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72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721B1
KR101505721B1 KR1020130024783A KR20130024783A KR101505721B1 KR 101505721 B1 KR101505721 B1 KR 101505721B1 KR 1020130024783 A KR1020130024783 A KR 1020130024783A KR 20130024783 A KR20130024783 A KR 20130024783A KR 101505721 B1 KR101505721 B1 KR 101505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water
current collector
layer
an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869A (ko
Inventor
에이지 시나가와
다쿠미 오이카와
겐지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1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4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comprising other gases in addition to CO2, N2, O2 or H2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4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각 층을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의 산소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산소 저감실과, 상기 산소 저감실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산소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저감 장치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한쪽 면에 설치된 애노드층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다른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산소 저감실로 통하는 캐소드층과, 상기 애노드층에 통전하는 제1 집전체와, 상기 캐소드층에 통전하는 제2 집전체와, 상기 애노드층측에 설치된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 상기 제1 집전체, 상기 애노드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캐소드층, 상기 제2 집전체의 순서로 배치되도록 양측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끼우고, 그 끼우는 면이 강성을 갖는 한쌍의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제어분위기(CA, Controlled Atmosphere) 저장방법에는 식품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스치환방법, 감압함으로써 산소를 저감시키는 진공방법,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용하여 제어분위기(CA) 저장실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고분자 전해질 방법, 산소 흡착제를 사용하는 흡착 방법 등이 있다.
가스치환방법은 질소나 탄산가스로 대표되는 가스를 공기로 치환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식품이나 야채의 유통과정에서의 선도 유지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진공방법은 식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산소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감압하는 방법이다. 진공방법의 성능은 진공도와 서로 관련이 있으므로 저장용기의 강도나 진공펌프의 능력이 필요하여 비교적 큰 장치가 된다.
산소흡착제를 사용한 방법도 가스치환방법과 동일하게 과자류 등의 유통과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흡착제가 흡착 파과(break through)되면 효과가 없어져 수명이 짧다.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은 애노드(anode)층에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이온을 만들고, 그 수소 이온이 고분자 전해질막 내를 이동하여 캐소드(cathode)층에 도달하고, 저장용기내의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함으로써 산소를 소비한다. 그 때문에, 압력변화가 적고 저장용기의 강도가 별로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진공방법의 종래 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18924호가 있다. 또한,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의 종래 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87869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에서는 애노드층, 고분자 전해질막, 캐소드층이 균일하게 접촉될 필요가 있고, 그 접촉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기 분해의 반응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층을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의 산소 저감 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산소 저감실과, 상기 산소 저감실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산소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저감 장치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한쪽 면에 설치된 애노드층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다른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산소 저감실에 연결되는 캐소드층과, 상기 애노드층에 통전하는 제1 집전체와, 상기 캐소드층에 통전하는 제2 집전체와, 저면의 물 유지부로부터 급수하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 상기 제1 집전체, 상기 애노드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캐소드층, 상기 제2 집전체의 순서로 배치되도록 양측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끼우고, 그 끼우는 면이 강성을 갖는 한쌍의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적어도 냉장실, 야채실, 냉동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내에 설치된 용기 수납부와, 상기 용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그 전방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산소 저감 용기와, 상기 산소 저감 용기 내에 수납되는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검출하는 CO2 센서와, 상기 용기 수납부의 후방 개구부에 부착되고 상기 용기 수납부내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산소 저감 장치와, 상기 CO2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산소 저감 용기가 밀폐된 상태인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산소 저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용기 수납부 내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층을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의 산소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산소 저감 장치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3은 산소 저감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산소 저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산소 저감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산소 저감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냉장실 하부와 야채실의 종단면도로, 야채실의 문을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야채실의 문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야채실의 문 및 산소 저감 용기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이다.
도 11은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도 12는 변경예 1의 산소 저감 장치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변경예 2의 산소 저감 장치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대해서 도 1~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냉장고(10)는 산소 저감실(100)을 구비하고, 산소 저감실(100)은 산소 저감 장치(102)를 구비하고 있다.
(1) 냉장고(10)의 구조
냉장고(10)의 구조에 대해서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냉장고(10)의 전체 종단면도이다.
