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245B1 -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245B1
KR102163245B1 KR1020200102288A KR20200102288A KR102163245B1 KR 102163245 B1 KR102163245 B1 KR 102163245B1 KR 1020200102288 A KR1020200102288 A KR 1020200102288A KR 20200102288 A KR20200102288 A KR 20200102288A KR 102163245 B1 KR102163245 B1 KR 10216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ntibacterial
fibers
presen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02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4Nitr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영구적으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방미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내성균의 발생이나 다른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면서 반영구적으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방미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SYNTHETIC FIBER WITH SEMI-PERMANENT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반영구적으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방미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은 우리 주변 어디에나 존재한다. 특히, 매일 사용하고 접하게 되는 의류 및 기타 직물내에서 신속하게 증식할 수 있는 황색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 등의 미생물에 의한 질병 및 피부 감염증 등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항균 조성물은 이러한 직물 표면상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한데, 이는 잦은 세탁 및 마찰에 의해 상기 항균 조성물 등이 쉽게 마모되거나 씻겨나가기 때문이다.
때문에, 자체적으로 항균성을 발휘하도록 제작된 섬유와 직물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법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은, 아연계 등의 무기 항균제 및 탈취제를 섬유에 첨가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6,841,244호 등에서 구리, 아연, 주석 및/또는 은을 함유하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항균제를 포함하는 항균성 합성 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일본 공개 출원 2000-303250호에는 찻잎 추출물 등에 함유되어 있는 카테킨이 첨가된 섬유를 제안했고, 일본 공개출원 2003-253559호는 로즈마리 정유(essential oil) 등이 첨가된 섬유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종래 기술은 항곰팡이성이 아닌 항균 기능만을 부여하는데 주목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은 나노 입자 등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조성물이 항곰팡이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까지 요구되는 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은 나노 입자의 인체 무해성 여부가 아직 검증되지 않아, 여전히 논란거리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계 항균물질의 개발 및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유기계 항균 물질을 무기물인 담체에 넣어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물질을 직접 섬유 등에 입자화 하여 넣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미국등록특허 제6,841,244호 일본공개특허 제2000-3032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는 항균 및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를 재료를 항구적으로 함유함으로써 사용 중에 마모되거나 씻겨 내려가지 않는 새로운 섬유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아이도메틸-p-톨릴설폰(Diiodomethyl p-tolyl sulfone) 1 내지 60 중량부, 2,4,5,6-테트라클로르이소프탈로니트릴(2,4,5,6-tetrachloro isophthalonitrile) 1 내지 60 중량부 및 2-(티오시아나토 메틸티오)벤조티아졸(2-(thiocyanato methylthio)benzothiazole) 1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디아이도메틸-p-톨릴설폰(Diiodomethyl p-tolyl sulfone), 2,4,5,6-테트라클로르이소프탈로니트릴(2,4,5,6-tetrachloro isophthalonitrile) 및 2-(티오시아나토 메틸티오)벤조티아졸(2-(thiocyanato methylthio)benzothiazole)가 중량부 기준으로 1 : 0.5 내지 1.5 : 0.2 내지 1.0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특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및 실리카겔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된 무기물과 은, 아연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된 금속이온이 치환되어 제조된 무기계 방미제; 및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금은화(Lonicera japonica), 팔각(八角, Illicium verum Hook. f.) 및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된 것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물계 방미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기계 방미제는 조성물은 인산지르코늄에 은 이온을 치환시켜 제조한 것이고, 상기 천연물계 방미제는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금은화(Lonicera japonica), 팔각(八角, Illicium verum Hook. f.) 및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을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9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30 중량부,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20 중량부, 금은화(Lonicera japonica) 15 중량부, 팔각(八角, Illicium verum Hook. f.) 10 중량부 및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9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항균제는 주로 단시간에 항균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첨가된다. 유기 항균제는 일시적으로는 항균력이 무기 항균제에 비해 높으나 항균력 지속성은 매우 짧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내성균을 발생시킬 우려와 함께 급성독성이 높기 때문에 인체 안전성에 문제점이 지적되어 유기 항균제는 그 사용 영역이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무기 항균제는 주로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실리카겔 등과 같은 무기물에 항균작용을 하는 금속 이온인 은, 아연, 구리 등을 치환시켜 만든 제품으로 현재 대부분의 플라스틱제품, 종이,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무기 항균제는 일시적인 항균력은 유기 항균제보다는 낮지만 인체 안전성이 높고, 내성균이 나타나지 않으며, 항균지속기간도 거의 반영구적이므로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무기 항균제는 주로 제올라이트계, 인산칼슘계, 인산지르코늄계 형태가 시판되고 있는데, 그 중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것은 제올라이트계 무기 항균제이다.
