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407A -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 - Google Patents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407A
KR20160044407A KR1020150120673A KR20150120673A KR20160044407A KR 20160044407 A KR20160044407 A KR 20160044407A KR 1020150120673 A KR1020150120673 A KR 1020150120673A KR 20150120673 A KR20150120673 A KR 20150120673A KR 20160044407 A KR20160044407 A KR 20160044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oxygen reduction
chamber
abatemen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4050B1 (ko
Inventor
다츠야 오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6004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48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산소저감 유닛에 확실하게 급수할 수 있는 산소저감장치 및 저장고를 제공한다.
야채실(16)에 배치된 산소저감실(100)의 산소저감을 실시하는 산소저감 장치(200)에서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을 이용한 산소저감 유닛(202)과, 상기 산소저감 유닛(202)의 애노드(208)에 급수를 실시하기 위해 실리카겔(234)을 갖는 급수체(230)와, 상기 급수체(230)에 야채실(16)의 공기를 흘리는 급기 덕트(244)와, 상기 급기 덕트(244)에 야채실(16)의 공기를 공급하는 CA 팬(254)을 갖는다.

Description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DEVICE FOR REDUCING OXYGEN AND STORAG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CA(Controlled Atmosphere) 저장 방법에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용하여 산소저감실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방법이 있다.
이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을 사용한 산소저감 장치는, 애노드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이온을 만들고, 그 수소 이온이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내를 이동하여 캐소드에 도달하고, 산소저감실 내의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함으로써 산소를 감소시킨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189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1604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93827호
상기와 같은 산소저감 장치에서는, 애노드,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캐소드를 포함하는 산소저감 유닛에 확실하게 급수할 수 있는 구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산소저감 유닛에 확실하게 급수할 수 있는 산소저감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저장실 내에 배치된 산소저감실의 산소저감을 실시하는 산소저감 장치에서,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의 한쪽 면에 적층하여 설치된 애노드와, 상기 애노드의 다른 면이고 상기 애노드에 통전하는 애노드 집전체와,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의 다른쪽 면에 적층하여 설치된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의 다른 면이고 상기 캐소드에 통전하는 캐소드 집전체를 갖고 서로를 적층하여 구성된 판 형상의 산소저감 유닛과, 상기 산소 저감 유닛의 상기 애노드에 급수를 실시하기 위해 실리카겔을 갖는 급수체와, 상기 급수체에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보내기 위한 급기 덕트와, 상기 급기 덕트에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공급하는 산소 저감팬을 갖는다.
이에 따르면, 애노드,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캐소드를 포함하는 산소저감 유닛에 확실하게 급수할 수 있는 산소저감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저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산소저감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문을 제거한 상태의 냉장고 캐비넷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산소저감실과 산소저감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산소저감실과 산소저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산소저감실과 산소저감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산소저감실과 산소저감 장치의 후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산소저감실과 산소저감 장치의 후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산소저감 장치의 후방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산소저감 장치의 우측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산소저감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산소저감 유닛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산소저감실의 좌우의 레일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좌측 레일 받이의 조(爪, clasp)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변경예에서의 산소저감 장치의 좌측에서 본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하, 일 실시형태의 산소저감 장치(2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산소저감 장치(200)는 냉장고(10) 내에 있는 산소저감실(100)에 설치되어 있다.
(1) 냉장고(10)
냉장고(10)에 대해서 도 1과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냉장고(10)의 전체를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문을 제거한 상태의 냉장고(10)의 캐비넷(12)의 정면도이다.
냉장고(10)의 캐비넷(12)은 단열 상자체이고, 내부 상자와 외부 상자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단열재가 충전되어 잇다. 캐비넷(12) 내부는 위로부터 차례로 냉장실(14), 야채실(16), 소형 냉동실(18) 및 냉동실(20)을 갖고, 소형 냉동실(18)의 옆에는 제빙실(21)이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16)과 소형 냉동실(18) 및 제빙실(21)은, 단열 칸막이체(36)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다. 냉장실(14)과 야채실(16)은 수평인 칸막이체(38)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다. 냉장실(14)의 전면에는 양문형(觀音開き式)의 문(14a)이 설치되고, 야채실(16), 소형 냉동실(18), 냉동실(20) 및 제빙실(21)에는 각각 서랍식(引出し式) 문(16a, 18a, 20a)이 설치되어 있다.
