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727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727A
KR20160028727A KR1020140117601A KR20140117601A KR20160028727A KR 20160028727 A KR20160028727 A KR 20160028727A KR 1020140117601 A KR1020140117601 A KR 1020140117601A KR 20140117601 A KR20140117601 A KR 20140117601A KR 20160028727 A KR20160028727 A KR 20160028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valve
tank
de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375B1 (ko
Inventor
박정민
전하민
손호원
김희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375B1/ko
Priority to JP2015174746A priority patent/JP6193941B2/ja
Priority to CN201510559737.1A priority patent/CN105402822B/zh
Publication of KR2016002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케이스에 배치된 제1수조와; 케이스에 배치된 제2수조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1수조로 안내하는 제1수로부와;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2수조로 안내하는 제2수로부와; 제1수로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와; 제2수로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와;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수조를 비우는 횟수를 최소화하면서 수조의 배수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수조를 갖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 기기이다.
제습기는 실내 공기가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로 이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제습기는 액화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고, 증발기 표면의 이슬은 수조에 낙하된다.
KR 10-2004-0021351 A (2004년03월10일 공개)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단수개의 수조가 장작되고, 수조의 용량이 작을 경우 수조에 담겨질 수 있는 응축수의 양이 적어 잦은 배수작업이 필요하고, 수조의 용량이 클 경우 수조가 너무 무거워 수조의 배수작업이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1수조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2수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1수조로 안내하는 제1수로부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2수조로 안내하는 제2수로부와; 상기 제1수로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수로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와;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수로부 및 제2수로부가 연결되는 제3수로부를 갖는 드레인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로부와 제2수로부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조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1수조 감지부와; 상기 제2수조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2수조 감지부와; 상기 제1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조 수위감지부와; 상기 제2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조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조 감지부와, 제2수조 감지부와, 제1수조 수위감지부와, 제2수조 수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강력 제습시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모두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 중 어느 하나의 오픈 제어시 다른 하나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1수조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2수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1수조로 안내하는 제1수로부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2수조로 안내하는 제2수로부와; 상기 제1수로부와 제2수로부를 개폐하는 삼방밸브와;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삼방밸브가 연결되는 드레인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로부와 제2수로부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조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1수조 감지부와; 상기 제2수조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2수조 감지부와; 상기 제1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조 수위감지부와; 상기 제2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조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조 감지부와, 제2수조 감지부와, 제1수조 수위감지부와, 제2수조 수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수조가 장착이고, 상기 제1수조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상기 제1수조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1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제2수조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2밸브가 클로즈인 제1수조 드레인 단계와; 상기 제1수조의 수위가 만수이고, 상기 제2수조가 장착이며, 상기 제2수조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상기 제1밸브를 클로즈시키고, 제2밸브를 오픈시키는 제2수조 드레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조가 만수이면, 상기 제2밸브를 클로즈시키고, 만수를 외부로 알리고, 제습기를 운전 정지하는 정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 및 제2수조가 모두 장착이고, 상기 제1수조의 수위가 만수 아니며, 상기 제2수조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상기 제1수조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2수조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2밸브를 모두 오픈시키는 동시 드레인 단계와; 상기 제1수조와 제2수조 중 적어도 하나 만수이면,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모두 클로즈하고 만수를 외부로 알리며 제습기를 운전 정지하는 정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수조와 제2수조에 응축수를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드레인할 수 있어 제습기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제1수조와 제2수조의 만수시 제1수조와 제2수조를 개별적으로 배수할 수 있어 하나의 크고 무거운 수조를 배수하는 경우 보다 배수 작업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에서 제1수조와 제2수조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열교환기와 제1수조 및 제2수조가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열교환기와 제1수조 및 제2수조가 도시된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에서 제1수조와 제2수조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열교환기와 제1수조 및 제2수조가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습기는 공기흡입구(2) 및 공기토출구(4)가 형성된 케이스(6)와; 케이스(6)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8)와; 케이스(6)에 배치된 제1수조(21)와; 케이스(6)에 배치된 제2수조(22)를 포함한다.
제습기는 공기토출구(4)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공기토출구(4)로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베인(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공기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8)를 통과시킨 후 공기토출구(4)로 토출하는 송풍팬(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5)는 케이스(6)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5)는 공기유동 방향으로 열교환기(8)와 공기토출구(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6)는 제1수조(21)와 제2수조(22)가 안착되는 베이스(16)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는 제습기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백 커버(17)와, 제습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는 제습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는 제습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6)는 백 커버(17)와 사이드 커버(20)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는 탑 커버(19)에 공기토출구(4)가 형성될 수 있고, 탑 커버(19)는 제습기 내부에서 제습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패널(19)일 수 있다.
제1수조(21)와 제2수조(22)는 제습기의 좌우 방향으로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습기의 전후 방향으로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수조(21) 및 제2수조(22)가 제습기의 좌우 방향으로 착탈될 경우, 사이드 커버(20)는 하단이 베이스(16)와 이격될 수 있고, 제1수조(21) 및 제2수조(22)는 사이드 커버(20)의 하단과 베이스(16) 사이로 출입될 수 있다.
