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057A - 고주파 처치구 - Google Patents

고주파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057A
KR20160005057A KR1020157033749A KR20157033749A KR20160005057A KR 20160005057 A KR20160005057 A KR 20160005057A KR 1020157033749 A KR1020157033749 A KR 1020157033749A KR 20157033749 A KR20157033749 A KR 20157033749A KR 20160005057 A KR20160005057 A KR 20160005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ain body
flexible tube
fixing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253B1 (ko
Inventor
와타루 오츠카
시네츠 하라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요관과, 가요관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와,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측에 배치되고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생체 조직을 처치하는 처치부와, 가요관의 기단부측을 고정하는 본체부와, 가요관의 기단부로부터 도출된 조작 와이어의 기단부측을 고정하고, 조작 와이어를 본체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 고정부와, 슬라이더 고정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서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더 고정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 파지부를 구비하고, 슬라이더 고정부는 본체부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이더 파지부는 슬라이더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처치구 {HIGH FREQUENCY TREATMENT TOOL}
본 발명은, 고주파 처치구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6월 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1705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가요성 배관의 선단부측에 도전성 처치부를 설치한 고주파 처치구가 알려져 있다. 사용자는, 배관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처치부를 예를 들어 환부인 생체 조직에 도달시키고, 또한 처치부를 동작시켜 생체 조직에의 처치를 실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7876호 공보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체강 내의 배관을 회전시키거나, 압입하거나 한다. 또한, 처치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조작부를 조작하여, 배관 내에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배관 전체를 회전시키려고 하면, 조작 와이어를 진퇴시키는 파지를 일단 느슨하게 하고, 회전 후에 다시 파지하는 동작을 필요로 하여, 연속적인 조작의 방해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의 고주파 처치구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요관과, 가요관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와,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측에 배치되고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생체 조직을 처치하는 처치부와, 가요관의 기단부측을 고정하는 본체부와, 가요관의 기단부로부터 도출된 조작 와이어의 기단부측을 고정하고, 조작 와이어를 본체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 고정부와, 슬라이더 고정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서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더 고정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 파지부를 구비하고, 슬라이더 고정부는 본체부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이더 파지부는 슬라이더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의 전부를 열거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특징군의 서브 콤비네이션도 또한, 발명으로 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처치부 근방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조작부의 외관 상면도이다.
도 3b는 조작부의 외관 정면도이다.
도 4a는 조작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4b는 조작부의 B-B 단면도이다.
도 5a는 슬라이더 파지부의 조립 장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슬라이더 파지부의 조립 장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c는 슬라이더 파지부의 조립 장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고정 핀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청구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전부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1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10)는, 내시경용 모노폴라형 고주파 처치구이다. 고주파 처치구(10)는, 예를 들어 질병자 등 피험자의 체외에 있어서 의사 등의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00), 예를 들어 내시경의 처치구 안내관에 삽입 이탈되는 시스인 가요관(200), 및 체강 내에 있어서 예를 들어 환부인 생체 조직을 처치하는 처치부(300)를 주로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주파 처치구(10) 중, 처치부(300)의 측을 선단부, 조작부(100)의 측을 기단부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처치 대상은, 환부에 한정되지 않고, 병리 검사 등의 대상으로서 포함될 수 있는 정상적인 생체 조직이어도 된다.
조작부(100)는, 본체부(110), 단자부(120), 본체 조작부(130), 슬라이더 파지부(140) 및 슬라이더 고정부(150)를 구성 부품으로서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원기둥 단부면으로부터 내부로 도입된 가요관(200)의 기단부측과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원기둥축 주위로 회전시켜도, 가요관(200)은 추종하여 회전하는 일은 없다. 가요관(200)의 내부에는, 조작 와이어(250)가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250)의 중심축은, 조작부(100)에 있어서, 본체부(110)의 원기둥축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조작 와이어(250)의 기단부측은,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원기둥축 주위로 회전시키면, 그 작용력을 받아 조작 와이어(250)가 가요관(200)의 내부에서 추종하여 회전한다.
단자부(120)는, 처치부(300)에 급전하는 전원 코드(400)가 탈착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단자부(120)는 본체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본체부(110)가 축선 주위로 회전되었다고 해도, 전원 코드(400)는 함께 회전하는 일 없이, 초기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전원 코드(400)가 본체부(110)에 권취되는 일이 없다.
