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448A -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448A
KR20160009448A KR1020140090066A KR20140090066A KR20160009448A KR 20160009448 A KR20160009448 A KR 20160009448A KR 1020140090066 A KR1020140090066 A KR 1020140090066A KR 20140090066 A KR20140090066 A KR 20140090066A KR 20160009448 A KR20160009448 A KR 20160009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case
transfer line
clean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375B1 (ko
Inventor
경명수
박병옥
신중훈
Original Assignee
크룹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룹스(주) filed Critical 크룹스(주)
Priority to KR102014009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3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으로서,도장 공정 투입 전의 휴대폰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측면 클리닝 장치; 및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상면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에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 및 상면 모두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 작업이 자동 수행됨으로써 이물질 등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휴대폰 케이스를 도장 공정에 투입시킬 수 있어 휴대폰 케이스 완제품의 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System of Cleaning line for mobile case before painting process}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 성형된 휴대폰 케이스를 도장 공정의 투입 전에 마사지 클링닝을 자동 수행하는 클리닝 라인 시스템을 적용하여 휴대폰 케이스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먼지부터 각종 이물 등을 제거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 완성품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클리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휴대용 통신기기들이 보급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의 등장은 시장의 큰 변화를 일으켜 전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휴대용 통신기기들에 대한 수요 급증에 따라 공급 물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통신기기의 성능 차별화도 중요하지만 유사한 기능을 갖는 통신기기들 사이에서 소비자는 통신기기의 디자인적 측면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신기기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통신기기의 디자인에 직접적인 요인인 케이스 제조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과거의 단순한 케이스 제조 공정에 그치지 않고 각종 특수 공정들이 추가되고 있다.
가령,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하는 공정은 개략적으로 기본 공정과 특수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본공정은 금형과 플라스틱(Resin)을 사용해 휴대폰 케이스를 제작하는 사출부터 시작해 만들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색을 입히는 도장, 코팅 효과 또는 금속 질감을 생성하는 증착, 케이스 부속품 조립과 스티커 부착 등의 마감 작업인 조립의 순으로 진행된다.
특수공정으로서 후공정에서 휴대폰 케이스 질감과 코팅(Coating), 인쇄 등을 위한 공정이 추가될 수 있으며, 유·무광 코팅기술인 UV코팅, 규소와 티타늄을 입히는 공정인 멀티(Multi) 증착, 주석과 알루미늄 테두리를 구현하는 증착, 휴대폰 케이스 내 로고 등을 삽입하는 실크인쇄 등이 특수공정에 포함된다.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공정 중 하나가 도장 공정으로서, 디자인의 다양화와 심미감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도장 공정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도장 공정 자체에 대한 기술은 향상되고 있지만 정작 도장 공정에 투입되는 휴대폰 케이스 표면의 미세 먼지부터 각종 이물 등이 제거되지 않는 상태로 도장 공정이 이루어지면 이는 바로 도장 공정 후 제품 불량으로 유발되며, 제아무리 최신의 첨단 도장 시스템을 구축하였더라도 휴대폰 케이스 제품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도장 공정에 투입될 휴대폰 케이스에 분진, 이물, 유분 등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도장 공정이 수행되면 도장된 휴대폰 케이스 제품 표면에 돌출, 색상 변화 등의 불량이 발생되며, 일단 도장 공정이 수행된 휴대폰 케이스는 재생이 불가능하여 불량 제품 전량을 폐기 처분해야 함에 따라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상당히 발생된다.
이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휴대폰 케이스 제품의 불량률을 낮춰 수율을 높이기 위해 사출 성형된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에 인력을 동원하여 휴대폰 케이스를 일일이 마사지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의 표면에 존재하는 분진, 이물, 유분 등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케이스 생산 라인에서는 하루동안 보통 5000 내지 10000개의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도장 공정이 수행되는데, 제품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서는 도장 공정에 투입될 휴대폰 케이스를 마사지하기 위한 인력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게 되어 이로 인한 인건비 등의 요인으로 제품 단가를 상승시키며, 나아가서 수동으로 마사지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미쳐 마사지가 수행되지 않은 휴대폰 케이스도 발생되고 또한 인력으로부터 오염되는 휴대폰 케이스도 발생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장 공정에 투입될 휴대폰 케이스에 분진, 이물, 유분 등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도장 공정이 수행되면 도장된 휴대폰 케이스 제품 표면에 돌출, 색상 변화 등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일단 도장 공정이 수행된 휴대폰 케이스는 재생이 불가능하여 불량 제품 전량을 폐기 처분해야 함에 따라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자 한다.