인산칼슘 계열의 무기 항균제는 제올라이트계 무기항균제와 비교하여 치환되는 금속이온의 농도가 낮아 항균력이 제올라이트계보다 낮은 단점이 있으며, 인산지르코늄계 무기 항균제는 또한 항균력이 낮고, 단가가 높으며, 항균제 입자의 경도가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제올라이트계 무기 항균제는 다른 항균제에 비해 변색문제가 없고, 항균력이 높고, 입자 경도가 낮은 점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어진 항균제이기 때문에 적용방법이나 안전성 문제에서 탁월한 항균제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은 유기계 방미제 및 지르코늄계 무기 방미제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유기 및 무기 항균제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고 우수한 항곰팡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물계 방미제 조성물은 상기 천연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추출공정은 냉침, 온침, 가열, 환류 및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추출 후에 감압 농축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디아이도메틸-p-톨릴설폰 1 내지 60 중량부, 2,4,5,6-테트라클로르이소프탈로니트릴 1 내지 60 중량부 및 2-(티오시아나토 메틸티오)벤조티아졸 1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여 유기계 방미제를 제조하는 단계; (b) 인산지르코늄에 은 이온을 치환시켜 무기계 방미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금은화(Lonicera japonica), 팔각(八角, Illicium verum Hook. f.) 및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을 혼합하고,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9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천연물계 방미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은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교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교제는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의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가교 재료의 내포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받지 않는 전제하에 공지의 임의의 가교 재료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형태의 일부의 측면에 있어서,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은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LMA); 디비닐벤젠(DVB);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GDA);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BGDMA);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EGDM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PG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가교 재료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균조성물의 평균입자크기는 ≤ 200 ㎚; 또는 ≤ 150 ㎚; 또는 ≤ 100 ㎚; 또는 ≤ 75 ㎚; 또는 ≤ 50 ㎚; 또는 ≤ 25 ㎚; 또는 ≤ 20 ㎚; 또는 ≤ 15 ㎚; 또는 ≤ 10 ㎚; 또는 1 내지 10 ㎚; 또는 1 내지 8 ㎚; 또는 ≤ 5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균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이 ≤ 500,000; 또는 ≤ 100,000; 또는 ≤ 50,000; 또는 ≤ 10,000; 또는 1,000 내지 10,000; 또는 5,000 내지 10,000; 또는 500 내지 5,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예 2에서는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면, 항균 및 방미성을 나타내는 필라멘트를 압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및 다성분 섬유는 광범위한 각종 직물 및 텍스타일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은 본 발명의 섬유 또는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직물은 적어도 1종의 부가의 섬유를 임의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1종의 부가의 섬유는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수득한 필라멘트를 초기에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섬유 또는 다성분 섬유는 적어도 1종의 부가 섬유와 배합될 수 있다.
