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455A - 록킹 장치, 차량용 안전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록킹 장치, 차량용 안전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455A
KR20160040455A KR1020157032781A KR20157032781A KR20160040455A KR 20160040455 A KR20160040455 A KR 20160040455A KR 1020157032781 A KR1020157032781 A KR 1020157032781A KR 20157032781 A KR20157032781 A KR 20157032781A KR 20160040455 A KR20160040455 A KR 20160040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strap
swing rod
ratchet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480B1 (ko
Inventor
잉위 쑨
Original Assignee
잉위 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잉위 쑨 filed Critical 잉위 쑨
Publication of KR2016004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60R22/185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the means being sensitive to belt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21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locking the belt reel in a non-use position, e.g. for seat mounted retractor when the seat is in a non-locke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uck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록킹 장치, 차량용 안전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안전벨트. 이동형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록킹 장치는, 지지프레임; 마찰면 또는 스프라켓 피치 슬롯(64) 구비 롤 샤프트(6)로서, 이 롤 샤프트(6)는 지지 로드(66)에 고정 연결되고, 지지 로드(66)의 일 단부는 지지 프레임 상에 선회가능하게끔 연결되고; 롤 샤프트 상에 배치되고 일 단부 주변으로 회전가능한 폴(62); 및 횡방향을 따라 롤 샤프트(6)에 대향하는 가압체(3)로서 롤 샤프트(6) 및 가압체(3) 사이에 롤 갭을 형성한다. 롤 샤프트(6)는 롤 샤프트(6)가 중앙 상태에 있을 때 회전가능할 수 있다. 롤 샤프트(6)는, 접촉 베이스(65)에 배치된 래칫이 롤 샤프트(6)의 래칫(6302)과 맞물려 롤 샤프트(6)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을 때까지 하방으로 선회하는 경우, 대상물(71)이 록킹될 수 있다. 롤 샤프트(6)는, 롤 샤프트(6)의 래칫(6302)이 폴에 맞닿을 때까지 상방으로 선회하는 경우 롤 샤프트(6)는 여전히 회전할 수 있으며; 대상물(71)이 방향을 변경하여 하방으로 움직일 때, 폴(62)은 롤 샤프트(6)의 래칫(6302)와 맞물려 롤 샤프트(6)의 회전을 방지하고 롤 샤프트(6)가 하방으로 선회함에 따라 롤 샤프트(6)의 래칫(6302)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가압체(3)는 서로 힌지 연결된 일 단부를 갖는 한쌍의 스윙 로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부러질 수 있다.

Description

록킹 장치, 차량용 안전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안전벨트 {Locking Apparatus, Vehicle Safety Belt Adjustment Apparatus, and Vehicle Safety Belt}
본 발명은 록킹 장치, 차량용 시트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산업용 생산 공정에서, 이동형(movable)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object)의 움직임 및 록킹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성능을 구비한 록킹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상존해 왔다.
또한 대부분의 장치에서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엘레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레베이터의 구동 및 정지시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즉각적인 정지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예에서, 배의 계선 케이블(mooring cable) 또는 앵커 체인은 대부분 롤러에 의해 감아 올려져 말아 넣게 되며, 케이블 또는 앵커 체인의 록킹을 빠르게 해제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예를 들어 차량용(예를 들어 자동차) 시트벨트는 큰 관심을 받는 부품이며, 시트벨트의 스트랩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시트벨트에 의해 유발되는 사용자의 압박감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시트벨트를 좋아하지 않으며, 심지어 되도록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려 한다. 심하게는, 시트벨트 착용에 관한 강제 체크에 대응하여 일부 사용자들은 자신의 재량으로 시트벨트의 기능 중 일부를 변경하여 시트벨트의 스트랩이 자신의 몸을 느슨하게 감싸도록 조절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사용자들은 스트랩이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차량 몸체에 딱딱한 수단으로 스트랩을 고정함으로써 자신의 몸에 대한 압박감을 해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들은 시트벨트의 보호 기능에서 위험성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PCT 출원 WO2012/026062호에서 차량용 시트벨트 조절장치를 이미 개시한 바 있다. 이 조절 장치는 제1 스윙 로드와 제2 스윙 로드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 스윙 로드 및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인접 단부들이 같이 힌지되어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정지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하지 않은 다른 단부는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이 변함에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 스윙 로드 및/또는 제2 스윙 로드 및/또는 스윙 로드들의 힌지 포인트에 힘을 가하여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변경시킴으로써, 이동형 비인접 단부를 통해 시트벨트의 스트랩에 가변 힘을 직접 가하게 된다. 실제 규정 사항에 따르면, 조절 장치는 비인접 단부가 스트랩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최대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그 결과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일 때 스트랩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액츄에이터는 관성추에 해당한다.
상기 특허 출원 WO2012/026062호에 개시된 조절장치는 더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형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인 성능을 갖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쳇으로 롤러 샤프트를 빠르게 잠금해제할 수 있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용 시트 벨트의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무압박감"을 제공하고, 빠르고 확실하게 구동되며,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시트 벨트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무압박감"을 제공할 수 있고, 빠르고 확실하게 구동되며,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차량용 시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형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제어하기 위한 록킹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장착용 지지 프레임 래칫을 구비하고 축 방향으로 적어도 길이의 일부를 따라 마찰면 또는 스프라켓 피치 그루브를 구비하며, 축 주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선회하게끔 연결된 지지 로드의 일 말단과 고정 연결된, 마찰면 또는 스프라켓 피치 그루브 구비 롤러 샤프트; 롤러 샤프트 상부에 위치하며 일 단부 주변으로 선회할 수 있는 폴(pawl); 및,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으로 상기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는 가압체(pressing body)를 구비하고,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롤러 갭이 상기 롤러 샤프트 및 상기 가압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체는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에 힘이 가해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롤러 샤프트는 가압체 및 대상물로부터의 압력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일 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하방으로 움직이고, 가압체가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압박하여 롤러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게 될 때,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접촉 베이스 상의 래칫이 상기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과 맞물릴 때까지 롤러 샤프트가 지지 로드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함으로써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클램핑 및 록킹되며;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가압체가 이들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잠금해제할 때, 롤러 샤프트 상부의 래칫이 폴에 맞닿을 때까지 롤러 샤프트는 지지 로드를 따라 상방으로 선회하고;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움직여 하방으로 이동할 때 폴은 상기 롤러 샤프트 상부의 래칫과 맞물리게 되어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며, 롤러 샤프트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함으로써 상기 롤러 샤프트 상부의 래칫으로부터 맞물림 해제(disengage)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는 가압체의 단부는 아크-형상이며, 그 결과 상방 또는 하방 선회 동작(pivoting) 및 록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롤러 샤프트를 보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은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이는 사전 인가된 하방 압력을 폴에 가하게 된다.
상술한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는 상이한 상태로 유연하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롤러 갭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조절하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래칫을 구비하고 그 축 주변을 회전할 수 있는 롤러 샤프트; 및, 결합부 및 록킹부를 구비하며, 이 결합부의 일 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록킹부의 일 단부에 힌지되며, 이 록킹부의 다른 단부가 래칫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를 록킹하는 폴; 및 롤러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 샤프트를 놓아 주게끔 폴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폴이 롤러 샤프트로부터 빠르게 맞물림 해제되도록 힌지 포인트에서 상기 폴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빠르게 구부릴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 샤프트는 가요성(flexible)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감아 올리고 풀어주는 구조를 가지며, 롤러 샤프트가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주도록 회전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는 힌지 포인트에서 폴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빠르게 구부릴 수 있으며, 그 결과 폴은 상기 롤러 샤프트로부터 빠르게 맞물림해제된다.
