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54A -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54A
KR20160002654A KR1020157001018A KR20157001018A KR20160002654A KR 20160002654 A KR20160002654 A KR 20160002654A KR 1020157001018 A KR1020157001018 A KR 1020157001018A KR 20157001018 A KR20157001018 A KR 20157001018A KR 20160002654 A KR20160002654 A KR 20160002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film
based metal
lay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485B1 (ko
Inventor
고오지 이노쿠치
오사무 미즈노
아야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오리진 일렉트릭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오리진 일렉트릭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2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2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20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도장막의 열화가 적고 금속 질감을 유지할 수 있는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는 마그네슘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투명한 피복막을 포함한다. 피복막은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투명한 방식막과, 이 방식막의 위에 형성되어 수지로 이루어지는 1층 이상의 투명한 도장막을 포함한다. 도장막은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적어도 1층의 내후성층을 갖는다.

Description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MAGNESIUM-BASED METALLIC MEM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MAGNESIUM-BASED METALLIC MEMBER}
본 발명은, 마그네슘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투명한 피복막을 포함하는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경량이고 비강도가 높다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휴대 전화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라는 휴대용 전기·전자 기기류의 케이스 등의 각종 부재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 케이스 등의 마그네슘 합금 부재에 금속 질감을 갖게 하여 고급감을 연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마그네슘은 활성인 금속이므로 부식되기 쉬워, 마그네슘 합금 부재에 있어서 기재의 표면 상에 내식성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에 다이아몬드 커트 가공 등의 미세한 요철 가공을 실시하고, 그 기재의 표면 상에 투명한 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질감을 높인 마그네슘 합금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피복층은, 방식 처리(화성 처리 또는 양극산화 처리)에 의해 형성된 방식층과, 그 위에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로 형성된 도장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20877호 공보
상기한 투명한 피복층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부재에 있어서, 장기간에 걸쳐 금속 질감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도장막의 열화가 적고 장기간에 걸쳐 금속 질감을 유지할 수 있는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는, 마그네슘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투명한 피복막을 포함한다. 피복막은,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투명한 방식막과, 이 방식막의 위에 형성되고 수지로 이루어지는 1층 이상의 투명한 도장막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장막은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적어도 1층의 내후성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이하, 단순히「Mg계 금속」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부재에 따르면, 도장막이 적어도 1층의 내후성층을 가짐으로써, 도장막을 형성하는 수지의 자외선에 따른 경년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도장막에 내후성을 부여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서 도장막의 황변, 광택의 저하, 깨짐, 박리, 블러스터 등의 열화가 적고, 장기간에 걸쳐 도장막의 투명성이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금속 질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Mg계 금속이란, Mg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으로서, 이 Mg계 금속에는 순 Mg 및 Mg 합금이 포함된다.
도장막의 형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수지를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장막을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하는 경우, 각 층의 형성 수지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층을, 2종 이상의 수지를 배합한 도료를 도장하여 형성해도 좋다. 도장막은 유색 투명해도 좋지만, 무색 투명이면 Mg계 금속의 기재 자체의 색조나 분위기를 느끼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방식막과 도장막 모두가 투명한 막이기 때문에, 기재 자체의 금속 질감을 느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이란, 기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일형태로서는, 도장막이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 부재는,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1층의 도장층을 형성하고 있지만, 아크릴 수지는 Mg계 금속의 기재(방식막)와의 밀착성이 낮아,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도장층이 박리할 우려가 있다. 도장층이 박리한 경우, 내식성이 저하되어 기재의 부식에 의해 금속 질감이 손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방식막의 위에 형성된 도장막이 에폭시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장막의 기재(방식막)로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별도의 일 형태로서는, 도장막이 방식막의 바로 위에 형성된 최내층과, 최내층의 위에 형성된 적어도 1층의 외층을 포함하고, 최내층이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도장막이 최내층과 외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이며, 최내층이 에폭시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도장막의 기재(방식막)로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에폭시계 수지란,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에, 예컨대 상기한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이들의 변성 수지 등의 다른 수지나, 경화제 등을 첨가한 것이라도 좋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D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브롬화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 중에서도, 기재(방식막)와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한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가 적합하다.