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605A - 고정 요소, 조절 가능한 요소 및 제 1 잠금 장치를 갖는 조절기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요소, 조절 가능한 요소 및 제 1 잠금 장치를 갖는 조절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5605A KR20160025605A KR1020167002429A KR20167002429A KR20160025605A KR 20160025605 A KR20160025605 A KR 20160025605A KR 1020167002429 A KR1020167002429 A KR 1020167002429A KR 20167002429 A KR20167002429 A KR 20167002429A KR 20160025605 A KR20160025605 A KR 201600256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 adapter plate
- adjustable
- regulator device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 B60N2002/957—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the locking system prevents an abnormal or wrong mounting situation, i.e. deployment or functioning of a seat part being prevented if the seat or seat part is not proper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요소(20), 조절 가능한 요소(10) 및 제 1 잠금 장치를 갖는 조절기 장치(1)를 제안하며, 조절 가능한 요소는 고정 요소에 대하여 중심 축선(2)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절 가능한 요소는 제 1 잠금 장치에 의해 고정 요소에 대하여 잠금될 수 있고, 조절기 장치는 안전 장치로서 제 2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제 2 잠금 장치는 어댑터 플레이트(11) 및 잠금 요소(21)를 포함하고, 잠금 요소는 고정 요소에 회전 가능하지 않게 배열되고 어댑터 플레이트는 중심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잠금 위치에서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축선을 따른 회전 가능하지 않은 잠금 요소의 맞물림 해제 이동은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 방지되고, 조절 가능한 요소는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어댑터 플레이트 및 조절 가능한 요소는, 잠금 위치로부터 비잠금 위치로의 전이 동안, 어댑터 플레이트가 맞물림 해제 이동을 위한 잠금 요소의 경로를 릴리즈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조절 가능한 요소는, 조절 가능한 요소의 회전이 맞물림 해제 이동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조절 가능한 요소는, 맞물림 해제 이동이 잠금 요소를 위해 릴리즈되기 전에 고정 요소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구성요소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adjuster) 장치를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조절기 장치들은, 각각의 경우 조절기 장치가 브레이킹 링(braking ring) 및 브레이킹 요소들 사이의 마찰 연결 때문에 차단되는 것을 보장하는 잠금 장치를 갖는다. 차단은 조절 이동이 사용자에 의해 개시될 때에만 취소된다. 진동들이 존재하는 경우, 마찰 연결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자동차 구성요소의 우발적인 조절의 위험이 있다.
고정 요소, 조절 가능한 요소, 및 제 1 잠금 장치를 갖는 조절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조절기 장치는 조절 가능한 요소가 고정 요소에 대하여 이탈하는(running off)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갖는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요소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기 장치를 가동(actuate)하자마자 조절 가능한 요소가 직접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은 고정 요소, 조절 가능한 요소, 및 제 1 잠금 장치를 갖는 조절기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조절 가능한 요소는 고정 요소에 대하여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절 가능한 요소는 제 1 잠금 장치에 의해 고정 요소에 대하여 잠금 가능하고, 조절기 장치는 이탈 보호를 위한 제 2 잠금 장치를 갖고, 제 2 잠금 장치는 어댑터 플레이트(adapter plate) 및 차단 요소를 포함하고, 차단 요소는 고정 요소에 회전 가능하지 않게 배열되고, 어댑터 플레이트는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차단 상황에서,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축선을 따른 차단 요소의 맞물림 해제 이동이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 형태 끼워맞춤(form-fitting) 방식으로 방지되고, 어댑터 플레이트 및 조절 가능한 요소는, 차단 상황에서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단 요소에 대한 맞물림 이동을 위한 경로를 (회전 이동에 의해)릴리즈(release)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즉, 차단 요소 및 어댑터 플레이트는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더 이상 상호 작용하지 않음), 조절 가능한 요소는 조절 가능한 요소의 회전이 맞물림 해제 이동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구동 가능하다. 특히, 조절 가능한 요소는 차단 스프링 요소에 대한 맞물림 해제 이동이 릴리즈되기 전에 고정 요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 장치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조절 가능한 요소가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이미 조절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즉 먼저 아이들링(idling) 동작 또는 전진 동작과 연관되고 실행될 조절 가능한 요소의 조절 이동에 선행하는 이동이 필요하지 않다. 유리한 방식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는 따라서 직접 가동될 수 있다. 다른 이점은, 일부 상황들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의 조절 이동의 일시적으로 지연된 시작을 구현하는 부가적인 기계적 연결체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부가적인 기계적 연결체들(예컨대, 핀들 또는 유사한 구조들) 때문에 발생되는 부가적인 비용들 외에, 이러한 기계적 연결체들의 경우에 상기 연결체들이 특정 아이들링 거리(idling distance) 후에 조절 가능한 요소를 따라 운반되는 것이 의도되는 경우 기울어짐(tilting) 또는 파손의 위험이 또한 항상 있다. 이러한 위험은 특히 조절기 장치가 연장된 시간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존재한다.