상기 1종의 부가 섬유는 예를 들어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무기 섬유, 이들의 조합 및 블렌드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는 어떠한 데니어의 것이어도 되며; 멀티- 또는 모노-필라멘트이어도 되고; 가연(false twist) 또는 꼬임되어 있어도 되고; 꼬임 및/또는 용융을 통해 다중 데니어 필라멘트를 단연사로 편입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스/코어 형태, 병행 형태, 파이 웨지 형태, 분절된 리본 형태, 분절된 십자형태, 팁 삼엽형태 및 컨쥬게이트 형태를 포함하는 어떠한 타입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다성분 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천연 섬유는 예를 들어 실크, 면, 모, 아마, 모피, 헤어, 셀룰로오스, 마황, 대마, 리넨, 목재 펄프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합성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염화비닐 등의 할로겐화 중합체; 폴리-p-페닐렌테라프탈아미드(예를 들면, 듀퐁(DuPont)사로부터 시판되는 Kevlar® 섬유), 폴리-m-페닐렌테라프탈아미드(예를 들면, 듀퐁사로부터 시판되는 Nomex® 섬유) 등의 폴리아라미드류; 멜라민 및 멜라민 유도체(예를 들면, Basofil Fibers, LLC로부터 시판되는 Basofil®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나일론 6 및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마이드류; Noveon으로부터 시판되는 Tecophilic® 지방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의 폴리우레탄류; 아세테이트류; 레이온 아크릴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무기 섬유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 보론 섬유 및 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은 본 발명의 섬유 또는 다성분 섬유를 100 중량%; 또는 ≤ 75 중량%; 또는 ≤ 50 중량%; 또는 ≤ 40 중량%; 또는 ≤ 30 중량%; 또는 ≤ 20 중량%; 또는 ≤ 10 중량%; 또는 ≤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의 일부의 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부가 섬유는 면, 모,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나일론, 견, 및 이들의 조합물 및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텍스타일 제품은 본 발명의 직물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의 일부의 측면에 있어서, 텍스타일 제품은 의류, 의류의 심감, 실내장식품(upholstery), 카펫, 패딩, 안감, 벽지, 지붕제품, 가정용 랩(house wrap), 절연재, 침구, 닦음천(wiping cloth), 타월, 장갑, 러그(rug), 마루 매트(floor mat), 휘장, 식탁용 린네르 제품(napery), 바 러너(bar runner), 텍스타일 백, 차양, 차량 덮개, 보트 덮개, 텐트, 농업용 덮개,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자동차 헤드라이너, 필터, 엔빌로프(envelope), 태그, 라벨, 기저귀, 여성용 위생용품(예를 들면, 생리용 냅킨, 탐폰), 세탁조제(예를 들면, 섬유 드라이어-시트), 상처관리용 전문 의료용품(wound care product) 및 의약용 전문 의료용품(medical care product)(예를 들면, 멸균 랩, 캡, 가운, 마스크, 덮개(draping))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섬유는 세균과 곰팡이균의 세포벽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조성물이 포함되어 있어, 때문에 내성균의 발생이나 다른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무해하면서 사용 중에 마모되어 버리거나 씻겨나가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방미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조예 1.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은 무기계, 유기계, 금속계, 암모늄염계, 구아니딘계, 구리 화합물계, 서방성 고분자 및 천연물계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을 이용해 제조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기계, 천연물계 및 무기계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미성 조성물은 진균류인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기 질소황계 화합물, 붕소계 화합물 등이 존재한다. 또한, 합성계 방미제로는 이미다졸계 화합물, 프탈이미드계 화합물, 설파미드계 화합물, 니트릴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티오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오르쏘페닐페놀(OPP)계화합물, 페닐피롤계 화합물, 아닐리노피리미딘계, 메톡시아크릴레이트계 및 할로겐화페놀계 화합물 등이 존재한다.
즉, 항균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방미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하나, 방미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은 당연히 상위 개념인 항균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방미성 화학물 또는 방미제라고 일컫는 경우에는 당연히 해당 물질의 항균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유기계 방미성 화합물로서 디아이도메틸-p-톨릴설폰(Diiodomethyl p-tolyl sulfone), 2,4,5,6-테트라클로르이소프탈로니트릴(2,4,5,6-tetrachloro isophthalonitrile) 및 2-(티오시아나토 메틸티오)벤조티아졸(2-(thiocyanato methylthio)benzothiazole)의 혼합물을 이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방미성 조성물 중 어떠한 것이라도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세가지 화합물은 각각 항균 및 방미제로서 기능하며, 이들 세종류의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상호 시너지 효과에 의해 항균 및 방미성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각기 디아이도메틸-p-톨릴설폰 1 내지 60 중량부, 2,4,5,6-테트라클로르이소프탈로니트릴 1 내지 60 중량부 및 2-(티오시아나토 메틸티오)벤조티아졸 1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의 배합 비율은 중량부 기준으로 1 : 0.5 내지 1.5 : 0.2 내지 1.0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 : 0.8 : 0.3의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무기계 방미제로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실리카겔 등과 같은 무기물에 항균 작용을 하는 금속이온인 은, 아연, 구리 등을 치환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제조예에서는 인산지르코늄에 은 이온을 치환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천연물계 항균 및 방미제로는 항균 효과가 있는 천연물로서,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금은화(Lonicera japonica), 팔각(八角, Illicium verum Hook. f.) 및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30 중량부,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20 중량부, 금은화(Lonicera japonica) 15 중량부, 팔각(八角, Illicium verum Hook. f.) 10 중량부 및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9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조예 2.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여러 개의 혼합물과 여러 개의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마스터배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각 함량은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 3 내지 10 중량%,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90 내지 97 중량%로 구성하였다.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락틱엑시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스틸렌, 에틸렌초산비닐,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고무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틱엑시드(PLA, Polylactic acid)는 옥수수 및 감자의 전분 등과 같이 100% 재생가능한 자원이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폐기처분시에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압출가공 온도는 180~220이다.
