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081A - 포머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포머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081A
KR20160033081A KR1020157037020A KR20157037020A KR20160033081A KR 20160033081 A KR20160033081 A KR 20160033081A KR 1020157037020 A KR1020157037020 A KR 1020157037020A KR 20157037020 A KR20157037020 A KR 20157037020A KR 20160033081 A KR20160033081 A KR 20160033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air
stem
guid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939B1 (ko
Inventor
히로시 미즈시마
츠요시 사사키
야스히토 야마모토
히로유키 카토
토시히로 타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89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96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89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186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8943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96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8945A external-priority patent/JP620706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6003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05B7/003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3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sieves, porous memb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4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5Two outlet valves being placed in a delivery conduit, one downstream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05B11/308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 B05B7/005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6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sieves, porous memb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effervescing the liquids, e.g. for forming bubbles or be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4Venting means for venting during the initial insertion of a pis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포머 디스펜서(10)에 있어서, 누름 헤드(15)는 스템 상측에 배치된 정상벽부(top wall part)(43), 및 정상벽부(43)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스템에 장착된 장착통부(44)를 갖는 헤드 본체(41)와, 정상벽부(43)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고, 장착통부(44) 및 안내통부(17)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장통부(42)를 구비하고, 외장통부(42) 내는 안내통부 내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 내로 연통 가능하게 되고, 헤드 본체(41)와 외장통부(42)는 별체로 형성되어, 서로 부착되고, 외장통부(42)의 상단부에는 외장통부(42)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측을 향해 개구되는 흡기 구멍(51a, 51b)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포머 디스펜서{FOAMER DISPENSER}
본 발명은 포머 디스펜서(foamer dispenser)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3년 7월 17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48943호, 2013년 7월 17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48944호, 2013년 7월 17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48945호, 및 2013년 7월 17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4894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포머 디스펜서가 알려져 있다. 이 포머 디스펜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장착 캡과, 장착 캡에 상방 가압 상태로 하향 이동 가능하게 세워 설치된 스템을 갖는 토출기와, 스템에 장착되고, 노즐 구멍이 형성된 누름 헤드를 구비한다.
토출기는 스템에 연계하는 액용 피스톤과, 액용 피스톤이 내부에 상하 방향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용된 액용 실린더와, 스템에 연계하는 공기용 피스톤과, 공기용 피스톤이 내부에 상하 방향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용된 공기용 실린더를 구비한다. 토출기는 또한, 액용 실린더로부터의 액체와 공기용 실린더로부터의 공기를 혼합하는 기액 혼합실과, 기액 혼합실과 노즐 구멍 사이에 배치되어, 기액 혼합실로부터의 기액 혼합체를 발포하는 발포 부재를 구비한다.
장착 캡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 상에 배치된 환 형상의 천벽부와, 천벽부의 내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안내통부를 구비한다. 누름 헤드는 스템의 상측에 배치된 정상벽부와, 정상벽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스템에 장착된 장착통부와, 정상벽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장착통부 및 안내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장통부를 구비한다. 외장통부 내는 안내통부 내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 내로 연통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포머 디스펜서에서는 누름 헤드를 눌러서 스템을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향 이동시키면, 토출기가 작동하여 노즐 구멍으로부터 거품 형태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그 후, 누름 헤드의 누름을 해제하여 가압력에 의해 누름 헤드를 스템과 함께 상측으로 복원 이동시키면, 공기용 실린더 내가 부압이 된다. 그러면, 공기가 포머 디스펜서의 외부에서, 외장통부의 내주면과 안내통부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이하, "통간 간극"이라고 함)을 통해서 외장통부 내에 흡인되어, 안내통부 내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 내로 흡입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0212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머 디스펜서에서는 장착 캡의 외면 상에, 예를 들어, 물 등의 이물이 부착해 있으면, 누름 헤드가 상측으로 복원 이동했을 때에, 공기와 함께 이물이 통간 간극을 통해 외장통부 내로 흡인되어, 공기용 실린데 내로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머 디스펜서에서는 예를 들어, 성형 상의 관점에서, 누름 헤드에 대해 정상벽부 및 장착통부의 연결체(이하, 헤드 본체라고 함)와, 외장통부를 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외장통부를 헤드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낙하에 의한 충격 등으로 분리되거나, 덜거덕거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머 디스펜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헤드가 비스듬히 눌러지는 경우가 있고, 이 비스듬한 누름을 규제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머 디스펜서에서는 예를 들어, 성형 상의 관점에서, 누름 헤드에 대해, 헤드 본체와, 외장통부를 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누름 헤드를 비스듬히 누르면, 지름 방향으로 외장통부와 헤드 본체의 위치 관계가 불안정해지기 쉽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머 디스펜서에서는 누름 헤드를 누를 때에, 예를 들어, 토출 구멍이 개구되는 노즐통부를 사용자가 잡으면서 누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장착 캡에 대해서 토출기가 비스듬히 눌러져, 토출기를 하향으로 똑바로 누르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토출기의 비스듬한 누름을 규제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용 실린더 내에 물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포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외장통부를 헤드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포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누름 헤드의 비스듬한 누름을 규제하여 지름 방향으로 외장통부와 헤드 본체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킬 수 있는 포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누름 헤드를 눌렀을 때에, 토출기가 장착 캡에 대해 비스듬하게 눌러지거나 덜거덕거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포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장착 캡과, 상기 장착 캡에 상방 가압 상태로 하향 이동 가능하게 세워 설치된 스템을 갖는 토출기와, 상기 스템에 장착되고, 노즐 구멍이 형성된 누름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기는 상기 스템에 연계하는 액용 피스톤과, 상기 액용 피스톤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용된 액용 실린더와, 상기 스템에 연계하는 공기용 피스톤과, 상기 공기용 피스톤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용된 공기용 실린더와, 상기 액용 실린더로부터의 액체와 상기 공기용 실린더로부터의 공기를 혼합하는 기액 혼합실과, 상기 기액 혼합실과 상기 노즐 구멍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액 혼합실로부터의 기액 혼합체를 발포하는 발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캡은 상기 개구부 상에 배치된 환 형상의 천벽부와, 상기 천벽부에 세워 설치된 안내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 헤드는 상기 스템의 상측에 배치된 정상벽부, 및 상기 정상벽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스템에 장착된 장착통부를 갖는 헤드 본체와, 상기 정상벽부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통부 및 상기 안내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장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통부 내는 상기 안내통부 내를 통하여 상기 공기용 실린더 내로 연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헤드 본체와 상기 외장통부는 별체로 형성되어, 서로 부착되고, 상기 외장통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외장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측을 향해 개구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외장통부의 상단부에 흡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 헤드의 누름을 해제하여 공기용 실린더 내가 부압이 될 때에, 외기를 외장통부 내에 흡기 구멍을 통해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가 외장통부의 내주면과 안내통부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이하, "통간 간극"이라고 함)을 통해 외장통부 내로 흡인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통간 간극으로부터 이물이 외기와 함께 외장통부 내로 흡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용 실린더 내로 이물이 침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이 외장통부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기 구멍이 누름 헤드의 외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이 상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외장통부를 금형에 의해 성형할 때에, 금형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포머 디스펜서를 간편하게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외장통부의 외주면에 있는 상기 흡기 구멍의 개구 주연부에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해져 상기 흡기 구멍에 연통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외장통부의 외주면에 있는 흡기 구멍의 개구 주연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 등의 이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또한, 외기를 흡기 구멍에 오목부를 통해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기를 외장통부 내로 흡기 구멍을 통해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헤드 본체에는 상기 정상벽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흡기 구멍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는 피복벽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헤드 본체에 피복벽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흡기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포머 디스펜서의 외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정상벽부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흡기 구멍의 내주연에서 둘레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정상벽부에 한 쌍의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헤드 본체와 외장통부가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려고 했을 때에, 걸림부가 흡기 구멍의 내주연에 걸림으로써, 이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을 둘레 방향으로 좁히도록 외장통부가 변형하려고 했을 때에, 걸림부가 흡기 구멍의 내주연에 걸림으로써, 이 변형을 규제할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걸림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이나 변형을 규제하면서, 외장통부의 내부와 외부를 흡기 구멍에서 한 쌍의 걸림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통해서 확실하게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기를 외장통부 내로 흡기 구멍을 통해서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정상벽부에, 하측을 향해 돌출하여, 장착통부에 외측에서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 통부가 설치되고, 걸림부가 장착통부와 끼워 맞춤 통부를 연결하고 있을 경우에는, 걸림부가 흡기 구멍의 내주연에 걸렸을 때에, 지름 방향으로 걸림부의 양단부를 장착통부 및 끼워 맞춤 통부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술한 회전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정상벽부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여,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지지판부가 설치되고, 지름 방향으로 상기 지지판부의 내측 단부는 상기 장착통부에 연결되고, 지름 방향으로 상기 지지판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외장통부를 자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정상벽부에 복수의 지지판부가 배치되고, 또한 지름 방향으로 지지판부의 내측 단부가 장착통부에 연결되고, 지름 방향으로 지지판부의 외측 단부가 외장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외장통부가 헤드 본체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덜거덕거리려고 했을 때에, 외장통부를 지지판부를 개재하여 정상벽부 및 장착통부에 지지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장통부를 헤드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어, 외장통부와 헤드 본체와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정상벽부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장착통부에 외측에서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 통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정상벽부에 끼워 맞춤 통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장통부를 지지판부와 끼워 맞춤 통부 사이에 지름 방향으로 끼우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외장통부를 헤드 본체에 한층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걸림부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름 방향으로 내측 단부가 상기 장착통부에 연결된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 중, 상기 외장통부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통내부분은 상기 흡기 구멍 내에 위치하는 부분보다도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외장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걸림부의 통내부분이 외장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지판부뿐만 아니라 걸림부의 통내부분에 의해서도 외장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외장통부를 헤드 본체에 한층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외장통부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외장통부의 내주면에 가이드 리브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누름 헤드가 비스듬하게 눌러졌을 때에, 안내통부를 가이드 리브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안내통부에 의해 외장통부의 지름 방향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장통부의 지름 방향 위치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지름 방향으로 외장 통부와 헤드 본체와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외장통부 중, 상기 안내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리브가 외장통부 중, 안내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누름 헤드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에, 가이드 리브를 안내통부에 지름 방향으로 양쪽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외장통부의 지름 방향 위치를 한층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헤드 본체에는 상기 장착통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외장통부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고, 돌출부 내에 상기 노즐 구멍이 형성된 노즐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외장통부 중, 둘레 방향의 위치가 상기 노즐통부와 동등해진 부분에 배치된 제1 가이드 리브와,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에 대해 상기 안내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운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2 가이드 리브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헤드 본체에 노즐통부가 구비되어 있고, 예를 들어, 노즐통부를 잡은 상태로 누름 헤드를 누를 경우에는, 누름 헤드가 비스듬히 눌러지기 쉽고, 외장통부와 헤드 본체와의 위치 관계가, 노즐통부가 연장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에 대해 불안정해지기 쉽다.