조절기 장치는 통상적으로 자동차 구성요소의 일부이며, 제 1 잠금 장치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마찰 브레이크이다.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는 관례적으로 가동 수단, 이를테면, 예컨대 레버 아암(lever arm) 등에 연결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하여 구동 가능한 것이 제공된다. 그 결과, 유리한 방식에서, 어댑터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은 조절 가능한 부분의 회전 이동과 동기화된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는 어댑터 플레이트가 가동되자마자 조절 가능한 것이 보장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단 볼트(bolt)를 포함하고, 차단 요소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되며, 차단 상황에서, 차단 볼트 및 돌출부는 중앙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을 따라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되고,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그 결과, 유리한 방식에서, 차단 볼트 및 돌출부를 갖는 배열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차단 요소에 대하여, 특히 차단 상황에서 그의 돌출부에 대하여 릴리즈되는 맞물림 해제 이동을 위한 경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차단 상황에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맞물림 해제 이동이 일어날 수 없거나 또는 맞물림 해제 이동이 억제되도록 차단 요소와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이 제공된다. 유리한 방식에서, 돌출부 또는 어댑터 플레이트는 가요성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조절기 장치의 상이한 구조 사양들에 적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단 볼트를 갖는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web)를 갖는 것이 제공되며, 어댑터 플레이트 및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는, 어댑터 플레이트가 가동될 때,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가 어댑터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지연 이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는 예컨대 슬롯(slot) 및 핀(pin)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핀은 어댑터 플레이트에 배열되고, 슬롯은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에 배열되고, 그 결과 어댑터 플레이트는 단지 아이들링 거리 후에, 즉 시간 지연되어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를 따라 운반된다. 그 결과,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의 차단 볼트는 또한 시간 지연되어 차단 요소에 대한 맞물림 이동을 위한 경로를 단지 릴리즈한다. 이는 유리하게는 차단 요소의 맞물림 해제 이동을 위한 경로가 릴리즈되기 전에 조절 가능한 요소가 회전 가능한 조절기 장치를 구현한다. 어댑터 플레이트 및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가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 개의 개별 부분들인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어댑터 플레이트 및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는 어댑터 플레이트가 아이들링 거리 후에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를 따라 운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그 결과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의 차단 볼트는 단지 시간 지연되어 차단 요소에 대한 맞물림 이동을 위한 경로를 릴리즈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는 치형 가공된(toothed) 구조를 갖는 것이 제공되고, 차단 상황에서, 치형 가공된 구조는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요소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중앙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나 있는 방향으로 차단 요소와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치형 가공된 구조의 회전은 맞물림 해제 이동을 야기하거나 유발하는 것이 또한 제공된다. 그 결과, 유리한 방식에서, 조절 가능한 부분의 회전 이동은 맞물림 해제 이동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경우라도 이미 시작될 수 있다. 특히, 치형부는,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치형 가공된 구조가 회전할 때 돌출부가 따라서 이동되는, 돌출부를 위한 경사부(ramp)로서 기능하는 비스듬한 표면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즉, 조절 가능한 요소의 회전 동안, 맞물림 해제 이동은 경사부와 치형 가공된 구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 맞물림 해제 이동이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 특히 그의 차단 볼트에 의해 방지되지 않는 경우 경사부의 출력 측을 통하여 잠금 해제가 일어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단 상황 및 비차단 상황에서 주된(primary) 위치를 차지하고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보조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따라서 유리하게는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 또는 비차단 상황으로부터 차단 상황으로의 전이가 일어날 때 어댑터 플레이트의 위치를 통하여 판정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조절기 장치가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되고, 어댑터 플레이트는 나선형 스프링의 재설정 힘(resetting force)을 통하여 보조 위치들 중 하나로부터 주된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그 결과, 어댑터 플레이트는 유리하게는 주된 위치로 수동으로 복귀될 필요가 없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 및 차단 요소는,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에, 차단 요소가 맞물림 이동을 실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디자인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차단 요소는 유리한 방식에서, 차단 상황에 대하여 차지되는 위치로 우발적으로 다시 복귀하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차단 요소가 차단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되고, 차단 상황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는 어댑터 플레이트와,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의 차단 볼트와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을 따라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고, 비차단 상황에서, 맞물림 이동이 방지되도록 어댑터 플레이트와 강제 끼워맞춤 방식(force-fitting manner)으로 상호 작용한다. 유리한 방식에서, 부가적인 수단 또는 장치 없이, 차단 요소가 차단 상황에 대하여 차지되는 위치로 우발적으로 다시 복귀하는 것이 따라서 방지된다. 차단 스프링이 맞물림 이동으로부터 강제로 방지되지 않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는 판 스프링인 것이 제공된다. 판 스프링들은 유리하게는 차단 요소에서 조절기 장치에 공간 절약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는 레그 스프링(leg spring), 텐션(tension) 스프링 또는 압축(compression) 스프링이다. 특히, 차단 스프링 요소가 중심 축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중심 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리 또는 중심 축선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재설정 힘이 이러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스프링 요소가 실질적으로 중심 축선과 치형 가공된 구조 사이에서 연장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 및 개량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사항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도면들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나온다. 도면들은 본원에서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본질적인 본 발명의 개념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라인(A-A)에 대해 평행하고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평면을 따른 개략적인 제 1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차단 상황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2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차단 상황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3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의 제 1 상태(phase)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4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의 제 2 상태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5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의 제 3 상태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6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맞물림 이동을 위한 경로는 차단 스프링 요소에 대하여 릴리즈되었다.
도 8은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7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8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의 정렬은 가동되지 않은 정렬 위치에 대응한다.
도 10은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9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가동되지 않은 정렬 위치에 대응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로부터의 라인(B-B)에 대해 평행하고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평면을 따른 개략적인 제 10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분해된 예시로 도시한다.
도 14는 제 1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 2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 2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11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 3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8은 제 3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12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0은 각각의 경우 개별 구성요소로서 예시된, 차단 요소, 치형 가공된 구조 및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1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2 개의 사시도들로부터의 차단 영역의 2 개의 확대된 예시들과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2는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1 정렬 위치에 있다.
도 23은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2 정렬 위치에 있다.
도 24는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3 정렬 위치에 있다.