상기 록킹 장치는 래칫 구비 롤러 샤프트를 빠르게 풀어줄 수 있으며, 이는 폴의 록킹을 빠르게 해제하는 것이 필요한 장치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용 시트 벨트 조절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장착용 지지 프레임; 래칫을 구비하고, 그 축 방향으로 적어도 길이의 일부를 따라 마찰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 지지 로드 일 단부와 고정 연결된, 마찰면 구비 롤러 샤프트; 롤러샤프트 상부에 배치된 폴;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로 이루어진 한쌍의 지지 스윙 로드를 구비하는 가압체로서,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인접한 단부는 함께 힌지되어 스윙 로드 사이에 끼인각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비인접 일단부는 정지 상태로 고정되며, 다른 비인접 단부는 상기 스윙 로드 사이의 끼인각이 변함에 따라 이동하고, 횡방향으로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며, 그리고 시트 벨트의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는 롤러 갭은 롤러 샤프트 및 다른 비인접 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1 스윙 로드 및/또는 제2 스윙 로드 및/또는 상기 스윙 로드 사이의 힌지 포인트에 힘을 가하여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다른 비인접 단부에 의해 가해진 스트랩 록킹용 힘을 완화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스윙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 수직 각도로 정렬된 상태인 경우, 스트랩을 클램핑 및 록킹하기 위하여 다른 비인접 단부는 롤러 갭을 최소화시켜 상기 스트랩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스윙 로드 사이의 끼인각이 작은 힘 시그널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를 통해 변하는 경우, 다른 비인접 단부는 상기 스트랩을 놓아줄 수 있게 있다. 여기서, 롤러 샤프트는 가압체로부터의 압력과 스트랩으로부터의 압력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일 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스트랩이 리트랙터의 작용하에 하방으로 움직이고 다른 비인접 단부가 상기 스트랩에 압력을 가하여 롤러 샤프트에 압력을 가할 때,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접촉 베이스 상의 래칫이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과 맞물릴 때까지 롤러 샤프트가 지지 로드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함으로써 스트랩은 클램핑 및 록킹되며; 스트랩이 상방으로 당겨져 이동하고 다른 비인접 단부가 스트랩을 놓아줄 때,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이 롤러 샤프트 상에 배치되어 그 축 주변을 선회할 수 있는 폴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롤러 샤프트는 지지 로드를 따라 상방으로 선회하고; 리트랙터의 작용 하에 스트랩이 움직여 하방으로 이동할 때, 폴은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과 맞물리게 되어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고 롤러 샤프트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함으로써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으로부터 또한 맞물림해제(disengage)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는 제1 스윙로드 상부 및/또는 제2 스윙 로드 상부 및/또는 이 스윙 로드들 사이의 힌지 포인트에서 장착된 관성추이며; 바람직하게는, 이 관성추는 디스크-형상 물체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 관성추는 중앙부 장착 샤프트 주변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록킹 장치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트리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트리거는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를 작동시켜 180°로부터 벗어나게 함으로써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들어가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거는 링크 바 구조체 및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이 링크 바 구조체의 일 단부는 선회 가능하게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트랩에 맞닿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다른 단부가 스트랩에 사전 인가된 압력을 가하게 한다. 또한, 상기 링크 바 구조체는 관성 추(weight)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이 돌출부는, 상기 링크 바 구조체가 소정 각도로 선회할 때 상기 관성 추를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밀어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성 추의 원주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밀어 가압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관성 추를 밀지 않으며, 이때 시트 벨트 사용자는 단지 0-0.1lb 압력만을 감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는 비인접 단부의 팁 부분은 아크-형상이며, 그 결과 상방 또는 하방 선회 동작 및 록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롤러 샤프트를 보조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폴은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이는 사전 인가된 하방 압력을 상기 폴에 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절 장치는 스트랩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슬릿을 더 구비하며, 이 슬릿은 롤러 갭으로부터 이격되어 롤러 갭 상부에 배치되고, 그 결과 스트랩은 슬릿과 롤러 갭 사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를 구비하는 가압체의 주 평면은 수평면으로부터 10°내지 80°사이, 바람직하게는 60°, 65°, 70° 또는 75°의 각도로 경사지며; 다른 비인접 단부는 롤러 샤프트에 인접함으로써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에 이를 때까지 점차 감소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체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구조의 스윙 로드 캐리지, 가압 블록, 및 횡방향 부재(transverse member)를 더 구비하고,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구조를 갖는 스윙 로드 캐리지는 서로에게 대략적으로 평행한 두개의 길이 방향 벽을 구비하며, 각 길이 방향 벽의 상단부에는 슬롯 형상 홀이 배치되고;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비인접 일단부는 선회가능하게끔 횡방향 부재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다른 비인접 단부는 슬롯 형상 홀에 대향하는 쪽에서 스윙 로드 캐리지의 횡방향 벽에 선회가능하게끔 연결되고; 가압 블록은 횡방향 벽에 회전가능하게끔 연결되고 롤러 샤프트와 함께 동작하여 롤러 갭을 형성하며; 횡방향 부재의 두 단부는 슬롯 형상 홀을 통과하여 지지 프레임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 사이의 끼인각이 변할 때 스윙 로드 캐리지는 가압 블록을 이송시켜 슬롯 형상 홀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압체는 스윙 로드 캐리지 상에 배치되고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 밸런스 상태로 돌아가게끔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체는 지지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로(slideway)를 더 구비하며, 그 하단부는 주평면과 16° 및 40° 사이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30°의 각도를 가지고 그 결과, 가압 블록의 후면은 스윙 로드 캐리지 및 가압 블록으로 구성된 어셈블리의 주평면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가압 블록의 후면은 슬라이드로 및 슬라이드의 하단부 상에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체는 힌지 포인트에 배치되고,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 밸런스 상태로 돌아갈 때 힌지 포인트를 멈추게 하도록 구성된 정지부를 구비하며, 그 결과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 사이에서 힌지된 부분은 어느 정도까지 과도한 지지력을 받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는 대략적으로 서로에게 평행인 두개의 길이 방향 벽에 경사지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 장치는 탄성 압축 요소를 더 구비하며, 이는 시트 쪽에 고정된 시트 벨트의 락 몸체(lock body)에 배치되거나, 또는 시트 벨트의 버클 부분으로서 구성되고, 그 결과, 그/그녀가 버클을 락 몸체쪽으로 체결한 후 탄성 압축 요소를 사용자가 눌러줌으로써 10-60mm 까지 락 몸체 및 버클을 하방으로 압박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탄성 압축 요소는 자동적으로 리셋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압축 요소는 하우징, 스프링, 및 연결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연결 로드의 일단부는 락 몸체 또는 버클에 고정 연결되며, 연결 로드의 일부는 하우징의 홀을 통과하여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연결 로드는 스프링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압축 요소는 탄성 댐핑 부재를 더 구비하며, 그 결과 이 탄성 압축 요소는 시트 벨트의 스트랩이 큰 장력을 받을 때 감쇠 방식으로 신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밀폐형으로서 주변 대기에 배기하기 위한 작은 홀만을 구비하며, 그 결과 연결 로드는 하방 압력을 받은 후 느리게 리셋되는 것만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로드는 밀봉 요소를 사용하여 하우징의 내벽에 대해 밀봉하는 꼬리 정지부를 구비하며, 이 꼬리 정지부는 스프링과 맞닿게 되고, 상기 꼬리 정지부의 외부 직경은 근처에 있는 지지 로드의 외부 직경보다 크며, 상기 꼬리 정지부는 쓰루홀을 구비하고, 그 결과 상기 스프링을 수납하는 공간은 상기 쓰루홀을 거쳐 외부 대기로 배기하는 유일한 공간이며, 그에 따라 상기 연결 로드는 하방으로 가압된 후 느리게 리셋되는 것만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벨트는 서스펜더를 더 구비하며, 이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랩이 통과하고 스트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벨트는, 차량에 부착되어 탑승자 어깨 근처의 시트 벨트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서스펜더와, 시트 쪽에서 시트 하부 근처에 배치되어 시트 벨트를 안으로 들어가게끔 구성된 리트랙터를 구비하며; 조절 장치는 서스펜더와 리트랙터 사이의 어떤 위치에나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트랙터의 상부에 직접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은 리트랙터의 일부이며, 따라서 조절 장치는 상기 리트랙터에 통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절 장치는 리트랙터를 더 구비하며, 지지프레임은 스트랩의 개구부에서 상기 리트랙터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지지 프레임은 리트랙터 하우징의 통합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절 장치가 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장착되는가에 따라 좌측 조절 장치 또는 우측 조절 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용 시트 벨트를 제공하며, 상술한 리트랙터 및 조절 장치를 구비하고, 이 조절 장치는 서스펜더와 리트랙터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조절 장치의 장착 프레임은 리트랙터의 일부이며, 그에 따라 상기 조절 장치는 리트랙터에 통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리트랙터의 코일 스프링은 가변 단면적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은 변형 정도와 무관하게 본질적으로 동일한 탄성을 가지며, 그 결과 시트벨트의 스트랩이 풀리거나 감길 때 시트 벨트는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동일한 작용력을 받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코일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를 갖지만 길이 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하는 폭(width)을 가지거나 또는 코일 스프링의 코일 플레이트는 동일한 폭을 갖지만 길이 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하는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는 이론적으로 매우 높은 스윙 로드 힘을 사용하여 스트랩을 록킹할 수 있지만, 또한 작은 힘의 신호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쉽게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 및 시트벨트는 스트랩의 당김 및 늘어짐 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심지어 사용자가 "무압박감"의 시트벨트를 몸에서 느끼게 할 수도 있다. 실제 적용시 특히 중요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가 빠르고 확실하게 구동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는 사용하기 쉽고 간단하며, 일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1 구현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에서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B, 2C 및 2D는 롤러 샤프트의 래칫을 통과하는 단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중립 상태, 하방 맞물림 상태, 및 상방 맞물림 상태의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 내 롤러 샤프트를 각각 도시한다.
도 3은 다른 시야각에서 관찰한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롤러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폴의 사전 인가(preload) 스트링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롤러 샤프트의 몸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롤러 샤프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접촉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2 구현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조절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한 조절 장치의 전면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한 조절 장치의 후면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7 및 18은 도 12에 도시한 조절 장치 내 가압체에 대한 사시도이며, 각각의 스윙 로드들에 대한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9는 스윙 로드들을 조절 장치 내 가압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횡방향 부재의 몸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조절 장치 내 가압체에 위치한 제1 스윙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조절 장치 내 가압체에 위치한 제2 스윙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조절 장치 내 가압체에 위치한 스윙 로드 캐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3 및 24는 조절 장치 내 가압체에 위치한 두가지 상이한 형태의 슬라이드로의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27은 조절 장치의 트리거용 링크 바 구조체의 세가지 서로 다른 형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조절 장치 내 가압체의 사시도이다.
도 29A, 29B 및 29C는 세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링크 바 구조체 및 관성 추 사이의 접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리트랙터 내 코일 스프링을 곧게 핀 개략도이다.
도 31은 탄성 압축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탄성 압축 요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구현예들은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이며,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제공된다. 이러한 모든 구현예들은 설명을 위해 예시되며, 본 발명의 구현예 및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내용을 근거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예 외에 다른 자명한 기술적 사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예에 자명한 변형, 치환 및 조합을 하여 얻어지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 본발명에서 보호하기 위해 청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1 구현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1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구현예의 록킹 장치는 이동형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6), 가압체(3), 및 지지 플레이트(5)를 구비한다.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6)은 지지 플레이트(5)에 장착되며, 가압체(3)와 함께 작동하여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이 통과할 수 있는 롤러 갭을 형성한다. 상기 가압체(3)는 횡방향으로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며, 그 좌측면은 상기 롤러 샤프트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가압체(3)는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을 통해 롤러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그 결과 체인, 스트립또는 벨트 몸체(71)를 잠그거나 풀어주게 된다. 본 구현예에서, 가이드 슬릿(51)은 지지 플레이트(5)에 배치되어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게 된다.
