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012A - 제습장치 및 제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습장치 및 제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012A
KR20160025012A KR1020167002316A KR20167002316A KR20160025012A KR 20160025012 A KR20160025012 A KR 20160025012A KR 1020167002316 A KR1020167002316 A KR 1020167002316A KR 20167002316 A KR20167002316 A KR 20167002316A KR 20160025012 A KR20160025012 A KR 2016002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ai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adsorp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143B1 (ko
Inventor
나오토시 후지타
도시유키 나츠메
히로시 나카야마
노부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킨 어플라이드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킨 어플라이드 시스템즈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1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Abstract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는, 각각,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 설치되고, 증발기와 응축기로 전환된다.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열교환실(S11)에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2 흡착블록(302)은, 제 2 열교환실(S12)에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소비전력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제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장치 및 제습 시스템{DEHUMIDIFICATION DEVICE AND DEHUMID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공기를 제습하여 조습(調濕)공간에 공급하는 제습장치 및 제습 시스템에 관하며, 특히, 흡착제를 담지한 흡착 열교환기를 갖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를 제습하여 조습공간(예를 들어,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제습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2개의 흡착 열교환기를 갖는 냉매회로를 구비하고, 흡착 열교환기에서 공기의 습도 조정을 행하는 조습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조습장치는, 제 1 흡착 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는 동작과, 제 1 흡착 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며 제 2 흡착 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여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조습장치는,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흡착 열교환기에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흡착 열교환기에서 가습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제습운전을 행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6-349294호 공개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제습장치(조습장치)에서는, 냉매회로의 압축기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제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냉매회로의 압축기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제습장치의 소비전력이 증대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비전력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제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흡착제가 담지된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가지고, 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며 이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1 동작과, 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고 이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는 제 2 동작을 교대로 행하는 냉매회로(100)와,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조습(調濕)공간(S0)에 공급되고,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전환기구(200)와, 흡착제가 담지되어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실(S11)에서 상기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흡착블록(301)과, 흡착제가 담지되어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실(S12)에서 상기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이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흡착블록(3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이다.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에, 조습공간(S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를 유통시킴으로써, 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 열교환기(101, 102) 및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에 흡착시켜 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또,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를 유통시킴으로써, 이 공기 중에 흡착 열교환기(102, 101) 및 흡착블록(302, 301)의 흡착제 중의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 열교환기(102, 101) 및 흡착블록(302, 301)의 흡착제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을 각각 추가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서의 공기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각각에 있어서,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흡착블록(301, 302)을 배치함으로써, 흡착 열교환기(101, 102)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를 흡착블록(301, 30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200)가,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이,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이다.
상기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 있어서, 흡착블록(301, 302)은,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즉,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 있어서, 이 열교환실(S11, S12)에 공급된 공기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통과한 후에 흡착블록(301, 302)을 통과하고,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블록(301, 302)을 통과한 후에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통과한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200)가,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이,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동일 방향이 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이다.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 있어서, 흡착블록(301, 302)은,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 및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도, 흡착 열교환기(101, 102) 하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 있어서,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흡착 열교환기(101, 102)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를 흡착블록(301, 302)으로 공급할 수 있고,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흡착 열교환기(101, 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흡착블록(301, 30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1∼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이다.
상기 제 4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각각에 있어서,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간격을 두고 흡착블록(301, 302)을 배치함으로써, 흡착블록(301, 302)에서의 온도분포의 불균일과 공기 편류(偏流)를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1∼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이다.
상기 제 5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 있어서,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접촉하도록 흡착블록(301, 302)을 배치함으로써,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흡착블록(301, 302)과의 사이의 열전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즉,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흐르는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흡착블록(301, 302)을 냉각시킬 수 있고,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흐르는 냉매의 방열작용에 의해 흡착블록(301, 302)을 가열시킬 수 있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의 제습장치(10)와,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21)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기구(200)가,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상기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이다.
상기 제 6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 있어서, 이 열교환실(S11, S12)에 공급된 공기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통과한 후에 흡착블록 (301, 302)을 통과하고,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블록(301, 302)을 통과한 후에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통과한다. 따라서,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에,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를 유통시킴으로써, 열교환실(S11, S12)에서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착블록(301, 302)에,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흡착제가 담지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켜 이 공기를 제습하는 흡착부(71)와, 상기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켜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재생부(72)를 갖는 흡착로터(7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흡착로터(70)의 흡착부(71)를 통과하여 상기 조습(調濕)공간(S0)으로 공급되고, 상기 전환기구(200)가,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상기 가열기(21)와 상기 흡착로터(70)의 재생부(72)를 차례로 통과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이다.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조습공간(S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는,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에서 제습된 후에, 흡착로터(70)의 흡착부(71)에서 더 제습된다. 한편,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흡착로터(70)의 재생부(72)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을 통과한다. 즉, 흡착로터(70)의 재생부(72)를 통과한 공기를, 흡착 열교환기(102, 101) 및 흡착블록(302, 301)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서의 공기의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매회로(100)의 압축기(103)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제습장치(10)의 소비전력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흡착 열교환기(101, 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흡착블록(301, 302)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흡착블록(301, 302)에서의 온도 분포의 불균일과 공기 편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흡착블록(301, 302)에서의 흡착 능력 및 재생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흡착블록(301, 302)과의 사이의 열전도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흡착블록(301, 302)에서의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 및 흡착제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실(S11, S12)에서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착블록(301, 302)에,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흡착로터(70)를 추가함으로써, 제습 시스템(1)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착로터(70)의 재생부(72)를 통과한 공기를, 흡착 열교환기(102, 101) 및 흡착블록(302, 301)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 제습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 제습장치의 구조 및 제 1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 제습장치의 구조 및 제 2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 제습 시스템의 변형예 1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 제습 시스템의 변형예 2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 제습 시스템의 변형예 3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 제습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 제습장치의 구조 및 제 1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 제습장치의 구조 및 제 2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 제습 시스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 제습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이다.
도 12는, 제 4 실시형태 제습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제습 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제습 시스템(1)은,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를 제습하여 조습공간(S0)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조습공간(S0)은, 실내공간(S1)에 의해 구성된다. 실내공간(S1)은, 노점(露點)온도가 낮은 공기(예를 들어, 노점온도가 -30℃∼-50℃ 정도의 공기)의 공급이 요구되는 공간이고, 예를 들어, 리튬전지의 제조라인에 설치되는 드라이 크린 룸이다.
제습 시스템(1)은, 제습장치(10)와, 제어기(20)를 구비한다. 또, 제습장치(10)에는, 급기(給氣)통로(P1)와 재생통로(P2)가 형성된다. 제습장치(1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과, 냉매회로(100)와, 전환기구(200)와,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을 구비한다.
〈급기통로〉
급기통로(P1)에는, 조습공간(S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간(S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가 흐른다. 이 예에서는, 급기통로(P1)는, 실외공간으로부터 실외공기(OA)를 흡입하여 공급공기(SA)를 실내공간(S1)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급기통로(P1)는, 유입단이 실외공간에 접속되는 제 1 급기통로부(P11)와, 유출단이 실내공간(S1)에 접속되는 제 2 급기통로부(P12)를 갖는다. 또, 이 예에서는, 급기통로(P1)의 제 1 급기통로부 (P11)에는 냉각기(11)가 설치되고, 냉각기(11) 근방에는 드레인 팬(12)이 설치된다.
〈재생통로〉
재생통로(P2)에는,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가 흐른다. 이 예에서는, 재생통로(P2)는, 실내공간(S1)으로부터 실내공기(RA)를 흡입하여 배출공기(EA)를 실외공간에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통로(P2)는, 유입단(流入端)이 실내공간(S1)에 접속되는 제 1 재생통로부(P21)와, 유출단(流出端)이 실외공간에 접속되는 제 2 재생통로부(P22)를 갖는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실내공간(S1)의 공기의 일부는, 재생통로(P2)를 경유하지 않고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열교환실〉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은, 한쪽의 열교환실을 급기통로(P1)의 일부로서 급기통로(P1)에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열교환실을 재생통로(P2)의 일부로서 재생통로(P2)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은, 제 1 급기통로부 (P11)의 유출단과 제 2 급기통로부(P12)의 유입단과의 사이에 접속됨으로써, 급기통로(P1)에 설치되어 공기(즉, 조습공간(S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가 유통되고, 제 1 재생통로부(P21)의 유출단과 제 2 재생통로부(P22)의 유입단과의 사이에 접속됨으로써 재생통로(P2)에 설치되어 공기(즉,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가 유통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총칭을 단지 "열교환실(S11, S12)"로 표기한다.
〈냉각기,드레인 팬〉
냉각기(11)는, 실외공기(OA)를 냉각하여 제습한다. 예를 들어, 냉각기(11)는, 냉매회로(도시를 생략)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구체적으로는, 핀 앤 튜브식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드레인 팬(12)은, 냉각기(11)에서 응축된 물을 회수한다. 예를 들어, 드레인 팬(12)은, 냉각기(11)에서 응축된 물을 받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하는 용기에 의해 구성되고 냉각기(11) 하방에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냉각기(11)는, 급기통로(P1)의 제 1 급기통로부(P11)에 설치된다.
〈냉매회로〉
냉매회로(100)는, 냉매를 순환시키고 냉동 사이클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압축기(103)와, 팽창밸브(104)와, 사방 전환밸브(105)를 구비한다.
