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494A -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 Google Patents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494A
KR20160029494A KR1020140119109A KR20140119109A KR20160029494A KR 20160029494 A KR20160029494 A KR 20160029494A KR 1020140119109 A KR1020140119109 A KR 1020140119109A KR 20140119109 A KR20140119109 A KR 20140119109A KR 20160029494 A KR20160029494 A KR 2016002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antibacterial
agent
printer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498B1 (ko
Inventor
김성진
김영혁
김형주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비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앤케이 filed Critical (주)비앤케이
Priority to KR102014011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498B1/ko
Priority to US14/582,594 priority patent/US9523160B2/en
Priority to PCT/KR2015/000862 priority patent/WO2016035949A1/ko
Publication of KR2016002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70/10Composites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g. mixtures of ceramics and polymers or mixtures of metals and bio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10B2331/04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 항균제, 유기 항균제, 천연 항균제 등을 첨가하여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를 사멸 혹은 억제시키는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Omitted.}
본 발명은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 항균제, 유기 항균제, 천연 항균제 등을 첨가하여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를 사멸 혹은 억제시키는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이나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프린터가 평면으로 된 2D 개체를 스캔, 복사, 출력하는 것처럼 3D 프린터는 물체에 대한 X축, Y축, Z축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체와 동일 혹은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3차원으로 출력할 수 있는 장비로써, 사용량이 꾸준히 증대되고 있다.
원래 3D 프린터는 상품화를 하기 전 시제품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활용 되었으나, 현재에는 맞춤형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을 중심으로 양산 가능한 제품의 성형에도 사용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조성되고 있으며 또한 세상에서 하나 뿐인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특별함을 가진 기계로써 향후 3D 프린터 시장은 급격하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3D 프린터의 제품 성형 방식으로 재료를 자르거나 깎는 방식의 전통적인 생산방식인 절삭가공형(Subtractive manufacturing)과 새로운 층을 켜켜이 쌓는 방식인 적층가공형(Addtive manufacturing)이 있으며, 주요 기술 방식으로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크게 사용하는 원료의 특징에 따라 액체, 파우더, 고체 기반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체 기반의 방식은 주로 고체 상태의 원료를 깎아서 만드는데, 원료의 가공 형태에는 차이가 있다.
FDM(Fused Deposition Modeling)은 실 형태의 원료를 녹여서 한 층씩 쌓는 방식이다.
3D 프린터 방식 중에서 현재 제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고, 가장 저렴한 방식이 FDM이다.
이처럼 가격이 저렴해 지면서 보급형 3D 프린터가 상용화 되었고, 3D 프린터의 사용은 산업용에서 가정용으로 까지 확대 되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부모님들은 아이들에게 3D 프린터를 이용해 장난감이나 악세사리 등을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창의력이나 감성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3D 프린터 필라멘트 재료를 이용하여 프린팅한 출력물은 많은 사람들이 만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오염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특히나 아이들의 경우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바이러스 및 독성으로 인한 큰 문제를 야기 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현재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3차원 인쇄를 통해 고형 물품 제조시 고화속도를 빠르게 하며, 미끄럼 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항균성을 제공하지 못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항균성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조성물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번호 10-1394119호(2014.05.07)
본 발명의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장균,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등과 같이 병을 일으키는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 혹은 억제시키는 항균기능 작용을 하는 무기, 유기, 천연계 항균제를 첨가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수지와 무기계 항균제, 유기계 항균제, 금속계 항균제, 암모늄염계 항균제, 구아니딘계 항균제, 구리 화합물계 항균제, 서방성 고분자 항균제 및 천연물계 항균제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항균 물질을 혼합하는 항균물질혼합단계(S100);
상기 항균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질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기능성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기능성마스터배치제조단계(S200);
상기 기능성 마스터배치와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한 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항균 플라스틱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항균플라스틱필라멘트제조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항균제가 함유되어 대장균,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등과 같이 병을 일으키는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 혹은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는 항균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도 마음껏 3D 프린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한 출력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대장균에 의한 항균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살모넬라균에 의한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 유기, 천연계 항균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마스터 배치와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를 압출 및 컴파운딩을 통해 생산된 항균성을 가진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유기 항균제는 주로 액상상태로 되어 있으며, 단시간에 항균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첨가된다.
유기 항균제는 일시적으로는 항균력이 무기 항균제에 비해 높으나 항균력 지속성은 매우 짧다.
그리고, 내성균을 발생시킬 우려와 함께 급성독성이 높기 때문에 인체 안전성에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유기 항균제는 그 사용 영역이 축소되고 있다.
