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002B1 -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 Google Patents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002B1
KR102317002B1 KR1020210056342A KR20210056342A KR102317002B1 KR 102317002 B1 KR102317002 B1 KR 102317002B1 KR 1020210056342 A KR1020210056342 A KR 1020210056342A KR 20210056342 A KR20210056342 A KR 20210056342A KR 102317002 B1 KR102317002 B1 KR 10231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late
modular
dra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유병옥
권욱일
조대성
채웅식
황희재
양동민
양진우
박철수
박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방테크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방테크,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방테크
Priority to KR102021005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모듈형 외조기의 드레인수 및 결로수를 수용 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 외조기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형 외조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1차수조에 1차 수용 후, 제1드레인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1수조부 및 상기 모듈형 외조기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모듈형 외조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수용 후, 외부로 배출하는 제2수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조부는 상기 모듈형 외조기 내에 개별 설치되며, 상기 제2수조부는 상기 모듈형 외조기의 개수와 대응하여 다수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바닥슬라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Drain water tank structure for module type HVA equipmen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모듈형 외조기의 드레인수 및 결로수를 수용 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도의 청정도와 정밀도가 요구되는 반도체 또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를 생산하는 공정의 내부는 항상 일정한 온도와 습도 및 요구되는 공기 청정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공기는 외부로부터 제어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 내부가 외부보다 공기의 압력이 높아 외부로부터 제어되지 않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양압 유지 또는 제품 생산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외부로의 유출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정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제어된 공기의 공급이 필요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외부 공기를 빨아들여 공정에서 요구되는 온/습도로 제어하고, 또한 외부 공기 중에 다량의 먼지나 유기 화합물을 공정에서 요구되는 수준으로 정제하여 외부 공기를 공정으로 불어넣어 주는 장치인 외조기(OAC)나 공조기 등과 같은 설비기기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한 외조기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들로서는 겨울철의 차고 건조한 공기를 따뜻하고 습하게 만들어 주는 공기가열 코일과 가습기가 포함되고, 여름철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냉각시키고 제습해야 하는 냉각 코일이 포함되며,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고순도로 효율적으로 걸러주기 위해 저급, 중급, 고급의 먼지제거 필터들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외부 공기 속에 포함된 유기 화합물 제거 장치도 설치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정으로 불어 넣어주는 송풍 팬이 설치된다.
그 외에도 냉각 코일에 냉수가 공급될 냉수 배관, 가열 코일에 뜨거운 온수 또는 부동액이 공급될 온수 배관 및 가습기에 뜨거운 스팀을 공급할 스팀 배관과 같은 상부시설도 그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외조기 하부에는 해당 외조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수용 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수조가 설치되게 되는데 종래의 드레인수조는 평균 500mm 높이의 콘크리트에 수조를 형성하여 드레인수를 받아 배수하게 되는데, 해당 드레인수는 콘크리트와 맞닿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벽에 방수처리 공정이 필히 이루어지게 하여 드레인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콘크리트 수조를 이용한 방식을 습식 콘크리트 줄기초 방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콘크리트 줄기초 방식의 드레인수조는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양생되기 이전에 모듈형태의 외조기를 안착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해당 외조기 상부에 설치되는 배관 등과 같은 상부시설 역시, 해당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이전에는 설치가 불가능하여 공정에 필요한 시간의 소요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15241호(공고일:2019.08.27.)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습식 콘크리트 줄기초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드레인수조를 개시하여 모듈형 외조기 설치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는 모듈형 설비기기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모듈형 설비기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1차수조에 1차 수용 후, 제1드레인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1수조부 및 모듈형 설비기기 하부를 지지하되 모듈형 설비기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수용 후, 외부로 배출하는 제2수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조부는 모듈형 설비기기 내에 개별 설치되며, 상기 제2수조부는 모듈형 설비기기의 개수와 대응하여 다수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바닥슬라브에 설치되고, 모듈형 설비기기는 모듈형태의 외조기 또는 공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수조부는 바닥슬라브 상면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적층되는 기초구조물과, 상부가 개구되되 외면에는 드레인수를 배출하는 제2드레인공이 형성된 수용체가 상기 기초구조물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용체 끝단에서 연장된 플랜지 하면이 상기 기초구조물 상면에 안착할 수 있게 설치되는 2차수조와, 상기 플랜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기초구조물과 상기 플랜지 간에 밀폐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가압하는 철판플레이트와, 상기 철판플레이트 상면에 안착 설치되되 단열플레이트 및 상기 단열플레이트 상면에 안착 설치되되 상기 제2수조부를 구성하는 구성물 간의 체결부분의 방수나 상기 모듈형 외조기와 상기 제2수조부 간의 방수를 위해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철판플레이트는 상기 철판플레이트와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연결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상기 2차수조에 각각 형성된 상기 플랜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수조부는 상기 수용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체의 바닥이 하방으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보강파이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파이프 양측은 상기 기초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수조부는 마감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상기 보강파이프 하면을 지지하도록 그 끝단이 상기 기초구조물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마감플레이트 상면과 상기 수용체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에는 보온재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수조부는 방진매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진매트는 상기 기초구조물과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모듈형 외조기 내부에 제1수조부를 구비하여 드레인수를 수용 후, 방수함과 동시에 해당 모듈형 외조기의 결함 등으로 인한 결로수가 발생시에 상기 모듈형 외조기 하부에 구비된 제2수조부를 통해 해당 결로수를 수용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2중수조 방식의 신공법을 취함으로써, 모듈형 외조기 상부설비 공정작업의 간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사기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a는 도 1에 대한 분해도.