캐비넷(12)의 배면 저부에는 기계실(22)이 설치되고,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4)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 기계실(22) 배면 상부에는, 제어판(26)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4)의 배면 하부로부터 야채실(16)의 배면에는 R 에버실(27)이 형성되고, 상기 R 에버실(27)에는 냉장용 증발기(이하, 「R 에버」라고 함)(28)가 설치되고, 그 하방에는 냉장용 송풍기(이하, 「R 팬」이라고 함)(30)가 설치되어 있다. R 에버(28)와 R 팬(30)은, 에버 커버로 덮힌 R 에버실(27)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R 에버(28)의 하방에는 R 에버(28)에서 발생한 제상수(除霜水)를 모으는 받이접시 (54)가 설치되어 있다. R 에버(28)에서 냉각된 냉기는, R 팬(30)에 의해 냉장실(14) 및 야채실(16)에 송풍된다.
소형 냉동실(18)의 배면으로부터 냉동실(20)의 배면에 걸친 F 에버실(29)에는 냉동용 증발기(이하, 「F 에버」라고 함)(32)가 설치되고, 그 상방에는 냉동용 송풍기(이하, 「F 팬」이라고 함)(34)가 설치되어 있다. F 에버(32)에서 냉각된 냉기는, F 팬(34)에 의해 소형 냉동실(18), 제빙실(21), 냉동실(20)에 송풍된다.
냉장실(14)의 배면에는 냉장실(14)의 고내 온도를 검출하는 냉장실용 센서(이하, 「R 센서」라고 함)(31)가 설치되고, 냉동실(20)의 배면에는 냉동실(20)의 고내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용 센서(이하, 「F 센서」라고 함)(3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4)에는 복수의 선반(40)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서랍식 칠드 용기(42)를 갖는 칠드실(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칠드실(44)은 저온실이고, 고기나 생선을 수납한다. 냉장실(14)의 문(14a)의 배면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4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과물이나 야채 등을 저장하는 야채실(16)의 하부에는, 서랍식 대형 야채용기(48)가 인출 자유롭게 배치되고, 야채실(16)의 상부 우측에는 소형의 야채용기(50)가 인출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16)의 상부 좌측에는 산소저감실(100)이 설치되어 있다. 산소저감실(100)의 배면에는 산소저감 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소저감실(100)과 산소저감 장치(20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판(26)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에는, R 팬(30), F 팬(34), 압축기(24), R 센서(31), F 센서(35), 산소저감 장치(200)가 접속되어 있다.