여기서, 제1 가이드 리브 및 제2 가이드 리브가 외장통부 중, 전후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누름 헤드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 제1 가이드 리브 및 제2 가이드 리브에 의해, 외장통부의 전후 방향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장통부와 헤드 본체와의 전후 방향의 위치 관계를 확실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장착 캡과, 상기 장착 캡에 상방 가압 상태로 하향 이동 가능하게 세워 설치되는 스템, 및 상기 스템에 장착되어 토출 구멍이 형성된 누름 헤드를 갖는 토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기는 상기 스템에 연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액용 피스톤과, 상기 액용 피스톤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액용 실린더와, 상기 스템에 연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용 피스톤과, 상기 공기용 피스톤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공기용 실린더와, 상기 액용 실린더로부터 이송되는 내용물과 상기 공기용 실린더로부터 이송되는 공기를 혼합하는 기액 혼합실과, 상기 기액 혼합실과 상기 토출 구멍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액 혼합실에서 혼합된 기액 혼합체를 발포시키는 발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캡은 상기 토출기가 상하로 삽입 통과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기 중, 상기 안내부 내에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부분의 외주면, 및 상기 안내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는 다른 쪽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 의하면, 토출기에서 장착 캡의 안내부 내에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부분의 외주면, 및 장착 캡의 안내부의 내주면 중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 헤드를 눌렀을 때에, 토출기가 하측을 향해 똑바로 이동하지 않고,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가이드 리브가 다른 쪽 주면 상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상하로 움직인다. 이로 인해, 장착 캡에 대해서 토출기가 바로 아래가 아니고, 비스듬히 전방으로나 비스듬히 후방으로 눌러지는 것이나 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누름 헤드를 눌렀을 때에, 토출기가 장착 캡에 대해서 비스듬히 눌리거나 덜거덕거리거나 하는 것(이하, 덜거덕거림 등으로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억제할 수 있고, 지름 방향으로 토출기와 장착 캡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누름 조작이 안정하다. 즉, 포머 디스펜서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공기용 피스톤은 내부 슬라이딩통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슬라이딩통에는 상기 스템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개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스템이 삽입 통과된 환 형상의 천벽부와, 상기 천벽부의 내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안내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내부 슬라이딩통 및 상기 천벽부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리브를 갖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리브로서, 공기용 피스톤의 내부 슬라이딩통 및 장착 캡의 천벽부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3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므로, 장착 캡의 천벽부에 대해 토출기의 공기용 피스톤이 상하로 움직일 때의 덜거덕거림 등이 억제되어, 상술한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천벽부에는 상기 내부 슬라이딩통이 삽입되는 삽입통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천벽부의 삽입통과, 공기용 피스톤의 내부 슬라이딩통과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접촉 가능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술한 토출기의 덜거덕거림 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제3 가이드 리브는 상기 내부 슬라이딩통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공기용 피스톤의 내부 슬라이딩통에는 스템이 삽입되어 내부 슬라이딩통 및 스템은 장착 캡의 천벽부 내측에 삽입 통과해 있다. 이 구성의 경우에, 제3 가이드 리브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길이를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술한 토출기의 덜거덕거림 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서, 상기 누름 헤드는 상기 스템의 상측에 배치되는 정상벽부, 및 상기 정상벽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스템에 장착되는 장착통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장착통부 및 상기 안내통부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 가이드 리브를 갖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리브로서, 누름 헤드의 장착통부 및 장착 캡의 안내통부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4 가이드 리브가 설치된다. 따라서, 장착 캡의 안내통부에 대해 토출기의 누름 헤드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덜거덕거림 등이 억제되어, 상술한 효과가 더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경우, 제3 가이드 리브와 제4 가이드 리브를, 상하 방향을 따르는 다른 위치에 배치할(상하로 격리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토출기의 덜거덕거림 등을 특별히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 의하면, 공기용 실린더 내에 물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 의하면, 외장통부를 헤드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함으로써, 낙하에 의한 충격 등으로 분리되거나, 덜거덕거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에 의하면, 누름 헤드의 비스듬한 누름을 규제하여 지름 방향으로 외장통부와 헤드 본체와의 위치 관계를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머 디스펜서에 따르면, 누름 헤드를 눌렀을 때에, 토출기가 장착 캡에 대해 비스듬히 눌러지거나 덜거덕거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포머 디스펜서의 요부에 관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포머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누름 헤드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A-A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누름 헤드를 구성하는 외장통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외장통부를 전방에서 본 도면으로, 좌우 방향의 편측을 종단면으로 한 반쪽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외장통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토출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10)에 대해 설명한다.
포머 디스펜서(10)는 내용물(내용액)을 거품 형태로 하여 토출한다. 내용물로서는 예를 들어, 피부 세정액(보디 워셔)을 들 수 있다. 내용물의 일례에 관한 성분표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성분 질량%
라우릴 아미노프로피온산 나트륨 3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20
N-코코일메틸 타우린 나트륨 2
폴리옥시에틸렌(2)알킬(12-14)술포숙신산 이나트륨 10
소르비톨 3
글리세린 3
프로필렌 글리콜 20
벤조산 나트륨 0.9
시트르산 0.7
봉밀 0.1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액 0.1
색소 0.01
정제수 잔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머 디스펜서(1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의 개구부(1a)에 장착되는 장착 캡(11)과, 장착 캡(11)에 상방 가압 상태로 하향 이동 가능하게 세워 설치된 스템(12)을 갖는 토출기(13)와, 스템(12)에 장착되고, 노즐 구멍(14)이 형성된 누름 헤드(15)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 캡(11)은 상하로 개구되는 통 형태로 형성되고, 누름 헤드(15)는 정부(頂部)를 갖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 캡(11), 스템(12) 및 누름 헤드(15)의 각 중심축선은 공통 축 상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이 공통 축을 축선(O)이라 하고, 축선(O)을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상하 방향을 따르는 누름 헤드(15) 쪽을 상측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하측이라 한다. 축선(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 하고, 축선(O) 주위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장착 캡(11)은 용기 본체(1)의 개구부(1a) 상에 배치된 환 형상의 천벽부(16)와, 천벽부(16)의 내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안내통부(17)와, 천벽부(16)의 외주연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개구부(1a)에 장착되는 장착주벽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1a)와 장착주벽부(18)는 예를 들어, 나사식 결합이나 언더컷 등으로 끼워 맞춰져 있다.
안내통부(17)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내측 가이드 볼록부(17a)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가이드 볼록부(17a)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통부(17)에서, 내측 가이드 볼록부(17a)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누름 헤드(15)의 누름을 규제하는 평면도에서 보아 C자형의 규제 부재(19)가 탈착이 자유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스템(12)은 장착 캡(11)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스템(12)은 하측 스템(20)과, 상측 스템(21)을 구비하고 있다.
하측 스템(20)의 상단부는 안내통부(17)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스템(20)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 형상의 밸브좌(22)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좌(22)에는 구 형상의 액 토출 밸브(23)가 착좌 및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측 스템(20)의 상단부 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지주를 개재하여 형성된 누름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지주는 하측 스템(20)의 상단부 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된다. 지주의 하단부는 밸브좌(22) 위에 위치해 있다. 복수의 지주 사이에는 유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스템(21)의 하단부는 하측 스템(20)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끼워 맞춰져 있다. 상측 스템(21)은 장착 캡(11)의 안내통부(17) 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상측 스템(21)에서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는 지름축소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스템(21)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세로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홈(21b)의 상단부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개구되고, 세로홈(21b)의 하단부는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토출기(13)는 스템(12)에 연계하는 액용 피스톤(25)과, 액용 피스톤(25)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용된 액용 실린더(26)와, 스템(12)에 연계하는 공기용 피스톤(27)과, 공기용 피스톤(27)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용된 공기용 실린더(28)와, 액용 실린더(26)로부터의 액체와 공기용 실린더(28)로부터의 공기를 혼합하는 기액 혼합실(29)과, 기액 혼합실(29)과 노즐 구멍(14) 사이에 배치되고, 기액 혼합실(29)로부터의 기액 혼합체를 발포하는 발포 부재(30)를 더 구비하고 있다.
공기용 실린더(28)는 바닥부를 갖는 통 형태로 형성되고, 액용 실린더(26)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용 실린더(28) 및 액용 실린더(26)는 축선(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공기용 실린더(28)의 상단 개구부는 장착 캡(11)의 내면과 개구부(1a)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패킹을 개재하여 밀봉되어 있다. 액용 실린더(26)는 공기용 실린더(28)의 바닥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해 있다. 액용 실린더(26) 및 공기용 실린더(2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액용 실린더(26)는 공기용 실린더(28)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용 피스톤(27)은 공기용 실린더(28) 내에 기밀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진 외부 슬라이딩통(31)과, 외부 슬라이딩통(31)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템(12)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된 내부 슬라이딩통(32)과, 외부 슬라이딩통(31)의 내주면과 내부 슬라이딩통(3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판(33)과, 연결판(3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구멍(34)과, 공기구멍(34)을 개폐하는 밸브체(35)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슬라이딩통(32) 내에는 하측 스템(20)이 삽입되어 있다. 내부 슬라이딩통(32)의 상단부는 상측 스템(21)의 하단부 내에 상측 스템(21)의 내주면 위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있다.
내부 슬라이딩통(32)의 상단 가장자리와 상측 스템(21)의 내면 사이에는 상하 방향의 간극인 연통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간극(S)에는 상측 스템(21)의 세로홈(21b)의 하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측 스템(21)의 하단부는 내부 슬라이딩통(32)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볼록 리브부(32a)의 상단부에 간격을 두어 대향해 있다.
하측 스템(20)의 외주면에서 내부 슬라이딩통(32) 내에 삽입된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스템 홈(20a)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슬라이딩통(3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볼록부 사이에 스템 홈(20a)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스템 홈(20a)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스템 홈(20a)의 상단부는 연통 간극(S)에 연통해 있다.
기액 혼합실(29)은 하측 스템(20)과 상측 스템(21) 사이에 설치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누름 부재(24)와 상측 스템(21)(지름축소부(21a) 부근)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기액 혼합실(29)은 세로홈(21b), 연통 간극(S) 및 스템 홈(20a)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 통로(36)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28) 내와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스템(20) 중, 공기용 실린더(28)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 형상의 돌기형상부(37)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형상부(37)의 상면 부분은 공기용 피스톤(27)의 내부 슬라이딩통(32)의 하단 가장자리에 맞닿아있다. 따라서, 공기용 실린더(28) 내에 있는 공기 통로(36)의 개구부를 막고, 공기용 실린더(28)의 내부와 기액 혼합실(29)과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액용 피스톤(25)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점차 지름이 축소되는 다단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액용 피스톤(25)은 스템(12) 내에 액밀 상태로 끼워 맞춰진 상측 통부(25a)와 스템(12)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돌출하여, 액용 실린더(26) 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진 하측 통부(25b)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통부(25a)와, 액용 실린더(26) 하단부의 내면 사이에는 액용 피스톤(25)을 상방 가압 상태로 하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38)이 배치되어 있다.