무기 항균제는 주로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실리카겔 등과 같은 무기물에 항균작용을 하는 금속이온인 은, 아연, 구리 등을 치환시켜 만든 제품으로 현재 대부분의 플라스틱제품, 종이,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무기 항균제는 일시적인 항균력은 유기 항균제보다는 낮지만 인체 안전성이 높고, 내성균이 나타나지 않으며, 항균지속기간도 거의 반영구적이므로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무기 항균제는 주로 제올라이트계, 인산칼슘계, 인산지르코늄계 형태가 시판되고 있는데, 그 중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것은 제올라이트계 무기 항균제이다.
인산칼슘 계열의 무기 항균제는 제올라이트계 무기항균제와 비교하여 치환되는 금속이온의 농도가 낮아 항균력이 제올라이트계보다 낮은 단점이 있으며, 인산지르코늄계 무기 항균제는 또한 항균력이 낮고, 단가가 높으며, 항균제 입자의 경도가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제올라이트계 무기 항균제는 다른 항균제에 비해 변색문제가 없고, 항균력이 높고, 입자 경도가 낮은점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어진 항균제이기 때문에 적용방법이나 안전성 문제에서 탁월한 항균제이다.
천연물계 항균제는 목단피, 자몽종자, 대나무, 무화과, 쑥, 알로에, 단삼, 피톤치드, 녹차 추출물 등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것으로서,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여 소비자에게 친근감을 유발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내열성 및 광안정성 저하 및 단위 무게당 항균효능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이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항균물질혼합단계(S100)
상기 과정은 플라스틱 원료에 대해 무기계 항균제, 유기계 항균제, 금속계 항균제, 암모늄염계 항균제, 구아니딘계 항균제, 구리 화합물계 항균제, 서방성 고분자 항균제 및 천연물계 항균제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항균 물질을 이용해 기능성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3D 프린터 항균 필라멘트 조성물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원료(PLA, ABS, PP, PE, HIPS, EVA, TPO, RUBBER, NYLON 등)에 대해 유기계 항균제, 천연물계 항균제, 무기계 항균제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항균 물질을 함유시킨 기능성 마스터 배치 1 ~ 8 중량%와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92 ~ 99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합성 수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기능성이 함유된 3D 프린터 필라멘트 조성물의 주재료가 되는 성분으로 , 폴리락틱엑시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스틸렌, 에틸렌초산비닐,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고무, 나일론 등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락틱엑시드(PLA, Polylactic acid)는 옥수수 및 감자의 전분 등과 같이 100% 재생가능한 자원이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폐기처분시에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압출가공 온도는 180~220이다.
상기 아크릴리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은 범용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압출가공 온도는 215~250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은 내열성이 좋으며 내마모성이 좋다. 플라스틱중에서 가장 가벼우며 가공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며 압출가공 온도는 160~180이다.
상기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은 색채가 풍부하며 밝으며 극저온에서의 유연성이 좋고 고온에서도 잘 견디며 단열성이 우수하며 내약품성이 양호하다. 연소 때 연기가 거의 나지 않고 무독, 무취의 장점을 가지지만, 접착이 매우 힘들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도장이나 후가공이 힘든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이 임펙트 폴리스틸렌(HIPS, High Impact Polystyrene)은 내 충격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는 유연성, 내충격성, 질감성, 단열성, 보온성 등 고루 갖추고 있으며 발포를 달리하면 여러 종류의 EVA 생산이 가능하며 어린이 장난감 및 용품, 의류 및 가방 등의 잡화 및 포장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나일론(NYLON)은 기계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며 내마모성이 좋고 강인하며, 가볍고 내한성이 좋고 성형성도 뛰어난 특징을 가지며, 압출가공 온도는 210~250이다.
상기 기능성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항균제(5~15%),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85~95%)로 혼합 및 압출한다.
상기 기능성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과정 중 사용하는 항균제의 종류로는 무기 항균제의 경우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실리카겔 등과 같은 무기물에 항균 작용을 하는 금속이온인 은, 아연 구리 등을 치환시켜 만든 제품이고, 유기 항균제의 경우 4급 암모늄염계, 치아벤다졸계, 이소치아졸계, 징크 피리치온계, 이미다졸계, 카벤다졸계 등을 사용하며, 천연물 항균제의 경우 목단피, 자몽종자, 대나무, 무화과, 쑥, 알로에, 단삼, 피톤치드, 녹차 추출물 등을 사용한다. 주로 제올라이트계 무기 항균제는 다른 항균제에 비해 변색문제가 없고, 항균력이 높고 입자 경도가 낮은 점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등 적용방법이나 안정성 문제에 탁월한 항균제이다.
