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745A -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745A
KR20160013745A KR1020140095979A KR20140095979A KR20160013745A KR 20160013745 A KR20160013745 A KR 20160013745A KR 1020140095979 A KR1020140095979 A KR 1020140095979A KR 20140095979 A KR20140095979 A KR 20140095979A KR 20160013745 A KR20160013745 A KR 20160013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ceramic body
electrodes
inter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485B1 (ko
Inventor
안영규
김영기
이병화
박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485B1/ko
Priority to JP2014210855A priority patent/JP6233887B2/ja
Priority to US14/526,473 priority patent/US9472343B2/en
Publication of KR2016001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01G2/065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for surface mounting, e.g. chip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유전체층이 폭 방향으로 적층된 세라믹 본체;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3 및 제4 외부 전극; 상기 세라믹 본체 내에서,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액티브층; 상기 세라믹 본체 내에서,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액티브층; 및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외부 전극을 연결하는 단속부; 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AND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 Multi-Layered Ceramic Capacitor) 및 그 실장 기판에 관한 것이다.
적층 칩 전자 부품의 하나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기기, 컴퓨터,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및 휴대폰 등 여러 전자 제품의 기판에 장착되어 전기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칩 형태의 콘덴서이다.
이러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는 소형이면서 고용량이 보장되고 실장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전자 장치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는 내부 단락 또는 전기적 과부하에 의해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와 연결된 나머지 회로에 과전류가 전달되면서 상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와 연결된 제품 전체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3-502746호 일본공개특허 제2003-7568호
당 기술 분야에서는, ESR 값을 높이더라도 ESL 값의 증가는 최소화되도록 하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에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 회로를 오픈시켜 상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과전류가 연결된 제품 전체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유전체층이 폭 방향으로 적층된 세라믹 본체;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3 및 제4 외부 전극; 상기 세라믹 본체 내에서,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액티브층; 상기 세라믹 본체 내에서,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액티브층;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층의 양 측면과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층 사이에 배치된 커버층; 및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외부 전극을 연결하는 단속부; 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세라믹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 전극은 제1 용량부와, 상기 제1 용량부에서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2 용량부와, 상기 제2 용량부에서 상기 제3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2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 전극은 제3 용량부와, 상기 제3 용량부에서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3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제3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4 용량부와, 상기 제4 용량부에서 상기 제4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길이-두께 단면에서 대각선 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길이-두께 단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의 리드부와 교차하는 대각선 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 전극은 제1 용량부와, 상기 제1 용량부에서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2 용량부와, 상기 제2 용량부에서 상기 제3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2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 전극은 제3 용량부와, 상기 제3 용량부에서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3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제3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4 용량부와, 상기 제4 용량부에서 상기 제4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속부는 휴즈(fuse)이거나, 저항 패턴(resistive patter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양 단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 또는 실장 반대 면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양 측면의 일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부에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인접한 외부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단속부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에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속부가 단락되면서 회로를 오픈 상태로 만들어 과전류가 상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와 연결된 나머지 회로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 전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1 내지 제4 내부 전극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1 및 제2 액티브층을 구분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1 내지 제4 내부 전극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도면에서 나타난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육면체의 방향을 정의하면, 도면 상에 표시된 L, W 및 T는 각각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1 내지 제4 내부 전극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는 수직 실장형 구조로서, 세라믹 본체(110), 세라믹 본체(110)의 실장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 세라믹 본체(110)의 실장 반대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3 및 제4 외부 전극(133, 134),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을 포함하는 제1 액티브층(A), 복수의 제3 및 제4 내부 전극(123, 124)을 포함하는 제2 액티브층(B), 제1 및 제2 액티브층(A, B)의 양 측면과 제1 및 제2 액티브층(A, B) 사이에 각각 배치된 커버층(112, 113, 114) 및 단속부(141)를 포함한다.
세라믹 본체(110)는 복수의 유전체층(111, 112, 113, 114)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다음 소성하여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세라믹 본체(110)의 형상, 치수 및 유전체층(111, 112, 113, 114)의 적층 수가 본 실시 형태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세라믹 본체(110)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전체층(111, 112, 113, 114)은 소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인접하는 유전체층(111, 112, 113, 114) 사이의 경계는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를 이용하지 않고 확인하기 곤란할 정도로 일체화될 수 있다.