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에 인산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이용하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도,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인산 화합물로서는, 인 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인산류가 이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오르토인산이나 포스폰산의 외에, 메타인산이나 피로인산 혹은 트리폴리인산 등의 축합 인산, 모노메틸인산이나 모노부틸인산, 모노옥틸인산, 모노페닐인산 등의 오르토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에 첨가하는 경화제로서는, 방식막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멜라민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메톡시화메틸올멜라민, 부톡시화메틸올멜라민 등이 이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또는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를 뷰렛 변성, 어덕트 변성,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시킨 수지가 이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블록제에 의해 블록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이유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는 반응하기 쉬워, 도료 조성물을 상온에 장시간 방치해 두면 서서히 반응이 진행되고, 해당 조성물의 특성이 변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블록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토옥심, 아세톡심, 시클로헥사논옥심, 아세토페논옥심, 벤조페논옥심 등의 옥심류; m-크레졸, 크실레놀 등의 페놀류; 부탄올, 2-에틸헥사놀, 시클로헥사놀,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알코올류; ε-카프로락탐, δ-발레로락탐, γ-부티로락탐 등의 락탐류; 말론산디에틸, 아세토아세트산에스테르 등의 디케톤류; 티오페놀 등의 메르캅탄류; 티오요산 등의 요소류; 이미다졸류; 카르바민산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옥심류, 페놀류, 알코올류, 락탐류, 디케톤류가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수지는, 도장한 후, 열간 소성이나 자외선 조사 등의 경화 방법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딱딱한 도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에폭시계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에 비교하여, Mg계 금속의 기재(방식막)와의 밀착성은 높지만, 한편으로 내후성이 낮고,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기 쉽기 때문에, 투명성이나 밀착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장막의 적어도 1층(도장막이 1층인 경우는 그 자체)이 내후성층인 것에 의해, 도장막 자체나 그 최내층을 형성하는 에폭시계 수지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투명성이나 밀착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내층을 형성하는 에폭시계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 최내층 자체를 내후성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장막이 최내층과 적어도 1층의 외층을 포함하는 상기 형태에 있어서, 외층의 적어도 1층이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외층의 적어도 1층이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도장막에 내치핑성, 내상성 등의 내마모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도장막에 있어서의 최내층을 에폭시계 수지로 형성하고, 최외층을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하면, 도장막의 밀착성 및 내마모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도장한 후, 열간 소성이나 자외선 조사 등의 경화 방법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에, 예컨대 상기한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 등의 다른 수지나, 경화제 등을 첨가한 것이라도 좋다. 도장막이 다층 구조인 경우는, 최외층이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는,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아크릴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고 변성 아크릴 수지도 포함된다.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헥실,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헥실, 메타크릴산옥틸, 메타크릴산라우릴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타크릴산메톡시에틸, 아크릴산메톡시부틸, 메타크릴산메톡시부틸, 아크릴산에톡시부틸, 메타크릴산에톡시부틸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콕시알킬에스테르; 알릴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케닐에스테르;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알릴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알릴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케닐옥시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투명성이 우수한 메타크릴산류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타크릴산메틸이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아크릴계 단량체와 함께, 다른 비닐계 단량체를 병용해도 좋다. 다른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p-클로로스티렌 등의 비닐방향족 화합물;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올레핀계 화합물; 아세트산비닐, 알릴알코올,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이 이용된다.
아크릴 수지에 첨가하는 경화제로서는, 최내층(예, 에폭시계 수지)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멜라민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메톡시화메틸올멜라민, 부톡시화메틸올멜라민 등이 이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또는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를 뷰렛 변성, 어덕트 변성,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시킨 수지가 이용된다.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하는 아크릴 수지의 글래스 전이 온도(Tg)는, -60℃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g가 -60℃ 이상이면,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된 도장막 또는 층의 내습성, 내온수성이 양호해지고, Tg가 90℃ 이하이면,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된 도장막 또는 층의 재부착성이 양호해진다.
도장막이 최내층과 적어도 1층의 외층을 포함하는 상기 형태에 있어서, 외층의 적어도 1층과 최내층이 각각,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내후성층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최내층 자체가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내후성층이며, 또한 외층의 적어도 1층이 내후성층인 것에 의해, 최내층(예, 에폭시계 수지)을 자외선에 의한 열화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투명성이나 밀착성을 장기간에 걸쳐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도장막이 최내층과 적어도 1층의 외층을 포함하는 상기 형태에 있어서, 최내층의 두께가 5 ㎛ 이상 50 ㎛ 이하이며, 외층의 두께가 5 ㎛ 이상 100 ㎛ 이하인 것을 들 수 있다.