냉장고(10)의 캐비넷(12)은 단열상자체로, 내부상자와 외부상자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12) 내부는 위로부터 차례로 냉장실(14), 야채실(16), 소형 냉동실(18) 및 냉동실(20)을 구비하고 있다. 소형 냉동실(18)의 옆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빙실이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16)과 소형 냉동실(18) 사이 및 소형 냉동실(18)과 제빙실 사이에는 단열 칸막이체(36)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4)과 야채실(16)은 수평인 칸막이체(38)에 의해 칸막이 되어 있다. 냉장실(14)의 전면에는 스윙오픈타입의 문(14a)이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16), 소형 냉동실(18), 냉동실(20) 및 제빙실에는 각각 서랍식 문(16a, 18a, 20a)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넷(12)의 배면 저부에는 기계실(22)이 설치되고,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4)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22)의 배면 상부에는 제어반(26)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4)의 배면 하부로부터 야채실(16)의 배면에서, 냉장용 증발기(28)(이하,「R증발기(evaporator)(28)라고 함」)가 설치되고, 그 하방에는 냉장용 송풍기(30)(이하,「R팬(fan)(30)」이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다. 소형 냉동실(18)의 배면으로부터 냉동실(20)의 배면 사이에 걸쳐 냉동용 증발기(32)(이하,「F증발기(32)」라고 함)가 설치되고, 그 상방에는 냉동용 송풍기(34)(이하,「F팬(34)」이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22)에 설치된 압축기(24),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 R증발기(28), F증발기(32) 등에 의해 냉동 사이클이 구성되어 있다. R증발기(28)에서 냉각된 냉기는 R팬(30)에 의해 냉장실(14) 및 야채실(16)로 송풍된다. F증발기(32)에서 냉각된 냉기는 F팬(34)에 의해 소형 냉동실(18), 제빙실, 냉동실(20)로 송풍된다.
냉장실(14)의 배면에는 냉장실(14)의 고내 온도를 검출하는 냉장실용 센서(31)(이하,「R센서(31)」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20)의 배면에는 냉동실(20)의 고내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실용 센서(35)(이하,「F센서(35)」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다.
(2) 냉장실(14)과 야채실(16)
다음에, 냉장실(14)과 야채실(16)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4)에는 복수의 선반(40)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서랍식 칠드(chilled) 용기(42)를 갖는 칠드실(4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칠드실(44)은 저온실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육류나 어류를 수납한다. 냉장실(14)의 문(14a)의 배면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door pocket)(46)이 설치되어 있다.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16)에는 서랍식 야채 용기(48)가 설치되어 있다. 야채 용기(48)는 야채실(16)의 문(16a)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좌우 한쌍의 이동 레일(50)(도 7을 참조)로 지지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이동 레일(50)은 야채실(16)의 우측 내벽과 좌측 내벽에 각각 설치된 고정 레일(52)(도 7을 참조) 위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야채실(16)의 천정부에 해당하는 칸막이체(38)의 후부에는 산소 저감실(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소 저감실(100)의 후부에는 산소 저감 장치(10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소 저감실(100)과 산소 저감 장치(102)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3) 산소 저감실(100)
다음에, 산소 저감실(100)의 구조에 대해서 도 1, 도 7~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 저감실(100)은 칸막이체(38)에 매달린 상태의 용기 수납부(104)와, 상기 용기 수납부(104)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산소 저감 용기(106)와, 산소 저감 장치(102)를 구비한다.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수납부(104)는 칸막이체(38)에 매달리고, 용기 수납부(104)의 천정면은 칸막이체(3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용기 수납부(104)의 전면은 개구되고 배면, 양측면, 저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 저감 용기(106)는 개구한 용기 수납부(104)의 전면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고, 산소 저감 용기(106)의 전면이 문(108)을 겸하고 있다. 상기 문(108)의 배면측의 4개의 외주에는 프레임 형상의 가스켓(gasket)(1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산소 저감 용기(106)를 용기 수납부(104)에 수납했을 때, 산소 저감실(100)을 밀폐 상태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2 센서(135)가 용기 수납부(104)의 배면 앞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CO2 센서(135)는 산소 저감실(100)에 수납되어 있는 야채 등의 식품(58)이 호흡을 실시하여 CO2를 배출하면, 그 배출된 CO2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산소 저감실(100)의 내부에 식품(58)이 수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산소 저감실(100)을 밀폐 상태로 하고, 산소 저감실(100)내의 식품(58)이 배출하는 CO2 를 CO2 센서(135)에 의해 검출하는 구성이므로, 식품(58)이 수납되었을 때의 산소 저감실(100)의 밀폐 상태를 CO2 센서(135)가 검출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수납부(104)의 배면 뒤쪽에는 통기구멍(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구멍(112)의 위치에 산소 저감 장치(102)가 부착되어 있다.
(4) 산소 저감 장치(102)
다음에, 산소 저감 장치(102)의 구조에 대해서 도 2~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을 이용한 산소 저감 장치(102)는 단열성을 갖는 상자형 케이스(114)의 내부에 산소 저감 유닛(115)이 설치되어 있다.