세라믹 본체(1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세라믹 본체(110)의 서로 마주보는 두께 방향의 면을 제1 및 제2 주면(1, 2)으로, 제1 및 제2 주면(1, 2)을 연결하며 서로 마주보는 길이 방향의 면을 제1 및 제2 단면(3, 4)으로,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의 면을 제1 및 제2 측면(5, 6)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의 실장 면은 세라믹 본체(110)의 제1 주면(1)으로 함께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1 및 제2 액티브층을 구분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라믹 본체(110)는 제1 및 제2 액티브층(A, B)과 커버층(112, 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액티브층(A, B)는 도 2의 가상 분리선(C)를 기준으로 세라믹 본체(구분될 수 있다.
제1 액티브층(A)은 커패시터의 용량 형성에 기여하는 부분으로서 세라믹 본체(110) 중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이 적층된 부분이다.
제2 액티브층(B)은 커패시터의 용량 형성에 기여하는 부분으로서 세라믹 본체(110) 중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3, 124)이 적층된 부분이다.
커버층(112, 113, 114)은 내부 전극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층(A, B)의 유전체층(111)과 동일한 재질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층(112, 113, 114)은 단일 유전체층 또는 2 개 이상의 유전체층을 제1 액티브층(A)의 제1 측면(6), 제2 액티브층(B)의 제2 측면(5), 제1 및 제2 액티브층(A, B) 사이에 각각 폭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층(112, 113, 114)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스트레스에 의해 제1 내지 제4 내부 전극(121-12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전체층(111, 112, 113, 114)은 고유전률의 세라믹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층(111, 112, 113, 114)은 티탄산바륨(BaTiO3)계 세라믹 분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충분한 정전 용량을 얻을 수 있는 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전체층(111, 112, 113, 114)에는 상기 세라믹 재료와 함께, 필요시 세라믹 첨가제, 유기용제, 가소제, 결합제 및 분산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 첨가제는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탄화물, 희토류 원소, 마그네슘(Mg) 또는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으로서, 세라믹 본체(110)의 제1 액티브층(A)에서 유전체층(111)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은 중간에 배치된 유전체층(111)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은 세라믹 본체(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 세라믹 본체(110)의 실장 면인 제1 주면(1)과 실장 반대 면인 제2 주면(2)을 통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제1 내부 전극(121)은 제2 내부 전극(122)과 서로 오버랩되며 용량을 형성하는 제1 용량부(121a)와, 세라믹 본체(110)의 제1 주면(1)을 통해 인출되도록 제1 용량부(121a)에서 제1 주면(1)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리드부(121b)를 포함한다.
제2 내부 전극(122)은 제1 내부 전극(121)의 제1 용량부(121a)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되며 용량을 형성하는 제2 용량부(122a)와,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주면(2)을 통해 인출되도록 제2 용량부(122a)에서 제2 주면(2)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 리드부(122b)를 포함한다.
이때,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의 제1 액티브층(A)의 정전 용량은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오버랩된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의 오버랩 면적과 비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은 유전체층(111)을 형성하는 세라믹 시트 상의 적어도 일면에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의 도전성 금속은, 예를 들어, 은(Ag), 팔라듐(Pd), 백금(Pt), 니켈(Ni) 및 구리(Cu)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 인쇄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및 제4 내부 전극(123, 124)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으로서,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액티브층(B)에서 유전체층(111)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제3 및 제4 내부 전극(123, 124)은 중간에 배치된 유전체층(111)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내부 전극(123, 124)은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채 세라믹 본체(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 세라믹 본체(110)의 실장 면인 제1 주면(1)과 실장 반대 면인 제2 주면(2)을 통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제3 내부 전극(123)은 제4 내부 전극(122)과 서로 오버랩되며 용량을 형성하는 제3 용량부(123a)와, 세라믹 본체(110)의 제1 주면(1)을 통해 인출되도록 제3 용량부(123a)에서 제1 주면(1)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3 리드부(121b)를 포함한다.
