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222A -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222A
KR20160004222A KR1020150094586A KR20150094586A KR20160004222A KR 20160004222 A KR20160004222 A KR 20160004222A KR 1020150094586 A KR1020150094586 A KR 1020150094586A KR 20150094586 A KR20150094586 A KR 20150094586A KR 20160004222 A KR20160004222 A KR 2016000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 data
data
print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817B1 (ko
Inventor
아키오 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5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increased printing speed, i.e. reducing the time between printing start and print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쇄 제어 장치를 적용한 프린터 드라이버(32)는, 인쇄 작업을 취득하는 취득부(62)와, 취득한 인쇄 작업을 인쇄 장치(2)에 탑재된 인쇄 헤드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로 분할하는 분할부(63)와, 단위 데이터마다 커맨드 변환을 행하는 커맨드 변환부(64)와,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를 인쇄 장치(2)에 송신하는 송신부(65)를 구비하며, 송신부(65)는, 1개의 인쇄 작업 중에서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한다.

Description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PRINT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RINT CONTRO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인쇄 시간의 단축을 목적으로 한 제어를 행하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인쇄 제어 장치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린터 드라이버 및 스풀러를 구비하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복수 페이지분의 인쇄 작업을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일괄하여 커맨드 변환한 후, 스풀러를 거쳐서 인쇄 장치에 송신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방법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한 커맨드 변환 처리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각종의 해결책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1 페이지분의 화상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할 때에,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1 페이지분의 화상 데이터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수직 방향에 따른 일부의 블록과, 수평 방향에 따른 일부의 블록을 조합한 영역을 단위로 하여 순차적으로 인쇄 장치에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해, 특허 문헌 1은, 용지의 이송 방향을 의식하지 않고 문서를 작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블록 단위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생성·송신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제2002-207576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에서는, 수직 방향에 따른 일부의 블록과, 수평 방향에 따른 일부의 블록을 조합한 영역을 단위로 하여 인쇄 장치에 송신하기 때문에, 쓸데없는 데이터가 존재한다. 왜냐하면, 인쇄 방향을 미리 알고 있으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 중 어느 한쪽의 데이터만으로도 좋고, 다른쪽의 데이터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A4 사이즈의 1 페이지분을 수백 블록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분할 처리 및 단위 데이터의 생성에 필요로 하는 제어 부하가 크다. 특히, 인쇄 제어 장치로서 태블릿 단말을 이용했을 경우 등 CPU(Central Processing Unit)의 사양(specification)이 낮은 경우에는, 쓸데없는 데이터 분할이나 데이터 생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인쇄 시간(인쇄 개시로부터 인쇄 종료까지의 총합 시간)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개선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쇄 제어 장치는, 인쇄 작업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한 인쇄 작업을, 인쇄 장치에 탑재된 인쇄 헤드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로 분할하는 분할부와, 단위 데이터마다 커맨드 변환을 행하는 커맨드 변환부와,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인쇄 작업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한 인쇄 작업을, 인쇄 장치에 탑재된 인쇄 헤드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로 분할하는 분할 스텝과, 단위 데이터마다 커맨드 변환을 행하는 커맨드 변환 스텝과,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인쇄 작업을 인쇄 헤드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로 분할하여 커맨드 변환하기 때문에, 쓸데없는 데이터 분할이나 데이터 생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인쇄 제어 장치측의 CPU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다른 제어에 의해 CPU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측에서 1 패스의 인쇄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인쇄 제어 장치측에서 다음의 단위 데이터의 커맨드 변환을 행하면 되기 때문에, CPU의 사양이 낮은 인쇄 제어 장치를 이용했을 경우에도, 인쇄 장치측에 있어서의 데이터 대기 시간을 단축하여, 인쇄 지령으로부터 인쇄 종료까지의 총합적인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헤드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는, 시리얼 프린터의 경우, 1회의 헤드 주주사(主走査)에 의해 인쇄 가능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1회의 헤드 주주사는, 일방향 인쇄인 경우의 일방향 주사, 왕복 인쇄인 경우의 왕복 주사 중 어느 하나이더라도 좋다. 또한, 라인 프린터인 경우, 1행을 한번에 인쇄 가능하므로 그 1행분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의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송신부는, 1개의 인쇄 작업 중에서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각종의 법칙이나 조건에 따라 1회로 송신하는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함으로써, 인쇄 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상기의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송신부는, 1개의 인쇄 작업 중에서, 최초의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보다, 2번째 이후의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통상, 인쇄 장치측에서는 최초의 단위 데이터의 인쇄시에 초기 커맨드의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점을 고려하여 최초의 단위 데이터만큼 송신 수를 적게 함으로써, 인쇄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상기의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인쇄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구비하며, 송신부는, 인쇄 장치의 상태에 따라,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상태에 따라 1회로 송신하는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인쇄 장치측에서 인쇄 처리가 막혔을 경우에는,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줄이는 것에 의해, 인쇄 제어 장치측의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제어 장치에 의해, 단위 데이터의 송신 상황에 따라 커맨드 변환 처리의 처리량을 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다른 제어에 의해 CPU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의 상태는, 에러 상태, 인쇄 모드, 종이 이송 속도 및 버퍼 잔량 등을 나타낸다.