도 2b는 도 2a에 대한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에 대한 제2수조부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기초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에 대한 기초구조물에 설치된 2차수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a에 대한 2차수조에 철판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철판플레이트에 단열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대한 단열플레이트에 커버플레이가 설치되는 도면.
도 9는 도 3에 대한 제2수조부에 모듈형 외조기가 설치된 도면.
도 10은 도 3에 대한 기초구조물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이하, 간략하게 '드레인수조'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냉각코일과 히팅코일로 이루어진 온도유지수단(110)을 포함하는 모듈형의 외조기(OAC)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 다른 공조설비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수조(1)는 크게 모듈형 외조기(100) 내부에 설치되는 제1수조부(200) 및 상기 제1수조부(200)와 연통되게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 하부에 위치하도록 바닥슬라브(G)에 고정 설치되는 제2수조부(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수조부(200)는 모듈형 외조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 모듈형 외조기(100)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수용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1차수조(210) 및 제1드레인공(211)을 포함한다.
1차수조(210) 외면에는 제1드레인공(2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그 내부로 수용된 드레인수가 해당 제1드레인공(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모듈형 외조기(100)에 설치된다.
1차수조(210)는 물론, 후술하는 수용체(323)는 도료나 재질의 특성 등을 통해 방수처리수단이 구비된 것을 사용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드레인공(211)은 수용체(323)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1차수조(210) 내부로 수용된 드레인수가 상기 수용체(323) 내부로 유입되어 제2드레인공(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 중 하나인 상기 제2수조부(300)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형 외조기(100) 하부를 지지하여 바닥슬라브(G)에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 결함으로 인한 결로수 등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초구조물(310), 2차수조(320), 철판플레이트(330), 단열플레이트(340), 커버플레이트(350), 보강파이프(360) 및 마감플레이트(370)를 포함하며, 상기한 구성들은 바닥슬라브(G) 상부에 적층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도 2a 참조).
예컨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초구조물(3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횡 및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재질의 H-형강을 사용하되 바닥슬라브(G) 상부에 적층 구조를 갖도록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 결합되어 모듈형 외조기(100)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기초구조물(310)은 바람직한 형상은 그 내부로 2차수조(320)의 삽입이 가능하게 전체적으로 사각의 띠 형상을 갖도록 바닥슬라브(G)에 설치되며, 제2드레인공(321)과 대향되는 상기 기초구조물(310) 외면에는 배출공이 천공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초구조물(310) 하부에는 지진이나 모듈형 외조기(100) 작동 등에 의해 바닥슬라브(G)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방진매트(311)가 상기 기초구조물(310)과 바닥슬라브(G) 상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아울러, 기초구조물(3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모듈형 외조기(100)에 대응하여 하나의 2차수조(320)가 구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이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 개수에 등되는 개수를 갖도록 설치된다.
나아가, 다수의 기초구조물(310)은 철판플레이트(330) 및 보조연결플레이트(33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도 6 참조).
즉, 본 발명에서의 모듈형 외조기(10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 하부에 2차수조(320)가 개별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에서 각각 발생하는 결로수가 상기 2차수조(320)에 유입 후, 제2드레인공(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2차수조(320)는 모듈형 외조기(100)의 파손 등으로 발생하는 결로수를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는 구성으로 수용체(323) 및 플랜지(325)를 포함한다.