제4 내부 전극(124)은 제3 내부 전극(123)의 제3 용량부(123a)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되며 용량을 형성하는 제4 용량부(124a)와,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주면(2)을 통해 인출되도록 제4 용량부(124a)에서 제2 주면(2)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리드부(124b)를 포함한다.
이때,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의 제2 액티브층(B)의 정전 용량은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오버랩된 제3 및 제4 내부 전극(123, 124)의 오버랩 면적과 비례하게 된다.
또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의 총 정전 용량은 (제1 액티브층(A)의 정전용량ⅹ제2 액티브층(B)의 정전 용량)/(제1 액티브층(A)의 정전용량+제2 액티브층(B)의 정전 용량)이 된다.
이러한 제3 및 제4 내부 전극(123, 124)은 유전체층(111)을 형성하는 세라믹 시트 상의 적어도 일면에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의 도전성 금속은, 예를 들어, 은(Ag), 팔라듐(Pd), 백금(Pt), 니켈(Ni) 및 구리(Cu)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 인쇄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은 세라믹 본체(110)의 제1 주면(1)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1 외부 전극(131)은 제1 내부 전극(121)의 제1 리드부(121b)와 연결되고, 제2 외부 전극(132)은 제3 내부 전극(123)의 제3 리드부(123b)와 연결된다.
제3 및 제4 외부 전극(133, 134)은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주면(2)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3 외부 전극(133)은 제2 내부 전극(122)의 제2 리드부(122b)와 연결되고, 제4 외부 전극(134)은 제4 내부 전극(124)의 제4 리드부(124b)와 연결된다.
이때,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은 고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세라믹 본체(110)의 제1 주면(1)에서 세라믹 본체(110)의 제1 및 제2 측면(5, 6)의 일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외부 전극(133, 134)은 고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주면(2)에서 세라믹 본체(110)의 제1 및 제2 측면(5, 6)의 일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극 구조를 갖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3) 간의 길이와, 제3 및 제4 외부 전극(131, 133) 간의 길이가 작기 때문에 전류 패스가 작아지고, 이로 인하여 전류 루프가 감소하여 ESL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액티브층(A)과 제2 액티브층(B)이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131-134)를 통해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둘 중 1개의 액티브층에서 쇼트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1개의 액티브층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131-134)은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금속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니켈(Ni), 구리(Cu), 주석(Sn)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는 절연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성 물질은 글라스(glass)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131-134)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세라믹 본체(110)를 도전성 페이스트에 디핑(dipping)하여 형성하거나, 도금하는 등의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131-134) 상에 전기 도금 등의 방법으로 도금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은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131-134) 상에 형성된 니켈(Ni) 도금층과, 상기 니켈 도금층 상에 형성된 주석(Sn) 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은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를 기판 등에 솔더로 실장할 때 상호 간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단속부(141)는 세라믹 본체(110)의 실장 반대 면인 제2 주면(2)에 형성되며,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주면(2)에서 제3 외부 전극(133)과 제4 외부 전극(134)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속부(141)는 내부 단락 또는 전기적 과부하 등에 의해 쇼트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단락 되어 회로를 오픈 시키고, 이에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에 발생된 과전류가 이와 연결된 나머지 회로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 제품 전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단속부(141)는 휴즈(fuse) 또는 저항 패턴(resistive patter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단속부(141)로 휴즈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 휴즈는 과전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휴즈는 일정 수준 이상의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발열하여 끊어질 수 있는 정도의 저항 값을 가져야 하며, 예컨대 상기 휴즈의 저항 값은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기준 값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단속부(141)로 저항 패턴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 저항 패턴으로는 저항, 배리스터 및 서미스터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항 패턴은 예컨대 방사 노이즈 방지 또는 특정 주파수에서의 전압 변동 감소를 위해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ESR이 높은 값을 요구하는 경우 ESR 값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 패턴의 저항 값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수백mΩ에서 수Ω정도로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에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경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와 연결된 나머지 회로에 과전류가 전달되면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와(100) 연결된 제품 전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내부 전극(121)의 제1 리드부(121b)와 연결된 제1 외부 전극(131)은 양극이고, 제3 내부 전극(123)의 제3 리드부(123b)와 연결된 제2 외부 전극(132)은 음극이다.