상기의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송신부는, 인쇄 장치의 버퍼 잔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인쇄 장치측에서 얼마만큼 데이터가 처리되고 있는지에 따라, 단계적으로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의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인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커맨드 변환부는, 취득한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에,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의 변환원과 동일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데이터의 커맨드 변환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취득한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에 동일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그 커맨드 변환을 생략하기 때문에, 커맨드 변환에 필요로 하는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생성·송신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인쇄 지령으로부터 인쇄 종료까지의 총합적인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의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인쇄 작업의 인쇄 영역 중,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인쇄 데이터의 인쇄 대상 영역인 고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와,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인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 중,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커맨드 변환부는, 취득한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 고정 영역 외의 비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단위 데이터를 커맨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 영역을 미리 설정하고, 그 고정 영역에 상당하는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것에 의해, 취득한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 고정 영역 외의 비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단위 데이터만을 커맨드 변환하면 된다. 즉,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한 후에 취득한 인쇄 작업에 대해서는, 필요 최저한의 단위 데이터만을 커맨드 변환하면 되기 때문에, 커맨드 변환에 필요로 하는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생성·송신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인쇄 지령으로부터 인쇄 종료까지의 총합적인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의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취득부, 분할부, 커맨드 변환부 및 송신부를,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실현하고, 송신부는, 스풀러를 거치는 일 없이,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인쇄 제어 장치를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구성하기 때문에, 인쇄 작업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인쇄 장치측의 펌웨어에 변경을 가하는 일 없이,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인쇄 장치에 직접 단위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스풀러를 가지지 않는 인쇄 제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컴퓨터를 상기에 기재된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컴퓨터로 판독하게 함으로써, 인쇄 지령으로부터 인쇄 개시까지의 총합적인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인쇄 작업의 분할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는 상이한 인쇄 작업의 분할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고정 영역의 설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인쇄 제어 장치를, 태블릿 단말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제어 대상이 되는 인쇄 장치로서, 시리얼 방식의 잉크젯 프린터를 예시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 SY의 블록도이다. 인쇄 시스템 SY는, 태블릿 단말(1)과, 상기 태블릿 단말(1)과 접속된 인쇄 장치(2)를 구비한다. 태블릿 단말(1)과 인쇄 장치(2)의 접속 형태는, 케이블 등에 의한 1 대 1 접속이어도 좋고, LAN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어도 좋다. 또한, 유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어도 좋고, 무선 통신(블루투스 통신(등록상표) 또는 적외선 통신 등)에 의해 접속되어도 좋다.
