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356A -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356A
KR20160007356A KR1020150084500A KR20150084500A KR20160007356A KR 20160007356 A KR20160007356 A KR 20160007356A KR 1020150084500 A KR1020150084500 A KR 1020150084500A KR 20150084500 A KR20150084500 A KR 20150084500A KR 20160007356 A KR20160007356 A KR 20160007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epoxy resin
polarizer
plate according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756B1 (ko
Inventor
타츠히로 스와
히로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1)은, 편광자(2)와, 편광자(2)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9)과, 접착제층(9)을 개재해서 편광자(2)의 양면에 첩부된 보호 필름(3)을 포함한다. 접착제층(9)은, 분기 구조 및 상기 분기 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성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3작용성 이상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광산발생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편광자 및 보호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편광자에 있어서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디스플레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액정 디스플레이는, 보다 전력 절약형이며 해상도가 높아 많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광 셔터의 역할을 하는 편광판이 액정과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편광판은 편광자를 구비한다. 통상,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5배 내지 6배의 길이로 1축 연신시켜 제조되므로, 연신방향으로 갈라지기 쉽고, 무른 결점이 있다. 그 때문에, 편광자는 그 표면 및/또는 이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의 수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착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난접착성 필름과의 접착이 곤란하고, 생산성의 향상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JP4306270 B)은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 및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제안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 특허문헌 2(JP2008-257199 A)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지니고, 에폭시기 중 적어도 1개가 지환족 에폭시기인 에폭시 수지(A),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지니고, 지환족 에폭시기를 실질적으로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B) 및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C)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접착제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쌍방에 대한 접착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내열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편광자에 균열이 생기기 쉬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JP4306270 B
(특허문헌 2) JP2008-257199 A
본 발명의 하나의 과제는 편광자 및 보호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편광자에 있어서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접착제를 무용제형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도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아, 박막 접착제층의 형성이 가능한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광경화 방식으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더욱 우수한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이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상기 분기 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성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광산발생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편광자 및 보호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편광자의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무용제형으로 적용할 수 있고, 박막형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광경화 방식으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초기 경화성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1)은, 편광자(2)와, 편광자(2)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9)과, 접착제층(9)을 개재해서 편광자(2)의 양면에 첩부된 편광판용 보호 필름(이하, 간단히 「보호 필름」이라고 할 경우가 있음)(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착제층(9)은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분기 구조에 적어도 1작용성의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광산발생제;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편광판용 접착제층(9)이 편광자(2)의 양면에 첩부된 경우만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접착제층(9)이 편광자(2)의 일면에만 첩부되는 경우와 양면에 첩부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편광자>
편광자(2)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포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재료를 흡착시켜서 1축 연신시킨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평균 중합도 2000 내지 2800, 비누화도 90몰% 내지 10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5배 내지 6배로 1축 연신시켜 제조한 편광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시켜서 염색하고, 연신시켜 얻어진다. 요오드의 수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의 0.1중량% 내지 1.0중량%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50℃ 내지 70℃의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시켜도 되고, 세정이나 염색 얼룩 방지를 위하여, 25℃ 내지 35℃의 물에 침지시켜도 된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행해도, 염색하면서 연신시켜도, 연신시키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염색 및 연신 후에는, 수세하고, 35 내지 55℃에서 1 내지 10분 정도, 건조시켜도 된다.
<보호 필름>
보호 필름(3)으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셀룰로스 다이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타이렌이나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사이클로계 내지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터설폰계 수지, 폴리에터에터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비닐 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 뷰티랄계 수지, 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보호 필름(3)에는, 셀룰로스와 지방산의 에스터인 셀룰로스계 수지, 또는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COP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스계 수지로서는,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TAC 필름), 셀룰로스 다이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트라이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 다이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입수 용이성이나 비용의 점에서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는, 비누화된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미비누화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로서는, 일본국공고특허 평 2-9619호 공보에 기재된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류의 개환 중합체 등을 수소첨가 반응시켜서 얻어진 중합체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TAC 필름의 시판품으로서는, 후지필름 주식회사 제품인 UV-50, UV-80, SH-80, TD-80U, TD-TAC, UZ-TAC, 코니카미놀타옵토 주식회사 제품인 KC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COP 필름의 시판품으로서는, JSR 주식회사 제품인 아톤(ARTON)(등록상표)이나, 니혼제온 주식회사 제품인 제오넥스(ZEONEX)(등록상표) 시리즈, 제오노아(ZEONOR)(등록상표) 시리즈를 들 수 있다. PET 필름의 시판품으로서는, 토요보세키 주식회사 제품인 코스모샤인(COSMOSHINE)(등록상표) 시리즈를 들 수 있다.