전원을 인가하면 전류 패스(current path)는 양극인 제1 외부 전극(131)에서 제1 액티브층(A)의 제1 내부 전극(121) 및 제2 내부 전극(122)을 통해 제3 외부 전극(133)으로 이동하고 단속부(141)를 통해 제2 액티브층(B)으로 이동하여 제2 액티브층(B)의 제3 내부 전극(123) 및 제4 내부 전극(124)을 통해 음극인 제2 외부 전극(132)로 이동하여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류 패스가 길어지고 전류가 폭이 좁은 저항을 통과하게 되므로 ESL이 상승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주면(2)에 제3 및 제4 외부 전극(131, 133)을 연결하는 단속부(141)를 적용함으로써,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에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속부(141)가 단락 되면서 회로를 오픈 상태로 만들어 과전류가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와 연결된 나머지 회로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와 연결된 제품 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에서 쇼트가 발생한 경우 제품 전체에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만 교체하여 수리한 후 재사용할 수 있다.
변형 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1 내지 제4 내부 전극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일 실시 형태와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조를 갖는 리드부와 외부 전극 간의 연결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5, 126)은 세라믹 본체(110)의 길이-두께 단면에서 대각선 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세라믹 본체(110)의 실장 면인 제1 주면(1)과 실장 반대 면인 제2 주면(2)을 통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제1 내부 전극(125)은 제2 내부 전극(126)과 서로 오버랩되며 용량을 형성하는 제1 용량부(125a)와, 세라믹 본체(110)의 제1 주면(1)을 통해 인출되며 제2 외부 전극(132)과 연결되도록 제1 용량부(125a)에서 제1 주면(1)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리드부(125b)를 포함한다.
제2 내부 전극(126)은 제1 내부 전극(125)의 제1 용량부(125a)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되며 용량을 형성하는 제2 용량부(126a)와,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주면(2)을 통해 인출되며 제3 외부 전극(133)과 연결되도록 제2 용량부(126a)에서 제2 주면(2)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 리드부(126b)를 포함한다.
제3 및 제4 내부 전극(127, 128)은 세라믹 본체(110)의 길이-두께 단면에서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5, 126)의 제1 및 제2 리드부(125a, 126a)와 서로 교차하는 대각선 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세라믹 본체(110)의 실장 면인 제1 주면(1)과 실장 반대 면인 제2 주면(2)을 통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제3 내부 전극(127)은 제4 내부 전극(128)과 서로 오버랩되며 용량을 형성하는 제3 용량부(127a)와, 세라믹 본체(110)의 제1 주면(1)을 통해 인출되며 제1 외부 전극(131)과 연결되도록 제3 용량부(127a)에서 제1 주면(1)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3 리드부(127b)를 포함한다.
제4 내부 전극(128)은 제3 내부 전극(127)의 제3 용량부(127a)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되며 용량을 형성하는 제4 용량부(128a)와, 세라믹 본체(110)의 제2 주면(2)을 통해 인출되며 제4 외부 전극(134)과 연결되도록 제4 용량부(128a)에서 제2 주면(2)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리드부(128b)를 포함한다.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의 실장 기판(200)은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가 수평하게 실장되는 기판(210)과, 기판(210)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221, 222)를 포함한다.
