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613A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613A
KR20160023613A KR1020150118048A KR20150118048A KR20160023613A KR 20160023613 A KR20160023613 A KR 20160023613A KR 1020150118048 A KR1020150118048 A KR 1020150118048A KR 20150118048 A KR20150118048 A KR 20150118048A KR 20160023613 A KR20160023613 A KR 20160023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display
shooting
transpa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지 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6002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25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37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with temporary storage before final recording, e.g. in a frame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촬상 장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미리 결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모니터링 중인 피사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피사체, 예를 들면 건축 중에 있는 건물의 진척 및 계절에 따라 변하는 지형은 연대순으로 촬영되고 그러한 시간에 따라 변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비교된다. 이 경우에, 동일한 각도 및 거리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연대순으로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촬상 장치를 항상 동일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각도가 촬영자의 느낌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피사체를 항상 동일 각도 및 거리에서 촬영하는 것이 또한 곤란하다.
촬영 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를 미리 촬영하고 미리 촬영된 이미지를 모니터링되는 피사체 이미지와 중첩시켜서 디스플레이하는 촬상 장치는 특허 문서 1(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405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로 기념식 사진을 촬영할 때는 구도를 미리 결정하기 위해 피사체가 미리 촬영된다. 그 다음에, 이전에 촬영한 것과 동일한 각도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3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특허 문서 1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은 제3자의 촬영 기술 또는 촬영 간격과 관계없이 클라이언트의 의도와 일치하는 실제 촬영을 달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서 1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은 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실제 촬영 바로 전에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하고, 현재 촬영을 위해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전에 촬영한 이미지는 실제 촬영 후에 덮어쓰기되어 삭제되기 때문에, 촬영은 이전에 촬영된 동일한 이미지로 복수회 수행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미 촬영된 이미지는 사진으로 찍을 피사체 이미지와 비교될 수 없고, 시간에 따라 변하는 피사체를 과거 이미지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촬영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촬영 이미지(shot image)와 모니터링 중인 피사체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촬상 장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미리 결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모니터링 중인 피사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를 각각 보인 투시도로서, 도 1a는 촬상 장치의 정면을 보인 도이고, 도 1b는 촬상 장치의 배면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의 DSP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5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기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때 씨스루 촬영 처리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5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현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때 씨스루 촬영 처리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의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의 조작 흐름 및 화면 흐름을 보인 개략도(천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의 씨스루 촬영의 조작 흐름 및 화면 흐름을 보인 개략도(천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투명도 설정 처리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의 투명도 설정 처리의 조작 흐름 및 화면 흐름을 보인 개략도(천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씨스루 촬영 처리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정면(피사체측), 상면 및 배면을 가진 케이스(1)를 포함한다. 케이스(1)의 정면은 슈팅 렌즈(shooting lens)(2)를 포함한다. 케이스(1)의 상면은 전원의 온/오프 조작을 위한 전원 버튼(3)과, 피사체의 촬영 조작을 위한 셔터 버튼(4)과, 촬영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 다이얼(5)과, 스트로브(6)를 포함한다.
모드 전환 다이얼(5)은 회전 축으로서의 중심축을 회전시킴으로써 각종 촬영 모드(정지 화상 모드, 동영상 모드, 장면(scene) 모드 등)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각각의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기호(5a)(도 7 참조)는 모드 전환 다이얼(5)의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모드 전환 다이얼(5)을 돌려서 모드 기호(5a)를 마크와 정렬시킴으로써 촬영 모드를 원하는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촬영 모드 중의 하나인 장면 모드는 사람을 촬영하는 초상 모드와 야경을 촬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중인 촬영 전(pre-shooting) 피사체 이미지(이하, 모니터링 이미지라고 부른다)와 기촬영 이미지(shot image)(이하, 템플릿 이미지라고 부른다)를 중첩시켜서 이들 이미지를 비교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이 촬영 모드에서는 템플릿 이미지를 통해 모니터링 이미지를 보기 위해 상기 템플릿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투명성 처리가 수행된다. 따라서, 이 촬영 모드는 씨스루(see-through) 촬영 모드라고 부른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의 배면은 디스플레이부(7) 및 각종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조작 버튼은 디스플레이부(7)에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재생)하기 위한 재생 버튼(8)과, 촬영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결정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및 OK 버튼(9)과, 화면에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 지시 버튼(10)과, 템플릿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조리개 값을 변경하기 위한 ADJ 버튼(11)과,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변경하기 위한 DISP 버튼(12)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 지시 버튼(10)은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상향 버튼(10a), 하향 버튼(10b), 좌향 버튼(10c) 및 우향 버튼(10d)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촬영 전 이미지 데이터인 모니터링 이미지 데이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한다.
SD 메모리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와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케이스(1)의 바닥부에 제공된다. 촬상 장치(1)는 프로그램 및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내부 메모리를 포함한다. 각각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전원이 배터리로부터 촬상 장치(100)의 각 부품에 공급된다.