특히 사출 성형된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에 인력을 동원하여 휴대폰 케이스를 일일이 마사지하는 공정을 도입하는 경우에 인건비 등으로 인해 제품 단가가 상승하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인력을 통한 수동으로 마사지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미쳐 마사지가 수행되지 않은 휴대폰 케이스도 발생되고, 인력으로부터 오염되는 휴대폰 케이스도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은 도장 공정 투입 전의 휴대폰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측면 클리닝 장치; 및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상면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이송 라인의 양측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한 쌍 이상의 측면 회전봉; 상기 측면 회전봉의 외면에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위치되는 공간 높이에 대응되어 장착되며,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을 상기 측면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마사지 클리닝하는 측면 브러쉬; 및 상기 측면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측면 회전봉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이송 라인의 상부에 상기 이송 라인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상면 회전봉; 상기 상면 회전봉의 외면에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위치되는 공간 높이에 대응되어 장착되며,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을 상기 상면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마사지 클리닝하는 상면 브러쉬; 및 상기 상면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상면 회전부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이송 라인을 중심으로 한쌍의 측면 회전봉에 장착된 측면 브러쉬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는, 한 쌍 이상의 상기 측면 브러쉬는 상기 이송 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구분하여, 한측의 측면 브러쉬의 측면 회전봉이 연결되는 하나의 측면 회전 지지봉 지지 플레이트와; 다른 한측의 측면 브러쉬의 측면 회전봉이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측면 회전 지지봉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은, 두 개의 상기 회전 지지봉 지지 플레이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상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이 위치되는 공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면 회전봉에 장착된 상기 상면 브러쉬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면 브러쉬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상면 회전봉의 양단이 연결되는 상면 회전봉 지지부와; 상기 상면 회전봉 지지부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 브러쉬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상면 회전봉 지지와 상기 상부 프레임 간의 거리 조절로 상기 상면 브러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끝단에는 상기 이송 라인에 연결되는 이송 라인 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휴대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케이스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 라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휴대폰 케이스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지그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 수단은, 상기 이송 라인 연결부와 상기 케이스 고정부를 연결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고정부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두 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 사이에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은, 상기 이송 라인의 측면에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이송 라인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회전을 안내하는 케이스 회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지그 수단의 케이스 고정부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와 상면 클리닝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상기 지그 수단의 가이드 핀이 위치하는 공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라인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휴대폰 케이스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을 각각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와 상기 상면 클리닝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휴대폰의 마사지 클리닝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에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포함하는 집진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에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 및 상면 모두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 작업이 자동 수행됨으로써 이물질 등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휴대폰 케이스를 도장 공정에 투입시킬 수 있어 휴대폰 케이스 완제품의 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사출 성형된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에 인력을 동원하여 일일이 마사지하는 공정에 대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 생산에 대한 인력 소요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제품 생산 단가가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력을 이용하는 수동 공정시 미쳐 마사지 클리닝이 수행되지 않는 휴대폰 케이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결되고, 특히 인력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가 오염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이송 라인과 지그 수단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측면 클리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측면 클리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세부 구성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 사이즈에 따라 가이드 라인과 브러쉬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상면 클리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상면 클리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세부 구성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집진 수단이 구비된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0은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 휴대폰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동작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된 휴대폰 케이스를 도장 공정의 투입 전에 마사지 클링닝을 수행하여 휴대폰 