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590A -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590A
KR20160024590A KR1020140111569A KR20140111569A KR20160024590A KR 20160024590 A KR20160024590 A KR 20160024590A KR 1020140111569 A KR1020140111569 A KR 1020140111569A KR 20140111569 A KR20140111569 A KR 20140111569A KR 20160024590 A KR20160024590 A KR 2016002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ecesses
plane
upper mol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115B1 (ko
Inventor
이재옥
옥성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115B1/ko
Priority to US14/802,909 priority patent/US9643354B2/en
Priority to BR102015019521-4A priority patent/BR102015019521B1/pt
Priority to CN201510497818.3A priority patent/CN105383048A/zh
Priority to MYPI2015702763A priority patent/MY181517A/en
Publication of KR2016002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29C51/082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22Multi-cavity moulds
    • B29C33/0027Multi-cavity moulds with deep narrow cavities, e.g. for mak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22Multi-cavity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29C2043/3615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 B29C2043/3634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having specific surface shape, e.g. grooves, projections, 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가 개시된다. 개시된 금형 장치는 제1 평면을 따라 진입하는 시트를 성형하여 배터리용 트레이를 제조하는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하는 상부 금형; 및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하는 하부 금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수용홈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트레이에서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미성형 영역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MOLDING APPARATUS AND BATTERY TRAY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용 트레이 제조를 위한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공정이 완료된 단위 부품들은 수납 용기에 담겨진 후 포장하여 출하된다.
배터리의 수납을 위한 용기의 경우, 튜브형과 트레이형이 있는데 최근 배터리의 소형과 경량화 추세에 따라 튜브형보다는 트레이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배터리용 트레이는 배터리의 크기 및 구조 등을 고려하여 사출 성형용 금형 장치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종래의 금형 장치에 의하면, 트레이의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시키기 어렵고, 특히, 배터리 수용홈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트레이에서는 배터리 수용홈의 바닥부분에서 미성형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수용홈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트레이에서도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미성형 영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금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평면을 따라 진입하는 시트를 성형하여 배터리용 트레이를 제조하는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하는 상부 금형; 및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하는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을 기준으로 상하부로 돌출 및 함몰된 다수의 요부와 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하부 금형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자신의 높이만큼 상승하여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을 기준으로 상하부로 돌출 및 함몰된 다수의 요부와 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상부 금형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자신의 높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가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승하는 양과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가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하강하는 양은 서로 상응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와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하부 금형의 상승 및 상기 상부 금형의 하강에 따라,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와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는 상기 배터리용 트레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배터리 수용홈 각각의 바닥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와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하부 금형의 상승 및 상기 상부 금형의 하강에 따라,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배터리용 트레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칸막이부-상기 다수의 칸막이부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수용홈들을 서로 구분함-를 각각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시트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다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형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수용홈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트레이에서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미성형 영역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용 트레이 제조를 위한 금형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를 통과한 시트가 배터리용 트레이로 변형된 상태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은 참고를 위해, 도 4의 배터리용 트레이를 바로 놓은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트레이를 종래 방식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트레이와 비교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용 트레이 제조를 위한 금형 장치(10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형 장치'라 함)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에 관한 사시도를,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를 통과한 시트가 배터리용 트레이(20)로 변형된 상태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은 참고를 위해, 도 4의 배터리용 트레이(20)를 바로 놓은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제1 평면(P1)을 따라 진입하는 시트(10)를 성형하여 배터리용 트레이(20)를 형성한다.
시트(10)는 금형 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될 수 있고, 배터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시트(10)는 PP(polypropylene)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평면(P1)을 따라 연속적으로 금형 장치(1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성형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던 금형 장치(100)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의 상호작용으로 시트(10)를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상하부에서 각각 가압하여 배터리용 트레이(20)로 성형한다.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수용홈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트레이(20)에서도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미성형 영역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배터리용 포장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나, 특히, 휴대용 단말장치에 사용되는 각형 셀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트레이의 제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각형 셀용 포장 트레이에 금형 장치를 적용한 일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상부 금형(110) 및 하부 금형(120)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110)은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시트(10)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한다.
이에 대해, 하부 금형(120)은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시트(10)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한다.
이때, 상부 금형(110)이 시트(10)를 프레스하는 위치와 하부 금형(120)이 시트(10)를 프레스하는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금형(110, 120)에 형성되는 요부와 철부는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의 프레스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에는 상하부 금형의 요부끼리 서로 충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부 금형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어 요구되는 트레이의 형상을 형성할 수 없다.
상하부 금형에 형성되는 요부와 철부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 금형(120)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금형(120)은, 제1 평면(P1)과 평행한 제2 평면(P2)을 기준으로 상하부로 돌출 및 함몰된 다수의 요부(122, 124, 126)와 철부(121, 123, 125, 127)를 포함한다.
