3 -0.4 0.8
또한 상기의 시험구 및 대조구의 계란과 계육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20 - 50대의 남녀 40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계란과 계육을 시식하게 한 다음 맛과 향, 섭취감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계란을 날것으로 시식하여 평가를 하는데 평가방법은 4점법에 따라 각각 비린내가 전혀 없고 고소하고 감칠맛이 있고, 섭취감이 좋음 : 4점, 비교적 비린내가 없고 비교적 고소하고 섭취감이 비교적 좋음.: 3점, 비린내가 약간 있고 맛과 섭취감이 보통임 : 2점, 비린내가 심하고 맛과 섭취감이 좋지 않음. : 1점으로 표기토록 하였고 그 평균점수를 표3에 나타냈다.
또한 20 - 50대의 남녀 40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계육을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식음수에 그대로 삶아서 시식하게 한 다음 육질과 육즙과 맛과 섭취감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평가방법은 4점법에 따라 각각 특유의 비린내 및 잡내가 전혀 없고 육질 아주 좋으면서 고소한 육즙이 많이 나오고 섭취감이 아주 좋음 : 4점, 특유의 비린내 및 잡내가 미세하며 육질 비교적 좋으면서 고소한 육즙이 약간 있으며 섭취감이 비교적 좋음 : 3점, 특유의 비린내 및 잡내가 있고 육질 좋지 않고 약간의 거부감이 있는 육즙이 나오고 섭취감이 좋지 않음. : 2점, 특유의 비린내 및 잡내가 심하게 있고 육질 아주 좋지 않고 거부감이 있는 육즙이 나오고 섭취감이 아주 좋지 않음. : 1점으로 표기토록 하였고 그 평균점수를 표4에 나타냈다.
< 계란을 날것으로 시식한 경우>
시 식 제 품 명 냄새 섭취감
실시예 본 발명기술의 사료로 생산한 계란 4 4 4
비교예 기존의 방식으로 생산한 계란 1.1 1.2 1.6
시 식 제 품 명 냄새 섭취감
실시예 본 발명기술의 사료로 생산한 계육 4 4 4
비교예 기존의 방식으로 생산한 계육 1.3 1.5 1.4
<계육을 삶아서 시식한 경우>
표 1과 표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되는 계란과 계육은 지방성분이 감소되고 각종 미네랄 및 각종 아미노산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표 3과 표 4를 참조하면 계란은 비린내 전혀 없고 고소하며 감칠맛이 있으며 맛의 좋은 여운이 2시간이상 지속되는 등 섭취감이 좋으며, 계육은 비린내 및 잡내가 전혀없고 육질이 아주 좋으며 고소한 육즙이 많으며 섭취감이 좋으며 조리시 냄새를 없애기 위한 식품재료의 첨가가 필요 없었다.
실시예2
시험구의 대하를 동일한 품종을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의 공정대로 상황버섯을 원료로 사료를 제조하여 대하에게 4개월간 급여하여 양식하였다.
비교예2
실시예2와 동일한 품종을 상황버섯을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대하에게 4개월간 급여하여 양식하였다.
상기의 시험구 및 대조구의 대하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표 5에는 시험구와 대조구의 크기와 무게를 비교하였으며, 표 6에는 20 - 50대의 남녀 40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하를 시식하게 한 다음 맛과 향, 섭취감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대하를 날것으로 시식하여 평가를 하는데 평가방법은 4점법에 따라 각각 비린내가 전혀 없고 고소하고 감칠맛이 있고, 섭취감이 좋음 : 4점, 비교적 비린내가 없고 비교적 고소하고 섭취감이 비교적 좋음.: 3점, 비린내가 약간 있고 맛과 섭취감이 보통임 : 2점, 비린내가 심하고 맛과 섭취감이 좋지 않음. : 1점으로 표기토록 하였고 그 평균점수를 표5에 나타냈다.
< 4개월간 대하를 양식한 후의 성장에 대한 비교표>
시 식 제 품 명 길이 무게
실시예 본 발명기술의 사료로 생산한 대하 17.2 47.2
비교예 기존의 방식으로 생산한 대하 15.3 42.5
<대하를 날것으로 초장을 첨가하지 않고 그대로 시식한 경우>
시 식 제 품 명 냄새 섭취감
실시예 본 발명기술의 사료로 생산한 대하 3.9 3.8 4
비교예 기존의 방식으로 생산한 대하 1.1 1.4 1.6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되는 대하는 크기와 무게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료로 양식한 대하는 비린내 전혀 없고 고소하며 감칠맛이 있으며 섭취감이 좋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로 사육 및 양식하여 생산한 축,수산물은 면역력이 강화되어 폐사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생장이 촉진되고 중량이 증가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특히 사료제조 시에 첨가하거나 예방 및 치료용으로 급여되는 각종 항생제나 화학첨가물의 해독작용이 예측되며 상황버섯 등 각종 버섯의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각종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등의 영양성분을 증가시키며 각종 버섯의 면역력 강화 효능 작용으로 인하여 각종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강한 고품질의 축,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가축 및 애완용 동물의 경우 조류독감 및 가축 등의 독감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글루칸 등의 효능으로 애완동물의 건강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변취(便臭)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줄 수 있다. 가금류의 경우 산란율이 높아지고 산란기간이 40 - 50 일 정도 길어져서 부가가치를 높이고 품질면에서도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미네랄, 아미노산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사료로 축, 수산물을 사육 및 양식하여 생산되는 축, 수산물은 기존의 축, 수산물과 비교 실험한 결과, 상황버섯 등 각종버섯의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및 각종 미네랄, 아미노산의 증가되어 육즙이 많고 육질이 개선될 뿐 아니라 노린내 등 잡내가 없어지고 지방이 현저히 감소하여 콜레스테롤이 저하된다. 넙치양식, 대하양식 등 수산물 양식의 경우에도 면역력이 강화되어 폐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수산물의 육질이 개선 될 뿐 아니라 각종 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맛과 영양이 뛰어난 최상의 축,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생산되는 모든 축, 수산물은 상황버섯 등 각종버섯의 유효성분을 통하여 맛과 영양이 현저히 강화되고 항암 및 면역강화기능에도 좋은 효과가 예상되어 건강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Claims (4)