2. 기능성마스터배치제조단계(S200)
상기 기능성마스터배치제조단계는 항균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질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기능성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즉, 기능성 마스터배치를 제조하게 되는데, 압출시, 플라스틱 원료에 따라 스크류의 온도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인 PLA 압출 조건은 용융수지온도 210℃, Feed 온도 45℃, 스크류안에는 3부분으로 분류되는데, 공급부 180℃, 압축부 190℃, 계량부 200℃, 어댑터 200℃, 다이 190℃, 스크류 스피드 20~100rpm 이다.
본 발명에서의 압출조건은 Feed 온도 34℃, 공급부 228℃, 압축부 225℃, 계량부 225℃, 다이 156℃ 로 적용하였다.
3. 항균플라스틱필라멘트제조단계(S300)
상기 항균플라스틱필라멘트제조단계는 기능성 마스터배치와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한 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항균 플라스틱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성마스터배치제조단계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85 ~ 95 중량%와 항균 물질 5 ~ 15 중량%로 혼합하게 되지만, 상기 항균플라스틱필라멘트제조단계에서는 기능성 마스터 배치 1 ~ 8 중량%와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92 ~ 99 중량%로 혼합하게 된다.
이후, 혼합물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게 되는데, 압출 방사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의 온도는 플라스틱 원료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한편, 항균물질혼합단계(S100)에서는 가소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가교제, 착색제, 무적제, 핵제, 블로킹방지제 및 슬립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즉, 플라스틱 원료의 물성 및 특징에 따라 첨가제의 종류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Plasticizers)는 유연성, 가공의 작업성 또는 팽창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이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플라스틱과 산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억제 또는 차단시킴으로서 플라스틱이 분해되어 고유물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열안정제는 고온에서 혼합 또는 성형할 경우 생기는 플라스틱의 열적 분해를 억제 또는 차단해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자외선안정제는 자외선으로부터 플라스틱이 분해되어 색변 또는 기계적 성질이 상실되는 것을 억제 또는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난연제는 플라스틱의 연소성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활제는 가공, 성형, 압출 중에 플라스틱과 접촉하는 금속표면을 윤활시켜 유동을 도와주는 물질이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플라스틱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기 발생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발포제는 플라스틱을 스폰지나 스티로폴 같은 다공성제품을 만들기 위해 첨가하는 제품이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플라스틱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충진제는 대량으로 첨가되어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중량제와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질이 나 혹은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보강제의 두가지로 대별한다.
상기 가교제 가교반응에 쓰이는 액체수지에 첨가되는 첨가제이다.
상기 착색제는 기본적으로 안료와 염료로 나뉘고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원료수지가 비교적 무색투명하고 그 배합이 용이하므로 착색제와의 배합에 의해 착색되고 있다.
상기 무적제는 PE, EVA, PVC 필름으로 식품으로 포장하거나 온상 피복하는 경우 필름내면에 물방울이 맺혀서 식품의 보관시나 작품 생육시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장력을 증가시켜 물과의 친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이다.
상기 핵제는 폴리머의 결정화 속도를 촉진시키고 결정의 크기를 미세화시켜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결정화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싸이클 타임을 단축시키는 한편,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3D 프린터용 항균 필라멘트 시편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균주에 대한 항균시험
유기계, 무기계, 천연계 항균제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다양한 조성 중에서 본발명에서는 무기계 제이올라이트계 향균제에 대한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핵물질인 제올라이트계와 은이온이 치환된 무기 향균제와 PLA 수지를 1:9 중량비로 혼합하여 항균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고, 제조된 항균 마스터 배치와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직경이 1.75mm와 3mm인 필라멘트를 압출 방사하였다.
제조된 기능성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시편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 균주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시험 결과


비고
초기농도
(CFU/mL)
24시간 후 농도
(CFU/mL)
항균활성치
(log)
세균감소율
(%)
대장균에 의한 항균시험
BLANK
(일반 PLA)
2.70 X 105 8.10 X 104 도2
PLA
(항균 PLA)
1.00 X 105 <2 5.82 99.99
살모넬라균에 의한 항균 시험
BLANK
(일반 PLA)
1.00 X 105 3.32 X 105 도3
PLA
(항균 PLA)
1.00 X 105 <1 4.18 99.99
상기 CFU는 Colony Forming Unit의 약자이다.