《흡착 열교환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은, 열교환기(예를 들어, 크로스 핀형의 핀 앤 튜브식 열교환기) 표면에 흡착제를 담지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또,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흡착제로서,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親水性)의 관능기(官能基)를 갖는 유기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여도 되고, 수분을 흡착하는 기능만이 아니라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도 갖는 재료(이른바, 수착제(收着劑))를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총칭을 단지 "흡착 열교환기(101, 102)"로 표기한다.
《압축기》
압축기(103)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한다. 또, 압축기(103)는, 제어기(20)의 제어에 의해 회전수(운전 주파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압축기(103)는, 인버터 회로(도시를 생략)에 의해 회전수를 조절 가능한 가변 용량식의 압축기(로터리식, 스윙식, 스크롤식 등의 압축기)에 의해 구성된다.
《팽창밸브》
팽창밸브(104)는, 냉매의 압력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팽창밸브(104)는,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개방도를 변경 가능한 전자 팽창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사방 전환밸브》
사방 전환밸브(105)는, 제 1∼제 4 포트를 가지며, 제 1 포트는, 압축기(103)의 토출측에 접속되고, 제 2 포트는, 압축기(103)의 흡입측에 접속되며, 제 3 포트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단부(端部)에 접속되고, 제 4 포트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단부에 접속된다. 사방 전환밸브(105)는,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제 1 접속상태(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 2 접속상태(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냉매회로에 의한 냉동 사이클 동작》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가 되는 경우,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어 공기를 가습하는(즉,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1 냉동 사이클 동작(제 1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가 되는 경우, 냉매회로(100)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어 공기를 가습하는(즉,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2 냉동 사이클 동작(제 2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냉매회로(100)는,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냉동 사이클 동작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냉매회로(100)는, 제 1 및 제 2 냉동 사이클 동작을 교대로 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냉동 사이클 동작(제 1 동작)-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가 되면,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이어 통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103)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사방 전환밸브(105)를 통과하여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유입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고, 흡착제 중의 수분이 공기로 방출되는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서 방열하여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104)에 의해 감압된 후,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유입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서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는 흡착 동작이 이루어지고, 그 때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매에 부여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서 흡열하여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103)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 2 냉동 사이클 동작(제 2 동작)-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가 되면,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이어 통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103)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사방 전환밸브(105)를 통과하여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유입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고, 흡착제 중의 수분이 공기로 방출되는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서 방열하여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104)에 의해 감압된 후,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유입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서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는 흡착 동작이 이루어지고, 그 때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매에 부여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서 흡열하고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103)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전환기구〉
전환기구(200)는,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과 급기통로(P1) 및 재생통로(P2)와의 접속상태를, 제 1 통로 상태(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 2 통로 상태(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 통로 상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가 되면, 제 1 열교환실(S11)은, 제 1 및 제 2 급기통로부(P11, P12) 사이에 접속되어 급기통로(P1)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은, 제 1 및 제 2 재생통로부(P21, P22) 사이에 접속되어 재생통로(P2)에 설치된다.
《제 2 통로 상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가 되면, 제 1 열교환실(S11)은, 제 1 및 제 2 재생통로부(P21, P22) 사이에 접속되어 재생통로(P2)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은, 제 1 및 제 2 급기통로부(P11, P12) 사이에 접속되어 급기통로(P1)에 설치된다.
《열교환실의 접속 전환동작》
또, 전환기구(200)는,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인 경우에,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1 통로 상태로 설정하고,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인 경우에,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2 통로 상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가 설치된 열교환실이 급기통로(P1)의 일부로서 설치되고,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가 설치된 열교환실이 재생통로(P2)의 일부로서 설치되도록, 냉매회로(100)의 냉동 사이클 동작의 전환과 연동하여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과 급기통로(P1) 및 재생통로(P2)와의 접속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조습공간(S0)에 공급되고,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흡착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인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은,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인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재생통로(P2)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과 동일방향이 된다(이른바, 병행류가 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은, 흡착 열교환기가 증발기에서 응축기로(또는,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전환되어도 변화하지 않는다. 즉,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이,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동일 방향이 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흡착블록〉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의 각각은, 흡착제가 담지되어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의 각각은, 구조체(구체적으로는, 허니콤 구조를 갖는 구조체) 표면에 흡착제를 담지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또,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은,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의 총칭을 단지 "흡착블록 (301, 302)"으로 표기한다.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열교환실(S11)에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풍하(風下)측)이 되는 위치(즉,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열교환실(S11)에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흡착블록(302)은, 제 2 열교환실(S12)에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풍하측)이 되는 위치(즉, 제 2 열교환실(S12)이 급기통로(P1)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제 2 흡착블록(302)은, 제 2 열교환실(S12)에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은, 그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그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동일 방향이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와 동일 위치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와 동일 위치이다. 즉,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각각에서는, 흡착블록(301, 302)은,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 및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의 어느 경우라도,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어기〉
제어기(20)는, 각종 센서(예를 들어,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 등)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습장치(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20)는, CPU와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제습장치에 의한 제습운전〉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의 제습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습장치(10)는, 제 1 및 제 2 제습동작을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한다.
《제 1 제습동작》
제 1 제습동작에서는, 압축기(103)가 구동되고, 팽창밸브(104)의 개방도가 조절되어,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는 제 1 냉동 사이클 동작을 행한다. 또,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1 통로 상태(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한다.
-급기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급기통로(P1)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냉각기(11)에 의해 냉각 제습된 후에,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한다. 이 때,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흡착제에 흡착된다. 또, 이 흡착 시에 발생한 흡착열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냉매에 흡열된다. 이와 같이,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습도가 저하함과 동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도 저하된다. 다음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는,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한다. 이 때, 이 공기 중의 수분이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된 공기는, 제 1 흡착블록(301)에 의해 더 제습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재생통로(P2)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는,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 때,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흐르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다. 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흡착제 중의 수분이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이와 같이,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되어 습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흐르는 냉매의 방열 작용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도 상승한다. 다음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습 및 가열된 공기는,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한다. 이 때,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의 수분이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한 공기는,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 2 제습동작》
제 2 제습동작에서는, 압축기(103)가 구동되고, 팽창밸브(104)의 개방도가 조절되어,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제 2 냉동 사이클 동작을 행한다. 또,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2 통로 상태(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한다.
-급기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급기통로(P1)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냉각기(11)에 의해 냉각 제습된 후에,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 때,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습도가 저하함과 동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흐르는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도 저하된다. 다음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는,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한다. 이 때, 이 공기 중의 수분이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제습된 공기는, 제 2 흡착블록(302)에 의해 더 제습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재생통로(P2)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는,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한다. 이 때,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되어 습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냉매의 방열 작용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도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다음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가습 및 가열된 공기는,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한다. 이 때,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의 수분이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 (301)을 통과한 공기는,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습장치의 구조〉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제습장치(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상", "하", "좌", "우", "전", "후", "안쪽"은, 제습장치(10)를 전면측에서 본 경우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도 2에서, 중앙도는 제습장치(10)의 평면도이고, 우측도는 제습장치(10)의 우측면도이며, 좌측도는 제습장치(10)의 좌측면도이다.
제습장치(10)는, 냉매회로(100)의 구성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싱(41)을 구비한다. 케이싱(41)은, 약간 편평하고 높이가 비교적 낮은 직방체형으로 형성되고, 전면 패널(42)과 배면 패널(43)과 좌측면 패널(44)과 우측면 패널(45)을 갖는다. 이 예에서는, 케이싱(41)의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이 된다.
케이싱(41)에는, 흡착측 흡입구(51)와, 재생측 흡입구(52)와, 급기구(53)와, 배기구(54)가 형성된다. 흡착측 흡입구(51)는, 배면 패널(43)의 상측 부분에 형성되고, 재생측 흡입구(52)는, 배면 패널(43)의 하측 부분에 형성된다. 급기구(53)는, 우측면 패널(45)에 있어서 전면 패널(42)측의 단부(端部) 부근에 형성되고, 배기구(54)는, 좌측면 패널(44)에 있어서 전면 패널(42)측의 단부 부근에 형성된다.
또, 케이싱(41) 내부 공간에는, 제 1 구획판(46)과 제 2 구획판(47)과 중앙 구획판(48)이 설치된다. 이들 구획판(46, 47, 48)은, 케이싱(41)의 바닥판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되고, 케이싱(41)의 내부 공간을 케이싱(41)의 바닥판으로부터 천판에 걸쳐 구획한다.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은, 전면 패널(42) 및 배면 패널(43)과 평행인 자세로, 케이싱(41)의 전후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 1 구획판(46)은, 배면 패널(43) 부근에 배치되고, 제 2 구획판(47)은, 전면 패널(42) 부근에 배치된다. 중앙 구획판(48)의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싱(41) 내에서, 제 1 구획판(46)과 배면 패널(43) 사이의 공간은,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하측의 공간이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를 구성하고, 상측의 공간이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는, 흡착측 흡입구(51)에 접속되는 덕트(도 1의 제 1 급기통로부 (P11)에 대응)를 개재하여 실외공간과 연이어 통한다.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는, 재생측 흡입구(52)에 접속되는 덕트(도 1의 제 1 재생통로부(P21)에 대응)를 개재하여 실내공간(S1)과 연이어 통한다. 또,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에는, 흡착측 필터(63)가 설치되고,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에는, 재생측 필터(64)가 설치된다.