촬상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소자로서의 CCD(전하 결합 다이오드)(21), 샘플링(CDS) 및 아날로그-디지털(AD) 컨버터(CDS 및 A/D 컨버터)(22), DSP(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 비디오 인코더(24), 비디오 인코더를 구동시키는 수정 발진기(24a), 기록 매체(리코더)로서의 프레임 버퍼(25), 타이밍 발생기(TG)(26), 수직 드라이버(VDr)(27), 제어기로서의 중앙 처리 장치(CPU)(28), CPU를 구동시키는 수정 발진기(28a), 클럭 발생기(29), 클럭 발생기를 구동시키는 수정 발진기(29a), 오디오 코덱 및 USB 드라이버(31)를 포함한다. 상기 요소들은 버스선을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CPU(28)는 각종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ROM에 저장되어 있는 촬상 프로그램에 따라 작업 메모리로서의 RAM을 이용하여 촬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로서의 CPU(28)는 디스플레이부(7)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록 매체로부터 템플릿 이미지로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기(템플릿 이미지 선택기),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 유닛, 및 씨스루 촬영을 수행할 때의 씨스루 촬영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CPU(28)는 슈팅 렌즈(2), 전원 버튼(3), 셔터 버튼(4), 모드 전환 다이얼(5), 스트로브(6), 디스플레이부(7), 재생 버튼(8), 메뉴 및 OK 버튼(9), 방향 지시 버튼(10), ADJ 버튼(11) 및 DISP 버튼(12)에 제어 회로 또는 드라이버를 통하여 접속된다. CPU(28)는 상기 요소들을 제어하고, 각종 버튼 또는 다이얼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SD 메모리 카드 또는 내부 메모리는 기록 매체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기록 매체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USB를 통해 접속되는 다른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또는 HDD가 기록 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CCD(21)에 대하여 반도체 촬상 요소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MOS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촬상 장치(100)에 있어서, 피사체로부터 슈팅 렌즈(2)를 통하여 CCD(21)에 수신된 광은 CCD(21)에 의해 광전 변환되어 CDS 및 A/D 컨버터(22)에 전송된다. CDS 및 A/D 컨버터(22) 상관은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면서 CCD(21)의 출력 신호를 더블 샘플링하고, 이어서 상기 신호를 10-비트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10-비트 데이터를 DSP(23)에 전송한다.
DSP(23)는 CDS 및 A/D 컨버터(22)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보간 처리, 애퍼처(aperture) 강화 처리 및 화이트 밸런스 처리와 같은 각종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신호들을 프레임 버퍼(25)에 임시로 저장될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Cb, Cr)로 변환한다. 이 동작은 모니터링시에 반복된다. 프레임 버퍼(25)에 누적된 데이터는 DSP(23)에서 비디오 인코더(24)에 의해 순차적으로 판독되고, 상기 비디오 인코더(24)에 의해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상기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7), 또는 외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32)에 출력된다.
CCD(21)는 TG(26)로부터 CCD(21)로 출력된 수평 구동 펄스, VDr(27)로부터 CCD(21)로 출력된 수직 구동 펄스, 및 전기 셔터 펄스에 의해 구동된다. CPU(28)는 상기 전기 셔터 펄스에 의해 TG(26), CDS 및 A/D 컨버터(22) 및 클럭 발생기(29)를 제어한다. CPU(28)의 이러한 제어에 의해, TG(26)는 CCD(21)를 수직 구동하기 위한 펄스를 VDr(27)에 출력하고, 클럭을 CDS 및 A/D 컨버터(22)에 출력한다.
TG(26)의 원래 신호는 클럭 발생기(29)로부터 출력된 CCD 구동용 펄스(이하, CCD 구동 펄스라고 부른다)이다. CCD 구동 펄스는 TG(26) 내의 주파수 분할기(26a)에 의해 분할되어 DSP(23)에 전송된다. 한편, TG(26)로부터의 CCD 구동 펄스를 계수하는 카운터가 DSP(23) 내에 구축된다. DSP(23)는 카운터의 계수치가 미리 결정된 계수치에 도달한 때 TG(26)에 수평 리셋 신호 및 수직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CCD 구동 펄스는 클럭 발생기(29)로부터 출력된다. 이것은 클럭 발생기(29)에 부착된 수정 발진기(29a)의 발진 주파수의 클럭을 분할하는 회로가 클럭 발생기(29)에 단순히 내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CCD 구동 펄스를 분할함으로써,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럭 발생기(29)는 원래 신호(수정 발진기(29a)를 이용한 수정 발진 회로에 의해 발생된 클럭)와 상기 주파수 분할기에 의해 2로 나누어진 클럭을 CCD 구동 펄스 1 또는 2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수정 발진기(29a)를 이용한 수정 발진 회로에 의해 발생된 클럭을 분할하는 복수의 주파수 분할기를 마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모니터링의 프레임의 갱신 속도가 CCD 구동 펄스의 하강(저주파수)에 따라 하강되기 때문에, 클럭을 2로 나누는 주파수 분할기가 실제 사용의 관점에서 사용된다.