상기 실험 결과를 보면 제조된 기능성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시편에 대하여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도 2,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항균제가 첨가된 필라멘트의 경우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은 24시간 후 균수가 감소하여 99.99%의 세균 감소율을 보였고, 항균제가 첨가되지 않은 상용 필라멘트의 경우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에 대하여 24시간 후 균수 감소율이 0%로 측정되었는데, 이와 같이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3D 프린터용 항균 필라멘트가 기존 상용 필라멘트 제품 보다 항균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을 명확하게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마스터 배치 1~8중량%과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92~99중량%로 한정한 이유는 기능성 마스터 배치가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효한 항균 기능을 기대할 수 없으며, 8중량%를 초과하여도 항균력 상승 정도가 미미하므로 경제성을 고려할 때, 항균 기능성 마스터 배치와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는 기능성 마스터 배치 1~8중량%과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92~99중량% 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최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가 늘어남에 따라 3D 프린터에 대한 관심이 제조업계 뿐만 아니라 교육업계 및 일반 소비자에게 까지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의 창의력과 사고 발달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교육업계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도입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상용 필라멘트 제품의 경우 세균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아이들을 위한 안전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3D 프린터용 항균 필라멘트를 개발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며, 항균성 물질, 특히 항균성을 가진 제올라이트를 담체로 하여 항균 기능성 금속인 은과 아연을 담지시킨 무기계 항균제로서 대장균,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등과 같이 병을 일으키는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 혹은 억제 시키는 역할을 하는, 내열성 및 항균력 지속성이 우수한 3D 프린터용 항균 필라멘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3D 프린터용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수지와 무기계 항균제, 유기계 항균제, 금속계 항균제, 암모늄염계 항균제, 구아니딘계 항균제, 구리 화합물계 항균제, 서방성 고분자 항균제 및 천연물계 항균제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항균 물질을 혼합하는 항균물질혼합단계(S100);
    상기 항균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질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기능성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기능성마스터배치제조단계(S200);
    상기 기능성 마스터배치와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한 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항균 플라스틱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항균플라스틱필라멘트제조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수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로 PLA(Polylactic acid),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HIPS(High Impact Polystyr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TPO(Thermoplastic Poly Olefin), Rubber, Nylon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기계 항균제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실리카겔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유기계 항균제는 4급 암모늄염계, 치아벤다졸계, 이소치아졸계, 징크 피리치온계, 이미다졸계, 카벤다졸계, 트리콜론산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천연물계 항균제는 목단피, 자몽종자, 대나무, 무화과, 쑥, 알로에, 단삼, 피톤치드, 녹차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마스터배치제조단계(S20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85 ~ 95 중량%와 항균 물질 5 ~ 15 중량%로 혼합하고,
    상기 항균플라스틱필라멘트제조단계(S300)에서는 기능성 마스터 배치 1 ~ 8 중량%와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92 ~ 99 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항균물질혼합단계(S100)에서,
    가소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가교제, 착색제, 무적제, 핵제, 블로킹방지제 및 슬립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기재된 방법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1020140119109A 2014-09-05 2014-09-05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10170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09A KR101701498B1 (ko) 2014-09-05 2014-09-05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US14/582,594 US9523160B2 (en) 2014-09-05 2014-12-24 Method of preparing antimicrobial 3D-printing filament
PCT/KR2015/000862 WO2016035949A1 (ko) 2014-09-05 2015-01-27 3d 프린터용 항균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3d 프린터용 항균 필라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09A KR101701498B1 (ko) 2014-09-05 2014-09-05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94A true KR20160029494A (ko) 2016-03-15
KR101701498B1 KR101701498B1 (ko) 2017-02-03

Family

ID=5543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109A KR101701498B1 (ko) 2014-09-05 2014-09-05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23160B2 (ko)
KR (1) KR101701498B1 (ko)