케이싱(41) 내에서, 제 1 구획판(46)과 제 2 구획판(47) 사이의 공간은, 중앙 구획판(48)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중앙 구획판(48)의 좌측 공간이 제 1 열교환실(S11)을 구성하고, 중앙 구획판(48)의 우측 공간이 제 2 열교환실(S12)을 구성한다. 제 1 열교환실(S11)에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수용되고, 제 2 열교환실(S12)에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수용된다. 또, 제 2 열교환실(S12)에는, 냉매회로(100)의 팽창밸브(104)(도시를 생략)가 수용된다.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두꺼운 판형상 또는 편평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主面)(폭 넓은 측면)이 공기를 통과시키는 면이 된다. 그리고,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는, 이 2개의 주면이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제 1 열교환실(S11) 내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는, 이 2개의 주면이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제 2 열교환실 (S12) 내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의 각각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두꺼운 판형상 또는 편평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폭 넓은 측면)이 공기를 통과시키는 면이 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의 각각은, 그 한쪽의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주면까지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허니 콤 형상의 구조체이다. 또, 제 1 흡착블록(301)은, 이 2개의 주면이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제 1 열교환실(S11) 내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흡착블록(302)은, 이 2개의 주면이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제 2 열교환실 (S12) 내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 이 예에서는,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열교환실(S11)에 있어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제 2 구획판(47)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흡착블록(302)은, 제 2 열교환실(S12)에 있어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제 2 구획판(47)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흡착블록(301)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2 흡착블록(302)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 케이싱(41) 내에서, 제 2 구획판(47)의 전면(前面)을 따른 공간은, 상하로 구획되고, 이 상하로 구획된 공간 중, 상측 부분이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를 구성하고, 하측의 부분이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구획판(46)에는, 제 1∼제 4 댐퍼(D1~D4)가 설치되고, 제 2 구획판(47)에는, 제 5∼제 8 댐퍼(D5~D8)가 설치된다. 제 1∼제 8 댐퍼(D1~D8)의 각각은,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들의 제 1∼제 8 댐퍼(D1~D8)는, 전환기구(200)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댐퍼(D1)는, 제 1 구획판(46)의 상측 부분(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에 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우측에 장착되고, 제 2 댐퍼(D2)는, 제 1 구획판(46)의 상측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좌측에 장착된다. 제 3 댐퍼(D3)는, 제 1 구획판(46)의 하측 부분(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에 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우측에 장착되고, 제 4 댐퍼(D4)는, 제 1 구획판(46)의 하측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좌측에 장착된다.
제 5 댐퍼(D5)는, 제 2 구획판(47)의 상측 부분(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에 면하는 부분)에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우측에 장착되고, 제 6 댐퍼(D6)는, 제 2 구획판(47)의 상측 부분에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좌측에 장착된다. 제 7 댐퍼(D7)는, 제 2 구획판(47)의 하측 부분(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에 면하는 부분)에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우측에 장착되고, 제 8 댐퍼(D8)는, 제 2 구획판(47)의 하측 부분에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좌측에 장착된다.
케이싱(41) 내에서,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 및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와 전면 패널(42)과의 사이의 공간은, 구획판(49)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구획판(49)의 우측 공간이 급기팬실(S25)을 구성하고, 구획판(49)의 좌측 공간이 배기팬실(S26)을 구성하고 있다. 급기팬실(S25)은, 급기구(53)에 접속되는 덕트(도 1의 제 2 급기통로부(P12)에 대응)를 개재하여 실내공간(S1)과 연이어 통한다. 배기팬실(S26)은, 배기구(54)에 접속되는 덕트(도 1의 제 2 재생통로부(P22)에 대응)를 개재하여 실외공간과 연이어 통한다. 또, 급기팬실(S25)에는, 급기팬(61)이 수용되고, 배기팬실(S26)에는, 배기팬(62)이 수용된다. 급기팬(61)은, 이 토출구가 급기구(53)에 접속되고, 제 2 구획판(47)측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급기구(53)로 토출한다. 배기팬(62)은, 이 토출구가 배기구(54)에 접속되고, 제 2 구획판(47)측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배기구(54)로 토출한다. 예를 들어, 급기팬(61) 및 배기팬(62)의 각각은, 원심형 다익팬(이른바, 시로코팬)에 의해 구성된다. 또, 급기팬실(S25)에는, 냉매회로(100)의 압축기(103) 및 사방 전환밸브(105)(도시를 생략)가 수용된다.
《제 1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에 의한 제 1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제습동작에서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된다. 또, 도 2와 같이, 제 1,제 4,제 6,제 7 댐퍼(D1, D4, D6, D7)가 개방상태가 되고, 제 2,제 3,제 5,제 8 댐퍼(D2, D3, D5, D8)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되고,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이 재생통로(P2)에 설치된다.
-급기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흡착측 흡입구(51)를 경유하여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에 공급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흡착측 필터(63)를 통과한 후에, 제 4 댐퍼(D4)를 통과하여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제 1 흡착블록(301)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제습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제 6 댐퍼(D6)를 통과하여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에 유입하고, 급기팬실(S25) 및 급기구(53)를 통과하여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재생측 흡입구(52)를 경유하여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에 공급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는, 재생측 필터(64)를 통과한 후에, 제 1 댐퍼(D1)를 통과하여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제 2 흡착블록(302)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한 공기는, 제 7 댐퍼(D7)를 통과하여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에 유입되고, 배기팬실(S26) 및 배기구(54)를 통과하여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 2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에 의한 제 2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제습동작에서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된다. 또, 도 3과 같이, 제 2,제 3,제 5,제 8 댐퍼(D2, D3, D5, D8)가 개방상태가 되고, 제 1,제 4,제 6,제 7 댐퍼(D1, D4, D6, D7)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설정되고, 제 1 열교환실(S11)이 재생통로(P2)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이 급기통로(P1)에 설치된다.
-급기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흡착측 흡입구(51)를 경유하여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에 공급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흡착측 필터(63)를 통과한 후에, 제 3 댐퍼(D3)를 통과하여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제 2 흡착블록(302)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제습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제 5 댐퍼(D5)를 통과하여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에 유입되고, 급기팬실(S25) 및 급기구(53)를 통과하여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재생측 흡입구(52)를 경유하여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에 공급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는, 재생측 필터(64)를 통과한 후에, 제 2 댐퍼(D2)를 통과하여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제 1 흡착블록(301)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한 공기는, 제 8 댐퍼(D8)를 통과하여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에 유입하고, 배기팬실(S26) 및 배기구(54)를 통과하여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
제 1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을 추가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서의 공기의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제 1 흡착블록(301)을 배치함으로써,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를, 제 1 흡착블록(30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블록(301)에서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열교환실(S12)이 급기통로(P1)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를, 제 2 흡착블록(302)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 2 흡착블록(302)에서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각각에 있어서,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흡착블록(301, 302)을 배치함으로써, 흡착 열교환기(101, 102)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를 흡착블록(301, 302)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서의 공기의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매회로(100)의 압축기(103)의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제습장치(10)의 소비전력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 있어서, 흡착블록(301, 302)은,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 및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의 어느 경우라도,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열교환실(S11)에서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재생통로(P2)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제 1 흡착블록(30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블록(301) 흡착제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열교환실(S12)에서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즉, 제 2 열교환실(S12)이 재생통로(P2)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제 2 흡착블록(302)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간격을 두고 제 1 흡착블록(301)을 배치함으로써, 제 1 흡착블록(301)에서의 온도분포의 불균일과 공기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흡착블록(30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에서의 온도분포의 불균일과 공기 편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에서의 흡착 능력 및 재생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
그리고, 도 4와 같이, 재생통로(P2)는, 실외공기(OA)를 흡입하여 배출공기(EA)를 실외공간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제 1 재생통로부(P21)의 유입단은, 제 1 급기통로부(P11)의 중간부(구체적으로는, 냉각기(11)의 하류측)에 접속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4에 나타낸 제습 시스템(1)에서는, 실내공간(S1)으로부터 제습장치(10)를 향해 실내공기(RA)가 되돌아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실내공간(S1)이 화학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경우라도, 실내공기(RA)보다 청정한 실외공기(OA)를 제습장치(10)에 의해 제습하여 실내공간(S1)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S1)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
또, 도 5와 같이, 급기통로(P1)는, 실내공기(RA)를 흡입하여 공급공기(SA)를 실내공간(S1)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재생통로(P2)는, 실외공기(OA)를 흡입하여 배출공기(EA)를 실외공간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제 1 급기통로부(P11)의 유입단은, 실내공간(S1)에 접속되고, 제 1 재생통로부(P21)의 유입단은, 실외공간에 접속된다. 또, 냉각기(11)는, 제 1 재생통로부(P21)에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5에 나타낸 제습 시스템(1)에서는, 저노점의 실내공기(RA)를 제습장치(10)에 의해 더 제습하여 실내공간(S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실내공간(S1)을 보다 저노점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3)
또, 도 6과 같이, 제습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낸 제습장치(10) 및 제어기(20)와 더불어,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를 구비하여도 된다. 이 예에서는, 조습공간(S0)은, 실내공간(S1)과, 실내공간(S1)에 설치된 챔버(S2)에 의해 구성된다. 실내공간(S1)은, 노점온도가 낮은 공기(예를 들어, 노점온도가 -30℃ 정도의 공기)의 공급이 요구되는 공간이고, 챔버(S2)는, 실내공간(S1)보다 노점온도가 낮은 공기(예를 들어, 노점온도가 -50℃ 정도의 공기)의 공급이 요구되는 공간이다. 또, 이 예에서는, 제습 시스템(1)에는, 전(前)처리 통로(P3) 및 후(後)처리 통로(P4)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습 시스템(1)에서는,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에 의해 제습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가 공급공기(SA0)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되고, 제습장치(10)에 의해 제습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가 공급공기(SA)로서 챔버(S2)에 공급된다. 제어기(20)는, 각종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습장치(10) 및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를 제어한다.
