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080A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080A
KR20160012080A KR1020150102141A KR20150102141A KR20160012080A KR 20160012080 A KR20160012080 A KR 20160012080A KR 1020150102141 A KR1020150102141 A KR 1020150102141A KR 20150102141 A KR20150102141 A KR 20150102141A KR 20160012080 A KR20160012080 A KR 2016001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surface protec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고 사사키
고지 시타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저온 하에서 보관한 후에 실온 부근까지 복귀시켰을 때,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해당 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우레탄계 점착제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해당 우레탄계 점착제가 가소제를 포함하고, 해당 점착제층의 두께를 X㎛라 하고, 해당 우레탄계 점착제 1g 중의 가소제의 양을 Ymg이라 했을 때, Y<-4X+145를 만족한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PROTECTING FILM}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을 최외층으로서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해당 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우레탄계 점착제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예를 들어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의 표면 보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는, 가공, 조립, 검사, 수송 등 시의 표면의 흠집 발생 방지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노출면측에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표면 보호의 필요가 없어진 시점에서,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로부터 박리된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의 제조 공정부터, 조립 공정, 검사 공정, 수송 공정 등을 거쳐서, 최종 출하될 때까지, 동일한 표면 보호 필름을 계속 사용하는 케이스가 많아지고 있다. 이 경우,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각 공정에 있어서, 수작업에 의해 접착, 박리, 재접착되는 경우가 많다.
수작업에 의해 표면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경우나 큰 피착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접착할 경우, 피착체와 표면 보호 필름과 사이에 기포가 말려드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접착 시에 기포가 말려들지 않도록, 표면 보호 필름의 습윤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몇 가지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습윤 속도가 빠른 실리콘 수지를 점착제층에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실리콘 수지를 점착제층에 사용한 경우, 그 점착제 성분이 피착체를 쉽게 오염시켜,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 등의 특히 저오염이 요구되는 부재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데는 큰 문제가 있다.
점착제 성분에서 유래되는 오염이 적은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점착제층에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아크릴계 수지를 점착제층에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은, 습윤성이 떨어지므로, 수작업에 의해 표면 보호 필름을 접착할 경우, 피착체와 표면 보호 필름의 사이에 기포가 말려드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를 점착제층에 사용한 경우, 박리 시에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고,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 등의 특히 이물 혼입을 싫어하는 부재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데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에 접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초기 습윤성 등의 습윤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됨과 함께, 경박리성이 요구된다. 이것은, 박리할 때에 피착체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함과, 박리된 후에, 피착체에 재접착되어, 다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습윤성이 좋아도 박리가 힘들면, 얇고 취약한 피착체의 경우, 피착체가 파괴되거나,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했을 때에 해당 표면 보호 필름이 변형되어버리거나 해서, 다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에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는, 기포의 혼입 없이 몇 번이나 접착을 할 수 있으며, 변형 없이 가볍게 박리할 수 있는, 소위 리워크성이 강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 들어, 특정한 우레탄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이 보고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4 참조).
그러나, 종래의 우레탄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중에는, 저온 하에서 보관한 후에 실온 부근까지 복귀시켰을 때,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까지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의 사이에 기포가 발생해버려,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의 상품 가치가 저하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522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518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1170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170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저온 하에서 보관한 후에 실온 부근까지 복귀시켰을 때,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그러한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우레탄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저온 하에서 보관한 후에 실온 부근까지 복귀시켰을 때,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까지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의 사이에 기포가 발생해버리는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 상세한 분석 및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기포가 발생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에는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점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 검토를 거듭한 결과, 점착제층의 두께와 가소제의 양을 포함하는 특정한 관계식을 만족시킬 경우, 상기와 같은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에 상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해당 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우레탄계 점착제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해당 우레탄계 점착제가 가소제를 포함하고,
해당 점착제층의 두께를 X㎛라 하고, 해당 우레탄계 점착제 1g 중의 가소제의 양을 Ymg이라 했을 때, Y<-4X+145를 만족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소제가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200 내지 400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올(A)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피마자유계 폴리올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올(A)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400 내지 20000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올(A)과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에서의 NCO기와 OH기의 당량비가, NCO기/OH기로서, 1.0 내지 5.0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우레탄 예비중합체(C)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재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 하에서 보관한 후에 실온 부근까지 복귀시켰을 때,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표면 보호 필름≫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점착제층의 점착면측에는, 이형성을 갖는 박리 라이너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 또는 점착면측에 이형성을 갖는 박리 라이너가 접합된 점착제층이, 최외층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갖는다. 기재층은, 1층만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층과 점착제층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기타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표면 보호 필름(10)은, 기재층(1)과 점착제층(2)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다른 층을 또한 갖고 있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기재층(1)의 점착제층(2)을 부설하지 않는 면에 대해서는, 되감기가 용이한 권회체의 형성 등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기재층에, 지방산 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장쇄 알킬계 첨가제 등을 첨가해서 이형 처리를 행하거나,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등의 임의의 적절한 박리제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두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현하기 위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이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우레탄계 점착제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점착제층의 우레탄계 점착제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로서는, 용도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이다.