이때,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100)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이 기판(210) 쪽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외부 전극(313, 132)이 각각 제1 및 제2 전극 패드(221, 222) 위에 접촉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솔더(231, 232)에 의해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110 ; 세라믹 본체
111 ; 유전체층 112, 113, 114 ; 커버층
121, 125 ; 제1 내부 전극 122, 126 ; 제2 내부 전극
123, 127 ; 제3 내부 전극 124, 127 ; 제4 내부 전극
131 ; 제1 외부 전극 132 ; 제2 외부 전극
133 ; 제3 외부 전극 134 ; 제4 외부 전극
141 ; 단속부 200 ; 실장 기판
210 ; 기판 221, 222 ; 제1 및 제2 전극 패드
231, 232 ; 솔더

Claims (18)

  1. 복수의 유전체층이 폭 방향으로 적층된 세라믹 본체;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3 및 제4 외부 전극;
    상기 세라믹 본체 내에서,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액티브층;
    상기 세라믹 본체 내에서,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액티브층; 및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외부 전극을 연결하는 단속부; 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선상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세라믹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선상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 전극은 제1 용량부와, 상기 제1 용량부에서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2 용량부와, 상기 제2 용량부에서 상기 제3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2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 전극은 제3 용량부와, 상기 제3 용량부에서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3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제3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4 용량부와, 상기 제4 용량부에서 상기 제4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길이-두께 단면에서 대각선 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길이-두께 단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의 리드부와 교차하는 대각선 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 전극은 제1 용량부와, 상기 제1 용량부에서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2 용량부와, 상기 제2 용량부에서 상기 제3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2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 전극은 제3 용량부와, 상기 제3 용량부에서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3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제3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4 용량부와, 상기 제4 용량부에서 상기 제4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휴즈(fu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저항 패턴(resistive patter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양 단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 또는 실장 반대 면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양 측면의 일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10. 상부에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폭 방향으로 적층된 세라믹 본체;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3 및 제4 외부 전극;
    상기 세라믹 본체 내에서,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액티브층;
    상기 세라믹 본체 내에서,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액티브층; 및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반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외부 전극을 연결하는 단속부; 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선상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세라믹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선상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 전극은 제1 용량부와, 상기 제1 용량부에서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2 용량부와, 상기 제2 용량부에서 상기 제3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2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 전극은 제3 용량부와, 상기 제3 용량부에서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3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제3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4 용량부와, 상기 제4 용량부에서 상기 제4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길이-두께 단면에서 대각선 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길이-두께 단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의 리드부와 교차하는 대각선 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과 실장 반대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된 리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및 제4 외부 전극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 전극은 제1 용량부와, 상기 제1 용량부에서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전극은 상기 제1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2 용량부와, 상기 제2 용량부에서 상기 제3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2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내부 전극은 제3 용량부와, 상기 제3 용량부에서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3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제3 용량부와 폭 방향으로 오버랩된 제4 용량부와, 상기 제4 용량부에서 상기 제4 외부 전극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휴즈(fu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저항 패턴(resistive patter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내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양 단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외부 전극은 상기 세라믹 본체의 실장 면 또는 실장 반대 면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의 양 측면의 일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KR1020140095979A 2014-07-28 2014-07-28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16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79A KR102016485B1 (ko) 2014-07-28 2014-07-28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JP2014210855A JP6233887B2 (ja) 2014-07-28 2014-10-15 積層セラミックキャパシタ及びその実装基板
US14/526,473 US9472343B2 (en) 2014-07-28 2014-10-28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board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79A KR102016485B1 (ko) 2014-07-28 2014-07-28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745A true KR20160013745A (ko) 2016-02-05
KR102016485B1 KR102016485B1 (ko) 2019-09-02

Family

ID=5516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979A KR102016485B1 (ko) 2014-07-28 2014-07-28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2343B2 (ko)
JP (1) JP6233887B2 (ko)
KR (1) KR102016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328A (ko) * 2017-09-08 2019-03-1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4235B2 (ja) * 2015-01-29 2020-05-1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KR101824904B1 (ko) * 2015-04-01 2018-02-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콘덴서 소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복합 전자부품
