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818A -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 - Google Patents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818A
KR20160012818A KR1020140095028A KR20140095028A KR20160012818A KR 20160012818 A KR20160012818 A KR 20160012818A KR 1020140095028 A KR1020140095028 A KR 1020140095028A KR 20140095028 A KR20140095028 A KR 20140095028A KR 20160012818 A KR20160012818 A KR 20160012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transfer
image
transfe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나
신용철
김동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프린팅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프린팅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프린팅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9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818A/ko
Publication of KR2016001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sublimation or volatilisation of pre-printed design, e.g. subl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필름의 일면에 수산기가가 20mgKOH/g 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8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층이 포함된 재전사층을 형성함으로서, 최종 인쇄물의 내알코올성을 개선한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RETRANSFER FILM FOR SUBLIMAT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본 발명은 내용제성, 특히 내알코올성이 우수한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급속한 시장 확대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사진 출력 산업분야가 크게 성장하였고, 천연색에 가까운 고해상도의 사진을 얻기 위하여 디지털 사진의 출력 기술도 나날이 발전하였다. 초기 디지털 사진을 출력하는 기술 중 하나인 용융형 열전사법은 팩시밀리, 라벨인쇄 등에 사용되었으나, 색 계조 표현성이 낮아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쇄시 소음이 없고, 인쇄 신뢰성이 뛰어나며, 고해상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염료 승화형 열전사법이 개발되었고, 최근 디지털 사진출력 시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염료 승화형 열전사법에 사용되는 승화형 열전사 기록매체는 잉크 리본과 염료 수용지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잉크리본은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열 이행성을 지닌 염료가 바인더 수지 내에 용해된 염료층이 도포되어 있으며, 그 반대면에는 인쇄 시 열전사 헤드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기재필름이 융착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기재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내열윤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염료 승화형 열전사 기록방식은 상기 잉크리본에 써멀헤드 등의 가열수단으로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에너지를 인가하여, 잉크리본으로부터 전이되는 염료를 수용할 수 있는 성질을 지닌 염료수용지의 표면에, 염료만을 전이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승화형 열전사 기록방식은 인가되는 에너지의 양에 따라 염료의 전이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써멀헤드의 돗트마다 화상농도를 제어하여 계조화상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하는 색재가 염료이므로, 형성되는 화상에 투명성이 있어 서로 다른 색의 염료를 중첩시켜 중간색을 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등의 다양한 색상의 열전사 리본을 이용하여 염료 수용지 위에 각 색상의 염료를 중첩시켜 전이시키는 경우에는, 중간색의 재현성이 우수한 고화질의 풀칼라 이미지의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승화형 잉크리본은 적용하는 제품 및 용도에 따라 1종 이상의 승화성 염료층이 기재필름 상에 면순차 방식으로 도포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승화형 염료층 이외에 문자나 부호를 인쇄하기 위한 열 용융형 잉크층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염료 승화형 열전사 기록 방식은 사진과 같이 연속적인 농도 변화가 있는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최적의 인쇄방법으로서, 사진 등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 카드 등의 발급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신분 카드를 제작하는 방식은 직접 인쇄방식과 재전사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직접 인쇄방식은 승화형 잉크 리본으로부터 전이되는 염료를 수용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PVC 등으로 제조된 카드 표면에 직접 인쇄하는 방식이다.
상기 직접 인쇄방식은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의 재질이 PVC나 폴리에스테르 계열로 한정되며, 기타 ABS나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의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수한 인쇄 품질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에 재전사 방식은 기재필름과 재전사층으로 이루어진 재전사 필름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재전사층에 승화형 잉크 리본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전사시킨 후, 이미지가 형성된 재전사층을 최종 피기록재인 카드 위로 다시 전사시켜 신분 카드 등을 제조한다.
