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695B1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695B1
KR101348695B1 KR1020130085977A KR20130085977A KR101348695B1 KR 101348695 B1 KR101348695 B1 KR 101348695B1 KR 1020130085977 A KR1020130085977 A KR 1020130085977A KR 20130085977 A KR20130085977 A KR 20130085977A KR 101348695 B1 KR101348695 B1 KR 101348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resin
dye
biodegradabl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곤
조은수
조병희
Original Assignee
조병희
(주)엘렉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희, (주)엘렉시스 filed Critical 조병희
Priority to KR102013008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 알킬 셀룰로오스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지, 및 2) 염료(dye)가 화학흡착된 이산화티탄(TiO2)으로 코팅된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 가공성 및 물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성형물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BIODEGRADAL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수지에 요구되는 생분해성, 가공성 및 물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가볍고 강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쉽게 분해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산업용 소재로부터 일회용품 및 포장재료에 이르기까지 소비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각종 고형 폐기물들은 사용 후 매립 또는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기하거나, 재생하여 재사용하고 있으나, 매립, 소각 등의 폐기물 처리방법은 환경적으로 심각한 폐해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 중에는 그 기능과 구조를 유지하지만, 일단 폐기되면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5,234,977호, 제5,256,711호, 제5,264,030호, 제5,292,782호, 제5,334,634호, 제5,461,093호, 제5,461,094호, 제5,569,692호, 제5,616,671호, 제5,696,186호, 제5,869,647호, 및 제5,874,486호에는 가격이 저렴하고 용이하게 생분해되는 전분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과 같은 범용수지 및 폴리에스터계의 매트릭스수지와 섞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분을 첨가함에 따라 가소제를 첨가하여 변색되거나 가공시 심한 연소가스(fumes)가 발생하며 플라스틱의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133,784호와 제4,337,181호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에 호화된 상태의 전분을 첨가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가 고가인데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이 실용화되기에는 극히 취약하며, 생분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254,607호, 제5,256,711호, 및 제5,258,430호에도 호화된 전분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분을 호화시키기 위해 물과 가소제를 과량으로 첨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물성 및 치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수지인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등의 분해성이 검증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4-0011542호, 제1994-0011556호, 및 제1994-0011558호에는 전분과 폴리에틸렌의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기 위해 유기산 촉매와 결합제를 사용하여 반응 압출을 유도하였으나, 미반응 조단량체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전분함량이 30% 이상일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감소하며,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된 폴리에틸렌은 분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며, 특히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생분해성 수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는 셀룰로오스를 아세트산 에스테르로 전환한 것으로, 본질적으로는 생분해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생분해성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성형품은 토양에 매설되었다 하더라도 1~2 년 후까지는 성형품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성형품이 완전히 생분해될 때까지는 상당한 장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폐기물로 매립에 제공되는 일도 있고, 폐기물로서 회수되지 않고 자연환경 중에 방치되는 일도 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생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6-199901호는 아세트산보다 산해리 정수가 큰 산 화합물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에 첨가하여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생분해성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산 화합물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에 첨가한 시점에서 그 산 화합물의 영향에 의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가 화학적으로 가수분해반응을 일으키며, 이 반응으로 아세트산을 생성시키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제품에 강한 아세트산 냄새가 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외의 다른 종류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사용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으며, 더욱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킬 셀룰로오스를 주재로 포함하여 생분해성 수지에 요구되는 생분해성, 가공성 및 물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 용기의 매립시 단기간 내에 지반 내에서 또는 대기 중에서 분해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알킬 셀룰로오스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지, 및
2) 염료(dye)가 화학흡착된 이산화티탄(TiO2)으로 코팅된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혼련하고 압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성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종래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재료로 사용되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비교하여 물성을 현저히 개선하고, 용융점이 낮아 낮은 온도에서 성형물로의 제조가 용이하며, 동시에 종래 전분을 이용한 생분해성 성형물과 비교하여 현저히 개선된 물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생분해성 성형물은 사용 후 용기의 매립시 단기간 내에 지반 내에서 또는 대기 중에서 분해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루테늄계 염료가 코팅된 이산화티탄에서의 여기전자 발생 매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1) 알킬 셀룰로오스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지, 및 2) 염료가 화학흡착된 이산화티탄(TiO2)으로 코팅된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티탄은 광촉매로 알려져 있으나, 전자를 여기 시키려면 자외선과 같이 비교적 높은 에너지를 갖는 빛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산화티탄을 수지나 플라스틱에 압출 등의 방법으로 바로 혼합시키면 광분해가 쉽게 일어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염료를 이산화티탄에 흡착시켜 빛에너지에 의한 산화가 염료 금속에서 발생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시광선에서도 쉽게 산화되어 발생한 전자가 이산화티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산화티탄으로 주입된 전자는 이산화티탄 입자의 다른 표면으로 이동하면서 OH 라디칼을 형성하여 생분해가 쉽게 일어나도록 도와준다.