보호 필름(3)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 처리에 의해서 개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 처리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인 코로나 방전 처리 장치(예를 들면, 카스가덴키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해서 처리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함으로써, 보호 필름(3)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수산기 등의 활성기가 형성되어, 이것이 보다 접착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보호 필름(3)으로서 비누화된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와 마찬가지의 접착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코로나 방전 처리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그러나, 비누화 처리는 공정이 복잡하고 고비용으로 되므로, 미비누화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테이트를 코로나 방전 처리해서 이용하는 쪽이 제조 공정상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 시의 방전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30 내지 300 W·min/㎡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 W·min/㎡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보호 필름(3) 자체를 열화시키는 일 없이 보호 필름(3)과 접착제층(9)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전량이란 코로나 방전에 의한 대상물에의 일량이며, 하기 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식 1]
(방전량) = (방전 전력)/{(대상물 처리 속도)× (전극장치)}.
<접착제층>
일 실시예의 접착제층(9)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분기 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성의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광산발생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접착제 층은 접착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냉열 사이클 등의 열충격 시험에 있어서의 편광자(2)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5 N/25 mm 내지 15 N/25 mm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편광판의 내구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층의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는 8 N/25 mm 내지 12 N/25 mm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박막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서 특히 편광판의 내구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제층은 시클로 올레핀(COP)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1 N/25 mm 내지 3.5 N/25 mm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편광판의 내구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층의 올레핀(COP)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는 2 N/25 mm 내지 3 N/25 mm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박막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서 특히 편광판의 내구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방향족 에폭시 수지
본 명세서에서,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분기 구조에 1작용성의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이하,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함유하는 동시에, 상기 작용성 에폭시기 중 1개 이상을 지닌 분기 구조를 포함하며 방향족 골격을 갖는 에폭시 수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작용성 에폭시기」는 에폭시기를 작용기로 포함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작용성 에폭시기는 예를 들면, 글라이시딜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족 골격」은 분자가 골격 구조 내에 방향환(aromatic rings)을 포함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방향환은 예를 들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젠고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편광자에 대한 보호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편광자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3개 이상의 작용성 에폭시기를 갖는 동시에, 골격 내에 방향환(aromatic rings)을 2개 이상 갖고, 상기 3개 이상의 작용성 에폭시기 중 하나 이상이 분기 구조에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편광자에 대한 보호층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편광자의 크랙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용성 에폭시기는 3 개 내지 4 개로 함유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분기 구조에 1작용성의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면, 분자 중에 3개의 글라이시딜기를 갖는 3작용성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또는 분자 중에 4개의 글라이시딜기를 갖는 4작용성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환은 2 개 내지 5 개로 함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분기 구조에 1작용성의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수지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Y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 내지 3에서, R5 내지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01 내지 R0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또, 상기 화학식 2 내지 3에서 「*」로 표시되는 기호는 화학식 1과의 결합부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수지」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최소단위로 포함하는 수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분기 구조에 1작용성의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트리스페놀의 글라이시딜에터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트리스페놀의 글라이시딜에터 수지는 예를 들면, 하기의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및 화학식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5]
Figure pat00005
[화학식 6]
Figure pat00006
[화학식 7]
Figure pat00007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수지로서 상기 화학식 5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트리스페놀의 글라이시딜에터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냉열 사이클 등의 열충격 시험 시 편광자의 크랙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분기 구조에 1작용성의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작용성 에폭시기를 4개 이상 갖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at00008
[화학식 9]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8 내지 9에서, R25 내지 R6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04 내지 R0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작용성 에폭시기를 4개 이상 갖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0 또는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수지일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화학식 11]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1에서, R은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방향족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접착제층(9)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5중량% 내지 40중량%가 바람직하고, 5 중량% 내지 3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8 중량% 내지 30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판의 내구 신뢰성 및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