(4-1) 산소 저감 유닛(115)
우선, 산소 저감 유닛(115)에 대해서 도 2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산소 저감 장치(102)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산소 저감 유닛(115)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2와 도 3에서 각 부재의 두께는 얇은 것이지만,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그 두께를 확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막(이하, 간단히「전해질막」이라고 함)(116)이 통기구멍(112)을 향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해질막(116)의 후부에는 애노드층(118)이 설치되고, 전해질막(116)의 전부(前部)에는 캐소드층(120)이 설치되어 있다. 캐소드층(120)은 카본 촉매와 카본 페이퍼(carbon paper)를 적층한 것이다. 또한, 애노드층(118)과 캐소드층(120)에는 백금의 촉매가 각각 담지되어 있다. 전해질막(116), 애노드층(118) 및 캐소드층(120)은 핫프레스(hot press) 등을 사용하여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애노드층(118)의 후방(산소 저감 유닛(115)측)에는 플러스측의 집전체(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소드층(120)의 전방(통기구멍(112)측)에는 마이너스측의 집전체(124)가 설치되어 있다. 두 집전체(122, 124)는 표면에 백금도금(gild)를 실시한 메시(mesh) 형상의 티탄(titanium)막이고, 집전체(122)는 애노드층(118)에 플러스 통전을 실시하고, 집전체(124)는 캐소드층(120)에 마이너스 통전을 실시한다. 두 집전체(122, 124)는 전선(158, 160)으로부터 통전된다. 또한, 두 집전체(122, 124)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체(125)가 두 집전체(122, 12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5)는 프레임 형상(사각형으로 둘러싼 형상)이고, 전해질막(116)과 애노드층(118)과 캐소드층(120)이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플러스측의 집전체(122)의 후방(고정부재(132)측)에는 발수층(1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수층(126)은 프레임 형상의 가스켓(127)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이너스측의 집전체(124)의 전방(통기구멍(112)측)에도 발수층(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수층(130)은 프레임 형상의 가스켓(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발수층(126, 130)으로서는 고분자 필름을 사용한다. 많은 고분자 필름은 발수성이지만, 수증기를 투과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재료에 따라서는 두께의 조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발수층(126, 130)으로서는 물을 투과시키지 않고 수증기를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 PTE 필름이나, 발수성 수지를 사용한 부직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층(126)의 후방에는 시트 형상의 급수체(128)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체(128)로서는 예를 들어 부직포 등이다.
상기와 같이 차례로 적층한 각 부재는 전후 한쌍의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 사이에 끼워 고정한다. 애노드측에 배치되는 후방의 고정부재(132)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하부에 단면이 장방형인 통기구(136)를 갖는다. 상기 통기구(13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2)의 하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한편, 캐소드층측에 부착되는 전방의 고정부재(134)도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에 개구부(138)를 갖는다. 상기 개구부(13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의 관통 슬릿 형상의 구멍이 복수개 나열된 단책(短冊)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개구부(138)는 용기 수납부(104)의 통기구멍(112)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부재에 의해, 산소 저감 유닛(115)이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는 도시하지 않은 여러 개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각 부재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이 필요한 예를 들어 ABS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132)의 플러스측의 집전체(122)측의 면이 평면을 유지하는 강성을 갖고, 고정부재(134)의 마이너스측의 집전체(124)측의 면이 평면을 유지하는 강성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산소 저감 유닛(115)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수층(130)을 갖는 가스켓(131)과, 마이너스측의 집전체(124)와, 캐소드층(120)의 측면이 수지(156)에 의해 시일되어 패킹되어 있다.
각 부재의 두께는,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의 전후 방향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이다. 또한, 급수체(128)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이다. 또한, 발수층(126)과 발수층(13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이다. 또한, 가스켓(127)과 가스켓(131)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어 0.2㎜이다. 또한, 애노드층(118)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5㎜이다. 또한, 전해질막(116)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이다. 또한, 캐소드층(1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5㎜이다. 또한, 절연체(126)의 두께는 예를 들어 0.7㎜이다. 또한, 집전체(122)와 집전체(124)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어 0.5㎜이다.
(4-2) 케이스(114)
상기에서 설명한 산소 저감 유닛(115)은 상자형 케이스(114)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4)에 대해서 도 4~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케이스(114)의 정면도, 도 5는 케이스(114)의 배면도, 도 6은 케이스(114)의 종단면도이다.