CCD 구동 펄스의 분할에 의해 획득되는 저전력 소모의 중요한 효과는 TG(26) 내 논리 시스템의 저전력 소모 및 CCD(21)를 수평 및 수직으로 구동하는 버퍼의 저전력 소모에 있다. CCD 구동 펄스를 2로 나누면, 전력 소모는 CCD 구동 펄스를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기의 분할율에 비례해서 전력 소모를 반으로 줄인다. 또한, 상기 블록(논리 시스템 및 버퍼)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는 없지만, CDS 및 A/D 컨버터(22)의 전력 소모가 또한 낮아진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모니터링 프레임의 갱신 속도를 임의로 설정하는 클럭 발생기(29)를 포함한다. CPU(28)는 클럭 발생기(29)를 제어하여 클럭 발생기(29)로부터 TG(26)로의 클럭(CCD 구동 펄스)의 주파수를 변경하게 한다. 모니터링 프레임의 갱신 속도의 저하에 기인하여 다음의 능력이 열화되는 경우, 모니터링 프레임의 갱신 속도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DSP(23)의 일 구성 예를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DSP(23)는 CDS 및 A/D 컨버터(22)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이하, 이미지 데이터라 부른다)를 R, G 및 B의 각각의 색 성분으로 분리하는 색 분리기(2301)와, R, G 및 B의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를 보간하는 신호 보간기(2302)와, R, G 및 B의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의 흑색 레벨을 조정하는 페디스탈(pedestal) 조정기(2303)와, R, G 및 B의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의 백색 레벨을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기(2304)와, CPU(28)에 의해 설정된 이득에 따라 R, G 및 B의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하는 디지털 이득 조정기(2305)와, R, G 및 B의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의 감마(γ) 변환을 실행하는 감마 변환기(2306)와, R, G 및 B의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를 색차 신호(Cb, Cr) 및 휘도 신호(Y)로 분리하는 매트릭스부(2307)와, 상기 색차 신호(Cb, Cr) 및 휘도 신호(Y)에 기초하여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7)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2)에 출력하는 영상 신호 처리기(2308)를 포함한다.
DSP(23)는 페디스탈 조정기(2303)에 의한 페디스탈 조정 후에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Y)를 검출하는 Y 산출기(2309)와, 상기 Y 산출기(2309)에 의해 검출된 휘도 데이터(Y)의 미리 결정된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BPF)(2310)와, 상기 BPF(2310)를 통해 전달된 상기 휘도 데이터(Y)의 적분치를 AF 평가치로서 CPU(28)에 출력하는 AF 평가치 회로(2311)와, 상기 Y 산출기(2309)에 의해 검출된 상기 휘도 데이터(Y)에 따른 디지털 계수치를 AE 평가치로서 CPU(28)에 출력하는 AE 평가치 회로(2312)와, 상기 화이트 밸런스 조정기(2304)에 의한 조정 후에 R, G 및 B의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Y)를 검출하는 Y 산출기(2313)와, 상기 Y 산출기(2313)에 의해 검출된 각 색의 휘도 데이터(Y)를 계수하여 각 색의 AWB 평가치로서 CPU(28)에 출력하고 CPU(28)와의 인터페이스로서 CPU I/F(2315)에 출력하는 AWB 평가치 회로(2314)를 포함한다.
CCD-AF(내부 AF)는 CCD(21)를 이용하여 집속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CCD-AF는 AF 평가치의 피크 위치를 집속 위치로서 획득하기 위해 집속 렌즈계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CCD(21)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신호에 따라 피사체의 콘트라스트를 보이는 AF 평가치를 샘플링하는 힐 클라이밍 서보법(hill climbing servo method)을 이용한다.
전술한 촬상 장치(100)에 있어서, 셔터 버튼(4)이 눌러지면, 촬영 유닛에 의한 촬영 처리가 시작되고, 슈팅 렌즈(2)를 통해 CCD(21)의 수광면에 수신된 피사체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는 SD 메모리 카드 또는 내부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상기 촬상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로서의 CPU(28)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부(7)에 적절히 디스플레이된다. CPU(28)는 모드 전환 다이얼(5)의 회전 위치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촬영 모드를 전환한다.
이하, 촬영 모드를 장면 모드로 전환하고 장면 모드에서 씨스루 촬영 모드를 실행하는 동작(촬상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씨스루 촬영 모드에서 촬영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이미지와 중첩되는 템플릿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가 실행된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7)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링 이미지와 상기 템플릿 이미지를 중첩시켜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처리(이하, 씨스루 촬영 처리라고 부른다)가 실행된다.
먼저,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를 도 4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조작 흐름 및 디스플레이부(7)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흐름을 도 6에 도시된 화면 천이도를 참조하면서 또한 설명한다. 이 경우에, CPU(28)는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템플릿 이미지 선택기로서 동작한다.
촬영 설정 메뉴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메뉴 및 OK 버튼(9)의 조작에 의해 지시된 때, 디스플레이로서의 CPU(28)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7)에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촬영 설정 메뉴 화면(101)을 디스플레이한다(S11).