태블릿 단말(1)은, 제어부(11), 터치 패널(12), 통신부(13) 및 기억부(14)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되어, 태블릿 단말(1) 내의 각 부를 제어한다. 터치 패널(12)은, 표시부 및 조작부로서 이용된다. 통신부(13)는, 인쇄 장치(2)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기억부(14)는, HDD(Hard disk drive) 등에 의해 구성되어, 애플리케이션(31) 및 프린터 드라이버(32)를 기억한다. 애플리케이션(31)은, 인쇄 장치(2)로의 인쇄 지령이 되는 인쇄 작업을 생성한다. 여기서, 인쇄 작업은, 인쇄 장치(2)가 단표(單票) 용지(카피 용지, 엽서 등)를 인쇄 매체로 하는 경우, 1 이상의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나타낸다. 즉, 인쇄 작업은, 1회의 인쇄 지령에 의해 인쇄 가능한 페이지 데이터군을 나타낸다. 프린터 드라이버(32)는, 애플리케이션(31)으로부터 출력된 인쇄 작업을 취득하여, 1 이상의 단위 데이터로 분할한다. 또한, 분할한 각 단위 데이터를, 인쇄 장치(2)로 해석 가능한 형식의 인쇄 커맨드로 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통신부(13)를 거쳐서 인쇄 장치(2)에 송신한다.
한편, 인쇄 장치(2)는, 제어부(21), 수신 버퍼(22), 통신부(23), 기억부(24) 및 인쇄 기구(25)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CPU 및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인쇄 장치(2) 내의 각 부를 제어한다. 수신 버퍼(22)는, 태블릿 단말(1)로부터 송신된 인쇄 작업(단위 데이터)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통신부(23)는, 태블릿 단말(1)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기억부(24)는,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되고, 펌웨어(41) 등을 기억한다. 펌웨어(41)는, 인쇄 장치(2)(제어부(21))가 인쇄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인쇄 기구(25)는, 인쇄 헤드(42) 및 반송 기구(43)를 포함한다. 인쇄 헤드(42)는, 시리얼 방식이고 또한 잉크젯 방식에 의해, 인쇄 매체가 되는 단표 용지로 인쇄를 행한다. 반송 기구(43)는, 단표 용지를 용지 수용부로부터 인쇄부, 인쇄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 반송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1)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31)은, 주된 기능 구성으로서, 인쇄 작업 생성부(61)를 구비한다. 인쇄 작업 생성부(61)는, 1 이상의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한 페이지 데이터군인 인쇄 작업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3은, 3 페이지분의 페이지 데이터 D1, D2, D3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의 인쇄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일방향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42)의 조작 방향을 「주주사 방향」, 「주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반송 기구(43)의 반송 방향을 「부주사(副走査) 방향」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점선 테두리는, 인쇄 헤드(42)의 일방향 주사에 의해 인쇄 가능한 인쇄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온다. 프린터 드라이버(32)는, 주된 기능 구성으로서, 취득부(62), 분할부(63), 커맨드 변환부(64) 및 송신부(65)를 구비한다. 취득부(62)는, 인쇄 작업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된 인쇄 작업을 취득한다. 분할부(63)는, 취득한 인쇄 작업을, 인쇄 장치(2)에 탑재된 인쇄 헤드(42)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로 분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장치(2)로서 스캔 방식이고 또한 일방향 인쇄를 행하는 시리얼 프린터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는 일방향 주사에 의해 인쇄 가능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인쇄 헤드(42)의 일방향 주사로 1 인치 폭의 인쇄가 가능한 경우, 각 페이지를 부주사 방향으로 1 인치 폭으로 구획한 영역이,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로 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예인 경우, 분할부(63)는, 각 페이지 데이터 D1, D2, D3를, 점선 테두리마다, 각각 8개의 단위 데이터로 분할한다.
커맨드 변환부(64)는, 분할부(63)에 의해 분할된 단위 데이터마다 커맨드 변환을 행한다. 또한, 송신부(65)는, 커맨드 변환부(64)에 의해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이하,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라고 칭함)를 인쇄 장치(2)에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부(65)는, 1개의 인쇄 작업 중에서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초의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보다, 2번째 이후의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많게 한다. 예를 들면, 1개의 인쇄 작업 중에서 1회째의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1」로 하고, 2번째 이후의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2」로 한다. 즉, 도 3의 예에서는, 1회째에 「단위 데이터 1-1」을 송신하고, 2번째에 「단위 데이터 1-2」와「단위 데이터 1-3」을 송신하고, 3번째에 「단위 데이터 1-4」와「단위 데이터 1-5」를 송신하는 등의 순서로 단위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단위 데이터 1-5」는, 1 페이지째의 5번째의 단위 데이터인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1회째의 단위 데이터 송신 수를 2번째 이후의 단위 데이터 송신 수보다 적게 하는 것은, 인쇄 장치(2)측에서 최초의 단위 데이터를 처리할 때에 초기 커맨드의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프린터 드라이버(32)(송신부(65))는, 각 단위 데이터를, 스풀러를 거치는 일 없이 직접 인쇄 장치(2)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OS(Operating System) 등의 사양에 의해 스풀러를 구비하지 않은 단말이어도, 본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1)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변형예와 관련되는 인쇄 작업의 분할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일방향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분할 패턴을 나타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왕복 인쇄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헤드(42)의 왕복 주사를 1회의 헤드 주주사로 간주하여, 각 페이지 데이터 D1, D2, D3를, 각각 4개의 단위 데이터로 분할한다.