본체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회전시킬 때에 파지하기 쉽도록, 본체부(110)의 원기둥 단면 직경보다도 크게, 즉, 축이 굵게 형성된 그립부이다. 따라서, 본체 조작부(130)는, 본체부(1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즉,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체 조작부(130)가 축이 굵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 본체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고주파 처치구(10)의 사용시에 고무장갑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작은 힘으로 본체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은, 미끄럼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슬라이더 파지부(140)와 슬라이더 고정부(150)는, 본체부(110)에 대해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외측, 슬라이더 고정부(150)를 내측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이룬다.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이다. 슬라이더 고정부(150)는, 가요관(200)의 기단부로부터 도출된 조작 와이어(250)의 기단부측을 고정하고 있다.
슬라이더 파지부(140)와 슬라이더 고정부(150)는, 축선 방향에 대해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더 고정부(150)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때, 슬라이더 고정부(150)에 고정된 조작 와이어(250)는, 본체부(110)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가요관(200)은, 본체부(110)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슬라이드시키면, 조작 와이어(250)는 가요관(200)의 내부를 진퇴한다. 즉, 사용자가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기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조작 와이어(250)는 가요관(200)의 내부를 기단부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조작 와이어(250)는 가요관(200)의 내부를 선단부측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가요관(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의 처치구 안내관에 삽입되거나, 혹은 직접 체강 내에 삽입되거나 하여, 처치부(300)를 타깃으로 하는 생체 조직에 도달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전원 코드(400)로부터 급전되는 전력을 처치부(300)에 전달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가요관(200)은, 삽입 관통에 대한 압입성, 손잡이 쪽의 회전력을 선단부까지 확실하게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성 및 절곡이 발생하지 않는 내 절곡성의 상호 밸런스를 고려한 강성과 가요성을 갖는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처치부(300)는, 조작 와이어(250)의 진퇴에 의해 개폐된다. 예를 들어, 처치부(300)에 의해 생체 조직을 끼움 지지하여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지혈을 행한다.
도 2는, 처치부(300) 근방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와이어(250)의 축선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며, 이해하기 쉽도록 선단부의 기구를 정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가요관(200)은, 본체부(110)에 고정된 기단부로부터 도시하는 선단부에 걸쳐 연신되는 골격 구조체로서의 코일 파이프(210)를 갖는다. 코일 파이프(210)는, 코일 소선을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나선 내부의 공간을 중공으로, 또한 양단부를 개구로 형성한 코일이다. 조작 와이어(250)는, 이 나선 내부의 공간을 진퇴 미끄럼 이동한다. 코일 소선은, 도전성 소재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구리, 철, 알루미늄, 니켈, 이들의 합금(스테인리스강, 황동 등)이 후보로 될 수 있다. 코일 소선은, 단면 형상이 원형인 환선이어도 되지만, 가요관(200)의 직경을 작게 하기 위해,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평선을 사용해도 된다.
코일 파이프(210)는, 골격 구조체로서 상술한 압입성, 회전력 전달성 및 내 절곡성의 밸런스를 고려한 강성과 가요성을 실현함과 함께, 전원 코드(400)로부터 급전되는 전력을 처치부(300)로 유도하는 도통부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가요관(200)은, 코일 파이프(210)의 외주면을 피복하여 최외층을 형성하는 코트층(220)을 갖는다. 코트층(220)은 미끄럼 이동성이 좋고, 절연성인 소재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할 수 있다.
처치부(300)는, 주로, 처치 전극(310), 지지축(320), 링크 기구(330) 및 지지 프레임체(340)에 의해 구성된다. 처치 전극(310)은, 2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가위형 전극이다. 지지축(320)은, 양단부가 지지 프레임체(340)에 고정되어 있고, 몸통부에서 요동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도록 처치 전극(310)을 축지지한다. 지지축(320)은, 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링크 기구(330)는, 처치 전극(310)의 힘점과, 조작 와이어(250)의 선단부를 접속한다.