도 2A,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6)은, 롤러 샤프트의 몸체(63) 및 마찰면 또는 스프라켓 핏치 그루브(64)를 구비하는 롤러 샤프트; 폴(62); 폴의 꼬임 스프링 (61); 롤러 샤프트의 지지 로드(66); 배치(positioning) 플레이트(67); 및 접촉 베이스(65)를 구비한다. 도 4는 롤러 샤프트의 단면도이며, 도 5-9는 폴의 꼬임 스프링(61), 폴(62), 롤러 샤프트 몸체(63), 롤러 샤프트의 지지 로드(66), 및 접촉 베이스(65)를 각각 별도로 도시한다.
상기 롤러 샤프트의 마찰면은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체인 호이스트(hoist)의 체인과 같이, 인접한 환형 체인 링크를 90°의 각도에서 끝과 끝을 붙여(end-to-end) 서로 연결한 일부 체인 대상물의 경우, 롤러 샤프트 상의 마찰면 대신 스프라켓 핏치 그루브가 보다 우수한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스프라켓 핏치 그루브는 체인의 체인 링크를 매칭시켜 별도의 체인 링크와 안정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롤러 샤프트 상의 라쳇(6302)은 라쳇(6302) 양쪽 면에 배치된 마찰면(64)과 함께 롤러 샤프트 몸체(63)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상기 마찰면(64)은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마찰성 물질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마찰면(64)은 예를 들어 오톨도톨한 표면일 수 있다. 상기 마찰면(64)은 롤러 샤프트 몸체(63) 상부에 도포된 마찰층이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몸체(63)에 고정된 중공형 페럴(hollow ferrule)일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 샤프트는 축방향에서 그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마찰면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롤러 샤프트는 그 축 주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샤프트(68)를 통해 지지 로드(66)에 고정 연결되고, 이 지지로드의 일단부는 선회가능하게끔(pivotally) 접촉 베이스(65)에 연결된다. 상기 접촉 베이스(65)는 지지 플레이트(5) 상부에 장착되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샤프트 홀을 구비하고, 중앙부에 라쳇을 구비하며, 이는 롤러 샤프트 상의 라쳇(6302)과 매칭된다. 상기 지지 로드(66)는 샤프트 홀에 장착된 피봇 샤프트를 통해 접촉 베이스(6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폴(62) 및 꼬임 스프링(61)도 피봇 샤프트에 장착된다.
본 구현예에서, 롤러 샤프트의 몸체(64)는 샤프트(68)를 수납하기 위한 중앙 샤프트 홀을 구비하며, 롤러 베어링(69)은 샤프트 홀 및 샤프트 사이에 제공되어 마찰을 감소시키고, 보다 부드러운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68)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촉 베이스(65)의 샤프트 홀에 장착된다.
도 2B, 2C 및 2D는 롤러 샤프트의 래칫을 통과하는 단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중립 상태, 하방 맞물림 상태, 및 상방 맞물림 상태의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 내 롤러 샤프트를 각각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폴(62)은 롤러 샤프트 상부에 배치되며, 일 단부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상기 폴이 롤러 샤프트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 폴의 하부는 접촉 베이스 상의 스텝과 맞닿게 되고, 그 결과 폴은 하방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폴(6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꼬임 스프링(61)으로부터 사전 인가된 하방 압력을 받게 되며, 꼬임 스프링(61)의 스프링 코일은 피봇 샤프트에 오버 핏팅된다.
도 2A, 2B 및 3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때 롤러 샤프트는 외부 힘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로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롤러 샤프트의 지지로드(66) 상부의 돌출부는 탄성 플레이트(67)와 맞닿게 되며, 그 결과 롤러 샤프트 및 롤러샤프트의 지지 로드는 탄성 플레이트에 의해 정지되어 지지 로드(66)를 통해 선회할 수 있는 롤러 샤프트가 접촉 베이스(65)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즉 롤러 샤프트 상부의 라쳇이 접촉 베이스 상의 라쳇과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폴(62)의 하부가 접촉 베이스(65) 상의 스텝과 맞닿아 정지하기 때문에, 폴(62)은 롤러 샤프트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롤러 샤프트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은 롤러 갭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2C 참조.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압체(3)가 상기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에 압력을 가하여 마찰면(64)의 시너지 작용하에 롤러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접촉 베이스(65) 상의 라쳇이 롤러 샤프트 상의 라쳇(6302)과 맞물려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할 때까지 상기 롤러 샤프트 및 지지 로드는 탄성 플레이트(67)의 스프링 힘을 극복하여 함께 하방으로 선회하게 되며, 그 결과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은 클램핑 및 록킹된다.
도 2D 추가 참조. 탄성 플레이트(67)의 복원력 하에, 상기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압체(3)가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을 놓아주면, 롤러 샤프트는 상방으로 이송되어 접촉 베이스(65) 상부의 라쳇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됨으로써 롤러 샤프트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찰면과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롤러 샤프트 상의 라쳇(6302)이 폴(62)과 맞닿을 때까지 상기 롤러 샤프트는 지지로드를 따라 상방으로 선회하게 되며; 이어서 지지 로드(66)가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의 하우징과 맞닿을 때까지 롤러 샤프트 및 지지 로드는 함께 상방으로 선회하게 된다. 그러나, 롤러 샤프트가 라쳇(6302) 및 폴(62) 사이의 맞물림을 발생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롤러 샤프트는 여전히 그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현재,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움직이면, 롤러 샤프트는 마찰면(64) 및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롤러 샤프트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폴(62)은 롤러 샤프트 상의 라쳇(6302)과 맞물려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그 결과 롤러 갭 내의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은 롤러 샤프트를 따라 하방으로 빠르게 선회하게 된다.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이 움직여 하방으로 이동하면, 가압체(3)는 롤러 샤프트 쪽으로 이동하여 롤러 갭을 감소시키며,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은 도 2B에 도시한 록킹 상태로 변하여 록킹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에 따라, 본 구현예에 따른 록킹 장치는 다른 상태로 유연하고 부드럽게 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롤러 갭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이동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의 이동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빠르고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통상 롤러 갭은 되도록 작아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는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에 의해 제공된 부드러운 상태 전환 특성을 사용하여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71)을 빠르고 정확하게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는 가압체의 단부는 아크-형상이며, 그 결과 상방 또는 하방 선회 동작 및 록킹 동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롤러 샤프트를 보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I.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2 구현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제2 구현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록킹 장치는 롤러 샤프트 및 폴을 구비하며, 상기 롤러 샤프트는 중앙 축 주변을 회전하며 라쳇(601)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폴은 연결부(603) 및 잠금부(602)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603)의 일단부는 선회가능하게끔 피봇 포인트에 고정되고, 연결부(603)의 다른 단부는 잠금부(602)의 일단부에 힌지되며, 잠금부(602)의 다른 단부는 라쳇(601)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롤러 샤프트를 록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록킹 장치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며, 폴이 롤러 샤프트를 놓아주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폴의 힌지 포인트를 빠르게 구동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힌지 포인트에서 상기 연결부(603) 및 잠금부(602)를 구부러지게 하며, 그에 따라 연결부(603)의 일단부가 상기 피봇 포인트에 선회가능하게끔 고정되어 선회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힌지 포인트가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폴은 롤러 샤프트로부터 매우 빠르게 맞물림 해제된다.
상기 연결부(603) 및 잠금부(602)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180°에서 연결된다. 이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연결부(603) 및 잠금부(602) 사이에서 힌지된 부분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지만, 접는 칼과 같이 안으로 구부러지는 것만 가능하다. 하지만, 분명히 상기 연결부(603) 및 잠금부(602) 사이의 연결각은 대략 180°로 한정되지 않으며; 즉, 180°보다 작은 각, 예를 들어 170° 또는 160°등을 선택할 수 있다.
라쳇을 사용하는 록킹 장치는 산업용 장비에서 폭넓게 채용된다. 예를 들어, 현재 엘레베이터 시스템에서, 즉각적인 정지 조절을 실현하기 위해 통상의 폴 구조체를 사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롤러 샤프트 제어에는 샤프트 그립핑 방법이 통상 사용된다. 그러나 샤프트 그립핑 방법은 신뢰할 수 없는 샤프트 그립핑으로 인한 엘레베이터 미끄러짐 또는 심지어 사상 사고와 같은 위험한 시나리오를 유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자면, 배의 계선 케이블 또는 앵커 체인의 경우, 계선 케이블 또는 앵커 체인을 감아 올려 롤러 샤프트를 잠그는 것은 쉽지만, 이 계선 케이블 또는 앵커 체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제2 구현예에서 기술된 록킹 장치는 롤러 샤프트를 빠르게 잠금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록킹 장치는 폴을 빠르게 잠금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매우 효율적이다.
III. 차량용 시트 벨트 조절 장치의 구현예
도 11은 본 발명에서 개시된 시트 벨트를 도시하며, 차량 내 개별 시트에 장착된 통상의 3점식 시트 벨트로서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시트 벨트는 스트랩(71); 탑승자 어깨 근처에서 차량 몸체 상부에 고정된 서스펜더(8); 버클 및 락 몸체를 구비하며, 시트의 한쪽에서 차량 몸체의 하부에 고정된 버클락(9); 시트의 다른 쪽에서 차량 몸체의 하부에 고정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7); 및 리트랙터(7)의 스트랩 개구부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를 구비한다.