케이스(114)는 단열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예를 들어 그 두께는 5㎜이다. 케이스(114)는 산소 저감 유닛(115)을 수납하기 위한 유닛 수납부(140)와, 유닛 수납부(140)의 측방에 설치된 물 통과부(1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의 물 통과부(142)는 그 내부에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진 정수부(14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R증발기(28)에서 발생한 결로수는 호스(56)를 거쳐, 펌프(146)에 의해 호스(152)로부터 물 통과부(142)의 상면에 공급된다. 이온교환수지의 정수부(144)에서 정수된 물은, 물 통과부(142)의 저면으로부터 유닛 수납부(140)의 하부로 흘러 들어간다. 유닛 수납부(140)의 하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쪽으로 하방으로 경사진 물 유지부(148)를 구비하고, 상기 물 유지부(148)에 정수부(144)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고인다.
케이스(114)의 배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 저감 유닛(15)에 의해 발생한 산소를 확산시키는 확산구(150)와, 물 유지부(148)로부터 넘쳐나온 물을 밖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파이프(15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54)로부터의 물은 예를 들어 냉장고(10)의 저부에 설치되는 증발 접시 등으로 배수된다.
물 유지부(148)에 고인 물에는 산소 저감 유닛(115)으로부터 수하된 급수체(128)의 단부가 잠겨 있다. 즉, 물 유지부(148)에 고인 물은 모세관 현상으로 급수체(128)에 흡수된다.
산소 저감 유닛(115)의 고정부재(134)는 용기 수납부(104)의 배면에 고정되고, 케이스(114)도 용기 수납부(104)의 통기구멍(112)에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5) 냉동 사이클
다음에, 냉동 사이클의 구조에 대해서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24)의 토출측으로부터 차례로 응축기(60), 3방향 밸브(62)가 접속되어 있다. 3방향 밸브(62)의 한쪽 출구에는 냉장용 모세관(capillary tube)(64)과 R증발기(28)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3방향 밸브(62)의 다른쪽 출구에는 냉동용 모세관(66)과 F증발기(3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 후, R증발기(28)와 F증발기(32)의 냉매유로는 하나가 되고, 흡입관(suction pipe)(68)을 거쳐 압축기(24)의 흡입측으로 되돌아간다. 즉, 냉장용 모세관(64)/R증발기(28)와 냉동용 모세관(66)/F증발기(32)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냉매는 압축기(24)에서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기체상의 냉매로 변화되고, 응축기(60)에서 방열하면서 액체상이 된다. 액체상의 냉매는 3방향 밸브(62)에 의해 냉장용 모세관(64) 또는 냉동용 모세관(66)으로 보내진다. 냉장용 모세관(64) 또는 냉동용 모세관(66)에서는 기화되기 쉽도록 감압되고, 그 후에 R증발기(28) 또는 F증발기(32)에서 기화되어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음으로써 냉기가 발생된다.
(6) 냉장고(10)의 전기적 구성
다음에, 냉장고(1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도 11의 블럭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어반(26)에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70)에는 압축기(24), 3방향 밸브(62), R팬(30), F팬(34), 산소 저감 장치(102), 펌프(146), R센서(31), F센서(35) 및 CO2 센서(13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압축기(24)의 인버터 모터(inverter motor)의 제어와, 3방향 밸브(62)를 사용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냉동 사이클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는 냉장실(14)을 2℃~4℃로 제어하고, 야채실을 5℃~7℃ 및 칠드실(44)을 0℃~1℃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소형 냉동실(18), 제빙실, 냉동실(20)을 -20℃~-25℃로 제어한다.
(7) 산소 저감 장치(102)의 동작상태
산소 저감 장치(102)의 동작상태에 대해서 도 2~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16)을 냉각하는 경우에는 야채실(16)의 문(16a)이 폐쇄된다. 또한, 산소 저감실(100)의 산소 저감 용기(106)가 용기 수납부(104)에 수납되어 있다. 산소 저감 용기(106)가 용기 수납부(104)에 수납되어 있으면, 가스켓(110)에 의해 산소 저감실(100) 내부는 밀폐 공간이 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146)가 R증발기(28)에서 발생한 제상수(除霜水)를 호스(56)와 호스(152)를 통하여 물 통과부(142)의 상부에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물 통과부(142) 내부의 정수부(144)를 통하여 물 통과부(142)의 저부로부터 흘러나와 물 유지부(148)에 고인다. 상기 물 유지부(148)의 물에 잠겨 있는 급수체(128)는 고인 물을 빨아올린다.