상기 아크릴리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은 범용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압출가공 온도는 215~250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은 내열성이 좋으며 내마모성이 좋다. 플라스틱중에서 가장 가벼우며 가공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며 압출가공 온도는 160~180이다.
상기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은 색채가 풍부하며 밝으며 극저온에서의 유연성이 좋고 고온에서도 잘 견디며 단열성이 우수하며 내약품성이 양호하다. 연소 때 연기가 거의 나지 않고 무독, 무취의 장점을 가지지만, 접착이 매우 힘들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도장이나 후가공이 힘든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이 임펙트 폴리스틸렌(HIPS, High Impact Polystyrene)은 내 충격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는 유연성, 내충격성, 질감성, 단열성, 보온성 등 고루 갖추고 있으며 발포를 달리하면 여러 종류의 EVA 생산이 가능하며 어린이 장난감 및 용품, 의류 및 가방 등의 잡화 및 포장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나일론(NYLON)은 기계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며 내마모성이 좋고 강인하며, 가볍고 내한성이 좋고 성형성도 뛰어난 특징을 가지며, 압출가공 온도는 210~250이다.
우선,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비율에 따른 항균 및 방미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구분 유기계 방미제
(중량부)
무기계 방미제
(중량부)
천연물계 방미제
(중량부)
실시예 1 100 0 0
실시예 2 70 15 15
실시예 3 50 0 50
실시예 4 50 50 0
실시예 5 50 25 25
또한, 상기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과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마스터배치를 다음과 같이 함량을 달리하면서 제조하였다(표 2). 이 때,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하였다.
구분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
(유기:무기:천연물=70:15:15)
열가소성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실시예 6 1 중량% 99 중량%
실시예 7 5 중량% 95 중량%
실시예 8 10 중량% 90 중량%
실시예 9 15 중량% 85 중량%
실시예 10 20 중량% 80 중량%
본 제조예 2에서는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이 혼합된 혼합물질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기능성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는데, 압출시, 플라스틱 원료에 따라 스크류의 온도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인 PLA 압출 조건은 용융수지온도 210℃, Feed 온도 45℃, 스크류 안은 3부분으로 분류되는데, 공급부 180℃, 압축부 190℃, 계량부 200℃, 어댑터 200℃, 다이 190℃, 스크류스피드 20~100rpm 이다.본 발명에서의 압출조건은 Feed 온도 34℃, 공급부 228℃, 압축부 225℃, 계량부 225℃, 다이 156℃ 로 적용하였다.
실험예 1. 항균 및 항곰팡이 활성 효과 평가
본 발명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균성 실험은 살모넬라균을 대상으로 미국 미생물 학회(The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에서 제시한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assay)을 수행하였다. 