일 실시예의 접착층(9)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방향족 에폭시 수지 이외에,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지 조성물은 광반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는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을 희석하여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방족 에폭시 수지나 지환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족 에폭시 수지로서는,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나, 그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라이시딜에터 화합물이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면, 1,4-부탄다이올 다이글라이시딜에터, 1,6-헥산다이올 다이글라이시딜에터, 다이에틸렌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트라이메틸올프로판트라이글라이시딜에터, 에틸렌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트라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트라이메틸올프로판 다이글라이시딜에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환족 에폭시 수지는,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1,2:8,9-다이에폭시리모넨, 1,2-에폭시-4-비닐 사이클로헥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접착제층(9)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60 내지 95중량%가 바람직하고, 65 내지 9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70 내지 92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접착제층의 경화성 및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와 상기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의 중량비는 1: 1.5 내지 1: 15, 1: 3 내지 1: 1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제층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보호필름에 대한 접착력(박리강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의 3작용성 이상의 에폭시기를 지니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상기 분기 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성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방향족 에폭시 수지와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중합성 수지 이외에, 광산발생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광경화 방식으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더욱 우수하고, 접착층을 가열 숙성(aging)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광산발생제
광산발생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광산발생제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방향족 다이아조늄염, 방향족 아이오도늄염이나 방향족 설포늄염 등의 오늄염, 철-알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방향족 다이아조늄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다이아조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벤젠다이아조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젠다이아조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아이오도늄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페닐아이오도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다이페닐아이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다이페닐아이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다이(4-노닐페닐)아이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설포늄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라이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라이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라이페닐설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다이페닐 [4-(페닐티오)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비스[다이페닐설포니오]다이페닐설파이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다이(β-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설포니오]다이페닐설파이드 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비스[다이(β-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설포니오]다이페닐설파이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7-[다이(p-톨루일)설포니오]-2-아이소프로필티오잔톤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7-[다이(p-톨루일)설포니오]-2-아이소프로필티오잔톤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페닐카보닐-4'-다이페닐설포니오-다이페닐설파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p-tert-뷰틸페닐카보닐)-4'-다이페닐설포니오-다이페닐설파이드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p-tert-뷰틸페닐카보닐)-4'-다이(p-톨루일)설포니오-다이페닐설파이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다이페닐 [4-(페닐티오)페닐]설포늄의 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철-알렌 착체로서는, 예를 들면, 자일렌-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철(II)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큐멘-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철(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자일렌-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철(II)-트리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닐)메타나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산발생제는 시판품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CPI-100P, 101A, 200K, 210S(산아프로주식회사 제품), 카야라드(등록상표) PCI-220, PCI-620(닛뽄카야쿠(日本化藥) 주식회사 제품), UVI-6990(유니온카바이드사 제품), 아데카옵토마(ADEKA OPTOMER) SP-150, SP-170(주식회사 아데카(ADEKA) 제품), CI-5102, CIT-1370, 1682, CIP-1866S, 2048S, 2064S(닛뽄소다 주식회사 제품), DPI-101, 102, 103, 105, MPI-103, 105, BBI-101, 102, 103, 105, TPS-101, 102, 103, 105, MDS-103, 105, DTS-102, 103(미도리카가쿠 주식회사 제품), PI-2074(로디아재팬 주식회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또, 활성 에너지선 조사 후의 수지 조성물의 경화성의 저하 및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광산발생제의 함량은, 접착제층(9)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8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 내지 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증감제
일 실시예의 접착제층(9)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광증감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광증감제를 사용함으로써, 양이온 중합의 반응성이 향상되고, 본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및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보닐 화합물, 유기 황화합물, 과황화물, 레톡스계 화합물, 아조 및 다이아조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및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벤조인메틸에터, 벤조인아이소프로필에터, α, α-다이메톡시-α-페닐아세토페논 등의 벤조인 유도체; 벤조페논, 2,4-다이클로로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4'-비스(다이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다이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2-클로로티오잔톤, 2-아이소프로필티오잔톤 등의 티오잔톤 유도체; 2-클로로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 유도체; N-메틸아크리돈, N-뷰틸아크리돈 등의 아크리돈 유도체; 및 α,α-다이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 플루오레논, 잔톤, 우라닐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경화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광증감제의 함량은, 접착제층(9)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 내지 5중량%가 바람직하고, 0 내지 2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 단량체