WO (1) WO2016035949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33A1 (ko) * 2016-05-26 2017-11-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KR20180040555A (ko) * 2016-04-11 2018-04-2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수지 압출 조형 방식의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180054503A (ko) * 2016-11-15 2018-05-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dm 3d 프린팅을 이용한 의료용 이중 기공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KR20190014821A (ko) * 2017-08-04 2019-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금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20190042832A (ko) * 2017-10-17 2019-04-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러운 표면을 갖는 3차원 물품 제조용 3d 프린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7541A (ko) * 2017-12-07 2019-06-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dm 3d 프린팅을 이용한 다공성 스캐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기공 조절 방법
WO2019078621A3 (ko) * 2017-10-17 2019-07-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코팅용 조성물
CN110092924A (zh) * 2019-05-31 2019-08-06 朱登年 抗菌聚乙烯母粒及其生产工艺
KR102148226B1 (ko) * 2020-06-05 2020-08-26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63245B1 (ko) * 2020-08-14 2020-10-0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KR102163232B1 (ko) * 2020-08-14 2020-10-0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항균 및 항곰팡이성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3253B1 (ko) * 2020-08-14 2020-10-0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반영구적 항균 및 소취능을 갖는 섬유 성형품
KR102163251B1 (ko) * 2020-08-14 2020-10-0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반영구적인 미생물 억제능을 갖는 인체에 무해한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0525A (zh) * 2015-05-29 2016-08-03 江苏浩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驱蚊及夜光效果的3d打印材料的制备方法
CN105802161A (zh) * 2015-05-29 2016-07-27 江苏浩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夜光驱蚊效果的3d打印材料
US20170247818A1 (en) * 2016-02-25 2017-08-31 Chin-Yen Yang Antiseptic 3d printing filament
CN106087099B (zh) * 2016-06-12 2017-05-10 福建百宏聚纤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涤纶fdy母丝及其单丝的制备方法
US10405540B2 (en) * 2016-07-06 2019-09-10 Xerox Corporation Anti-bacterial metallo ionomer polymer nanocomposite fila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7778799A (zh) * 2016-08-30 2018-03-09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交联改性的聚乳酸复合材料及其成型品
KR102008558B1 (ko) * 2016-12-08 2019-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취성능과 방향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JP6359230B1 (ja) * 2016-12-26 2018-07-18 ユニチカ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ラメント状成形体
CN108440761B (zh) * 2017-02-16 2020-11-24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含有胍基侧链的非释放型高分子抗菌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00299843A1 (en) * 2017-09-29 2020-09-24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Johannesburg Method of applying an antimicrobial surface coating to a substrate
CN109706533B (zh) * 2017-10-26 2021-11-1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防霉丙纶长丝及其制备方法
CN108530734A (zh) * 2018-05-16 2018-09-14 柏浩 一种3d打印改性低密度聚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133908A (zh) * 2018-09-11 2019-01-04 南通理工学院 用于diw技术的生物基磷酸钙3d打印陶瓷浆料及其制备方法
WO2020132559A1 (en) * 2018-12-21 2020-06-2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lanin based bio-composites for 3d printing
CN109594139B (zh) * 2018-12-23 2021-11-09 三河市京纳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聚烯烃丝状材料用速效抗菌功能母粒及其制备方法与它的用途
CN110066459B (zh) * 2019-04-18 2021-07-16 青岛拜士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缓释抗菌的抗菌母粒及制备方法
WO2021089898A1 (es) * 2019-11-05 2021-05-14 Onate Molina Enrique Filamento antibacteriano, repelente de insectos, aromatizado y con capacidad virucida para impresoras 3d
KR20220055507A (ko) 2020-10-24 2022-05-04 주식회사 포디코 폐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체를 활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R3116822B1 (fr) 2020-12-01 2024-01-12 Capnovia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une zéolithe au cuivre particulière en fabrication additive par dépôt de matière fondu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449A (ko) * 2003-01-20 2005-09-27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항균성 조성물 및 항균성 제품
JP3874860B2 (ja) * 1996-11-13 2007-01-3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抗菌性樹脂成形体
KR101350993B1 (ko) * 2013-10-18 2014-01-23 이재식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난연 및 내열 특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pla 필라멘트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la 필라멘트
KR101394119B1 (ko) 2013-11-04 2014-05-1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조성물
CA2885334A1 (en) * 2012-11-14 2014-05-22 Orthopaedic Innovation Centre Inc. Antimicrobial articles produced by additive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7009430A (es) * 2005-02-03 2007-08-17 Cinv Ag Materiales para suministro de farmacos producidos mediante la tecnologia de sol/gel.