케이스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먼지부터 각종 이물 등을 제거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 완성품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클리닝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도장 공정 투입 전의 휴대폰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측면 클리닝 장치 및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상면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 및 상면 클리닝 장치는 상황에 따라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마사지 클리닝 공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100)은 이송 라인(200)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와 상면 클리닝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는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며, 상면 클리닝 장치(400)는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을 마시지 클리닝한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이송 라인(200) 상에 순차적으로 두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를 설치하였는데, 이중 하나는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장길이 방향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휴대폰 케이스의 단길이 방향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장치로 구성하였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이송 라인(200)의 끝단은 도장 시스템에 바로 연결될 수 있으며, 마사지 클리닝 공정을 거친 휴대폰 케이스를 바로 도장 공정으로 투입시킴으로써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은 보다 깨끗한 상태의 휴대폰 케이스를 도장 공정에 투입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도장 공정의 수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케이스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을 각각 개별적으로 마사지 클리닝시키기 위해서 두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를 설치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하나의 측면 클리닝 장치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 모두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송 라인(200) 상에 휴대폰 케이스를 지지하며 고정시키는 구성을 바로 배치하여 이송 라인(200)의 면상에서 휴대폰 케이스가 이송될 수도 있으나,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를 지지시키면서 이송 라인(200)의 구동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지그 수단(500)이 이송 라인(20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송 라인(200)과 지그 수단(500)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좀더 살펴보자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이송 라인과 지그 수단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송 라인(200)은 일정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250)를 포함하는데, 컨베이어 벨트(250) 상에 지그 수단(500)이 탈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을 도입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그 수단(500)의 이동을 도모할 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컨베이어벨트(250)는 체인 등으로 대체가능하고, 또한 컨베이어벨트(250) 방식외에도 회전하는 볼 등을 이송 라인(200) 내부에 일정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함으로써 이송 라인(200)에 배치된 볼의 회전 동작에 따라 지그 수단(500)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지그 수단(500)에는 일측에 휴대폰 케이스(10)가 놓여 고정되는 케이스 고정부(5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송 라인(200)에 연결되는 이송 라인 연결부(530)가 형성되며, 케이스 고정부(510)와 이송 라인 연결부(530)를 연결시키는 지지축(5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를 휴대폰 케이스 내면 형상에 대응시켜 휴대폰 케이스가 탈착 가능한 면으로 형성시켰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고정부(510)는 신장 가능한 막대를 구비하여 휴대폰 케이스의 내면이 막대에 걸려 파지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고 또는 휴대폰 케이스 내면이 접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폰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과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라인(200) 상에는 지그 수단(500)의 이송 라인 연결부(530)가 끼워져서 이탈되지 않도록 홈 형태의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홈 형태의 내부 단면적에 대응되어 지그 수단(500)의 이송 라인 연결부(530)가 형성되고 상기 홈 라인 상에 지그 수단(500)의 이송 라인 연결부(530)가 체결됨으로써 컨베이어벨트(250)와 함께 이송 라인 연결부(530)가 동작하여 지그 수단(500)이 이동될 수 있다. 지그 수단(500)의 이송 라인 연결부(530)와 이송 라인(200) 간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가령 이송 라인(200)과 이송 라인 연결부(530)가 탈착되는 구조로 변형되거나 컨베이어벨트(250)에 이송 라인 연결부(530)가 고정되는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는 지지축(5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케이스 고정부(510) 하면의 중심에 돌기(515)가 형성되고 케이스 고정부(510)에 연결되는 지지축(520)의 끝단에 케이스 고정부(510)의 돌기(515)에 대응되는 홈(525)이 형성되어 돌기(515)와 홈(525)이 맞물려서 케이스 고정부(510)가 지지축(520)에 연결되는 동시에 지지축(520)을 중심으로 케이스 고정부(5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 고정부(510)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도록 베어링 등이 돌기(515)와 홈(525)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이 선택되거나 상이한 길이를 갖는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클리닝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 하면에는 가이드 핀(54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도 2에서는 케이스 고정부(510) 하면의 모서리 부근 각각에 네개의 가이드 핀(540)을 형성시켰다. 