〈전(前)처리 통로〉
전(前)처리 통로(P3)에는, 조습공간(S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간(S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가 흐른다. 이 예에서는, 전(前)처리 통로(P3)는, 실외공간으로부터 실외공기(OA)를 흡입하여 공급공기(SA0)를 실내공간(S1)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전(前)처리 통로(P3)는, 유입단이 실외공간에 접속되는 제 1 전처리 통로부(P31)와, 유출단이 실내공간(S1)에 접속되는 제 2 전처리 통로부(P32)를 갖는다. 또, 이 예에서는, 냉각기(11)는, 제 1 전처리 통로부(P31)에 설치된다.
〈후(後)처리 통로〉
후(後)처리 통로(P4)에는,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재생통로(P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흐른다. 이 예에서는, 후(後)처리 통로(P4)는, 재생통로(P2)의 유출단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공기(EA)를 실외공간에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후(後)처리 통로(P4)는, 유입단이 재생통로(P2)의 유출단에 접속되는 제 1 후(後)처리 통로부(P41)와, 유출단이 실외공간에 접속되는 제 2 후처리 통로부(P42)를 갖는다. 또한, 이 예에서는, 챔버(S2) 내의 공기의 일부는, 실내공간(S1)을 경유하지 않고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되고, 실내공간(S1) 내의 공기의 일부는, 재생통로(P2) 및 후(後)처리 통로(P4)를 경유하지 않고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급기통로,재생통로〉
이 예에서는, 급기통로(P1)는, 실내공간(S1)으로부터 실내공기(RA)를 흡입하여 공급공기(SA)를 챔버(S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급기통로부(P11)의 유입단은, 실내공간(S1)에 접속되고, 제 2 급기통로부(P12)의 유출단은, 챔버(S2)에 접속된다. 또, 재생통로(P2)는, 실내공간(S1)으로부터 실내공기(RA)를 흡입하여 재생공기(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를 후(後)처리 통로(P4)에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재생통로부(P21)의 유입단은, 제 1 급기통로부(P11)의 중간부에 접속되고, 제 2 재생통로부(P22)의 유출단은, 제 1 후(後)처리 통로부(P41)의 유입단에 접속된다.
〈전(前)처리용 제습장치〉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는, 제습장치(10)와 마찬가지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구조는, 도 2에 나타낸 제습장치(10)의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전(前)처리용 제습장치의 냉매회로〉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냉매회로(100)는, 제습장치(10)의 냉매회로(100)와 마찬가지로,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1 냉동사이클 동작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2 냉동사이클 동작을 교대로 행하도록 구성된다.
〈전(前)처리용 제습장치의 전환기구〉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전환기구(200)는,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과 전(前)처리 통로(P3) 및 후(後)처리 통로(P4)와의 접속상태를, 제 3 통로 상태(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 4 통로 상태(도 6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3 통로 상태》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3 통로 상태가 되면, 제 1 열교환실(S11)은, 제 1 및 제 2 전처리 통로부(P31, P32) 사이에 접속되어 전(前)처리 통로(P3)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은, 제 1 및 제 2 후(後)처리 통로부(P41, P42)의 사이에 접속되어 후(後)처리 통로(P4)에 설치된다.
《제 4 통로 상태》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4 통로 상태가 되면, 제 1 열교환실(S11)은, 제 1 및 제 2 후(後)처리 통로부(P41, P42) 사이에 접속되어 후(後)처리 통로(P4)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은, 제 1 및 제 2 전처리 통로부(P31, P32)의 사이에 접속되어 전(前)처리 통로(P3)에 설치된다.
《열교환실의 접속 전환동작》
또,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전환기구(200)는,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인 경우에,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3 통로 상태로 설정하고,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인 경우에,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4 통로 상태로 설정한다. 즉,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전환기구(200)는, 제습장치(10)의 전환기구(200)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조습공간(S0)(이 예에서는, 실내공간(S1))에 공급되고,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제습장치(1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흡착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3 통로 상태인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전(前)처리 통로(P3)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은,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4 통로 상태인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후(後)처리 통로(P4)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과 동일방향이 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전환기구(200)는, 제습장치(10)의 전환기구(200)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이,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동일 방향이 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전(前)처리용 제습장치에 의한 제습운전〉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에 의한 제습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는, 제 3 및 제 4 제습동작을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한다.
《제 3 제습동작》
제 3 제습동작에서는, 압축기(103)가 구동되고, 팽창밸브(104)의 개방도가 조절되어,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는 제 1 냉동 사이클 동작을 행한다. 또,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3 통로 상태(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한다.
전(前)처리 통로(P3)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냉각기(11)에 의해 냉각 제습된 후에,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제 1 흡착블록(301)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제습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서 제습된 공기는, 공급공기(SA0)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후(後)처리 통로(P4)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재생통로(P2)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제 2 흡착블록(302)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2 열교환실(S12)을 통과한 공기는,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 4 제습동작》
제 4 제습동작에서는, 압축기(103)가 구동되고, 팽창밸브(104)의 개방도가 조절되어,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도 6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제 2 냉동 사이클 동작을 행한다. 또,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4 통로 상태(도 6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한다.
전(前)처리 통로(P3)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냉각기(11)에 의해 냉각 제습된 후에,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제 2 흡착블록(302)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제습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서 제습된 공기는, 공급공기(SA0)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후(後)처리 통로(P4)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재생통로(P2)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제 1 흡착블록(301)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1 열교환실(S11)을 통과한 공기는,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3에 의한 효과〉
이상과 같이, 실내공간(S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를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에 의해 제습하여 공급공기(SA0)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하고, 실내공간(S1)으로부터 공급된 실내공기(RA)를 제습장치(10)에 의해 제습하여 공급공기(SA)로서 챔버(S2)에 공급함으로써, 챔버(S2) 내 공기의 노점온도를 실내공간(S1) 내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S2)에 저노점의 공급공기(SA)를 집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간(S1) 전체를 저노점으로 하는 경우보다, 제습 시스템(1)의 운전동작에 필요로 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제습 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제습 시스템(1)은, 제습장치(10)와 제어기(20)와 가열기(21)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2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의 구조(도 2)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과, 제 1 및 제 2 흡착블록 (301, 302)의 배치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가열기〉
가열기(21)는, 재생통로(P2)에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가 설치된 열교환실의 상류측(풍상(風上)측)에 배치된다. 즉, 가열기(21)는,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는, 가열기(21)는, 제 1 재생통로부(P21)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가열기(21)는, 제 1 재생통로부(P21)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재생통로부(P22)를 흐르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현열(顯熱)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냉매회로(도시를 생략)의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구체적으로는, 핀 앤 튜브식의 열교환기)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냉매회로〉
냉매회로(100)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1 냉동사이클 동작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2 냉동사이클 동작을 교대로 행하도록 구성된다.
〈전환기구〉
전환기구(200)는,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1 통로 상태(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 2 통로 상태(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전환기구(200)는,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1 통로 상태로 설정하고,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인 경우(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에,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2 통로 상태로 설정한다. 즉,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조습공간(S0)에 공급되어,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인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은,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인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재생통로(P2)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의 반대방향이 된다(이른바, 대향류(counter flow)가 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은, 흡착 열교환기가 증발기에서 응축기로(또는,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전환되면 반전(反轉)한다. 즉,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이,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흡착블록〉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열교환실(S11)에 있어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풍하측)이 되는 위치(즉,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 2 흡착블록(302)은, 제 2 열교환실(S12)에 있어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풍하측)이 되는 위치(즉, 제 2 열교환실(S12)이 급기통로(P1)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반대방향이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상류측이 되는 위치(이 예에서는, 가열기(21)와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의 사이가 되는 위치)와 동일 위치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인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상류측이 되는 위치(이 예에서는, 가열기(21)와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의 사이가 되는 위치)와 동일 위치이다. 즉,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서는, 흡착블록(301, 302)은,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제습장치에 의한 제습운전〉
다음에, 도 7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의 제습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와 마찬가지로, 제 2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는, 제 1 및 제 2 제습동작을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한다.
《제 1 제습동작》
제 1 제습동작에서는, 압축기(103)가 구동되고, 팽창밸브(104)의 개방도가 조절되어,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는 제 1 냉동 사이클 동작을 행한다. 또,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1 통로 상태(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한다.
-급기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급기통로(P1)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냉각기(11)에 의해 냉각 제습된 후에,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한다. 이 때,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습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도 저하된다. 다음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는,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한다. 이 때, 이 공기 중의 수분이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된 공기는, 제 1 흡착블록(301)에 의해 더 제습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재생통로(P2)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는,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후에,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한다. 이 때,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의 수분이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다음에, 제 2 흡착블록(302)에 의해 가습된 공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되어 습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흐르는 냉매의 방열 작용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도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한 공기는,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 2 제습동작》
제 2 제습동작에서는, 압축기(103)가 구동되고, 팽창밸브(104)의 개방도가 조절되어,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제 2 냉동 사이클 동작을 행한다. 또,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2 통로 상태(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한다.