최내층(예, 에폭시계 수지)의 두께가 5 ㎛ 이상 50 ㎛ 이하인 것에 의해, 밀착성이나 내식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층의 두께가 5 ㎛ 이상 100 ㎛ 이하인 것에 의해, 내식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최내층 및 외층의 각 층이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일형태로서는, 방식막이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인 것을 들 수 있다.
방식막은 Mg계 금속의 기재 표면에 형성되고, 기재에 내식성을 부여하거나, 도장 밀착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방식막은 화성 처리 또는 양극산화 처리라는 방식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화성 처리로서는, 예컨대, 지르코늄계 화성 처리, 크로메이트 처리, 망간계 화성 처리나 인산계 화성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르코늄계 화성 처리의 하나인 산화 지르코늄 화성 처리에 의해서 형성되는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은, 산화 지르코늄을 주성분으로 하고, 산이나 알칼리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갖는다. 또한,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은, 도장막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지나 커플링제를 배합함으로써 도장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은, 인산계 화성 처리에 의해서 형성되는 인산염 등의 화합물의 피막에 비교하여, 투명성이 높고 금속 질감을 높이기 쉽다.
방식막이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인 상기 형태에 있어서,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이 지르코늄을 10 mg/㎡ 이상 150 mg/㎡ 이하 함유하고, 그 두께가 10 nm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에 있어서의 지르코늄의 함유량이 10 mg/㎡ 이상 150 mg/㎡ 이하이고, 그리고, 그 두께가 10 nm 이상임으로써, 내산성·내알칼리성이나 밀착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의 두께는 20 nm 이상이다. 또한,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밀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한은 1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일 형태로서는, 자외선 흡수제가 유기계의 자외선 흡수제인 것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수지(특히, 에폭시 수지)를 가장 열화시키는 290∼380 nm의 자외 영역에 흡수 특성을 갖고, 그리고 가시 영역에 흡수 특성을 갖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자외선 흡수제에는 유기계와 무기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유기계의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수산아닐리드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진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무기계의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입자형의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열거한 흡수제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지만, 상기 특성을 만족하도록 조정한다. 유기계의 흡수제는, 무기계의 흡수제와 비교하여 투명성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유기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하는 경우, 흡수제의 내열성이나 내구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 내열성은 도장막을 형성할 때, 수지를 도장하여 소성할 때에 열에 의해 흡수제를 분해되지 않을 정도로 하고, 내구성은 장기간에 걸쳐 자외선에 노출되어도 자외선 흡수 효과가 열화하지 않을 정도로 하면 좋다. 유기계의 자외선 흡수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시바·재팬사(현 BASF 재팬사)제조의 TINUVIN(등록 상표)479, TINUVIN928, TINUVIN405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면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무기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하는 경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 가시광의 산란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입자 사이즈를 미세화(예컨대, 평균 입자 직경(체적 기준으로 누적 분포의 50%에 해당하는 메디안 직경(D50)이 0.01∼0.05 ㎛ 정도)하고, 그리고 도장막을 구성하는 각 층의 굴절률의 차이를 작게 하면 좋다. 무기계의 자외선 흡수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BYK-Chemie사 제조의 NANOBYK(등록 상표)-3812, NANOBYK-3821, NANOBYK-3841, NANOBYK-3842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예컨대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유기계의 흡수제인 경우 0.01∼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이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에 더하여 광안정제(HALS :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를 첨가하면, 내구성(내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광안정제의 첨가량은, 예컨대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의 각 첨가량은, 도장막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정하면 좋다.
광안정제(HALS)의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산쿄 라이프테크사 제조의 「SANOL(등록 상표) LS770, LS765」, 시바·재팬사 제조의 「TINUVIN 144」, ADEKA사 제조의 「아데카스타브(등록 상표) LA-57, LA-62, LA-63, LA-67, LA-68, LA-82」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지(도료)를 고온에서 소성하는 경우는, TINUVIN123이 특히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일 형태로서는, 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미세한 요철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Mg계 금속의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미세한 요철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에 의해 금속 질감을 높일 수 있다. 미세한 요철 가공으로서는, 예컨대 절삭 가공, 연삭 가공, 분사 가공, 및 산을 이용한 부식 가공의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어라인 가공, 다이아몬드 커트 가공, 스핀 커트 가공, 쇼트 블라스트 가공, 및 에칭 가공의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공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미세한 요철 가공은, 기재 표면의 일부에만 실시되어 있어도 좋고, 전면에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일 형태로서는, 마그네슘계 금속이 알루미늄을 3 질량% 이상 함유하는 마그네슘 합금인 것을 들 수 있다.