물론 가이드 핀(540)의 형태와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형되거나 선택될 수 있으며, 가이드 핀(540)이 형성되는 위치도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의 하면 외에 다른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송 라인(200)을 따라 휴대폰 케이스(10)가 이송되면서 마사지 클리닝 공정이 수행됨으로써 이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10)에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케이스 고정부(510)의 가이드 핀(540)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10)가 이송되는 경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이후의 실시예를 통해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2와 같은 이송 라인(200)과 지그 수단(500)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1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라인(200)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와 상면 클리닝 장치(400)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10)의 마사지 클리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마사지 클리닝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하여 그 실시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측면 클리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측면 클리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세부 구성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도 3과 도 4를 같이 참조하여 측면 클리닝 장치(30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측면 클리닝 장치(300)는 휴대폰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200)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휴대폰 케이스(10)의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측면 브러쉬(32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가 이송 경로 상에서 이탈되거나 장착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3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측면 브러쉬(320)와 관련된 구성을 살펴보면, 측면 브러쉬(320)는 이송 라인(200)과 수직하게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이송 라인(200)을 통해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마사지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측면 브러쉬(320)는 측면 회전봉(330)을 둘러싸며 장착될 수 있고, 측면 회전봉(330)의 끝단이 측면 회전봉 구동 수단(340)에 연결될 수 있다. 측면 회전봉 구동 수단(340)은 모터 등을 포함하여 회전력을 측면 브러쉬(3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측면 회전봉 구동 수단(340)의 회전력이 측면 회전봉(330)을 통해 측면 브러쉬(32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측면 브러쉬(320)가 오염된 경우에 측면 브러쉬(320)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브러쉬(320)는 휴대폰 케이스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부드러우면서 유분 등을 흡수할 수 있고 미세 먼지를 털어내거나 붙일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일례로서 극세사 재질로 제작된 브러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측면 브러쉬(320)는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위치되는 공간 높이 상의 프레임(310) 위치에 장착되는데, 상기 도 2에서 살펴본 지그 수단(500)을 적용하는 경우에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가 위치되는 공간 높이에 대응되어 측면 브러쉬(320)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서 측면 브러쉬(320)는 이송 라인(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 쌍의 측면 브러쉬(320)가 이송 라인(200)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 라인(200)을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 브러쉬(320)를 쌍을 이뤄 배치시킴으로써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대응되는 양측면을 동시에 마사지 클리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측면 브러쉬(320)의 측면 회전봉(330)은 측면 클리닝 장치(300)의 프레임(310) 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때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 간의 이격 간격이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사이즈에 대응되어야 휴대폰 케이스(10)의 양측면에 대한 원활한 마사지 클리닝이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폰 케이스(10)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을 선택적으로 마사지 클리닝하거나 상이한 사이즈의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을 수행하기 위해서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 간의 이격 간격의 조절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클리닝 장치(300)는 측면 회전봉(330)을 측면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시키고 측면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를 이동시킬 수 있는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을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에는 나사와 너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의 측면 회전봉(330) 각각에 연결되는 두개의 측면 브러쉬 연결부(355a, 355b)는 너트 구조로 형성시키고, 측면 브러쉬 연결부(355a, 355b)에 체결되어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 간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측면 브러쉬 조정부(351a, 351b)는 나사 구조로 형성시켰다. 보다 명확하게는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각각의 측면 회전봉(330)이 연결되는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a, 357b)에 측면 브러쉬 연결부(355a, 355b)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에 대응되는 각 부분의 측면 브러쉬 조정부(351a, 351b)의 나사선을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일측 방향으로 측면 브러쉬 조정부(351a, 351b)를 회전시키면 측면 브러쉬 조정부(351a, 351b)의 서로 다른 나사선 방향을 따라 너트 구조의 측면 브러쉬 연결부(355a, 355b)가 나사선에 맞물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가 이송 라인(200)측을 향해 점점 가까워지도록 이동되거나 점점 더 멀어지도록 이동됨으로써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의 이격 거리가 줄어들거나 늘어나게 된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한쌍을 이루는 측면 브러쉬(320) 각각에 대응되어 형성된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a, 350b)을 통해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 간의 간격 D2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와 같이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을 통해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의 이격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장길이 방향 측면이나 단길이 방향 측면을 선택적으로 마사지 클리닝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a, 350b)을 통해 사이즈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해서도 하나의 측면 클리닝 장치(300)를 통해 마사지 클리닝이 가능하다.