제1수조(21) 및 제2수조(22)가 제습기의 전후 방향으로 착탈될 경우, 프론트 커버(18)는 하단이 베이스(16)과 이격될 수 있고, 제1수조(21) 및 제2수조(22)는 프론트 커버(18)의 하단과 베이스(16) 사이로 출입될 수 있다.
제습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동사이클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케이스(6)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9)와, 압축기(9)와 냉매유로로 연결되고 압축기(9)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10)와, 응축기(10)와 냉매유로로 연결되고 응축기(1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미도시)와, 팽창기구와 냉매유로로 연결되고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실내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열교환기(8)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사이클장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열교환기(8) 이후에 응축기(10)가 배치될 수 있고, 공기는 열교환기(8)와 열교환되어 제습된 후 응축기(10)를 통과되면서 승온될 수 있다. 열교환기(8)는 냉매가 통과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열교환기(8)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공기-냉매 열교환기일 수 있다. 공기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8)와 열교환될 수 있고, 열교환기(8)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8) 표면에서는 응축수가 낙하될 수 있다.
한편, 제습기는 공기가 데시컨트를 통과하면서 데시컨트에 수분이 흡착되는 제습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데시컨트를 포함하는 제습로터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8)와 제습로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8)를 통과한 공기는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수분이 제습로터에 흡착될 수 있다. 제습로터에 수분이 흡착된 공기는 송풍팬(15)에 의해 공기토출구(4)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팬(15)은 케이스(6)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기가 공기흡입구(2)와 열교환기(8)와 제습로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공기토출구(4)로 토출되게 구동될 수 있다. 제습로터를 포함하는 제습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공기를 전기히터와 제습로터와 열교환기(8)의 내부와, 재생덕트 순서로 유동시키는 재생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습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습로터 서포터와, 제습로터를 회전시키는 제습로터 회전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습로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로터의 수분을 흡습한 다습한 공기가 열교환기(8) 내부에서 응축될 수 있고, 응축수는 열교환기(8) 내부에서 응축수 배출구를 통해 열교환기(8)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8)의 내부에서는 응축수가 낙하될 수 있다.
제습기는 공기-냉매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경우와, 데시컨트를 포함하하는 경우 각각 열교환기(8)에서 응축수가 발생되어 낙하될 수 있고, 이러한 응축수는 제1수조(21)와 제2수조(22)로 유동되어 담겨질 수 있다.
제습기는 응축수가 담겨지는 수조의 용량이 클수록 수조를 비우는 횟수가 줄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수조의 용량은 가급적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수조의 용량이 너무 클 경우, 수조에 담겨지는 응축수 량이 과다할 수 있고, 수조의 배수작업을 위해 수조를 운반할 때 너무무거워 수조의 배수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즉, 제습기는 하나의 대형 수조 보다 복수개의 수조를 포함하는 것이 그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습기는 제1수조(21)와 제2수조(22)의 각각에 응축수가 담겨지는 경우, 제1수조(21)의 용량과 제2수조(22)의 용량 합의 응축수를 제습기에 담아둘 수 있고, 제1수조(21)와 제2수조(22)의 배수 작업시 이를 각각 독립적으로 배수할 수 있어 큰 힘을 들어지 않고 제1수조(21)와 제2수조(22)를 배수할 수 있다.
제1수조(21) 및 제2수조(22) 각각은 응축수가 담겨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통체와, 통체의 상부를 덮고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는 응축수 유입공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조(21)와 제2수조(22)는 제습기 내부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제1수조(21)와 제2수조(22)로 안내할 수 있는 응축수 조절기구(3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조절기구(30)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아 제1수조(21)로 안내하는 제1수조 드레인모드와,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아 제2수조(22)로 안내하는 제2수조 드레인모드를 갖을 수 있다. 응축수 조절기구(30)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아 제1수조(21)와 제2수조(22)로 함께 안내하는 동시 드레인모드를 갖을 수 있다. 응축수 조절기구(30)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되 제1수조(21)와 제2수조(22)로 안내하지 않는 드레인 정지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습기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제1수조(21)로 안내하는 제1수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제2수조(22)로 안내하는 제2수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는 이격될 수 있다. 제1수로부(32)는 제1수조(21)와 제2수조(22) 중 제1수조(21)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수로부(34)는 제1수조(21)와 제2수조(22) 중 제2수조(22)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아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로 안내할 수 있는 제3수로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열교환기(8)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팬(31)에는 열교환기(6)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응축수가 흐르는 제3수로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직접 받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3수로부(36)에 연결되어 제3수로부(36)에서 유동된 응축수를 받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가 제3수로부(36)를 더 포함할 경우, 응축수 드레인 방향으로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는 제3수로부(36)에서 분지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이하, 제습기는 드레인 팬(31)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제3수로부(36)를 따라 흐를 수 있고, 응축수는 제3수로부(36)에서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로 안내될 수 있다.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는 적어도 하나가 드레인 팬(31)과 일체 형성되어 드레인 팬(3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각각이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드레인 팬(31)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수로부(32)는 내부에 수로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제1수로부(32)는 입구(32A)가 제3수로부(36)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수로부(32)는 출구(32B)가 제1수조(2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수로부(32)는 적어도 1회 절곡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수로부(32)는 제3수로부(36)에서 옆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에서 절곡되고 제1수조(21)의 상면을 향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로부(32)는 돌출부에 입구(32A)가 형성될 수 있고, 절곡부에 출구(3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수로부(34)는 내부에 수로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제2수로부(34)는 입구(34A)가 제3수로부(36)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수로부(34)는 출구(34B)가 제2수조(2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수로부(34)는 적어도 1회 절곡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수로부(34)는 제3수로부(36)에서 옆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에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로부(34)는 돌출부에 입구(34A)가 형성될 수 있고, 절곡부에 출구(3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수로부(36)는 열교환기(8)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수로부(36)는 하판(37)과 돌출부(38)를 포함할 수 있고,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드레인 팬(31)은 하판(37)이 열교환기(8)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돌출부(38)가 하판(37)에 상향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8)는 하판(37)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수를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제3수로부(36)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하판(37) 상면으로 낙하될 수 있고, 하판(37)을 따라 흘러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로 흐를 수 있다.