촬영 설정 메뉴 화면(101)에서 "템플릿"이 선택된 때(단계 12에서 "예"), 템플릿 이미지 선택기에 의한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가 시작된다.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에 있어서, "현촬영 이미지"(shooting image) 및 "기촬영 이미지"(shot image)의 아이템은 디스플레이부(7)에 디스플레이된 선택 화면(102, 103)에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13).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방향 지시 버튼(10)의 상향 버튼(10a) 또는 하향 버튼(10b)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촬영 설정 메뉴 화면(101) 상의 "템플릿"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우향 버튼(10d)을 조작하면 "템플릿"이 선택된다. 반면에, "템플릿"이 선택되지 않으면(단계 12에서 "아니오"),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가 종료된다.
"현촬영 이미지"는 선택 화면(102)에서 선택되고, "기촬영 이미지"는 선택 화면(103)에서 선택된다. 템플릿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상향 버튼(10a) 또는 하향 버튼(10b)을 조작함으로써 "현촬영 이미지"와 "기촬영 이미지"의 2개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에 있어서, "현촬영 이미지"용의 선택 화면(102)과 "기촬영 이미지"용의 선택 화면(103)은 상향 버튼(10a) 또는 하향 버튼(10b)의 조작에 응답하여 교대로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기촬영 이미지"가 선택되었는지 "현촬영 이미지"가 선택되었는지가 판정된다(단계 14). 더 구체적으로, 선택 화면(103)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우향 버튼(10d)이 조작된 경우 "기촬영 이미지"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다. 선택 화면(102)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우향 버튼(10d)이 조작된 경우 "현촬영 이미지"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다.
"기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단계 14에서 "예"), 처리는 단계 15로 진행한다. 반면에, "현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단계 14에서 "아니오")에는 촬영 대상의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선택 화면(102)은 촬영 설정 메뉴 화면(101)으로 복귀하고, 템플릿 이미지를 선택함이 없이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14에서 "기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에는 기록된 이미지 데이터가 SD 메모리 카드 또는 내부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15). 이미지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으면(단계 15에서 "예"), 그 기록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20개의 축소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선택 화면(104)이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16). 사용자는 방향 지시 버튼(10)(10a~10d)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조작하여 선택 이미지를 전환하고 이미지들의 리스트로부터 템플릿 이미지용의 이미지를 선택한다.
반면에, 기록 이미지 데이터 파일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15에서 "아니오"), "파일 없음"(no file)을 표시하는 에러 화면(106)이 디스플레이부(7)에 디스플레이된다(단계 17). 에러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가 메뉴 및 OK 버튼(9)을 누르면, 선택 화면(103)이 디스플레이되고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가 종료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처리를 중지시킬 수 있고, 또는 사용자는 상향 버튼(10a)을 조작함으로써 화면을 "현촬영 이미지"의 선택 화면(102)으로 복귀시킨 후 "현촬영 이미지"를 템플릿 이미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커서를 단계 16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선택 화면(104) 상의 소정의 이미지에 위치시키고 메뉴 및 OK 버튼(9)을 조작한 경우, 사용자는 그 이미지를 템플릿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 조작에 의해 템플릿 이미지가 선택되면(단계 18에서 "예"), 선택된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가 RAM에 확립된 기록 영역(이하, 템플릿 이미지 메모리라고 부른다)으로 전송(로드)되고(단계 19), 이미지 선택 화면(104)이 촬영 설정 메뉴 화면(101)으로 복귀된 후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때 화면(104)은 선택 화면(103)으로 복귀한다. 사용자는 방향 지시 버튼(10)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선택 화면(103)에서 템플릿 이미지의 선택을 재수행할 수 있다. 화면이 "현촬영 이미지"용의 선택 화면(102) 또는 촬영 설정 메뉴 화면(101)으로 복귀한 후, 사용자는 각 화면에서 재조작할 수 있다.
메뉴 및 OK 버튼(9)의 조작에 의해 이미지 선택 화면(104) 상의 미리 결정된 이미지에서 템플릿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단계 18에서 "아니오"), ADJ 버튼(11)이 조작된다. 이 조작으로, 세부 디스플레이가 지시된 것으로 판정되고(단계 20에서 "예") 이미지 중의 하나(재생 이미지(105))가 디스플레이(재생)된다(단계 21). 그러므로, 사용자는 이미지의 세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이미지는 템플릿 이미지 데이터로서 템플릿 이미지 메모리에 전송되고(단계 19)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가 종료된다. 세부 디스플레이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단계 20에서 "아니오"),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에, 씨스루 촬영 모드에서의 씨스루 촬영 처리를 도 5a 및 도 5b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한 조작 흐름 및 디스플레이부(7)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흐름을 도 7의 천이도를 참조하면서 또한 설명한다. 이 경우에, CPU(28)는 씨스루 촬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씨스루 촬영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사용자가 씨스루 촬영을 위해 도 7에 201로 도시한 것처럼 모드 전환 다이얼(5)을 "SCENE"(장면 모드)로 전환한 때, 디스플레이는 장면 모드 선택 화면(202)을 디스플레이한다. 씨스루 촬영 모드가 장면 모드 선택 화면(202)에서 선택되면, 메시지 "씨스루 템플릿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됩니다"(see-through template image is displayed)가 장면 모드 선택 화면(202)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메뉴 및 OK 버튼(9)을 조작하면, 씨스루 촬영 처리가 씨스루 촬영 유닛에 의해 시작된다.