(2) 산소저감 장치(100)
산소저감 장치(100)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7, 및 도 12,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산소저감실(100)은 전면이 개구된 직방체이고, 상면판(106), 양측면판(108, 110), 저면판(112), 배면판(114)으로 형성되어 있다. 산소저감실(100) 내부에는 서랍식 산소저감 용기(102)가 수납되고, 산소저감 용기(102)의 전면에는 문(104)이 형성되며, 문(104)은 개구된 산소저감실(100)을 폐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저감실(100)의 좌우 양 측면판(108, 110)의 상부 양측에는,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 레일(116, 116)이 소정 간격마다 돌출되어 있다. 도 4,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16)의 좌측면(16b)에는 단면이 "コ"자 형상의 좌측 레일 받이(118)가 설치되고, 야채실(16)의 천정부에 해당하는 칸막이체(38)의 중앙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우측 레일 받이(120)가 매달려 있다. 좌우 양측면판(108, 110)으로부터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이동 레일(116, 116)이 좌측 레일 받이(118)와 우측 레일 받이(120)에 전방으로부터 걸어 맞추어지고(係合), 산소저감실(100)이 야채실(16)의 상부 좌측에 고정된다. 산소저감실(100)의 위치 결정을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레일 받이(118)의 후단부와, 우측 레일 받이(120)의 후단부에는 각각 돌출부(119, 121)가 돌출되어 이동 레일(116, 116)의 후면을 고정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레일 받이(118)의 전단부의 상부로부터 좌측 돌출조부(122)가 돌출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레일 받이(120)의 전단부의 측면으로부터 우측 돌출조부(124)가 돌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조부(122)가 좌측 레일 받이(118)에 끼워진 이동 레일(116)의 전단부에 걸어 맞추어지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조부(124)가, 우측 레일 받이(120)에 끼워진 이동 레일(116)의 전단부에 걸어 맞추어지며, 이에 의해 산소저감실(10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저감실(100)의 좌우 양 측면판(108, 110)의 전단에는, 상하 한 쌍의 팔부(128, 128)를 갖는 고정 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문(104)의 중앙부로부터 후방에 문의 돌출 조부(132)가 돌출되어 있다. 문 조부(132)는 문(104)을 닫은 상태에서, 고정 부재(130)의 상하 한 쌍의 팔부(128, 128)와 맞물려 문(104)을 고정한다. 그리고, 문(104)의 후단부 외주부를 따라서 패킹(134)이 배치되어 있다. 패킹(134)에 의해, 문(104)을 닫은 상태에서 산소저감실(100) 내부가 밀폐된다.
산소저감실(100)의 배면판(114)의 도 4에서의 좌측 하부에는, 장방형 산소저감 개구부(136)가 개구하고 있다. 이 산소저감 개구부(136)는 단차를 거쳐(經つ) 저면판(112)보다 약간 상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저감 개구부(136)로부터 외방을 향하여 산소저감 덕트(138)가 돌출되어 있다. 산소저감 덕트(138)는 수평형상으로 연장되고, 선단부는 폐쇄되며, 산소저감 덕트(138)의 상면에는 장방형의 상면 개구부(140)가 개구하고 있다(도 8, 도 9).
(3)산소저감 장치(200)
산소저감 장치(200)에 대해서, 도 10,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산소저감 장치(200)는 횡방향(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산소저감셀(204)을 포함하는 산소저감 유닛(202)을 갖는다. 또한, 각 부재의 두께는 얇은 것이지만, 도 10과 도 11에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그 두께는 확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산소저감셀(204)을 갖는 산소저감 유닛(202)에 대해서, 도 10과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장방형의 시트형상의 산소저감 셀(204)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이하, 간단히 「전해질막」이라고 함)(206)과, 상기 전해질막(206)의 상면에 설치된 애노드(208)와, 상기 전해질막(206)의 하면에 설치된 캐소드(210)를 갖는다. 캐소드(210)는 카본 촉매와 카본 페이퍼를 적층한 것이고, 애노드(208)와 캐소드(210)에는 백금의 촉매가 각각 담지되어 있다. 전해질막(206), 애노드(208) 및 캐소드(210)가 핫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접합되어, 시트 형상의 산소저감 셀(204)이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208)의 위에는, 프레임(額緣) 형상의 절연체(221)를 통하여, 애노드 집전체(212)가 배치되어 있다. 애노드 집전체(212)는 도전성 시트 형상이고,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슬릿 형상의 개구부(216)를 갖고, 또한 장방형의 애노드 전극(213)이 돌출되어 있다.
애노드 집전체(212) 위에는, 물 제한막(224)이 배치되어 있다. 물 제한막 (224)은 필름 형상이고, 수증기량을 미리 정한 소정의 수증기량으로 제한하여 애노드(208)에 보낸다.
물 제한막(224) 위에는, 누름판(222)이 배치되어 있다.