-급기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급기통로(P1)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냉각기(11)에 의해 냉각 제습된 후에,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 때,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습도가 저하함과 동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흐르는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도 저하한다. 다음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는,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한다. 이 때, 이 공기 중의 수분이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제습된 공기는, 제 2 흡착블록(302)에 의해 더 제습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재생통로(P2)에 흡입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는,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후에,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한다. 이 때,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의 수분이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다음에, 제 1 흡착블록(301)에 의해 가습된 공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한다. 이 때,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되어 습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냉매의 방열 작용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도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한 공기는,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습장치의 구조〉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제습장치(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상", "하", "좌", "우", "전", "후", "안쪽"은, 제습장치(10)를 전면측에서 본 경우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도 8에서, 중앙도는, 제습장치(10)의 평면도이고, 상측도는, 제습장치(10)의 배면도이고, 하측도는, 제습장치(10)의 정면도이다.
제습장치(10)는, 냉매회로(100)의 구성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싱(41)을 구비한다. 케이싱(41)은, 약간 편평하고 높이가 비교적 낮은 직방체형으로 형성되고, 전면(前面) 패널(42)과 배면 패널(43)과 좌측면 패널(44)과 우측면 패널(45)을 갖는다. 이 예에서는, 케이싱(41)의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이 된다.
케이싱(41)에는, 흡착측 흡입구(51)와, 재생측 흡입구(52)와, 급기구(53)와, 배기구(54)가 형성된다. 흡착측 흡입구(51)는, 배면 패널(43)의 우측 부근 위치에 형성되고, 재생측 흡입구(52)는, 배면 패널(43)의 좌측 부근 위치에 형성된다. 급기구(53)는, 전면 패널(42)의 좌측 부근의 위치에 형성되고, 배기구(54)는, 전면 패널(42)의 우측 부근 위치에 형성된다.
또, 케이싱(41) 내부 공간은, 제 1 구획판(46)과 제 2 구획판(47)과 중앙 구획판(48)이 설치된다. 이들 구획판(46, 47, 48)은, 케이싱(41)의 바닥판에 기립한 상태에서 설치되고, 케이싱(41)의 내부 공간을 케이싱(41)의 바닥판으로부터 천판에 걸쳐 구획한다.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은, 좌측면 패널(44) 및 우측면 패널(45)과 평행인 자세로, 케이싱(41)의 좌우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 1 구획판(46)은, 좌측면 패널(44) 부근에 배치되고, 제 2 구획판(47)은, 우측면 패널(45) 부근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구획판(46)의 좌측 공간이 좌측 공간(S31)으로 되고, 제 1 구획판(46)과 제 2 구획판(47) 사이의 공간이 중앙공간(S32)으로 되며, 제 2 구획판(47)의 우측 공간이 우측 공간(S33)으로 된다. 여기서, 중앙 구획판(48)의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좌측 공간(S31)은, 좌측면 패널(44)측의 부분과 제 1 구획판(46)측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좌측 공간(S31) 내의 케이싱(41)의 좌면측 공간은,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전(前)측의 공간이 급기팬실(S25)을 구성하고, 안쪽의 공간이 재생측 흡입실(S28)을 구성하고 있다. 좌측 공간(S31) 내의 제 1 구획판(46)측의 공간은,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측의 공간이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를 구성하고, 하측 공간이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급기팬실(S25)은, 급기구(53)에 접속되는 덕트(도 7의 제 2 급기통로부(P12)에 대응)를 개재하여 실내공간(S1)과 연이어 통한다. 또, 급기팬실(S25)에는, 급기팬(61)이 수용된다. 급기팬(61)의 토출구는, 급기구(53)에 접속된다. 또, 급기팬실(S25)에는, 냉매회로(100)의 압축기(103) 및 사방 전환밸브(105)(도시를 생략)가 수용된다. 한편, 재생측 흡입실(S28)은, 재생측 흡입구(52)에 접속되는 덕트(도 7의 제 1 재생통로부(P21)에 대응)를 개재하여 실내공간(S1)과 연이어 통한다.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는, 재생측 흡입실(S28)과는 전후로 연장되는 구획판으로 구획되는 한편, 급기팬실(S25)과 연이어 통한다.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는, 재생측 흡입실(S28)과 연이어 통한다.
우측 공간(S33)은, 케이싱(41)의 우면측 부분과 제 2 구획판(47)측 부분으로 구획된다. 우측 공간(S33) 내의 케이싱(41) 우면측 공간은, 전측의 공간이 배기팬실(S26)을 구성한다. 한편, 안쪽의 공간은, 상하로 구획되고, 하측 공간이 배기팬실(S26)로부터 구획된 흡착측 흡입실(S27)을 구성하고, 상측 공간이 배기팬실(S26)과 연이어 통한다. 우측 공간(S33) 내의 제 2 구획판(47)측의 공간은,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측 공간이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를 구성하고, 하측 공간이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를 구성하고 있다.
배기팬실(S26)은, 배기구(54)에 접속되는 덕트(도 7의 제 2 재생통로부(P22)에 대응)를 개재하여 실외공간과 연이어 통한다. 또, 배기팬실(S26)에는, 배기팬(62)이 수용된다. 배기팬(62)의 토출구는, 배기구(54)에 접속된다. 흡착측 흡입실(S27)은, 흡착측 흡입구(51)에 접속되는 덕트(도 7의 제 1 급기통로부(P11)에 대응)를 개재하여 실외공간과 연이어 통한다.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는, 배기팬실(S26)과 연이어 통한다.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는, 흡착측 흡입실(S27)과 연이어 통한다.
중앙공간(S32)은, 중앙 구획판(48)에 의해 전후로 구획되고, 중앙 구획판(48)의 후측 공간이 제 1 열교환실(S11)을 구성하고, 중앙 구획판(48)의 전측 공간이 제 2 열교환실(S12)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열교환실(S11)에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수용되고, 제 2 열교환실(S12)에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수용된다. 또, 제 2 열교환실(S12)에는, 냉매회로(100)의 팽창밸브(104)(도시를 생략)가 수용된다.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두꺼운 판형상 또는 편평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주면(폭 넓은 측면)이 공기를 통과시키는 면이 된다. 그리고,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는, 이 2개의 주면이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제 1 열교환실(S11) 내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는, 이 2개의 주면이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제 2 열교환실(S12) 내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의 각각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두꺼운 판형상 또는 편평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 주면(폭 넓은 측면)이 공기를 통과시키는 면이 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의 각각은, 그 한쪽의 주면에서 다른 쪽의 주면까지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허니 콤 형상의 구조체이다. 또, 제 1 흡착블록(301)은, 이 2개의 주면이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제 1 열교환실(S11) 내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흡착블록(302)은, 이 2개의 주면이 제 1 및 제 2 구획판(46, 47)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제 2 열교환실(S12) 내에 기립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 이 예에서는,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열교환실(S11)에 있어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제 1 구획판(46)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흡착블록(302)은, 제 2 열교환실(S12)에 있어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제 1 구획판(46)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흡착블록(301)은, 좌우방향에 있어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2 흡착블록(302)은, 좌우방향에 있어서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 1 구획판(46)에는, 제 1∼제 4 댐퍼(D1~D4)가 설치되고, 제 2 구획판(47)에는, 제 5∼제 8 댐퍼(D5~D8)가 설치된다. 제 1∼제 8 댐퍼(D1~D8)의 각각은,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들의 제 1∼제 8 댐퍼(D1~D8)는, 전환기구(200)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댐퍼(D1)는, 제 1 구획판(46)의 상측 부분(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에 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정면측에 장착되고, 제 2 댐퍼(D2)는, 제 1 구획판(46)의 상측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배면측에 장착된다. 제 3 댐퍼(D3)는, 제 1 구획판(46)의 하측 부분(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에 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정면측에 장착되고, 제 4 댐퍼(D4)는, 제 1 구획판(46)의 하측 부분에서 중앙 구획판(48)보다 배면측에 장착된다.
제 1 댐퍼(D1)를 개방하면,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와 제 2 열교환실(S12)이 연이어 통한다. 제 2 댐퍼(D2)를 개방하면,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와 제 1 열교환실(S11)이 연이어 통한다. 제 3 댐퍼(D3)를 개방하면,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와 제 2 열교환실(S12)이 연이어 통한다. 제 4 댐퍼(D4)를 개방하면,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와 제 1 열교환실(S11)이 연이어 통한다.
제 5 댐퍼(D5)는, 제 2 구획판(47)의 상측 부분(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에 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정면측에 장착되고, 제 6 댐퍼(D6)는, 제 2 구획판(47)의 상측 부분에서 중앙 구획판(48)보다 배면측에 장착된다. 제 7 댐퍼(D7)는, 제 2 구획판(47)의 하측 부분(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에 면하는 부분)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48)보다 정면측에 장착되고, 제 8 댐퍼(D8)는, 제 2 구획판(47)의 하측 부분에서 중앙 구획판(48)보다 배면측에 장착된다.
제 5 댐퍼(D5)를 개방하면,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와 제 2 열교환실(S12)이 연이어 통한다. 제 6 댐퍼(D6)를 개방하면,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와 제 1 열교환실(S11)이 연이어 통한다. 제 7 댐퍼(D7)를 개방하면,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와 제 2 열교환실(S12)이 연이어 통한다. 제 8 댐퍼(D8)를 개방하면,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와 제 1 열교환실(S11)이 연이어 통한다.