각 시료는 10mg/ml의 농도로 DMSO에 녹인 다음 DMSO 농도는 2.5% 보다 높지 않도록 하여 100ug을 사용하였으며, 배지는 MHA(Mueller-Hinton Agar, USA)를 사용하였으며, 평판 배지는 사용하기 전 1~2시간 37℃에서 배양하여 오염이 없음을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로그 페이즈(log phase) 성장 상태의 살모넬라 균주 현탁액(OD600 = 0.1 또는 0.5 McFarland standard 혼탁도 측정; 1.5 X 108 CFU/ml)을 상기 배지에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평면 도말하였으며, 각 화합물은 각 멸균된 8mm 지름의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 Advantec, 일본)에 10mg/ml의 농도로 10ul를 첨가하고 건조시킨 상태로 도말된 배지 위에 적용하였다. 살모넬라 균주 현탁액 도말 후 혐기성 환경 37 ℃에서 24 시간 배양하였으며, 이후 반사광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 구역의 지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저해환(mm) 32.3±2.48  31.2±2.52 25.2±0.95  25.2±2.14  25.1±2.11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기계 방미제가 70 중량부 이상 포함된 실시예 1 및 2에서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무기계 및 천연물계 방미제는 유기계 방미제가 나타내는 효과와 비교할 때 항균 효과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한편, 항곰팡이 활성의 평가는 시트필름 소재 형태의 제품에 플라스틱 부식시키는 곰팡이 5종을 도포하고 곰팡이균류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하는 ASTM G 21:1의 방식을 준용하되, 온도 및 습도를 높인 가속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방미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34℃ 온도, 80%의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벽지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을 5회씩 동일한 횟수로 스프레이 하고, 5시간 경과 후 코팅막이 완전히 건조된 것을 확인하고 누룩 곰팡이균과 푸른 곰팡이균을 배양하면서 관찰하였다. 배양 결과, 실시예 전부에서 현저한 방미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2 및 실시예 5에서 근소하게나마 좀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항균 및 방미성 필라멘트의 제조 및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항균 및 방미성을 나타내는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이의 항균 및 방미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조건을 통일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한 마스터배치 5 중량%와 마스터배치의 제조과정에 들어간 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95 중량%를 혼합한 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항균 플라스틱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압출과정을 위해 마스터배치와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가소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가교제, 착색제, 무적제, 핵제, 블로킹방지제 및 슬립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제조한 필라멘트를 이용해 섬유시료를 제작하고, 섬유시료의 방미성 시험법인 흑곰팡이 부패저항법(AATCC30)을 이용하여 실온 조건하에서 곰팡이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실험 균주는 검정곰팡이(Aspergillus niger ATCC 6275)를 이용하였고, 실온(28℃)에서 2주간, 직경 38mm의 시료를 준비하였고, 대조군은 표준면포를 사용하였으며, 곰팡이가 자라지 않으면 1점, 현미경으로 생육이 확인되면 2점, 육안으로 확인이 되면 3점을 주었다.
구분 대조군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평가점수 3 3 2 1 1 1
그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항균 및 방미성 조성물이 5 중량% 이상 함유된 마스터배치에서 방미성이 확인되었으며, 10 중량% 함유된 실시예 8부터는 곰팡이가 전혀 자라지 않아 현저히 우수한 방미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디아이도메틸-p-톨릴설폰(Diiodomethyl p-tolyl sulfone) 1 내지 60 중량부, 2,4,5,6-테트라클로르이소프탈로니트릴(2,4,5,6-tetrachloro isophthalonitrile) 1 내지 60 중량부 및 2-(티오시아나토 메틸티오)벤조티아졸(2-(thiocyanato methylthio)benzothiazole) 1 내지 60 중량부가 각각 순서대로 1 : 0.5 내지 1.5 : 0.2 내지 1.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유기계 방미제;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된 마스터배치 5 중량%와 상기 마스터배치의 제조과정에 들어간 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95% 중량%를 혼합한 후 압출장치를 통해 압출하여 형성한, 항균 및 방미성 합성 섬유.
  2. 제1항의 합성 섬유와 1종 이상의 부가 섬유가 배합된 섬유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섬유는 조성물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무기 섬유, 이들의 조합 및 블렌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항균 및 방미성 섬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는 실크, 면, 모, 아마, 모피, 헤어, 셀룰로오스, 마황, 대마, 리넨, 목재 펄프 및 이들의 조합물이고,
    상기 무기 섬유는 유리섬유, 보론 섬유 및 암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항균 및 방미성 섬유.