또한, 본 변형예의 같이 왕복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2)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인쇄 헤드(42)의 일방향 주사를 1회의 헤드 주주사로 간주하여, 도 3과 마찬가지로, 각 페이지 데이터 D1, D2, D3를, 각각 8개의 단위 데이터로 분할해도 좋다. 또한, 인쇄 헤드(42)의 일방향 주사로 인쇄 가능한 데이터를 단위 데이터로 할지, 왕복 주사로 인쇄 가능한 데이터를 단위 데이터로 할지에 대해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 가능으로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작업을 분할한 단위 데이터마다 커맨드 변환을 행하기 때문에, 태블릿 단말(1)측의 CPU 부하를 경감하여, 다른 제어에 의해 CPU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데이터는, 인쇄 헤드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데이터량이기 때문에, 인쇄 장치(2)측에서 1 패스의 인쇄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태블릿 단말(1)측에서 다음의 단위 데이터의 커맨드 변환을 행하면 좋다. 이에 의해, 태블릿 단말(1)의 CPU의 사양이 낮고 데이터의 생성·송신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인쇄 장치(2)측에 있어서의 데이터 대기 시간을 단축하여, 인쇄 지령으로부터 인쇄 종료까지의 총합적인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65)는, 인쇄 장치(2)측에 있어서의 초기 커맨드의 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1개의 인쇄 작업 중에서, 최초의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보다, 2번째 이후의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많게 하기 때문에, 인쇄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즉, 태블릿 단말(1)과 인쇄 장치(2)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예를 들면, 단위 데이터를 N개(단, N는 2 이상의 정수) 동시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최초의 단위 데이터에 대해서는 인쇄 장치(2)측에서 초기 커맨드의 처리에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줄이는 것에 의해, 인쇄 장치(2)측에서의 최초의 단위 데이터의 처리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32)에 의해 인쇄 작업의 분할이나 단위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기 때문에, 인쇄 작업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31) 및 인쇄 장치(2)측의 펌웨어(41)에 변경을 가하는 일 없이,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32)는,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를, 스풀러를 거치는 일 없이 인쇄 장치(2)에 송신하기 때문에, 스풀러를 가지지 않는 단말을, 본 발명의 인쇄 제어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장치(2)로서 시리얼 프린터(스캔 방식)를 예시했지만, 라인 프린터(싱글 패스 방식)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라인 프린터의 경우, 1행을 한번에 인쇄 가능하기 때문에,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는, 1행분의 데이터(1회의 잉크 토출로 동시 인쇄 가능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1)에 마련된 프린터 드라이버(32)에 의해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태블릿 단말(1)과는 별도의 장치에서 본 발명을 실현해도 좋다. 예를 들면, 태블릿 단말(1)과 인쇄 장치(2)의 양쪽에 접속된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프린터 드라이버(32)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태블릿 단말(1)과 인쇄 장치(2)는, 1 대 1의 관계로 한정하지 않고, 복수 대 1, 또는 복수 대 복수의 관계로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제어 장치를, 인쇄 장치(2)에 착탈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1)은, 스풀러를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했지만, 스풀러를 가지는 단말을, 본 발명의 인쇄 제어 장치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도, 프린터 드라이버(32)는, 스풀러를 거치지 않고, 인쇄 장치(2)에 직접 단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프린터 드라이버(32)에 감시부(71)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 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 대해 적용되는 변형예는,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프린터 드라이버(32)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도 2 참조)에 감시부(71)를 추가한 구성이다. 감시부(71)는, 인쇄 장치(2)의 수신 버퍼(22)의 잔량(인쇄 장치의 상태)을 감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송신부(65)는, 수신 버퍼(22)의 잔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한다. 예를 들면, 수신 버퍼(22)의 잔량이 5할 이상인 경우에는,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4」, 수신 버퍼(22)의 잔량이 3할 이상이고 5할 미만인 경우에는,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2」, 수신 버퍼(22)의 잔량이 3할 미만인 경우에는,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1」등과 같이, 송신 수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2)측에서 얼마만큼 데이터가 처리되고 있는지에 따라, 단계적으로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커맨드 변환부(64)에 있어서, 송신부(65)에 의한 단위 데이터의 송신 상황에 따라 커맨드 변환 처리의 처리량을 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다른 제어에 의해 CPU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감시부(71)는, 인쇄 장치(2)의 수신 버퍼(22)의 잔량을 감시했지만, 인쇄 장치(2)의 에러 상태, 인쇄 장치(2)에 설정되어 있는 인쇄 모드, 종이 이송 속도 등을 감시해도 좋다. 이 경우, 송신부(65)는, 감시부(71)의 감시 결과에 따라,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한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프린터 드라이버(32)에 기억 제어부(72)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 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 대해 적용되는 변형예는,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6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프린터 드라이버(32)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도 2 참조)에 기억 제어부(72)를 추가한 구성이다. 