본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가 리트랙터(7)의 스트랩 개구부에 배치되지만,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서 개시된 조절 장치는 서스펜더(8) 및 리트랙터(7)의 스트랩 개구부 사이의 어느 위치에나 장착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 장치는 서스펜더(8) 및 리트랙터(7)의 스트랩 개구부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 서스펜더(8) 근처에 배치, 또는 서스펜더(8)와 함께 직접 장착 또는 서스펜더(8)와 함께 어셈블리 내에 통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서스펜더(8)는 서스펜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조절장치와 함께 서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용 지지 프레임 (후에 상술함)은 리트랙터 하우징의 통합부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조절 장치는 리트랙터(7) 내에 통합된다. 다른 구현예로서, 조절 장치용 지지 프레임이 스트랩 개구부에서 리트랙터(7)에 장착되거나 리트랙터 하우징의 통합부라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는 리트랙터(7)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도 12는 리트랙터(7) 상에 장착된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상기 조절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4는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 사이의 힌지 포인트 및 롤러 샤프트의 라쳇을 통과하는 단면선을 따라 취해진,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상기 조절 장치의 전면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조절 장치의 후면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17 및 18은 상기 스윙 로드가 상이한 상태에 있을 때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의 조절장치는, 롤러(11), 링크 바 구조체(12), 및 텐션 스프링(13)을 구비하는 트리거(1); 관성 추(2); 가압체(3); 지지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며 전면 커버(41) 및 후면 커버(42)를 구비하는 하우징(4); 스트랩의 경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리트랙터(7)에 장착되는 지지 플레이트(5); 및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6);을 구비한다.
본 구현예에서, 상기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6)은 록킹 장치의 제1 구현예에서 기술한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6)과 동일한 구조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 샤프트 메카니즘(6)의 구조는 본 구현예에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가압체(3)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3, 14, 17 및 18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도 19-22는 가압체(3)의 각 성분을 별도로 도시한다. 상기 가압체(3)는,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 횡방향 부재(31);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스윙 로드 캐리지(36); 스윙 로드 캐리지(36)에 결합된 슬라이드로(34); 및 가압 블록(37)을 구비한다.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는 한쌍의 지지 스윙 로드를 구성하며,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인접 단부는 서로 힌지되어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형성한다. 상기 스윙 로드 캐리지(36)는 대략적으로 서로에게 평행한 두개의 길이방향 벽을 구비하며, 각각의 길이 방향 벽의 상단부에 슬롯 형태 홀이 존재하고;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의 비인접 상단부는 회전가능하게끔 횡방향 부재(31)에 연결되며(도면에서 횡방향 부재(31)의 중앙부에 연결), 비인접 하부는 상기 슬롯 형태 홀에 대향하는 쪽에서 스윙 로드 캐리지의 횡방향 벽에 회전가능하게끔 연결된다. 가압 블록(37)은 횡방향 벽에 회전가능하게끔 연결되어 롤러 샤프트와 함께 작동함으로써 롤러 갭을 형성한다. 횡방향 부재(31)는 몸체 및 핀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는 핀 샤프트가 통과하도록 횡방향으로 쓰루홀을 구비하며, 핀 샤프트의 두 단부는 슬롯 형태 홀을 통과하여 슬라이드로(34)의 측벽에 각각 고정된다.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 사이의 끼인각이 변하는 경우, 스윙 로드의 비인접한 두개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되며, 그 결과 스윙 로드 캐리지(36)는 가압 블록(37)을 이송시켜 슬롯 형태 홀을 따라 슬라이드로(34)에서 앞뒤로 움직이게 된다. 두 스윙 로드의 비인접 단부 사이의 거리는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가 서로에게 180°일 때 최대가 된다.
상기 도면에서, 관성추(2)는 디스크 형태를 갖는 물체이며, 스윙 로드 사이의 힌지 포인트에서 핀 샤프트(24)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관성추(2)는 제1 스윙 로드 또는 제2 스윙 로드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시 다른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관성추(2)의 목적은 제1 스윙 로드 및/또는 제2 스윙로드 및/또는 스윙 로드 사이의 힌지 포인트에 힘을 가하여 차량이 빠르게 감속하거나 경사질 때 큰 관성 추의 덕분으로 스윙 로드 사이의 끼인각을 변화시킴으로써, 가압 블록(37)에 의해 상기 스트랩에 인가된 스트랩 록킹용 힘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관성추(2)의 목적은 PCT 출원 WO2012/026062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성추(2)는 몸체(21) 및 몸체의 바닥면과 주변을 감싸는 인클로저(22)를 구비하며, 상기 관성추(2)는 그 중앙 핀샤프트(24) 주변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몸체(21)는 납, 철, 또는 다른 금속 또는 합금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클로저(22)는 비금속 물질인 플라스틱 또는 나일론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져 몸체(21)를 보호하고 몸체(21)의 표면을 변형시킴으로써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몸체(21) 부분의 물성을 개질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관성추(2)의 작동(trigger) 감도는 수평 방향과 관련된 경사도를 조절하여 제어하며, 가압체(3)에 위치하는 스윙로드의 왕복운동이 갖는 신뢰도, 안정성, 및 부드러움은 가압체(3) 상의 스윙로드의 배치를 최적화하여 개선할 수 있으며, 가압체(3) 상의 스윙 로드의 최적화된 배치 설계 또한 관성추(2)의 작동 감도를 조절하는데 유용하다.
도 17 및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는 이들이 서로에 대해 180°의 각도로 위치할 때 가압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지만, 두 스윙 로드는 도면에서 길이 방향 축에 상대적으로 명확히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정지부(38)는,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가 서로에게 180°의 각도일 때 힌지포인트에 어느 정도 과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며, 그에 따라 수직 한계(critical) 상태는 약간의 흔들림에 의해 파괴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횡방향 부재(31) 및 힌지포인트에서 지지되는 압축 스프링(32)은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를 작동시켜 180° 밸런스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공되며, 또한 스윙로드의 왕복운동의 신뢰도, 안정성 및 부드러움을 개선하게 된다.
도 23 및 24는 두가지 상이한 형태의 슬라이드로(34)를 도시한다. 도 28에 도시한 가압체의 단면도는 슬라이드로(34)의 장착 위치를 도시한다. 상기 슬라이드로(34)는 금속 물질과 같이 매우 단단한 물질, 예를 들어 스틸 시트로 만들어지며; 또는 상기 슬라이드로(34)는 플라스틱 물질과 같이 매우 단단한 비금속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로(34)의 하단부는 가압 블록(37)의 후면과 접촉한다. 즉 가압 블록(37)의 후면은 슬라이드로(34)의 하단부에서 앞뒤로 슬라이딩한다. 도 23에서, 선회가능한 롤러는 슬라이드로(34)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반면, 도 24에서, 슬라이드로(34)의 하단부는 상기 가압 블록(34)의 후면 각도와 매칭되는 베벨(bevel) 면을 갖는다. 도 28에서, 슬라이드로(34)의 하단부는 베벨면을 가지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체(3)의 주평면 P1 (가압체(3)의 축을 통과하는 주평면 P1) 및 가압 블록(37)의 후면 사이의 각도는 15° 내지 40° 사이, 바람직하게는 30°이며, 따라서 슬라이드로(34)의 하단부 및 슬라이드로(34)의 주평면 P2 사이의 각도는 상기 각도와 매칭된다. 슬라이드로(34)를 제공하고 슬라이드로(34)의 하단부를 상술한 형태로 구성하는 이유는 가압 블록(37)이 스트랩(71)에 압력을 가할 때 가압체(34)가 부드럽고 정확히 왕복운동하도록 하고 가압 블록(37)의 단단함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며, 물성 및 구조에 의해 버틸 수 있는 최대 한계치에 근접하더라도 상기 가압 블록(37)은 충분히 높은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1)는 관성추(2)의 움직임을 촉발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는 180°에서 벗어나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변하게 되며, 그 결과 롤러 갭이 커지고 스트랩(71)이 록킹 장치에 의해 잠금해제된다. 도 29A, 29B 및 29C 참조. 상기 트리거(1)의 링크 바 구조체의 일단부는 도 23 및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로의 양면 쪽으로 돌출되는 지지체에 선회가능하게끔 고정되고, 다른 단부 상의 롤러(11)는 스트랩(71)과 맞닿으며, 텐션 스프링(13)은 스트랩(11)에 대한 설계 요구조건에 따라 정해진 압력을 롤러(11)가 인가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리거(1)는 압력 조절기를 더 구비한다. 도 12, 15 및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조절기는 볼트(14) 및 너트(15)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14)는 전면 커버(41)에 배치된 고정 러그(lug)의 홀을 통과하여 러그 상에서 지지되며, 상기 너트(15)의 연결부는 전면 커버(41) 내 슬롯을 통과하여 텐션 스프링(13)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볼트(14)를 돌려 상기 너트(15)가 슬롯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텐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사전인가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바 구조체(12)는 관성추(2)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통해 관성추(2)를 밀어주게 된다. 도 29A, 29B 및 29C는 관성추(2)를 밀기 위해 상기 링크 바 구조체(12)에 의해 사용되는 상이한 형태의 푸싱 메카니즘을 도시하며; 도 25-26은 상이한 돌출부를 갖는 별도의 링크 바 구조체(12)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레이트 형태이거나, 또는 도 27에 도시한 대략적인 박스 형태, 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웨지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 형상 돌출부 및 대략적인 박스 형태 돌출부는, 이들이 관성추(2)를 밀어줄 때 관성추(2)의 주변 모서리와 접촉하게 되며, 반면 상기 웨지-형상 돌출부는 관성추(2)를 밀어줄 때 관성추(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핀 샤프트와 접촉하게 된다. 대략적으로 박스 형상인 돌출부는 보다 높은 견고성을 가지며, 변형에 대해 보다 큰 저항력을 가지고, 보다 안정적으로 관성추(2)와 접촉하는 바,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의 구동을 정확히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샤프트의 몸체(63), 가압 블록(37), 캐리지(36), 스윙 로드(33 및 35), 횡방향 부재(31), 및 롤러(11)는 ABS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나일론으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베어링(69, 39 및 16)과 같은 롤러 베어링은 롤러 샤프트, 롤러(11), 관성추(2), 및 가압체(3)의 회전 지지부에 제공되어 이들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베어링은 관성추의 몸체(21) 내 핀 샤프트 홀의 상부 및 하부 포트에 각각 제공된다. 도 2A, 4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보아(counter bore) (6301)는 롤러 샤프트 몸체(63)의 샤프트 홀의 두 단부에 제공되어 롤러 베어링(69)을 각각 수납하게 된다.