다음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 저감실(100)에 식품(58)을 수납하면, 식품(58)이 호흡을 실시하여 CO2를 배출한다. 그러면, CO2 센서(135)가 그 CO2를 검출한다. 그 검출신호를 수신한 제어부(70)는 산소 저감 장치(102)의 집전체(122, 124)에 대하여 통전을 개시하거나, 또는 통전하고 있는 전류값을 크게 한다. 상기 산소 저감실(100)의 고내 온도는 칠드실(44)의 고내 온도인 1℃ 보다 높게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산소 저감실(100)은 야채실(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야채실(16)의 고내 온도와 동일해지고, 예를 들어 5℃~7℃가 된다. 이에 의해 수납한 야채 등의 식품(58)은 고내 온도가 너무 낮음에 의한 저온 장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 저감 용기(106)의 공기가 산소 저감실(100)의 통기구멍(112), 고정부재(134)의 개구부(138)를 거쳐 산소 저감 유닛(115)에 공급되고, 그리고 집전체(122, 124)가 통전되어 있으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산소 저감이 실시되고, 산소 저감실(100)이 제어분위기(CA) 저장실이 된다. 그 결과, 산소 저감 유닛(115)의 애노드층(118)과 캐소드층(120)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애노드층…2H2O→02 + 4H+ + 4e-
캐소드층…02 + 4H+ + 4e-→2H2O
상기 반응식을 설명하면, 급수체(128)로부터 발수층(126)을 통과한 수증기는 애노드층(118)에서 전기 분해하여 수소 이온을 만든다. 그리고, 그 수소 이온이 전해질막(116) 내로 이동하여 캐소드층(120)에 도달하고, 산소 저감실(100)의 내부의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한다. 즉, 산소 저감실(100) 내부의 산소를 소비한다. 이에 의해, 산소 저감 용기(106) 내부의 산소 저감이 실시되고 식품(58)을 제어분위기(CA) 저장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 저감 유닛(115)의 애노드층(118)에서 발생한 산소가, 우선 고정부재(132)의 통기구(136)를 통과하고, 그 후에 확산구(150)로부터 확산된다.
여기에서, 발수층(126)은 급수체(128)로부터 애노드층(118)으로 이동하는 물의 이동량을 억제하고 수증기만 투과시킨다. 이에 의해, 애노드층(118)으로의 액체(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플러딩(flood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층(120)의 전방에 발수층(130)을 설치하고 있다. 산소 저감실(100) 내의 공기를 산소 저감한 경우 캐소드층(120)에 물이 발생한다. 이 물은 화학반응에 의해 만들어진 순수이다. 상기 생성된 순수는 발수층(130)에 의해 캐소드층(120)에 고이고, 애노드층(118)측보다도 수량이 많아지면, 이 물은 전해질막(116)을 통하여 애노드층(118)으로 되돌아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 때문에, 순수를 애노드층(118)측으로 공급할 수 있고 급수체(128)로의 물의 공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산소 저감 장치(102)에 의한 산소 저감 동작에서는 산소농도를 10% 이하로 낮추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 이유는 (1) 야채 등의 식품(58)의 보존에는 10%의 산소농도에서도 충분한 효과가 얻어진다. (2) 산소농도를 10% 이하로 하는 데에는 큰 전력 소비가 필요하고 이를 피하기 위함이다. (3) 산소 저감된 공기를 사용자가 만에 하나 호흡해도 위험한 상태를 피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16)의 문(16a)을 전방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하면, 야채용기(48)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산소 저감실(100)의 산소 저감 용기(106)는 용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상태이므로, 산소 저감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 저감실(100)의 산소 저감 용기(106)를 전방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하면, 산소 저감 상태가 해제되고 산소 저감 용기(106)에 수납되어 있는 식품(58)을 꺼낼 수 있다.
(8) 실시형태의 효과
실시형태에 따르면 산소 저감 장치(102)의 구성을,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 사이에 전해질막(116), 애노드층(118), 캐소드층(120), 집전체(122, 124), 발수층(126, 130)을 끼우고 있으므로, 이들 부재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각 부재는 얇은 층이지만, 양측이 고정부재(132, 134)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각 부재의 균일한 접촉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34)는 각 부재에 닿는 부분의 강성이 강하여 각 부재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촉면적을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층(120)측의 고정부재(134)의 개구부(138)는 단책형상이므로 캐소드층(124)를 억압하는 강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산소 저감 용기(106)내의 산소가 통과하는 개구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수층(130)을 갖는 가스켓(131)과, 마이너스측의 집전체(124)와, 캐소드층(120)의 측면이 수지(156)에 의해 시일되어 패킹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산소 저감 용기(106) 이외로부터의 산소의 유입이 없고, 보다 확실하게 산소 저감 용기(106) 내부의 산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4)의 저부에 물 유지부(148)를 갖고 있으므로, 물을 모으기 위한 특별한 부품이나 공간이 불필요하다.