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의 측면 브러쉬 조정부(351a, 351b)의 조정은 인력을 통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치수로 자동 조절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a, 350b)에는 나사와 너트 구조를 채용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3과 도 4로 회귀하여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50)를 이송 라인(200)을 따라 복수개 배치하는 경우에 복수쌍의 측면 브러쉬(350) 모두의 이격 간격을 일일히 조절하는 것이 번거로우므로 상기 도 3과 같이 이송 라인(200)을 중심으로 복수 쌍의 측면 브러쉬(320)를 양측으로 구분하여 이송 라인(200)의 일측면에 배치된 측면 브러쉬(320)들의 측면 회전봉(330)들이 하나의 측면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에 설치되고, 이송 라인(200)의 타측면에 배치된 측면 브러쉬(320)들의 측면 회전봉(330)들이 다른 하나의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은 두개의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에 설치된 측면 브러쉬(320)들의 간격이 상호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4에서 쌍을 이룬 측면 브러쉬(320)의 측면 회전봉(330)을 각기 다른 측면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a, 357b)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회전봉 지지 플레이트(357)를 적용함으로써 단 한번에 복수쌍의 측면 브러쉬(320) 모두에 대하여 동일한 이격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 3과 도 4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측면 브러쉬(320)마다 대응되는 개별적인 측면 회전봉 구동 수단(340)을 설치하였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 3과 같이 각각의 측면 브러쉬(320)마다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을 개별적으로 구비시키지 않고 하나 또는 복수개의 모터에 기어와 회전축을 연결하여 복수개 또는 그룹별 측면 브러쉬(3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 라인(370)과 관련된 구성을 살펴보면, 측면 브러쉬(320)가 휴대폰 케이스(10)를 마사지 클리닝함에 따라 발생되는 외력이나 진동으로 인해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장착 각도가 틀어지거나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측면 클리닝 장치(300)에는 가이드 라인(370)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이송 라인(200)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휴대폰 케이스(10)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 형태로 가이드 라인(370)을 형성시켰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가이드 라인(370)은 휴대폰 케이스(10)의 경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과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 레일 형태의 가이드 라인(370)을 통해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에 형성된 가이드 핀(540)이 가이드 라인(370)의 레일 안쪽면을 따라 이동해 가도록 안내됨으로써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에 장착된 휴대폰 케이스(10)가 뒤틀리거나 이탈되지 않고 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가이드 라인(370)을 상기 도 3 및 도 4와 같이 평행 레일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는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의 선택에 따라 평행 레일의 폭이 조절될 필요가 있고 또한 상이한 사이즈의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그 폭이 조절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클리닝 장치(300)에는 가이드 라인(370)의 평행 레일 폭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390)이 구비할 수도 있다.
평행 레일 형태의 가이드 라인(370)은 가이드 라인 지지부(375)를 통해 측면 클리닝 장치(300)의 프레임(310)으로 연결되며,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390)은 가이드 라인 지지부(375)의 끝단 표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 레일(395)와 돌기 레일(395)에 대응되어 측면 클리닝 장치(300)의 프레임(310)에 설치된 톱니 바퀴를 포함하는 가이드 라인 조절부(3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390)의 구성을 통해 가이드 라인 조절부(391)의 톱니 바퀴를 회전시키면 톱니 바퀴의 회전 운동이 돌기 레일(395)을 직선 운동시킴으로서 가이드 라인 지지부(375)에 연결된 가이드 라인(370)이 움직여 그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평행 레일 형태의 가이드 라인(370)은 각각 가이드 라인 지지부(375)를 통해 측면 클리닝 장치(300)의 프레임(310)에 연결되어 D1의 폭으로 형성되는데,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390)의 가이드 라인 조절부(391)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라인(370)의 평행 레일 폭 D1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에 형성된 가이드 핀(540)에 맞춰서 가이드 라인(370)의 평행 레일 폭 D1을 조절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10)의 장길이 방향 측면이나 단길이 방향 측면을 선택적으로 마사지 클리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사이즈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그에 맞춰서 가이드 라인(370)의 평행 레일 폭 조절이 가능해진다.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390)의 가이드 라인 조절부(391)의 조정은 인력을 통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치수로 자동 조절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측면 클리닝 장치(300)를 통해 이송 라인(200)으로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마사지 클리닝할 수 있으며, 특히 측면 클리닝 장치(300)에서는 휴대폰 케이스(10)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에 대한 선택적인 마사지 클리닝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각기 상이한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해서도 마사지 클리닝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상면 클리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상면 클리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세부 구성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도 6과 도 7을 같이 참조하여 상면 클리닝 장치(40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면 클리닝 장치(400)도 측면 클리닝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휴대폰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200)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휴대폰 케이스(10)의 상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상면 브러쉬(42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가 이송 경로 상에서 이탈되거나 장착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4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상면 브러쉬(420)와 관련된 구성을 살펴보면, 상면 브러쉬(420)는 이송 라인(200)과 직교 방향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상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면 브러쉬(420)가 상면 회전봉(423)을 둘러싸며 장착되어 상면 브러쉬(420)가 오염된 경우에 상면 브러쉬(420)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면 회전봉(430)의 회전에 따라 상면 브러쉬(420)가 회전하여 휴대폰 케이스(10)의 상면을 마사지 클리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면 브러쉬(420)는 측면 브러쉬(320)와 마찬가지로 휴대폰 케이스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부드러우면서 유분 등을 흡수할 수 있고 미세 먼지를 털어내거나 붙일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면 회전봉(430)의 일측 끝단이 상면 