도 12 및 14는 조립된 조절 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본 구현예에서, 사용자가 스트랩(71)을 당기면, 마찰면(64)을 갖는 롤러 샤프트는 쉽게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상방으로 이동할 때 스트랩(71)이 롤러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가압 블록(36) 및 롤러 샤프트 사이의 롤러 갭이 커질 수 있다. 가압체 상의 스윙로드 사이의 각도와 상관없이 스트랩(71)이 당겨질 때 롤러 갭은 스트랩(71)을 결코 제한하지 않으며; 더욱이, 폴(62) 및 롤러 샤프트 상의 라쳇(6301) 사이의 맞물림을 유발하지 않는 방향으로 롤러 샤프트가 회전하기 때문에 스트랩이 당겨지는 과정에서도 롤러 샤프트는 항상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당기는 힘이 리트랙터(7)의 끄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리트랙터(7)로부터 당겨져 나온 스트랩은 팽팽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리거의 롤러(11)는 스트랩(71)의 표면과 맞닿게 되며, 텐션 스프링(13)의 작용하에 스트랩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당기는 것을 멈추면, 롤러 샤프트는 폴(62)과 맞물리게 되어 리트랙터(7)의 끄는 힘 및 스트랩(71)과 마찰면(6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유발된 반대 힘을 받게 되므로 회전을 즉시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 샤프트 및 롤러 샤프트의 지지 로드(66)는 주로 하방 마찰력으로 인해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스트랩(71)의 양면이 롤러 샤프트 및 가압 블록의 전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을 때까지 상기 롤러 갭은 더욱 더 작아진다. 이 상태에서,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는 여전히 180° 정렬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트리거(1)는 텐션 스프링(13)으로부터의 장력으로 인해 스트랩(71)에 소정 압력을 가하게 되며, 스트랩(71)을 압박하면서 후면 커버(42) 및 지지 플레이트(5) 쪽에서 하방으로 점차 선회하게 된다. 상기 트리거(1)가 하방으로 점차 선회함에 따라, 텐션 스프링(13)으로부터의 장력은 점차 감소한다. 트리거(1) 상의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가 관성추를 밀어 스윙로드를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들어가게 하기 전에, 가압 블록(37) 및 롤러 샤프트의 마찰면(64)을 스트랩(71)에 눌러서 가해진 압력은 상기 스트랩(71)을 클램핑 및 록킹하게 된다.
당업자는 필요시 상기 스트랩(71)에 대해 트리거에 의해 가해진 압력 크기를 설계할 수 있으며, 스윙로드가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들어가도록 구동될 때 트리거(1)의 특정 상태를 한정하기 위한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를 설계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트랩(71)을 긴 길이, 예를 들어 시트 벨트가 버클락(8)에 체결된 후 스트랩(71)의 길이가 사용자의 몸에 스트랩(71)을 딱 맞게 조이기 위해 필요한 길이보다 10-60cm 정도 길게 당긴 경우, 트리거(1)는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가 관성추(2)를 밀어 스윙 로드 사이의 힌지 포인트를 이동시킬 때까지 완전히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는 밸런스가 깨져 구부러지게 되며; 따라서 가압 블록(37)은 후퇴하고, 조절 장치는 스트랩(71)이 클램핑 및 록킹되는 잠금 상태로부터 스트랩(71)이 풀어지는 해제 상태로 이동시키며, 그 결과 리트랙터(71)의 복원력(retracting force)으로 인해 스트랩(71)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스트랩(71)에 가해지는 복원력은 가압 블록(37)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랩(71)의 복귀 과정에서, 스트랩이 가압 블록(37)을 압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를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본 구현예에 따른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트랩(71)을 부족한 길이로 당긴 경우, 예를 들어 시트 벨트가 버클락(9)에 체결된 후 사용자에 의해 당겨진 스트랩(71)의 길이가 사용자 몸에 스트랩(71)이 딱 맞게 조여지는데 필요한 길이보다 10-60cm 더 긴 경우, 트리거(1) 상의 롤러(11)는 스트랩(71) 상에 머물게 되며,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는 관성추(2)와 접촉하지만 제2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가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들어가도록 관성추(2)를 밀어내지는 않는다.
트리거(1)를 작동시키는 힘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어 텐션 스프링(13)의 장력;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의 형상 및 위치; 관성추(2) 및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 사이의 접촉 위치; 관성추(2)의 접촉 부분; 및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의 접촉 부분 사이의 각도; 및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의 과도한 지지 정도, 즉 제1 스윙 로드(33) 및 제2 스윙 로드(35)의 안정성 손실에 대한 저항력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상기 스트랩(71)이 당겨져 감기는 경우, 스트랩(71)은 리트랙터(7)의 복원력 외에 당겨진 스트랩 부분의 중량 및 스트랩(71)과 접촉하는 부분에 의해 스트랩(71)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는 트리거(1)의 작동을 미세 조절하는데 상술한 마찰력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서, 마찰력 중, 서스펜더(8) 및 스트랩(71) 사이의 마찰력이 중요하며, 이는 스트랩(71)의 유연성 및 중량에 따라 달라진다. 스트랩(1)의 당겨진 길이가 변함에 따라, 스트랩(1)과 서스펜더(8) 사이의 접촉각, 접촉 면적, 및 접촉 압력은 달라지게 되며, 그에 따라 마찰력의 크기가 미세하게 달라지게 된다. 상기 스트랩(1)이 긴 길이로 당겨진 경우, 서스펜더(8) 및 스트랩(71) 사이의 마찰력은 다소 작으며; 스트랩(1)이 부족한 길이로 당겨진 경우, 서스펜더(8) 및 스트랩(71) 사이의 마찰력은 다소 높아지게 된다. 마찰력의 크기 변화가 매우 작지만, 이러한 크기 변화가 트리거(1)의 작동을 미세 조정하는데 사용되기에 충분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미세 조절된 트리거(1)의 구동력(triggering force)은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트리거(1)의 작동을 미세 조절하는데 상술한 마찰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리거(1)는 제1 및 제2 스윙 로드(33 및 35)를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들어가게 작동하며, 그에 따라 스트랩(71)이 긴 길이로 당겨진 경우 스트랩(71)이 집어 넣어지며, 반면, 스트랩(71)이 부족한 길이로 당겨진 경우 트리거(1) 상의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가 관성추(2)와 접촉하지만 제1 스윙로드 및 제2 스윙로드(33 및 35)가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들어가도록 작동하지 않는다.
트리거(1)의 구동력을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스트랩이 부족한 길이로 당겨진 경우, 즉, 스트랩이 똑바로 늘어진 상태로 있는 경우 사용자가 0-0.1 lb 압력의 느낌을 갖도록 하면서 상기 트리거는 제1 및 제2 스윙 로드(33 및 35)가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들어가도록 구동되지 않으며, 말하자면 본 발명에 개시된 조절 장치는, 스트랩이 부족한 길이로 당겨진 경우, 즉 스트랩이 똑바로 늘어진 상태인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트벨트의 "무압박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만일 관성추(2)와 맞닿지 않도록 수동으로 트리거(1)를 제한하거나 트리거(1)가 생략된 경우, 그/그녀가 스트랩(71)을 잡아 당긴 후 이 동작을 멈추면 스트랩(71)은 가압 블록(37) 및 롤러 샤프트에 의해 클램핑 및 록킹되며; 이어서, 스윙 로드가 수동으로 구동되거나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들어가도록 관성추(2)를 자동으로 구동시키지 않는다면 상기 스트랩(71)은 들어갈 수 없게 된다.
차량이 급속히 감속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는 스트랩(71)을 록킹한 후, 관성추(2)는 관성 효과로 인해 앞으로 돌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윙 로드가 밸런스 상태를 빠져 나오게 되며, 가압 블록(37)은 슬라이드로(34)를 따라 물러나고; 따라서 스트랩(71)은 롤러갭으로부터 해제되며 리트랙터(71)의 복원력 하에 빠르게 당겨져 들어가게 된다. 물론 관성추(2)의 작동 감도, 즉 관성추(2)가 제1 및 제2 스윙 로드(33 및 35)를 밸런스 상태로부터 빠져 나오게 하는 차량의 급속 감속에 대한 정확한 수준은 관성추(2)의 경사도를 전체적으로 조절하는 것과 가압체(3) 상의 스윙 로드들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 감속의 경우, 즉 충돌 사고의 경우, 관성추(2)는 제1 및 제2 스윙 로드(33 및 35)를 밸런스 상태로부터 빠져 나오게 할 뿐만 아니라 롤러 갭이 스트랩(71)을 놓아주게도 하며, 리트랙터(7)는 빠르게 스트랩(71)을 록킹시키므로, 그 결과 시트 벨트가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랩(71)의 당겨진 부분이 너무 길면, 리트랙터(7)는 스트랩을 록킹하기 전에 소정 길이로 스트랩을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를 구비한 시트벨트의 경우, 상기 구현예에서 기술한 시트벨트 스트랩(71)의 록킹을 구현하도록 스트랩(71)을 사용자가 당겨야만 스트랩(71)의 길이가 조절된다면, 작동이 쉽더라도 사용자는 그와 같이 하는데 신경을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개시된 조절 장치 구비 시트 벨트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고, 스트랩(71)의 늘어진 길이를 양적으로 조절하며,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공된 시트벨트의 구동을 단순화 및 일상화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 압축 요소(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구현에에서 탄성 압축 요소(10)의 장착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1 및 32는 탄성 압축 요소(10)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압축 요소(10)는 버클 락(9)에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버클락(9)과 함께 어셈블리에 통합된다. 도 10에서, 탄성 압축 요소(10)는 버클 락(9)의 하부에 위치하며, 차량 몸체 또는 시트 몸체에 연결되고;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탄성 압축 요소(10)는 버클(92)의 일부 또는 버클 몸체(91)의 일부일 수 있다.