또한, 산소 저감 장치(102)의 케이스(114)가 단열성을 가지므로, 산소 저감 유닛(115)에서 전기 분해가 실시되었을 때 발생한 열이 야채실(16)에 전달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야채실(16)의 고내 온도를 예를 들어 5℃~7℃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확산구(150)는 케이스(114)의 배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한 열은 유닛 수납부(140)의 상부에 모이고, 하부에 있는 확산구(150)로부터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산소는 분자량 32의 분자이고 공기보다 무거워 아래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이 예측되므로, 통기구(136)와 확산구(150)를 산소 저감 장치(102)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 된다.
또한, 단열성을 갖는 케이스(114)에 의해 산소 저감 유닛(115)이 둘러싸여 있으므로, 케이스(114)의 내부는 전기분해의 열에 의해 따뜻하여 급수체(128)에서 빨아올려진 물이 증발하기 쉬우며, 안정적인 수소 이온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캐소드층(120)의 외주측면과 고정부재(134)의 면이 수지(156)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므로, 산소 저감 용기(106)로부터의 공기를 통기구멍(112), 개구부(138)를 거쳐 산소 저감 유닛(115)에 공급하고, 그 공기중에서 산소만을 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물 통과부(142)의 내부에 이온교환수지의 정수부(14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급수체(128)에 공급하는 물은 제상수의 수질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고, 산소 저감 장치(102)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산소 저감실(100)의 고내 온도가 칠드실(44)의 고내 온도 이상이 되도록, 산소 저감실(100)은 야채실(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산소 저감실의 고내 온도는 5℃~7℃가 되고, 산소 저감실(100)에 수납된 야채 등의 식품(58)이 저온 장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칠드실(44)은 통상 1℃ 정도로 고내 온도가 제어되고, 육류나 어류를 냉동시키지 않고 장기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산소 저감실(100)에 식품(58)을 수납하면, 식품(58)이 호흡을 실시하여 CO2를 배출하므로, CO2 센서(135)는 그 CO2를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70)는 집전체(122, 124)에 대하여 통전을 개시하거나 또는 통전하고 있는 전류값을 크게 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70)의 통전 제어에 의해, 산소 저감실(100)에 식품(58)을 수납할 때까지는 불필요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절전할 수 있다.
또한, 급수체(128)에 접하여 발수층(126)을 설치함으로써, 발수층(126)은 급수체(128)로부터 애노드층(118)으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수증기만 투과시킬 수 있으므로 플러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수층(126)으로서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공급하는 물에 미네랄 등의 불순물이 있었다고 해도 이들을 차단하고, 전해질막(116)을 열화시키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필름이면, 발수성능에 열화가 없고 장수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극의 집전체(124)에 접하여 발수층(130)을 설치함으로써 캐소드층(120)에서 발생한 물이 애노드층(118)으로 흐른다. 이에 의해, 순수를 애노드층(118)으로 공급할 수 있고, 급수체(128)로부터의 물의 공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발수층(130)은 캐소드층(120)에서 발생한 물이 산소 저감실(100)내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산소 저감실(100)의 내부에서 결로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식품(58)의 부식을 촉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 유지부(148)에는 R증발기(28)로부터 발생한 제상수를 모아 사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일정한 주기로 물 유지부(148)에 물을 넣는 것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물 유지부(148)에는 R증발기(28)로부터 발생한 제상수가 보급되는 점에서, 산소 저감 장치(102)의 열화를 촉진시키지 않는다. 즉, 산소 저감 장치(102)의 열화를 고려하면, 공급하는 액체는 순수에 가까운 쪽이 좋고, 어느 가정에서도 입수할 수 있는 수돗물은 염소나 미네랄(mineral)이 열화를 촉진시킨다. 이에 대하여, 제상수는 수증기가 냉각되어 생긴 물이고, R증발기(28)상에서 약간의 금속 성분의 용해가 있지만, 수돗물에 비하여 불순물이 적으므로, 산소 저감 장치(102)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상수를 산소 저감 장치(102)에 공급함으로써, 기계실(22)에 설치되어 있는 증발 접시에 인도되어 열로 수증기가 되어 방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산소 저감실(100)이 야채실(16)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산소 저감실(100)의 배면에 산소 저감 장치(102)가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야채실(16)의 문(16a)이 개방되어도 산소 저감실(100)은 폐쇄된 상태이다. 그리고, 산소 저감 상태에서 보존된 식품(58)을 꺼낼 때에는, 문(108)을 개방함으로써 산소 저감 용기(106)내의 식품(58)을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산소 저감 장치(102)의 집전체(122, 124)에 접속되는 전기배선, 호스(152, 154)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산소 저감 장치(102)와 산소 저감실(100)의 기밀 시일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9) 변경예 1
상기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대해서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재(134)와 캐소드층(120)측의 외주만을 수지(156)로 덮고 있었다. 변경예 1에서는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 사이의 부재와 측면을, 모두 수지(156)에 의해 밀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른 부분으로부터의 산소의 유입이 없고, 보다 확실하게 산소 저감 유닛(115)에 의해 산소 저감 용기(106) 내부의 산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10) 변경예 2