캐소드(210)의 아래에는, 프레임 형상의 절연체(220)를 사이에 두고, 캐소드 집전체(214)가 배치되어 있다. 캐소드 집전체(214)는 도전성 시트 형상이고,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슬릿 형상의 개구부(218)를 갖고, 또한 장방형의 캐소드 전극 (215)이 돌출되어 있다.
캐소드 집전체(214), 절연체(220), 산소저감셀(204), 절연체(221), 애노드 집전체(212), 물 제한막(224)을 차례로 적층한 것을, 「산소저감 유닛(202)」이라고 한다. 그리고, 제어판(26)의 제어부는 애노드 집전체(212)에 의해 애노드(208)에 플러스 통전을 실시하고, 캐소드 집전체(214)에 의해 캐소드(210)에 마이너스 통전을 실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저감실(100)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된 산소저감 덕트(138)의 상면 개구부(140)에는, 평면 형상이 장방형인 베이스 플레이트(226)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6)의 중앙 부분에는, 슬릿 형상의 개구부(228)가 관통하고 있다. 슬릿 형상의 개구부(228)는 캐소드 집전체(214)의 슬릿 형상의 개구부(218)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11).
베이스 플레이트(226) 위에는, 산소저감 유닛(202)과 누름판(222)이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산소저감 유닛(202)과 누름판(222) 위에는, 평면 형상이 장방형인 얇은 판 형상의 급수체(230)가 배치되어 있다. 급수체(230)는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실리카 겔(234)가 수납되고, 케이스(232)의 상면은 공기가 유통되도록 구멍이 복수 개구하며, 케이스(232)의 하면도 물이 낙하하도록 구멍이 복수 개구하고 있다.
급수체(230) 위에는, 통풍 커버(236)가 배치되어 있다. 통풍 커버(236)는 상방벽과 전방벽과 후방벽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벽과 저벽이 개구된 종단면이 역 U자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10). 통풍 커버(236)의 전방벽과 후방벽이 급수체(23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배치되고, 급수체(230)와 통풍 커버(236)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풍로(256)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8).
베이스 플레이트(226) 상에는, 단열 커버(238)가 얹혀져 있다. 단열 커버(238)는 산소저감유닛(202), 급수체(230), 통풍 커버(236)를 덮고 있다. 단열 커버(238)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통풍로(256)와 대응하도록 공기입구(240)와 공기출구(242)가 개구하고 있다. 단열 커버(238)의 후방부로부터는, 애노드 전극(213)과 캐소드 전극(215)이 돌출되어 있다.
도 5,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저감 덕트(138)와 단열 커버(238)의 도시 좌측에는 통풍 덕트(244)가 설치되어 있다. 통풍 덕트(244)는 상방면(246), 전방면(248), 후방면(250), 저면(252)으로 형성되고, 후방면(250)(우측면)은 개구되어 단열 커버(238)의 공기 입구(240)에 부착되고, 좌측면에는 산소저감 팬(이하, 「CA 팬」이라고 함)(254)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저면(252)은 CA 팬(254)의 하단부로부터 공기 입구(240)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4) 산소저감 장치(200)의 조립방법
산소저감장치(200)의 조립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번째로, 베이스 플레이트(226) 위에 누름판(222)을 갖는 산소저감 유닛(202)을 얹고, 그 위에 급수체(230)를 얹고, 그 위에 통풍 커버(236)를 얹고, 마지막으로 단열 커버(238)를 씌우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베이스 플레이트(226)에 일체로 고정한다.
두번째로, 일체가 된 베이스플레이트(226)와 단열 커버(238)의 좌측에, 도 5,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 덕트(244)를 나사 고정한다.
세번째로,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 덕트(244)에 CA 팬(254)을 고정한다.
네 번째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26), 산소저감 유닛(202)을 내장한 단열커버(238), 급기덕트(244), CA팬(254)이 일체가 된 유닛을, 산소저감덕트(138)의 상면 개구부(140)(도 8)에 나사로 고정한다.