즉,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122, 124, 126)는 제2 평면(P2)을 기준으로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수의 철부(121, 123, 125, 127)는 제2 평면(P2)을 기준으로 하부로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를 모두 표기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금형 장치(100)는 한번에 여러 개의 트레이(일례로, 6개)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요부(122, 124, 126)와 철부(121, 123, 125, 127)는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1회의 프레스 동작으로 6개의 트레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와 철부 구조는 총 6개 세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하부 금형(120)의 상승에 따라, 하부 금형에 형성된 다수의 요부(122, 124, 126)도 상승하여 시트(10)의 일부를 프레스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요부(122, 124, 126)가 상승되는 양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상호보완적인 구조 및 시트(10)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자신의 높이, 즉, 요부(122, 124, 126)의 높이만큼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요부(122, 124, 126)가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자신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하거나 낮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마주보고 있는 상부 금형(110)의 하강 높이를 더 낮게 하거나 높게 해야만 시트(10)의 성형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상하부 금형(110, 120)의 이동량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시트(10)의 상하부로의 변형 폭도 최소화할 수 없는 바, 상하부 금형 사이의 상호보완적인 구조 및 시트(10)의 두께를 고려하여 다수의 요부(122, 124, 126)는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자신의 높이만큼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하부 금형(120)의 상승에 따라, 다수의 철부(121, 123, 125, 127) 또한 상승하여 이하 설명하는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와 함께 시트(10)의 일부를 성형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금형(110)은 제1 평면(P1)과 평행한 제3 평면(P3)을 기준으로 상하부로 돌출 및 함몰된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와 철부(112, 114, 116)를 포함한다.
즉,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는 제3 평면(P3)을 기준으로 하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수의 철부(112, 114, 116)는 제3 평면(P3)을 기준으로 상부로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하부 금형의 제2 평면(P2) 또한 제1 평면(P1)과 평행하게 놓여지는 바, 전체적으로, 상부 금형(110)과 하부 금형(120)은 시트(10)가 투입되는 평면(P1)과 각각 평행하게 놓여진다.
상부 금형(110)의 경우에도 도면 부호를 모두 표기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와 철부(112, 114, 116)는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하부 금형의 1회 프레스 동작으로 6개의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와 철부 구조는 총 6개 세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하부 금형(120)의 상승에 대응하여, 상부 금형(110) 또한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부 금형(110)에 형성된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는 하강하여 시트(10)의 일부를 프레스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가 하강되는 양은, 하부 금형과의 상호보완적인 구조 및 시트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자신의 높이, 즉, 요부(111, 113, 115, 117)의 높이만큼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하부 금형(1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가 자신의 높이보다 더 높게 하강하거나 낮게 하강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하부 금형(120)의 상승 높이를 더 낮게 하거나 높게 해야만 시트(10)의 성형이 가능하고, 상하부 금형의 이동량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시트의 상하부로의 변형 폭도 최소화시킬 수 없는 바, 상하부 금형 사이의 상호보완적인 구조 및 시트의 두께를 고려하여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는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자신의 높이만큼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금형(110)의 하강에 따라,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철부(112, 114, 116) 또한 하강하여 앞서 설명한 하부 금형(120)의 다수의 요부(122, 124, 126)과 함께 시트(10)의 일부를 성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120)의 다수의 요부(122, 124, 126)가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상승하는 양과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가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상승하는 양은 서로 상응하며(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음), 이러한 구조에 따라, 시트(10)의 상하부로의 변형 폭을 최소화하여 제품 전체에 걸쳐 미성형 영역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품의 두께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상하부 금형(110, 120) 사이의 상호보완적인 구조로부터 형성되는 시트(1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금형(120)의 다수의 요부(122, 124, 126)와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철부(112, 114, 116)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금형 장치(100)의 프레스 동작, 즉, 하부 금형(120)의 상승 및 상부 금형(110)의 하강에 따라, 하부 금형(120)의 다수의 요부(122, 124, 126)는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철부(112, 114, 116)로 삽입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금형(120)의 상승이나 상부 금형(110)의 하강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하부 금형(120)이 상승하고 상부 금형(110)이 하강하는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제1 평면(P1)을 따라 진입하는 시트(10)는 상부나 하부의 어느 일 방향으로 프레스되는 것이 아니라,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프레스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와 하부 금형(120)의 다수의 철부(121, 123, 125, 127) 또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금형 장치(100)의 프레스 동작에 따라,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는 하부 금형(120)의 다수의 철부(121, 123, 125, 127)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의 삽입은, 상부 금형의 하강이나 