액용 피스톤(25) 및 액용 실린더(26)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봉 형태의 밸브 부재(39)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39)의 상단부는 액용 피스톤(25)의 상측 통부(25a)의 상단 개구부에 착좌 및 이탈 가능한 상부 밸브체(39a)로 되어 있다. 밸브 부재(39)의 하단부는 액용 실린더(26) 내의 하단 개구부에 착좌 및 이탈 가능한 하부 밸브체(39b)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포 부재(30)는 스템(12) 내에 설치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상측 스템(21)의 상단부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발포 부재(30)는 통체의 개구단 가장자리 위에 망체가 배치된 발포 엘리먼트(30a)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도시된 예에서는 2개 연이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발포 엘리먼트(30a) 중, 상측에 위치하는 발포 엘리먼트(30a)에서는 통체의 양단 개구 가장자리 중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만 망체가 배치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발포 엘리먼트(30a)에서는 통체의 양단 개구 가장자리 중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만 망체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발포 엘리먼트(30a)는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측에 위치하는 발포 엘리먼트(30a)의 망체(가는 눈)와 하측에 위치하는 발포 엘리먼트(30a)의 망체(거친 눈)의 눈의 거칠음을 바꿈으로써, 보다 지극히 고운 거품을 생성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헤드(15)는 헤드 본체(41)와, 외장통부(42)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본체(41)와 외장통부(42)는 별체로 형성되고, 서로 부착되어 있다. 헤드 본체(41)는 정상벽부(43)와, 장착통부(44)와, 끼워 맞춤 통부(45)와, 피복벽부(46)와, 노즐통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정상벽부(43)는 스템(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통부(44)는 정상벽부(43)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스템(12)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통부(44)는 축선(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측 스템(21)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끼워 맞춰져 있다.
장착통부(44)의 하단부는 안내통부(17) 내에 삽입되어 있다. 장착통부(44)는 안내통부(17)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장착통부(44)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규제 리브(44a)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 리브(44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규제 리브(44a)의 상단부는 정상벽부(43)에 연결되어 있다. 규제 리브(44a)의 하단부는 상측 스템(21)의 상단부에 맞닿아있다.
끼워 맞춤 통부(45)는 정상벽부(43)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축선(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끼워 맞춤 통부(45)는 장착통부(44)의 상단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싼다.
노즐통부(47)는 장착통부(44)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끼워 맞춤 통부(45)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돌출해 있다. 노즐통부(47) 내는 장착통부(44)의 상단부 내를 통해 스템(12) 내에 연통해 있다. 노즐통부(47)의 돌출 단부 내에는 노즐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지름 방향 중에, 노즐통부(47)가 연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전후 방향을 따라 노즐 구멍(14)이 개구되는 방향을 전측이라 하고, 그 반대측을 후측이라고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벽부(46)는 정상벽부(43)의 외주연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해 있다. 피복벽부(46)는 포머 디스펜서(10)를 상하 방향에서 본 평면도로 봤을 때, 전방을 향해 개구되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벽부(46)의 주단부는 노즐통부(47)의 둘레 방향을 따른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피복벽부(46)는 장착통부(44)의 상단부 및 끼워 맞춤 통부(45)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통부(42)는 정상벽부(43)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외장통부(42)의 상단 가장자리는 정상벽부(43)의 하면에 맞닿아있고, 외장통부(42)의 상단부는 끼워 맞춤 통부(45)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외장통부(42)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 형상의 돌출부(48)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48)는 끼워 맞춤 통부(45)의 내주면에 끼워 맞춰져(언더컷 끼워 맞춤 등) 있다.
외장통부(42)는 장착통부(44) 및 안내통부(17)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싼다. 외장통부(42) 내는 안내통부(17) 내를 통하여 공기용 실린더(28) 내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장통부(42)의 하단부는 장착통부(44)의 하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동등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장통부(42)의 하단부는 안내통부(17)의 상단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싼다.
외장통부(42)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외측 가이드 볼록부(42a)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가이드 볼록부(42a)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가이드 볼록부(42a)는 누름 헤드(15)를 누르기 전의 상태에서는 내측 가이드 볼록부(17a)에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어, 내측 가이드 볼록부(17a)에 근접해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통부(42)의 상단부에는 흡기 구멍(51a, 51b)이 형성되어 있다. 흡기 구멍(51a, 51b)은 외장통부(42)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흡기 구멍(51a)을 제1 흡기 구멍(51a)이라 칭하고, 흡기 구멍(51b)을 제2 흡기 구멍(51b)이라고도 칭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흡기 구멍(51a)이 외장통부(42)에서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쪽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1 흡기 구멍(51a)은 서로 동등한 형태로, 또한 동등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흡기 구멍(51a)은 포머 디스펜서(10)를 좌우 방향에서 본 측면도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장통부(42)의 외주면에 있는 흡기 구멍(51a, 51b)의 개구 주연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고, 흡기 구멍(51a, 51b)에 연통하는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2)는 외장통부(42)의 외주면에 있는 제1 흡기 구멍(51a)의 개구 주연부 중, 제1 흡기 구멍(51a)에 하측에서 이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52)는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2)의 둘레 방향의 크기는 제1 흡기 구멍(51a)의 둘레 방향의 크기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흡기 구멍(51a)은 끼워 맞춤 통부(45) 및 피복벽부(46)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여 있다. 제1 흡기 구멍(51a)은 포머 디스펜서(10)의 외부와, 오목부(52)를 통해 연통해 있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흡기 구멍(51b)은 외장통부(42)에서 전측에 위치한다. 제2 흡기 구멍(51b)은 제2 흡기 구멍(51b)의 둘레 방향 위치가 노즐통부(47)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흡기 구멍(51b) 내에는 노즐통부(47)가 상측에서 끼워져 있다. 노즐통부(47)는 제2 흡기 구멍(51b)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하고, 외장통부(42)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제2 흡기 구멍(51b)의 둘레 방향의 크기는 노즐통부(47)의 둘레 방향의 크기와 동등하다. 노즐통부(47)의 측면은 제2 흡기 구멍(51b)의 내주연에서, 둘레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린다.
제2 흡기 구멍(51b)은 노즐통부(47)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크다. 따라서, 노즐통부(47)의 하면과, 제2 흡기 구멍(51b)의 내주연에서 상측을 향하는 부분 사이에는 상하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외장통부(42)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53a, 53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53a, 53b)는 누름 헤드(15)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에, 안내통부(17)(도시된 예에서는 안내통부(17)의 내측 가이드 볼록부(17a))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가이드 리브(53a, 53b)는 외장통부(42) 중, 안내통부(17)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리브(53a)를 제1 가이드 리브(53a)로, 가이드 리브(53b)를 제2 가이드 리브(53b)라고도 칭한다.
제1 가이드 리브(53a)는 외장통부(42)의 전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이드 리브(53a)는 제2 흡기 구멍(51b)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리브(53a)의 상단부는 제2 흡기 구멍(51b)의 내주연보다도 하측에 위치해 있다. 제1 가이드 리브(53a)의 하단부는 외측 가이드 볼록부(42a)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리브(53a)는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해 있어서, 외측 가이드 블록(42a)의 표면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리브(53a)는 외장통부(42)의 전방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3개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제1 가이드 리브(53a)는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3개의 제1 가이드 리브(53a) 중, 둘레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것은 축선(O)에 대하여 전방 정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가이드 리브(53b)는 제1 가이드 리브(53a)에 대하여 지름 방향으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인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리브(53b)는 외장통부(42) 후부의 상하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 리브(53b)의 하단부는 외측 가이드 볼록부(42a)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가이드 리브(53b)는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해 있어, 외측 가이드 볼록부(42a)의 표면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리브(53b)는 외장통부(42)의 후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2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가이드 리브(53b)는 외장통부(42) 중, 축선(O)에 대해 후방 정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본체(41)의 정상벽부(43)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부(54)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부(54)는 흡기 구멍(51a, 51b)의 내주연에서 둘레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린다.
한 쌍의 걸림부(54)는 2개의 제1 흡기 구멍(51a) 각각에 설치되어 있어, 정상벽부(43)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부(54)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을 따라서 곧게 연장해 있다. 걸림부(54)에서 둘레 방향을 향하는 표면이 제1 흡기 구멍(51a)의 내주연에 걸려서, 이 내주연에 근접하거나 또는 맞닿아있다.
걸림부(54)는 장착통부(44)와 끼워 맞춤 통부(45)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걸림부(54)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 단부가 장착통부(44)에 연결되고, 지름 방향으로 외측 단부가 끼워 맞춤 통부(45)에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54)의 상하 방향의 크기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단 형태로 작아져 있다. 걸림부(54) 중, 외장통부(42)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통내부분(54a)은 통내부분(54a)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고, 제1 흡기 구멍(51a) 내에 배치된 부분보다도 하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통내부분(54a)은 외장통부(42)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어, 외장통부(42)의 내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근접하거나 맞닿아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벽부(43)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판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부(55)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다. 지지판부(55)는 평면에서 보아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어,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부(55)는 둘레 방향에서 한 쌍의 걸림부(54) 사이의 부분과, 노즐통부(47)를 둘레 방향으로 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으로 지지판부(55)의 내측 단부는 장착통부(44)에 연결되어 있다. 지름 방향으로 지지판부(55)의 외측 단부는 외장통부(42)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어, 외장통부(42)의 내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근접하거나 맞닿아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부(55)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배치됨으로써 판부열(56)을 구성하고 있다. 외장통부(42)는 판부열(56)에 대해서 외측에서 끼워 맞춰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머 디스펜서(10)에서, 내용물을 토출할 때에는 규제 부재(19)를 분리하여, 누름 헤드(15)를 누른다. 그러면, 안내통부(17)가 장착통부(44)와 외장통부(42) 사이의 간극에 진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통부(44)로부터 노즐통부(47)가 전방을 향해 돌출해 있다. 따라서, 누름 헤드(15)를 누를 때, 예를 들어, 노즐통부(47)를 잡으면, 누름 헤드(15)를 바로 아래가 아니라 비스듬히 전방이나 비스듬히 후방으로 눌러, 전후 방향으로 외장통부(42)와 헤드 본체(41)와의 위치 관계가 불안정해지기 쉽다. 그러나 제1 가이드 리브(53a) 및 제2 가이드 리브(53b)가 외장통부(42) 중, 전후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 헤드(15)를 누를 때에, 가이드 리브(53a, 53b)에 의해 외장통부(42)의 전후 방향 위치가 안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 헤드(15)를 누르면, 안내통부(17)가 장착통부(44)와 외장통부(42)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고, 스템(12) 및 액용 피스톤(25)이 코일 스프링(38)을 상하 방향으로 압축 변형시키면서 아래로 이동한다.
이때, 내부 슬라이딩통(32)의 하단과, 스템(12)에서의 돌기형상부(37)의 상면 부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공기 통로(36)를 통해서 공기용 실린더(28) 내와 기액 혼합실(29) 내가 연통한다.