드레인 팬(31)은 제3수로부(36)의 응축수가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로 함께 흐를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1수로부(32)를 개폐하는 제1밸브(40)와; 제2수로부(34)를 개폐하는 제2밸브(50)와; 제1밸브(40)와 제2밸브(5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한다.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와 제3수로부(36)와 제1밸브(40)와 제2밸브(50)는 함께 응축수를 조절할 수 있는 응축수 조절기구(3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밸브(40)와 제2밸브(50)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밸브(40)는 응축수가 제1수로부(32)를 통과해 제1수조(21)로 드레인되게 제1수로부(32)를 개방할 수 있다. 제1밸브(40)는 제1수조(21)로 응축수가 드레인되지 않게 제1수로부(32)를 차폐할 수 있다. 제1밸브(40)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통상적인 유체 개폐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밸브(40)는 응축수 유동방향으로 제3수로부(36)와 제1수로부(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수로부(32)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밸브(40)는 제1수로부(32)의 입구(32A)에 설치되어 입구(32A)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제1수로부(32)가 제3수로부(36)와 연결되고 제1밸브(40)가 응축수 유동방향으로 제1수로부(32) 이후에 배치되어 제1수로부(32)를 통과한 응축수를 단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밸브(40)는 제1수로부(32)의 출구(32B)에 설치되어 출구(32B)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제1수로부(32)가 제3수로부(36)와 연결되고, 제1밸브(40)가제1수로부(32)의 입구(32A)와 출구(32B) 사이에 설치되어 입구(32A)와 출구(32B) 사이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수로부(32)는 응축수의 유동방향으로 제1밸브(4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한 쌍의 파이프부 중 어느 하나가 제3수로부(36)에 연결되고, 한 쌍의 파이프부 중 다른 하나가 제1수조(21)로 응축수를 출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밸브(50)는 응축수가 제2수로부(34)를 통과해 제2수조(22)로 드레인되게 제2수로부(34)를 개방할 수 있다. 제2밸브(50)는 제2수조(22)로 응축수가 드레인되지 않게 제2수로부(34)를 차폐할 수 있다. 제2밸브(50)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통상적인 유체 개폐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밸브(50)는 응축수 유동방향으로 제3수로부(36)와 제2수로부(34) 사이에 배치되어 제2수로부(34)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밸브(50)는 제2수로부(34)의 입구(34A)에 설치되어 입구(34A)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제2수로부(34)가 제3수로부(36)와 연결되고 제2밸브(50)가 응축수 유동방향으로 제2수로부(34) 이후에 배치되어 제2수로부(34)를 통과한 응축수를 단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밸브(50)는 제2수로부(34)의 출구(34B)에 설치되어 출구(34B)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제2수로부(34)가 제3수로부(36)와 연결되고, 제2밸브(50)가제2수로부(34)의 입구(34A)와 출구(34B) 사이에 설치되어 입구(34A)와 출구(34B) 사이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수로부(34)는 응축수의 유동방향으로 제2밸브(50)를 사이에 두고 이격하는 한 쌍의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한 쌍의 파이프부 중 어느 하나가 제3수로부(36)에 연결되고, 한 쌍의 파이프부 중 다른 하나가 제2수조(22)로 응축수를 출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제1수조(21))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1수조 감지부(72)와, 제2수조(22)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2수조 감지부(74)와, 제1수조(21)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조 수위감지부(76)와, 제2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조 수위감지부(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조 감지부(72)는 제1수조(21)의 장착시 제1수조(21)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조 감지부(72)는 제1수조(21)가 제습기 내부의 정위치로 진입되면, 제1수조(21)에 의해 온 스위칭시킬 수 있고, 제1수조(21)가 제습기 내부의 정위치에서 벗어나면 오프될 수 있다.