상기 재전사 방식의 승화형 열전사 기록방식 원리는 미국특허 제4,923,848호, 미국특허 제5,354,401호 및 유럽특허 제0,404,948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재전사 방식에 의해 인쇄된 최종 인쇄물은 장기간 사용 및 보관이 필요한 신분 카드나 사진의 인쇄에 사용되므로 최종 인쇄물의 내구성이 약한 경우, 인쇄물의 내용이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변질되거나 제거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종 인쇄물의 내구성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특히 최종 인쇄물의 내알코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에서 재전사층의 물성을 조절하여 내알코올성이 개선된 승화 열전사 인쇄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필름의 일면에 수산기가가 20mgKOH/g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8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수상층을 포함하는 재전사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재전사층은 박리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상층은 박리층 상에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전사층은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박리층 상에 보호층, 및 보호층 상에 상기 수상층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두께가 (건조 상태 기준) 0.2 내지 2.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염화비닐리덴 수지 및 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상층은 수산기가가 10mgKOH/g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상층의 두께는 (건조 상태 기준) 0.2 내지 1.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상층은 실리콘계 이형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배면층, 상기 기재필름과 박리층 사이에 형성되는 박리성 조절층 및 상기 수상층 상에 형성되는 이형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전사 필름은 내용제성, 특히 내알코올성이 우수하므로 최종 인쇄물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인쇄물의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전사 필름은 피기록재로 이미지를 용이하게 재전사할 수 있어, 최종 인쇄물의 우수한 인쇄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전사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재전사 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재전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알코올성이 개선된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전사 필름의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전사 필름은 기본적으로 기재필름(10)과, 상기 기재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된 박리층(21) 및 수상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전사층(20)이 적층된 구조를 지닌다.
이 때, 상기 박리층(21) 및 수상층(22)은 재전사 필름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지닌다.
우선, 상기 재전사층(20)은 재전사 단계에서 상기 기재필름(10)으로부터 분리되어 최종 피기록재로 전사되는 층으로, 상기 박리층(21)과 박리층(21) 상에 적층된 층들을 합쳐서 재전사층(20)이라 일컫는다.
상기 재전사층(20)과 함께 재전사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기재필름(10)은 재전사층(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승화 열전사 인쇄 단계 및 재전사 단계에서 가해지는 열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열적, 기계적 안정성 및 평활성이 요구된다.
이 때, 상기 기재필름(10)의 종류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선택된 기재필름(10)의 내열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박리층(21)과 수상층(22)이 도포된 다른 일면에 내열층을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의 두께는 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상기 승화 열전사 인쇄 단계 및 재전사 단계에서 재전사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두께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재전사 단계에서 열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가열 롤이나 써멀프린팅 헤드 등의 이미지 전사장치를 이용하여 매우 높은 온도로 가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기재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재전사층(20) 중, 박리층(21)은 최종 인쇄물에서 가장 외면에 존재하고, 긁힘 등에 의한 인쇄물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리층(21)은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중합체이거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리층(21)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50 내지 105℃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인 것이 좋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50℃ 미만이거나 10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전사 단계에서 원하지 않는 부분까지 전사되는 과전사 현상이 심하게 발생한다.
상기 박리층(21)은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 이외에 왁스나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층(21)의 두께는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긁힘 등에 의한 인쇄물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 하는 역할을 하는데 미흡하고,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전사 단계에서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가열 롤이나 써멀프린팅 헤드 등의 이미지 전사 장치를 이용하여 고온으로 가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재전사 필름의 구성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박리층(21) 상에는 최종 인쇄물에 내광성, 내마모성, 내용제성 등의 각종 내구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보호층(23)이 적층된다.
상기 보호층(23)은 염화비닐리덴 수지 또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어 형성될 경우, 내알코올성을 더욱 개선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23)의 두께는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0.2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인 것이 좋다.
상기 보호층(23)의 두께가 0.2㎛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인쇄물의 이미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미흡하며, 반면 두께가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전사 단계에서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가열 롤이나 써멀프린팅 헤드 등 이미지 전사 장치를 이용하여 고온으로 가열해 주어야 하고, 심한 경우에는 피기록재로 재전사 시 이미지의 일부가 전사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23) 상에 적층된 수상층(22)은 승화 열전사 인쇄 단계에서는 승화형 잉크 리본으로부터 전이되는 염료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재전사 단계에서는 최종 피기록재의 표면에 접착된다.