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의 형성 재료인 조성물을 기재층 상에 도포하고, 기재층 상에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도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은 우레탄계 점착제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점착제 이외의 수지 성분, 점착 부여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금속분, 안료, 박형물, 연화제, 노화 예방제, 도전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부식 방지제, 내열 안정제, 중합 금지제, 활제, 용제,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중의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5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8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우레탄계 점착제중의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우레탄계 점착제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우레탄계 점착제에 포함될 수 있는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산 에스테르, OH 함량이 1개 이하인 알킬렌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소제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할 수 있는 점에서,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지방산 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39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38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36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50이다. 지방산 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Mn)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습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너무 작으면, 첨가 부수가 많아도 습윤 속도가 향상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너무 크면, 건조 시의 점착제의 경화성이 악화되어, 습윤 특성에 그치지 않고 기타 점착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지방산 에스테르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비스페놀A 라우르산 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부틸, 팔미트산 2-에틸헥실, 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베헤닌산 모노글리세라이드, 2-에틸헥산산 세틸,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메타크릴산 라우릴, 야자 지방산 메틸, 라우르산 메틸, 올레산 메틸, 스테아르산 메틸,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펜타에리트리톨모노올레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팔미테이트,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스테아르산 이소트리데실, 2-에틸헥산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라우르산 부틸, 올레산 옥틸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계 점착제를 제조할 때의 가소제의 배합 비율은, 폴리올(A)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5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중량% 내지 4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중량% 내지 4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중량% 내지 35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30중량%이다. 가소제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습윤 속도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가소제의 함유 비율이 너무 적으면, 습윤 속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가소제의 함유 비율이 너무 많으면, 비용적으로 불리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피착체가 오염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X㎛라 하고, 우레탄계 점착제 1g중의 가소제의 양을 Ymg이라 했을 때, Y<-4X+145를 만족한다. 이 Y<-4X+145라는 부등식을 만족함으로써, 저온 하에서 보관한 후에 실온 부근까지 복귀시켰을 때,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우레탄계 점착제 1g중의 가소제의 양」이란, 우레탄계 점착제 1g중에 잔존하고 있는 가소제의 양을 의미한다. 이것은, 우레탄계 점착제를 제조할 때의 가소제의 배합 비율로부터 산출되는 양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가소제는, 우레탄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그 일부가 휘발 등에 의해 상실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레탄계 점착제 1g중의 가소제의 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된 우레탄계 점착제를 분석해서 측정된 잔존하는 가소제의 양으로부터 산출된 값으로 한다.
Y<-4X+145라는 부등식을 만족함으로써, 저온 하에서 보관한 후에 실온 부근까지 복귀시켰을 때,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근거로서는, 다음과 같다. 즉, 횡축을 X, 종축을 Y로 하는 그래프 상에, 다양한 (X, Y)의 조합의 플롯을 행하고, 그 때의 상기 기포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확인한 바, Y=-4X+145의 직선보다 하부에서의 (X, Y)의 조합에 있어서는, 상기 기포의 발생이 보이지 않았다.
Y<-4X+145라는 부등식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Y≥-4X+145라는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저온 하에서 보관한 후에 실온 부근까지 복귀시켰을 때, 점착제층의 표면 근방에 가소제가 석출되고, 이 석출물을 기점으로 기포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이에 의해,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박리 라이너와 점착제층의 사이에 기포가 발생해버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또는, 우레탄 예비중합체(C)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로서 상기와 같은 것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다.
폴리올(A)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올(A)로서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들 수 있다. 폴리올(A)로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 성분과 산 성분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8-데칸디올, 옥타데칸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헥산트리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숙신산, 메틸 숙신산, 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1,12-도데칸디오산, 1,14-테트라데칸디오산, 다이머산, 2-메틸-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2-에틸-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이들의 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물, 저분자 폴리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 비스페놀류(비스페놀A 등), 디히드록시벤젠(카테콜, 레조르신, 히드로퀴논 등) 등을 개시제로 하여,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부틸렌옥시드 등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 σ-발레로락톤 등의 환상 에스테르 단량체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카프로락톤계 폴리에스테르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 성분과 포스겐을 중축합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폴리올 성분과, 탄산 디메틸, 탄산 디에틸, 탄산 디프로필, 탄산 디이소프로필, 탄산 디부틸, 에틸부틸탄산,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탄산 디페닐, 탄산 디벤질 등의 탄산 디에스테르류를 에스테르 교환 축합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폴리올 성분을 2종 이상 병용해서 얻어지는 공중합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종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과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종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과 히드록실기 함유 화합물을 에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종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과 에스테르 화합물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종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과 히드록실기 함유 화합물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종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과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중축합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종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과 알킬렌옥시드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계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피마자유계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피마자유 지방산과 상기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피마자유 지방산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들 수 있다.