CN117133545A (zh) * 2017-05-15 2023-11-28 京瓷Avx元器件公司 多层电容器和包括其的电路板
JP2020526041A (ja) 2017-06-29 2020-08-27 エイブイエ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表面実装積層結合コンデンサ、およびそれを含む回路板
DE112020000817T5 (de) 2019-02-13 2021-10-28 Avx Corporation Mehrschichtiger Keramikkondensator mit leitfähigen Durchkontakten
KR20190116145A (ko) * 2019-08-02 2019-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JP2021190534A (ja) * 2020-05-28 2021-12-1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2510A (ja) * 1988-10-12 1990-04-16 Toko Inc 積層インダクタとその調整方法
JPH02184008A (ja) * 1989-01-10 1990-07-18 Murata Mfg Co Ltd ヒューズ付積層コンデンサ
JP2003007568A (ja) 2001-06-25 2003-01-10 Nec Tokin Ceramics Corp ヒューズ機能付き積層セラミック部品
JP2007250973A (ja) * 2006-03-17 2007-09-27 Taiyo Yuden Co Ltd デカップリングデバイス
JP2013502746A (ja) 2009-08-24 2013-01-24 ケメット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外部ヒューズ付きの抵抗装荷安全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767A (en) * 1986-09-22 1988-01-19 Avx Corporation Internally fused variable value ceramic capacitor and circuit
JP2792012B2 (ja) * 1990-03-07 1998-08-27 マルコン電子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82357A (ja) * 2002-03-27 2003-10-03 Kyocera Corp コンデンサアレイ
US7152291B2 (en) * 2002-04-15 2006-12-26 Avx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plated terminations
US6587327B1 (en) * 2002-05-17 2003-07-01 Daniel Devoe Integrated broadband ceramic capacitor array
JP3833145B2 (ja) * 2002-06-11 2006-10-11 Tdk株式会社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KR100470114B1 (ko) * 2002-08-29 2005-02-05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저항-커패시터 복합 칩 및 그 제조 방법
US6950300B2 (en) * 2003-05-06 2005-09-27 Marvell World Trade Ltd. Ultra low inductance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TWI270195B (en) * 2003-07-30 2007-01-01 Innochips Technology Complex laminated chip element
US7164573B1 (en) * 2005-08-31 2007-01-16 Kemet Electronic Corporation High ESR or fused ceramic chip capacitor
US7961453B2 (en) * 2007-01-09 2011-06-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hip capacitor
KR100925603B1 (ko) * 2007-09-28 2009-1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KR100916476B1 (ko) * 2007-11-30 2009-09-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이를 구비한 회로기판 장치
JP4502006B2 (ja) * 2007-12-28 2010-07-14 Tdk株式会社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KR100992311B1 (ko) * 2008-08-13 2010-1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이를 구비한 회로기판 장치
JP4905498B2 (ja) * 2009-04-22 2012-03-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5152278B2 (ja) * 2010-08-31 2013-02-27 Tdk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積層電子部品
JP5218545B2 (ja) * 2010-12-24 2013-06-26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WO2012132684A1 (ja) * 2011-03-28 2012-10-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US9171672B2 (en) * 2011-06-27 2015-10-27 Kemet Electronics Corporation Stacked leaded array
JP5917939B2 (ja) * 2012-02-21 2016-05-18 双信電機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
KR102061504B1 (ko) * 2013-04-22 2020-0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994712B1 (ko) * 2013-04-22 2019-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994713B1 (ko) * 2013-04-22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83993B1 (ko) * 2013-10-31 2020-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499724B1 (ko) * 2013-11-08 2015-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499725B1 (ko) * 2013-11-08 2015-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548814B1 (ko) * 2013-11-08 2015-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89693B1 (ko) * 2014-05-07 2020-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101630040B1 (ko) * 2014-05-28 2016-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기판
KR102097323B1 (ko) * 2014-08-14 2020-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97325B1 (ko) * 2014-09-23 2020-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37268B1 (ko) * 2014-10-15 2019-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41649B1 (ko) * 2014-10-22 2019-1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2510A (ja) * 1988-10-12 1990-04-16 Toko Inc 積層インダクタとその調整方法
JPH02184008A (ja) * 1989-01-10 1990-07-18 Murata Mfg Co Ltd ヒューズ付積層コンデンサ
JP2003007568A (ja) 2001-06-25 2003-01-10 Nec Tokin Ceramics Corp ヒューズ機能付き積層セラミック部品
JP2007250973A (ja) * 2006-03-17 2007-09-27 Taiyo Yuden Co Ltd デカップリングデバイス
JP2013502746A (ja) 2009-08-24 2013-01-24 ケメット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外部ヒューズ付きの抵抗装荷安全コンデ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328A (ko) * 2017-09-08 2019-03-1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32092A (ja) 2016-03-07
JP6233887B2 (ja) 2017-11-22
KR102016485B1 (ko) 2019-09-02
US20160027582A1 (en) 2016-01-28
US9472343B2 (en)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558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102016485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89693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US8891226B2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61504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994717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20180012629A (ko)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20150033341A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7324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20140143321A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US9627131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an intermitting part
KR102097325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994711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37268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20190023594A (ko)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630034B1 (ko) 내장형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내장형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가 실장된 회로 기판
KR20230100880A (ko)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