제2수조 감지부(74)는 제1수조 감지부(72)와 동일 구조일 수 있고, 제2수조(22)의 장착시 제2수조(22)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조 감지부(74)는 제2수조(22)가 제습기 내부의 정위치로 진입되면, 제2수조(22)에 의해 온 스위칭시킬 수 있고, 제2수조(22)가 제습기 내부의 정위치에서 벗어나면 오프될 수 있다.
제1수조(21)에는 제1수조(21)의 물에 의해 회전되거나 무빙되는 레버가 배치될 수 있고, 제1수조 수위감지부(76)는 제1수조(21)의 수위가 만수일 때 레버에 의해 온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조 수위감지부(76)는 광을 이용하여 제1수조(21)의 만수를 감지하는 광 센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제1수조(21)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제2수조(22)에는 제2수조(22)의 물에 의해 회전되거나 무빙되는 레버가 배치될 수 있고, 제2수조 수위감지부(78)는 제2수조(22)의 수위가 만수일 때 레버에 의해 온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조 수위감지부(78)는 광을 이용하여 제2수조(22)의 만수를 감지하는 광 센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제2수조(22)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수조 감지부(72)와, 제2수조 감지부(74)와, 제1수조 수위감지부(76)와, 제2수조 수위감지부(78)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1밸브(40)와 제2밸브(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밸브(40)와 제2밸브(50) 중 어느 하나의 오픈 제어하고, 다른 하나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밸브(40)와 제2밸브(50)를 모두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밸브(40)와 제2밸브(50)를 모두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열교환기(8)에서 다량의 응축수가 낙하될 경우, 제1밸브(40)와 제2밸브(50)를 모두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강력 제습시 제1밸브(40)와 제2밸브(50)를 모두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강력 제습은 제습량 많은 높은 모드로서, 일반 제습 모드과 구분되는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밸브(40)와 제2밸브(50) 중 어느 하나의 오픈 제어시 다른 하나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수조(21)가 만수이거나 제1수조(21)가 장착된 상태가 아닐 경우, 제1밸브(40)를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2수조(22)가 만수이거나 제2수조(22)가 장착된 상태가 아닐 경우, 제2밸브(50)를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정위치에 장착되고 만수가 아닌 수조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밸브를 오픈 제어할 수 있고, 정위치에 장착되지 못하거나 만수인 수로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밸브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제습기는 사용자가 제습기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80)와, 제습기의 만수를 알리는 알림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0)는 조작부(80)는 케이스(6)에 설치될 수 있다. 제습기의 운전,정지를 입력할 수 있는 운전,정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0)는 제습기의 강력 제습 모드를 입력할 수 있는 강력 제습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습기의 만수는 수조(21)(22)의 만수로서, 알림기구는 디스플레이(90) 또는 부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알림기구가 디스플레이(90)일 경우, 디스플레이(90)는 엘시디 또는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제1수조(21)의 만수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제2수조(22)의 만수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0)는 제1수조(21)의 만수와 제2수조(22)의 만수를 각각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등은 만수인 수조를 확인하고 이를 비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제1수조(21)가 장착이고, 제1수조(22)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제1수조(21)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1밸브(40)를 오픈시키고 제2수조(22)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2밸브(50)가 클로즈인 제1수조 드레인 단계(S1)(S2)(S3)(S4)를 실시한다.
제1수조 감지부(72)는 제1수조(21)가 장착된 경우 온 스위칭되어 제어부(60)로 제1수조(21)의 장착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60)는 제1수조 감지부(72)의 신호에 의해 제1수조(21)가 현재 정상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 제1수조 수위감지부(76)는 제1수조(21)의 비만수시 오프이고, 제어부(60)는 제1수조 수위감지부(76)에서 만수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부터 제1수조(21)가 만수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
제어부(60)는 제1밸브(40)가 클로즈 상태이면, 제1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다.(S3) 제어부(60)는 제2밸브(50)가 클로즈 상태이면, 제2밸브(50)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밸브(50)가 오픈 상태이면, 제2밸브(50)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제1밸브(40)가 오픈이고, 제2밸브(50)가 클로즈이면,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제1밸브(40) 및 제1수로부(32)을 통과하여 제1수조(21)로 낙하되고, 제1수조(21)에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되어 유동된 응축수가 점차 차오르게 된다.