상기 이산화티탄에 화학흡착된 염료는 루테늄계, 인돌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매커니즘에 따라 루테늄계 염료 N-719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경로 1은 금속에서 염료의 리간드로 전방위 전하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있으며, 염료의 루테늄에서 산화된 전자가 피리딘 고리로 이동한 후(dt2g → π*), 다시 Ti4 +-O2 - 결합의 π* (dt2g-O2p) 오비탈로 주입된다.
도 1의 경로 2는 산화티타늄의 여기 전자가 다시 루테늄 금속으로 후방위 이동하는 매커니즘을 보여준다.
상기 경로 1을 따라 티타늄 금속에 주입된 전자로 인하여 이산화티탄 입자의 전도성이 증가하고, 그 결과 이산화티탄의 다른 표면에서 전자가 이동하고 이들 전자가 유기화합물을 환원시켜 OH 라디칼을 형성하여 분해가 촉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티탄의 수지 내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균입경 2 내지 20 ㎛ 크기의 고분자 비드에 평균입경 5nm 내지 수십 nm 크기의 이산화티탄을 100nm 내지 1000nm 두께로 코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고분자 비드의 재질은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공중합 재질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SAN)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분자 비드는 유화중합, 분산중합, 현탁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비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고분자 재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티탄으로 코팅된 고분자 비드를 염료가 녹아 있는 용액에 넣고 교반시켜 줌으로써 화학흡착을 유도한다. 그 결과 이산화티탄의 표면에 염료분자가 단분자층으로 화학흡착된다.
상기 염료의 흡착량은 이산화티탄 코팅된 비드 100 중량부당 염료 0.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1)의 수지와 성분 2)의 고분자 비드 함량이 중량비로 99.5:0.5 ~ 70:30,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0.5~80:20, 가장 바람직하게는 99.5:0.5~90:10이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에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생분해성, 가공성 및 성형물의 물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생분해성 수지인 알킬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가 에틸 셀룰로오스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의 하나인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는 셀룰로오스의 히드록시기(-OH)를 에틸에테르화한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하나이다.
상기 에틸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수득한 알칼리 셀룰로오스에 불균일 상태의 황산디에틸, 염화디에틸 등의 에틸화제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에틸 셀룰로오스,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혼련시키고 압출하여 생분해성 성형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가소제(plasticizer)는 생분해성 성형물 제조시 성형, 사출 등을 용이하게 하며, 에틸 셀룰로오스의 유리전이온도(Tg),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영계수(Young's modulus) 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가소제로는 글리콜계 가소제(LG 화학의 BET, EBN 등) 또는 에폭시화된 콩기름(epoxidized soybean oil; ESO)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글리콜계 가소제(예를 들면 BET)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와 가소제의 중량비는 60:40 ~ 90: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에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성형물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촉매나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의 점토광물, 반응제어제, 또는 분해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좋다.