지지 프레임체(340)는, 코일 파이프(210)의 선단부 외주면을 원환형으로 덮어 고정함과 함께 지지축(320)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캡 부재이다. 지지 프레임체(340)는, 예를 들어 금속의 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코일 파이프(210)의 선단부 외주면과 용접, 브레이징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지지축(320) 및 지지 프레임체(340)는, 처치 전극(310)과 코일 파이프(2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지지 프레임체(340)는, 링크 기구(330)가 요동하는 부분으로부터 처치 전극(310)이 개폐되는 선단부에 슬릿부를 갖는다. 처치 전극(310)은, 링크 기구(330)가 조작 와이어(250)에 의해 선단부 방향으로 압박되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로 되고, 링크 기구(330)가 조작 와이어(250)에 의해 기단부 방향으로 당겨지면,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조작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조작부(100)의 외관도이다. 특히 도 3a는 상면도이고, 도 3b는 정면도이다.
본체부(110)의 선단부측에는, 단자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측에는, 단자부(120)의 선단부측 개구를, 가요관(200)의 도입구를 남기고 폐색하는 단자 커버(160)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10)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OM)에 의해 형성된다. 그 밖에, 성형성, 미끄럼 이동성, 절연성, 강도 등을 만족시키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페닐술폰(PPSU) 등의 다양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커버(160)도, 본체부(1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단자부(120)는, 전원 코드(400)를 수용하는 접속부(121)와, 본체부(110)와 동축의 원기둥형을 이루는 회전부(122)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121)는, 회전부(122)에 직교하는 원기둥형을 이룬다. 그 내부에는, 전원 코드(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단자(123)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코드(400)는 접속부(121)에 장착되어 로크되면, 본체부(110)에 대해 축선 주위로 단자부(120)째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원 코드(400)가 장착된 단자부(120)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본체부(110)를 축선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즉, 정지하는 단자부(120)에 대해 본체부(110)가 축선 주위로 미끄럼 이동 회전하므로, 전원 코드(400)가 본체부(110)에 권취되는 일이 없다. 단자부(120)도, 본체부(1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본체부(110)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 슬릿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릿 구멍(111)은,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해, 축선을 포함하도록 관통된, 축선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긴 구멍이다. 슬라이더 고정부(150)는, 슬릿 구멍(111)으로 안내되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슬라이더 고정부(150)의 이동 범위는, 슬릿 구멍(111)의 축선 방향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고정부(150)에는,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슬라이더 파지부(140)가 겹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2개의 플랜지부인, 선단부측의 제1 플랜지부(141)와 기단부측의 제2 플랜지부(142)를 갖는다. 각각의 플랜지부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몸통부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검지와 중지 사이에 몸통부를 끼워 넣고, 제1 플랜지부(141)를 선단부측으로 압출하거나, 제2 플랜지부(142)를 기단부측으로 끌어당기거나 하여, 슬라이더 고정부(150)의 슬라이드 동작을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고주파 처치구(10)의 사용시에 고무장갑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슬라이드 조작은, 플랜지부에서 조작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미끄럼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슬라이더 파지부(140) 및 슬라이더 고정부(150)도, 본체부(1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기단부에는, 손가락 걸이부(170)가, 본체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부(170)는, 사용자의 엄지를 삽입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는 원환 형상을 이룬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엄지를 손가락 걸이부(170)에 삽입 관통시키면서, 검지와 중지로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끼움 지지하면, 엄지에 대해 검지와 중지를 동작시킬 수 있어, 보다 쾌적하게 슬라이더 고정부(150)의 슬라이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손가락 걸이부(170)도, 본체부(1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본체 조작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를 회전하는 경우에 파지하는 그립부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파지하여 조작하는 경우는, 왼손으로 본체 조작부(130)를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 조작부(130)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슬릿 구멍(111)이 형성된 부분과는 다른 부분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자부(120)와 슬릿 구멍(11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 조작부(130)도, 본체부(1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일부를 굵은 축으로 함으로써, 본체부(110)의 일부로서 본체 조작부(130)를 형성해도 된다.
도 4는, 조작부(100)의 단면도이다. 특히 도 4a는, 도 3a의 A-A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b의 B-B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고정부(150)는, 제1 고정부(151)와 제2 고정부(152)의 2부품으로 구성된다. 제1 고정부(151)는, 슬릿 구멍(111)에 삽입 관통되는 제1 탭(153)을 갖고, 제2 고정부(152)는 마찬가지로 슬릿 구멍(111)에 삽입 관통되는 제2 탭(154)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탭은, 슬릿 구멍(111)의 폭에 맞추어,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151)와 제2 고정부(152)는, 제1 탭(153), 제2 탭(154)이 슬릿 구멍(111)에 각각 반대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되어 조립 장착되고, 일체화되어 슬라이더 고정부(150)를 형성한다. 이때, 본체부(110)의 중심축을 따라 삽입 관통되어 있는 조작 와이어(250)의 기단부측 단부는, 제1 탭(153)과 제2 탭(154)에 끼워짐으로써,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슬릿 구멍(111)에 대해 조립 장착된 슬라이더 고정부(150)는, 전체의 외형 형상으로서 대략, 본체부(110)와 동축인 원통부와, 원통부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다.