도 25는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위치로의 어댑터 플레이트의 복귀 동안,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6은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에 그리고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위치로 어댑터 플레이트가 복귀한 후에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라인(A-A)에 대해 평행하고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평면을 따른 개략적인 제 1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차단 상황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2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차단 상황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3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의 제 1 상태(phase)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4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의 제 2 상태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5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의 제 3 상태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6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맞물림 이동을 위한 경로는 차단 스프링 요소에 대하여 릴리즈되었다.
도 8은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7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8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의 정렬은 가동되지 않은 정렬 위치에 대응한다.
도 10은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9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가동되지 않은 정렬 위치에 대응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로부터의 라인(B-B)에 대해 평행하고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평면을 따른 개략적인 제 10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분해된 예시로 도시한다.
도 14는 제 1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 2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 2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11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 3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8은 제 3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개략적인 제 12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0은 각각의 경우 개별 구성요소로서 예시된, 차단 요소, 치형 가공된 구조 및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1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2 개의 사시도들로부터의 차단 영역의 2 개의 확대된 예시들과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2는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1 정렬 위치에 있다.
도 23은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2 정렬 위치에 있다.
도 24는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3 정렬 위치에 있다.
도 25는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위치로의 어댑터 플레이트의 복귀 동안,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6은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에 그리고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위치로 어댑터 플레이트가 복귀한 후에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와 함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분들에는 항상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또한 각각의 경우에 단지 한 번만 불려지거나 언급된다.
도 1은 자동차 구성요소(예시되지 않음)를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조절기 장치(1)는 여기서 체결 장치들(5)을 통하여 자동차 구성요소에 관례적으로 체결된다. 조절기 장치(1)는 통상적으로 고정 요소(20) 및 조절 가능한 요소(10)를 갖고,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결과, 고정 요소(20)와 조절 가능한 요소(10) 사이의 상대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조절기 장치(1)의 내부에서, 조절기 장치(1)는, 조절 가능한 요소(10)가 고정 요소(20)에 대한 바람직한 위치, 특히 바람직한 회전 위치에 잠금되는 것을 보장하는 제 1 잠금 장치(예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고정 요소(20)는 관례적으로 조절기 장치(1)의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제 1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마찰 브레이크이다. 이탈 보호를 위해, 조절기 장치(1)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잠금 장치 이외에 제 2 잠금 장치를 갖는다. 제 2 잠금 장치는 어댑터 플레이트(11) 및 차단 요소(21)를 포함한다. 본원에는, 차단 상황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가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비차단 상황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20)가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조절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 2 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단 상황에서 주된 위치를 그리고 비차단 상황에서는 주된 위치와는 상이한 보조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11)는 고정 요소(20) 또는 하우징의 에지 위로 돌출하는 탭(tap)(4)을 포함하고, 탭(4)은 고정 요소(20)를 둘러싸는 나선형 스프링(25)과의 작동적 연결을 야기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25)은,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그의 주된 위치로부터 회전될 때 어댑터 플레이트(11)에 복원력(restoring force)이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타입의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조 요소, 예컨대 고무 밴드가 어댑터 플레이트에 복원력을 가하고,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11)가 차지하는 위치로 어댑터 플레이트가 복귀하는 것을 (힘의 반대 외부 작용 없이)야기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예시된 형태에서,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를 포함한다.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는 어댑터 플레이트의 기본 본체의 일반적인 크기에 대한 브리지형(bridge-like) 상승부로서 디자인되며, 그 결과 간극(30)이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와 어댑터 플레이트의 기본 본체 사이에 형성된다. 어댑터 플레이트(11)의 기본 본체 그 자체가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의 타입을 이미 형성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어댑터 플레이트의 기본 본체가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 밑에(below) 빈 지점을 갖거나, 어댑터 플레이트(11)의 기본 본체가 아치형이고 천공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차단 볼트(16)를 가지며, 이는 실질적으로 중심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나 있는 평면에서 연장하고 간극(30) 위에 배열된다. 차단 볼트(16)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 상에 배열된다. 또한, 조절 가능한 요소(10)가 어댑터 플레이트(11)를 통하여 구동 가능한 것이 제공된다.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치형 가공된 구조(13)를 갖고, 개별 치형부들은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어댑터 플레이트(11) 및 치형 가공된 구조(13)를 갖는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차단 요소(21)와 함께, 제 2 잠금 장치의 주요(main) 구성요소들을 형성한다. 차단 요소(21)는 상기 차단 요소가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가능하지 않게 장착되고, 즉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고정 요소에 배열된다. 하지만, 차단 요소(21)는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및/또는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도 1에서, 차단 요소(21)는,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하는 차단 요소(21)의 회전이 실질적으로 억제되는 방식으로, 추가의 탭(27)을 통하여 하우징 또는 고정 요소(20)의 리세스(26)에 연결된다. 하지만, 잠금 요소(21)가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 또는 고정 요소(20)에 회전 가능하지 않게 연결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차단 요소(21)는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의 크기의 주요 평면은 차단 상황에서 중심 축선(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게다가, 차단 요소는 차단 스프링 요소(22)를 포함하고,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제 1 스프링 단부 및 제 2 스프링 단부를 갖는다.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여기서 제 1 스프링 단부에서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중심 축선(2)에 대해 수직으로 나 있는 방향으로 텐셔닝되거나(tensioned) 편향될 수 있다. 