Mg 합금에는, 첨가 원소를 함유하는 여러 가지의 조성의 것(잔부 : Mg 및 불순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첨가 원소로서 Al을 함유하는 Mg­Al계 합금은, 내식성이나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Al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내식성이나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Al을 3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3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지, Al의 함유량이 12 질량%를 넘으면, 소성 가공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한은 12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Al의 함유량이 11 질량% 이하, 또한 8.3∼9.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Al 이외의 첨가 원소로서는, Zn, Mn, Si, Be, Ca, Sr, Y, Cu, Ag, Sn, Ni, Au, Li, Zr, Ce 및 희토류 원소(Y, Ce를 제외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첨가 원소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합계로 0.01∼10 질량%가 바람직하고, 0.1∼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 원소 중, Si, Sn, Y, Ce, Ca 및 희토류 원소(Y, Ce를 제외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로 0.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합계로 0.1∼5 질량% 함유하면, 내열성이나 난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희토류 원소의 경우는 0.1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Y는 0.5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순물로서는, 예컨대 Fe 등을 들 수 있다.
Mg­Al계 합금의 구체적인 조성으로서는, 예컨대 ASTM 규격에 있어서의 AZ계 합금(Mg­Al­Zn계 합금, Zn : 0.2∼1.5 질량%), AM계 합금(Mg­Al­Mn계 합금, Mn : 0.15∼0.5 질량%), Mg­Al­RE(희토류 원소)계 합금, AX계 합금(Mg­Al­Ca계 합금, Ca : 0.2∼6.0 질량%), AJ계 합금(Mg­Al­Sr계 합금, Sr : 0.2∼7.0 질량%)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Al을 8.3∼9.5 질량%, Zn을 0.5∼1.5 질량% 함유하는 Mg­Al계 합금, 대표적으로는 AZ91은, 다른 AZ계 합금과 비교해도 비강도가 높고, 우수한 내식성이나 내충격성을 갖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은, 마그네슘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 상에 투명한 피복막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의 공정을 포함한다.
기재에 방식 처리를 실시하여, 기재의 표면에 투명한 방식막을 형성하는 방식 공정.
방식막의 위에 수지를 도장하여, 1층 이상의 투명한 도장막을 형성하는 도장 공정.
그리고, 도장 공정에서는, 도장막으로서,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적어도 1층의 내후성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로서는, 도장 공정에서는, 도장막의 적어도 1층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에폭시계 수지로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로서는, 도장 공정에 있어서, 도장막으로서, 방식막의 바로 위의 최내층과 최내층의 위의 적어도 1층의 외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장 공정에서는, 최내층을 에폭시계 수지로 형성하고 외층의 적어도 1층을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하며, 최내층과 외층의 적어도 1층을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내후성층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Mg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도장막의 열화가 적고, 장기간에 걸쳐 금속 질감을 유지할 수 있는 상기한 본 발명의 Mg계 금속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수지(도료)를 도장하는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스프레이 도장이나 전착 도장 등의 공지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도장한 후, 소성하는 것에 의해 경화시키는 것으로 도장막을 강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한 공정에 더하여, 기재에 방식 처리를 실시하는 방식 공정의 전에, 기재에 탈지, 에칭, 탈스머트, 표면 조정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표면 처리 공정을 필요에 따라서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는, 도장막이 적어도 1층의 내후성층을 갖는 것에 의해 도장막의 열화가 적고, 장기간에 걸쳐 금속 질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도장막을 구성하는 적어도 1층이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도장막의 내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최내층이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외층이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도장막의 내식성이나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Mg계 금속 부재를 제조하고, 그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1]
AZ91 상당의 Mg 합금(Mg­9.0 질량% Al­1.0 질량% Zn)의 압연판을 준비하고, 이것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복수의 기재를 얻었다. 그리고, 기재에 표면 처리로서 탈지 처리를 실시한 후, 그 기재에 방식 처리로서 산화 지르코늄 화성 처리를 실시하고, 기재의 표면에 방식막이 되는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을 형성했다. 탈지 처리 및 화성 처리는 각각 다음의 조건으로 행했다.