이에 대해,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원통 형상의 일체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슬라이더 고정부(150)를 덮어 둘러싸도록 조립된다. 슬라이더 고정부(150)에 겹쳐 조립 장착된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슬라이더 고정부(150)의 원통부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슬릿 구멍(111)과 탭에 규제되어 정지하는 슬라이더 고정부(150)에 대해,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축선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사용자의 파지력에 대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하도록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의 기단부에는, 복수의 기단부 훅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 걸이부(170)에는 내측 홈(171)이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 훅부(114)의 갈고리가 내측 홈(171)에 걸리는 스냅피트에 의해, 손가락 걸이부(170)는 본체부(110)의 기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110)는, 선단부측 개구로부터 슬릿 구멍(111)으로 통하는 내관(113)을 갖는다. 내관(113)은, 조작 와이어(250), 가요관(200)을 삽입 관통하는 중공 공간이다. 내관(113)은, 선단부측 개구로부터 조작 와이어(250) 등을 삽입 관통하기 쉽도록, 선단부측 개구 직경을 크게 하는 깔때기 형상을 이룬다.
본체부(110)는, 내관(113)의 외주측에, 복수의 외주 훅부(112)를 갖는다. 외주 훅부(112)는, 각각이 축선 방향을 따른 아암부와 축선 방향에 수직인 갈고리부를 갖고, 축선 방향을 대칭 축으로, 예를 들어 2개 설치되어 있다. 본체 조작부(130)는, 외주 훅부(112)의 갈고리부에 결합되는 결합 홈(131)을 갖는다. 축선 방향을 따라 본체부(110)에 조립 장착되는 본체 조작부(130)는, 외주 훅부(112)가 결합 홈(131)에 결합되는 스냅피트에 의해, 본체부에 대해 연결되어,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결합 홈(131)은 외주 훅부(112)의 갈고리부가 축선 주위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본체부(110)를 회전시키는 파지부인 본체 조작부(130)는,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체부(1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왼손으로 본체 조작부(130)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슬릿 구멍(111)도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슬라이더 고정부(150)는, 슬릿 구멍(111)으로 안내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 고정부(150)도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한편, 오른손은, 예를 들어 엄지를 손가락 걸이부(170)에 삽입 관통시키면서, 검지와 중지로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끼움 지지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파지부(140)와 손가락 걸이부(170)는 본체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오른손의 자세를 유지한 채, 왼손으로 본체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는, 본체부(110)를 회전시켜 조작 와이어(250)를 회전시키는 경우라도,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파지를 일단 느슨하게 하여 다시 파지하는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파지하는 손을 비틀 필요도 없다. 따라서, 회전과 슬라이드의 연속된 조작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체부(110)의 회전 조작시에, 때때로 강한 힘으로 본체 조작부(130) 및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꽉 쥐어 버린다. 그러나,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강하게 꽉 쥐어도 슬라이더 고정부(150)의 슬라이드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즉, 사용자는, 본체 조작부(130) 및 슬라이더 파지부(140) 각각을 강하게 파지하면서도, 본체부(110)의 회전 조작 및 슬라이더 고정부(150)의 슬라이드 조작을, 병행하여, 혹은 독립적으로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단자부(120)는, 접속부(121)의 내부에 기립 설치된 급전 단자(123)를 갖고, 급전 단자(123)는 가요관(200)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 핀(12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고정 핀(124)은, 단자부(120)의 회전부(122)의 내부에 설치된 단자 고정부(125)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단자 고정부(125)는, 회전부(122)의 내부에 있어서 