일 실시예의 접착제층(9)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인 아크릴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광반응성을 더 한층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용이하게 희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라디칼 중합성을 나타낸 것이면 종래 공지의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 아마이드기 등을 갖는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및 그 유도체; (메타)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아크릴 아마이드 및 그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이 예시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은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라이세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다이에틸렌글라이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뷰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노나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다이올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다이올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판트라이(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 메탄트라이(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몰폴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코올의 모노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코올의 다이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코올의 모노β-메틸-δ-발레로락톤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코올의 다이β-메틸-δ-발레로락톤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ω -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화합물;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나이트릴기 함유 비닐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에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프로필(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아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뷰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N-다이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N-다이에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 아마이드, N-아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메틸올(메타)아크릴 아마이드, 다아아세톤(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N-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 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기 함유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예시 중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메타)아크릴 단량체로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및 페녹시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중 적어도 한쪽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페녹시다이에틸렌글라이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가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보호층(3)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초기 경화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과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 단량체의 함량은, 접착제층(9)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하고, 0 내지 30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경화성 및 내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무용제형 접착제층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과도하게 높지 않고 박막형의 접착제층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박막형 접착제층의 제조 공정의 편이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얇은 두께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접착성, 내열성, 균열 방지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박막형 접착제층은 경화 후의 두께가 20㎛ 이하로 형성되는 접착제 층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박막형 접착제 층은 두께가 0.1㎛ 내지 20㎛, 0.1㎛ 내지 10㎛ 또는 0.1㎛ 내지 5㎛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의 박막형 접착제층은 편광판의 두께를 더욱 박막화하고, 가요화할 수 있어 박막형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
(1) 접착제층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접착제층(9)용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 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는, 전술한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 광산발생제, 광증감제 및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 수지조성물은 점도 조정을 위하여, 적절하게,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실온(25℃)에서, 혼합물이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교반 혼합하는 방법일 수 있다.
(2) 편광판의 제조 방법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보호 필름(3) 사이에 편광자(2)를 끼운 후, 얻어진 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6)을 보호 필름(3)과 편광자(2) 사이에 적당량 적하할 수 있다. 이 후, 수지 조성물이 적하된 상태의 필름을 롤 프레스(7, 8)에 의해서 접합시킨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해서 접합시킨 자외선 조사 전의 편광판(10)에, 300 내지 3000 mJ/㎠,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 mJ/㎠,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500 mJ/㎠(365㎚ 기준, 메탈할라이드 램프 사용)의 조사량의 자외선을 양쪽에서부터 조사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편광판(1)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는, 편광자(2)의 양면에 접착제층(9)을 형성하고, 보호 필름(3)과 접착제층(9) 사이에 편광자(2)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편광자(2)의 한 면에만 보호 필름(3)과 접착제층(9)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경화 후의 접착제층(9)의 두께가 20㎛ 이하로 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박막형 접착제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 후의 접착제층(9)의 두께는 0.1㎛ 내지 20㎛, 0.1㎛ 내지 10㎛ 또는 0.1㎛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신뢰성 및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일 실시예의 편광판은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2]
Δs < 1.0 mm
상기 식 2에서, Δs 는 50㎜×50㎜의 크기로 재단한 편광판을 60 ℃ 수조에서 2시간 침지 후, 편광자에 대하여 측정한 수축 크기이다. 이러한 경우,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내구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편광판은 -40℃ 내지 85℃에서의 냉열충격시험 후, 측정한 균열 길이가 3.0㎜ 미만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내구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구체적으로, 광학표시장치 더욱 구체적으로 LCD 모듈, OLED 장치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실시예를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해서 변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접착제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상기 분기 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성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이하, 방향족 수지)인 트리스페놀형의 글라이시딜 에터 수지(프린텍(PrinTec)(주) 제품, 상품명: VG-3101L) 10중량부, 지방족 에폭시 수지(욧카이치고세이(四日市合成)(주) 제품,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상품명: NP-E) 65중량부, 지환족 에폭시 수지(다이셀(주)(Daicell Corporation) 제품, 상품명: 셀록사이드(Celloxide) 2021P) 25중량부, 광산발생제(산아프로(주)(San-Apro Ltd.) 제품, CPI210S) 3중량부 및 광증감제(닛뽄카야쿠(日本化藥)(주) 제품, 상품명: DETX-S) 1중량부를, 실온(25℃) 및 습도 50% RH의 항온실 내에서, 육안으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 혼합하여, 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사용한 재료 및 그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편광자의 제작>
편광자는, 이하의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인 두께 75㎛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28℃의 온수 중에 90초간 침지시켜 팽윤시킨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중량비 2/3)의 농도 0.6중량%의 수용액에 침지시켜, 2.1배로 연신시키면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염색하였다. 그 후, 60℃의 붕산 에스터 수용액 중에서 합계의 연신배율이 5.8배가 되도록 연신을 행하고, 수세 및 45℃에서 3분간 건조를 행하여, 편광자(두께 25㎛)를 제작하였다.