회전봉 구동 수단(440)에 연결되며, 상면 회전봉 구동 수단(440)은 모터 등을 포함하여 회전력을 상면 브러쉬(4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면 회전봉(430)의 양단은 상면 회전봉 지지부(455)에 연결되고 상면 회전봉 지지부(445)가 상면 클리닝 장치(400)의 상부 프레임(415)에 연결되어 상면 브러쉬(420)가 지지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2에서 살펴본 지그 수단(500)을 적용하는 경우에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에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10)가 위치되는 공간 높이에 대응되어 그 상부로 상면 브러쉬(4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이한 사이즈의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상면 클리닝 장치(400)는 상면 브러쉬 높이 조절 수단(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 브러쉬 높이 조절 수단(450)은 상기 도 7과 같이 간단하게 나사와 너트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데, 상면 회전봉 지지부(455)에 연결되되 자유 회전 가능한 나사 구조의 측면 브러쉬 조정부와 상면 클리닝 장치(400)의 상부 프레임(415)에 너트 구조의 상면 브러쉬 연결부를 포함하여, 너트 구조의 상면 브러쉬 연결부 상에서 나사 구조의 측면 브러쉬 조정부가 회전함에 따라 너트에 맞물린 나사가 이동함으로써 상면 브러쉬(4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도 6과 같이 복수개의 상면 브러쉬(4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면 브러쉬(420)마다 대응되는 개별적인 상면 회전봉 구동 수단(440)이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각각의 측면 브러쉬(320)마다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을 개별적으로 구비시키지 않고 하나의 모터에 기어와 회전축을 연결하여 복수개의 상면 브러쉬(4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면 클리닝 장치(400)에도 가이드 라인(47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선택적인 구성으로서 앞서 살펴본 측면 클리닝 장치(300)의 가이드 라인(370)과 동일하게 구성시킬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면 클리닝 장치(400)를 통해 이송 라인(200)으로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10)의 상면을 효과적으로 마사지 클리닝할 수 있으며, 상면 브러쉬(420)의 장착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이한 높이의 다양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해서도 마사지 클리닝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클리닝 장치(300)와 상면 클리닝 장치(400)의 동작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10)의 마사지 클리닝으로 분진 등의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으며, 마사지 클리닝 공정이 수행된 휴대폰 케이스(10)가 다시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측면 클리닝 장치(300)와 상면 클리닝 장치(400)에는 집진 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집진 수단이 구비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8은 상면 클리닝 장치(400)에 집진 수단이 설치된 실시예로서, 상기 도 8에서 집진 수단은 상면 클리닝 장치(4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을 흡입하기 위한 팬이 설치된 집진부(610)와 집진부(610)에 집진된 분진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6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집진 수단은 상면 클리닝 장치(400) 뿐만 아니라 측면 클리닝 장치(300)에도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맨 마지막 단에 배치된 마사지 클리닝 장치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은 이송 라인(200)을 따라 측면 클리닝 장치(300)와 상면 클리닝 장치(400)가 필요에 따른 선택적인 순번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설치되는 마사지 클리닝 장치의 수도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이송 라인을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측면 클리닝 장치(300a)와 다른 한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측면 클리닝 장치(300b)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그 다음 상면 클리닝 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를 배치하여 휴대폰 케이스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을 선택적으로 마사지 클리닝시키기 위해서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를 회전시켜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을 선택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을 구비하여 휴대폰 케이스의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와 도 10에 도시된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 휴대폰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동작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휴대폰 케이스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앞서 상기 도 2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는 지지축(5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이 이송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두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와 상면 클리닝 장치(400)로 구성된 경우에 두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 사이에 휴대폰 케이스를 회전시켜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을 선택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이 구비된다.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으로 ??자 형태의 바를 적용하였는데,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은 두 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300a, 300b) 사이의 이송 라인 측면에 고정 설치된 기둥(630)과 기둥의 끝단으로부터 이송 라인을 향해 돌출된 케이스 회전부(6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이 적용된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을 동작을 상기 도 9와 도 10을 통해 살펴보면, 먼저 상기 도 9의 A 부분과 상기 도 10의 (a)와 같이 지그 수단의 케이스 고정부에 휴대폰 케이스를 장착시키는데, 휴대폰 케이스(10a)의 단길이 방향 측면으로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투입되도록 설정하였다. 물론 클리닝 라인 시스템에 투입되는 휴대폰 케이스를 장길이 방향 측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도 9의 B 부분에서 첫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a)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10b)의 단길이 방향 측면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이 수행되는데, 앞서 상기 도 4와 도 5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첫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a)의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10b)의 단길이 방향 측면에 맞춰서 브러쉬간의 간격 D2가 조절되어야 한다. 또한 가이드 라인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을 통해 가이드 라인의 평행 레일 폭 D1이 조절되어야 한다.