상기 촉매는 에폭시화된 콩기름이 가소제로 포함될 경우, 에폭시화된 콩기름의 개환중합을 일으키기 위하여 열잠재성 촉매(latent heat catalyst)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토광물은 층상구조로 우수한 흡습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물이 물속에서도 우수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상기 점토광물은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점토광물이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경우 점토광물을 가소제와 먼저 혼합하고 초음파기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제어제는 질소함유 화합물, 히드록시 화합물, 산소함유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또는 황함유 헤테로시클릭 화합물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해촉진제는 인의 산소산, 황의 산소산, 질소의 산소산, 상기 산소산의 부분에스테르 또는 수소염, 탄산 및 그 수소염, 또는 술폰산 및 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혼련하고 압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성형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련과 압출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혼련하고 압출하는 통상의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 예로 이축압출기 또는 배치믹스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련시 온도는 에틸 셀룰로오스의 용융점이 낮기 때문에 130~160 ℃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155 ℃인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온도에서 혼련한 후, 통상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150~200 ℃의 온도에서 성형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생분해성 성형물은 각종 용기, 컵, 스푼, 포크, 나이프, 칫솔, 빨대 등의 일회용품, 종이컵, 종이접시 제조용 종이코팅 등의 멜티코팅, 멀칭필름, 모종용 포트(플랜트포트), 클립 등의 농업용 및 원예용자재, 쓰레기봉투, 콤포스트백, 수축필름, 포장필름 등의 필름/포장용, 동물용 주사기,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등의 의료기구, 경질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질제, 골프티, 어망, 낚시줄, bottles, 각종 문구류 등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종래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재료로 사용되던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제조시 요구되던 용융점보다 현저히 낮은 용융점에서 용해되어 성형물로의 제조가 용이하며, 동시에 종래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성형물과 비교하여 동등한 정도의 물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용융점을 현저히 낮추어 우수한 성형가공성을 가지며,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생분해성 성형물은 사용후 용기의 매립시 단기간 내에 지반 내에서 또는 대기 중에서 분해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균입경 20nm의 아나타제 타입의 이산화티탄 5g 을 평균입경 3500nm의 폴리스티렌 비드(중량평균분자량 150,000) 100g에 혼합한 뒤 이를 CK 글로벌사의 오픈롤을 사용하여 10분간 rpm 30의 조건하에서 코팅을 실시하였다. 오픈롤을 사용하면서 비드 표면에 일정한 롤의 압력이 가해지면서 크기가 작은 이산화티탄의 입자가 고분자 비드 표면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코팅한 이산화티탄의 코팅두께는 40nm 이었다.
이산화티탄으로 코팅된 비드 100g을 루테늄계 염료 N-719 1.0g이 용매 싸이크로헥산 500ml에 용해된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염료가 화학흡착 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얻은 비드 3 중량부, 분자량이 50,000인 에틸 셀룰로오스 87 중량부, 및 가소제로 LGflex BET(Mw. 490, C29H46O6), LGflex 화학) 1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140 ℃의 온도에서 10 분간 압출기로 혼련하고 온도기가 부착된 Carver laboratory press를 사용하여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과 성분비를 사용하고, 온도와 시간으로 혼련 및 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분 코팅비드
(중량%)
셀룰로오스
(중량%)
가소제
(중량%)
촉매
(중량%)
점토광물
(중량%)
온도
(℃)
시간
(min)
실시예 1 3 87 BET 10 - - 145 10
실시예 2 5 84 BET 10 1 - 145 10
비교예 1 - 90 BET 10 - - 140 10
비교예 2 - 80 EBN 20 - - 135 10
비교예 3 - 76 ESO 10 1 3 145 10
유리전이온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가로 10 ㎝ × 세로 10 ㎝의 크기의 시편으로 제작하였으며, 블렌드물의 용융온도로 10 분 동안 압축하여 평균두께가 200 ㎛인 최종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의 블렌드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렌드 필름의 가소제 종류와 농도에 따른 유리전이온도(Tg)를 측정하기 위하여 Seiko사의 Exstar 6000(DSC 6100)을 사용하여 DSC thermogram을 측정하여 유리전이온도의 변화를 관찰하고, 하기 표 2와 같이 기재하였다.