또한, 이때 액용 피스톤(25)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액용 피스톤(25)의 상단부가 밸브 부재(39)의 상부 밸브체(39a)로부터 아래로 이탈하고, 액용 실린더(26) 내와 스템(12) 내가 연통한다. 또한, 밸브 부재(39)의 하부 밸브체(39b)도 아래로 이동시키고, 하부 밸브체(39b)가 액용 실린더(26) 내의 하단 개구부에 착좌하여 폐색한다.
누름 헤드(15)를 더 누르면, 공기용 피스톤(27)도 밸브체(35)가 공기구멍(34)을 폐색한 상태로 아래로 이동시키고, 공기용 실린더(28) 내에서 공기용 피스톤(27)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실 내의 공기가 압축하게 된다. 이로써, 하실 내의 공기가 공기용 피스톤(27)에서의 내부 슬라이딩통(32)의 하단과, 스템(12)의 돌기형상부(37)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공기 통로(36) 내로 유입하여 기액 혼합실(29)로 이송된다.
또한, 이때, 밸브 부재(39)의 하부 밸브체(39b)가 액용 실린더(26)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로, 액용 피스톤(25)이 아래로 이동하므로, 액용 실린더(26) 내의 액체가 상승하여 스템(12) 내에 도달한다. 그래서 액용 실린더(26) 내의 액압이 스템(12) 내의 액 토출 밸브(23)에 작용하고, 액 토출 밸브(23)가 밸브좌(22)로부터 위로 이탈됨으로써, 액용 실린더(26) 내의 액체를 기액 혼합실(29) 내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기액 혼합실(29) 내에서 액체 및 공기를 합류시키고, 발포 부재(30)를 통과시켜 액체를 발포시킨 후에, 장착통부(44)의 상단부 내 및 노즐통부(47) 내를 통과시켜 노즐 구멍(14)에서 거품체를 토출시킨다.
그 후, 누름 헤드(15)의 누름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액용 피스톤(25)이 위로 밀어 올려진다. 이로 인해, 액용 피스톤(25)의 상측 통부(25a)의 상단 개구부가 상부 밸브체(39a)에 맞닿아, 액용 실린더(26) 내와 스템(12) 내의 연통이 차단된다. 또한, 하부 밸브체(39b)가 액용 실린더(26) 내의 하단 개구부에서 이탈하고, 용기 본체(1) 내와 액용 실린더(26) 내가 연통하여, 용기 본체(1) 내의 내용물이 액용 실린더(26) 내로 유입한다. 또한, 이때, 용기 본체(1) 내가 부압이 되고, 공기용 실린더(28)에 있어서, 외부 슬라이딩통(31)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된 도입 구멍을 통하여, 공기용 실린더(28) 내에서 공기용 피스톤(27) 위쪽에 위치하는 상실 내의 공기가 용기 본체(1) 내에 도입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승하는 액용 피스톤(25)과 함께, 스템(12) 및 누름 헤드(15)가 일체적으로 상승한다. 스템(12)의 돌기형상부(37)가 공기용 피스톤(27)의 내부 슬라이딩통(32)의 하단 가장자리에 맞닿음으로써, 공기 통로(36)를 통한 하실과 기액 혼합실(29)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스템(12) 및 공기용 피스톤(27)이 일체적으로 상승하여 하실의 내압이 저하됨으로써, 밸브체(35)가 열려 공기구멍(34)이 개방되고, 하실 내에 흡기 구멍(51a, 51b), 외장통부(42) 내 및 안내통부(17) 내를 통해 외기가 흡입된다.
그런데 예를 들어, 외장통부(42)에 흡기 구멍(51a, 51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포머 디스펜서에서는 누름 헤드(15)가 상방으로 복원 이동할 때에, 외기가 외장통부(42)의 내주면과 안내통부(17)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이하에서는 '통간 간극'이라고 함)을 통해 외장통부(42) 내에 흡인되고, 안내통부(17) 내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28) 내로 흡입된다. 여기서, 장착 캡(11)의 외면 상에 예를 들어, 물 등의 이물이 부착해 있으면, 누름 헤드(15)가 상방으로 복원 이동했을 때에, 이물이 공기와 함께 통간 간극을 통해 외장통부(42) 내에 흡인되고, 공기용 실린더(28) 내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포머 디스펜서(10)에서는 외장통부(42)의 상단부에 흡기 구멍(51a, 5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 헤드(15)의 누름을 해제하여 공기용 실린더(28) 내가 부압이 될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외기를, 흡기 구멍(51a, 51b)을 통해 외장통부(42) 내로 흡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기가 통간 간극을 통해 외장통부(42) 내로 흡인되는 것이 억제되고, 통간 간극으로부터 이물이 외기와 함께 외장통부(42) 내로 흡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10)에 의하면, 외장통부(42)의 상단부에 흡기 구멍(51a, 5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통간 간극에서 이물이 외기와 함께 외장통부(42) 내로 흡인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공기용 실린더(28) 내로의 이물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51a, 51b)이 외장통부(4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기 구멍(51a, 51b)이 누름 헤드(15)의 외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51a, 51b)이 상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이 외장통부(42)를 금형에 의해 성형할 때에, 금형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포머 디스펜서(10)를 간편하게 형성하기 쉬울 수 있다.
또한, 외장통부(42)의 외주면에 있는 흡기 구멍(51a, 51b)의 개구 주연부에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 등의 이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또한, 외기를 흡기 구멍(51a, 51b)에 오목부(52)를 통해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기를 외장통부(42) 내에 흡기 구멍(51a, 51b)을 통해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본체(41)에 피복벽부(4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흡기 구멍(51a, 51b)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포머 디스펜서(10)의 외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정상벽부(43)에 한 쌍의 걸림부(5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헤드 본체(41)와 외장통부(42)가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려고 했을 때에, 걸림부(54)가 흡기 구멍(51a, 51b)의 내주연에 걸림으로써, 이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51a, 51b)을 둘레 방향으로 좁히도록 외장통부(42)가 변형되려고 했을 때에, 걸림부(54)가 흡기 구멍(51a, 51b)의 내주연에 걸림으로써, 이 변형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걸림부(54)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이나 변형을 규제하면서, 외장통부(42)의 내부와 외부를 흡기 구멍(51a, 51b)에 있어서, 한 쌍의 걸림부(54)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통해 확실하게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외기를 외장통부(42) 내에 흡기 구멍(51a, 51b)을 통해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상벽부(43)에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장착통부(44)에 외측에서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 통부(45)가 설치되고, 걸림부(54)가 장착통부(44)와 끼워 맞춤 통부(45)를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걸림부(54)가 흡기 구멍(51a, 51b)의 내주연에 걸렸을 때에, 걸림부(54)의 지름 방향으로 양 단부를 장착통부(44) 및 끼워 맞춤 통부(45)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술한 회전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정상벽부(43)에 복수의 지지판부(55)가 배치되고, 또한 지지판부(55)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 단부가 장착통부(44)에 연결되고, 지지판부(55)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 단부가 외장통부(42)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외장통부(42)가 헤드 본체(41)에 대하여 지름 방향으로 덜거덕거리려고 했을 때에, 외장통부(42)를 지지판부(55)를 개재하여 정상벽부(43) 및 장착통부(44)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장통부(42)를 헤드 본체(41)에 견고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어, 외장통부(42)와 헤드 본체(41)와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상벽부(43)에 끼워 맞춤 통부(4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장통부(42)를 지지판부(55)와 끼워 맞춤 통부(45) 사이에 지름 방향으로 끼우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장통부(42)를 헤드 본체(41)에 한층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54)의 통내부분(54a)이 외장통부(42)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지판부(55)뿐만 아니라, 걸림부(54)의 통내부분(54a)에 의해서도 외장통부(42)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장통부(42)를 헤드 본체(41)에 한층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외장통부(42)의 내주면에 가이드 리브(53a, 53b)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누름 헤드(15)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에, 안내통부(17)를 가이드 리브(53a, 53b)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안내통부(17)에 의해 외장통부(42)의 지름 방향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장통부(42)의 지름 방향 위치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지름 방향으로 외장통부(42)와 헤드 본체(41)와의 위치 관계를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53a, 53b)가 외장통부(42) 중, 안내통부(17)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 헤드(15)가 비스듬히 눌려졌을 때에, 가이드 리브(53a, 53b)를 안내통부(17)에 지름 방향으로 양쪽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지름 방향으로 외장통부(42)의 위치를 한층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리브(53a) 및 제2 가이드 리브(53b)가 외장통부(42) 중, 전후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누름 헤드(15)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에, 제1 가이드 리브(53a) 및 제2 가이드 리브(53b)에 의해, 외장통부(42)의 전후 방향 위치를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외장통부(42)와 헤드 본체(41)와의 위치 관계를 확실하게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규제 부재(19)가 없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가이드 리브(53a) 및 제2 가이드 리브(53b)가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리브가 외장통부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가이드 리브(53a, 53b)가 외장통부(42) 중, 안내통부(17)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53a, 53b)가 없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걸림부(54)의 통내부분(54a)이 외장통부(42)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걸림부(54)가 장착통부(44)와 끼워 맞춤 통부(45)를 연결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걸림부(54)가 없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노즐통부(47), 끼워 맞춤 통부(45) 및 피복벽부(46)가 없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노즐 구멍이 외장통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판부(55)가 없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오목부(52)가 없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흡기 구멍(51a) 및 제2 흡기 구멍(51b)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기 구멍으로서 제1 흡기 구멍 및 제2 흡기 구멍 중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101)를 구비하는 토출 용기(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용기(110)는 포머 디스펜서(101)와 용기 본체(10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02)에는 액상 내용물(내용액)이 수용된다. 포머 디스펜서(101)는 용기 본체(102) 내의 내용물을 거품 형태로 하여 용기 외부로 토출한다. 내용물로서는 예를 들어, 피부 세정액(보디 워셔)을 들 수 있다. 내용물의 일례로서는 상술한 표 1에 나타낸 성분표를 사용한다.
도 8에 있어서, 포머 디스펜서(101)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02)의 개구부(103)에 장착되는 장착 캡(104)과, 장착 캡(104)에 상방 가압 상태로 하향 이동 가능하게 세워 설치되는 스템(105), 및 스템(105)에 장착되고, 토출 구멍(106)이 형성된 누름 헤드(107)를 갖는 토출기(108)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기(108)는 액용 피스톤(111)과, 액용 실린더(112)와, 공기용 피스톤(113)과, 공기용 실린더(114)와, 기액 혼합실(115)과, 발포 부재(116)를 구비하고 있다. 액용 피스톤(111)은 스템(105)에 연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액용 실린더(112)의 내부에는 액용 피스톤(111)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공기용 피스톤(113)은 스템(105)에 연계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공기용 실린더(114)의 내부에는 공기용 피스톤(113)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기액 혼합실(115)은 액용 실린더(112)로부터 이송되는 내용물과 공기용 실린더(114)로부터 이송되는 공기를 혼합한다. 발포 부재(116)는 기액 혼합실(115)과 토출 구멍(106) 사이에 배치되고, 기액 혼합실(115)에서 혼합된 기액 혼합체를 발포시킨다. 액용 피스톤(111), 액용 실린더(112), 공기용 피스톤(113), 공기용 실린더(114), 기액 혼합실(115) 및 발포 부재(116)는 토출기(108)의 토출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포머 디스펜서(101)에 있어서, 용기 본체(102)에 대해 누름 헤드(107)를 눌러 스템(105)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토출 기구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102) 내의 내용물이 상측으로 이송되어 공기와 혼합된다. 이로써 얻어지는 기액 혼합체가 발포되어 생기는 거품 형태의 내용물이 누름 헤드(107)의 토출 구멍(106)에서 용기측을 향해 토출된다.