수용체(323)는 상부가 개방되되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면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초구조물(31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수용체(323)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드레인공(3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체(323) 내부로 유입된 결로수가 상기 제2드레인공(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수용체(323) 상부 끝단에는 기초구조물(310) 상면에 그 하면이 안착되기 위한 플랜지(325)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325)는 그 상면이 철판플레이트(330) 하면에 가압되어 상기 기초구조물(310)과 고정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25)는 상기 기초구조물(310) 상면에 안착시에 소정의 간격(D)을 갖도록 설치되어 열전달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드레인공(321)은 수용체(323) 바닥면에서 하방으로 관 형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드레인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제2드레인공(321)의 높이는 물론, 후술하는 방진매트(311)와 함께 모듈형 외조기(100)의 하중 분산이나 진동 흡수 등을 목적으로 할 수 있게 H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지지다리(310')가 기초구조물(310) 하부에 다수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2b 참조).
또한, 도 2b 및 도 6을 참조하면 철판플레이트(3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술한 기초구조물(310)의 개수에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의 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기초구조물(3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철판플레이트(330)는 다수의 기초구조물(310)을 서로 연결시에 그 연결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연결플레이트(331)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연결플레이트(3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이 서로 다른 플랜지(325)가 연결될 수 있게 상기 철판플레이트(330) 내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어 다수의 상기 기초구조물(3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보조연결플레이트(331)는 다수의 기초구조물(31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나의 상기 기초구조물(310)이 바닥슬라브(G)에 설치된 경우에는 생략도 가능하다.
또한, 도 2b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열플레이트(340)는 철판플레이트(330) 또는 보조연결플레이트(331) 상면에 적층 구조로 결합하여 제2수조부(300)의 단열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단열플레이트(340)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단열플레이트(340)는 커버플레이트(350) 상부에 다수 구비되어 모듈형 외조기(100) 하부가 안착되되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본 발명인 드레인수조(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열플레이트(340)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 보조단열패드(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도 10 참조).
물론, 보조단열패드(340')는 필요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
또한, 도 2b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플레이트(350)는 제2수조부(300)를 구성하는 체결부의 방수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구성이며, 단열플레이트(340) 상면에 적층 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커버플레이트(350)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며, 설치 이후 그 상부에는 모듈형 외조기(100) 하부가 안착된다(도 9 참조).
한편, 상술한 기초구조물(310), 2차수조(320), 철판플레이트(330), 보조연결플레이트(331), 단열플레이트(340) 및 커버플레이트(350)는 각각 체결수단이 관통 삽입될 수 있게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해당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고정 결합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또한, 도 2b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보강파이프(360)는 결로수를 수용하는 2차수조(320)의 하부가 하방으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2차수조(320) 하면이 지지될 수 있게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강파이프(36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가 2차수조(320)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되 그 양측은 기초구조물(310)과 이어지게 설치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마감플레이트(370)는 기초구조물(310) 내부에 보온재(미도시)를 충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강파이프(360)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초구조물(310)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기초구조물(310) 외면과 서로 접하는 마감플레이트(370) 끝단은 볼팅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하되 상기 마감플레이트(370) 상면과 수용체(323) 하면 간의 기밀이 유지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보온재의 충진을 위해 기초구조물(310) 내측에 설치된 마감플레이트(370)는 보강파이프(360)의 존재로 인하여 수용체(323) 하면 간의 사이에 공간부(371)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공간부(371)에 보온재를 충진하여 상술한 단열플레이트(340)와 함께 제2수조부(300)에 결로가 생성되는 것을 차단하여 바닥슬라브(G)에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수조부(3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하기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다수의 모듈형 외조기(100)가 설치되는 실시예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모듈형 외조기(1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바닥슬라브(G) 표면에 띠 형상을 갖는 다수의 기초구조물(310)을 고정 설치한다(도 1 및 도 2a 참조).
아울러, 기초구조물(310) 하부에는 방진매트(311)를 더 설치하여 진동에 의한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설치도 가능하다(도 3 참조).
물론, 필요에 따라 기초구조물(310) 내측으로 마감플레이트(370)와 다수의 보강파이프(360)를 미리 설치하여 수용체(323)가 설치된 이후에 보온재가 충진되는 공간부(37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각각의 기초구조물(310) 상면에 플랜지(325)가 안착될 수 있게 각각의 상기 기초구조물(310) 내측으로 수용체(323)를 삽입하여 결로수를 수용하기 위한 2차수조(320)의 적층설치를 마감한다(도 5a 참조).