상기 수상층(22)은 바인더 수지와 이형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바인더 수지는 승화형 잉크 리본으로부터 전이되는 염료를 수용하기 쉬운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 우레아 레진, 폴리아미이드 및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건조 상태 기준) 수상층(22) 형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00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상층(22)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80℃이고, 수산기가가 20mgKOH/g 이하인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기가가 0 내지 10mgKOH/g 이하인 것이 좋다.
상기 수산기가가 20mgKOH/g 초과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내알코올성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수산기가가 20mgKOH/g 이하인 것이 최적화된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 수산기가는 수지에 포함된 수산기(OH group)의 함량을 나타내는 수치로, 수산기가가 클수록 수지에 포함된 수산기의 함량이 많아 알코올과의 상용성 및 용해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최종 인쇄물의 내알코올성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수상층(22)을 구성하는 코팅막의 경도가 약해지므로, 최종 인쇄물의 내알코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피기록재에 재전사층(20)을 재전사시키는 단계에서 최종 인쇄물의 화상이 누락될 수 있으며, 재전사층(20)에 화상이 남아 양호하게 전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일본국 도요보사의 Vylon-226 제품, Vylon-885 제품, Vylon-GK250 제품, 일본국 유니티카사의 UE-9200 제품, UE-3380 제품, UE-3980 제품, 대한민국 SK케미칼사의 ES-120 제품, ES-600 제품, ES-660 제품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수상층(22)은 승화형 잉크 리본과 재전사 필름의 융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인더 수지 외에 이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는 실리콘계 이형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콘계 이형제로는 아미노변성 실리콘, 에폭시변성 실리콘, 카비놀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또는 아랄킬변성 실리콘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형제는 (건조 상태 기준) 수상층(22) 형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층(22)은 형성된 이미지의 내광성을 개선하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또는 열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건조 상태 기준) 수상층(22) 형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수상층(22)의 두께는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0.2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2㎛ 미만인 경우에는 승화 열전사 인쇄 단계에서 승화형 잉크리본으로부터 전이되는 염료를 수용하기에 불충분하며, 두께가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재전사 단계에서 최종 피기록재의 표면에 잘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재전사 필름의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전사 필름은 필요에 따라 기재필름(1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배면층(30), 상기 기재필름(10)과 박리층(21) 사이에 형성되는 박리성 조절층(24) 및 상기 수상층(22) 상에 형성되는 이형층(25)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기재필름(1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배면층(30)은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을 롤 상태로 장기간 고온에 노출시키는 경우, 재전사층(20)이 배면으로 전이되는 현상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인더 수지와 이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면층(30)의 두께로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배면층(30)이 두꺼운 경우에는 재전사 단계에서 열전달이 방해되어, 재전사시 가열 롤이나 써멀프린팅헤드 등의 이미지 전사장치를 고온으로 가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가급적 배면층(30)의 두께는 얇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기재필름(10)과 박리층(21) 사이에는 박리성 조절층(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필름(10)과 박리층(21)의 접착력을 보강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박리층(21)과 기재필름(10) 사이의 접착력이 부족한 경우, 승화형 잉크 리본을 이용하여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의 수상층 위로 이미지를 전사할 때, 재전사층(20)이 기재필름(10)에서 분리되어 이미지 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재필름(10)과 박리층(21)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성 조절층(24)을 추가로 형성하여, 기재필름(10)과 박리층(21)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대로 기재필름(10)과 박리층(21) 사이의 접착력이 강한 경우, 이미지가 형성된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의 재전사층(20)을 피기록재로 전사시키는 재전사 단계에서 박리층(21)이 기재필름(10)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해 재전사 필름과 피기록재가 붙어버리거나, 재전사 필름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재필름(10)과 박리층(21) 사이에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성 조절층(24)을 추가로 형성하여, 기재필름(10)과 박리층(21) 사이의 접착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수상층(22) 상에 형성되는 이형층(25)은 염료 승화형 잉크 리본과 재전사 필름의 융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실리콘계 이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계 이형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례로 아미노변성 실리콘, 에폭시변성 실리콘, 카비놀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또는 아랄킬변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박리층(21), 수상층(22), 보호층(23), 박리성 조절층(24), 이형층(25) 및 배면층(30)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성물은 용제에 용해시켜 코팅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용제는 각 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적절히 용해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례로 톨루엔, 메틸에틸케톤(MEK), 에틸아세테이트(EA), 이소프로필알코올(IPA), 아세톤, 에탄올, 글리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에 용해된 코팅액은 통상의 코팅방법을 사용하여 필름에 도포할 수 있다. 일례로 그라비아 코팅법(Gravure coating),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Microgravure coating) 또는 바 코팅법(Meyer bar coatin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메이어 바를 이용한 바 코팅법을 사용하여 코팅액을 필름 상에 도포하였다.