회전부(122)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 고정부(125)는, 중심부에 관통 구멍(127)을 갖고, 가요관(200)을 내부 삽입하는 도전성 파이프(180)가 관통 구멍(127)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고정 핀(124)을 지지 고정하는 단자 고정부(125)는 도전성을 갖고, 고정 핀(124)을 통해 인가되는 전력을 도전성 파이프(180)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전성 파이프(180)는, 예를 들어 금속 파이프이며, 본체부(110)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도전성 파이프(180)와 단자 고정부(125)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부(120)는 본체부(11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단자 고정부(125)는, 선단부측에 플랜지부(126)를 갖고, 단자 커버(160)에 설치된 훅부(161)와 결합된다. 이에 의해, 단자 커버(160)는 단자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슬라이더 고정부(150)에 조립 장착하는 조립 장착 순서를 설명한다. 도 5는,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조립 장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내통부를 본체부(110)에 선단부측으로부터 삽입 관통하여, 슬라이더 고정부(150)로 접근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제1 고정부(151)는, 축선 방향을 따라 선단부측으로 연장되는 제1 훅부(155)를 갖는다. 제1 훅부(155)는, 아암부(1551)와 갈고리부(1552)로 이루어지고, 아암부(1551)는 조작 와이어(250)측, 즉,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휠(변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152)는, 축선 방향을 따라 선단부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훅부(156)를 갖는다. 제2 훅부(156)는, 아암부(1561)와 갈고리부(1562)로 이루어지고, 아암부(1561)는 조작 와이어(250)측, 즉,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휠(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5a의 상태에서는, 제1 훅부(155)도, 제2 훅부(156)도 외력을 받고 있지 않으므로, 휘는 일 없이 축선 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슬라이더 고정부(150)에 조립 장착하는 단계에서는, 조작 와이어(250)는 이미 제1 탭(153)과 제2 탭(154) 사이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도 5b는, 슬라이더 파지부(140)를 슬라이더 고정부(150)에 더욱 접근시켜, 일부가 겹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훅부(155)의 갈고리부(1552)와 제2 훅부(156)의 갈고리부(1562)가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도입부(143)에 접촉하여 안내되면서 조작 와이어(250) 방향, 즉,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박되면, 각각의 아암부(1551)와 아암부(1561)는 당해 방향으로 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갈고리부(1552)와 갈고리부(1562)가, 내통면(145) 상을 접촉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도입부(143)는,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내통면(145)의 기단부측 개구에 형성된 둥근 형상 부분 혹은 테이퍼 형상 부분이다.
도 5c는, 슬라이더 파지부(140)가 슬라이더 고정부(150)에 조립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기단부측 개구가, 제1 고정부(151)의 기단부측에 형성된 제1 플랜지(157) 및 제2 고정부(152)의 기단부측에 형성된 제2 플랜지(158)에까지 도달하면,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그 이상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내통면(145)을 접촉 미끄럼 이동하고 있었던 갈고리부(1552)와 갈고리부(1562)는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선단부측 개구에 형성된 결합 홈(144)에 끼움 삽입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직경 확장 변형되어, 아암부(1551)와 아암부(1561)의 휨은 해소된다. 바꾸어 말하면, 갈고리부(1552)와 갈고리부(1562)는, 슬라이더 파지부(140)와 슬라이더 고정부(150)를 연결하는 로크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스냅피트에 의해 결합된 슬라이더 파지부(140)와 슬라이더 고정부(150)는 서로 일체화되고, 본체부(110)의 축선 방향으로 상호 이동 불가능해진다. 단, 결합 홈(144)은 슬라이더 파지부(14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갈고리부(1552)와 갈고리부(1562)는 회전 방향으로는 규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 파지부(140)는 슬라이더 고정부(150)에 대해 회전이 허용된다.