도 8에 있어서, 용기 본체(102)의 개구부(103), 장착 캡(104), 스템(105) 및 누름 헤드(107)는 각각의 중심축선이 공통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공통 축을 축선(O)이라 하고, 축선(O) 방향을 따르는 누름 헤드(107) 쪽(도 8에서 위쪽)을 상측, 용기 본체(102)의 바닥부 쪽(도 8에서 아래쪽)을 하측이라고 한다. 또한, 축선(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 하고, 축선(O) 주위를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장착 캡(104)은 용기 본체(102)의 개구부(103)에 장착되는 주벽부(장착주벽부)(117)와, 주벽부(117)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 이어지고, 토출기(108)가 상하로 삽입 통과되는 안내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주벽부(117)가 개구부(103)에 나사식 장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주벽부(117)는 개구부(103)에 대해서 나사식 장착 이외의 예를 들어, 언더컷 끼워 맞춤 등으로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안내부(118)는 개구부(103) 상에 배치되고, 스템(105)이 삽입 통과된 환 형태의 천벽부(119)와, 천벽부(119)의 내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안내통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벽부(117)에 대해 안내통부(120)는 소직경으로 되어 있고, 주벽부(117)의 상단부와 안내통부(120)의 하단부가 원환 판 형태의 천벽부(119)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천벽부(119)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지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121)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천벽부(119)의 내주연부에는 삽입통(122)이 천벽부(119)의 내주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리브(121)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 단부가 삽입통(122)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천벽부(119)의 삽입통(122)의 내부 직경이 안내통부(120)의 내부 직경보다도 작아지고 있다.
안내통부(120)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환 형상의 내측 가이드 볼록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통부(120)에 있어서 내측 가이드 볼록부(123)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안내통부(120)에 대한 누름 헤드(107)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124)가 장착되어 있다. 규제 부재(124)는 포머 디스펜서(101)를 상측에서 본 상면도로 봤을 때 C자형을 이루고 있고, 안내통부(120)에 이탈 가능하게 외측에서 끼워져 있다.
안내통부(120)의 내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가이드 리브(12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머 디스펜서(101)는 가이드 리브(125)로서 후술하는 제3 가이드 리브(131) 및 제4 가이드 리브(132)를 갖고 있고, 안내통부(120)에 설치된 가이드 리브(125)는 제4 가이드 리브(132)로 되어 있다.
포머 디스펜서(101)에는 토출기(108) 중, 안내부(118) 내에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부분의 외주면, 및 안내부(118)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 리브(125)가 설치되어 있다. 제4 가이드 리브(132)는 안내통부(120) 및 후술하는 누름 헤드(107)의 장착통부(157)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4 가이드 리브(132)가 안내통부(120)에 장착통부(157)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공기용 실린더(114)는 주벽과 바닥벽을 갖는 통 형태로 형성된다. 주벽의 상단 개구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가 용기 본체(102)의 개구부(103) 상면에 설치된 패킹과, 장착 캡(104)의 천벽부(119) 사이에 상하 방향에서 끼워짐으로써, 공기용 실린더(114)는 용기 본체(102) 및 장착 캡(104)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공기용 실린더(114)의 바닥벽은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액용 실린더(112)는 공기용 실린더(1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액용 실린더(112)는 공기용 실린더(114)의 바닥벽 내주연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는 기단통부(126)와, 기단통부(126)의 하단에서 하측을 향해 연이어 설치되고,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로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통부(127)와, 테이퍼통부(127)의 하단에서 하측을 향해 연이어 설치된 수하통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액용 실린더(112)에서 기단통부(126)와 테이퍼통부(127)가 연결된 부분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 리브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수하통부(128) 내에는 용기 본체(102)의 바닥부를 향해 연장하는 빨아올림관이 끼워 맞춰져 있다.
액용 실린더(112) 내부에는 액용 피스톤(111)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액용 피스톤(111)은 스템(105)에 연계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용 피스톤(111)은 스템(105)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템(105)에 연결되어 있다. 액용 피스톤(111)은 통 형태로 형성된다. 액용 피스톤(111)의 하단부에는 액용 실린더(112) 내에 액밀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대직경부(129)가 설치된다. 액용 피스톤(111)의 상단부에는 밸브 부재(135)의 상부 밸브체(136)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소직경부(130)가 설치된다. 액용 피스톤(111)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에는 대직경부(129)및 소직경부(130)를 연결하는 중직경부(133)가 설치되어 있다.
액용 피스톤(111)은 액용 피스톤(111)의 상단부와 액용 실린더(112)의 세로 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 부재(134)에 의해 상방 가압되어 있다. 가압 부재(134)로서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나 수지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액용 실린더(112), 액용 피스톤(111) 및 가압 부재(134) 내에는 봉 형태의 밸브 부재(13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밸브 부재(135)의 상단부에는 중공의 역원추 형태의 상부 밸브체(136)가 형성되고, 밸브 부재(135)의 하단부에는 하부 밸브체(13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밸브체(136)는 액용 피스톤(111)의 상단부(소직경부(130))에 형성된 밸브좌부에, 밸브좌부의 상측에서 격리 가능하게 착좌해 있다. 하부 밸브체(137)는 액용 실린더(112)의 테이퍼통부(127)에서 상측으로 격리되어 있어, 테이퍼통부(127)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부 밸브체(137)의 외주면에는 액용 실린더(112)의 세로 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볼록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템(105)은 용기 본체(102)의 개구부(103) 내를 상방 가압 상태로 하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템(105)은 하측 스템(138)과 상측 스템(139)을 구비하고 있다. 하측 스템(138) 및 상측 스템(139)은 모두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스템(138)은 공기용 실린더(114) 내에 삽입 통과된다. 하측 스템(138)은 그 하측 부분이 상측 부분보다도 대직경이 되도록 형성된다. 하측 스템(138)의 하측 부분은 액용 피스톤(111)의 중직경부(133)에 외부에서 끼워지고, 하측 스템(138)의 상측 부분의 하단부는 액용 피스톤(111)의 소직경부(130)에 외부에서 끼워져 있다. 하측 스템(138)에서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연결 부분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환 형태의 플랜지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스템(138)의 상측 부분에서의 연결 부분보다도 상측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고,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환 형태의 밸브좌(141)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좌(141)에는 구 형상을 이루는 액 토출 밸브(151)가 상측으로 격리 가능하게 착좌해 있다.
하측 스템(138)의 상단부는 안내통부(120)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스템(138)의 상단부 내에는 지주를 개재하여 형성된 천정이 있는 통 형태의 누름 부재(142)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142)는 밸브좌(141) 상에 올려져, 하측 스템(138)과 밸브좌(141) 사이에 언더컷 끼워 맞춤으로 되어 있다. 누름 부재(142)의 지주 사이에는 지주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통 구멍이 개구되어 있다. 누름 부재(142)의 천벽에는 상측을 향해 상통이 설치되고, 또한 하측을 향해 하통이 설치된다.
상측 스템(139)은 장착 캡(104)의 안내통부(120) 내에 삽입 통과되고, 하측 스템(138)의 상단부에 외부에서 끼워져 있다. 상측 스템(139)의 하단부는 상측 스템(139)에서 하단부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하측 스템(138)의 상단부에 외부에서 끼워진 외측 끼워 맞춤 부분보다도, 내부 직경이 커져 있다. 상측 스템(139)에서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에는 다른 부위보다도 내부 직경이 작은 지름축소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스템(139)의 내주면에서 지름축소부(143)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홈(144)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홈(144)의 상단부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개구되어 기액 혼합실(115)에 연통해 있고, 세로홈(144)의 하단부는 하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공기용 피스톤(113)은 공기용 실린더(114)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공기용 피스톤(113)은 스템(105)에 연계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용 피스톤(113)은 스템(105)의 상하 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스템(105)에 대해서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기용 피스톤(113)은 외부 슬라이딩통(145)과, 내부 슬라이딩통(146)과, 연결판(147)과, 공기구멍(148)과, 밸브체(149)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슬라이딩통(145)은 공기용 실린더(114) 내에 기밀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진다. 내부 슬라이딩통(146)은 외부 슬라이딩통(145)보다도 소직경이고, 외부 슬라이딩통(145)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내부 슬라이딩통(146)은 스템(105)의 하측 스템(138)의 상측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부에서 끼워진다. 연결판(147)은 외부 슬라이딩통(145)의 내주면과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외주면을 연결한다. 공기구멍(148)은 연결판(147)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밸브체(149)는 연결판(147)의 하면에 격리 가능하게 맞닿고, 공기구멍(148)을 개폐 가능하게 폐색한다.
내부 슬라이딩통(146)에는 하측 스템(138)에서 플랜지부(140)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밸브좌(141)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공기용 피스톤 대응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슬라이딩통(146) 내에는 하측 스템(138)의 공기용 피스톤 대응 부분이 삽입되고,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내주면과 공기용 피스톤 대응 부분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은 상측에서 세로홈(144) 내에 연통하고, 하측에서 플랜지부(140)와 연결판(147) 사이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114) 내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140)에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이 착좌하는 상태에서는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내주면과 공기용 피스톤 대응 부분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과 공기용 실린더(114) 내와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하측 스템(138)의 공기용 피스톤 대응 부분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홈(150)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세로홈(150)은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후술하는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3 가이드 리브(131)끼리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상단부에는 상측 스템(139)의 하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외부에서 끼워져 있다.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상단부와 하단부(구체적으로는 내부 슬라이딩통(146)에서 연결판(147)에 연결된 연결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가이드 리브(131)(가이드 리브(1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 슬라이딩통(146)은 장착 캡(104)의 천벽부(119)의 삽입통(122) 내에 삽입되어 있다.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하단 가장자리는 플랜지부(140)에 격리 가능하게 착좌해 있다.