차단 스프링 요소(22)가 어댑터 플레이트(11) 상에 배열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판 스프링이다.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텐셔닝되지 않거나 또는 이완된 경우에, 간극(30) 하에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 밑까지 치형 가공된 구조(13)를 넘어 연장한다. 특히, 제 2 스프링 단부는 차단 상황에서 차단 볼트(16) 밑에 배열된다. 또한, 차단 요소 기본 표면은 돌출부(24)를 갖고, 차단 상황에서, 상기 돌출부(24)는 치형 가공된 구조의 2 개의 치형부들과 차단 스프링 요소의 부분 사이에 배열된다. 그 결과, 치형 가공된 구조의 일부, 차단 스프링의 일부 및 돌출부는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고 라인(A-A)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평면에 놓인다. 도 1의 파선 내의 영역은 이하에서 차단 영역으로서 지칭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라인(A-A)에 대해 평행하고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평면을 따른 개략도를 예시한다. 정상 하방(top downward)으로부터, 차단 스프링 요소(22)의 일부, 치형 가공된 구조(13)를 갖는 조절 가능한 요소(10)의 일부 및 돌출부(24)가 상기 평면에 배열된다. 이는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가 아치형을 갖고, 그 밑에 치형 가공된 구조가 배열되는 도면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아치형은,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동안, 치형 가공된 구조가 터널(tunnel)에서와 같이 아치형 밑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치형 가공된 구조(13)의 치형부들은 비스듬한 표면들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비스듬한 표면들은, 조절 가능한 요소 및 따라서 치형 가공된 구조(13)가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이 표면들이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부를 위한 경사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기울어진다. 다시 말하면, 예시된 도 2에서(어댑터 플레이트(11)가 없음), 조절 가능한 요소의 회전은 치형 가공된 구조의 회전을 유도할 것이다. 치형 가공된 구조의 회전 동안, 치형 가공된 구조의 비스듬한 표면들은, 기울어질 수 있거나 변형 가능한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의 맞물림 해제 이동이 실행되는 방식으로, 차단 요소(21)의 돌출부에 맞닿아 가압(press)한다. 맞물림 해제 이동은 여기서 중심 축선(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도 3 및 도 4는, 제 2 잠금 장치가 차단 상황에 있을 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2 개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들을 예시한다. 조절 가능한 요소(1)의 치형 가공된 구조(13) 외에, 함께 간극(30)을 형성하는, 차단 스프링 요소(22) 및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 어댑터 플레이트 및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가 또한 예시된다. 어댑터 플레이트(11)의 예시된 주된 위치에서, 차단 볼트는 차단 스프링 요소와 상호 작용하고, 따라서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돌출부와 또한 작용한다. 그 결과, 돌출부는 이탈 이동에서 경사부의 도움에 의한 맞물림 이동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대신, 돌출부는 인접한 치형부들 중 하나와 중심 축선(2)에 대해 수직으로 나 있는 방향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고, 이에 의해 조절 가능한 요소가 고정요소에 대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3 개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들을 예시한다. 어댑터 플레이트는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를 위해 회전되는 것이 제공된다.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의 가동이 핸들 또는 레버를 통하여 여기서 직접적으로 또는 케이블 풀(cable pull)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는, 후자가 회전할 때, 조절 가능한 부분을 이동시키고 따라서 또한 부가적인 아이들링 거리 없이 이들 사이의 치형 가공된 구조를 이동시키는 것이 제공된다. 도 5에서 제 1 치형부가 어떻게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는지를 볼 수 있다. 동시에, 어댑터 플레이트 그리고 따라서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 그리고 특히 차단 볼트가, 구체적으로 차단 볼트 및 차단 스프링 요소가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더 이상 상호 작용하지 않을 수 있는 방식으로 이와 함께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보조 위치에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차단 스프링 요소(22)를 위한 경로를 릴리즈하고, 즉 어댑터 플레이트는 맞물림 해제 이동을 허용한다. 맞물림 해제 이동이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경사부에 의한 치형 가공된 구조의 이동에 의해 유발된다. 그 결과, 돌출부 및 따라서 또한 차단 스프링 요소는 맞물림 해제 이동의 맥락 내에서 상방으로 가압된다. 도 6은 차단 볼트가 맞물림 해제 이동을 허용하고 맞물림 해제 이동이 대략 반 정도 실행될 때의 토크(torque) 흡수를 도시하는 반면, 도 7은 맞물림 이동의 일시적인 종료에서의 그 이후의 시간에서의 토크 흡수를 예시한다.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될 때, 제 2 잠금 장치는 비차단 상황에 있고,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조절 가능한 부분의 치형 가공된 구조의 치형부들과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없다. 그 결과, 비차단 상황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조절되거나 또는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지 않는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차단 영역으로부터의 3 개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들을 예시한다. 도 8은, 비차단 상황에서,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치형 가공된 구조의 치형부들 위에 배열되는 것을 도시한다. 돌출부 및 차단 스프링 요소를 상승시킴으로써, 차단 볼트 및 차단 스프링 요소는 그 후 하나의 평면에 위치된다.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어댑터 플레이트는 주된 위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 결과, 차단 볼트는 차단 스프링을 측면으로 가압한다. 차단 볼트가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하여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프리텐셔닝(pretensioned)되기 때문에, 복귀된 차단 볼트는 차단 스프링 요소를 공통 평면에 고착시킨다. 고착하는 것은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치형 가공된 구조의 치형부들 위에 남아있는 것을 또한 유발한다. 그 결과, 조절 가능한 요소는, 치형 가공된 구조의 회전 동안 돌출부가 치형부들 사이에서 항상 다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유리한 방식으로 그의 치형 가공된 구조에 의해 추가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회전 이동을 차단하지는 않더라도, 조절 가능한 부분의 회전 이동을 적어도 더 어렵게 만든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은 자동차 구성요소(예시되지 않음)를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의 개략도들을 예시하고, 도 11은 조절기 장치(1)의 평면도(top view)를 도시하고, 도 12는 조절기 장치(1)의 평면을 따른 개략적인 제 10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이 평면은 도 11로부터의 라인(B-B)에 대해 평행하고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고, 도 13은 조절기 장치를 분해된 예시로서 도시한다.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11) 및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는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 개의 별개의 구성요소들인 것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는, 어댑터 플레이트(11)가 드라이버(driver)(41)를 갖는 것이 제공되며, 드라이버(41)는 중심 축선(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어댑터 플레이트(11)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어댑터 플레이트(11) 및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의 구성에 의해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하는 어댑터 플레이트(11)의 회전 동안, 드라이버는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를 따라 운반된다. 도 12 및 도 13은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가 상기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차단 요소 또는 조절 가능한 요소(10)와 어댑터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도시하며, 어댑터 플레이트(11)는 단지 회전 이동에 의해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와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고, 그 결과 회전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는 추가로 차단 볼트(16)를 갖고 이는 차단 볼트(16)가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차단 스프링 요소(22) 위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절 가능한 요소(10)가 치형 가공된 구조(13)를 갖고 마찬가지로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제공된다. 치형 가공된 구조(13)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잠금 장치, 예컨대 마찰 브레이크의 회전 이동을 통하여 동시에 회전된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11)의 회전 이동은 조절 가능한 요소(13)의 치형 가공된 구조의 회전을 야기한다.