아울러, 결로수를 배출하는 제2드레인공(321)은 배출관(미도시)과 서로 관 연결되어 해당 결로수의 유출 없이 원하는 장소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설치된 기초구조물(310) 내에 공간부(371)가 형성된 경우, 철판플레이트(330)의 적층 이전에 상기 공간부(371)에 보온재를 충진하는 공정작업이 미리 선행될 수 있다(도 10 참조).
이후, 띠 형상을 갖는 철판플레이트(330) 및 보조연결플레이트(331)를 2차수조(320) 상부에 적층하여 다수의 기초구조물(310)과 다수의 2차수조(320)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도 6 참조).
이후, 철판플레이트(330) 및 보조연결플레이트(331) 상면에 단열플레이트(340)를 순서대로 적층 설치한다(도 7 참조).
마지막으로, 단열플레이트(340) 상면에 커버플레이트(350)를 적층 설치 후, 상술한 기초구조물(310), 2차수조(320), 철판플레이트(330), 보조연결플레이트(331), 단열플레이트(340) 및 커버플레이트(350)가 서로 일체화를 이루도록 체결수단으로 고정 결합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350) 상면에는 각각 제1수조부(200)가 구비된 다수의 모듈형 외조기(100)를 안착 고정하여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수 및 결로수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도 8 및 도 9 참조).
이를 통해, 종래의 콘크리트 줄기초 방식을 이용한 수조방식을 채택시에 해당 종래의 수조방식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모듈형 외조기(100) 상부에 설치되는 배관설비시설의 설치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보완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수조(1)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와 접촉하는 모듈형 외조기(100) 측면 일부를 포함한 제1수조부(200)와 제2수조부(300) 외면은 물론, 상기 제1수조부(200)와 상기 제2수조부(300) 내의 비어 있는 여백부(S)에 충진 및 경화 가능한 단열수단(400)이 패드의 형태 등으로 더 구비되어 외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수조(1)에 설치된 단열수단(400)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바닥슬라브(G)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410)의 지지를 통해 제1수조부(200) 및 제2수조부(30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브라켓(410)은 상기 단열수단(400)의 고정은 물론, 해당 바닥슬라브(G)에 설치된 상기 드레인수조(1)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수조(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모듈형 외조기(100) 내부에 제1수조부(200)를 구비하여 드레인수를 수용 후, 배출함과 동시에 해당 모듈형 외조기(100)의 결합 등으로 인한 결로수가 발생시에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 하부에 구비된 제2수조부(300)를 통해 해당 결로수를 수용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2중수조 방식의 신공법을 취함으로써, 모듈형 외조기(100) 상부설비 공정작업의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100: 모듈형 외조기
200: 제1수조부
210: 1차수조 211: 제1드레인공
300: 제2수조부
310: 기초구조물 310': 보조지지다리
311: 방진매트
320: 2차수조 321: 제2드레인공
323: 수용체 325: 플랜지
330: 철판플레이트 331: 보조연결플레이트
340: 단열플레이트 350: 커버플레이트
360: 보강파이프 370: 마감플레이트
371: 공간부
400: 단열수단
410: 지지브라켓
G: 바닥슬라브

Claims (6)

  1. 모듈형 설비기기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모듈형 설비기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1차수조(210)에 1차 수용 후, 제1드레인공(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1수조부(200); 및
    모듈형 설비기기 하부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제1수조부(200) 하부에 설치되되 모듈형 설비기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수용 후, 외부로 배출하는 제2수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조부(200)는 모듈형 설비기기 내에 개별 설치되며, 상기 제2수조부(300)는 모듈형 설비기기의 개수와 대응하여 다수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바닥슬라브(G)에 설치되며, 모듈형 설비기기는 모듈형태의 외조기(100) 또는 공조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수조부(300)는 바닥슬라브(G) 상면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적층되는 기초구조물(310)과, 상부가 개구되되 외면에는 드레인수를 배출하는 제2드레인공(321)이 형성된 수용체(323)가 상기 기초구조물(310)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용체(323) 끝단에서 연장된 플랜지(325) 하면이 상기 기초구조물(310) 상면에 안착할 수 있게 설치되는 2차수조(320)와, 상기 플랜지(325)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기초구조물(310)과 상기 플랜지(325) 간에 밀폐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가압하는 철판플레이트(330)와, 상기 철판플레이트(330) 상면에 안착 설치되되 단열플레이트(340) 및 상기 단열플레이트(340) 상면에 안착 설치되되 상기 제2수조부(300)를 구성하는 구성물 간의 체결부분의 방수나 상기 모듈형 외조기(100)와 상기 제2수조부(300) 간의 방수를 위해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플레이트(330)는 상기 철판플레이트(330)와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연결플레이트(33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연결플레이트(331)는 서로 다른 상기 2차수조(320)에 각각 형성된 상기 플랜지(325)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조부(300)는 상기 수용체(323)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체(323)의 바닥이 