"기촬영 이미지"가 이전에 실행된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에 의해 선택된 경우의 씨스루 촬영 처리를 도 5a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때, 템플릿 이미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템플릿 이미지 데이터가 씨스루 촬영 처리에서 RAM에 확립된 기록 영역(이하, 디스플레이 메모리 A라고 부른다)에 전송된다. 다음에, 상기 템플릿 이미지를 통해 디스플레이 메모리 B의 모니터링 이미지를 보이기 위해 미리 결정된 투명 화소가 디스플레이 메모리 A에 설정된다(단계 32). 씨스루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하여 전형적인 중첩 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CCD(21)에 의해 로드된 피사체 이미지(이하, 모니터링 이미지라고 부른다)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메모리 B에 전송된다(단계 33).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메모리 A의 템플릿 이미지 및 디스플레이 메모리 B의 모니터링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205)가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34). "씨스루 촬영"이 실행중에 있음을 표시하는 아이콘(I)이 이미지(205)의 상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미지(20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이미지들은 모니터링 이미지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이미지들은 템플릿 이미지(씨스루 이미지)이다. 사용자는 이 디스플레이에서 모니터링 이미지와 템플릿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템플릿 이미지와 모니터링 이미지는 템플릿 이미지의 촬영시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도록 정렬된다.
모니터링 이미지는 CCD(21)에 의해 주기적으로 획득되고, 모니터링 이미지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러므로, 촬영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동안(단계 35에서 "아니오"), 새로운 모니터링 이미지가 획득될 때(단계 36에서 "예")마다 디스플레이부(7)에 디스플레이될 모니터링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해 단계 33 및 34가 반복된다. 모니터링 이미지가 33 밀리초의 전형적인 주기로 획득되는 경우, 전송 속도는 30 fps이다.
사용자가 셔터 버튼(4)을 누름으로써 촬영을 수행한 때(단계 35에서 "예"), 처리는 모니터링을 위한 루프 처리로부터 촬영 후 처리로 진행한다. 이 처리에서, 정지 이미지(still image)의 이미지 데이터가 CCD(21)의 노출이 종료된 후에 로드된다(단계 37). 로드된 이미지 데이터는 JPEG로 압축되어 Exif 포맷의 파일을 생성하고, 이 파일이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단계 38).
이미지 데이터 파일을 기록할 때, 정지 이미지와 템플릿 이미지는 합성되지 않는다. 템플릿 이미지는 모니터링시에 중첩 디스플레이용으로만 사용되고, 정지 이미지의 이미지 파일용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비록 촬상 처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실행되지만, 단계 31 내지 38의 처리는 씨스루 촬영이 사용자에 의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다음에, "현촬영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에 의해 선택된 경우의 씨스루 촬영 처리를 도 5b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때, 모니터링 이미지의 데이터가 CCD(21)에 의해 RAM에 확립된 기록 영역(이하, 디스플레이 메모리 B라고 부른다)에 전송된다(단계 41). 다음에, 디스플레이 메모리 A의 템플릿 이미지 및 디스플레이 메모리 B의 모니터링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205)가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에, 촬영이 전혀 수행된 적이 없으면, 이미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A에 저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메모리 A의 모든 초기치는 투명으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중첩 디스플레이가 실행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모니터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203)만이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씨스루 촬영"이 실행중에 있음을 표시하는 아이콘(I)이 이미지(203)의 상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전술한 "기촬영 이미지"의 선택과 유사하게, 촬영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동안(단계 43에서 "아니오"), 새로운 모니터링 이미지가 획득될 때(단계 44에서 "예")마다 디스플레이부(7)에 디스플레이될 모니터링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해 단계 41 및 42가 반복된다.
사용자가 셔터 버튼(4)을 누름으로써 촬영을 수행한 때(단계 43에서 "예"), 처리는 모니터링을 위한 루프 처리로부터 촬영 후 처리로 진행한다. 이 처리에서, 노출 후의 정지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가 로드되고(단계 45), 이미지 데이터가 압축되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며, 이미지 파일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단계 46). 이 경우에 템플릿 이미지는 기록 대상으로 합성되지 않는다. 단계 46에서, 기촬영 이미지 데이터는 템플릿 이미지 메모리에 기록된다.
촬영이 종료된 후에, 모니터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 촬영에 의해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가 획득되고, 상기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로서 사용된다. 이어서, 템플릿 이미지와 모니터링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204)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된다. 이미지(20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이미지들은 모니터링 이미지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이미지들은 템플릿 이미지이다.