(5) 산소저감 장치(200)의 동작상태
다음에, 산소저감 장치(200)의 동작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장고(10)가 구동하고 야채실(16) 내부가 냉각되면, 야채실(16) 내부에는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흐른다. 특히, 냉장실(14)과 야채실(16)을 통과한 리턴 에어가 R 에버실(27)에 되돌아갈 때, 가장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수분을 포함하는 리턴 에어가 통과하는 위치에, 산소저감 장치(200)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A 팬(254)은 이 수분을 포함하는 리턴 에어를 급기 덕트(244)를 통하여 공기 입구(240)에 송풍한다. 이 경우에, 급기 덕트(244)의 저면(252)이 공기입구(240)를 향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확실하게 수분을 포함하는 리턴 에어를 보낼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커버(238)의 공기 입구(240)로부터 들어간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는, 통풍 커버(236)의 내부의 통풍로(256)를 지나, 공기 출구(242)에 이르러 배출된다. 이 때,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커버(236)의 아래에 있는 급수체(230)에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들어가고, 실리카겔(234)이 그 수분을 흡수하며, 급수체(230)로부터 물을 아래로 배수한다. 그리고, 배수된 물은 누름판(222)을 통과하여 누름판(222)의 아래에 배치된 물 제한막(224)(도 10, 도 11)에 이른다.
물 제한막(224)에서 필요한 양의 물이 투과되고, 애노드 집전체(212)의 슬릿 형상의 개구부(216)를 거쳐 애노드(208)에 물이 도달한다. 이 경우에 물은 자체 무게(自重)에 의해 애노드(208)에 반드시 도달한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저감실(100)에 수납되어 있는 산소저감 용기(102) 내부에는 식품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산소저감실(100) 내부의 산소가, 산소저감 덕트(138), 상면 개구부(140), 베이스 플레이트(226)의 개구부(228)를 거쳐 산소저감 유닛(202)의 캐소드(210)(도 11)에 도달한다.
산소저감실(100)에 식품을 수납하면, 제어판(26)의 제어부가 애노드 집전체(212), 캐소드 집전체(214)에 통전을 개시한다. 두 집전체(212, 214)가 통전되면, 애노드(208)와 캐소드(210)에서는 다음의 화학식 1과 화학식 2와 같은 산소저감 반응이 실시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산소저감 반응을 설명하면, 물이 자체 무게에 의해 물 제한막(224)을 거쳐 애노드(208)에 이른다. 이 물은 애노드(208)에서 전기 분해되어 수소이온(프로톤 H+)이 만들어지고(화학식 1 참조), 그 수소이온이 전해질막(206) 내를 이동하여 캐소드(210)에 도달하며, 산소저감실(100)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되는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여, 산소를 소비한다(화학식 2 참조). 이에 의해 산소저감실(100) 내의 산소저감이 실시되어, 식품을 CA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산소 저감 유닛(202)에서 생성된 물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6)의 개구부(228), 산소저감 덕트(138)의 상면 개구부(140)를 거쳐, 산소저감 덕트(138)의 하면에 낙하한다. 산소저감 덕트(138)의 하면에 낙하한 물은, 저면(142)을 타고 이동하여 산소저감실(100)의 저면판(112)에 이른다.
(6)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산소저감 유닛(202) 상에 있는 급수체(230)의 실리카겔(234)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CA 팬(254)가 수분을 포함하는 야채실(16) 내부의 공기를 급기 덕트(244), 통풍 커버(236)의 통풍로(256)을 거쳐 보내므로, 실리카겔(234)에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확실하게 도달하여 급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산소저감 유닛(202)이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실리카겔(234)을 갖는 급수체(23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의 자체 무게에 의해 산소 저감 유닛(202)에 원활하게 급수할 수 있다.