<편광판의 제조>
다음에, 실온(25℃) 및 습도 50% RH의 항온실 내에서, 제작한 편광자 및 조제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상기 방법에 의해,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또, 보호 필름으로서, PET 필름(토요보(주) 제품, 상품명: 코스모샤인 A4300, 두께 100㎛)과 COP 필름(니혼제온(주) 제품, 두께 50㎛)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 조건은, 양쪽에서부터 각 1000 mJ/㎠(365㎚ 기준, 메탈할라이드 램프 사용)로 하여, 자외선 조사 후, 편광판은 상기 항온실 내에서 24시간 보관하고, 수지 조성물을 숙성 경화시킴으로써, 편광판을 완성시켰다. 또, 접착제층의 한 면의 두께는 2 내지 3㎛였다.
<초기 경화성 시험>
제작한 자외선 조사 직후의 편광판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시킨 편광판(1)의 간격이 10㎜가 되도록(R10㎜) 절곡시키고, 보호 필름의 박리가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박리가 관찰되지 않은 경우에는 ○, 관찰된 경우에는 ×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박리 강도 시험>
제작한 편광판을 양면 테이프로 SUS판에 고정하였다. 다음에, 편광판의 편광자와 보호 필름과의 계면(즉, 접착제층)에서 박리시킬 수 있도록, 편광판의 단면에 나이프를 삽입하여, 박리자국을 형성시켰다. 다음에, 이 박리자국의 부분을 90도의 방향을 향하게 해서, 소정의 박리 속도(300㎜/min)로 박리하고, 보호 필름인 PET 필름 및 COP 필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재단 시험>
제작한 편광판을, 톰슨 칼로 50㎜×50㎜로 재단하고, 재단 시의 단부의 박리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으로서는, 0.5mm이하를 합격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온수침지시험>
제작한 편광판을, 톰슨 칼로 50㎜×50㎜의 크기로 재단한 후, 60℃의 수조에 침지시키고, 2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 수조로부터 샘플을 꺼내어, 편광자의 수축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으로서는, 접착제의 접착성이 높으면 수축은 작다는 관점에서, 수축의 크기가 1.0㎜ 미만을 합격으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냉열충격시험>
제작한 편광판을, 톰슨 칼로 50㎜×50㎜의 크기로 재단한 후, 감압접착제를 개재해서 유리에 부착하였다. 다음에, 유리 부착 편광판을 -40 내지 85℃의 사이클(30분, 100사이클)의 환경 하에 방치한 후, 육안으로, 편광자의 균열의 길이(최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 갈라짐의 길이가 3.0㎜ 미만을 합격으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전술한 트리스페놀형의 글라이시딜 에터 수지(프린텍(주) 제품, 상품명: VG-3101L)의 배합량을 20중량부로 변경하고, 지방족 에폭시 수지(욧카이치고세이(주) 제품,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상품명: NP-E)의 배합량을 5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 사용한 재료 및 그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 후,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조하여, 전술한 각종 시험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전술한 트리스페놀형의 글라이시딜 에터 수지(프린텍(주) 제품, 상품명: VG-3101L)의 배합량을 25중량부로 변경하고, 지방족 에폭시 수지(욧카이치고세이(주) 제품,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상품명: NP-E)의 배합량을 55중량부로 변경하고, 또한, 지환족 에폭시 수지(다이셀(주) 제품, 상품명: 셀록사이드 2021P)의 배합량을 2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 사용한 재료 및 그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 후,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조하여, 전술한 각종 시험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트리스페놀형의 글라이시딜 에터 수지(프린텍(주) 제품, 상품명: VG-3101L) 20중량부, 지방족 에폭시 수지(욧카이치고세이(주) 제품,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상품명: NP-E) 42중량부, 지환족 에폭시 수지(다이셀(주) 제품, 상품명: 셀록사이드 2021P) 18중량부, 아크릴계 단량체인 4-하이드록시뷰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키카가쿠코교(大阪有機化學工業)(주) 제품, 상품명: 4-HBA) 10중량부, 아크릴계 단량체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키카가쿠코교(주) 제품, 상품명: 비스코트 #192, PEA) 10중량부, 광산발생제(산아프로(주) 제품, CPI210S) 3중량부 및 광산발생제(바스프(BASF)(주) 제품, 상품명: 이르가큐어(Irgacure) 907) 1중량부를, 실온(25℃) 및 습도 50% RH의 항온실 내에서, 육안으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 혼합하여, 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사용한 재료 및 그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 후,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조하여, 전술한 각종 시험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전술한 트리스페놀형의 글라이시딜 에터 수지(프린텍(주) 제품, 상품명: VG-3101L)를 배합하지 않고, 지방족 에폭시 수지(욧카이치고세이(주) 제품,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상품명: NP-E)의 배합량을 70중량부로 변경하고, 또한, 지환족 에폭시 수지(다이셀(주) 제품, 상품명: 셀록사이드 2021P)의 배합량을 3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 사용한 재료 및 그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 후,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조하여, 전술한 각종 시험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전술한 트리스페놀형의 글라이시딜 에터 수지(프린텍(주) 제품, 상품명: VG-3101L)를 배합하지 않고, 지방족 에폭시 수지(욧카이치고세이(주) 제품,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상품명: NP-E)의 배합량을 20중량부로 변경하고, 또한, 지환족 에폭시 수지(다이셀(주) 제품, 상품명: 셀록사이드 2021P)의 배합량을 8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 사용한 재료 및 그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 후,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조하여, 전술한 각종 시험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전술한 트리스페놀형의 글라이시딜 에터 수지(프린텍(주) 제품, 상품명: VG-3101L), 지방족 에폭시 수지(욧카이치고세이(주) 제품,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글라이시딜에터, 상품명: NP-E) 및 지환족 에폭시 수지(다이셀(주) 제품, 상품명: 셀록사이드 2021P)를 배합하지 않고, 대신에, 수소화 에폭시 수지(미츠비시카가쿠(주) 제품, 상품명: YX8000)를 100중량부 배합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 사용한 재료 및 그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 후,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조하여, 전술한 각종 시험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 - 1 2 3 4 1 2 3