하방으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보강파이프(3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파이프(360) 양측은 상기 기초구조물(3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조부(300)는 마감플레이트(3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플레이트(370)는 상기 보강파이프(360) 하면을 지지하도록 그 끝단이 상기 기초구조물(31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마감플레이트(370) 상면과 상기 수용체(323) 하면 과의 사이에 공간부(37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371)에는 보온재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조부(300)는 방진매트(3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진매트(311)는 상기 기초구조물(310)과 바닥슬라브(G)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KR1020210056342A 2021-04-30 2021-04-30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KR10231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342A KR102317002B1 (ko) 2021-04-30 2021-04-30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342A KR102317002B1 (ko) 2021-04-30 2021-04-30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002B1 true KR102317002B1 (ko) 2021-10-26

Family

ID=7826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342A KR102317002B1 (ko) 2021-04-30 2021-04-30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0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367A (ja) * 1999-03-16 2000-09-29 Tokyo Gas Co Ltd 空調機室外機の防振架台
JP2002310460A (ja) * 2001-04-04 2002-10-23 Tokyo Gas Co Ltd 防振防音架台
JP2006336887A (ja) * 2005-05-31 2006-12-14 Sekisui Chem Co Ltd 防音空調機器
JP2012159237A (ja) * 2011-01-31 2012-08-23 E's Inc 水の潜熱を利用した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空調機
KR20120116973A (ko) * 2010-02-15 2012-10-23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칠링 유닛
JP2016055285A (ja) * 2014-09-04 2016-04-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除湿機
KR102015241B1 (ko) 2019-01-29 2019-08-27 고민희 외조기 모듈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367A (ja) * 1999-03-16 2000-09-29 Tokyo Gas Co Ltd 空調機室外機の防振架台
JP2002310460A (ja) * 2001-04-04 2002-10-23 Tokyo Gas Co Ltd 防振防音架台
JP2006336887A (ja) * 2005-05-31 2006-12-14 Sekisui Chem Co Ltd 防音空調機器
KR20120116973A (ko) * 2010-02-15 2012-10-23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칠링 유닛
JP2012159237A (ja) * 2011-01-31 2012-08-23 E's Inc 水の潜熱を利用した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空調機
JP2016055285A (ja) * 2014-09-04 2016-04-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除湿機
KR102015241B1 (ko) 2019-01-29 2019-08-27 고민희 외조기 모듈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3011B2 (en) Building fram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in a building
US9664396B2 (en) Building envelop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in a building
WO2019211894A1 (ja) 地熱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2317002B1 (ko) 모듈형 공조설비용 드레인 수조 구조
US20150285522A1 (en) Building envelop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in a building
JP5418655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WO1985001097A1 (en) Pressurized, ice-storing chilled water system
JP2007232420A (ja) 原子炉格納容器
KR20150139265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JPH0212548Y2 (ko)
KR20020062391A (ko) 유리온돌을 이용한 악세스 플로어형 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KR20180099025A (ko) 단열성 및 보온성을 높인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단열 벽체
FI105591B (fi) Lasilevyjen karkaisuosastoon liittyvä ilmantuottoyksikkö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KR20020070747A (ko) 대형수조의 설치구조
KR101535515B1 (ko) 단열 보강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097797B1 (ko) 축열조용 루프
KR101096610B1 (ko) 축열조용 측벽
KR100421599B1 (ko) 흡수식냉동기의가대
JP2001349582A (ja) 蓄熱設備
JP3138778B2 (ja) タービン基礎台を蒸気室として利用した復水器
KR200453103Y1 (ko) 공기조화기 설치 장비
JP2001124438A (ja) 吸収冷温水機を組立て構成する方法、および吸収冷温水機
CN212673401U (zh) 集成空调机房
KR200238707Y1 (ko) 유리온돌을 이용한 악세스 플로어형 바닥구조
WO2023013666A1 (ja) 冷却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