도 31 및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압축 요소(10)는, 락 몸체(91)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연결 로드(101); 하우징(102); 및 압축 스프링(106)을 구비하며, 여기서 연결 로드(101)는 하우징(102)의 전면 단부 내 홀을 통과하며, 하우징(102)에 수납되고, 연결로드(101)의 하단부는 압축 스프링과 맞닿는다. 상기 탄성 압축 요소(10)에서, 압축 스프링(106)의 압축 길이는 10-60cm의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40cm이다.
사용자가 스트랩(71)을 그/그녀의 몸에 딱 맞게 조이고 스트랩(71)을 버클 락(9)에 체결한 후, 또는 스트랩(71)이 너무 길게 당겨진 경우 스트랩(71)을 리트랙터(7)에 의해 들어가게 하고 버클 락(9)에 체결한 후, 사용자가 버클락(9)을 다시 누를 때, 버클 락(9)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탄성 압축 요소(10) 내 압축 스프링(106)은 압축되며, 그에 따라 스트랩(71)은 짧은 길이, 예를 들어 40cm까지 리트랙터로부터 더 당겨져 나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71)이 짧은 길이만큼 더 당겨져 나온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는 트리거(1)를 작동시키지 않아 가압체(3) 상의 스윙 로드가 밸런스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반면 롤러 갭은 스트랩(71)을 단단히 잡으므로 스트랩(71)은 감겨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강한 압박감을 주는 종래기술의 시트벨트와 달리, 사용자의 몸에 조여진 스트랩(71)은 늘어지고, 사용자는 스트랩(71)으로부터 어떠한 압박감도 느낄 수 없게 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 당겨진 스트랩(7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압축 스프링(106)을 사용하지만, 연결로드(101)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이후 자동적으로 리셋될 수 있다면, 당업자는 연결 로드(101)와 함께 작동하도록 텐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이 설계 및 적용하기 용이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압축 요소(10)는 씰링 링과 같은 씰링 요소(10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씰링 요소(104)는 연결 로드(101)의 꼬리 정지부(105)의 외벽 및 하우징(102)의 내벽 사이의 씰링 효과를 얻게 한다. 또한, 꼬리 정지부(105)는 쓰루홀(107)을 구비하며, 그 직경은 0.3 내지 1mm, 예를 들어 0.4 mm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2) 내에 압축 스프링(105)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공간은 주변 환경으로 배기하는데만 쓰루홀(107)을 활용하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연결 로드(101)가 압박된 후, 이 연결 로드(101)는 빠르게 복원되지 않으며, 심지어 스프링(105)이 존재하더라도 느리게 올라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 로드(107)의 움직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결 로드(101)는 압박 이후 빠르게 복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결 로드(101)를 스트랩(71)의 위치 및 상태로 빠르게 상방으로 복원시키는 것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리거(1)의 작동에 대한 영향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현예에서, 쓰루홀은 꼬리 정지부(105)에 배치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 압축 스프링 또는 텐션 스프링이 사용되는가와 무관하게 상술한 기술적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면, 상기 쓰루홀(107)은 다른 어떤 부분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쓰루홀(107)은 하우징(102)의 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구성으로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압축 요소(10)는 댐핑 스프링(103)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스트랩(71)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큰 장력을 받을 때 신체와 스트랩(71) 사이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감쇠 방식으로 상기 탄성 압축 요소(10)를 늘어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시트 벨트의 보호 기능을 보장하면서 스트랩 자체로부터 유발되는 사용자의 물리적 상해를 피하도록, 즉 시트 벨트로부터의 소위 "2차 피해"를 완화시키거나, 심지어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댐핑 스프링(103)은 탄성 압축 요소(10)에서 압축 스프링(106)과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 댐핑 스프링(103)을 구비하는 감쇠 신장 요소(damped elongation element)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구조체에서, 상기 댐핑 스프링(103)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하우징(102)이 하방으로 가압되기 전에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결 로드(101)가 구성되어야 한다.
도 32에 도시한 구조체에서, 댐핑 스프링(103)은 압축 스프링이다. 상기 연결 로드(101)가 장력을 받는 경우, 이 연결로드(101)가 댐핑 스프링(103)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댐핑 스프링(103)이 연결 로드(101)의 꼬리부에 연결될 수 있는 한, 당업자는 텐션 스프링으로서 댐핑 스프링(103)을 그 목적에 따라 설계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상기 스프링(105), 댐핑 스프링(103), 및 연결 로드(101)의 특정 구조에 대하여, 당업자는 스프링(105) 및 댐핑 스프링(103)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고 상기 구현예에서 기술한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감쇠 신장으로 인한 압축 및 완충 효과 이후, 연결 로드 및 스프링으로 리셋을 구현하는 원리는 복잡하지 않으며, 종래 기술에 개시된 다른 구조체를 토대로 상기 도면 및 상기 구현예에 변형, 조합 및 치환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구조체를 설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체는 복잡하지 않다. 따라서 창의적 노력 없이 상기 내용을 토대로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서, 댐핑 스프링(103)을 구비하는 감쇠 신장 요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감쇠 신장 요소를 제공하여 "2차 피해"를 완화시키거나 심지어 방지할 수 있으며, 감쇠 신장 요소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큰 장력을 받을 때 감쇠 방식으로 신장될 수 있는 한, 이 감쇠 신장 요소는 필요시 버클 락 또는 서스펜더와 같은 시트벨트의 어떤 적당한 부분에 제공되거나, 또는 심지어 스트랩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상술한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시트 벨트가 다음과 같이 단순하고 일상적인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스트랩을 당기고, 이 스트랩을 버클 락에 체결하라; 그에 따라, 당겨진 부분이 너무 길면 스트랩은 적절히 말려 들어가게 된다.
2. 버클 락을 눌러라, 그러면 스트랩이 작은 길이만큼 더 당겨져 나온다.
상술한 단순한 작동법을 통해, 사용자가 몸에서 시트벨트의 무압박감을 느끼는 것이 용이한 반면, 상기 시트 벨트는 안전성의 어떠한 잠재적 위험 없이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를 보다 더 신뢰할 수 있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리트랙터 내 코일 스프링의 개선된 디자인을 더 제공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리트랙터에서, 코일 스프링의 탄성은 가변적이다. 구체적으로, 스트랩이 길게 당겨질수록 복원력도 커진다. 그러나, 실제 리트랙터의 이와 같은 특성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정확하고 편리한 작동, 설치 및 제조에 불리하다. 본 발명의 경우, 스트랩이 얼마나 길게 당겨지는가와 무관하게 복원력이 본질적으로 일정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를 작동, 설치 및 제조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가변 단면적을 갖는 코일 스프링을 제공한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의 코일 플레이트는 가변적인 단면적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변형 양과는 무관하게 복원력은 본질적으로 일정하다.
상기 코일 스프링에서 가변 단면적을 갖는 코일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를 갖지만 길이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폭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코일 플레이트는 동일 폭을 갖지 만한 길이 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하는 두께를 갖는다. 점차 감소하는 폭을 갖는 코일 플레이트를 도 30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곧게 핀 코일 플레이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점차 감소하는 폭을 갖는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조절 장치는 차량 시트의 오른쪽에 장착된 조절 장치의 경우를 예시하여 기술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링크 바 구조체(12)의 돌출부는 차량 시트의 오른쪽에 장착된 조절 장치에서만 적절한 위치에 존재하며, 캐리지(36)의 정지부(38)는 우측에 장착된 조절장치에서만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 장치가 차량 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장착되는가에 따라 좌측 조절 장치 또는 우측 조절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의 일부 구현예에 대해 상술한 상기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가 사용자의 몸에 대한 "무압박감"의 시트벨트를 제공하면서 이론적으로 매우 큰 스윙 로드 힘으로 스트랩을 록킹하는데 이용하고, 또한 작은 힘의 신호에 응답하여 용이하고 자동적으로 잠금 해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가 사용하기 용이하고 간단하며, 일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정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록킹 장치, 조절 장치 및 시트 벨트는 예시적으로 상기에서 기술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 조절 장치 및 시트벨트의 특성, 예를 들어 형상 및 치수는 상술한 기능의 특성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설계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예측 및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한, 동일한 구현예 및 상이한 구현예에서 상술한 특성을 조합할 수 있으며, 이들에 변형을 가하거나, 상이한 구현예에 걸쳐 조합 및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8)

  1. 이동형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제어하기 위한 록킹 장치로서,
    장착용 지지 프레임;
    래칫을 구비하고 축 방향으로 적어도 길이의 일부를 따라 마찰면 또는 스프라켓 피치 그루브를 구비하며, 축 주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지지 프레임에 선회하게끔 연결된 지지 로드의 일 단부와 고정 연결된, 마찰면 또는 스프라켓 피치 그루브 구비 롤러 샤프트;
    롤러 샤프트 상부에 위치하며 일 단부 주변으로 선회할 수 있는 폴; 및
    횡방향에서 상기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는 가압체;를 구비하고,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롤러 갭이 롤러 샤프트 및 가압체 사이에 형성되고, 가압체가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에 힘이 가해지도록 이동가능하며,
    여기서,
    롤러 샤프트는 가압체로부터의 압력과 대상물로부터의 압력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일 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하방으로 움직이고, 가압체가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압박하여 롤러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게 될 때,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접촉 베이스 상의 래칫이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과 맞물려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할 때까지 롤러 샤프트가 지지 로드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함으로써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클램핑 및 록킹되며;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가압체가 이들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놓아줄 때,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이 폴에 맞닿을 때까지 롤러 샤프트가 지지 로드를 따라 상방으로 선회하고;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이 움직여 하방으로 이동할 때, 폴이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과 맞물리게 되어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고, 롤러 샤프트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함으로써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는 가압체의 단부가 아크-형상이며, 그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 선회 동작 및 록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롤러 샤프트를 보조하는 록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폴이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이 탄성부재가 사전 인가된 하방 압력을 상기 폴에 가하는 록킹장치.