폴리올(A)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2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7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50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2000이다.
폴리올(A)로서는, 바람직하게는 OH기를 3개 갖는 수 평균 분자량(Mn)이 8000 내지 20000인 폴리올(A1)을 함유한다. 폴리올(A1)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올(A) 중의 폴리올(A1)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90중량%이다. 폴리올(A) 중의 폴리올(A1)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A1)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2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18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00 내지 17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0 내지 160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500 내지 155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5000이다. 폴리올(A1)의 수 평균 분자량(Mn)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A)은 OH기를 3개 이상 갖는 수 평균 분자량(Mn)이 5000 이하의 폴리올(A2)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올(A2)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올(A2)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45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5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이다. 폴리올(A2)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상기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면, 특히, 점착력의 경시 상승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어, 우수한 리워크성을 발현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폴리올(A2)은, 바람직하게는 OH기를 3개 갖는 폴리올(트리올), OH기를 4개 갖는 폴리올(테트라올), OH기를 5개 갖는 폴리올(펜타올), OH기를 6개 갖는 폴리올(헥산올)이다.
폴리올(A2)로서, OH기를 4개 갖는 폴리올(테트라올), OH기를 5개 갖는 폴리올(펜타올), OH기를 6개 갖는 폴리올(헥산올) 중 적어도 1종의 합계량은, 폴리올(A) 중의 함유 비율로서,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폴리올(A) 중에, 폴리올(A2)로서, OH기를 4개 갖는 폴리올(테트라올), OH기를 5개 갖는 폴리올(펜타올), OH기를 6개 갖는 폴리올(헥산올) 중 적어도 1종을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투명성이 한층 우수한 우레탄계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폴리올(A) 중의 폴리올(A2)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30중량%이다. 폴리올(A) 중의 폴리올(A2)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A2)은, 그 중에서의 OH기를 4개 이상 갖는 수 평균 분자량(Mn)이 5000 이하인 폴리올의 함유 비율이, 폴리올(A)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폴리올(A2) 중에서의 OH기를 4개 이상 갖는 수 평균 분자량(Mn)이 5000 이하인 폴리올의 함유 비율이, 폴리올(A) 전체에 대하여, 10중량% 이상이면, 우레탄계 점착제가 백화되기 쉬워져서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서는, 우레탄화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서는, 예를 들어 다관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다관능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3-시클로펜텐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방향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서는, 상기와 같은 각종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물과 반응한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환을 갖는 삼량체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진다. 이러한 조성물 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올(A) 및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이외의 임의의 적절한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촉매, 폴리우레탄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 성분, 점착 부여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금속분, 안료, 박형물, 연화제, 노화 예방제, 도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부식 방지제, 내열 안정제, 중합 금지제, 활제,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레벨링제를 포함한다. 레벨링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레벨링제의 함유 비율은, 폴리올(A)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1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중량% 내지 0.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중량% 내지 0.1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4중량% 내지 0.05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내지 0.01중량%이다. 레벨링제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레벨링제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레벨링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벨링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레벨링제, 불소계 레벨링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레벨링제로서는, 폴리플로우 No.36, 폴리플로우 No.56, 폴리플로우 No.85HF, 폴리플로우 No.99C(모두 교에샤 가가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레벨링제로서는, 메가팩F470N, 메가팩F556(모두 DIC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레벨링제로서는, 그랜딕PC4100(DIC사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와 같은 열화 방지제를 포함한다.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열화 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피착체에 접착한 후에 가온 상태에서 보존해도 피착체에 점착제 잔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 점착제 잔류 방지성이 우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열화 방지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열화 방지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산화 방지제이다.
열화 방지제의 함유 비율은, 폴리올(A)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1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7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5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1중량%이다. 열화 방지제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피착체에 접착한 후에 가온 상태에서 보존해도 피착체에 점착제 잔류가 보다 발생하기 어려운 등, 점착제 잔류 방지성이 한층 우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열화 방지제의 함유 비율이 너무 낮으면, 점착제 잔류 방지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열화 방지제의 함유 비율이 너무 높으면, 비용적으로 불리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피착체가 오염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디칼 연쇄 금지제, 과산화물 분해제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연쇄 금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계 산화 방지제, 아민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 분해제로서는, 예를 들어 황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페놀계 산화 방지제, 비스페놀계 산화 방지제,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모노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2,6-디-t-부틸-p-크레졸,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비스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3,9-비스[1,1-디메틸-2-[β-(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 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비스[3,3'-비스-(4'-히드록시-3'-t-부틸페닐)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S-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토코페놀 등을 들 수 있다.