기억 제어부(72)는, 커맨드 변환부(64)에 의한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인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태블릿 단말(1) 내의 기억 영역(73)에 기억시킨다. 기억 영역(73)은, 휘발성이어도 좋고 불휘발성이어도 좋다. 기억 제어부(72)는, 기억 영역(73)의 기억 용량이 허용하는 한, 과거에 처리한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 영역(73)에 기억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억 영역(73)은, 커맨드 변환부(64)에 의해 커맨드 변환이 행해질 때마다, 수시로 새로운 단위 데이터를 오래된 단위 데이터에 오버라이트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커맨드 변환부(64)는, 취득부(62)에 의해 취득한 인쇄 작업을 분할부(63)에 의해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에, 기억 영역(73)에 기억되어 있는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의 변환원과 동일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데이터의 커맨드 변환을 생략한다. 즉, 커맨드 변환부(64)는,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에서, 기억 영역(73)에 기억되어 있는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의 변환원과 동일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단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단위 데이터의 커맨드 변환을 행하지 않고, 기억 영역(73)으로부터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억 영역(73)을 참조하여, 과거에 변환한 것이 있는 단위 데이터의 커맨드 변환을 생략하기 때문에, 태블릿 단말(1)의 커맨드 변환에 필요로 하는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생성·송신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제 1 실시 형태보다 인쇄 시간의 총합을 더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억 제어부(72)는, 커맨드 변환부(64)에 의해 커맨드 변환이 행해질 때마다 새로운 단위 데이터를 기억 영역(73)에 오버라이트하여 가는 것으로 했지만, 미리 사용자가 단위 데이터를 설정해 두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인쇄 작업의 취득에 따라 데이터의 오버라이트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적으로 이용하는 인쇄 데이터를, 1 이상의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로서 기억 영역(73) 내에 불휘발성으로 기억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기억 제어부(72)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라고 판정한 단위 데이터의 판정 수를 기록해 두고,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소정 수의 단위 데이터만을 기억해 두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프린터 드라이버(32)에 기억 제어부(72) 및 영역 설정부(74)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 3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 대해 적용되는 변형예는,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7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프린터 드라이버(32)는, 제 3 실시 형태의 구성(도 6 참조)에 영역 설정부(74)를 추가한 구성이다. 영역 설정부(74)는, 인쇄 작업의 인쇄 영역 중,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인쇄 데이터의 인쇄 대상 영역인 고정 영역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지 데이터 D1(인쇄 이미지) 중에서, 고정적으로 이용하는 영역을, 고정 영역으로서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영역의 페이지 선단으로부터의 개시 위치와 종료 위치를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동일 행의 오른쪽 절반이 고정 영역이고, 왼쪽 절반이 비고정 영역 등,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 고정 영역과 비고정 영역을 구별하지 않는다. 또한, 고정 영역은, 모든 페이지에 공통인 정보로서 설정한다. 또한, 고정 영역은, 복수 설정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기억 제어부(72)는, 커맨드 변환부(64)에 의해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단위 데이터인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 중,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기억 영역(73)에 기억시킨다. 즉, 영역 설정부(74)에 의해 설정 처리가 행해진 후, 최초로 수신한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기억 영역(73)에 기억시킨다. 도 8의 예에서는, 「단위 데이터 1-1」∼「단위 데이터 1-6」을 기억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커맨드 변환부(64)는, 기억 영역(73)에 단위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취득부(62)에 의해 취득한 인쇄 작업을 분할부(63)에 의해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 비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단위 데이터를 커맨드 변환한다. 도 8의 예에서는, 「단위 데이터 1-6」∼「단위 데이터 1-8」을 커맨드 변환한다. 즉, 「단위 데이터 1-1」∼「단위 데이터 1-5」에 대해서는, 취득한 인쇄 작업을 분할한 단위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에 관계없이, 기억 영역(73)에 기억되어 있는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 영역은 모든 페이지에 공통의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 작업에 3 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모든 페이지에 있어서, 기억 영역(73)에 기억되어 있는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이용한다. 즉, 도 8의 예에서는, 「단위 데이터*-1」∼「단위 데이터*-5」로서, 단위 데이터를 기억해 둔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정 영역을 미리 설정하고, 그 고정 영역에 상당하는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것에 의해, 취득한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 고정 영역 외의 비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단위 데이터만을 커맨드 변환하면 좋다. 