도 14는 제 1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를 예시한다.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예컨대, 조절기 장치(1)가 가동되지 않는다면, 즉 차단 상황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정렬 위치를 차지한다. 상기 차단 상황에서, 차단 요소의 맞물림 해제 이동은 차단 볼트에 의해 방지되고, 회전 가능한 요소의 치형 가공된 구조는 이동하지 않는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정렬에 비교하여, 특히 그의 제 1 정렬 위치에서 쉽게, 예컨대 5°만큼 회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따라서 조절기 장치의 가동의 시작 바로 이후에 어댑터 플레이트(11)에 의해 차지될 수 있다.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정렬은, 조절기 장치(1)가 가동되지 않을 때 어댑터 플레이트(11)가 차지하는 어댑터 플레이트 정렬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5 및 도 16은 제 2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11)를 갖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도시한다. 조절기 장치(1)가 가동될 때 제 1 정렬 위치 후에 일시적으로 차지되는, 제 2 정렬 위치에서, 조절 가능한 요소(13)의 치형 가공된 구조는 이미 따라서 운반되며, 즉 조절 가능한 요소(13)의 치형 가공된 구조는 회전한다. 조절 가능한 요소(13)의 치형 가공된 구조의 회전에 의해, 힘이 맞물림 해제 이동의 방향으로 차단 스프링 요소(22)에 작용한다. 하지만, 차단 요소(21)의 맞물림 해제 이동은, 이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의 차단 볼트(16)에 의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조절 가능한 요소(10)가 이미 이동되었다 하더라도, 조절기 장치(1)는 여전히 아직 비차단 상황에 있지 않는다. 차단 볼트(16)에 의한 차단은 도 15에 확대된 형태로 예시된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정렬에 비교하여 그의 제 2 정렬 위치에서 7°만큼 회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제 3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11)를 갖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도시한다. 조절기 장치(1)가 가동될 때 제 2 정렬 위치 후에 일시적으로 차지되는, 제 3 정렬 위치에서,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차단 볼트(16)가 변위되고 맞물림 해제 이동을 위한 경로가 차단 요소(21)에 대하여 릴리즈되도록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와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시간적으로 이미 이전에 시작된, 조절 가능한 부분(10), 특히 조절 가능한 요소(13)의 치형 가공된 구조의 회전 이동은, 어댑터 플레이트(11)의 제 3 정렬 위치가 차지될 때이더라도 계속되기 때문에, 차단 요소(21)는 어댑터 플레이트(11)의 제 3 정렬 위치가 차지될 때 맞물림 해제 이동을 이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에서 이를 명백히 한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정렬에 비교하여 그의 제 3 정렬 위치에서 10°만큼 회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예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 상에 배열되고 차단 볼트(16)는 차단 요소(21) 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가 이에 의한 회전을 위해 어댑터 플레이트(11) 상에 배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차단 영역은 파선 원(dashed circle)의 형태로 확대되어 예시된다.