제어부(60)는 상기와 같은 제1밸브(40)의 오픈 이후에, 제1수조 수위감지부(76)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1수조 드레인 단계를 계속하거나 완료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밸브(40)의 오픈 이후에, 제1수조 수위감지부(76)에서 만수신호가 출력되면, 제1수조 드레인 단계를 중단시킬 수 있다. (S4)
한편,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제1수조(21)가 비장착이면, 제1밸브(40)를 오픈하지 않고, 후술하는 제2수조 드레인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S1)(S5) 또한,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제1수조(21)가 장착이지만 제1수조(21)가 만수수위이면, 제1밸브(40)를 오픈하지 않고, 제2수조 드레인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S1)(S2)(S5)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제1수조(21)의 수위가 만수이고, 제2수조(22)가 장착이며, 제2수조(22)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제1밸브(40)를 클로즈시키고, 제2밸브(50)를 오픈시키는 제2수조 드레인 단계(S5)(S6)(S7)(S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조 감지부(74)는 제2수조(22)가 장착된 경우 온 스위칭되어 제어부(60)로 제2수조(22)의 장착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60)는 제2수조 감지부(74)의 신호에 의해 제2수조(22)가 현재 정상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 제2수조 수위감지부(78)는 제2수조(22)의 비만수시 오프이고, 제어부(60)는 제2수조 수위감지부(78)에서 만수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부터 제2수조(22)가 만수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
제어부(60)는 제1밸브(40)를 클로즈시키고, 제2밸브(50)를 오픈시킬수 있다.(S7) 제1밸브(40)가 클로즈이고, 제2밸브(50)가 오픈이면,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더 이상 제1밸브(40) 및 제1수로부(32)로 유동되지 않고, 제2밸브(50) 및 제2수로부(34)를 통과하여 제2수조(22)로 낙하되고, 제2수조(22)에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되어 유동된 응축수가 점차 차오르게 된다.
한편, 제2수조 드레인 단계(S5)(S6)(S7)(S8)는 제1수조(2)의 만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2수조 드레인 단계의 개시시 또는 제2수조 드레인 단계의 도중에, 디스플레이(90)로 제1수조(21)의 만수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90)는 외부로 제1수조(21)의 만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제1수조(21)가 비장착이거나 제1수조(21)가 만수인 상황에서 제2수조(22)가 현재 비장착이면, 제2밸브(50)을 오픈하지 않고 ,제습기를 운전 정지할 수 있다.(S5)(S10). 여기서, 제습기의 운전 정지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어부(60)는 제1수조(21)가 비장착이거나 제1수조(21)가 만수인 상황에서 제2수조(22)가 현재 장착이지만, 제2수조(22)가 만수이면, 제2밸브(50)을 오픈하지 않고 , 제습기를 운전 정지할 수 있다.(S5)(S6)(S11) 이와 같이, 제2수조(22)가 장착이지만 제2수조(22)가 만수인 경우, 제어부(60)는 제2수조(22)의 만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제어부(60)는 디스플레이(90)로 만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기와 같은 제2밸브(50)의 오픈 이후에, 제2수조 수위감지부(78)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2수조 드레인 단계를 계속하거나 완료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2밸브(50)의 오픈 이후에, 제2수조 수위감지부(78)에서 만수신호가 출력되면, 제2수조 드레인 단계를 중단시킬 수 있다. (S8)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제2수조(22)가 만수이면, 제2밸브(50)를 클로즈시키고, 제습기를 운전 정지하는 정지단계(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밸브(50)의 클로즈시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더 이상 제2수조(22)로 드레인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습기의 운전 정지는 제습기가 더 이상 제습하지 않게 제습기를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열교환기(8)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15)을 정지할 수 있다. 제습기가 압축기(9)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60)는 압축기(9)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제습기가 데시컨트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60)는 재생팬, 전기히터, 제습로터 회전기구 등을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정지단계(S9)는 제2수조(22)의 만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2밸브(50)의 클로즈 이전 또는 제2밸브(50)의 클로즈와 함께 디스플레이(90)로 만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송풍팬(15)의 정지 이전 또는 송풍팬(15)의 정지와 함께 디스플레이(90)로 만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 및 제2수조(22)가 모두 장착이고, 제1수조(21)의 수위가 만수 아니며, 제2수조(22)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제1수조(21)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1밸브(40) 및 제2수조(22)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2밸브(50)를 모두 오픈시키는 동시 드레인 단계(S21)(S22)(S23)(S24)(S25)(S26)(S27)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강력 제습은 조작부(80)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강력 제습 모드일 수 있다. 강력 제습은 일반 제습 보다 제습 능력이 높은 고부하 모두일 수 있다. 제어부(60)는 강력 제습시 송풍기(15)를 고풍량 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압축기(9)를 고부하 모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제습기는 강력 제습이 입력되지 않은 일반 제습의 경우 보다, 실내를 보다 신속하게 제습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제습은 도 6에 도시된 제습기의 제어방법 일실시예(S1∼S11)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강력 제습이 입력되지 않고, 제습기가 운전되면, 도 6에 도시된 제습기의 제어방법 일실시예와 같이 제습기를 제어할 수 있고, 강력 제습이 입력된 후 제습기가 운전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드레인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밸브(40)가 클로즈 상태이면, 동시 드레인 단계시, 제1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다.(S26) 제어부(60)는 제2밸브(50)가 클로즈 상태이면, 동시 드레인 단계시, 제2밸브(50)를 오픈시킬 수 있다.(S26)
제1밸브(40)가 오픈이고, 제2밸브(50)가 오픈이면,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일부가 제1밸브(40) 및 제1수로부(32)을 통과하여 제1수조(21)로 낙하될 수 있고, 나머지가 제2밸브(50) 및 제2수로부(34)을 통과하여 제2수조(22)로 낙하될 수 있다. 제1수조(21)에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되어 유동된 응축수가 점차 차오르게 되고, 제2수조(22)에는 열교환기(8)에서 낙하되어 유동된 응축수가 점차 차오르게 된다.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동시에 제1수조(21)와 제2수조(22)로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기와 같은 제1밸브(40)의 오픈 및 제2밸브(50)의 오픈 이후에, 제1수조 수위감지부(76)의 감지결과 및 제2수조 수위감지부(76)의 감지 결과에 따라, 동시 드레인 단계를 계속하거나 완료할 수 있다.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동시 드레인 단계의 도중에 제1수조(21)와 제2수조(22) 중 적어도 하나 만수이면, 제1밸브(40) 및 제2밸브(50)를 모두 클로즈하고 만수를 외부로 알리며 제습기를 운전 정지하는 정지단계(S2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만수의 알림 및 제습기의 운전 정지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비장착이면, 상기와 같은 동시 드레인 단계(S21)(S22)(S23)(S24)(S25)(S26)(S27)와 정지단계(S28)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제2수조 드레인단계(S29∼S32)를 개시할 수 있다.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장착이지만, 제1수조(21)가 만수이면, 제2수조 드레인단계(S29∼S32)를 개시할 수 있다.