여기서, 제3 가이드 리브(131)는 내부 슬라이딩통(146) 및 천벽부(119)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가이드 리브(131)가 내부 슬라이딩통(146)에 천벽부(119)의 삽입통(12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가이드 리브(131)의 상측에는 상측 스템(139)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가 제3 가이드 리브(131) 사이에 간극을 두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연결판(147)은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하단부와, 외부 슬라이딩통(145)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중앙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 연결하고 있다. 연결판(147)은 원환 판 형태, 또는 정부를 갖고, 하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지름이 확대되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용 실린더(114) 내는 연결판(147)에 의해 상실과 하실로 구획되어 있다. 연결판(147)의 공기구멍(148)을 통해, 이들 상실과 하실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액 혼합실(115)은 액용 실린더(112)로부터의 내용물과 공기용 실린더(114)로부터의 공기를 혼합한다. 기액 혼합실(115)은 스템(105)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기액 혼합실(115)은 하측 스템(138)의 상단부 내에 배치된 누름 부재(142)와, 상측 스템(139)의 지름축소부(143) 부근 사이에 위치해 있다. 기액 혼합실(115)은 공기용 실린더(114)의 하실에, 세로홈(144) 내, 내부 슬라이딩통(146)과 하측 스템(138)의 공기용 피스톤 대응 부분과의 간극, 및 세로홈(150) 내로 이루어지는 공기 도입로(152)를 통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발포 부재(116)는 스템(105) 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포 부재(116)는 상측 스템(139)의 상단부 내에 끼워 맞춰져, 지름축소부(143) 상에 올려져 있다. 발포 부재(116)는 통체의 개구연부에 망체가 쳐진 발포 엘리먼트(153)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연이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포 엘리먼트(153)가 상하로 2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발포 엘리먼트(153) 중, 상측에 위치하는 발포 엘리먼트(153)는 통체의 상단 개구연부에만 망체가 설치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발포 엘리먼트(153)는 통체의 하단 개구연부에만 망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포 엘리먼트(153)와 망체는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측에 위치하는 발포 엘리먼트(153)의 망체(가는 눈)와 하측에 위치하는 발포 엘리먼트(153)의 망체(거친 눈)의 눈의 거칠기를 바꿈으로써, 보다 지극히 고운 거품을 생성시킬 수 있다.
기액 혼합실(115) 내에서 내용물과 공기가 혼합됨으로써 얻어지는 기액 혼합체는 기액 혼합실(115)로부터 지름축소부(143) 내를 통해 발포 부재(116) 내를 유통함으로써 거품 형태로 발포하게 된다.
누름 헤드(107)는 헤드 본체(154)와, 외장통부(155)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본체(154)와 외장통부(155)는 별체로 형성되고, 서로 부착되어 있다. 헤드 본체(154)는 정상벽부(156)와, 장착통부(157)와, 끼워 맞춤 통부(158)와, 피복벽부(159)와, 노즐통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정상벽부(156)는 스템(105)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통부(157)는 정상벽부(156)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해 스템(105)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통부(157)는 축선(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측 스템(139)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끼워 맞춰져 있다. 장착통부(157)의 하단부는 안내통부(120) 내에 삽입되어 있다. 장착통부(157)는 안내통부(120)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장착통부(157)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규제 리브(161)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 리브(16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규제 리브(161)의 상단부는 정상벽부(156)에 연결되어 있다. 규제 리브(161)의 하단부는 상측 스템(139)의 상단부에 맞닿아있다.
끼워 맞춤 통부(158)는 정상벽부(156)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축선(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끼워 맞춤 통부(158)는 장착통부(157)의 상단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싼다.
노즐통부(160)는 장착통부(157)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끼워 맞춤 통부(158)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돌출해 있다. 노즐통부(160) 내는 장착통부(157)의 상단부 내를 통해 스템(105) 내에 연통해 있다. 노즐통부(160)의 돌출 단부 내에는 토출 구멍(10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지름 방향 중, 노즐통부(160)가 연장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전후 방향을 따라 토출 구멍(106)이 개구되는 방향(도 8에서의 오른쪽)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측(도 8에서의 왼쪽)을 후방이라고 한다.
피복벽부(159)는 정상벽부(156)의 외주연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해 있다. 피복벽부(159)는 포머 디스펜서(101)를 상하 방향에서 본 평면도로 봤을 때, 전방을 향해 개구되는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벽부(159)의 주단부는 노즐통부(160)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피복벽부(159)는 장착통부(157)의 상단부 및 끼워 맞춤 통부(158)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고 있다.
외장통부(155)는 정상벽부(156)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외장통부(155)의 상단 가장자리는 정상벽부(156)의 하면에 맞닿아있어, 외장통부(155)의 상단부는 끼워 맞춤 통부(158)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외장통부(155)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 형상의 돌출부(162)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62)는 끼워 맞춤 통부(158)의 내주면에 끼워 맞춰져(언더컷 끼워 맞춤 등) 있다.
외장통부(155)는 장착통부(157) 및 안내통부(120)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싼다. 외장통부(155) 내는 안내통부(120) 내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114) 내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장통부(155)의 하단부는 장착통부(157)의 하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동등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장통부(155)의 하단부는 안내통부(120)의 상단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싼다.
외장통부(155)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외측 가이드 볼록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가이드 볼록부(163)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가이드 볼록부(163)는 누름 헤드(107)를 누르기 전의 상태에서는 내측 가이드 볼록부(123)에 지름 방향으로 대향해 있어, 내측 가이드 볼록부(123)에 근접해 있다.
외장통부(155)의 상단부에는, 흡기 구멍(164, 165)이 형성되어 있다. 흡기 구멍(164, 165)은 외장통부(155)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흡기 구멍(164)을 제1 흡기 구멍(164)이라 칭하고, 흡기 구멍(165)을 제2 흡기 구멍(165)이라고도 칭한다.
2개의 제1 흡기 구멍(164)이 외장통부(155)에서, 지름 방향 중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1 흡기 구멍(164)은 서로 동등한 형태로 또한 동등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흡기 구멍(164)은 포머 디스펜서(101)를 좌우 방향에서 본 측면도로 봤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장통부(155)의 외주면에 있는 흡기 구멍(164, 165)의 개구 주연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고, 흡기 구멍(164, 165)에 연통하는 오목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66)는 외장통부(155)의 외주면에 있는 제1 흡기 구멍(164)의 개구 주연부 중, 제1 흡기 구멍(164)에 하측에서 이어지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166)는 측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66)의 둘레 방향의 크기는 제1 흡기 구멍(164)의 둘레 방향의 크기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제1 흡기 구멍(164)은 끼워 맞춤 통부(158) 및 피복벽부(159)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여있다. 제1 흡기 구멍(164)은 포머 디스펜서(101)의 외부와, 오목부(166)를 통해 연통해 있다.
제2 흡기 구멍(165)은 외장통부(155)에서 전방에 위치한다. 제2 흡기 구멍(165)은 제2 흡기 구멍(165)의 둘레 방향 위치가 노즐통부(160)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흡기 구멍(165) 내에는 노즐통부(160)가 상측에서 끼워져 있다. 노즐통부(160)는 제2 흡기 구멍(165)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하고, 외장통부(155)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돌출해 있다. 제2 흡기 구멍(165)의 둘레 방향의 크기는 노즐통부(160)의 둘레 방향의 크기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노즐통부(160)의 측면은 제2 흡기 구멍(165)의 내주연에서, 둘레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려 있다.
제2 흡기 구멍(165)은 노즐통부(160)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크다. 따라서, 노즐통부(160)의 하면과, 제2 흡기 구멍(165)의 내주연에서 상측을 향하는 부분 사이에는 상하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외장통부(155)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리브(167, 16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안내 리브(167, 168)는 누름 헤드(107)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 안내통부(120)(도시된 예에서는 안내통부(120)의 내측 가이드 볼록부(123))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다. 안내 리브(167, 168)는 외장통부(155) 중, 안내통부(120)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안내 리브(167)를 제1 안내 리브(167)(제1 가이드 리브)로 칭하고, 안내 리브(168)를 제2 안내 리브(168)(제2 가이드 리브)라고도 칭한다.
제1 안내 리브(167)는 외장통부(155)의 전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안내 리브(167)는 제2 흡기 구멍(165)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안내 리브(167)의 상단부는 제2 흡기 구멍(165)의 내주연보다도 하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안내 리브(167)의 하단부는 외측 가이드 볼록부(16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안내 리브(167)는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해 있어, 외측 가이드 볼록부(163)의 표면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안내 리브(167)는 외장통부(155)의 전방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3개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제1 안내 리브(167)는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3개의 제1 안내 리브(167) 중, 둘레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것은 축선(O)에 대해 전방 정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안내 리브(168)는 제1 안내 리브(167)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인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안내 리브(168)는 외장통부(155) 후부의 상하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안내 리브(168)의 하단부는 외측 가이드 볼록부(163)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안내 리브(168)는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해 있어, 외측 가이드 볼록부(163)의 표면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안내 리브(168)는 외장통부(155)의 후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2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안내 리브(168)는 외장통부(155) 중, 축선(O)에 대해 후방 정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헤드 본체(154)의 정상벽부(156)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부(169)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부(169)는 흡기 구멍(164, 165)의 내주연에서 둘레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린다.
한 쌍의 걸림부(169)는 2개의 제1 흡기 구멍(164)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어, 정상벽부(156)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부(169)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봤을 때 좌우 방향을 따라 곧게 연장해 있다. 걸림부(169)에서 둘레 방향을 향하는 표면이 제1 흡기 구멍(164)의 내주연에 걸려서, 이 내주연에 근접하거나 맞닿아있다.
걸림부(169)는 장착통부(157)와 끼워 맞춤 통부(158)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걸림부(169)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 단부가 장착통부(157)에 연결되고, 지름 방향으로 외측 단부가 끼워 맞춤 통부(158)에 연결되어 있다.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걸림부(169)의 상하 방향의 크기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단 형태로 작아져 있다. 걸림부(169) 중, 외장통부(155)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통내부분은 통내부분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고, 제1 흡기 구멍(164) 내에 배치된 부분보다도 하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통내부분은 외장통부(155)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어, 외장통부(155)의 내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근접하거나 맞닿아있다.
정상벽부(156)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판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부(170)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다. 지지판부(17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어,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부(170)는 둘레 방향에서 한 쌍의 걸림부(169) 사이에 있는 부분과, 노즐통부(160)를 둘레 방향으로 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부(170)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 단부는 장착통부(157)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판부(170)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 단부는 외장통부(155)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어, 외장통부(155)의 내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근접하거나 맞닿아있다. 지지판부(170)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배치됨으로써 판부열을 구성하고 있다. 외장통부(155)는 이 판부열에 대해 외측에서 끼워 맞춰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포머 디스펜서(101)에서, 누름 헤드(107)를 눌러 스템(105)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용기 본체(102) 내의 내용물이 이송되어 공기와 혼합되어 기액 혼합체가 되고, 기액 혼합체가 발포되어 생기는 거품 형태의 내용물이 토출 구멍(106)에서 토출된다.
토출 용기(110)의 사용 시에는 장착 캡(104)에서 규제 부재(124)를 이탈시킨후, 용기 본체(102)에 대해 누름 헤드(107)를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스템(105) 및 액용 피스톤(111)을 일체적으로 누른다.
이때,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이 하측 스템(138)의 공기용 피스톤 대응 부분의 외측을 상대 이동하고,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상단부가 상측 스템(139)의 내주면 상을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공기용 피스톤(113)의 상하 방향 위치가 유지된다. 그 결과, 하측 스템(138)의 플랜지부(140)와,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에, 공기 도입로(152)와 공기용 실린더(114)의 하실을 연통하는 연통 간극이 형성되고, 하실과 기액 혼합실(115)이 연통된다. 또한, 이때, 밸브 부재(135)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밸브 부재(135)의 하부 밸브체(137)가 액용 실린더(112)의 테이퍼통부(127)에 착좌하여, 액용 실린더(112)의 하단 개구부가 폐색된다.