도 20은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 치형 가공된 구조(13) 및 차단 요소(21)의 대응하는 구성들과 함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예시한다. 대응하는 차단 요소(21)는 차단 볼트(16) 및 돌출부(24)를 갖는다. 또한, 차단 요소(21)는, 장착된 조절기 장치(1)에서, 돌출부(24)가 치형 가공된 구조(13)의 2 개의 치형부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게다가, 예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차단 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 밑으로 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는 차단 스프링 요소(22)를 포함하고,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실질적으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 밑으로 나 있다. 하지만, 차단 스프링 요소(22)가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 상에 고정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차단 스프링 요소의 부분이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접합된 방식으로, 마찰 방식으로 및/또는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에 배열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중심 축선(2)에 대해 수직으로 나 있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 21은,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되지 않고 제 2 잠금 장치의 차단 위치가 차지되지 않을 때, 특히 라인(C-C)을 따른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들과 함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예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위치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차단 위치가 차지될 때,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차단 요소(21)의 차단 볼트(16) 위에 배열된다. 여기서, 차단 위치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22) 및 차단 볼트(16)는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이 제공된다. 차단 스프링 요소(22) 및 차단 볼트(16)의 배열은 차단 영역의 2 개의 확대된 예시들 중 아래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형태 끼워맞춤 연결이 일어나는 중심 축선(2)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의 조절기 장치(1)의 지점은 여기서 중요하지 않다. 예컨대, 차단 위치에서, 차단 볼트(16)는 형태 끼워맞춤 지점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22)와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고, 형태 끼워맞춤 지점은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 밑에 배열된다. 하지만, 차단 볼트(16) 및 차단 스프링 요소(22)가, 형태 끼워맞춤 지점이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와 중심 축선(2) 사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차단 볼트(16) 및 차단 요소(21)의 돌출부(24)가 제 3 실시예에서 서로 단단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차단 볼트(16)와 차단 스프링 요소(22)의 형태 끼워맞춤 상호 작용은 차단 스프링 요소(22)가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거나 부분적으로 릴리즈 가능한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차단 위치에서, 차단 요소(21)의 돌출부(24)는, 치형 가공된 구조(13)와 돌출부(24)가 중심 축선(2)에 대해 수직으로 나 있는 방향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고, 이에 의해 조절 가능한 요소(10)가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치형 가공된 구조(13)의 2 개의 치형부들 사이에 배열된 채로 남아 있는다. 돌출부(24) 및 치형 가공된 구조(13)의 배열은 차단 영역의 2 개의 확대된 예시들의 상부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22는 제 1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11)를 갖는 예시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예시한다.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예컨대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의 가동의 시작시에 상기 제 1 정렬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절기 장치(1)는 로스트 모션(lost motion) 상태에 있으며, 즉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어댑터 플레이트(11)의 회전 이동에도 불구하고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정렬에 비교하여 그의 제 1 정렬 위치에서 5°만큼 회전 방향(45)으로 회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3은 제 2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11)를 갖는 예시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예시한다. 조절기 장치(1)가 가동될 때 제 1 정렬 위치 이후에 일시적으로 차지되는, 제 2 정렬 위치에서, 조절 가능한 부분(10), 특히 치형 가공된 구조(13)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차단 요소(21)의 맞물림 해제 이동은, 확대된 예시에 상세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의 차단 스프링 요소(22)와 차단 요소(21)의 차단 볼트(16)의 형태 끼워맞춤 상호 작용에 의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조절 가능한 요소(10)가 이미 이동된 경우라도, 조절기 장치(1)는 아직 비차단 상황에 있지 않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정렬에 비교하여 그의 제 2 정렬 위치에서 7°만큼 회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4는 제 3 정렬 위치에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11)를 갖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도시한다. 조절기 장치(1)가 가동된 후 제 2 정렬 위치 이후에 일시적으로 차지되는 제 3 정렬 위치에서, 맞물림 해제 이동을 위한 경로는 차단 요소(21)의 차단 볼트(16)에 대해 릴리즈되고 조절 가능한 요소(10)의 회전 이동은 맞물림 해제 이동을 야기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의 차단 영역의 확대된 예시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명백히 한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 정렬에 비교하여 그의 제 3 정렬 위치에서 10°만큼 회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5는, 어댑터 플레이트(11)가 반대 이동(44)을 뒤따를 때,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이후, 비차단 위치에 있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예시한다. 이러한 반대 이동(44)은,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25)에 의해 야기될 수 있고, 그의 복원력은 어댑터 플레이트(11)를, 조절기 장치(1)가 가동되지 않을 때 어댑터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위치로 옮긴다. 조절기 장치(1)의 예시된 상황에서, 조절기 장치(1)는 비차단 위치에 있다. 특히,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차단 스프링 요소(22) 및 차단 볼트(16)는 중심 축선(2)에 대해 수직으로 나 있는 공통 평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도 26은, 게다가, 반대 이동(44)이 마무리되고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가 또한 차지하는 위치를 차지할 때, 맞물림 해제 이동이 마무리된 이후에, 비차단 위치에 있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 장치(1)를 예시한다. 비차단 위치에서,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되지 않은 어댑터 플레이트의 위치에 있다면,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차단 요소(21)가 맞물림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차단 볼트(16)와 마찰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확대된 예시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차단 스프링 요소(22)가 중심 축선(2)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차단 스프링 요소(22)의 복원력이 차단 볼트(16) 및 차단 스프링 요소(22)의 마찰 상호 작용을 보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