상기 바 코팅법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와이어가 감겨있는 메이어 바를 이용한 코팅법으로, 메이어 바의 직경에 따라 코팅에 요구되는 용량이 피기록재에 남아있도록 하여, 필름의 두께를 일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바 코팅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층은 열풍이나 열에너지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코팅층 내부의 용제를 증발시키는 건조 공정을 거친다.
이때, 용제 성분 및 코팅 조건에 따라 여러 단계의 챔버를 거치게 되며, 코팅층의 안쪽부터 표면층까지 용제 증발이 단계적으로 건조되어 판막힘 현상, 블로킹 또는 취기 현상 등 불량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필름은 균일한 장력으로 롤 형태로 감기게 되는 권취 공정을 거쳐 보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 박리층 + 수상층
1. 박리층 조성물
아크릴 수지 (일본국 미쯔비시레이온제, BR83, Tg=105℃) 15.00중량%
왁스 분산체 (미합중국 샴록제, 세라스퍼스 321BG) 2.00중량%
자외선 흡수제 (독일국 바스프제, 티뉴빈 928) 1.00중량%
톨루엔 41.00중량%
메틸에틸케톤 41.00중량%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용액을 두께가 1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기재 필름)의 일면에 10번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대류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90℃에서 30초 간 용제를 증발시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박리층을 형성시켰다. 이때, 건조된 상태에서 박리층의 두께는 약 2.0㎛ 였다.
2. 수상층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0중량%
(일본국 도요보제, Vylon-GK250, Tg=60℃, 수산기가=11mgKOH/g)
아미노변성 실리콘 오일 (일본국 신에츠제, KF393) 0.10중량%
에폭시변성 실리콘 오일 (일본국 신에츠제, KF101) 0.10중량%
톨루엔 44.90중량%
메틸에틸케톤 44.90중량%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용액을 박리층이 도포된 일면에 8번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였고, 대류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90℃에서 30초간 용제를 증발시켜 박리층 상에 수상층을 적층시켰다. 이때, 건조된 상태에서 수상층의 두께는 약 1.0㎛ 였다.
<실시예 2> : 박리층+ 보호층+ 수상층
1. 박리층 조성물
아크릴 수지 (일본국 미쯔비시레이온제, BR83, Tg=105℃) 15.00중량%
왁스 분산체 (미합중국 샴록제, 세라스퍼스 321BG) 2.00중량%
자외선 흡수제 (독일국 바스프제, 티뉴빈 928) 1.00중량%
톨루엔 41.00중량%
메틸에틸케톤 41.00중량%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용액을 두께가 1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기재 필름)의 일면에 8번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대류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90℃에서 30초 간 용제를 증발시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박리층을 형성시켰다. 이때, 건조된 상태에서 박리층의 두께는 약 1.5㎛ 였다.