방향족 에폭시 수지 VG-3101L 10 20 25 20 - - -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 NP-E 65 55 55 42 70 20 -
셀록사이드 2021P 25 25 20 18 30 80 -
YX8000 - - - - - - 100
아크릴계 단량체 4HBA - - - 10 - - -
PEA - - - 10 - - -
광산발생제 CPI210P 3 3 3 3 3 3 3
이르가큐어907 - - - 1 - - -
광증감제 DETX-S 1 1 1 - 1 1 1
초기 경화성 -
박리강도(PET) N/25mm 8.0 9 11.5 12 8 3 0.8
박리강도(COP) N/25mm 3.0 3 2 2.5 2.5 3 0.8
재단시험 mm 0.1 0.1 0.2 0.1 1.0 1.5 2
온수침지시험 mm 0.1 0.1 0.2 0.1 1.0 1.5 2.5
내열충격 시험 mm 2.0 2.0 1.5 2.0 50 50 4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상기 분기 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성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상기방향족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서, 냉열충격시험에 있어서, 편광자에 균열이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으며, 실시예 1 내지 3의 접착제층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편광자에 있어서의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비교예 2에 비해서, PET 필름의 박리 강도가 높고, 비교예 3에 비해서, PET 필름 및 COP 필름의 박리 강도가 높으며,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서, 재단 시험에 있어서, 단부의 박리가 작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초기 경화성 시험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박리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의 접착제층은, 편광자 및 보호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서, 온수에 침지시킨 경우이더라도, 편광자의 수축이 매우 작고, 접착제층이 편광자에 대해서 우수한 밀착성(접착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1: 편광판 2: 편광자
3: 보호 필름 9: 접착제층

Claims (19)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접착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이, 작용성 에폭시기를 3개 이상 갖는 동시에, 분기 구조를 지니고, 상기 분기 구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성 에폭시기가 존재하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광산발생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트리스페놀의 글라이시딜 에터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편광판: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식 중,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Y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3

    [화학식 3]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2 내지 3에서, R5 내지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01 내지 R0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로 표시되는 기호는 화학식 1과의 결합부를 나타낸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편광판:
    [화학식 4]
    Figure pat00015

    [화학식 5]
    Figure pat00016

    [화학식 6]
    Figure pat00017

    [화학식 7]
    Figure pat00018
    .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편광판:
    [화학식 8]
    Figure pat00019

    [화학식 9]
    Figure pat00020

    상기 화학식 8 내지 9 에서, R25 내지 R6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0 내지 R50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5중량% 내지 40중량%이고, 상기 광산발생제의 함량이 0.1중량%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60중량% 내지 95중량%인 편광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는 지방족 에폭시 수지, 지환족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와 상기 방향족 골격을 지니지 않는 에폭시 수지의 중량비는 1: 1.5 내지 1: 15인 편광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아크릴 단량체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단량체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0중량% 초과 50중량% 이하인 편광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광증감제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1㎛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5 N/25 mm 내지 15 N/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시클로 올레핀(COP)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1 N/25 mm 내지 3.5 N/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식 2]
    Δs < 1.0 mm