즉,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한 후에 취득한 인쇄 작업에 대해서는, 단위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정하는 일 없이, 필요 최저한의 단위 데이터만을 커맨드 변환하면 되기 때문에, 커맨드 변환에 필요로 하는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3 실시 형태보다 인쇄 시간의 총합을 더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억 제어부(72)는, 최초의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단위 데이터 중,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도 8의 「단위 데이터 1-1」∼「단위 데이터 1-6」)을 기억 영역(73)에 기억시켰지만, 비고정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것(도 8의 「단위 데이터 1-1」∼「단위 데이터 1-5」)을 기억 영역(73)에 기억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영역 설정부(74)는, 모든 페이지에 공통의 정보로서 고정 영역을 설정했지만, 페이지마다 상이한 고정 영역을 설정 가능으로 해도 좋다. 또한, 고정 영역 대신에, 비고정 영역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 4개의 실시 형태를 나타냈지만,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낸 인쇄 시스템 SY(프린터 드라이버(32))의 각 구성요소를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프로그램을 각종 기록 매체(CD-ROM, 플래쉬 메모리 등)에 저장하여 제공하거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컴퓨터를 인쇄 시스템 SY의 각 구성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네트워크를 거친 프로그램 제공 방법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제어 장치를 태블릿 단말(1)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 퍼스널 컴퓨터 등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인쇄 장치로서 잉크젯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열 헤드 프린터 등 다른 인쇄 방식의 인쇄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인쇄 작업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한 상기 인쇄 작업을, 인쇄 장치에 탑재된 인쇄 헤드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로 분할하는 분할부와,
    상기 단위 데이터마다 커맨드 변환을 행하는 커맨드 변환부와,
    상기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상기 단위 데이터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1개의 상기 인쇄 작업 중에서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1개의 상기 인쇄 작업 중에서, 최초의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보다, 2번째 이후의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인쇄 장치의 버퍼 잔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상기 단위 데이터인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맨드 변환부는, 취득한 상기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상기 단위 데이터 중에, 상기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의 변환원과 동일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데이터의 커맨드 변환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작업의 인쇄 영역 중,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인쇄 데이터의 인쇄 대상 영역인 고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와,
    상기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상기 단위 데이터인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 중, 상기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맨드 변환부는, 취득한 상기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상기 단위 데이터 중, 상기 고정 영역 외의 비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 데이터를 커맨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 상기 분할부, 상기 커맨드 변환부 및 상기 송신부를,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실현하고,
    상기 송신부는, 스풀러를 거치는 일 없이, 상기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상기 단위 데이터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
  9. 인쇄 작업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한 상기 인쇄 작업을, 인쇄 장치에 탑재된 인쇄 헤드의 1 패스로 인쇄 가능한 단위 데이터로 분할하는 분할 스텝과,
    상기 단위 데이터마다 커맨드 변환을 행하는 커맨드 변환 스텝과,
    상기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상기 단위 데이터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텝은, 1개의 상기 인쇄 작업 중에서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텝은, 1개의 상기 인쇄 작업 중에서, 최초의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보다, 2번째 이후의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스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송신 스텝은,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텝은, 상기 인쇄 장치의 버퍼 잔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기 단위 데이터의 송신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상기 단위 데이터인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를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 스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커맨드 변환 스텝은, 취득한 상기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상기 단위 데이터 중에, 상기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의 변환원과 동일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데이터의 커맨드 변환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작업의 인쇄 영역 중,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인쇄 데이터의 인쇄 대상 영역인 고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스텝과,