《제 1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에 의한 제 1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제습동작에서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기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된다. 또, 도 8과 같이, 제 2,제 3,제 5,제 8 댐퍼(D2, D3, D5, D8)가 개방상태가 되고, 제 1,제 4,제 6,제 7 댐퍼(D1, D4, D6, D7)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1 통로 상태(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되고,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에 설치되며, 제 2 열교환실(S12)이 재생통로(P2)에 설치된다.
-급기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흡착측 흡입구(51) 및 흡착측 흡입실(S27)을 경유하여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에 공급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제 8 댐퍼(D8)를 통과하여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제 1 흡착블록(301)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제습된다.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제 2 댐퍼(D2)를 통과하여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에 유입되고, 급기팬실(S25) 및 급기구(53)를 통과하여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재생측 흡입구(52) 및 재생측 흡입실(S28)을 경유하여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에 공급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는, 제 3 댐퍼(D3)를 통과하여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제 2 흡착블록(302)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2 흡착블록(302)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2 흡착블록(302)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한 공기는, 제 5 댐퍼(D5)를 통과하여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에 유입하고, 배기팬실(S26) 및 배기구(54)를 통과하여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 2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에 의한 제 2 제습동작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제습동작에서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된다. 또, 도 9과 같이, 제 1,제 4,제 6,제 7 댐퍼(D1, D4, D6, D7)가 개방상태가 되고, 제 2,제 3,제 5,제 8 댐퍼(D2, D3, D5, D8)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2 통로 상태(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되고, 제 1 열교환실(S11)이 재생통로(P2)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이 급기통로(P1)에 설치된다.
-급기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흡착측 흡입구(51) 및 흡착측 흡입실(S27)을 경유하여 제 1 흡착측 내부통로(S21)에 공급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는, 제 7 댐퍼(D7)를 통과하여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다.
제 2 열교환실(S12)에 공급된 공기는,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제 2 흡착블록(302)을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의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겨 제습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 및 제 2 흡착블록(302)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제 1 댐퍼(D1)를 통과하여 제 2 흡착측 내부통로(S23)에 유입하고, 급기팬실(S25) 및 급기구(53)를 통과하여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통로에서의 공기의 흐름-
재생측 흡입구(52) 및 재생측 흡입실(S28)을 경유하여 제 1 재생측 내부통로(S22)에 공급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는, 제 4 댐퍼(D4)를 통과하여 제 1 열교환실 (S11)에 공급된다.
제 1 열교환실(S11)에 공급된 공기는, 제 1 흡착블록(301)과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차례로 통과할 시에, 제 1 흡착블록(301) 및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 열교환기(101) 및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1 흡착블록(301) 및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한 공기는, 제 6 댐퍼(D6)를 통과하여 제 2 재생측 내부통로(S24)에 유입하고, 배기팬실(S26) 및 배기구(54)를 통과하여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
제 2 실시형태의 제습장치(10)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을 추가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서의 공기의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에 흡입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제 1 흡착블록(301)을 배치함으로써,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를, 제 1 흡착블록(30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흡착블록(301)에 있어서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열교환실(S12)이 급기통로(P1)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를, 제 2 흡착블록(302)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 2 흡착블록(302)에 있어서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각각에 있어서,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흡착블록 (301, 302)을 배치함으로써, 흡착 열교환기(101, 102)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를 흡착블록(301, 302)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에서의 공기의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흡착블록(301, 302)에 있어서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매회로(100)의 압축기(103)의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제습장치(10)의 소비전력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각각에 있어서, 흡착블록(301, 302)은,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에,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를 유통시킴으로써, 이 열교환실(S11, S12)에서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착블록(301, 302)에,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블록(301, 302)의 흡착제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열교환실(S11)에 있어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에 위치하므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한 공기가 제 1 흡착블록(301)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여 제 1 흡착블록(301)에 공급되는 공기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에 의해 가열될 뿐만 아니라 가습도 되게 된다. 제 2 흡착블록(30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열교환실(S11)에서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제 1 흡착블록(301)에 공급된다. 이 경우, 가열기(21)를 통과하여 제 1 흡착블록(301)에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되나 가습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보다, 제 1 흡착블록(301)의 흡착제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고, 제 1 흡착블록(301)에서의 흡착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흡착블록(30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간격을 두고 제 1 흡착블록(301)을 배치함으로써, 제 1 흡착블록(301)에서의 온도분포의 불균일과 공기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흡착블록(30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에서 온도분포의 불균일과 공기 편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에서의 흡착 능력 및 재생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또한, 도 10과 같이, 제습 시스템(1)은, 도 7에 나타낸 제습장치(10)와 제어기(20)와 가열기(21)에 더불어,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를 구비하여도 된다. 이 예에서는, 조습공간(S0)은, 실내공간(S1)과, 실내공간(S1)에 설치된 챔버(S2)에 의해 구성된다. 또, 제습 시스템(1)에는, 전(前)처리 통로(P3) 및 후(後)처리 통로(P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습 시스템(1)에서는,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에 의해 제습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가 공급공기(SA0)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되고, 제습장치(10)에 의해 제습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가 공급공기(SA)로서 챔버(S2)에 공급된다. 제어기(20)는, 각종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습장치(10) 및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를 제어한다.
〈전(前)처리 통로,후(後)처리 통로〉
전(前)처리 통로(P3)는, 실외공간으로부터 실외공기(OA)를 흡입하여 공급공기(SA0)를 실내공간(S1)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후(後)처리 통로(P4)는, 재생통로(P2)의 유출단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공기(EA)를 실외공간에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급기통로,재생통로〉
이 예에서는 급기통로(P1)는, 실내공간(S1)으로부터 실내공기(RA)를 흡입하여 공급공기(SA)를 챔버(S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급기통로부(P11)의 유입단은, 실내공간(S1)에 접속되고, 제 2 급기통로부(P12)의 유출단은, 챔버(S2)에 접속된다. 또, 재생통로(P2)는, 실내공간(S1)으로부터 실내공기(RA)를 흡입하여 처리가 완료된 공기를 후(後)처리 통로(P4)에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재생통로부(P21)의 유입단은, 제 1 급기통로부(P11)의 중간부에 접속되고, 제 2 재생통로부(P22)의 유출단은, 제 1 후(後)처리 통로부(P41)의 유입단에 접속된다.
〈전(前)처리용 제습장치〉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는, 제습장치(10)와 마찬가지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구조는, 도 8에 나타낸 제습장치(10)의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전(前)처리용 제습장치의 냉매회로〉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냉매회로(100)는, 제습장치(10)의 냉매회로(100)와 마찬가지로,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1 냉동사이클 동작과,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2 냉동사이클 동작을 교대로 행하도록 구성된다.
〈전(前)처리용 제습장치의 전환기구〉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전환기구(200)는, 제어기(20)에 의한 제어에 응답하여,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과 전(前)처리 통로(P3) 및 후(後)처리 통로(P4)와의 접속상태를, 제 3 통로 상태(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 4 통로 상태(도 10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3 통로 상태》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3 통로 상태가 되면, 제 1 열교환실(S11)은, 제 1 및 제 2 전처리 통로부(P31, P32) 사이에 접속되어 전(前)처리 통로(P3)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은, 제 1 및 제 2 후(後)처리 통로부(P41, P42) 사이에 접속되어 후(後)처리 통로(P4)에 설치된다.
《제 4 통로 상태》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4 통로 상태가 되면, 제 1 열교환실(S11)은, 제 1 및 제 2 후(後)처리 통로부(P41, P42) 사이에 접속되어 후(後)처리 통로(P4)에 설치되고, 제 2 열교환실(S12)은, 제 1 및 제 2 전처리 통로부(P31, P32) 사이에 접속되어 전(前)처리 통로(P3)에 설치된다.
《열교환실의 접속 전환동작》
또,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전환기구(200)는,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인 경우에,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3 통로 상태로 설정하고,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인 경우에,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4 통로 상태로 설정한다. 즉,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전환기구(200)는, 제습장치(10)의 전환기구(200)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조습공간(S0)에 공급되고,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제습장치(1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흡착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3 통로 상태인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전(前)처리 통로(P3)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은,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가 제 4 통로 상태인 경우(즉, 제 1 열교환실(S11)이 후(後)처리 통로(P4)의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의 반대 방향이 된다. 제 2 흡착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의 전환기구(200)는, 제습장치(10)의 전환기구(200)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이,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전(前)처리용 제습장치에 의한 제습운전〉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에 의한 제습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와 마찬가지로,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는, 제 3 및 제 4 제습동작을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한다.
《제 3 제습동작》
제 3 제습동작에서는, 압축기(103)가 구동되고, 팽창밸브(104)의 개방도가 조절되어,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1 접속상태(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는 제 1 냉동 사이클 동작을 행한다. 또,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3 통로 상태(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한다.
《제 4 제습동작》
제 4 제습동작에서는, 압축기(103)가 구동되고, 팽창밸브(104)의 개방도가 조절되어, 사방 전환밸브(105)가 제 2 접속상태(도 10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냉매회로(100)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제 2 냉동 사이클 동작을 행한다. 또,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의 접속상태를 제 4 통로 상태(도 10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설정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효과〉
이상과 같이, 실내공간(S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실외공기(OA))를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에 의해 제습하여 공급공기(SA0)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하고, 실내공간(S1)으로부터 공급된 실내공기(RA)를 제습장치(10)에 의해 제습하여 공급공기(SA)로서 챔버(S2)에 공급함으로써, 챔버 (S2) 내 공기의 노점온도를 실내공간(S1) 내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S2)에 저노점의 공급공기(SA)를 집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간(S1) 전체를 저노점으로 하는 경우보다, 제습 시스템(1)의 운전동작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제습 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제습 시스템(1)은, 도 6에 나타낸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 대신에, 도 10에 나타낸 전(前)처리용 제습장치(30)를 구비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6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도,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3(도 6) 및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도 1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제습 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제습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낸 제습장치(10) 및 제어기(20)와 더불어, 가열기(21)와 흡착로터(70)와 보조 냉각기(80)를 구비한다. 또, 이 제습 시스템(1)에는, 로터 급기통로(P71)와, 로터 재생통로(P72)와, 퍼지(purge)통로(P73)와, 냉각 공기통로(P80)가 설치된다.