  4.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록킹장치로서,
    래칫을 구비하고 그 축 주변을 회전할 수 있는 롤러 샤프트;
    결합부 및 록킹부를 구비하며, 이 결합부의 일 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록킹부의 일 단부에 힌지되며, 이 록킹부의 다른 단부가 래칫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롤러 샤프트를 록킹하는 폴; 및
    롤러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 샤프트를 놓아 주게끔 폴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폴이 롤러 샤프트로부터 빠르게 맞물림 해제되도록 힌지 포인트에서 폴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빠르게 구부릴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록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롤러 샤프트가 가요성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주도록 구성되며; 롤러 샤프트가 체인, 스트립 또는 벨트 대상물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주도록 회전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액츄에이터가 힌지 포인트에서 폴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빠르게 구부릴 수 있으며, 그 결과 폴이 상기 롤러 샤프트로부터 빠르게 맞물림해제되는 록킹장치.
  6. 장착용 지지 프레임;
    래칫을 구비하고 그 축 방향으로 적어도 길이의 일부를 따라 마찰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 지지 로드 일 단부와 고정 연결된, 마찰면 구비 롤러 샤프트;
    롤러 샤프트 상부에 배치된 폴;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로 이루어진 한쌍의 지지 스윙 로드를 구비하는 가압체로서,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인접한 단부는 함께 힌지되어 스윙 로드 사이에 끼인각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비인접 일단부는 정지 상태로 고정되며, 다른 비인접 단부는 상기 스윙 로드 사이의 끼인각이 변함에 따라 이동하고 횡방향으로 상기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며, 그리고 시트 벨트의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는 롤러 갭이 롤러 샤프트 및 다른 비인접 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그리고,
    제1 스윙 로드 및/또는 제2 스윙 로드 및/또는 이 스윙 로드들 사이의 힌지 포인트에 힘을 가하여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변경시킴으로써, 다른 비인접 단부에 의해 스트랩에 가해진 스트랩 록킹용 힘을 완화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여기서,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 수직 각도로 정렬된 상태인 경우, 스트랩을 클램핑 및 록킹하기 위하여 다른 비인접 단부는 롤러 갭을 최소화시켜 상기 스트랩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스윙 로드 사이의 끼인각이 작은 힘 시그널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를 통해 변하는 경우 다른 비인접 단부는 스트랩을 놓아줄 수 있게 되고,
    여기서,
    상기 롤러 샤프트가 가압체 및 스트랩으로부터 압력을 받지 않는 중립 상태일 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스트랩이 리트랙터의 작용 하에 하방으로 이동하고 다른 비인접 단부가 이 스트랩을 압박함으로써 롤러 샤프트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접촉 베이스 상의 래칫이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과 맞물려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할 때까지 롤러 샤프트가 지지 로드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함으로써 스트랩이 클램핑 및 록킹되며; 그리고
    스트랩이 당겨져 상방으로 이동하고 다른 비인접 단부가 스트랩을 풀어주는 경우,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이 롤러 샤프트 상부에 배치되며 그 축 주변을 회전할 수 있는 폴과 맞닿을 때까지 롤러 샤프트는 지지 로드를 따라 상방으로 선회하고; 스트랩이 리트랙터의 작용 하에 움직여 하방으로 이동할 때, 폴은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과 맞물려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고 롤러 샤프트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함으로써 롤러 샤프트 상의 래칫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차량용 시트벨트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가 제1 스윙 로드 상부 및/또는 제2 스윙 로드 상부 및/또는 이 스윙 로드들 사이의 힌지 포인트에서 장착된 관성추이며; 바람직하게는 관성추가 디스크-형상 물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관성추가 중앙부 장착 샤프트 주변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조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트리거를 더 구비하며, 이 트리거는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를 작동시켜 180°로부터 벗어나게 함으로써 아웃-오브-밸런스 상태가 되게 하는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트리거가 링크 바 구조체 및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이 링크 바 구조체의 일 단부는 선회 가능하게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트랩에 맞닿으며, 탄성 부재는 다른 단부가 스트랩에 사전 인가된 압력을 가하게 하며; 그리고,
    링크 바 구조체는 관성추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이 돌출부는 링크 바 구조체가 소정 각도로 선회할 때 관성 추를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밀어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관성추의 원주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밀어 가압하고;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아웃-오브-밸런스 상태로 관성추를 밀지 않으며, 이때 시트 벨트 사용자는 단지 0 - 0.1 lb 압력만을 감지하게 되는 조절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롤러 샤프트에 대향하는 다른 비인접 단부의 팁 부분이 아크-형상이며, 그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 선회 동작 및 록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롤러 샤프트를 보조하는 조절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폴이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이 탄성부재가 사전 인가된 하방 압력을 상기 폴에 가하는 조절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스트랩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슬릿을 더 구비하며, 이 슬릿은 롤러 갭으로부터 이격되어 롤러 갭 상부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스트랩이 슬릿과 롤러 갭 사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조절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를 구비하는 가압체의 주 평면은 수평 면으로부터 10°내지 80°사이, 바람직하게는 60°, 65°, 70° 또는 75°의 각도로 경사지며; 다른 비인접 단부는 롤러 샤프트에 인접함으로써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에 이를 때까지 점차 감소하는 조절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가압체가 대략 직사각형 구조의 스윙 로드 캐리지, 가압 블록, 및 횡방향 부재를 더 구비하고,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구조를 갖는 스윙 로드 캐리지는 서로에게 대략적으로 평행한 두개의 길이 방향 벽을 구비하며, 각 길이 방향 벽의 상단부에는 슬롯 형상 홀이 배치되고;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비인접 일단부는 선회가능하게끔 횡방향 부재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다른 비인접 단부는 슬롯 형상 홀에 대향하는 쪽에서 스윙 로드 캐리지의 횡방향 벽에 선회가능하게끔 연결되고; 가압 블록은 횡방향 벽에 회전가능하게끔 연결되고 롤러 샤프트와 함께 동작하여 롤러 갭을 형성하며; 횡방향 부재의 두 단부는 슬롯 형상 홀을 통과하여 지지 프레임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 사이의 끼인각이 변할 때 스윙 로드 캐리지는 가압 블록을 이송시켜 슬롯 형상 홀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압체는 스윙 로드 캐리지 상에 배치되고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 밸런스 상태로 돌아가게끔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조절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압체가 지지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로를 더 구비하며, 그 하단부는 주평면과 16° 및 40° 사이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30°의 각도를 가지고; 그에 따라, 가압 블록의 후면은 스윙 로드 캐리지 및 가압 블록으로 구성된 어셈블리의 주평면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가압 블록의 후면은 슬라이드로 및 슬라이드의 하단부 상에 지지되는 조절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가압체가 힌지 포인트에 배치되고,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가 180° 밸런스 상태로 돌아갈 때 힌지 포인트를 멈추게 하도록 구성된 정지부를 구비하며, 그 결과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 사이에서 힌지된 부분은 어느 정도까지 과도한 지지력을 받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스윙 로드 및 제2 스윙 로드는 대략적으로 서로에게 평행인 두개의 길이 방향 벽에 경사지도록 장착되는 조절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조절 장치는 탄성 압축 요소를 더 구비하며, 탄성 압축 요소가 시트 쪽에 고정된 시트 벨트의 락 몸체에 배치되거나 시트 벨트의 버클 부분으로서 구성되고, 그에 따라 그/그녀가 버클을 락 몸체쪽으로 체결한 후 탄성 압축 요소를 사용자가 눌러줌으로써 10-60mm 까지 락 몸체 및 버클을 하방으로 압박할 수 있고, 이후 상기 탄성 압축 요소가 자동적으로 리셋될 수 있는 조절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탄성 압축 요소가 하우징, 스프링, 및 연결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일 단부는 락 몸체 또는 버클에 고정 연결되며, 연결 로드의 일부는 하우징의 홀을 통과하여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연결 로드는 스프링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는 조절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탄성 압축 요소가 탄성 댐핑 부재를 더 구비하며, 그에 따라 상기 탄성 압축 요소가 시트 벨트의 스트랩이 큰 장력을 받을 때 감쇠 방식으로 신장될 수 있는 조절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밀봉되고, 주변 대기에 배기하기 위한 작은 홀을 구비하며, 그에 따라 연결 로드가 하방 압력을 받은 후 느리게 리셋되는 것이 가능한 조절장치.
  21.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로드가 밀봉 요소를 사용하여 하우징의 내벽에 대해 밀봉하는 꼬리 정지부를 구비하며, 이 꼬리 정지부는 스프링과 맞닿게 되고, 상기 꼬리 정지부의 외부 직경은 근처에 있는 지지 로드의 외부 직경보다 크며, 상기 꼬리 정지부는 쓰루홀을 구비하고, 그에 따라 스프링을 수납하는 공간은 쓰루홀을 거쳐 외부 대기로 배기하는 유일한 공간이며, 그 결과 연결 로드가 하방으로 가압된 후 느리게 리셋될 수 있는 조절장치.