황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라우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살산 아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히드록시-5-벤조일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5'-메타아크릴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살리실레이트, p-ter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자외선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니켈비스(옥틸페닐)술피드, [2,2'-티오비스(4-tert-옥틸페놀레이트)]-n-부틸아민니켈, 니켈컴플렉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인산 모노에틸레이트, 니켈-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벤조에이트 타입의 소광제, 니켈-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케토-에놀 호변이성이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카르보닐화합물의 α-탄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수소 원자가 카르보닐기의 산소 원자로 옮겨지는, 소위 에놀화로서도 알려져 있는 이성화이다.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촉매와의 작용에 의해,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조성물의 보존 단계에서의 가용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고, 한편, 해당 조성물을 사용해서(바람직하게는 경화시켜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형성시킬 때에는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가교 반응이 빠르게 진행된다.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틸아세톤, 헥산-2,4-디온, 헵탄-2,4-디온, 헵탄-3,5-디온, 5-메틸헥산-2,4-디온, 옥탄-2,4-디온, 6-메틸헵탄-2,4-디온, 2,6-디메틸헵탄-3,5-디온, 노난-2,4-디온, 노난-4,6-디온, 2,2,6,6-테트라메틸헵탄-3,5-디온, 트리데칸-6,8-디온, 1-페닐부탄-1,3-디온, 헥사플루오로아세틸아세톤, 아스코르브산 등의 β-디케톤류;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아세토아세트산 n-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 이소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 n-부틸, 아세토아세트산 sec-부틸, 아세토아세트산 tert-부틸, 프로피오닐아세트산 메틸, 프로피오닐아세트산 에틸, 프로피오닐아세트산 n-프로필, 프로피오닐아세트산 이소프로필, 프로피오닐아세트산 n-부틸, 프로피오닐아세트산 sec-부틸, 프로피오닐아세트산 tert-부틸, 아세토아세트산 벤질, 말론산 디메틸, 말론산 디에틸 등의 β-케토에스테르류; 무수 아세트산 등의 산 무수물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n-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tert-부틸케톤, 메틸페닐 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로서는, β-디케톤류가 바람직하고, 아세틸아세톤이 보다 바람직하다.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로서, 이러한 화합물을 채용함으로써, 촉매와의 작용에 의해,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조성물의 보존 단계에서의 가용 시간을 보다 충분하게 길게 할 수 있고, 한편, 해당 조성물을 사용해서(바람직하게는 경화시켜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형성시킬 때에는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가교 반응이 보다 빠르게 진행된다.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과 촉매의 함유 비율은, 몰비로,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촉매가, 바람직하게는 0.006 내지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7 내지 1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 내지 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9 내지 1.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0.9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0.8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0.7이다.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과 촉매와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촉매와의 작용에 의해,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조성물의 보존 단계에서의 가용 시간을 보다 충분하게 길게 할 수 있고, 한편, 해당 조성물을 사용해서(바람직하게는 경화시켜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형성시킬 때에는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가교 반응이 보다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특히,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일으키는 화합물/촉매의 몰비가, 0.006 내지 0.7의 범위 내에 있으면,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매우 높은 투명성을 부여할 수 있다.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적절한 용제를 포함한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함유 비율은, 폴리올(A)에 대하여,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이,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6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 내지 6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60중량%이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에서의 NCO기와 OH기의 당량비는, NCO기/OH기로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4.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이다. NCO기/OH기의 당량비를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괴상 중합이나 용액 중합 등을 사용한 우레탄화 반응 방법 등,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촉매를 사용한다. 이러한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금속계 화합물, 3급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금속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철계 화합물, 주석계 화합물, 티타늄계 화합물, 지르코늄계 화합물, 납계 화합물, 코발트계 화합물, 아연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 속도와 점착제층의 가용 시간의 면에서, 철계 화합물, 주석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철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2-에틸헥산산 철 등을 들 수 있다.
주석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부틸 주석 디클로라이드, 디부틸 주석 옥시드, 디부틸 주석 디브로마이드, 디부틸 주석 말레이트,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 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 주석 술피드, 트리부틸 주석 메톡시드, 트리부틸 주석 아세테이트, 트리에틸 주석 에톡시드, 트리부틸 주석 에톡시드, 디옥틸 주석 옥시드, 디옥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트리부틸 주석 클로라이드, 트리부틸 주석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2-에틸헥산산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티타늄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부틸티타늄디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부톡시티타늄트리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지르코늄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나프텐산 지르코늄, 지르코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납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산 납, 2-에틸헥산산 납, 벤조산 납, 나프텐산 납 등을 들 수 있다.
코발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산산 코발트, 벤조산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아연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나프텐산 아연, 2-에틸헥산산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3급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 등을 들 수 있다.