산소저감 유닛(202)에서 생성된 물은, 하방으로 빠지기 쉬워 반응이 촉진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생성된 물은 산소저감 덕트(138)의 저면(142)을 통과하여 산소저감실(100)의 저면판(112)에 흐른다. 그 때문에, 산소저감실(100)의 저면판(112)의 물을 닦아내는 것만으로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산소저감 덕트(138)의 저면(142)이 산소저감실(100)의 저면판(112)보다 단차에 의해 위에 있으므로, 산소저감실(100)에 고인 물이, 산소저감 개구부(136)로부터 산소저감 덕트(138)에 역류하지 않는다.
산소 저감 유닛(202)은 산소저감실(100)로부터 돌출된 산소저감 덕트(138) 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산소저감 운전 중에 생성된 물이, 산소저감실(100)에 수납된 식품 위에 낙하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저감실(100)의 배면판(114)으로부터 산소저감 덕트(138)가 돌출되고, 상기 산소저감 덕트(138)에 산소저감 유닛(202)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산소저감실(100)의 배면판(114)에 대하여 판 형상의 산소저감 유닛(202)이 기립한 상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산소저감실(100)의 배면판(114)으로 구성되는 평면과 산소저감 유닛(202)으로 구성되는 평면이 직교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산소저감 유닛(202)에서 발생한 열이 배면판(114)을 통하여 산소저감실(100) 내부에 전달되기 어려워, 산소저감실(100) 내부의 식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산소저감 유닛(202)의 상부는 단열 커버(238)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외부에 열이 전달되기 어렵다.
산소저감 유닛(202), 급수체(230), 급기 덕트(244) 및 CA 팬(254)이 일체로 형성된 유닛으로서, 산소저감실(100)에 부착되는 구성이므로, 산소저감 장치(200)의 제조를 실시하기 쉽다.
(7) 변경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산소저감 덕트(138)의 저면(142)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이었지만, 이를 대신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저감실(100)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물이 보다 흐르기 쉬워지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산소 저감 유닛(202)을 가로 방향으로 부착했지만, 세로방향으로 부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에 산소저감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냉각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저장고에 본 실시형태의 산소저감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의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냉장고 16: 야채실
17: R에버실 100: 산소저감실
102: 산소저감 용기 136: 산소저감 개구부
138: 산소저감 덕트 140: 상면 개구부
200: 산소저감 장치 202: 산소저감 유닛
204: 산소저감 셀 226: 베이스 플레이트
230: 급수체 234: 실리카 겔
236: 통풍 커버 238: 단열 커버
244: 급기 덕트 254: CA 팬

Claims (7)

  1. 저장실 내에 배치된 산소저감실의 산소저감을 실시하는 산소저감 장치에 있어서,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의 한쪽의 면에 적층하여 설치된 애노드, 상기 애노드의 다른 면이고 상기 애노드에 통전하는 애노드 집전체,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의 타측면에 적층하여 설치된 캐소드, 및
    상기 캐소드의 다른 면이고 상기 캐소드에 통전하는 캐소드 집전체를 갖고 서로 적층하여 구성된 판형상의 산소저감 유닛,
    상기 산소저감 유닛의 상기 애노드에 급수를 실시하기 위해 실리카겔을 갖는 급수체,
    상기 급수체에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보내기 위한 급기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에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공급하는 산소저감 팬
    을 구비하는, 산소저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저감 유닛, 상기 급수체, 상기 급기 덕트, 및 상기 산소저감 팬을 일체로 형성한, 산소저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저감실의 하나의 벽면에 산소저감 개구부가 개구되고,
    상기 산소저감 개구부로부터 산소저감 덕트가, 상기 산소저감실의 외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산소저감 유닛이, 상기 산소저감 덕트에 설치되어 있는, 산소저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의 산소저감 유닛으로 구성되는 평면과, 상기 산소저감실의 상기 벽면으로 구성되는 평면이 직교하고 있는, 산소저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저감 덕트의 하면이, 상기 산소저감실의 저면에 대해서 상방에 위치하는, 산소저감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저감 덕트의 하면이, 상기 산소저감실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산소저감 장치.