(탈지 처리)
10% KOH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0.2% 용액의 교반 하, 60℃, 10분
(화성 처리)
지르코늄 함유 화성 처리제의 교반 하, 35℃, 1분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을 형성한 기재 표면을 육안에 의해 관찰한 바,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은 거의 무색 투명이었다. 또한,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 중에 포함되는 지르코늄의 함유량을 형광 X선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바,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에 있어서의 지르코늄의 함유량은 45 mg/㎡ 정도였다.
기재 표면에 형성된 방식막(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의 위에 표 1에 기재된 도료 A 또는 도료 B를 스프레이 도장하여, 150℃×20분의 소성을 행하고, 에폭시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장막을 형성했다.


도장막 형성 도료
도료 A 도료 B
에폭시계 도료 아크릴계 도료
수지 조성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크릴 수지/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외관 무색 투명 무색 투명
제품명 오리진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MG넷 P-2 초벌칠 클리어」 오리진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코넷 EY」
이 예에서는, 도료 A 및 도료 B에 관해서 각각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것과 첨가하고 있지 않은 것을 사용했다. 자외선 흡수제에는 TINUVIN928을 이용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8질량부로 했다. 그리고, Mg 합금의 기재의 표면 상에 방식막과 도장막을 포함하는 피복막이 형성된 표 2에 나타내는 시료 No.1-1∼No.1-4의 Mg계 금속 부재를 제조했다.
형성한 방식막 및 도장막의 각각의 두께를 측정한 바, 방식막의 두께는 20 nm이며, 도장막의 두께는 10 ㎛였다. 또, 각각의 두께는, 방식막 및 도장막이 형성된 기재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에 의해 관찰하고, 그 관찰 시야 내에 있어서 각각 10점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했다.
시료 No. 사용 도료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1-1 도료 A 없음
1-2 도료 A 있음
1-3 도료 B 없음
1-4 도료 B 있음
시료 No.1-1∼No.1-4의 Mg계 금속 부재에 관해서, 외관(기재 표면)을 육안에 의해 관찰한 바, 피복막이 무색 투명이며, 우수한 금속 질감을 갖고 있었다.
다음으로, 시료 No.1-1∼No.1-4의 Mg계 금속 부재에 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밀착성 시험, 내식성 시험(염수 분무 시험 및 인공땀 시험), 내수성 시험, 연필 경도 시험, 및 내후성 시험을 행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밀착성 시험>
밀착성 시험은, JIS K5600­5­6:1999(도료 일반 시험 방법­도포막의 기계적 성질­부착성(크로스 커트법))에 규정하는 시험 방법에 따라서 행했다. 이 시험에서는, Mg계 금속 부재 표면의 피복막에, 기재에 달하는 절개부를 종횡 1 mm의 간격으로 넣고, 10×10칸의 격자 패턴을 형성한 후, 이 격자 패턴의 위에 부착 테이프를 접착하여 벗겨 내어 피복막(도장막)의 밀착성을 평가했다. 그리고, 격자의 칸에 박리(벗겨냄)가 생겨 있는지를 육안에 의해 검사하고, 박리된 칸의 수를 세었다. 모든 칸(100개)에 박리가 보이지 않으면, 피복막의 밀착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표 3에 있어서, 밀착성의 평가가 양호한 경우(박리가 없는 칸의 수가 100)를 ○, 약간 불량인 경우(박리가 없는 칸의 수가 70 이상)를 △, 불량인 경우(박리가 없는 칸의 수가 70 미만)를 ×로 하고, 괄호 내에 (박리가 없는 칸의 수/모든 칸의 수)를 나타냈다.
또, 밀착성의 평가는, Mg계 금속 부재의 제조 후에 그대로 시험을 행하는 일차 밀착성과, 후술하는 염수 분무 시험, 인공땀 시험 및 내수성 시험의 각각의 후에 행하는 이차 밀착성의 각각에 따라 행했다.
<내식성 시험>
(염수 분무 시험)
염수 분무 시험은, JIS Z 2371:2000(염수 분무 시험 방법)에 규정하는 시험 방법에 따라서 행했다. 이 시험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염화나트륨 수용액(염수)을 Mg계 금속 부재에 분무하고 그 내식성을 평가했다. 시험 후, 기재에 부식이나 피복막에 변색이나 팽창이 생겨 있는지 외관을 육안에 의해 검사하고, 이러한 이상이 보이지 않고 변화가 없으면, 염수 분무 시험에 의한 내식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염수 분무 시험 조건>
염수 농도 : 5질량%
시험 온도: 35℃
시험 시간: 100시간
또한, 염수 분무 시험의 후, 상기한 밀착성 시험을 행하여, 이차 밀착성을 평가했다.