촉매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촉매와 가교 지연제 등을 병용해도 된다. 촉매의 양은, 폴리올(A)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내지 0.1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내지 0.08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내지 0.06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내지 0.05중량%이다. 촉매의 양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우레탄 예비중합체(C)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우레탄 예비중합체(C)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소위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원료로 사용해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라면, 임의의 적절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우레탄 예비중합체(C)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예를 들어 우레탄 예비중합체(C)로서의 폴리우레탄폴리올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우레탄 예비중합체(C)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우레탄 예비중합체(C)로서의 폴리우레탄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과, 폴리에테르폴리올(a2)을, 촉매 존재 하 또는 무촉매 하에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3)과 반응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로서, 예를 들어 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무수 프탈산, 이소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6-헥산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3,3'-디메틸올헵탄,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부틸에틸펜탄디올, 폴리올 성분으로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로서는, 그 밖에, 폴리카프로락톤, 폴리(β-메틸-γ-발레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등의 락톤류를 개환 중합해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의 분자량으로서는, 저분자량부터 고분자량까지 사용 가능하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의 분자량으로서는, 수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이다. 수 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이면, 반응성이 높아지고, 쉽게 겔화될 우려가 있다. 수 평균 분자량이 5000을 초과하면, 반응성이 낮아지고, 나아가 폴리우레탄폴리올 자체의 응집력이 작아질 우려가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의 사용량은, 폴리우레탄폴리올을 구성하는 폴리올 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몰%이다.
폴리에테르폴리올(a2)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테르폴리올(a2)로서는, 예를 들어 물,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저분자량 폴리올을 개시제로서 사용하여,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부틸렌옥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옥시란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테르폴리올(a2)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관능기수가 2 이상인 폴리에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a2)의 분자량으로서는, 저분자량부터 고분자량까지 사용 가능하다. 폴리에테르폴리올(a2)의 분자량으로서는, 수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이다.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반응성이 높아지고, 쉽게 겔화될 우려가 있다. 수 평균 분자량이 5000을 초과하면, 반응성이 낮아지고, 나아가 폴리우레탄폴리올 자체의 응집력이 작아질 우려가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a2)의 사용량은, 폴리우레탄폴리올을 구성하는 폴리올 중,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몰%이다.
폴리에테르폴리올(a2)은, 필요에 따라서 그 일부를,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부틸에틸펜탄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글리콜류나, 에틸렌디아민, N-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이소포론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등의 다가 아민류 등으로 치환해서 병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a2)로서는, 2관능성의 폴리에테르폴리올만을 사용해도 되고,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이며, 또한 1분자 중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일부 또는 전부 사용해도 된다. 폴리에테르폴리올(a2)로서,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이며, 또한 1분자 중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일부 또는 전부 사용하면, 점착력과 재박리성의 밸런스가 양호해질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테르폴리올에 있어서는,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반응성이 높아지고, 쉽게 겔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에테르폴리올에 있어서는, 수 평균 분자량이 5000을 초과하면, 반응성이 낮아지고, 나아가 폴리우레탄폴리올 자체의 응집력이 작아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3500이다.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3)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3)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 1,3,5-트리이소시아네이트벤젠,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4,4',4"-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2,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3-디메틸벤젠,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4-디메틸벤젠,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4-디에틸벤젠, 1,4-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6-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3)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물과 반응한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환을 갖는 삼량체 등도 병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을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촉매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3급 아민계 화합물, 유기 금속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3급 아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DBU)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금속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주석계 화합물, 비주석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주석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부틸 주석 디클로라이드, 디부틸 주석 옥시드, 디부틸 주석 디브로마이드, 디부틸 주석 디말레에이트,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DBTDL), 디부틸 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 주석 술파이드, 트리부틸 주석 술파이드, 트리부틸 주석 옥시드, 트리부틸 주석 아세테이트, 트리에틸 주석 에톡시드, 트리부틸 주석 에톡시드, 디옥틸 주석 옥시드, 트리부틸 주석 클로라이드, 트리부틸 주석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2-에틸헥산산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비주석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부틸티타늄디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부톡시티타늄트리클로라이드 등의 티타늄계 화합물; 올레산 납, 2-에틸헥산산 납, 벤조산 납, 나프텐산 납 등의 납계 화합물; 2-에틸헥산산 철,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철계 화합물; 벤조산 코발트, 2-에틸헥산산 코발트 등의 코발트계 화합물; 나프텐산 아연, 2-에틸헥산산 아연 등의 아연계 화합물; 나프텐산 지르코늄 등의 지르코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을 때에 촉매를 사용할 경우,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에테르폴리올의 2종류의 폴리올이 존재하는 계에서는, 그 반응성의 상이 때문에, 단독의 촉매계에서는, 겔화되거나 반응 용액이 흐려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을 때에 2종류의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반응 속도, 촉매의 선택성 등을 제어하기 쉬워져, 이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2종류의 촉매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3급 아민/유기 금속계, 주석계/비주석계, 주석계/주석계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석계/주석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와 2-에틸헥산산 주석의 조합이다. 그 배합비는, 중량비로, 2-에틸헥산산 주석/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가,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이다. 배합비가 1 이상이면, 촉매 활성의 밸런스에 의해 겔화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을 때에 촉매를 사용할 경우, 촉매의 사용량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a1)과 폴리에테르폴리올(a2)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3)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이다.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을 때에 촉매를 사용할 경우,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이다. 100℃ 이상이 되면, 반응 속도, 가교 구조의 제어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어, 소정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기 힘들어질 우려가 있다.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을 때에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에는, 반응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이다. 또한, 무촉매 하에서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을 때는, 3시간 이상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1)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촉매,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전량 플라스크에 투입하는 방법, 2)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촉매를 플라스크에 투입해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적하하여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는 방법으로서, 반응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는, 2)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폴리올을 얻을 때에는, 임의의 적절한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 에틸,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이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로서는, 상술한 것을 원용할 수 있다.