  1. (a) 버섯을 건조하여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b) 분쇄된 분말에 생수를 1 : 1 내지 1: 300의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
    (c) 상기의 준비된 재료에 발효용 효소를 1 : 10 내지 1 : 1000 의 비율로 첨가하여10℃내지 60℃에서 1일 내지 15일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발효액을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90℃ - 150℃로 열수 추출하여 30℃이하로 냉각하는 단계.
    (e) 각종 축, 수산업의 사양에 따른 일반적인 사료용 재료에 추출물을 1 : 1 내지 700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흡착시키는 단계.
    (f) 상기의 혼합된 재료를 건조하여 분말 또는 고형화 하여 제품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황버섯을 이용한 액상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a)단계의 재료인 버섯의 종류를 상황버섯, 차가버섯, 말굽버섯(자작나무버섯), 장수버섯을 포함하는 각종 버섯을 각각 단일재료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사료를 통하여 사육 및 양식되어지는 모든 축산동물과 수산생물 및 이로 인하여 생산되어지는 축산물과 수산물
  4. 제3항의 생산품을 원료로 한 각종식품과 이를 원료로 가공되어지는 및 가공식품류
KR1020050054742A 2005-06-24 2005-06-24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KR20050074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742A KR20050074395A (ko) 2005-06-24 2005-06-24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742A KR20050074395A (ko) 2005-06-24 2005-06-24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395A true KR20050074395A (ko) 2005-07-18

Family

ID=3726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742A KR20050074395A (ko) 2005-06-24 2005-06-24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43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659B1 (ko) * 2005-05-23 2006-07-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반추 동물용 발효사료
KR101930944B1 (ko) 2017-10-24 2019-03-11 박규식 비상품 과일을 이용한 양봉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659B1 (ko) * 2005-05-23 2006-07-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반추 동물용 발효사료
KR101930944B1 (ko) 2017-10-24 2019-03-11 박규식 비상품 과일을 이용한 양봉용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0100C (en) Method of producing mushrooms
CN103609865B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畜禽饲料添加剂
Elkhateeb et al. Fomes fomentarius and Polyporus squamosus models of marvel medicinal mushrooms
KR101773252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9660A (ko) 고기능성 가금류 사육방법
KR101219650B1 (ko) 옻의 무독화 방법 및 무독화 옻피 추출물의 용도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100855756B1 (ko) 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육방법 및 가금육을사용한 신규한 면류
KR101214935B1 (ko) 오메가-3 함유 팽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100911279B1 (ko) 무항생제 사료조성물
KR20170079910A (ko) 발효 모자반 추출물과 발효식물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 사료첨가제
KR20050074395A (ko) 고기능성 바이오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KR101143070B1 (ko) 산자나무를 이용한 오리사육용 급수첨가제 제조방법
KR101133708B1 (ko)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반추가축용 사료로 사육된 반추가축의 고기
KR20190114400A (ko) 고함량의 베타글루칸 함유 상황버섯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200101169A (ko) 잣송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제조 방법
JP2002187851A (ja) 糖尿病予防・改善剤及びそれを含む機能性食品
Bamigboye et al. Mushrooms in Nigeria: neglected but beneficial nutraceutical and functional food
KR20010087699A (ko) 감마-아미노낙산의 함량이 높은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101426917B1 (ko)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 특수사료의 제조방법
KR102493425B1 (ko) 최소배지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
KR20070111732A (ko) 천연물을 이용한 순환계 질환, 면역계질환, 염증성질환,간질환, 내과계질환, 산,소아과계질환, 내분비계질환,바이러스성질환, 각종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77835B1 (ko) 초마늘 효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초마늘 효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