이미지들을 중첩하기 위해,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 메모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메모리 A로 전송되고(단계 47), 투명 화소가 디스플레이 메모리 A에 설정된다(단계 48). 그 후, 모니터링 이미지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메모리 B에 전송되고(단계 48), 템플릿 이미지와 모니터링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204)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50).
그 후, 사용자는 상기 템플릿 이미지를 이용하여 씨스루 촬영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모니터링 이미지와 템플릿 이미지가 중첩된 씨스루 촬영은 단계 43 내지 48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반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100)에서는 기촬영 이미지 또는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에 의한 템플릿 이미지를 모니터링 이미지와 쉽게 비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이미지가 동일한 각도로 연대순으로 촬영되고, 피사체 이미지가 연대순으로 쉽게 평가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동일 배경의 건물 위치에서 건축중인 건물의 진척을 촬영할 때, 건물은 배경 이미지용의 템플릿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동일 거리에서 동일한 각도로 연대순으로 촬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진척이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포밍 전의 건물과 리포밍 후의 건물을 동일한 각도로 촬영할 수 있고, 리포밍 전의 건물과 리포밍 후의 건물을 쉽게 비교할 수 있다.
"현촬영 이미지"를 템플릿 이미지로서 선택한 경우에는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므로, 피사체가 프레임에 채워지지 않은 것 또는 피사체의 눈이 감긴 것을 즉시 인식할 수 있다. 피사체는 템플릿 이미지와 모니터링 이미지를 비교하면서 동일한 각도에서 쉽게 재촬영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100)에서는 템플릿 이미지가 "현촬영 이미지" 및 "기촬영 이미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템플릿 이미지가 기촬영 이미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한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5b의 흐름도로 표시한 처리는 생략되고, 도 6의 선택 화면(102)의 디스플레이가 또한 생략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00)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현촬영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셔터 버튼(4)의 조작에 의해 씨스루 촬영이 수행된 직후에, 모드 전환 다이얼(5)의 조작에 의해 촬영 모드가 변경된 때, 씨스루 촬영은 해제되고 모니터링 이미지만이 디스플레이부(7)에 디스플레이된다. 전원이 꺼지면, 템플릿 이미지 메모리의 데이터는 삭제된다. 반면에, 전원이 꺼지지 않고 씨스루 촬영이 다시 선택되면,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대상의 템플릿 이미지로서 모니터링 이미지와 중첩된다.
씨스루 촬영을 실행할 때, 만일 확대 기능이 조작되면 각도가 변경된다. 이 때문에, 확대 기능의 조작시에는 씨스루 촬영 모드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대 기능이 해제된 때 씨스루 촬영 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촬상 장치(100)의 회전에 의해 촬영 각도가 변경된 경우에도, 템플릿 이미지는 회전 정보와 상관없이 정확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촬상 장치(100)를 정확한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동일한 각도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0)가 회전 중에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에도, 템플릿 이미자가 이미지 파일용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이전 촬영에서 "기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이 촬영에 의해 씨스루 촬영 모드로 전이할 때 템플릿 이미지 메모리가 체크될 수 있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디스플레이는 템플릿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가 삭제된 경우, 모드는 템플릿 이미지를 지정하지 않는 "현촬영 이미지"용의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촬상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촬상 장치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촬상 장치가 투명도 설정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로서의 CPU(28)가 투명도 설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투명도 설정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투명도 설정 유닛에 의한 투명도 설정 처리에 대하여 도 8의 흐름도 및 도 9의 천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투명도 설정 처리는 이 처리가 씨스루 촬영 처리 전에 실행되기만 한다면 템플릿 이미지 선택 처리 전 및 후에 실행될 수 있다.
촬영 설정 메뉴의 디스플레이가 메뉴 및 OK 버튼(9)의 조작에 의해 지시된 때, CPU(28)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부(7)에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촬영 설정 메뉴 화면(301)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61).
촬영 설정 메뉴 화면(301)에서 "투명도"(transparency)가 선택된 때(단계 62에서 "예"), 투명도 설정 유닛에 의한 투명도 설정 처리가 시작된다. 투명도 설정 처리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도의 아이템들이 촬영 설정 메뉴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투명도 설정 화면(302~305)이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커서를 촬영 설정 메뉴 화면(301)의 "투명도"에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우향 버튼(10d)을 조작하면, "투명도"가 선택된다. 반면에, 전술한 조작이 수행되지 않고 "투명도"가 선택되지 않으면(단계 62에서 "아니오"), 투명도 설정 처리가 종료된다.
사용자가 상향 버튼(10a) 및 하향 버튼(10b)을 조작함으로써 투명도가 전환될 수 있다. 투명도 설정 처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투명도 설정 화면(302~305)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투명도는 80%(투명도 설정 화면 302), 60%(투명도 설정 화면 303), 40%(투명도 설정 화면 304), 및 20%(투명도 설정 화면 305)와 같이 4개의 레벨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투명도 설정 화면(302~305) 중의 임의의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메뉴 및 OK 버튼(9)이 눌러지면 투명도가 결정된다. 투명도 설정 처리에 있어서, 결정된 투명도는 RAM에 확립된 기록 영역(이하, 투명도 메모리라고 부른다)에 전송되고, 투명도 설정 처리는 화면이 촬영 설정 메뉴 화면(301)으로 복귀한 후에 종료된다.