상측 스템(139)의 하단 가장자리가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제3 가이드 리브(131)에 맞닿을 때까지 누름 헤드(107)를 누르면, 누름 헤드(107)와 함께 공기용 피스톤(113)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공기용 피스톤(113)의 외부 슬라이딩통(145)이 공기용 실린더(114) 주벽의 내주면 위를 하측을 향해 슬라이딩한다.
이때, 공기용 피스톤(113)의 연결판(147)에 그 하측에서 맞닿는 밸브체(149)는 연결판(147)의 하면에 밀접한 대로의 상태이고, 공기구멍(148)은 폐색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용 실린더(114)의 하실 내의 공기가 압축되고, 이 공기가 연통 간극 및 공기 도입로(152)를 통해 기액 혼합실(115)로 이송된다. 또한, 이때, 액용 실린더(112)의 하단 개구부가 폐색된 상태로, 가압 부재(134)를 압축 변형시키면서, 액용 피스톤(111)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밸브 부재(135)의 상부 밸브체(136)를 액용 피스톤(111)의 밸브좌부(소직경부(130))에서 격리시킨다. 이로 인해, 액용 실린더(112) 내부와 하측 스템(138)의 상측 부분의 내부가 연통되고, 액용 실린더(112) 내의 내용물이 밸브좌부의 내측 및 상부 밸브체(136)의 외측을 통해, 액 토출 밸브(151)를 눌러 밸브좌(141)의 내측을 통과하여, 기액 혼합실(115)로 이송된다.
이상과 같이, 누름 헤드(107)를 누름으로써, 기액 혼합실(115)에 공기 및 내용물이 각각 이송되고, 기액 혼합실(115)에서 합류하여 혼합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기액 혼합체는 발포 부재(116)로 이송되고, 하측의 발포 엘리먼트(153)의 망체 및 상측의 발포 엘리먼트(153)의 망체를 순차 통과함으로써 발포하게 되어 거품 형태가 되고, 노즐통부(160) 내를 유통하여 토출 구멍(106)에서 토출된다.
그 후, 누름 헤드(107)의 누름을 해제하면, 가압 부재(1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액용 피스톤(111)이 위로 밀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액용 피스톤(111)의 밸브좌부가 밸브 부재(135)의 상부 밸브체(136)에 맞닿아 닫히고, 기액 혼합실(115)로의 내용물의 이송이 정지된다. 또한, 하부 밸브체(137)는 액용 실린더(112) 내의 하단 개구부에서 이탈하고, 용기 본체(102) 내와 액용 실린더(112) 내가 연통하여, 용기 본체(102) 내의 내용물이 액용 실린더(112) 내에 유입한다. 또한, 이때, 용기 본체(102) 내가 부압이 되므로, 공기용 실린더(114)에서 외부 슬라이딩통(145)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도입 구멍을 통해, 공기용 실린더(114) 내에서 공기용 피스톤(113)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실 내의 공기가 용기 본체(102) 내에 도입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승하는 액용 피스톤(111)과 함께, 스템(105) 및 누름 헤드(107)가 일체적으로 상승하고, 하측 스템(138)의 플랜지부(140)가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하단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이로 인해, 공기 도입로(152)를 통한 공기용 실린더(114)의 하실과 기액 혼합실(115)과의 연통이 차단되고, 기액 혼합실(115)로의 공기의 이송이 정지된다. 그 후, 가압 부재(1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공기용 피스톤(113)이 밀어 올려짐으로써, 하실 내가 부압 상태가 되고, 공기용 피스톤(113)의 밸브체(149)가 하측으로 탄성 변형하게 되어, 공기구멍(148)이 개방된다. 이로 인해, 공기구멍(148), 공기용 실린더(114)의 상실, 안내통부(120) 내 및 외장통부(155) 내를 통해, 용기 외부에서 공기용 실린더(114)의 하실 내에 외기가 공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포머 디스펜서(101)에 따르면, 토출기(108)에서 장착 캡(104)의 안내부(118) 내에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부분(구체적으로는 장착통부(157), 상측 스템(139)의 하측 부분 및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의 외주면, 및 장착 캡(104)의 안내부(118)(구체적으로는 안내통부(120), 및 천벽부(119)의 삽입통(122))의 내주면 중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 리브(1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기의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누름 헤드(107)를 눌렀을 때에, 토출기(108)가 하측을 향해 곧게 이동하지 않고,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한쪽에 설치된 가이드 리브(125)가 다른 쪽 주면 상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장착 캡(104)에 대해 토출기(108)가 바로 아래가 아니라 비스듬히 전방이나 비스듬히 후방으로 눌리는 것이나 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누름 헤드(107)를 눌렀을 때에, 토출기(108)가 장착 캡(104)에 대해 비스듬히 눌린다거나 덜거덕거림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하에서는 덜거덕거림 등이라 약칭함)을 억제할 수 있고, 지름 방향으로 토출기(108)와 장착 캡(104)과의 위치 관계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누름 조작이 안정하다. 즉, 포머 디스펜서(101)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가이드 리브(125)로서,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 및 장착 캡(104)의 천벽부(119)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3 가이드 리브(13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캡(104)의 천벽부(119)에 대해 토출기(108)의 공기용 피스톤(113)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덜거덕거림 등이 억제되어서, 상술한 효과를 더욱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착 캡(104)의 천벽부(119)에는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이 삽입되는 삽입통(12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통(122)과 내부 슬라이딩통(146)과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접촉 가능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술한 토출기(108)의 덜거덕거림 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가이드 리브(131)가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용 피스톤(113)의 내부 슬라이딩통(146)에는 스템(105)이 삽입 통과되어, 내부 슬라이딩통(146)은 스템(105)과 함께 장착 캡(104)의 천벽부(119) 내측에 삽입 통과된다. 이 구성의 경우, 제3 가이드 리브(131)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길이를 더욱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술한 토출기(108)의 덜거덕거림 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해진다.
또한, 가이드 리브(125)로서, 누름 헤드(107)의 장착통부(157) 및 장착 캡(104)의 안내통부(120)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4 가이드 리브(13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캡(104)의 안내통부(120)에 대해 토출기(108)의 누름 헤드(107)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덜거덕거림 등이 억제되어, 상술한 효과가 더욱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경우, 제3 가이드 리브(131)와 제4 가이드 리브(132)를, 상하 방향을 따르는 다른 위치에 배치할(상하로 격리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토출기(108)의 덜거덕거림 등을 격별히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장통부(155)의 내주면에, 안내 리브(167, 168)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누름 헤드(107)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 안내통부(120)를 안내 리브(167, 168)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안내통부(120)에 의해 외장통부(155)의 지름 방향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장통부(155)의 지름 방향 위치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장착 캡(104)에 대한 누름 헤드(107)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름 방향으로 외장통부(155)와 헤드 본체(154)와의 위치 관계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헤드 본체(154)와 외장통부(155)가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포머 디스펜서(101)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리브(167, 168)가 외장통부(155) 중, 안내통부(120)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 헤드(107)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에, 안내 리브(167, 168)를 안내통부(120)에 지름 방향으로 양쪽 외측에서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게 하고, 외장통부(155)의 지름 방향 위치를 한층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내 리브(167) 및 제2 안내 리브(168)가 외장통부(155) 중, 전후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누름 헤드(107)가 비스듬히 눌러졌을 때에, 제1 안내 리브(167) 및 제2 안내 리브(168)에 의해, 외장통부(155)의 전후 방향 위치를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헤드(107)의 누름 시에, 가령 노즐통부(160)의 전단부를 눌러버리는 누름 헤드(107)를 앞으로 경사지게 하는 등의 외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장착 캡(104)에 대한 누름 헤드(107)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외장통부(155)와 헤드 본체(154)와의 전후 방향의 위치 관계를 확실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외장통부(155)의 상단부에 흡기 구멍(164, 16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기 효과가 얻어진다.
즉, 예를 들어, 종래와 같이, 외장통부(155)에 흡기 구멍(164, 16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포머 디스펜서에서는 누름 헤드(107)가 상측으로 복원 이동할 때에, 외기가 외장통부(155)의 내주면과 안내통부(120)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이하에서는 「통간 간극」이라고 함)을 통해 외장통부(155) 내에 흡인되고, 안내통부(120) 내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114) 내에 흡입된다. 여기서, 장착 캡(104)의 외면 상에, 예를 들어, 물 등의 이물이 부착해 있으면, 누름 헤드(107)가 상측으로 복원 이동했을 때에, 이물이 공기와 함께 통간 간극을 통해 외장통부(155) 내에 흡인되어, 공기용 실린더(114) 내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포머 디스펜서(101)에서는 외장통부(155)의 상단부에 흡기 구멍(164, 16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 헤드(107)의 누름을 해제하여 공기용 실린더(114) 내가 부압이 될 때, 외기를 흡기 구멍(164, 165)을 통해 외장통부(155) 내에 흡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기가 통간 간극을 통해 외장통부(155) 내에 흡인되는 것이 억제되고, 통간 간극으로부터 이물이 외기와 함께 외장통부(155) 내에 흡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공기용 실린더(114) 내로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164, 165)이 외장통부(155)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기 구멍(164, 165)이 누름 헤드(107)의 외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164, 165)이 상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이 외장통부(155)를 금형에 의해 성형할 때에, 금형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포머 디스펜서(101)를 간편하게 형성하기 쉬울 수 있다.