〈로터 급기통로〉
로터 급기통로(P71)에는, 조습공간(S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간(S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가 흐른다. 이 예에서는, 로터 급기통로(P71)는, 급기통로(P1)의 유출단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공기(SA)를 실내공간(S1)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로터 급기통로(P71)는, 이 유입단이 급기통로(P1)의 유출단에 접속되고, 이 유출단이 실내공간(S1)에 접속된다.
〈로터 재생통로〉
로터 재생통로(P72)에는,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퍼지통로(P73)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흐른다. 이 예에서는, 로터 재생통로(P72)는, 퍼지통로(P73)의 유출단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재생공기(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를 재생통로(P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로터 재생통로(P72)는, 이 유입단이 퍼지통로(P73)의 유출단에 접속되고, 이 유출단이 재생통로(P2)의 유입단에 접속된다.
〈퍼지통로〉
퍼지통로(P73)에는, 로터 재생통로(P72)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급기통로(P1)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흐른다. 이 예에서는, 퍼지통로(P73)는, 급기통로(P1)의 유출단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재생공기를 로터 재생통로(P7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퍼지통로(P73)는, 이 유입단이 급기통로(P1)의 유출단에 접속되고, 이 유출단이 로터 재생통로(P72)의 유입단에 접속된다.
〈냉각 공기통로〉
냉각 공기통로(P80)에는,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흐른다. 이 예에서는, 냉각 공기통로(P80)는, 실내공간(S1)으로부터 실내공기(RA)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급기통로(P1)의 중간부(상세하게는,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부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냉각 공기통로(P80)는, 이 유입단이 실내공간(S1)에 접속되고, 이 유출단이 급기통로(P1)의 중도부에 접속된다.
〈가열기〉
가열기(21)는, 로터 재생통로(P72)에 설치되고,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퍼지통로(P73)로부터 로터 재생통로(P72)에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가열기(21)의 가열 온도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응축온도 상한값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어, 60℃)로 설정된다.
〈흡착로터〉
흡착로터(70)는, 원판형의 다공성 기재 표면에 흡착제를 담지시킴으로써 구성되고, 로터 급기통로(P71)와 재생통로(P72)와 퍼지통로(P73)에 걸쳐 배치된다. 그리고, 흡착로터(70)는, 구동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고, 로터 급기통로(P71)와 로터 재생통로(P72)와 퍼지통로(P73) 사이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흡착로터(70)는, 로터 급기통로(P71)에 배치되는 흡착부(71)와, 로터 재생통로(P72)에 배치되는 재생부(72)와, 퍼지통로(P73)에 배치되는 퍼지부(73)를 갖는다. 그리고, 흡착로터(70)에 담지된 흡착제는, 흡착로터(70)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착부(71)와 재생부(72)와 퍼지부(73)를 차례로 이동한다. 즉, 흡착로터(70)는, 흡착부(71)에 위치하는 부분이 재생부(72)로 이동하고, 재생부(72)에 위치하는 부분이 퍼지부(73)로 이동하며, 퍼지부(73)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착부(71)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흡착부》
흡착부(71)는, 로터 급기통로(P71)를 흐르는 공기(이 예에서는, 제습장치(1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에 냉각 공기통로(P80)를 통과한 공기를 혼합한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켜 이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부분이다. 흡착부(71)를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공급공기(SA)로서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재생부》
재생부(72)는, 로터 재생통로(P72)에 있어서 가열기(21)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로터 재생통로(P72)를 흐르는 공기(이 예에서는,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와 흡착제를 접촉시켜 흡착제를 재생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재생부(72)를 통과한 공기는, 재생통로(P2)에 공급된다.
《퍼지부》
퍼지부(73)는, 재생부(72)의 배열(exhaust heat)(구체적으로는, 재생부(72)에 있어서 흡착제의 재생에 이용되지 않은 배열)을 이용하여 재생부(72)에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퍼지부(73)에서는, 퍼지통로(P73)를 흐르는 공기가 흡착제와 접촉하여 제습된다. 또, 재생부(72)에 위치하는 부분(즉,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가열되는 부분)은, 흡착로터(70)의 회전에 수반하여 퍼지부(73)로 이동한다. 따라서, 퍼지통로(P73)를 흐르는 공기는, 퍼지부(73)로부터 열(즉, 재생부(72)의 배열)이 부여되어 예열된다. 또, 퍼지부(73)에 위치하는 부분은, 퍼지통로(P73)를 통과하는 공기에 열을 부여하여 냉각된 후에, 흡착로터(70)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착부(71)로 이동한다.
〈보조 냉각기〉
보조 냉각기(80)는, 냉각 공기통로(P80)에 설치되고, 냉각 공기통로(P80)를 흐르는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기(RA))를 냉각한다. 예를 들어, 보조 냉각기(80)는, 냉매회로(도시를 생략)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구체적으로는, 핀 앤 튜브식의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냉각 공기통로(P80)에서 냉각된 공기는, 급기통로(P1)를 흐르는 공기(이 예에서는, 제습장치(1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와 합류한다.
〈제습장치〉
이 예에서는, 급기통로(P1)를 통과한 공기는, 로터 급기통로(P71)를 통과하여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즉, 제습장치(1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는, 흡착로터(70)의 흡착부(71)를 통과하여 실내공간(S1)에 공급된다.
또, 이 예에서는, 로터 재생통로(P72)를 통과한 공기는, 재생통로(P2)를 통과하여 실외공간에 배출된다. 즉, 제습장치(10)의 전환기구(200)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가열기(21)와 흡착로터(70)의 재생부(72)를 차례로 통과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한다.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
이상과 같이, 조습공간(S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이 예에서는, 실내공간(S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는,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에서 제습된 후에, 흡착로터(70)의 흡착부(71)에서 더 제습된다. 이와 같이, 흡착로터(70)를 추가함으로써, 제습 시스템(1)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흡착로터(70)의 재생부(72)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을 통과한다. 즉, 흡착로터(70)의 재생부(72)를 통과한 공기를, 흡착 열교환기(102, 101) 및 흡착블록(302, 301)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기(2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냉각 공기통로(P80)를 흐르는 공기를 급기통로(P1)의 중도부에 공급함으로써, 냉각 공기통로(P80)에서 냉각된 공기를 이용하여,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즉, 흡착블록(302, 301)에 남은 재생 시의 여열(餘熱)과 흡착블록(302, 301)의 흡착열에 의해 온도 상승한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급기통로(P1)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일부가 퍼지통로(P73)와 로터 재생통로(P72)와 재생통로(P2)를 차례로 통과하므로,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즉, 제습장치(10)에서 제습된 공기)의 일부를, 흡착로터(70)의 흡착제 및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의 흡착제의 재생에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제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의 설명에서, 제 1 흡착블록(301)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2 흡착블록(302)이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1 흡착블록(301)은,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제 2 흡착블록(302)은,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와 제 1 흡착블록(301)과의 사이의 열전도를 촉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와 제 2 흡착블록(302)과의 사이의 열전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열교환실(S11)이 급기통로(P1)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제 1 흡착블록(301)을 냉각시킬 수 있고, 제 1 열교환실(S11)이 재생통로(P2)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 1 흡착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냉매의 방열작용에 의해 제 1 흡착블록(301)을 가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에서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 및 흡착제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제습장치(10)를 서로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하나의 제습 유닛을 구성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또는, 도 7)에 나타낸 제습장치(10)를 상하로 복수 적층하여 각 제습장치(10)의 개구(구체적으로는, 흡착측 흡입구(51),재생측 흡입구(52),급기구(53),배기구(54))를 종별마다 공통으로 접속함으로써 하나의 제습유닛을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제습장치(10)에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을 추가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흡착 열교환기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흡착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흡열작용을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 열교환기 내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흡착제의 흡착열로 인한 공기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흡착 열교환기 내에서 공기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낮아져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쉽게 흡착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공기 중으로부터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런데,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흡착 열교환기의 내부에서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공기의 온도와 공기 중의 수분량이 적게 되어 간다. 즉, 흡착 열교환기 내부에서는, 상류측에 있어서 제습 및 냉각된 공기가 하류측에 공급되게 된다. 때문에, 흡착 열교환기 내의 하류측에서는,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여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저하되었다 하더라도, 공기 중의 수분량이 적게 되므로, 공기 중으로부터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키기 어렵다. 또, 공기 중의 수분량이 적어질수록, 흡착제의 흡착열 발생량이 적어진다. 이로써, 흡착 열교환기의 하류측에서는,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흡착제가 과잉 냉각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흡착 열교환기의 크기를 크게 한다 하더라도, 흡착 열교환기 내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한 효과(흡착제로의 수분 흡착을 촉진시키는 효과,흡착열을 제거하는 효과)가 약해지므로,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 공기 중으로부터 흡착제로의 수분 흡착을 촉진시키는 수단으로써, 공기와 흡착제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공기와 흡착제와의 접촉면적이 크게 될수록,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기 쉬워진다. 특히, 공기 중의 수분량이 적게 되는 경우, 냉매의 흡열작용에 의해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경우보다, 공기와 흡착제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경우가, 공기 중으로부터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흡착블록에는 냉매배관 등의 부품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상, 흡착블록은, 흡착 열교환기보다 표면적(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쉽다. 따라서,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있는 흡착 열교환기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흡착 열교환기에 의해 제습 및 냉각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흡착블록을 배치함으로써, 흡착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있어서 공기와 흡착제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흡착 열교환기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경우보다, 제습장치(10)의 제습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흡착제의 재생동작(흡착제로부터 공기 중으로의 수분 방출)은, 흡착제의 흡착 동작(공기 중으로부터 흡착제로의 수분의 흡착)보다, 반응 속도가 빠르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은,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보다 많게 되어도 되고, 동등하게 되어도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도 7) 및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도 10)에서는, 재생통로(P2)에 가열기(21)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제습 시스템(1)은, 가열기(2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재생통로(P2)에 공급되는 공기(즉,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급기통로(P1)에 공급되는 공기(즉,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높고, 이들 공기의 온도 차가 소정의 온도 차(구체적으로는, 흡착제를 재생시킬 수 있는 온도 차)보다 크게 되는 경우, 가열기(21)를 생략하여도 된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고,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의 제습장치는, 드라이 크린 룸 등의 조습공간을 제습하는 제습장치로서 유용하다.