다음으로, 고정 핀(124)의 선단부 근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고정 핀(124) 근방(도 4a의 C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고정 핀(124)의 선단부는, 도전성 파이프(180)에 도달하는 일 없이, 단자 고정부(125)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다. 도전성 파이프(180)는, 그 외주부의 일부에 용접된 도전성의 미끄럼 이동 단자(181)를 갖는다. 미끄럼 이동 단자(181)는, 도전성 파이프(18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단자 고정부(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미끄럼 이동 단자(181)와 항상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고정부(125)는 미끄럼 이동 단자(181) 및 도전성 파이프(18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해도, 미끄럼 이동 단자(181)와의 전기적인 접속은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고정 핀(12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미끄럼 이동 단자(181)를 통해 도전성 파이프(180)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조작 와이어(250)를 삽입 관통시키는 코일 파이프(210)는 도전성 파이프(180)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단, 코일 파이프(210)는 도전성 파이프(180)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코트층(220)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도전성 파이프(180)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도전성 파이프(180)에 인가된 전력은, 코일 파이프(210)로 유도된다. 코일 파이프(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처치 전극(3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단자 고정부(125)의 관통 구멍(127) 중 선단부측에는, 미끄럼 이동 단자(181)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자 규제부(128)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규제부(128)는, 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단자 고정부(125)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모노폴라형 고주파 처치구로서의 고주파 처치구(10)를 설명하였지만, 각 부의 구성은 다양한 배리에이션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치 전극(310)은 가위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처치구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가요관(200)의 골격 구조체로서의 코일 파이프(210)를, 처치부(300)와 도전성 파이프(18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로 하였지만, 회로 패턴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다른 소재 등의 골격 구조체를 채용해도 된다.
슬라이더 고정부(150)를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은, 탭을 슬릿 구멍(111)에 삽입 관통시켜 안내시키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가이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개소에 있어서 스냅피트에 의한 결합을 채용하였지만, 비스, 접착 등에 의한 고정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고주파 처치구(10)는, 모노폴라형이 아니라 바이폴라형이어도 된다. 바이폴라형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2개의 도전선을 가요관(200)에 내부 삽입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10 : 고주파 처치구
100 : 조작부
110 : 본체부
111 : 슬릿 구멍
112 : 외주 훅부
113 : 내관
114 : 기단부 훅부
120 : 단자부
121 : 접속부
122 : 회전부
123 : 급전 단자
124 : 고정 핀
125 : 단자 고정부
126 : 플랜지부
127 : 관통 구멍
128 : 단자 규제부
130 : 본체 조작부
131 : 결합 홈
140 : 슬라이더 파지부
141 : 제1 플랜지부
142 : 제2 플랜지부
143 : 도입부
144 : 결합 홈
145 : 내통면
150 : 슬라이더 고정부
151 : 제1 고정부
152 : 제2 고정부
153 : 제1 탭
154 : 제2 탭
155 : 제1 훅부
1551 : 아암부
1552 : 갈고리부
156 : 제2 훅부
1561 : 아암부
1562 : 갈고리부
157 : 제1 플랜지
158 : 제2 플랜지
160 : 단자 커버
161 : 훅부
170 : 손가락 걸이부
171 : 내측 홈
180 : 도전성 파이프
181 : 미끄럼 이동 단자
200 : 가요관
210 : 코일 파이프
220 : 코트층
250 : 조작 와이어
300 : 처치부
310 : 처치 전극
320 : 지지축
330 : 링크 기구
340 : 지지 프레임체
400 : 전원 코드

Claims (9)

  1.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요관과,
    상기 가요관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측에 배치되고 고주파 전류의 인가에 의해 생체 조직을 처치하는 처치부와,
    상기 가요관의 기단부측을 고정하는 본체부와,
    상기 가요관의 기단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조작 와이어의 기단부측을 고정하고, 상기 조작 와이어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서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 파지부는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슬릿 구멍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는, 상기 슬릿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탭을 갖고,
    상기 탭은, 상기 조작 와이어의 기단부측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슬릿 구멍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고주파 처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파지부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는, 직경 확장 변형되어 슬라이더 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 파지부를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기 본체부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 파지부와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를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로크부를 갖는, 고주파 처치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슬릿 구멍이 형성된 부분과는 다른 부분에, 상기 슬릿 구멍이 형성된 부분보다도 축이 굵은 본체 조작부를 갖는, 고주파 처치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손가락 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파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고주파 처치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부에 급전하는 전원 코드가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급전 단자를 갖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단자부를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관의 기단부측의 일부를 덮는 도전성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관은, 상기 처치부와 상기 도전성 파이프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를 갖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도전성 파이프에 접촉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전원 코드로부터의 전력을 급전하는 미끄럼 이동 단자를 갖는, 고주파 처치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부는, 상기 조작 와이어를 삽입 관통하는 관을 형성하는 코일 파이프를 포함하는, 고주파 처치구.