또한, 외장통부(155)의 외주면에 있는 흡기 구멍(164, 165)의 개구 주연부에 오목부(16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 등의 이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또한, 외기를 오목부(166)를 통해 흡기 구멍(164, 165)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기를 외장통부(155) 내에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본체(154)에 피복벽부(159)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흡기 구멍(164, 16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포머 디스펜서(101)의 외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정상벽부(156)에 한 쌍의 걸림부(16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헤드 본체(154)와 외장통부(155)가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려고 했을 때에, 걸림부(169)가 흡기 구멍(164, 165)의 내주연에 걸림으로써, 이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 구멍(164, 165)을 둘레 방향으로 좁히도록 외장통부(155)가 변형하려고 했을 때에, 걸림부(169)가 흡기 구멍(164, 165)의 내주연에 걸림으로써, 이 변형을 규제할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걸림부(169)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이나 변형을 규제하면서, 외장통부(155)의 내부와 외부를, 흡기 구멍(164, 165)에서 한 쌍의 걸림부(169)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통해 확실하게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외기를 외장통부(155) 내에 흡기 구멍(164, 165)을 통해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상벽부(156)에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장착통부(157)에 외측에서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 통부(158)가 설치되고, 걸림부(169)가 장착통부(157)와 끼워 맞춤 통부(158)를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걸림부(169)가 흡기 구멍(164, 165)의 내주연에 걸렸을 때에, 걸림부(169)의 지름 방향으로 양단부를 장착통부(157) 및 끼워 맞춤 통부(158)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술한 회전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정상벽부(156)에 복수의 지지판부(170)가 배치되고, 또한 지지판부(170)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 단부가 장착통부(157)에 연결되고, 지지판부(170)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 단부가 외장통부(155)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외장통부(155)가 헤드 본체(154)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덜거덕거리려고 했을 때에, 외장통부(155)를 지지판부(170)를 개재하여 정상벽부(156) 및 장착통부(157)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장통부(155)를 헤드 본체(154)에 견고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어, 외장통부(155)와 헤드 본체(154)와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상벽부(156)에 끼워 맞춤 통부(15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장통부(155)를 지지판부(170)와 끼워 맞춤 통부(158) 사이에 지름 방향으로 끼우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장통부(155)를 헤드 본체(154)에 한층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69) 중, 외장통부(155)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통내부분이 외장통부(155)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판부(170)뿐만 아니라, 걸림부(169)의 통내부분에 의해서도 외장통부(155)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장통부(155)를 헤드 본체(154)에 한층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3 가이드 리브(131)가 내부 슬라이딩통(146)에 천벽부(119)의 삽입통(12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3 가이드 리브(131)가 삽입통(122)에 내부 슬라이딩통(146)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4 가이드 리브(132)가 안내통부(120)에 장착통부(157)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4 가이드 리브(132)가 장착통부(157)에 안내통부(1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125)가 상측 스템(139)의 하측 부분에, 안내부(118)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규제 부재(124)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 리브(167) 및 제2 안내 리브(168)가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내 리브가 외장통부(155)의 내주면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안내 리브(167, 168)가 외장통부(155) 중, 안내통부(120)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안내 리브(167, 168)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걸림부(169)의 통내부분이 외장통부(155)를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걸림부(169)가 장착통부(157)와 끼워 맞춤 통부(158)를 연결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걸림부(169)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노즐통부(160), 끼워 맞춤 통부(158) 및 피복벽부(159)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토출 구멍(106)이 외장통부(155)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판부(170)가 없어도 된다.
또한, 오목부(166)가 없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흡기 구멍(164) 및 제2 흡기 구멍(165)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기 구멍으로서 제1 흡기 구멍 및 제2 흡기 구멍 중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흡기 구멍(164, 165)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고, 또한 상기한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머 디스펜서(10)에 있어서, 내부 슬라이딩통(32) 및 천벽부(16)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3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장착통부(44) 및 안내통부(17) 중 어느 한쪽에, 다른 쪽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4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용 실린더 내에 물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포머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통부를 헤드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포머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헤드의 비스듬한 누름을 규제하여 지름 방향으로 외장통부와 헤드 본체와의 위치 관계를 안정하게 할 수 있는 포머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헤드를 눌렀을 때에, 토출기가 장착 캡에 대해 비스듬히 눌러지거나 덜거덕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포머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1 용기 본체
1a 개구부
10 포머 디스펜서
11 장착 캡
12 스템
13 토출기
14 노즐 구멍
15 누름 헤드
16 천벽부
17 안내통부
25 액용 피스톤
26 액용 실린더
27 공기용 피스톤
28 공기용 실린더
29 기액 혼합실
30 발포 부재
41 헤드 본체
42 외장통부
43 정상벽부
44 장착통부
45 끼워 맞춤 통부
46 피복벽부
47 노즐통부
51a 제1 흡기 구멍
51b 제2 흡기 구멍
52 오목부
53a 제1 가이드 리브
53b 제2 가이드 리브
54 걸림부
54a 통내부분
55 지지판부
101 포머 디스펜서
102 용기 본체
103 개구부
104 장착 캡
105 스템
106 토출 구멍
107 누름 헤드
108 토출기
111 액용 피스톤
112 액용 실린더
113 공기용 피스톤
114 공기용 실린더
115 기액 혼합실
116 발포 부재
118 안내부
119 천벽부
120 안내통부
122 삽입통
125 가이드 리브
131 제3 가이드 리브
132 제4 가이드 리브
146 내부 슬라이딩통
156 정상벽부
157 장착통부

Claims (5)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장착 캡과,
    상기 장착 캡에 상방 가압 상태로 하향 이동 가능하게 세워 설치된 스템을 갖는 토출기와,
    상기 스템에 장착되고, 노즐 구멍이 형성된 누름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기는
    상기 스템에 연계하는 액용 피스톤과,
    상기 액용 피스톤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용된 액용 실린더와,
    상기 스템에 연계하는 공기용 피스톤과,
    상기 공기용 피스톤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용된 공기용 실린더와,
    상기 액용 실린더로부터의 액체와 상기 공기용 실린더로부터의 공기를 혼합하는 기액 혼합실과,
    상기 기액 혼합실과 상기 노즐 구멍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액 혼합실로부터의 기액 혼합체를 발포하는 발포 부재를 구비하는 포머 디스펜서로서,
    상기 장착 캡은 상기 개구부 상에 배치된 환 형상의 천벽부와, 상기 천벽부에 세워 설치된 안내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 헤드는
    상기 스템의 상측에 배치된 정상벽부, 및 상기 정상벽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해 상기 스템에 장착된 장착통부를 갖는 헤드 본체와,
    상기 정상벽부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통부 및 상기 안내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장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통부 내는 상기 안내통부 내를 통해 상기 공기용 실린더 내에 연통 가능하게 되고,
    상기 헤드 본체와 상기 외장통부는 별체로 형성되어, 서로 부착되고,
    상기 외장통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외장통부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측을 향해 개구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포머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통부의 외주면에 있는 상기 흡기 구멍의 개구 주연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흡기 구멍에 연통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머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에는 상기 정상벽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흡기 구멍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는 피복벽부가 구비되어 있는 포머 디스펜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에는 상기 정상벽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흡기 구멍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는 피복벽부가 구비되어 있는 포머 디스펜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벽부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흡기 구멍의 내주연에서 둘레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포머 디스펜서.
KR1020157037020A 2013-07-17 2014-07-16 포머 디스펜서 KR102150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8946A JP6159609B2 (ja) 2013-07-17 2013-07-17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JP-P-2013-148943 2013-07-17
JPJP-P-2013-148944 2013-07-17
JP2013148944A JP6118673B2 (ja) 2013-07-17 2013-07-17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JP-P-2013-148946 2013-07-17
JP2013148943A JP6159608B2 (ja) 2013-07-17 2013-07-17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JP-P-2013-148945 2013-07-17
JP2013148945A JP6207061B2 (ja) 2013-07-17 2013-07-17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PCT/JP2014/068898 WO2015008785A1 (ja) 2013-07-17 2014-07-16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081A true KR20160033081A (ko) 2016-03-25
KR102150939B1 KR102150939B1 (ko) 2020-09-02

Family

ID=5234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7020A KR102150939B1 (ko) 2013-07-17 2014-07-16 포머 디스펜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39924B2 (ko)
EP (1) EP3023352B1 (ko)
KR (1) KR102150939B1 (ko)
CN (1) CN105377709B (ko)
AU (1) AU2014291190B2 (ko)
CA (1) CA2916666C (ko)
WO (1) WO20150087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39755B2 (ja) 2021-05-31 2024-08-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容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7710B (zh) * 2013-07-17 2018-01-30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发泡剂分配器以及带发泡剂分配器的容器
GB201603949D0 (en) * 2016-03-08 2016-04-20 Rieke Packaging Systems Ltd Foam dispensers
JP6669692B2 (ja) * 2016-06-30 2020-03-18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GB2569192B (en) * 2017-12-11 2022-04-13 Metalfacture Ltd A sprung display case for dispensing products
CN111836569B (zh) * 2018-01-09 2022-08-09 里克有限责任公司 用于挤压发泡器的减小压力密封入口
WO2020017174A1 (ja) * 2018-07-18 2020-01-23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器
CN116636764B (zh) * 2023-05-10 2024-04-05 广州市龙昌日化包装有限公司 一种皂液器的出液泵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9384B2 (ja) * 1996-04-05 2004-09-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押下げノズルヘッド付きベローズポンプ
JP2009202122A (ja) 2008-02-28 2009-09-10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ポンプ
JP4868919B2 (ja) * 2006-04-06 2012-02-01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CA2823583A1 (en) * 2011-01-31 2012-08-09 Hiroshi Mizushima Foam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161U (ja) * 1993-03-05 1994-09-27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ンプ式泡出し容器
DE19845910A1 (de) 1998-10-06 2000-04-13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JP4781749B2 (ja) * 2005-08-16 2011-09-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器
CN2913241Y (zh) * 2006-03-06 2007-06-20 林添大 泡沫瓶
US8231031B2 (en) 2007-02-17 2012-07-31 Yaowu Ding Lotion pump and one-way valve incorporated therein
JP5244346B2 (ja) 2007-08-24 2013-07-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押下ヘッド
JP5261249B2 (ja) 2009-03-27 2013-08-14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器
JP5435794B2 (ja) * 2010-01-22 2014-03-05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ンプ式泡吐出容器
JP5413909B2 (ja) * 2010-03-31 2014-02-12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ンプ式泡吐出容器
JP2012210949A (ja) 2011-03-30 2012-11-01 Mitani Valve Co Ltd ポンプ式製品用の吸上げパイプならびに、この吸上げパイプを備えたポンプユニットおよびポンプ式製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9384B2 (ja) * 1996-04-05 2004-09-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押下げノズルヘッド付きベローズポンプ
JP4868919B2 (ja) * 2006-04-06 2012-02-01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JP2009202122A (ja) 2008-02-28 2009-09-10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ポンプ
CA2823583A1 (en) * 2011-01-31 2012-08-09 Hiroshi Mizushima Foam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39755B2 (ja) 2021-05-31 2024-08-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3352A1 (en) 2016-05-25
CA2916666C (en) 2021-06-01
US20160129459A1 (en) 2016-05-12
CN105377709A (zh) 2016-03-02
EP3023352A4 (en) 2017-03-29
AU2014291190A1 (en) 2016-01-21
KR102150939B1 (ko) 2020-09-02
EP3023352B1 (en) 2018-09-05
WO2015008785A1 (ja) 2015-01-22
AU2014291190B2 (en) 2017-10-19
CA2916666A1 (en) 2015-01-22
CN105377709B (zh) 2017-06-13
US9839924B2 (en)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3081A (ko) 포머 디스펜서
JP5873247B2 (ja) ポンプ式泡吐出容器
JP2009101258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101785252B1 (ko)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JP6159608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6315556B2 (ja) 泡吐出器
JP2017114551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678074B2 (ja) 吐出器
JP5729821B2 (ja) 泡吐出器の吐出ヘッド
JP6482386B2 (ja) 泡吐出器
JP6122771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2017196602A (ja) 吐出器
JP6122712B2 (ja) フォーマポンプ
JP6159609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6267998B2 (ja) 泡吐出器
JP6118673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2008136905A (ja) 泡噴出器
JP3278023B2 (ja) 泡噴出容器
JP7267179B2 (ja) 吐出器
JP2015020765A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6131142B2 (ja) フォーマポンプ
JP6945408B2 (ja) フォーマポンプ
JP7076304B2 (ja) 泡吐出器
JP6270544B2 (ja) 泡吐出器
JP6186188B2 (ja) フォーマ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