우레탄 예비중합체(C)를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성분으로서는, 상술한 것을 원용할 수 있다.
우레탄 예비중합체(C)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소위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원료로 사용해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라면, 임의의 적절한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우레탄 예비중합체(C)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0이다.
≪기재층≫
기재층의 두께로서는, 용도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이다.
기재층은, 단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기재층은, 연신된 것이어도 된다.
기재층의 재료로서는, 용도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종이, 금속 필름,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다. 기재층은, 1종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2종 이상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호모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는 블록계, 랜덤계, 그래프트계 등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리액터TPO; 저밀도, 고밀도, 리니어 저밀도, 초저밀도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기재층에 함유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충전제,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에 함유될 수 있는 첨가제의 종류, 수, 양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기재층의 재료가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열화 방지 등을 목적으로, 상기 첨가제 중 몇가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후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 첨가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충전제를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산화 방지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가공 열 안정제, 락톤계 가공 열 안정제, 황계 내열 안정제, 페놀·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의 함유 비율은, 기재층의 베이스 수지(기재층이 블렌드물인 경우에는 그 블렌드물이 베이스 수지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0.2중량%이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자외선 흡수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 비율은, 기재층을 형성하는 베이스 수지(기재층이 블렌드물인 경우에는 그 블렌드물이 베이스 수지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0.5중량%이다.
광 안정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광 안정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 벤조에이트계 광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광 안정제의 함유 비율은, 기재층을 형성하는 베이스 수지(기재층이 블렌드물인 경우에는 그 블렌드물이 베이스 수지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0.5중량%이다.
충전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충전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계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무기계 충전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의 함유 비율은, 기재층을 형성하는 베이스 수지(기재층이 블렌드물인 경우에는 그 블렌드물이 베이스 수지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10중량%이다.
또한, 첨가제로서는, 대전 방지성 부여를 목적으로, 계면 활성제, 무기염, 다가 알코올, 금속 화합물, 카본 등의 무기계, 저분자량계 및 고분자량계 대전 방지제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특히, 오염, 점착성 유지의 관점에서, 고분자량계 대전 방지제나 카본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1)점착제층의 형성 재료의 용액이나 열 용융액을 기재층 상에 도포하는 방법,
(2)그것에 준하여, 세퍼레이터 형상으로 도포, 형성한 점착제층을 기재층 상에 이착하는 방법,
(3)점착제층의 형성 재료를 기재층 상에 압출해서 형성 도포하는 방법,
(4)기재층과 점착제층을 2층 또는 다층으로 압출하는 방법,
(5)기재층 상에 점착제층을 단층 라미네이트 하는 방법 또는 라미네이트층과 함께 점착제층을 2층 라미네이트 하는 방법,
(6)점착제층과 필름이나 라미네이트층 등의 기재층 형성 재료를 2층 또는 다층 라미네이트 하는 방법 등의, 임의의 적절한 제조 방법에 준해서 행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 코터법, 콤마 코터법, 다이 코터법, 리버스 코터법, 실크스크린법, 그라비아 코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에 대한 오염이 매우 적으며, 바람직하게는 습윤성이나 리워크성이 우수하므로, 예를 들어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의 표면 보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광학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LCD, LCD 등을 사용한 터치 패널, LCD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 편광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부재, 예를 들어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는, 접착된 표면 보호 필름을 수작업으로 몇 번이나 접합· 박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등에서의 시험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부」라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기 사항이 없는 한 「중량부」를 의미하고,「%」라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기 사항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잔존 가소제의 정량 방법>
샘플(박리 시트로 점착제층 표면이 보호된 표면 보호 필름)로부터 점착제를 10mg 채취하여, 아세트산 에틸을 첨가한 스크류관에 점착제를 투입하였다. 진탕기에서 1일간 진탕한 후, 상청액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사제, 6890N)에 주입하였다. 또한, 사전에 각 가소제를 사용해서 GC 검량선을 작성하고, 검량선을 사용해서 각 가소제의 잔존량의 정량을 실시하였다.