다음에 변경예 2에 대해서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집전체(122)와 집전체(124)에 접속한 전선(158, 160)은 케이스(114)를 관통하고 있었지만, 이 부분으로부터는 기체가 출입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변경예 2에서는 집전체(122)에 접속된 전선(158)과 집전체(124)에 접속된 전선(160)이 관통하는 관통구인 통기구(162, 164)를 설치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상기 통기구(162, 164)는 전선(158, 160)의 외경보다도 크게 하고, 상기 통기구(162, 164)로부터도 산소가 확산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11) 기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냉장고 14: 냉장실
16: 야채실 28: R증발기
44: 칠드실 48: 야채용기
70: 제어부 100: 산소 저감실
102: 산소 저감 장치 104: 용기 수납부
106: 산소 저감 용기 108: 문
116: 전해질막 118: 애노드층
120: 캐소드층 122, 124: 집전체
126, 130: 발수층 128: 급수체
114: 케이스 115: 산소 저감 유닛
132, 134: 고정부재 136: 통기구
138: 개구부 140: 유닛 수납부
156: 수지 158, 160: 전선
162, 164: 통기구

Claims (12)

  1. 산소 저감실과, 상기 산소 저감실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산소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저감 장치는,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한쪽 면에 설치된 애노드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다른쪽 면에 설치되고 상기 산소 저감실로 통하는 캐소드층,
    상기 애노드층에 통전하는 제1 집전체,
    상기 캐소드층에 통전하는 제2 집전체,
    상기 애노드층측에 설치되고, 상기 산소 저감 장치 내의 저부의 물을 빨아올리는 급수부, 및
    애노드층측에서 보아, 상기 급수부, 상기 제1 집전체, 상기 애노드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캐소드층, 상기 제2 집전체의 순서로 적층하여 애노드층측과 캐소드층측의 양측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끼우고, 그 끼우는 각각의 면이 강성을 갖는 한쌍의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부재는 상기 산소 저감실의 산소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통전에 의해 애노드층에서 발생한 산소와 수소 중에서 상기 산소가 애노드층측의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확산되고, 캐소드층측의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산소 저감실의 산소와 상기 수소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반응에 의해 물을 생성하여 산소 저감을 실시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층측의 고정부재측의 상기 개구부는 단책형상인 냉장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저감실로부터의 산소만이 상기 산소 저감 장치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사이에 밀폐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이 적어도 상기 제2 집전체와 상기 캐소드층의 각 외주측면을 덮는 패킹인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이 상기 제1 집전체, 상기 애노드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캐소드층, 상기 제2 집전체의 각 외주측면을 덮는 패킹인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와 상기 제1 집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발수층,
    상기 제2 집전체와 상기 캐소드층측의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발수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애노드층측에서 보아, 상기 제1 발수층, 상기 급수부, 상기 제1 집전체, 상기 애노드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캐소드층, 상기 제2 집전체, 상기 제2 수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저감실은 야채실내에 설치된 별도의 폐쇄된 방이고,
    상기 산소 저감실에 수납되는 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검출하는 CO2 센서,
    상기 CO2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산소 저감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에 통전을 개시하는 제어 또는 통전 전류값을 크게 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산소 저감 장치의 저면의 물 유지부로부터 급수하는 급수체인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지부에는 냉장용 증발기로부터 발생한 제상수가 정수되어 고이는 냉장고.
  11. 적어도 냉장실, 야채실, 냉동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내에 설치된 용기 수납부,
    상기 용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그 전방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산소 저감 용기,
    상기 산소 저감 용기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산소 저감 용기내에 수납되는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검출하는 CO2 센서,
    상기 용기 수납부의 후방 개구부에 부착되고, 상기 용기 수납부내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산소 저감 장치, 및
    상기 CO2 센서가 상기 이산화탄소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산소 저감 용기가 밀폐된 상태인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산소 저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용기 수납부내의 산소를 감소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용기 수납부내의 산소농도를 10% 이하로 낮추지 않는 냉장고.