KR1020200102288A 2020-08-14 2020-08-14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KR102163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88A KR102163245B1 (ko) 2020-08-14 2020-08-14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88A KR102163245B1 (ko) 2020-08-14 2020-08-14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990A Division KR102148226B1 (ko) 2020-06-05 2020-06-05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245B1 true KR102163245B1 (ko) 2020-10-08

Family

ID=7289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288A KR102163245B1 (ko) 2020-08-14 2020-08-14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746B1 (ko) * 2022-09-20 2023-04-2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항곰팡이, 항균, 소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3344A (en) * 1991-04-10 1992-03-03 Betz Laboratories, Inc. Biocid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containing a synergistic mixture of diiodomethyl-p-tolylsulfone and 2-(thiocyano-methyl thio) benzothiazole
US5882731A (en) * 1996-07-24 1999-03-16 Owens; Richard L. Method of applying a mildewcide laden film and composition for the use therewith
JP2000303250A (ja) 1999-04-15 2000-10-31 Kuraray Co Ltd カテキン類含有繊維
KR20040008316A (ko) * 2002-07-18 2004-01-31 요업기술원 항균력이 우수한 나노 크기의 은 담지 인산지르코늄분말의 제조방법
JP2004269470A (ja) * 2003-03-12 2004-09-30 Toto Ltd 抗菌消臭処理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抗菌消臭処理スプレー
US6841244B2 (en) 1999-05-27 2005-01-11 Foss Manufacturing Co., Inc. Anti-microbial fiber and fibrous products
KR20100114031A (ko) * 2008-01-18 2010-10-2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안정한 저voc 저점도 살생제 제형 및 이 제형의 제조방법
KR20140038606A (ko) * 2012-09-21 2014-03-31 (주)에이씨티 항균성분이 코팅된 인산지르코늄 분말의 제조방법 및 항균성분을 담지한 인산지르코늄 분말
KR20160029494A (ko) * 2014-09-05 2016-03-15 (주)비앤케이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20190042151A (ko) * 2017-10-16 2019-04-24 (주)예스킨 천연물 항진균 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3344A (en) * 1991-04-10 1992-03-03 Betz Laboratories, Inc. Biocid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containing a synergistic mixture of diiodomethyl-p-tolylsulfone and 2-(thiocyano-methyl thio) benzothiazole
US5882731A (en) * 1996-07-24 1999-03-16 Owens; Richard L. Method of applying a mildewcide laden film and composition for the use therewith
JP2000303250A (ja) 1999-04-15 2000-10-31 Kuraray Co Ltd カテキン類含有繊維
US6841244B2 (en) 1999-05-27 2005-01-11 Foss Manufacturing Co., Inc. Anti-microbial fiber and fibrous products
KR20040008316A (ko) * 2002-07-18 2004-01-31 요업기술원 항균력이 우수한 나노 크기의 은 담지 인산지르코늄분말의 제조방법
JP2004269470A (ja) * 2003-03-12 2004-09-30 Toto Ltd 抗菌消臭処理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抗菌消臭処理スプレー
KR20100114031A (ko) * 2008-01-18 2010-10-2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안정한 저voc 저점도 살생제 제형 및 이 제형의 제조방법
KR20140038606A (ko) * 2012-09-21 2014-03-31 (주)에이씨티 항균성분이 코팅된 인산지르코늄 분말의 제조방법 및 항균성분을 담지한 인산지르코늄 분말
KR20160029494A (ko) * 2014-09-05 2016-03-15 (주)비앤케이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20190042151A (ko) * 2017-10-16 2019-04-24 (주)예스킨 천연물 항진균 식품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746B1 (ko) * 2022-09-20 2023-04-2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항곰팡이, 항균, 소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449B1 (ko) 항균조성물을 함유하는 섬유
US3959556A (en) Antimicrobial blended yarns and fabrics comprised of naturally occurring fibers
AU2005201352B2 (en) Fiber substrate with antibacterial finish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4658813B2 (ja) 抗菌性繊維、織布または編布、不織布、壁紙、および、断熱材
US6841244B2 (en) Anti-microbial fiber and fibrous products
US9481961B2 (en) Antimicrobial finish on fabrics
CN1331398C (zh) 硫化锌作为抗螨剂的用途
CN108315860A (zh) 一种石墨烯抗菌毛巾的制备方法
KR102148226B1 (ko)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3687219B2 (ja) 抗菌性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CN111455493A (zh) 一种抗菌抗病毒面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63232B1 (ko) 항균 및 항곰팡이성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653532A (zh) 一种高吸湿排汗性能的环保型运动服面料及其制备方法
KR102163245B1 (ko) 반영구적인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합성 섬유 및 이의 용도
KR102163253B1 (ko) 반영구적 항균 및 소취능을 갖는 섬유 성형품
KR102163251B1 (ko) 반영구적인 미생물 억제능을 갖는 인체에 무해한 필터
KR102495304B1 (ko) 항균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방적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49199B2 (en) Active apparel and fabric and coverings
US20240167218A1 (en) Graphene coated fabric, method of preparing graphene coated fabric,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190203409A1 (en) Antibacterial regenerated cellulosic fibers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JPH09273075A (ja) 生物抵抗性を有する繊維の製造方法
Desai et al. Bamboo: Intrinsically antimicrobial textile fiber.
JP2008007912A (ja) ポリ乳酸繊維並びにそれを用いた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H04126819A (ja) 抗菌効果を有する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シート状物
SK286737B6 (sk) Antimikrobiálne polypropylénové vlák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