2. 보호층 조성물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일본국 신에츠제, SOLBIN CL) 15.00중량%
톨루엔 42.50중량%
메틸에틸케톤 42.50중량%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용액을 6번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박리층이 도포된 일면에 도포한 후, 대류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90℃에서 30초간 용제를 증발시켜, 박리층 상에 보호층을 적층시켰다. 이때, 건조된 상태에서 보호층의 두께는 약 1.0㎛ 였다.
3. 수상층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0중량%
(일본국 도요보제 Vylon-GK250, Tg=60℃, 수산기가=11mgKOH/g)
아미노변성 실리콘 오일 (일본국 신에츠제, KF393) 0.10중량%
에폭시변성 실리콘 오일 (일본국 신에츠제, KF101) 0.10중량%
톨루엔 44.90중량%
메틸에틸케톤 44.90중량%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용액을 보호층이 도포된 일면에 6번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대류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90℃에서 30초간 용제를 증발시켜, 보호층 상에 수상층을 적층시켰다. 이때, 건조된 상태에서 수상층의 두께는 약 0.5㎛ 였다.
<실시예 3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10>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 및 표 2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유된 수상층을 포함하는 재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상품명 Vylon GK250 Vylon GK250 Vylon
226
ES 600 UE 3370 Vylon 240 ES 160 UE 3600 ES 100 Vylon GK640
제조사 일본 도요보 일본 도요보 일본
도요보
한국 SK 케미칼 일본 유니티카 일본
도요보
한국 SK 케미칼 일본 유니티카 한국 SK 케미칼 일본
도요보
유리전이온도
(℃)
60 60 65 78 53 60 52 75 65 79
수산기가
(mgKOH/g)
11 11 20 16~20 15 9 2~6 4 2~6 5
수상층 두께
(㎛)
1.0 0.5 1.0 1.2 1.0 1.0 1.0 1.5 0.5 1.2
보호층 두께
(㎛)
- 1.0 - - - - - - 1.5 2.0
재전사층
구성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보호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보호층/박리층 수상층/보호층/박리층
구분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상품명 Vylon
GK130
ES 460M UE 3320 Vylon GK680 ES 812 UE 3320 Vylon 802 UE 3350 Vylon GK880 UE 3690
제조사 일본
도요보
한국 SK 케미칼 일본 유니티카 일본
도요보
한국 SK 케미칼 일본 유니티카 일본
도요보
일본 유니티카 일본
도요보
일본 유니티카
유리전이온도
(℃)
15 37 45 10 22 40 60 52 84 90
수산기가
(mgKOH/g)
19 5~9 18 21 23~27 60 37 25 5 8
수상층 두께
(㎛)
1.0 0.5 0.5 1.0 1.0 1.0 1.5 0.5 1.0 0.5
보호층 두께
(㎛)
- 1.0 - 1.8 - - - 2.5 - -
재전사층
구성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보호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보호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보호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수상층/박리층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재전사층을 이용하여, 상기 재전사 필름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두께 측정
기재필름의 일면에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코팅 용액을 차례로 도포 및 건조하여 각 층을 적층하였다. 이 때, 각 층은 건조 상태에서 두께측정기(ElektroPhysik, MINITEST-4100)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2. 전사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재전사 필름은 일본국 JVC켄우드사의 재전사 방식의 승화형 카드 발급기인 CX-7000 프린터를 이용하여, PVC 카드 일면에 승화형 잉크 리본의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염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컴포지트 블랙 이미지를 인쇄하여 최종 인쇄물을 제작하였다.
이때, 재전사 불량 여부를 최종 인쇄물에 화상 누락된 부분이 있는지 또는 인쇄 후 재전사 필름에 누락된 이미지가 전사되지 않고 남아 있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판단한다.