  22. 제6항에 있어서,
    시트 벨트가 서스펜더를 더 구비하며, 이는 차량에 장착되어 스트랩이 통과하고 스트랩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23. 제6항에 있어서,
    시트 벨트가, 차량에 부착되어 탑승자 어깨 근처의 시트 벨트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서스펜더와, 시트 쪽에서 시트 하부 근처에 배치되어 시트 벨트를 안으로 들어가게끔 구성된 리트랙터를 구비하며; 조절 장치는 서스펜더와 리트랙터 사이의 어떤 위치에나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트랙터의 상부에 직접 장착되는 조절장치.
  24. 제6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이 리트랙터의 일부이며, 그 결과 조절 장치가 리트랙터에 통합되는 조절장치.
  25. 제6항에 있어서,
    조절 장치가 리트랙터를 더 구비하며, 지지 프레임이 스트랩의 개구부에서 리트랙터에 장착되거나, 또는 지지 프레임이 리트랙터 하우징의 통합부인 조절장치.
  26. 리트랙터 및, 서스펜더 및 리트랙터 사이의 위치 또는 리트랙터의 일부인 지지프레임에 배치된 제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절장치를 구비하며, 그에 따라 조절장치가 리트랙터에 통합된 차량용 시트벨트.
  27. 제26항에 있어서,
    리트랙터의 코일 스프링은 가변 단면적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이 변형 정도와 무관하게 본질적으로 동일한 탄성을 가지며, 그 결과 시트벨트의 스트랩이 풀리거나 감길 때 시트 벨트는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동일한 작용력을 받는 차량용 시트벨트.
  28. 제27항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코일 플레이트가 동일한 두께를 갖지만 길이 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하는 폭을 가지거나; 또는 코일 스프링의 코일 플레이트는 동일한 폭을 갖지만 길이 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하는 두께를 갖는 차량용 시트벨트.
KR1020157032781A 2013-04-17 2013-04-17 록킹 장치, 차량용 시트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시트벨트 KR101766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74327 WO2014169452A1 (zh) 2013-04-17 2013-04-17 锁止装置、运载工具安全带调节装置以及运载工具安全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455A true KR20160040455A (ko) 2016-04-14
KR101766480B1 KR101766480B1 (ko) 2017-08-08

Family

ID=5173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781A KR101766480B1 (ko) 2013-04-17 2013-04-17 록킹 장치, 차량용 시트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시트벨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21760B2 (ko)
EP (1) EP2987687A4 (ko)
JP (1) JP6186497B2 (ko)
KR (1) KR101766480B1 (ko)
CN (1) CN105121235B (ko)
BR (1) BR112015026322A2 (ko)
CA (1) CA2909549C (ko)
RU (1) RU2622525C2 (ko)
WO (1) WO2014169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23328U (zh) * 2016-03-16 2016-06-11 Liang-Xiong Wang 安全帶之織帶調整裝置
US11660238B2 (en) 2016-05-25 2023-05-30 Valeda Company Mobility device securement system with winch apparatus
WO2018129694A1 (zh) * 2017-01-12 2018-07-19 北京孙寅贵绿色科技研究院有限公司 交通运输工具用智能安全带、限力器及卷收器
DE102017105386B4 (de) * 2017-03-14 2021-03-04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system mit Gurtaufroller und Kraftbegrenzer
CN106882636A (zh) * 2017-04-14 2017-06-23 攀枝花学院 一种放线器
US10343648B2 (en) * 2017-04-26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traint system
CN106986238B (zh) * 2017-05-12 2018-10-16 福建品派包装有限公司 一种带有紧固旋塞的线缆收纳箱
CN108278292B (zh) * 2018-03-09 2023-06-23 成都博仕腾科技有限公司 一种变刚度弹性减振装置
JP7091756B2 (ja) * 2018-03-22 2022-06-2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CN109159755A (zh) * 2018-10-19 2019-01-08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安全带卷收器的锁止装置以及安全带卷收器
CN110230656B (zh) * 2019-07-12 2024-01-26 合肥工业大学 一种阻尼器阻尼调节机构
CN110356445B (zh) * 2019-08-13 2020-08-18 张楼锋 一种医疗领域使用的推车
CN110450753A (zh) * 2019-09-18 2019-11-15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安全带自锁锁舌
CN111419654B (zh) * 2020-01-04 2022-02-01 广东铱鸣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助立助行器护腰系固带系统
CN111845622B (zh) * 2020-07-20 2021-07-06 重庆广播电视大学重庆工商职业学院 一种能够检测系扣状态的安全带总成
KR20230153639A (ko) 2022-04-29 2023-11-07 (주)대한솔루션 사용하지 않을 때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3점식 안전벨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962A (ko) * 1998-06-05 2000-01-15 심명섭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하는화상형성장치
KR200245382Y1 (ko) * 2001-05-25 2001-10-29 정창덕 콤팩트디스크 보관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7489A (en) * 1963-08-21 1966-01-04 Robert A Stubblefield Retractable seat belt
US3926385A (en) * 1964-11-05 1975-12-16 Richard G Board Retractable safety belts
US4249708A (en) 1978-09-29 1981-02-10 Nippon Seiko Kabushiki Kaisha Emergency locking mechanism for the seat belt retractor of vehicles
JPS56141637U (ko) 1980-03-03 1981-10-26
JPS61290Y2 (ko) * 1980-05-27 1986-01-08
JPS5736951U (ko) * 1980-08-08 1982-02-26
JPS5736951A (en) 1980-08-18 1982-02-27 Eikichi Matsukawa Preparation of rice ball with roasted kneaded fish meat or livestock meat as film
JPS57183867A (en) 1981-05-07 1982-11-12 Nippon Seiko Kk Webbing lock apparatus for seat belt of automobile
JPS6114155U (ja) 1984-07-02 1986-01-27 日本精工株式会社 ウエビングクランプ付緊急ロツク式リトラクタ
JPS6166049A (ja) 1984-09-10 1986-04-04 Toshiba Corp 太陽池
DE3433297A1 (de) 1984-09-11 1986-06-05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2084 Rellingen Gurtblockiereinrichtung
JPS6187764U (ko) * 1984-11-16 1986-06-09
GB8524916D0 (en) * 1985-10-09 1985-11-13 Britax Wingard Ltd Clamping means for strap
GB8608134D0 (en) * 1986-04-03 1986-05-08 Autoliv Dev Seat belt pre-tensioning device
JPS6352656U (ko) * 1986-09-26 1988-04-08
DE3916588A1 (de) 1989-05-22 1990-11-29 Takata Corp Rueckholvorrichtung fuer einen sicherheitsgurt
JPH03157245A (ja) * 1989-11-14 1991-07-05 Takata Kk シートベルトのプリテンショナー装置
JPH04103453A (ja) * 1990-08-24 1992-04-06 Takata Kk バネ式プリテンショナーのトリガー
JPH06270761A (ja) 1993-03-18 1994-09-27 Honda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張力調整装置
US5588611A (en) * 1994-03-10 1996-12-31 Nsk Ltd. Retractor with a clamping mechanism
KR200240653Y1 (ko) 2001-04-21 2001-10-12 윤용호 자동차 안전벨트의 조임 방지장치
JP3094867U (ja) 2002-12-25 2003-07-04 溪▲せん▼ 蔡 シートベルト調整装置
TW200517073A (en) * 2003-11-18 2005-06-01 Britax Childcare Pty Ltd Seat belt retraction mechanism
JP2006306142A (ja) 2005-04-26 2006-11-09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CN1944119A (zh) 2006-11-02 2007-04-11 陈伟国 婴儿拉紧机
JP5477229B2 (ja) 2010-08-26 2014-04-23 信越半導体株式会社 半導体単結晶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2371966B (zh) 2010-08-27 2015-03-25 孙寅贵 一种安全、舒适、方便使用的汽车安全带的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962A (ko) * 1998-06-05 2000-01-15 심명섭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하는화상형성장치
KR200245382Y1 (ko) * 2001-05-25 2001-10-29 정창덕 콤팩트디스크 보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9452A1 (zh) 2014-10-23
JP6186497B2 (ja) 2017-08-23
KR101766480B1 (ko) 2017-08-08
US9821760B2 (en) 2017-11-21
US20160082921A1 (en) 2016-03-24
RU2622525C2 (ru) 2017-06-16
EP2987687A4 (en) 2016-12-14
CA2909549C (en) 2018-01-30
RU2015148994A (ru) 2017-05-22
BR112015026322A2 (pt) 2017-07-25
CN105121235B (zh) 2017-04-19
CN105121235A (zh) 2015-12-02
JP2016520472A (ja) 2016-07-14
EP2987687A1 (en) 2016-02-24
CA2909549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480B1 (ko) 록킹 장치, 차량용 시트벨트 조절장치, 및 차량용 시트벨트
US7506413B2 (en) Web position adjusting device
US4913497A (en) Belt tightener for seat belts in vehicles
JP5606495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5022449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
US9566886B2 (en) Vehicle seat
US4310176A (en)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an automobile vehicle
CA1187459A (en) Belt clamps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s
US8052170B2 (en) Locking height adjuster for a seat belt
KR101788193B1 (ko)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JP2018187968A (ja) シートベルト用ロッキングタングおよ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4723571B2 (ja) 安全ベルトの舌片及び安全ベルト装置
JPH0777863B2 (ja) 車両のシ−トベルト装置
CN101578204A (zh) 用于机动车辆的安全带系统
US5823457A (en) Safety belt reeling device with comfort function
US8931851B2 (en) Seat belt adjuster
US4667894A (en) Webbing lock apparatus
US4159084A (en) Retractor for restraining webbings
CN115303148A (zh) 车辆座椅碰撞保护装置和车辆座椅
US4319667A (en) Locking device for seatbelt systems
JPH037235Y2 (ko)
JP2010280337A (ja) アンカ位置調節装置
JPS5828614Y2 (ja) シ−トベルトロツク装置
CN109415031B (zh) 安全带张紧和吸震装置及包括该装置的儿童座椅
JPH03244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