US20130150943A1 (en) * 2007-01-19 2013-06-13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US8814930B2 (en) * 2007-01-19 2014-08-26 Elixir Med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endoprosthesi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JP5388326B2 (ja) * 2008-05-12 2014-01-15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抗菌性に優れた透明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1334283B1 (ko) * 2012-07-13 2013-11-28 (주)나노미래생활 항균 플라스틱 소재, 항균 플라스틱, 항균 플라스틱 제조용 마스터배치, 및 항균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US9816058B2 (en) * 2014-04-10 2017-11-14 3D Systems, Inc. Three-dimensional soap objects formed by additive manufactur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860B2 (ja) * 1996-11-13 2007-01-3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抗菌性樹脂成形体
KR20050094449A (ko) * 2003-01-20 2005-09-27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항균성 조성물 및 항균성 제품
CA2885334A1 (en) * 2012-11-14 2014-05-22 Orthopaedic Innovation Centre Inc. Antimicrobial articles produced by additive manufacturing
KR101350993B1 (ko) * 2013-10-18 2014-01-23 이재식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난연 및 내열 특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pla 필라멘트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la 필라멘트
KR101394119B1 (ko) 2013-11-04 2014-05-1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조성물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555A (ko) * 2016-04-11 2018-04-2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수지 압출 조형 방식의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WO2017204433A1 (ko) * 2016-05-26 2017-11-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KR20180054503A (ko) * 2016-11-15 2018-05-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dm 3d 프린팅을 이용한 의료용 이중 기공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WO2018093145A1 (ko) * 2016-11-15 2018-05-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dm 3d 프린팅을 이용한 의료용 이중 기공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KR20190014821A (ko) * 2017-08-04 2019-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금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US11225628B2 (en) 2017-10-17 2022-01-18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Coat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article having slippery surface
KR20190042832A (ko) * 2017-10-17 2019-04-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러운 표면을 갖는 3차원 물품 제조용 3d 프린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78621A3 (ko) * 2017-10-17 2019-07-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코팅용 조성물
US11655430B2 (en) 2017-10-17 2023-05-23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Coat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article
KR20190067541A (ko) * 2017-12-07 2019-06-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dm 3d 프린팅을 이용한 다공성 스캐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기공 조절 방법
CN110092924A (zh) * 2019-05-31 2019-08-06 朱登年 抗菌聚乙烯母粒及其生产工艺
KR102148226B1 (ko) * 2020-06-05 2020-08-26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63232B1 (ko) * 2020-08-14 2020-10-0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항균 및 항곰팡이성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3253B1 (ko) * 2020-08-14 2020-10-0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반영구적 항균 및 소취능을 갖는 섬유 성형품
KR102163251B1 (ko) * 2020-08-14 2020-10-0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반영구적인 미생물 억제능을 갖는 인체에 무해한 필터
KR102163245B1 (ko) * 2020-08-14 2020-10-0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498B1 (ko) 2017-02-03
US20160069001A1 (en) 2016-03-10
US9523160B2 (en) 2016-12-20
WO2016035949A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498B1 (ko)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101334283B1 (ko) 항균 플라스틱 소재, 항균 플라스틱, 항균 플라스틱 제조용 마스터배치, 및 항균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JP2752465B2 (ja) 抗菌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成形品の製造法
US20180009982A1 (en) Compounded copolyamide powders
CN102001480A (zh) 一种特效抗菌pe(聚乙烯)保鲜袋
BR112016026345B1 (pt) Composição de resina peletizada, seus métodos de produção, película, e artigo moldado
CN101824177A (zh) 一种特效抗菌pe(聚乙烯)保鲜膜
CN105504471A (zh) 一种用于3d打印的环保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086777A (zh) 一种pla改性材料及其制造方法
CN110607019B (zh) 一种长效防静电色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CN104140582A (zh) 一种非淀粉类光生物降解塑料透明母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14724A (ko) 금속 수산화물 나노 입자가 담지되고, 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무기 담체를 이용한 무기 항균제,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무기 항균제를 포함하는 제품
CN110872418A (zh)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346305B2 (ja) 顆粒状樹脂用添加剤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顆粒状樹脂用添加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CN113278211A (zh) 一种聚乙烯母粒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153803A (zh) 一种特效抗菌pe(聚乙烯)自封袋
KR102204904B1 (ko) 공기청정기 부품용 항균 플라스틱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0909924B1 (ko) 폴리아미드 나노복합재의 제조방법, 해당 팩키징 재료 및성형체
KR102262190B1 (ko) 항균성 황토 마스터배치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09220B1 (ko) 성형성을 향상시킨 항균 플라스틱
JPH0753770A (ja) 抗菌性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4022298B2 (ja) 抗菌性フィルム
JP2018203854A (ja) 熱可塑性樹脂用帯電防止剤及びその利用
KR101348695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120113860A (ko) 금속 이온 치환 결합된 무기 담체를 이용한 무기 항균제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