  7. 제 1 항에 기재된 산소저감 장치가 청과물을 저장하는 저장실에 배치되어 있는, 저장고.
KR1020150120673A 2014-10-15 2015-08-27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 KR101694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0946A JP2016080241A (ja) 2014-10-15 2014-10-15 減酸素装置及び貯蔵庫
JPJP-P-2014-210946 2014-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407A true KR20160044407A (ko) 2016-04-25
KR101694050B1 KR101694050B1 (ko) 2017-01-06

Family

ID=5576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673A KR101694050B1 (ko) 2014-10-15 2015-08-27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080241A (ko)
KR (1) KR101694050B1 (ko)
CN (1) CN1055267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6443A (ja) * 2018-03-22 2019-10-0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酸素富化膜
JP7063733B2 (ja) * 2018-06-06 2022-05-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酸素富化膜の製造方法
CN110715492A (zh) * 2018-07-11 2020-01-2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CN112747532B (zh) * 2019-10-31 2023-04-1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2747527B (zh) * 2019-10-31 2023-01-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3446795B (zh) * 2020-03-24 2022-05-20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除氧模组、保鲜装置及冰箱
CN116222113A (zh) * 2021-12-03 2023-06-0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电解除氧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924A (ja) 2003-01-14 2004-08-05 Toshiba Corp 冷蔵庫
JP2004293827A (ja) 2003-03-25 2004-10-21 Toshiba Corp 冷蔵庫
JP2013160486A (ja) 2012-02-08 2013-08-19 Toshiba Corp 冷蔵庫
JP2014020722A (ja) * 2012-07-20 2014-02-03 Toshiba Corp 冷蔵庫
KR20140061216A (ko) * 2012-11-12 2014-05-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식품 보존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977A (ja) * 2003-07-29 2005-02-24 Toshiba Corp 冷蔵庫
JP5718693B2 (ja) * 2011-03-17 2015-05-13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6009911B2 (ja) * 2012-11-08 2016-10-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減酸素装置及び冷蔵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924A (ja) 2003-01-14 2004-08-05 Toshiba Corp 冷蔵庫
JP2004293827A (ja) 2003-03-25 2004-10-21 Toshiba Corp 冷蔵庫
JP2013160486A (ja) 2012-02-08 2013-08-19 Toshiba Corp 冷蔵庫
JP2014020722A (ja) * 2012-07-20 2014-02-03 Toshiba Corp 冷蔵庫
KR20140061216A (ko) * 2012-11-12 2014-05-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식품 보존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050B1 (ko) 2017-01-06
JP2016080241A (ja) 2016-05-16
CN105526761B (zh) 2018-06-26
CN105526761A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050B1 (ko)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
KR101572716B1 (ko) 냉장고 및 산소 저감 장치
KR101505721B1 (ko) 냉장고
JP2012083081A (ja) 冷蔵庫
CN109855348A (zh) 冷藏冷冻装置
JP2014020722A (ja) 冷蔵庫
TWI534400B (zh) 減氧系統
JP6226708B2 (ja) 減酸素装置と冷蔵庫
JP6202865B2 (ja) 冷蔵庫
JP6242586B2 (ja) 減酸素装置
JP6230234B2 (ja) 冷蔵庫
JP6013046B2 (ja) 冷蔵庫
JP6338875B2 (ja) 食品貯蔵庫
JP6203001B2 (ja) 減酸素装置
JP6712301B2 (ja) 貯蔵庫
JP6419439B2 (ja) 貯蔵庫
JP2017227433A (ja) 冷蔵庫
JP6192971B2 (ja) 冷蔵庫
JP6498876B2 (ja) 減酸素装置、及び、冷蔵庫
JP5974319B2 (ja) 冷蔵庫
JP6707165B2 (ja) 冷蔵庫
JP6203000B2 (ja) 減酸素装置と冷蔵庫
JP6262005B2 (ja) 減酸素装置、及び、冷蔵庫
JP2014081158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