  9. 제3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의 조립 장착 방법이며,
    상기 로크부를 상기 슬라이더 파지부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를 상기 슬라이더 파지부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를 규정 위치까지 진입시키고, 상기 로크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직경 확장 변형시켜, 상기 슬라이더 파지부와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를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주파 처치구의 조립 장착 방법.
KR1020157033749A 2013-06-03 2014-05-30 고주파 처치구 KR101847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7058A JP6163887B2 (ja) 2013-06-03 2013-06-03 高周波処置具
JPJP-P-2013-117058 2013-06-03
PCT/JP2014/064401 WO2014196463A1 (ja) 2013-06-03 2014-05-30 高周波処置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057A true KR20160005057A (ko) 2016-01-13
KR101847253B1 KR101847253B1 (ko) 2018-04-09

Family

ID=5200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749A KR101847253B1 (ko) 2013-06-03 2014-05-30 고주파 처치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13251B2 (ko)
EP (1) EP3005967B1 (ko)
JP (1) JP6163887B2 (ko)
KR (1) KR101847253B1 (ko)
CN (1) CN105228544B (ko)
BR (1) BR112015028799A2 (ko)
ES (1) ES2953899T3 (ko)
TW (1) TWI624245B (ko)
WO (1) WO20141964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229B1 (ko) *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5210A1 (ja) * 2019-03-22 2020-10-01 株式会社カネカ 内視鏡用処置具
US11964114B2 (en) 2020-05-22 2024-04-23 Acclarent, Inc. Shaft deflection control assembly for ENT guide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1082A (en) * 1986-06-16 1991-08-20 Samuel Shiber Mechanical atherectomy system and method
US5066295A (en) * 1986-05-13 1991-11-19 Mill-Rose Laboratories, Inc. Rotatable surgical snare
JP2608675B2 (ja) * 1993-07-22 1997-05-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JP3417778B2 (ja) * 1997-01-17 2003-06-1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6193717B1 (en) 1997-10-16 2001-02-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reating instrument for endoscope
JPH11114059A (ja) * 1997-10-16 1999-04-27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US6423060B1 (en) * 1999-01-07 2002-07-2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High-frequency instrument for endoscope
JP4880251B2 (ja) * 2005-06-21 2012-02-2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US20070255289A1 (en) 2006-04-27 2007-11-01 Granit Medical Innovation, Inc. Endoscopic instrument with rotational and axial motion control
JP5053749B2 (ja) * 2007-08-02 2012-10-17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部構造
JP5158952B2 (ja) * 2008-04-08 2013-03-06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モノ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WO2010134273A1 (ja) * 2009-05-21 2010-11-2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EP2380489A1 (de) * 2010-04-26 2011-10-26 Biotronik CRM Patent AG Ableitvorrichtung und MRI-sicheres Katheter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229B1 (ko) *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63887B2 (ja) 2017-07-19
US10213251B2 (en) 2019-02-26
TWI624245B (zh) 2018-05-21
CN105228544B (zh) 2017-06-30
WO2014196463A1 (ja) 2014-12-11
JP2014233482A (ja) 2014-12-15
KR101847253B1 (ko) 2018-04-09
EP3005967A1 (en) 2016-04-13
BR112015028799A2 (pt) 2017-07-25
TW201507692A (zh) 2015-03-01
EP3005967B1 (en) 2023-08-02
ES2953899T3 (es) 2023-11-16
EP3005967A4 (en) 2017-08-02
CN105228544A (zh) 2016-01-06
US20160113705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1496B2 (ja)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US8795273B2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JP4056989B2 (ja) 内視鏡処置具
KR102256358B1 (ko) 수술 기구 구동 요소 및 관련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9522080A (ja) 脈管ガイドワイヤ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8528201A5 (ko)
KR101847253B1 (ko) 고주파 처치구
EP2386255B1 (en)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JP5290658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9034388A (ja)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部構造
JPH055106U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2010142279A (ja) 処置具
JP2006334348A (ja) 内視鏡用鉗子の先端部
JP7113087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20070244480A1 (en) Soft bipolar forceps
JP7286068B2 (ja) 内視鏡用マイクロ波照射器具
JP7271948B2 (ja) 鉗子型処置具
JP6866110B2 (ja) 食道温度測定用カテーテル
JP5653814B6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5653814B2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WO2010071064A1 (ja) 処置具
JP7069656B2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6110098B2 (ja) 鉗子装置
JP2003299670A (ja) 内視鏡用嘴状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