첫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a)을 통과하여 휴대폰 케이스(10b)의 단길이 방향 측면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이 수행된 후 두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b)에 투입되기 전인 상기 도 9의 B 부분에서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10c)를 회전시키는데, 상기 도 10의 (b)와 같이 첫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a)를 통과한 휴대폰 케이스(10b)가 이송 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면서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에 이르면 상기 도 10의 (c)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의 케이스 회전부(610)에 휴대폰 케이스(10c)의 일측이 밀리게 되며, 이로 인해 휴대폰 케이스(10c)가 장착된 상기 도 2의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는 지지축(52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지그 수단(500)의 케이스 고정부(510)가 지지축(520)을 중심으로 90도 각도 회전하면 상기 도 10의 (d)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의 케이스 회전부(610)는 휴대폰 케이스(10d)의 측면을 따라 회전 각도를 안내하게 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10d)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600)에 의해 회전된 휴대폰 케이스(10d)는 상기 도 9의 D 부분에서와 같이 장길이 방향 측면으로 두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b)으로 투입되어 두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b)에서 휴대폰 케이스(10d)의 장길이 방향 측면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이 수행되게 된다.
이때 두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b)는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350)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10d)의 장길이 방향 측면에 맞춰서 브러쉬간의 간격 D2가 조절되어야 하며, 가이드 라인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을 통해 가이드 라인의 평행 레일 폭 D1이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송 레일(200)을 따라 첫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a)와 두번째 측면 클리닝 장치(30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휴대폰 케이스(10e)는 장길이 방향 측면과 단길이 방향 측면 모두에 대하여 마사지 클리닝이 수행될 수 있다.
측면 모두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이 완료된 휴대폰 케이스(10e)는 상기 도 9의 E 부분에서와 같이 이송 라인(200)을 따라 상면 클리닝 장치(400)로 투입되어 상면 클리닝 장치(400)에서 휴대폰 케이스(10e)의 상면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이 수행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라인 시스템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에 측면 및 상면 모두에 대한 마사지 클리닝 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이물질 등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휴대폰 케이스를 도장 공정에 투입시킬 수 있어 휴대폰 케이스 완제품의 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a, 10b, 10c, 10d, 10e : 휴대폰 케이스.
100 : 클리닝 라인 시스템,
200 : 이송 라인, 250 : 컨베이어벨트,
300, 300a, 300b : 측면 클리닝 장치,
310 : 프레임,
320 : 측면 브러쉬, 330 : 측면 회전봉,
340 : 측면 회전봉 구동 수단,
350, 350a, 350b :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
370 : 가이드 라인, 390 :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
400 : 상면 클리닝 장치,
410 : 프레임, 415 : 상부 프레임,
420 : 상면 브러쉬, 430 : 상면 회전봉,
440 : 상면 회전봉 구동 수단,
450 : 상면 브러쉬 높이 조절 수단,
470 : 가이드 라인, 490 : 가이드 라인 조절 수단,
500 : 지그 수단,
510 : 케이스 고정부, 520 : 지지축,
530 : 이송 라인 연결부, 540 : 가이드 핀,
600 : 배기관, 610 : 집진부.