하부 금형의 상승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상부 금형이 하강하고 하부 금형이 상승하는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10)를 배터리용 트레이(20)로 성형함에 있어서, 제1 평면(P1)을 기준으로 시트(10)의 상하부로의 변형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터리용 트레이의 상단부나 하단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성형 영역을 방지함과 동시에 트레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를 통과한 시트는 배터리용 트레이(20)로 성형되며, 금형 장치를 통과한 직후 시트는 배터리용 트레이(20)를 뒤집어 놓은 형상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은 도 4의 배터리용 트레이(20)를 바로 놓은 형상에 해당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금형(120)의 다수의 요부(122, 124, 126)와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철부(112, 114, 116)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배터리용 트레이(20)에 구비되는 다수의 배터리 수용홈(22) 각각의 바닥부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금형(110)의 다수의 요부(111, 113, 115, 117)와 하부 금형(120)의 다수의 철부(121, 123, 125, 127)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배터리용 트레이(20)에 구비되는 다수의 칸막이부(24)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칸막이부(24)는 배터리 수용홈(22)들을 서로 구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과 달리 금형의 상하가 서로 반대로 되어 금형 장치(100)를 통과한 직후 시트는 최종 제품을 뒤집어 놓은 형상에 해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에 구비되는 배터리 수용홈(22)의 바닥부의 미성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수용홈(22)의 바닥부의 미성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장치(100)는 상부에 장착되는 열선(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선(미도시)으로부터 제품 전체에 걸쳐 균등한 형상과 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금형 장치(100)는 상부에 장착되는 냉각수 라인(미도시)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냉각수 라인(미도시)은 성형이 끝난 시트(10)가 금형 장치(100)로부터 배출될 때 냉각 작용을 함으로써, 전체 작업 공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트레이(20)를 종래 방식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트레이와 비교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방식에 따른 배터리용 트레이에서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갈수록 제품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시트의 두께가 얇을 경우 하단부에 미성형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때, 미성형 영역의 방지를 위해, 공급되는 시트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도 있으나, 이는 원가 상승을 초래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수용홈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트레이에서도 미성형 영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20)의 측벽부에는 반원형의 파지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반원형의 파지홈(26)은 종래의 사각형상의 파지홈과 대비하여 프레스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보다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금형 장치의 파손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반원형의 파지홈(26)의 형성을 위해, 금형 장치(100)의 상부 금형(110)에는 다수의 요부와 철부 측면으로 물결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 금형(120)에도 다수의 요부와 철부 측면으로 물결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금형의 물결 형상의 요철부와 하부 금형의 물결 형상의 요철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금형(110) 및 하부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시트(10)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다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하부 금형(120)에는 시트(10)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다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하부 금형의 프레스 동작과 함께 다수의 홀(미도시)은 시트(10)가 하부 금형(120)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성형 품질을 보다 고르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수용홈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트레이에서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미성형 영역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시트 20 : 배터리용 트레이
100 : 금형 장치 110, 120 : 상하부 금형
111, 113, 115, 117 : 상부 금형의 요부
112, 114, 116 : 상부 금형의 철부
121, 123, 125, 127 : 하부 금형의 철부
122, 124, 126 : 하부 금형의 요부

Claims (12)

  1. 제1 평면을 따라 진입하는 시트를 성형하여 배터리용 트레이를 제조하는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하는 상부 금형; 및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하는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을 기준으로 상하부로 돌출 및 함몰된 다수의 요부와 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하부 금형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자신의 높이만큼 상승하여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을 기준으로 상하부로 돌출 및 함몰된 다수의 요부와 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상부 금형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자신의 높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레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가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상승하는 양과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가 상기 제1 평면을 기준으로 하강하는 양은 서로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와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하부 금형의 상승 및 상기 상부 금형의 하강에 따라,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와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는 상기 배터리용 트레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배터리 수용홈 각각의 바닥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와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하부 금형의 상승 및 상기 상부 금형의 하강에 따라, 상기 하부 금형의 다수의 철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의 다수의 요부는 상기 배터리용 트레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칸막이부-상기 다수의 칸막이부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수용홈들을 서로 구분함-를 각각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시트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형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KR1020140111569A 2014-08-26 2014-08-26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KR10222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69A KR102222115B1 (ko) 2014-08-26 2014-08-26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US14/802,909 US9643354B2 (en) 2014-08-26 2015-07-17 Molding apparatus and battery tray manufactured thereby