KR1020130024783A 2012-07-17 2013-03-08 냉장고 KR101505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8766A JP6071292B2 (ja) 2012-07-17 2012-07-17 冷蔵庫
JPJP-P-2012-158766 2012-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869A KR20140010869A (ko) 2014-01-27
KR101505721B1 true KR101505721B1 (ko) 2015-03-24

Family

ID=4996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783A KR101505721B1 (ko) 2012-07-17 2013-03-08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71292B2 (ko)
KR (1) KR101505721B1 (ko)
CN (1) CN1035426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2586B2 (ja) * 2012-07-17 2017-12-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減酸素装置
JP6262005B2 (ja) * 2014-02-06 2018-01-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減酸素装置、及び、冷蔵庫
JP6419439B2 (ja) * 2014-03-04 2018-11-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貯蔵庫
DE102014213810A1 (de) * 2014-07-16 2016-01-2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Sauerstoffvorrichtung mit einem entnehmbaren Behälter
RU2018133473A (ru) * 2016-02-23 2020-03-24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рчи грудного молока in situ
CN107062744A (zh) * 2016-12-09 2017-08-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8332480A (zh) * 2017-12-22 2018-07-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CN108278823B (zh) * 2017-12-22 2021-08-24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冰箱
JP6712301B2 (ja) * 2018-10-10 2020-06-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貯蔵庫
CN111059829B (zh) * 2019-10-31 2020-11-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3007944A (zh) * 2019-12-18 2021-06-22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冰箱
CN113446805A (zh) * 2020-03-24 2021-09-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储物容器和冰箱
CN115839598A (zh) * 2021-09-18 2023-03-2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21A (ja) * 1995-07-06 1997-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酸素装置
JP2005207690A (ja) * 2004-01-23 2005-08-04 Toshiba Corp 冷蔵庫
KR20100062113A (ko) * 2008-12-01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7869A (ja) * 1996-04-18 1997-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素濃度調整機能付き冷蔵庫
JP4277385B2 (ja) * 1999-10-01 2009-06-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02080984A (ja) * 2000-09-11 2002-03-22 Matsushita Refrig Co Ltd 電解式オゾン発生装置
JP2002105681A (ja) * 2000-10-05 2002-04-10 Matsushita Refrig Co Ltd 電解式オゾン発生装置
JP3901457B2 (ja) * 2001-02-06 2007-04-04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電極−膜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723119B2 (ja) * 2001-11-09 2005-1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膜水電解装置におけるスタック構造及び該装置に使用される固体高分子膜
JP2004293827A (ja) * 2003-03-25 2004-10-21 Toshiba Corp 冷蔵庫
JP2005300004A (ja) * 2004-04-09 2005-10-27 Toshiba Corp 冷蔵庫
CN101368781B (zh) * 2007-08-13 2010-11-03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一种保鲜冰箱
JP2010144992A (ja) * 2008-12-18 2010-07-01 Panasonic Corp 保管庫
JP2010210170A (ja) * 2009-03-11 2010-09-24 Panasonic Corp 酸素濃度調整手段および保管庫
JP2010243103A (ja) * 2009-04-08 2010-10-28 Panasonic Corp 食品保存空間の酸素濃度調整方法
JP5349386B2 (ja) * 2010-03-26 2013-11-20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2012037202A (ja) * 2010-08-11 2012-02-23 Toshiba Corp 食品の貯蔵方法
JP5694707B2 (ja) * 2010-08-11 2015-04-0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2012052202A (ja) * 2010-09-02 2012-03-15 Tokyo Metropolitan Univ 電解セル用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素製造装置
JP2012083081A (ja) * 2010-10-14 2012-04-26 Toshiba Corp 冷蔵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21A (ja) * 1995-07-06 1997-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酸素装置
JP2005207690A (ja) * 2004-01-23 2005-08-04 Toshiba Corp 冷蔵庫
KR20100062113A (ko) * 2008-12-01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71292B2 (ja) 2017-02-01
CN103542659A (zh) 2014-01-29
CN103542659B (zh) 2016-01-20
JP2014020647A (ja) 2014-02-03
KR20140010869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721B1 (ko) 냉장고
KR101572716B1 (ko) 냉장고 및 산소 저감 장치
KR101694050B1 (ko)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
KR20150120309A (ko) 냉장고
JP2014020722A (ja) 冷蔵庫
TWI534400B (zh) 減氧系統
JP6242586B2 (ja) 減酸素装置
JP6013046B2 (ja) 冷蔵庫
JP6226708B2 (ja) 減酸素装置と冷蔵庫
KR101844163B1 (ko) 냉장고
JP6338875B2 (ja) 食品貯蔵庫
JP6203001B2 (ja) 減酸素装置
JP5974319B2 (ja) 冷蔵庫
JP6192971B2 (ja) 冷蔵庫
JP6419439B2 (ja) 貯蔵庫
CN217083028U (zh) 一种冰箱
JP6203000B2 (ja) 減酸素装置と冷蔵庫
JP6498876B2 (ja) 減酸素装置、及び、冷蔵庫
JP6262005B2 (ja) 減酸素装置、及び、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