구분 Tg (℃)
실시예 1 70
실시예 2 75
비교예 1 115
비교예 2 120
비교예 3 120
상기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보다 낮은 온도에서 성형물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계적 물성 평가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블렌드 필름을 이용하여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 (MPa) 영계수 (MPa)
실시예 1 27.4 755
실시예 2 26.8 771
비교예 1 23.4 760
비교예 2 22.1 785
비교예 3 18.3 800
이때, 기계적 물성으로는 인장강도와 영계수(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가로 1 ㎝ × 세로 4 ㎝의 크기로 절단한 후, 25 ℃의 온도와 62 %의 습도, 20 ㎜의 gauge length, 2 ㎜/min의 elongation speed의 조건에서 인장강도와 영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각의 시편은 10 개씩 제작하여 인장강도와 영계수를 10 회에 걸쳐 측정하고 그 결과의 평균화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 의 조성물은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비해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계수(탄성계수)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 은 비교예 1 내지 3 과 유사한 정도의 물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보다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성형물로의 제조가 용이하면서,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 염료금속 - 리간드간 전자이동 전방위 경로
2. 이산화티탄 - 염료금속간 전자이동 후방위 경로

Claims (10)

1) 알킬 셀룰로오스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지, 및
2) 염료(dye)가 화학흡착된 이산화티탄(TiO2)이 10nm 내지 1,000nm 두께로 코팅된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루테늄계, 인돌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의 재질은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SA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이산화티탄으로 코팅된 비드 100 중량부당 염료 0.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화학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1)의 수지와 성분 2)의 고분자 비드 함량이 중량비로 99.5:0.5 ~ 70: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또는 벤토나이트(bentonite)의 점토광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질소함유 화합물, 히드록시 화합물, 산소함유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황함유 헤테로시클릭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반응제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인의 산소산, 황의 산소산, 질소의 산소산, 상기 산소산의 부분에스테르 또는 수소염, 탄산 및 그 수소염, 술폰산, 또는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분해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4항,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혼련하고 압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성형물.
KR1020130085977A 2013-07-22 2013-07-22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348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977A KR101348695B1 (ko) 2013-07-22 2013-07-22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977A KR101348695B1 (ko) 2013-07-22 2013-07-22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695B1 true KR101348695B1 (ko) 2014-01-08

Family

ID=5014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977A KR101348695B1 (ko) 2013-07-22 2013-07-22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140B1 (ko) 2020-11-06 2021-10-01 주식회사 에코매스 바이오매스 기반의 생분해성 수지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400B1 (ko) 1992-11-13 1999-11-01 고지마 아끼로 생분해성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조성물 및 성형품
JP2001049134A (ja) * 1999-08-12 2001-02-20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樹脂及びその複合シート
KR20060007884A (ko) * 2004-07-22 2006-01-26 이영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070010837A (ko) * 2005-07-20 2007-01-24 이영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400B1 (ko) 1992-11-13 1999-11-01 고지마 아끼로 생분해성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조성물 및 성형품
JP2001049134A (ja) * 1999-08-12 2001-02-20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樹脂及びその複合シート
KR20060007884A (ko) * 2004-07-22 2006-01-26 이영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070010837A (ko) * 2005-07-20 2007-01-24 이영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140B1 (ko) 2020-11-06 2021-10-01 주식회사 에코매스 바이오매스 기반의 생분해성 수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719B1 (ko) 기계적물성이 향상된 탄소중립형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바이오매스 복합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70010837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A2452424C (en) Biodegradable plastic composition
US20230340238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4086777B (zh) 一种pla改性材料及其制造方法
KR20150012804A (ko)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함유하는 박막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1717537A (zh) 一种聚烯烃薄膜及其制造方法
KR102466854B1 (ko) 일라이트 융합 기술을 적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제조방법
KR101987086B1 (ko)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복합수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제조방법
KR100428953B1 (ko) 마스터배치용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조성물 및 상기조성물을 이용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제조방법
KR101224420B1 (ko) 연질화된 폴리락틱엑시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12698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염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348695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2579310B1 (ko)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8936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365509B1 (ko)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2486A (ko) 생분해성 수지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및 드레인 보드
KR101032625B1 (ko) 이산화규소 무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 및 생분해성 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687204A (zh) 可完全生物降解的薄膜及其制备方法
CN1288210C (zh) 可降解母粒和以其为原料制造膜、片材及餐具的方法
JP2012017426A (ja) 熱可塑性樹脂用改質剤
KR101797944B1 (ko)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KR100288054B1 (ko) 열화성폴리올레핀수지조성물과그의제조방법
CN110607083A (zh) 一种医疗塑料粒子配方
JP7158790B1 (ja) 生分解性複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