BR102015019521-4A BR102015019521B1 (pt) 2014-08-26 2015-08-13 aparelho de moldagem, e, bandeja de bateria
CN201510497818.3A CN105383048A (zh) 2014-08-26 2015-08-13 成型设备和通过成型设备制造的电池托盘
MYPI2015702763A MY181517A (en) 2014-08-26 2015-08-20 Molding apparatus and battery tray manufactur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69A KR102222115B1 (ko) 2014-08-26 2014-08-26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90A true KR20160024590A (ko) 2016-03-07
KR102222115B1 KR102222115B1 (ko) 2021-03-03

Family

ID=5540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569A KR102222115B1 (ko) 2014-08-26 2014-08-26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43354B2 (ko)
KR (1) KR102222115B1 (ko)
CN (1) CN105383048A (ko)
BR (1) BR102015019521B1 (ko)
MY (1) MY1815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49A (ko) * 2016-11-30 2018-06-08 (주)신우에이엔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KR20190101165A (ko) * 2018-02-22 2019-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트레이 및 이를 성형하기 위한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128B1 (ko) * 2018-01-30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성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932A (ko) * 1997-11-27 1999-06-15 김종태 프레스 성형방법 및 프레스 금형
KR20020045546A (ko) * 2000-12-07 2002-06-19 엔다 나오토 열가소성수지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주형
KR200453750Y1 (ko) * 2011-02-28 2011-05-26 김성태 각형 배터리 트레이
KR20110130448A (ko) * 2009-03-30 2011-12-05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프레스 성형 방법 및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45703Y (zh) * 2006-09-11 2007-09-12 汕头市奇佳机械厂有限公司 一种正压成型机的模具
KR20090058179A (ko) 2007-12-04 2009-06-09 엠티코리아 주식회사 진공성형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8129A (ko) 2009-02-27 2010-09-06 이수동 플라스틱 용기 진공성형 장치
ES2586734T3 (es) * 2010-12-02 2016-10-18 Toray Industries, Inc. Método para producir un material compuesto metálico, y chasis para equipo electrónico
KR101282628B1 (ko) 2011-07-11 201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및 방법
US20130127082A1 (en) * 2011-11-21 2013-05-23 Chao-Kai Wang Manufacturing Method of 3D Patterned Foam Sheet
CN103302867B (zh) * 2012-03-16 2015-09-09 上海耀华大中新材料有限公司 一种制作纯电动汽车电池盒总成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932A (ko) * 1997-11-27 1999-06-15 김종태 프레스 성형방법 및 프레스 금형
KR20020045546A (ko) * 2000-12-07 2002-06-19 엔다 나오토 열가소성수지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주형
KR20110130448A (ko) * 2009-03-30 2011-12-05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프레스 성형 방법 및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200453750Y1 (ko) * 2011-02-28 2011-05-26 김성태 각형 배터리 트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49A (ko) * 2016-11-30 2018-06-08 (주)신우에이엔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KR20190101165A (ko) * 2018-02-22 2019-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트레이 및 이를 성형하기 위한 지그
KR20220047551A (ko) * 2018-02-22 2022-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트레이 및 이를 성형하기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115B1 (ko) 2021-03-03
CN105383048A (zh) 2016-03-09
BR102015019521B1 (pt) 2020-11-03
US20160059470A1 (en) 2016-03-03
MY181517A (en) 2020-12-24
US9643354B2 (en) 2017-05-09
BR102015019521A2 (pt)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031B1 (ko) 드로잉 금형장치
KR102029718B1 (ko) 전지케이스의 수납부 크기에 따라 변형되는 구조의 지그
KR20160024590A (ko)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KR200464274Y1 (ko) 기판 적재용 트레이
KR20190138266A (ko) 성형 장치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180018027A (ko) 콘택트 렌즈 운반용 트레이
KR102187172B1 (ko) 커브드 케이스용 금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커브드 이차전지 제조방법
JP5996198B2 (ja) 絞り加工用金型
JP4616086B2 (ja) パネル状物品の収納トレイ
JPH05220828A (ja) 真空成形品の打抜き方法
CN212152066U (zh) 多穴式模具结构
US11383422B2 (en) Selective thermoforming of injection molded parts
KR101634263B1 (ko) 반도체칩 트레이
JP5329708B1 (ja) 育苗ポット
CN210175552U (zh) 一种高强度的电子产品包装载带
JP2023502228A (ja) パウチ型ケース成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パウチ型ケースの製造方法
CN212046114U (zh) 一种粉末干压成型生胚及粉末干压成型模具
CN216154363U (zh) 一种具有内部稳定结构的吸塑包装盒
CN102886854A (zh) 一种刹车片的摩擦片的加工模具
CN105819063A (zh) 一种吸塑托盘
JP2002301760A (ja) Ptpシート成形金型
ES2967328T3 (es) Molde de soldadura para soldar un elemento de refuerzo en un contenedor de alimentos
CN202846800U (zh) 一种刹车片的摩擦片的加工模具
KR20070116478A (ko) 전자부품 포장용 완충재
CN206544675U (zh) 一种多功能药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