1 : 제습 시스템 10 : 제습장치
100 : 냉매회로 101 : 제 1 흡착 열교환기
102 : 제 2 흡착 열교환기 103 : 압축기
104 : 팽창밸브 105 : 사방 전환밸브
200 : 전환기구 301 : 제 1 흡착블록
302 : 제 2 흡착블록 S0 : 조습공간
S1 : 실내공간 S2 : 챔버
S11 : 제 1 열교환실 S12 : 제 2 열교환실
P1 : 급기통로 P2 : 재생통로
20 : 제어기 30 : 전(前)처리용 제습장치
P3 : 전(前)처리 통로 P4 : 후(後)처리 통로
70 : 흡착로터 71 : 흡착부
72 : 재생부 73 : 퍼지부

Claims (7)

  1. 흡착제가 담지된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를 가지고, 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고 이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제 1 동작과, 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응축기가 되어 흡착제를 재생시키고 이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어 공기를 제습하는 제 2 동작을 교대로 행하는 냉매회로(100)와,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가 조습(調濕)공간(S0)에 공급되고,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전환기구(200)와,
    흡착제가 담지되어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실(S11)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착 열교환기(101)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이 제 1 흡착 열교환기(101)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흡착블록(301)과,
    흡착제가 담지되어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실(S12)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착 열교환기(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에, 이 제 2 흡착 열교환기(102)의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흡착블록(3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200)는,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이,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반대방향이 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200)는,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의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방향이,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증발기가 되는 경우와 이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가 되는 경우에 동일 방향이 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4.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5.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블록(301, 302)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 열교환기(101, 102)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6. 청구항 2에 기재된 제습장치(10)와,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21)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기구(200)는,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상기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흡착제가 담지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켜 이 공기를 제습하는 흡착부(71)와, 상기 가열기(21)를 통과한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켜 흡착제를 재생시키는 재생부(72)를 갖는 흡착로터(7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1, 102)가 설치된 열교환실(S11, S1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착로터(70)의 흡착부(71)를 통과하여 상기 조습공간(S0)에 공급되고,
    상기 전환기구(200)는,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실(S11, S12) 중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102, 101)가 설치된 열교환실(S12, S11)에 상기 가열기(21)와 상기 흡착로터(70)의 재생부(72)를 차례로 통과한 공기가 유통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
KR1020167002316A 2013-06-28 2014-06-24 제습장치 및 제습 시스템 KR101630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7166 2013-06-28
JP2013137166 2013-06-28
PCT/JP2014/003387 WO2014208083A1 (ja) 2013-06-28 2014-06-24 除湿装置および除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012A true KR20160025012A (ko) 2016-03-07
KR101630143B1 KR101630143B1 (ko) 2016-06-13

Family

ID=5214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316A KR101630143B1 (ko) 2013-06-28 2014-06-24 제습장치 및 제습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146479A1 (ko)
EP (1) EP3015778A4 (ko)
JP (1) JP5885781B2 (ko)
KR (1) KR101630143B1 (ko)
CN (1) CN105358915B (ko)
BR (1) BR112015032117A2 (ko)
WO (1) WO20142080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5A (ko) * 2016-11-07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79B1 (ko) * 2015-06-19 2016-10-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습 및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와 이를 이용한 제습냉방 및 가습난방 방법
CN109312939B (zh) * 2016-06-27 2021-07-23 大金工业株式会社 调湿装置
KR101973648B1 (ko) * 2017-08-07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BE1027506B1 (nl) * 2019-08-16 2021-03-15 Atlas Copco Airpower Nv Droger voor samengeperst gas,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droger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samengeperst gas
WO2021005771A1 (ja) * 2019-07-10 2021-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処理装置
CN112361639B (zh) * 2019-07-26 2022-04-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
EP4013532A1 (en) * 2019-08-16 2022-06-22 Atlas Copco Airpower N.V. Dryer for compressed gas, compressor installation provided with a dryer and a method for drying compressed gas
CN110925902B (zh) * 2019-11-22 2021-02-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低露点复合除湿机
KR20210112155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7361936B2 (ja) 2020-08-19 2023-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処理装置
CN112327975B (zh) * 2020-11-03 2022-06-17 张勇 一种高效多级烘干系统的控制方法
US20220205654A1 (en) * 2020-12-28 2022-06-30 Guangdong Broan IAQ Systems Co., Ltd. Dehumidifica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642A (ja) * 1994-04-06 1995-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JP2006349294A (ja) 2005-06-17 2006-12-28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20100057911A (ko) * 2007-10-05 2010-06-0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장치
JP2010190495A (ja) * 2009-02-18 2010-09-02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13092290A (ja) * 2011-10-25 2013-05-16 Daikin Industries Ltd 除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8927A (en) * 1980-07-30 1983-08-16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Cyclic adsorption process
US5826434A (en) * 1995-11-09 1998-10-27 Novelaire Technologies, L.L.C. High efficiency outdoor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0146220A (ja) * 1998-11-02 2000-05-26 Nissan Motor Co Ltd 空気調和手段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3097825A (ja) * 2001-07-18 2003-04-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3695417B2 (ja) * 2002-02-04 2005-09-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624910B2 (ja) * 2003-05-27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WO2005095882A1 (ja) * 2004-03-31 2005-10-13 Daikin Industries, Ltd. 熱交換器
JP2006264490A (ja) * 2005-03-23 2006-10-05 Mazda Motor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5266657B2 (ja) * 2007-03-30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車両用除加湿装置
AU2008308347B2 (en) * 2007-10-05 2011-12-08 Daikin Industries, Ltd. Humidity control apparatus and ventilation apparatus
JP5067507B2 (ja) * 2009-05-22 2012-11-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体処理装置および流体
JP5452565B2 (ja) * 2011-10-27 2014-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JP5786646B2 (ja) * 2011-10-27 2015-09-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5906708B2 (ja) * 2011-12-13 2016-04-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642A (ja) * 1994-04-06 1995-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JP2006349294A (ja) 2005-06-17 2006-12-28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20100057911A (ko) * 2007-10-05 2010-06-0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장치
JP2010190495A (ja) * 2009-02-18 2010-09-02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13092290A (ja) * 2011-10-25 2013-05-16 Daikin Industries Ltd 除湿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5A (ko) * 2016-11-07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083A1 (ja) 2014-12-31
US20160146479A1 (en) 2016-05-26
CN105358915B (zh) 2016-10-19
BR112015032117A2 (pt) 2017-07-25
JP5885781B2 (ja) 2016-03-15
JP2015028415A (ja) 2015-02-12
EP3015778A4 (en) 2017-02-22
KR101630143B1 (ko) 2016-06-13
EP3015778A1 (en) 2016-05-04
CN105358915A (zh)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143B1 (ko) 제습장치 및 제습 시스템
JP5695752B2 (ja) 除湿システム
KR100742074B1 (ko) 조습장치
US20230022397A1 (en) Air quality adjustment system
KR100708289B1 (ko) 공기조화장치
JP2010131583A (ja) 低消費電力の除湿装置
JP3709815B2 (ja) 空気調和装置
JP5521106B1 (ja) 除湿システム
KR20080011233A (ko) 조습 장치
JP3807408B2 (ja) 熱交換器
JP2017044387A (ja) 除湿システム
JP2015048982A (ja) ドライルーム用の除湿システム
JP3692977B2 (ja) 空気調和装置
JP3596547B2 (ja) 調湿装置
JP2016084982A (ja) 除湿装置
JP2014089013A (ja) デシカント空調装置用吸着熱交換器
JP5624185B1 (ja) 除湿システム
JP6051039B2 (ja) 除湿システム
JP6009531B2 (ja) 除湿システム
JP2005140372A (ja) 空気調和装置
JP2017044386A (ja) 除湿システム
JP2015087070A (ja) 除湿システム
JP6050107B2 (ja) 除湿システム
JP2017138078A (ja) 除湿システム
JP6235942B2 (ja) 除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