<저온 기포 발생 평가>
200mm×300mm의 크기로 자른 샘플(박리 시트로 점착제층 표면이 보호된 표면 보호 필름)을, 각 온도 조건 하(5℃, 0℃, -10℃, -20℃, -30℃, -40℃)에서, 4주일 보관한 후, 상온 분위기 하에 취출하였다. 평가는, 다음의 기준에서 행하였다.
○: 박리 시트 방향에서 표면 보호 필름을 관찰했을 때에 기포가 보이지 않는다.
×: 박리 시트 방향에서 표면 보호 필름을 관찰했을 때에 기포가 보인다.
(실시예 1)
폴리올로서, OH기를 3개 갖는 폴리올인 프레미놀S3011(아사히가라스(주)제, Mn=10000):85중량부, OH기를 3개 갖는 폴리올인 산닉스GP-3000(산요가세이(주)제, Mn=3000):13중량부, OH기를 3개 갖는 폴리올인 산닉스GP-1000(산요가세이(주)제, Mn=1000):2중량부를 사용하여,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다관능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코로네이트HX(니뽄폴리우레탄고교(주)제):18중량부, 촉매(니혼가가쿠산교(주)제, 상품명: 나셈 제2철):0.04중량부, 열화 방지제로서 Irganox1010(BASF제):0.50중량부,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라우르산 메틸, 니치유제, Mn=256):10중량부, 희석 용제로서 아세트산 에틸:241중량부를 배합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루미러S10」(두께 38㎛, 도레이사제)에 파운틴 롤로 건조 후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온도 130℃, 건조 시간 30초의 조건에서 큐어하여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상에 우레탄계 점착제(1)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한쪽 면에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 시트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시켜서 표면 보호 필름(1)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라우르산 메틸, 니치유제, Mn=256):2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를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라우르산 메틸, 니치유제, Mn=256):3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3)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상품명 「엑세펄IPM」, 가오제, Mn=270):1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4)를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5)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상품명 「엑세펄IPM」, 가오제, Mn=270):2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5)를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6)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상품명 「엑세펄IPM」, 가오제, Mn=270):3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6)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7)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상품명 「엑세펄IPP」, 가오제, Mn=299):1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7)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8)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상품명 「엑세펄IPP」, 가오제, Mn=299):2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8)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9)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상품명 「엑세펄IPP」, 가오제, Mn=299):3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9)를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0)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스테아르산 부틸, 상품명 「엑세펄BS」, 가오제, Mn=341):1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0)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1)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스테아르산 부틸, 상품명 「엑세펄BS」, 가오제, Mn=341):2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1)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2)
가소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스테아르산 부틸, 상품명 「엑세펄BS」, 가오제, Mn=341):30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2)를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우레탄 예비중합체로서 「사이아바인SH-109H」(고형분 54%, 지방산 에스테르 함유, 도요잉크제) 100중량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다관능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코로네이트HX(니뽄폴리우레탄고교(주)):15중량부, 희석 용제로서 톨루엔:208중량부를 배합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루미러S10」(두께 38㎛, 도레이사제)에 파운틴 롤로 건조 후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온도 130℃, 건조 시간 30초의 조건에서 큐어하여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상에 우레탄계 점착제(13)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한쪽 면에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 시트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시켜, 표면 보호 필름(13)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4)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4)를 얻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5)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5)를 얻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6)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6)을 얻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7)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7)을 얻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8)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8)을 얻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9)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19)를 얻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20)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0)을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21)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1)을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22)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2)를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23)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3)을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24)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4)를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25)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5)를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26)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6)을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27)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7)을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28)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8)을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29)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29)를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30)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30)을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31)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31)을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32)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32)를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33)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33)을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34)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34)를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35)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35)를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실시예 36)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36)을 얻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1)을 얻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2)를 얻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3)을 얻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비교예 4)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4)를 얻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비교예 5)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5)를 얻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비교예 6)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6)을 얻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비교예 7)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7)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8)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8)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9)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9)를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0)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10)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1)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11)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2)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12)를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3)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13)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4)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14)를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5)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15)를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6)
얻어진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표면 보호 필름(C16)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실시예 37)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주)제,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8)
실시예 4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주)제,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9)
실시예 7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주)제,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0)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주)제,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1)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주)제,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주)제, 상품명 「일렉리스타V270L-TFMP」)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3)
실시예 4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주)제, 상품명 「일렉리스타V270L-TFMP」)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4)
실시예 7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주)제, 상품명 「일렉리스타V270L-TFMP」)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5)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주)제, 상품명 「일렉리스타V270L-TFMP」)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6)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을,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주)제, 상품명 「일렉리스타V270L-TFMP」)에 접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의 표면 보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 : 기재층
2 : 점착제층
10 : 표면 보호 필름

Claims (10)

  1.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해당 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우레탄계 점착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해당 우레탄계 점착제가 가소제를 포함하고,
    해당 점착제층의 두께를 X㎛라 하고, 해당 우레탄계 점착제 1g 중의 가소제의 양을 Ymg이라 했을 때, Y<-4X+145를 만족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지방산 에스테르인, 표면 보호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200 내지 400인, 표면 보호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폴리올(A)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인, 표면 보호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A)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피마자유계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표면 보호 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A)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400 내지 20000인, 표면 보호 필름.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A)과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에서의 NCO기와 OH기의 당량비가, NCO기/OH기로서, 1.0 내지 5.0인, 표면 보호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우레탄 예비중합체(C)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인, 표면 보호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광학 부재.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전자 부재.