제2수조 드레인단계(S29∼S32)는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비장착이고, 제2수조(22)가 장착이며, 제2수조(22)가 비만수인 경우 개시될 수 있다. 제2수조 드레인단계(S29∼S32)는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장착이고, 제1수조(21)가 만수이며, 제2수조(22)가 장착이며, 제2수조(22)가 비만수인 경우 개시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2수조 드레인 단계시, 제2밸브(50)를 오픈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2밸브(50)가 현재 오픈이면,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밸브(50)가 현재 클로즈이면, 클로즈인 제2밸브(50)를 오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제2밸브(50)의 오픈시, 제1밸브(40)가 현재 클로즈이면, 제1밸브(40)의 클로즈를 유지시킬 수 있고, 제1밸브(40)가 현재 오픈이면, 오픈인 제1밸브(40)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제2밸브(50)의 오픈시,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제2밸브(50) 및 제2수로부(34)를 통과하여 제2수조(22)로 드레인될 수 있고, 제2수조(22)는 응축수가 점차 차오를 수 있다.
한편,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제2수조 드레인단계(S29∼S32)의 도중에 제2수조(22)가 만수이면, 제2밸브(50)를 클로즈시키고, 만수를 외부로 알리며 제습기를 운전 정지하는 정지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밸브(50)의 클로즈시, 응축수는 제2수조(50)로 더 이상 드레인되지 않는다.
한편,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비장착이고, 제2수조(22)가 비장착이면, 제습기를 운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S22)(S29)(S34) 또한,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장착이고, 제1수조(21)가 만수이며, 제2수조(22)가 비장착이면, 제습기를 운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S22))(S23)(S29)(S34)
또한,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비장착이고, 제2수조(22)가 장착이지만, 제2수조(22)가 만수이면, 제습기를 운전시키지 않고, 만수를 알릴 수 있다. (S22)(S29)(S30)(S35) 또한,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장착이고, 제1수조(21)가 만수이며, 제2수조(22)가 장착이지만, 제2수조(22)가 만수이면, 제습기를 운전시키지 않고, 만수를 알릴 수 있다. (S22)(S23)(S29)(S30)(S35)
한편,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장착이고 제1수조(21)가 비만수인데, 제2수조(22)가 비장착이면, 상기와 같은 동시 드레인 단계(S21)(S22)(S23)(S24)(S25)(S26)(S27)와 정지단계(S28)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제1수조 드레인단계(S36)(S37)를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강력 제습시 제1수조(21)가 장착이고 제1수조(21)가 비만수이며, 제2수조(22)가 장착인데, 제2수조(22)가 만수이면, 제1수조 드레인단계(S36)(S37)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수조 드레인 단계시, 제1밸브(40)를 오픈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밸브(40)가 현재 오픈이면,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1밸브(40)가 현재 클로즈이면, 제1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2밸브(50)가 현재 클로즈이면, 클로즈인 제2밸브(50)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제1밸브(40)의 오픈시, 열교환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제1밸브(40) 및 제1수로부(32)를 통과하여 제1수조(21)로 드레인될 수 있고, 제1수조(21)는 응축수가 점차 차오를 수 있다.
한편,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제1수조 드레인단계(S33)(S34)의 도중에 제1수조(22)가 만수이면, 제1밸브(40)를 클로즈시키고, 만수를 외부로 알리며 제습기를 운전 정지하는 정지단계(S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브(40)의 클로즈시, 응축수는 제1수조(50)로 더 이상 드레인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열교환기와 제1수조 및 제2수조가 도시된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응축수 조절기구(30')는 삼방밸브(110)와, 삼방밸브(110)에 각각 연결된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삼방밸브(110)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응축수 조절기구(3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응축수 조절기구(30')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제3수로부(36)가 형성된 드레인 팬(31)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응축수 조절기구(30')는 드레인 팬(31) 없이 삼방밸브(110)와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응축수 조절기구(30')는 드레인 팬(31)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삼방밸브(110)의 입구부(111)가 열교환기(8)의 응축수 배출구에 연결되고, 제1출구부(112)에 제1수로부(32)가 연결되며, 제2출구부(113)에 제2수로부(34)가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 조절기구(30')은 드레인 팬(31)을 더 포함할 경우, 삼방밸브(110)의 입구부(111)가 드레인 팬(31)에 구비된 응축수 유출구(31a)에 연결될 수 있고, 제1출구부(112)에 제1수로부(32')가 연결되며, 제2출구부(113)에 제2수로부(34')가 연결될 수 있다.