Claims (13)

  1. 도장 공정 투입 전의 휴대폰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측면 클리닝 장치; 및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을 마사지 클리닝시키는 상면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이송 라인의 양측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한 쌍 이상의 측면 회전봉;
    상기 측면 회전봉의 외면에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위치되는 공간 높이에 대응되어 장착되며,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을 상기 측면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마사지 클리닝하는 측면 브러쉬; 및
    상기 측면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측면 회전봉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이송 라인의 상부에 상기 이송 라인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상면 회전봉;
    상기 상면 회전봉의 외면에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위치되는 공간 높이에 대응되어 장착되며,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을 상기 상면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마사지 클리닝하는 상면 브러쉬; 및
    상기 상면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상면 회전부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이송 라인을 중심으로 한쌍의 측면 회전봉에 장착된 측면 브러쉬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는,
    한 쌍 이상의 상기 측면 브러쉬는 상기 이송 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구분하여, 한측의 측면 브러쉬의 측면 회전봉이 연결되는 하나의 측면 회전 지지봉 지지 플레이트와; 다른 한측의 측면 브러쉬의 측면 회전봉이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측면 회전 지지봉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브러쉬 간격 조절 수단은,
    두 개의 상기 회전 지지봉 지지 플레이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면이 위치되는 공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면 회전봉에 장착된 상기 상면 브러쉬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면 브러쉬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클리닝 장치는,
    상기 상면 회전봉의 양단이 연결되는 상면 회전봉 지지부와;
    상기 상면 회전봉 지지부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 브러쉬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상면 회전봉 지지와 상기 상부 프레임 간의 거리 조절로 상기 상면 브러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끝단에는 상기 이송 라인에 연결되는 이송 라인 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휴대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케이스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 라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휴대폰 케이스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지그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수단은,
    상기 이송 라인 연결부와 상기 케이스 고정부를 연결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고정부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두 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측면 클리닝 장치 사이에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 회전 수단은,
    상기 이송 라인의 측면에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이송 라인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회전을 안내하는 케이스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수단의 케이스 고정부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와 상면 클리닝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상기 지그 수단의 가이드 핀이 위치하는 공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 라인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휴대폰 케이스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라인을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측면 클리닝 장치와 상기 상면 클리닝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휴대폰의 마사지 클리닝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에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포함하는 집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클리닝 라인 시스템.
KR1020140090066A 2014-07-16 2014-07-16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KR10168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066A KR101689375B1 (ko) 2014-07-16 2014-07-16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066A KR101689375B1 (ko) 2014-07-16 2014-07-16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000A Division KR20160009520A (ko) 2015-12-17 2015-12-17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KR1020160075213A Division KR101689373B1 (ko) 2016-06-16 2016-06-16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448A true KR20160009448A (ko) 2016-01-26
KR101689375B1 KR101689375B1 (ko) 2016-12-26

Family

ID=5530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066A KR101689375B1 (ko) 2014-07-16 2014-07-16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3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513A (ko) * 2001-07-03 2003-01-10 주식회사 케이씨텍 브러시를 이용한 세정장치
KR100623936B1 (ko) * 2005-03-28 2006-09-13 김노수 핸드폰 케이스 자동 코팅장치용 제전 및 제진기
KR101244040B1 (ko) * 2011-07-22 2013-03-15 반정석 스마트폰 자동 세정기
KR20140041040A (ko) * 2012-09-27 2014-04-04 김대중 스마트폰 소독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513A (ko) * 2001-07-03 2003-01-10 주식회사 케이씨텍 브러시를 이용한 세정장치
KR100623936B1 (ko) * 2005-03-28 2006-09-13 김노수 핸드폰 케이스 자동 코팅장치용 제전 및 제진기
KR101244040B1 (ko) * 2011-07-22 2013-03-15 반정석 스마트폰 자동 세정기
KR20140041040A (ko) * 2012-09-27 2014-04-04 김대중 스마트폰 소독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375B1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614B2 (en) Deburring machine
KR101718199B1 (ko) 청소장치
CN109955145B (zh) 一种全自动研磨清洗机及其研磨清洗工艺
JP2013526915A (ja) 壁用の洗浄装置
KR20090025884A (ko) 사각 파이프 표면 브러싱 장치
CN110695347A (zh) 一种砂型铸造工件后处理工序落砂处理方法
CN115648012B (zh) 一种玻璃制品表面处理设备
CN109201639B (zh) 一种钢管清洗设备及其清洗方法
US9233441B2 (en) Machining system
KR101689373B1 (ko)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KR101689375B1 (ko) 휴대폰 케이스의 도장 공정 투입 전 클리닝 라인 시스템
CN203494841U (zh) 清洁机构
CN108423392B (zh) 一种具有驱动机构的物料传输装置
CN109877082B (zh) 一种立式清洁设备及其清洁方法
CN205703647U (zh) 一种手机壳打磨抛光机器人
CN107283259B (zh) 一种用于光学镜头抛光机的自动上下料设备的上下料方法
KR100806223B1 (ko) 기판 세정장치
KR102192869B1 (ko)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시스템
KR101374226B1 (ko) 렌즈용 트레이 및 지그 세척장치
CN106926569A (zh) 一种新型大玻璃板印刷机
CN208288639U (zh) 玻璃双面清刷机和玻璃双面清刷设备
CN205926375U (zh) 一种架设于流水线上的除尘装置
CN218340448U (zh) 一种电池清洗装置
CN214235188U (zh) 一种曲面清洗机
KR20130103156A (ko) 샤프트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