KR1020150102141A 2014-07-23 2015-07-20 표면 보호 필름 KR20160012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9675A JP2016023261A (ja) 2014-07-23 2014-07-23 表面保護フィルム
JPJP-P-2014-149675 2014-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80A true KR20160012080A (ko) 2016-02-02

Family

ID=5524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141A KR20160012080A (ko) 2014-07-23 2015-07-20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023261A (ko)
KR (1) KR20160012080A (ko)
CN (1) CN105315909A (ko)
TW (1) TW2016100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191A (ko) 2018-08-03 2020-02-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표면보호용 점착필름과 표면보호용 점착필름이 부착된 전자부재
KR20210079869A (ko) * 2019-12-20 2021-06-30 (주)이녹스첨단소재 화상표시장치 공정용 표면보호 점착필름
KR20210081799A (ko) * 2019-12-24 2021-07-02 (주)이녹스첨단소재 화상표시장치 공정용 표면보호 점착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4264B2 (ja) * 2014-12-02 2019-04-03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JP6172312B1 (ja) * 2016-02-18 2017-08-0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再剥離型粘着剤、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855743B2 (ja) * 2016-10-14 2021-04-0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7025231B2 (ja) * 2018-02-01 2022-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7080084B2 (ja) * 2018-03-28 2022-06-03 アイカ工業株式会社 2液型ウレタン系組成物
JP7122228B2 (ja) * 2018-11-06 2022-08-19 ライオン・スペシャリティ・ケミカルズ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0437787A (zh) * 2019-06-24 2019-11-12 萍乡高恒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自排气无溶剂聚氨酯压敏胶组合物
WO2021019868A1 (ja) * 2019-07-29 2021-02-04 昭和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組成物
CN113004824B (zh) * 2019-12-20 2023-01-10 利诺士尖端材料有限公司 视觉显示装置工序用表面保护粘结膜
CN113174217B (zh) * 2021-03-31 2022-11-08 淮安维嘉益集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硅保护膜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639A (ja) * 1999-03-08 2000-09-19 Toyo Ink Mfg Co Ltd ポリウレタン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塗工物
JP5725323B2 (ja) * 2009-02-13 2015-05-27 Dic株式会社 保護粘着フィルム
KR20140142240A (ko) * 2012-02-29 2014-12-11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재박리성 보호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5501489B1 (ja) * 2012-08-31 2014-05-21 日東電工株式会社 ウレタン系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JP5631422B2 (ja) * 2012-11-06 2014-11-26 日東電工株式会社 ウレタン系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191A (ko) 2018-08-03 2020-02-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표면보호용 점착필름과 표면보호용 점착필름이 부착된 전자부재
KR20210079869A (ko) * 2019-12-20 2021-06-30 (주)이녹스첨단소재 화상표시장치 공정용 표면보호 점착필름
KR20210081799A (ko) * 2019-12-24 2021-07-02 (주)이녹스첨단소재 화상표시장치 공정용 표면보호 점착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0082A (zh) 2016-03-16
JP2016023261A (ja) 2016-02-08
CN105315909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2080A (ko) 표면 보호 필름
US20140065415A1 (en) Uretha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20140243472A1 (en) Surface protective film
KR102198465B1 (ko) 우레탄계 점착제 및 그 점착제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132495B1 (ko) 표면 보호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WO2016152094A1 (ja) 粘着剤および粘着テープ
KR102158080B1 (ko) 표면 보호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JP714248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2285704B1 (ko) 표면 보호 필름
JP6101147B2 (ja) 樹脂組成物
KR20150039714A (ko) 점착제
KR102285701B1 (ko) 표면 보호 필름 부착 피착체
JP2014172989A (ja) 脆弱部材仮固定用粘着部材
JP6247936B2 (ja) ウレタン系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US20140037954A1 (en) Resin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KR102624350B1 (ko) 보호 필름
TW202031484A (zh) 補強用積層膜
WO2022138179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20149117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