    상기 식 2에서, Δs 는 50㎜×50㎜의 크기로 재단한 편광판을 60 ℃ 수조에서 2시간 침지 후, 편광자에 대하여 측정한 수축 크기이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40℃ 내지 85℃에서의 냉열충격시험 후, 측정한 균열 길이가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9. 제1항에 기재된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50084500A 2014-07-10 2015-06-15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813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2620A JP6622450B2 (ja) 2014-07-10 2014-07-10 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JP-P-2014-142620 2014-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56A true KR20160007356A (ko) 2016-01-20
KR101813756B1 KR101813756B1 (ko) 2017-12-29

Family

ID=5523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500A KR101813756B1 (ko) 2014-07-10 2015-06-15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22450B2 (ko)
KR (1) KR1018137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0637A (zh) * 2017-11-22 2019-05-28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偏振板的粘着剂组成物、偏振板以及光学显示器
KR20190082624A (ko) * 2018-01-02 2019-07-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7199A (ja) 2007-03-15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306270B2 (ja) 2003-02-12 2009-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4731A (en) * 1985-01-07 1985-10-01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advanced epoxy resins
JP5332599B2 (ja) 2008-07-11 2013-11-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JP2010091603A (ja) * 2008-10-03 2010-04-2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296575B2 (ja) * 2009-03-06 2013-09-2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と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1154267A (ja) * 2010-01-28 2011-08-11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剤層付偏光板
JP2012097195A (ja) * 2010-11-02 2012-05-24 Shin-Etsu Chemical Co Ltd 難燃性接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着シート及びカバーレイフィルム
JP2012203211A (ja) * 2011-03-25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668597B2 (ja) * 2011-05-17 2015-02-12 Dic株式会社 カチオン重合性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偏光板
KR101563827B1 (ko) * 2011-07-06 2015-10-2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시 중합성 조성물, 및 유기 el 디바이스
JP5828192B2 (ja) * 2012-02-22 2015-12-0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芳香環含有脂環式エポキシ化合物を含有する接着剤組成物
CN103525315B (zh) * 2012-06-29 2016-06-22 第一毛织株式会社 用于偏振板的粘合剂组合物、使用其的偏振板和光学元件
KR101640631B1 (ko) * 2012-12-12 2016-07-18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 필름, 이를 위한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6270B2 (ja) 2003-02-12 2009-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57199A (ja) 2007-03-15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0637A (zh) * 2017-11-22 2019-05-28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偏振板的粘着剂组成物、偏振板以及光学显示器
CN109810637B (zh) * 2017-11-22 2022-02-08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偏振板的粘着剂组成物、偏振板以及光学显示器
KR20190082624A (ko) * 2018-01-02 2019-07-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756B1 (ko) 2017-12-29
JP6622450B2 (ja) 2019-12-18
JP2016018163A (ja)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548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KR101481213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780543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93326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534335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68283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JP6119109B2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653990B2 (ja) 偏光板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KR20150075377A (ko) 광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5449815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TW201323223A (zh) 具有接著劑層之影像顯示裝置用單元及使用該單元的影像顯示裝置
KR101802575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11039239A (ja) 複合偏光板およびtnモード液晶パネル
KR101813756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158870B1 (ko) 광학 필름용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2100205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CN111146249A (zh) 用于发光显示器的偏光板及包括其的发光显示器
KR20210158303A (ko) 광학 부재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의 경화물,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5668086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8059011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60107100A (ko) 편광판,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