삼방밸브(110)는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를 통과하는 응축수를 조절하는 응축수 조절부일 수 있다. 삼방밸브(110)는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를 개폐할 수 있는 수로부 개폐부일 수 있다.
삼방밸브(110)가 제1수로부(32)와 제2수로부(34)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삼방밸브(110)는 하나의 입구부(111)에서 제1출구부(112) 및 제2출구부(113)로 분지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114)와, 밸브 바디(114)의 내부에 회전 또는 슬라이드되게 배치된 밸브체(115)와, 밸브체(115)를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의 구동원(116)을 포함할 수 있다. 삼방밸브(110)는 제1출구부(112)를 개방하고 제2출구부(113)를 막는 제1모드와, 제1출구부(112)를 막고 제2출구부(113)를 개방하는 제2모드를 갖을 수 있다. 삼방밸브(110)는 제1출구부(112)와 제2출구부(113)를 모두 개방하는 제3모드를 더 갖을 수 있다. 삼방밸브(110)는 제1출구부(112)와 제2출구부(113)를 모두 막는 제4모드를 더 갖을 수 있다.
제1수로부(32')는 삼방밸브(110)에서 안내된 응축수를 제1수조(21)로 안내할 수 있다.
제2수로부(34')는 삼방밸브(110)에서 안내된 응축수를 제2수조(22)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응축수 조절기구(30')는 삼방밸브(110)의 제1모드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1밸브(40) 오픈 및 제2밸브(50) 클로즈와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응축수 조절기구(30')는 삼방밸브(110)의 제2모드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1밸브(40) 클로즈 및 제2밸브(50) 오픈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응축수 조절기구(30')는 삼방밸브(110)의 제3모드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1밸브(40) 오픈 및 제2밸브(50) 오픈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응축수 조절기구(30')는 삼방밸브(110)의 제4모드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1밸브(40) 클로즈 및 제2밸브(50) 클로즈와 같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공기흡입구 4: 공기토출구
6: 케이스 21: 제1수조
22: 제2수조 32: 제1수로부
34: 제2수로부 36: 제3수로부
40: 제1밸브 50: 제2밸브
60: 제어부

Claims (13)

  1.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1수조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2수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1수조로 안내하는 제1수로부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2수조로 안내하는 제2수로부와;
    상기 제1수로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수로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와;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수로부 및 제2수로부가 연결되는 제3수로부를 갖는 드레인 팬을 더 포함하는 제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로부와 제2수로부는 이격되는 제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조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1수조 감지부와,
    상기 제2수조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2수조 감지부와,
    상기 제1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조 수위감지부와;
    상기 제2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조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조 감지부와, 제2수조 감지부와, 제1수조 수위감지부와, 제2수조 수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강력 제습시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모두 오픈 제어하는 제습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 중 어느 하나의 오픈 제어시 다른 하나를 클로즈 제어하는 제습기.
  7.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1수조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2수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1수조로 안내하는 제1수로부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2수조로 안내하는 제2수로부와;
    상기 제1수로부와 제2수로부를 개폐하는 삼방밸브와;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삼방밸브가 연결되는 드레인 팬을 더 포함하는 제습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로부와 제2수로부는 이격되는 제습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조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1수조 감지부와,
    상기 제2수조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2수조 감지부와,
    상기 제1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조 수위감지부와;
    상기 제2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조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조 감지부와, 제2수조 감지부와, 제1수조 수위감지부와, 제2수조 수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습기.