조절기 장치
2 중심 축선
4 탭
5 체결 장치
10 조절 가능한 요소
11 어댑터 플레이트
12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
13 조절 가능한 요소의 치형 가공된 구조
16 차단 볼트
20 고정 요소
21 차단 요소
22 차단 스프링 요소
23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
24 돌출부
25 나선형 스프링
26 리세스
27 추가의 탭
30 간극
40 차단 영역
41 드라이버
44 반대 이동
45 회전 방향
2 중심 축선
4 탭
5 체결 장치
10 조절 가능한 요소
11 어댑터 플레이트
12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
13 조절 가능한 요소의 치형 가공된 구조
16 차단 볼트
20 고정 요소
21 차단 요소
22 차단 스프링 요소
23 차단 요소 베이스 플레이트
24 돌출부
25 나선형 스프링
26 리세스
27 추가의 탭
30 간극
40 차단 영역
41 드라이버
44 반대 이동
45 회전 방향
Claims (11)
- 고정 요소(20), 조절 가능한 요소(10), 및 제 1 잠금 장치를 갖는 조절기 장치(1)로서,
상기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제 1 잠금 장치에 의해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잠금 가능하고, 상기 조절기 장치(1)는 이탈 보호(run-off protection)를 위한 제 2 잠금 장치를 갖고, 상기 제 2 잠금 장치는 어댑터 플레이트(adapter plate)(11) 및 차단 요소(21)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요소(21)는 고정 요소(20)에 회전 가능하지 않게 배열되고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차단 상황에서, 상기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축선을 따른 회전 가능하지 않은 차단 요소의 맞물림 해제 이동이 어댑터 플레이트(11)에 의해 방지되는, 조절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어댑터 플레이트(11)를 통하여 구동 가능하고,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11) 및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어댑터 플레이트(11)가 차단 요소(21)에 대한 맞물림 이동을 위한 경로를 릴리즈(release)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조절 가능한 요소(10)의 회전이 맞물림 해제 이동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구동 가능하고, 상기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맞물림 해제 이동이 차단 요소(21)에 대하여 릴리즈되기 전에, 고정 요소(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차단 볼트(bolt)(16)를 포함하고 차단 요소(21)는 돌출부(24)를 포함하며, 차단 상황에서, 상기 차단 볼트(16) 및 돌출부(24)는,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을 따라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되고,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중심 축선(2)에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offset)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11)는 돌출부(24)를 갖는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를 갖고,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11) 및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는, 어댑터 플레이트(11)가 가동(actuated)될 때, 어댑터 플레이트 웨브(12)가 어댑터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지연 이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한 요소(10)는 치형 가공된(toothed) 구조(13)를 갖고, 차단 상황에서, 상기 치형 가공된 구조(13)는, 중심 축선(2)을 중심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요소(1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중심 축선(2)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차단 요소(21)와 형태 끼워맞춤(form-fitting)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고, 상기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치형 가공된 구조(13)의 회전은 맞물림 해제 이동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차단 상황 및 비차단 상황에서 주된(primary) 위치를 차지하고, 차단 상황으로부터 비차단 상황으로의 전이 동안, 보조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장치(1)는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25)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11)는 나선형 스프링의 재설정 힘(resetting force)에 의해 보조 위치들 중 하나로부터 주된 위치로 옮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11) 및 차단 요소(21)는, 맞물림 이동이 마무리된 이후에, 차단 요소(21)가 맞물림 이동을 실행하는 것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21)는 차단 스프링 요소(22)를 포함하고, 차단 상황에서, 상기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어댑터 플레이트(11)와,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11)의 차단 볼트(16)와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을 따라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고, 비차단 상황에서, 어댑터 플레이트(11)의 주된 위치가 차지될 때, 맞물림 이동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어댑터 플레이트(11)와 강제 끼워맞춤(force-fitting)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11)는 차단 스프링 요소(22)를 포함하고, 차단 상황에서, 상기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차단 요소(21)와 중심 축선(2)에 대해 평행하게 나 있는 방향을 따라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고, 비차단 상황에서, 어댑터 플레이트(11)의 주된 위치가 차지될 때, 맞물림 이동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차단 요소(21)와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프링 요소(22)는 판 스프링(leaf spring), 레그 스프링(leg spring) 및/또는 텐션(tension) 또는 압축(compression)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버(lever) 또는 다른 가동 수단이, 상기 레버 또는 가동 수단이 가동될 때, 어댑터 플레이트(11)가 회전되는 방식으로 어댑터 플레이트(11)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3212749 | 2013-06-28 | ||
DE102013212749.9 | 2013-06-28 | ||
DE102013013510.9A DE102013013510B4 (de) | 2013-06-28 | 2013-08-16 | VERSTELLVORRlCHTUNG MlT ElNEM FESTEN ELEMENT, ElNEM VERSTELLBAREN ELEMENT UND ElNER ERSTEN ARRETlERUNGSVORRlCHTUNG |
DE102013013510.9 | 2013-08-16 | ||
PCT/EP2014/063694 WO2014207201A1 (de) | 2013-06-28 | 2014-06-27 | Verstellvorrichtung mit einem festen element, einem verstellbaren element und einer ersten arretierungsvorrichtu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5605A true KR20160025605A (ko) | 2016-03-08 |
Family
ID=5201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2429A KR20160025605A (ko) | 2013-06-28 | 2014-06-27 | 고정 요소, 조절 가능한 요소 및 제 1 잠금 장치를 갖는 조절기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118515B2 (ko) |
EP (1) | EP3013634B1 (ko) |
JP (1) | JP2016530459A (ko) |
KR (1) | KR20160025605A (ko) |
CN (1) | CN105339206B (ko) |
DE (1) | DE102013013510B4 (ko) |
WO (1) | WO20142072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32742B2 (en) | 2015-04-24 | 2019-03-19 |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 Vehicle seat having an adjusting device |