    상기 커맨드 변환이 종료한 상기 단위 데이터인 변환이 완료된 단위 데이터 중, 상기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 스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커맨드 변환 스텝은, 취득한 상기 인쇄 작업을 분할한 1 이상의 상기 단위 데이터 중, 상기 고정 영역 외의 비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 데이터를 커맨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쇄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각 부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94586A 2014-07-02 2015-07-02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682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7025A JP6347161B2 (ja) 2014-07-02 2014-07-02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JP-P-2014-137025 2014-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22A true KR20160004222A (ko) 2016-01-12
KR101682817B1 KR101682817B1 (ko) 2016-12-05

Family

ID=5517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586A KR101682817B1 (ko) 2014-07-02 2015-07-02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47161B2 (ko)
KR (1) KR101682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9269B2 (ja) * 2016-02-29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44A (ja) * 1996-06-26 1998-01-20 Fuji Xerox Co Ltd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2207576A (ja) * 2001-01-11 2002-07-26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11050010A (ja) * 2009-08-28 2011-03-10 Toshiba Corp メモリ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2585B2 (ja) * 1998-09-29 2006-05-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0137587A (ja) * 1998-11-02 2000-05-16 Fuji Xerox Co Ltd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
US20050231753A1 (en) * 2004-04-20 2005-10-20 Markus Mertam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inting document data
JP2007102378A (ja) * 2005-09-30 2007-04-19 Seiko Epson Corp ドライバプログラム
JP4770609B2 (ja) * 2006-07-04 2011-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ドライバ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896651B2 (ja) * 2006-10-02 2012-03-14 和歌山県 カキ果実の剥皮方法及び剥皮カキ果実
JP2008250799A (ja) * 2007-03-30 2008-10-16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672085B2 (ja) * 2011-03-14 2015-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44A (ja) * 1996-06-26 1998-01-20 Fuji Xerox Co Ltd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2207576A (ja) * 2001-01-11 2002-07-26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11050010A (ja) * 2009-08-28 2011-03-10 Toshiba Corp メモリ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15032A (ja) 2016-01-28
JP6347161B2 (ja) 2018-06-27
KR101682817B1 (ko)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08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d conveyance speed,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324011B2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for processing print jobs
US9569156B2 (e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allocate divided jobs to a plurality of rasterizing units
US9208414B2 (en) Bi-color duplex printing method and device
RU2536369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ечатью,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чатью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хранящий программу
KR101682817B1 (ko)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9235421B2 (en) Systems, method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using controllers that perform distinct functions
JP200729670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3173346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8854646B2 (en) Pr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device
JP7326946B2 (ja)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572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9116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9116595A (ja)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786394B2 (ja)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16943A (ja)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
JP6296866B2 (ja) 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
JP6385111B2 (ja) 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
US11243727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a standy stat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3144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print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947686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JP2010181999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印刷制御プログラム、
US1012062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265744B2 (ja) 印刷データ処理装置、印刷装置、印刷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印刷システム
CN117434805A (zh) 图像形成设备、控制图像形成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