  11. 제1수조가 장착이고, 상기 제1수조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상기 제1수조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1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제2수조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2밸브가 클로즈인 제1수조 드레인 단계와;
    상기 제1수조의 수위가 만수이고, 상기 제2수조가 장착이며, 상기 제2수조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상기 제1밸브를 클로즈시키고, 제2밸브를 오픈시키는 제2수조 드레인 단계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조가 만수이면, 상기 제2밸브를 클로즈시키고, 만수를 외부로 알리고, 제습기를 운전 정지하는 정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13. 강력 제습시, 제1수조 및 제2수조가 모두 장착이고, 상기 제1수조의 수위가 만수 아니며, 상기 제2수조의 수위가 만수 아니면, 상기 제1수조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2수조로 흐르는 응축수를 단속하는 제2밸브를 모두 오픈시키는 동시 드레인 단계와;
    상기 제1수조와 제2수조 중 적어도 하나 만수이면,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모두 클로즈하고 만수를 외부로 알리며 제습기를 운전 정지하는 정지단계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117601A 2014-09-04 2014-09-04 제습기 KR10219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01A KR102199375B1 (ko) 2014-09-04 2014-09-04 제습기
JP2015174746A JP6193941B2 (ja) 2014-09-04 2015-09-04 除湿機
CN201510559737.1A CN105402822B (zh) 2014-09-04 2015-09-06 除湿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01A KR102199375B1 (ko) 2014-09-04 2014-09-04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27A true KR20160028727A (ko) 2016-03-14
KR102199375B1 KR102199375B1 (ko) 2021-01-06

Family

ID=5546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601A KR102199375B1 (ko) 2014-09-04 2014-09-04 제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93941B2 (ko)
KR (1) KR102199375B1 (ko)
CN (1) CN1054028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7143A (zh) * 2018-04-28 2018-09-07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中层接水盘及具有该接水盘的移动空调
EP3855091A4 (en) * 2018-10-24 2021-11-17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MOBILE AIR CONDITIONER AND ASSOCIATED CONTROL PROCED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84B1 (ko) * 2018-03-07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706988A (zh) * 2020-06-16 2020-09-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接水盘、接水盘组件及除湿机
CN111998525A (zh) * 2020-09-09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机的接水组件、除湿机及其控制方法
CN112303809A (zh) * 2020-10-30 2021-02-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控制方法、除湿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375240B (zh) * 2020-12-31 2022-08-12 重庆绿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一体化库房管理系统
KR102317002B1 (ko) * 2021-04-30 2021-10-26 주식회사 원방테크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CN115076804A (zh) * 2022-07-06 2022-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机及其排水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317U (ko) * 1976-09-09 1978-04-06
JPS6284507U (ko) * 1985-11-19 1987-05-29
JP2002340368A (ja) *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除湿機
KR20040021351A (ko) 2002-09-03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수조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909U (ja) * 1981-08-05 1983-0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ク−ラユニツトの除湿水移送装置
JPH0270129U (ko) * 1988-11-15 1990-05-28
JPH0615237Y2 (ja) * 1988-11-16 1994-04-20 三洋電機株式会社 除湿機
JP3554187B2 (ja) * 1998-04-17 2004-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除湿機
JP2000271427A (ja) * 1999-03-26 2000-10-03 Sharp Corp 除湿機
JP2004025177A (ja) * 2003-06-09 2004-01-29 Sharp Corp 除湿器
CN100465541C (zh) * 2003-08-25 2009-03-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冷凝水排出切断装置
CN1712851A (zh) * 2004-06-21 2005-12-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装有水槽的除湿机机壳
JP2008298372A (ja) * 2007-05-31 2008-12-11 Toshiba Elevator Co Ltd ドレン水処理装置
JP5765517B2 (ja) * 2010-06-18 2015-08-19 株式会社Ihi ガス冷却器及びターボコンプレッサ
JP5696319B2 (ja) * 2011-05-31 2015-04-08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圧縮空気除湿装置
CN203785212U (zh) * 2014-03-27 2014-08-20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除湿机
CN203857619U (zh) * 2014-04-24 2014-10-0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除湿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317U (ko) * 1976-09-09 1978-04-06
JPS6284507U (ko) * 1985-11-19 1987-05-29
JP2002340368A (ja) *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除湿機
KR20040021351A (ko) 2002-09-03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수조 장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7143A (zh) * 2018-04-28 2018-09-07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中层接水盘及具有该接水盘的移动空调
CN108507143B (zh) * 2018-04-28 2024-02-0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中层接水盘及具有该接水盘的移动空调
EP3855091A4 (en) * 2018-10-24 2021-11-17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MOBILE AIR CONDITIONER AND ASSOCIATED CONTROL PROCEDURE
US11898770B2 (en) 2018-10-24 2024-02-13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Movabl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55285A (ja) 2016-04-21
CN105402822A (zh) 2016-03-16
KR102199375B1 (ko) 2021-01-06
JP6193941B2 (ja) 2017-09-06
CN105402822B (zh)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8727A (ko) 제습기
CN102032623B (zh) 除湿机
KR20140096964A (ko) 순환구조 건조기
GB2302729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dehumidifying operation function.
CN114270104B (zh) 空调机
JP6257788B2 (ja) 除湿装置
JP7421064B2 (ja) 空気調和機
JP2008067996A (ja) 衣類乾燥機
JP2017044424A (ja) 空気調和機
KR101970763B1 (ko) 공기조화기의 동파방지장치 및 제어방법
JP2005009849A (ja) 空気調和機
KR10079560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3112A (ko) 에어컨의 제습량 표시 장치
JP4814067B2 (ja) 空気調和機
JP7436784B2 (ja) 空気調和機
KR102234780B1 (ko) 제습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720319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80064017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36266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2910893B2 (ja) 空気調和機の満水報知装置
JP2002276994A (ja) 空気調和機
KR102412956B1 (ko) 공기 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100435887B1 (ko) 에어덕트 도어자동개폐장치
JPH1163581A (ja) 壁掛型空気調和機用の加湿器
JPH062920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