3. 내알콜성 평가
인쇄물 농도의 잔류율 측정
상기 전사성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된, 최종 인쇄물의 색 농도를 Gretag Macbeth사의 D19C 반사 O.D.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알코올 침지 전 농도), 상기 최종 인쇄물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에탄올에 담가둔다. 그 다음 담가두었던 카드를 꺼내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물의 농도(알코올 침지 후 농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로 인쇄물 농도의 잔류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외관 평가
상기 최종 인쇄물의 표면을 러빙시험기(Rubbing tester, 일본 Toyoseiki, 하중 300g/cm2)을 이용하여 에탄올에 적신 면포를 50회 왕복한 후, 손상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인쇄물의 화상 변화가 없음
○: 인쇄물의 화상 변화가 거의 없음
△: 인쇄물의 화상 누락이 있으며 기재가 절반 이하 보임
×: 인쇄물의 화상 누락이 심하여 기재가 절반 이상 보임
구분 내알코올성 평가
인쇄물 농도 잔류율(%) 최종 인쇄물 외관
실시예 1 92.3
실시예 2 99.7
실시예 3 90.2
실시예 4 92.4
실시예 5 95.0
실시예 6 96.1
실시예 7 97.3
실시예 8 96.9
실시예 9 98.8
실시예 10 99.5
비교예 1 60.3 ×
비교예 2 70.5
비교예 3 64.2 ×
비교예 4 73.0
비교예 5 67.2 ×
비교예 6 62.1 ×
비교예 7 69.0 ×
비교예 8 74.7
비교예 9 재전사 불량 ×
비교예 10 재전사 불량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산기가가 20mgKOH/g 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8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상층이 포함된 재전사층을 형성시킨 실시예 1 내지 10은 비교예 1 내지 10에 비하여 내알코올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는 보호층을 추가로 형성한 재전사 필름으로써 실시예 1보다 내알코올성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9 및 10은 수상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80℃를 초과하므로, 최종 인쇄물에서 화상 일부가 누락되어 있으며, 재전사 필름에 화상의 누락된 부분이 남아있는 것(재전사 불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기재필름
20: 재전사층
21: 박리층
22: 수상층
23: 보호층
24: 박리성 조절층
25: 이형층
30: 배면층

Claims (9)

  1. 기재필름의 일면에 수산기가가 20mgKOH/g 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8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수상층을 포함하는 재전사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전사층은 박리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상층은 박리층 상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전사층은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박리층 상에 보호층, 및 보호층 상에 상기 수상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두께가 (건조 상태 기준) 0.2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염화비닐리덴 수지 및 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6.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은 수산기가가 10mgKOH/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의 두께는 (건조 상태 기준) 0.2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은 실리콘계 이형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9.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배면층, 상기 기재필름과 박리층 사이에 형성되는 박리성 조절층 및 상기 수상층 상에 형성되는 이형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사 필름.
KR1020140095028A 2014-07-25 2014-07-25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 KR20160012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28A KR20160012818A (ko) 2014-07-25 2014-07-25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28A KR20160012818A (ko) 2014-07-25 2014-07-25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818A true KR20160012818A (ko) 2016-02-03

Family

ID=5535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028A KR20160012818A (ko) 2014-07-25 2014-07-25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8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4151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JP5585351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2020175671A (ja) 転写シート
WO2000020224A1 (fr) Couche receptrice et recepteur d&#39;images pour impression par transfert thermique
JP5578027B2 (ja) 中間転写媒体
JP6690159B2 (ja) 転写シート
WO2016043236A1 (ja) 転写シート
JP5782770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KR20160012818A (ko) 승화 열전사 기록용 재전사 필름
JP5640799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4467853B2 (ja) 熱転写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物
JP5891885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5674242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2009202584A (ja) 感熱転写による画像形成方法
JP5751436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2011051300A (ja) 熱転写記録媒体
JP5664387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6795110B2 (ja) 転写シート
JP5696413B2 (ja) 昇華型熱転写媒体
JP6645082B2 (ja) 転写シート
JP2017061072A (ja) 転写シート
JP5515398B2 (ja) 熱転写記録媒体
JP5659652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6273938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2014111351A (ja) 感熱転写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