상기 투명도 설정 처리 후에, 씨스루 촬영 처리가 실행된 때,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씨스루 촬영 처리와 유사한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단계 32 및 단계 48에서 템플릿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메모리 A에 투명 화소를 설정할 때는 투명 메모리에 기록되고 투명도 설정 처리에 의해 설정된 투명도가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기촬영 이미지 또는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에 의한 템플릿 이미지는 모니터링 이미지와 쉽게 비교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이미지가 동일한 각도로 연대순으로 촬영되고, 피사체 이미지가 연대순으로 쉽게 평가될 수 있다. 투명도가 임의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 이미지가 쉽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씨스루 촬영은 촬영 환경, 피사체의 색 및 촬영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투명도를 선택함으로써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촬상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 따른 촬상 장치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촬상 장치가 템플릿 이미지와 모니터링 이미지의 중첩 디스플레이를 취소하는 취소 동작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형태 1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로서의 CPU(28)가 취소 동작 처리(취소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취소 동작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사용자가 셔터 버튼(4)을 반누름한 때, 취소 동작 유닛은 모니터링 이미지와 템플릿 이미지의 중첩 디스플레이를 취소한다. 셔터 버튼(4)의 반누름 조작은 오토 포커싱(AF)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취소 동작 처리는 셔터 버튼(4)이 반누름된 때 AF의 실행과 함께 실행된다.
도 10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씨스루 촬영 처리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에 따른 씨스루 촬영 처리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씨스루 촬영 처리가 단계 74 내지 76의 취소 동작 처리를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5a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씨스루 촬영 처리와 유사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처리와 유사한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기촬영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로서 선택되거나 또는 템플릿 이미지로서 프로그램에 미리 저장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에 따른 씨스루 촬영 처리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와 유사하게, 템플릿 이미지 데이터가 템플릿 이미지 메모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메모리 A로 전송되고(단계 71), 미리 결정된 투명 화소가 디스플레이 메모리 A에 설정된다(단계 72). 다음에, 모니터링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메모리 B에 전송된다(단계 73).
다음에, 셔터 버튼(4)이 반누름되지 않은 경우(단계 74에서 "아니오"), 디스플레이 메모리 A의 템플릿 이미지 및 디스플레이 메모리 B의 모니터링 이미지가 중첩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75). 상기 이미지는 중첩 씨스루 촬영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반면에, 셔터 버튼(4)이 반누름된 경우(단계 74에서 "예")에는 템플릿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취소되고 디스플레이 메모리 B의 모니터링 이미지만이 디스플레이부(7)에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76). 이것에 의해 중첩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는 중지되고 정상적인 모니터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후의 처리는 실시형태 1과 유사하다. 모니터링 이미지는 셔터 버튼(4)이 눌러질 때까지 갱신된다(단계 77 및 78). 셔터 버튼(4)을 누름으로써 촬영이 수행될 때, 노출 후의 정지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가 로드되고(단계 79), 로드된 이미지 데이터는 JPEG로 압축되어 Exif 포맷의 파일을 생성하며, 이 파일이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단계 80).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기촬영 이미지 또는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에 의한 템플릿 이미지는 모니터링 이미지와 쉽게 비교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가 동일한 각도로 연대순으로 촬영될 수 있고, 피사체 이미지가 연대순으로 쉽게 평가될 수 있다. 셔터 버튼(4)을 반누름함으로써 중첩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취소되고 모니터링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커싱이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실시형태 3에서는 "기촬영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로서 선택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다. 그러나, 실시형태 3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는 "기촬영 이미지" 및 "현촬영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시형태 1에서의 처리와 유사한 처리에 의해, "기촬영 이미지" 및 "현촬영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기촬영 이미지"가 선택된 때의 씨스루 촬영 처리의 기본적인 처리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씨스루 촬영 처리가 취소 동작 처리를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5b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실시형태 1의 씨스루 촬영 처리와 동일하다.
또한, 실시형태 3에 따른 촬상 장치에는 투명도 설정 유닛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3에 따른 촬상 장치는 투명도 설정 유닛에 의한 투명도 설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촬영 이미지와 모니터링 중인 피사체 이미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를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각종 실시형태에 대하여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12)

  1.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미리 결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기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모니터링 중인 피사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모니터링 중인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중첩시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촬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선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투명도를 변경한 후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투명도를 설정하는 투명도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한,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취소하는 취소 유닛을 더 포함한,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인, 촬상 장치.
  7.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미리 결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모니터링 중인 피사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촬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모니터링 중인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중첩시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촬상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선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투명도를 변경한 후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촬상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투명도를 설정하는 투명도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한, 촬상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취소하는 취소 단계를 더 포함한, 촬상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이전의 기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인, 촬상 방법.