DE202015103949U1 (de) * | 2015-07-28 | 2016-11-02 | Rollax Gmbh & Co. Kg | Sitzversteller mit Zusatzverriegelung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8218024U1 (de) * | 1982-06-04 | 1982-11-04 |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7257 Ditzingen | Schloss fuer eine tuer, ein fenster o.dgl. |
DE4008438A1 (de) * | 1989-11-04 | 1991-05-08 | Brose Fahrzeugteile | Drehgelenkbeschlag |
JP2551740Y2 (ja) | 1991-10-09 | 1997-10-27 | 株式会社太田製作所 | スライドヒンジ |
DE29802055U1 (de) | 1998-02-10 | 1999-06-10 | Schwarzbich, Jörg, 33615 Bielefeld | Sitzversteller |
DE10127153A1 (de) | 2001-05-25 | 2002-11-28 | Brose Fahrzeugteile | Kraftfahrzeugsitz |
DE10242032A1 (de) * | 2002-09-11 | 2004-03-25 | Basil B.V. | Befestigungssystem zur Halterung eines Behälters an einem Fahrrad |
DE10338306A1 (de) | 2003-08-15 | 2005-03-10 | Brose Fahrzeugteile | Beidseitig wirkender manueller Antrieb |
JP4515146B2 (ja) | 2004-05-13 | 2010-07-28 | Ntn株式会社 | クラッチユニット |
DE102006001530B4 (de) * | 2006-01-12 | 2009-04-09 | Faurecia Autositze Gmbh | Kraftfahrzeugsitz mit Easy-Entry-Funktion |
DE102006003243B4 (de) * | 2006-01-24 | 2011-04-14 | Keiper Gmbh & Co. Kg |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
DE202008001597U1 (de) * | 2008-02-04 | 2009-06-2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Rastbeschlag und mit Rastbeschlag ausgestatteter Fahrzeugsitz |
DE102008008936B3 (de) * | 2008-02-08 | 2009-06-25 | Keiper Gmbh & Co. Kg | Verriegel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Fahrzeugsitz |
DE202008008312U1 (de) * | 2008-06-23 | 2009-11-19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Drehbeschlag und mit einem Drehbeschlag ausgestatteter Fahrzeugsitz |
DE202009002580U1 (de) * | 2009-02-24 | 2010-07-1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Kraftfahrzeugsitz |
DE102010018786B4 (de) * | 2010-04-26 | 2022-01-27 |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mit einem solchen Beschlag |
US9499071B2 (en) * | 2011-07-20 | 2016-11-22 |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 Adjus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seat, comprising at least one stop |
JP2013107487A (ja) * | 2011-11-21 | 2013-06-06 | Toyota Boshoku Corp | リフタ機構付き車両用シート |
DE102011119390B4 (de) * | 2011-11-24 | 2021-06-10 | Sitech Sitztechnik Gmbh | Fahrzeugsitz mit einer Easy-Entry-Funktion |
DE102012006059B4 (de) * | 2011-11-30 | 2014-04-24 | Johnson Controls Gmbh |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r Kraftfahrzeugkomponente |
CN202764739U (zh) * | 2012-09-05 | 2013-03-06 | 苏州忠明祥和精工有限公司 | 座椅高度调节装置 |
WO2014057091A1 (de) * | 2012-10-12 | 2014-04-17 | Johnson Controls Gmbh |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r kraftfahrzeuginnenausstattungskomponente |
DE102013015500A1 (de) * | 2013-07-11 | 2015-01-15 | Johnson Controls Gmbh | VERSTELLVORRlCHTUNG MlT ElNEM FESTEN ELEMENT, ElNEM VERSTELLBAREN ELEMENT UND ElNER ERSTEN ARRETIERUNGSVORRICHTUNG UND EINER SCHLINGFEDER |
DE102014222642B4 (de) * | 2014-09-25 | 2017-12-28 |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fahrzeugsitz |
-
2013
- 2013-08-16 DE DE102013013510.9A patent/DE102013013510B4/de active Active
-
2014
- 2014-06-27 WO PCT/EP2014/063694 patent/WO2014207201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6-27 CN CN201480036417.1A patent/CN105339206B/zh active Active
- 2014-06-27 US US14/392,128 patent/US10118515B2/en active Active
- 2014-06-27 JP JP2016522535A patent/JP2016530459A/ja active Pending
- 2014-06-27 EP EP14738763.3A patent/EP3013634B1/de active Active
- 2014-06-27 KR KR1020167002429A patent/KR201600256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193945A1 (en) | 2016-07-07 |
CN105339206A (zh) | 2016-02-17 |
JP2016530459A (ja) | 2016-09-29 |
DE102013013510B4 (de) | 2017-03-09 |
EP3013634A1 (de) | 2016-05-04 |
EP3013634B1 (de) | 2019-01-30 |
WO2014207201A1 (de) | 2014-12-31 |
DE102013013510A1 (de) | 2014-12-31 |
CN105339206B (zh) | 2018-01-23 |
US10118515B2 (en) | 2018-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64757B2 (en) |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rake lock | |
US9108673B2 (en) | Crash release mechanism for automotive steering column | |
US8006587B2 (en) |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 |
US11110953B2 (en) | Locking device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 |
US10343707B2 (en) |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 |
CA2843667C (en) | Recliner mechanism with backdriving feature | |
US20130074641A1 (en) | Spring element | |
KR101839637B1 (ko) |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 |
US20170021743A1 (en) | Vehicle seat recliner assembly | |
US9764666B2 (en) | Device for adjusting a motor vehicle interior component | |
WO2006110678A2 (en) | Pawl assembly | |
JP6163547B2 (ja) | ロック装置と車両シート | |
US8936274B2 (en) | Locking device for steering column | |
KR20160025605A (ko) | 고정 요소, 조절 가능한 요소 및 제 1 잠금 장치를 갖는 조절기 장치 | |
CA2902376A1 (en) | Motor vehicle door lock | |
JP6578384B2 (ja) | シートアジャスタ | |
US10668846B2 (en) | Adjustme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US9402446B2 (en) | Belt buckle with release lock | |
KR101435529B1 (ko) | 차량 시트의 조정 장치용 단계식 자체-잠금 기구 | |
US20060249612A1 (en) | Seat belt tensioner | |
WO1998025283A1 (de) | Stösselschalter, insbesondere bremslichtschalter für kraftfahrzeuge | |
US10549657B2 (en) | Adjustment device | |
US20230249737A1 (en) |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 |
US7607604B2 (en) | Seat belt tensioner | |
WO2024123610A1 (en) | Breakaway device for an automotive steering colum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