KR1020150118048A 2014-08-22 2015-08-2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20160023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9658 2014-08-22
JP2014169658A JP2016046676A (ja) 2014-08-22 2014-08-22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613A true KR20160023613A (ko) 2016-03-03

Family

ID=5393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048A KR20160023613A (ko) 2014-08-22 2015-08-2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62371B2 (ko)
EP (1) EP2988489A1 (ko)
JP (1) JP2016046676A (ko)
KR (1) KR20160023613A (ko)
RU (1) RU263133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3286B1 (en) * 2016-12-27 2021-08-18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924660B2 (en) * 2018-03-28 2021-02-16 Candice D. Lusk Augmented reality markers in digital photography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6601A (ja) 1985-04-10 1986-10-21 Hitachi Ltd 燃料電池システム用の水蒸気改質装置
JP3439804B2 (ja) 1993-01-28 2003-08-25 株式会社リコー テレライティング端末装置
JPH08298656A (ja) 1995-02-28 1996-11-12 Ricoh Co Ltd テレ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
JP3733392B2 (ja) 1996-03-05 2006-01-11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画像の構図変化検出方法
EP0935878B1 (en) 1997-09-03 2011-09-28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still camera having photographed image reproducing function
JP4238053B2 (ja) 2002-03-22 2009-03-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及び画像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WO2003088650A1 (fr) 2002-04-17 2003-10-23 Seiko Epson Corporation Camera numerique
JP3630147B2 (ja) * 2002-05-14 2005-03-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被写体の撮影方法及びカメラ装置
JP4105010B2 (ja) 2002-09-11 2008-06-1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画像データ送信方法並びに画像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2004193981A (ja) 2002-12-11 2004-07-08 Canon Inc 撮像装置
JP2005039465A (ja) 2003-07-18 2005-02-10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5215495A (ja) 2004-01-30 2005-08-11 Ricoh Co Ltd 画像撮影装置
US7656429B2 (en) * 2004-02-04 2010-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in creating still panoramas and composite photographs
US7880769B2 (en) 2004-02-13 2011-02-01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image stabilization
JP2005341416A (ja) 2004-05-28 2005-12-08 Toshiba Corp 撮像機能付き電子機器およびその画像表示方法
JP4059241B2 (ja) 2004-10-29 2008-03-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被写体の撮影方法及びカメラ装置
US7782384B2 (en) * 2004-11-05 2010-08-24 Kelly Douglas J Digital camera having system for digital image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
JP3833238B1 (ja) 2005-03-03 2006-10-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印刷制御装置及び画像印刷制御方法
JP4933156B2 (ja) 2005-07-29 2012-05-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撮影装置
JP4694421B2 (ja) 2005-07-29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転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転送方法
US20080088718A1 (en) * 2006-10-17 2008-04-17 Cazier Robert P Template Creator For Digital Cameras
US20090015702A1 (en) 2007-07-11 2009-01-15 Sony Ericsson Communicatins Ab Enhanced image capturing functionality
TWI366148B (en) * 2007-12-21 2012-06-11 Asia Optical Co Inc A method of image data processing
JP5186984B2 (ja) 2008-04-08 2013-04-2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KR20100065857A (ko) 2008-12-09 201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식별 시스템
KR101618759B1 (ko) * 2008-12-24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5418194B2 (ja) 2009-06-04 2014-02-19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システム
JP2011120205A (ja) 2009-11-09 2011-06-16 Ricoh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5561019B2 (ja) 2010-08-23 2014-07-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方法
JP4763847B1 (ja) * 2010-08-30 2011-08-31 楽天株式会社 画像変換装置、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画像処理システム
KR101748664B1 (ko) 2010-12-13 2017-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JP5652652B2 (ja) 2010-12-27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5912441B2 (ja) * 2011-11-15 2016-04-27 任天堂株式会社 撮影プログラム、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5880263B2 (ja) * 2012-05-02 2016-03-0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026717B1 (ko) * 2013-02-08 2019-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8489A1 (en) 2016-02-24
US10462371B2 (en) 2019-10-29
US20160057357A1 (en) 2016-02-25
RU2631331C2 (ru) 2017-09-21
JP2016046676A (ja) 2016-04-04
RU2015135531A (ru)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195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4135100B2 (ja) 撮影装置
JP4730553B2 (ja) 撮影装置及び露出制御方法
WO2015045144A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3778163B2 (ja) 撮像装置
JP201412084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3013050A (ja) 撮像装置及びこの撮像装置を用いた表示方法
JP2012227839A (ja) 撮像装置
JP2008219428A (ja) 撮像装置
JP2015122670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607260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82485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201710830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9048136A (ja) 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JP200810948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JP2006042399A (ja) 撮像装置
KR101839473B1 (ko) 비교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JP2007235640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5942260B2 (ja)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
US10462371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for comparing a template image with a monitoring image
JP562945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017198A (ja) 光源色算出装置、光源色算出方法及び撮影装置
JP2016122939A (ja) 撮像装置
JP3826885B2 (ja) 電子カメラ
JP622546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