(인공땀 시험)
인공땀 시험은,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인공땀액에 Mg계 금속 부재를 침지하고 그 내식성을 평가했다. 시험 후, 기재에 부식이나 피복막에 변색이나 팽창이 생겨 있는지 외관을 육안에 의해 검사하고, 이러한 이상이 보이지 않고 변화가 없으면, 인공땀 시험에 의한 내식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인공땀 시험 조건>
인공땀액 :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아세트산 및 인산이나트륨을 더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한 산성 용액
시험 온도 : 40℃
시험 시간 : 120시간
또한, 인공땀 시험의 후, 상기한 밀착성 시험을 행하여 이차 밀착성을 평가했다.
<내수성 시험>
내수성 시험은, Mg계 금속 부재를 60℃의 온수 중에 9시간 침지하고 그 내수성을 평가했다. Mg계 금속 부재를 온수 중에서 꺼내고 도장막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여 표면 온도가 실온(약 25℃)이 될 때까지 방치한 후, 기재에 부식이나 피복막에 변색이나, 팽창, 깨짐, 박리 등이 생겨 있는지 외관을 육안에 의해 검사하고 이러한 이상이 보이지 않고 변화가 없으면, 인공땀 시험에 의한 내식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내수성 시험의 후, 상기한 밀착성 시험을 행하여, 이차 밀착성을 평가했다.
<연필 경도 시험>
연필 경도 시험은, JIS K5600­5­4 : 1999(도료 일반 시험 방법­도포막의 기계적 성질­스크래치 경도(연필법))에 규정하는 시험 방법에 따라서 행했다. 이 시험에서는, 미쓰비시엔삐쯔사 제조의 유니(등록 상표) 연필을 이용하여, 750 g의 하중을 가하여 긁었을 때에 흔적이 생기지 않는 가장 딱딱한 연필 경도로 평가했다.
<내후성 시험>
내후성 시험은, JIS K5600­7­7 : 2008(도료 일반 시험 방법­도포막의 장기간 내구성­촉진 내후성 및 촉진 내광성(크세논 램프법))에 규정하는 시험 방법에 따라서 행했다. 이 시험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크세논아크광을 Mg계 금속 부재에 조사하여 그 내후성을 평가했다. 시험 후, 피복막(도장막)에 황변 등의 열화가 생겨 있는지 외관을 육안에 의해 검사하고, 이러한 열화가 보이지 않고 변화가 없으면, 내후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내후성 시험 조건>
방사 조도 : 60 W/㎡
시험 온도 : 63℃
젖는 사이클 : 연속 운전 조작, 18분(젖는 시간)/102분(건조 기간), 건조 기간 중의 상대 습도 50%
시험 시간: 200시간
Figure pct00001
도장막이 에폭시계 수지(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로 형성된 시료 No. 1-1, No. 1-2 중,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지 않은 시료 No.1-1에서는, 내후성 시험 후에 도장막에 황변이 보여 의장성이나 금속 질감이 손상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시료 No. 1-2에서는, 내후성 시험 후라도 도장막에 황변이라는 열화가 보이지 않고, 도장막의 투명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 금속 질감이 유지되어 있었다.
도장막의 형성 수지에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시료 No. 1-3 및 No. 1-4에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에 의한 내후성으로의 영향은 그다지 보이지 않지만,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비교해서 내수성 시험 후의 이차 밀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AZ91 상당의 Mg 합금의 기재를 준비하고, 기재의 표면에 방식막이 되는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을 형성했다.
기재 표면에 형성된 방식막(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의 위에 표 4에 기재된 도료 A 또는 도료 B를 도장한 후, 각각의 위에 표 4에 기재한 도료 C를 도장하여, 에폭시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최내층과,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포함하는 2층 구조의 도장막을 형성했다. 최내층의 도장 및 외층의 도장은 각각 다음 조건으로 행했다.
(최내층의 도장)
최내층의 형성 도료를 스프레이 도장 후, 150℃×20분의 소성
(외층의 도장)
외층의 형성 도료를 스프레이 도장 후, 150℃×20분의 소성


최내층 형성 도료 외층 형성 도료
도료 A 도료 B 도료 C
에폭시계 도료 아크릴계 도료 아크릴계 도료
수지 조성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크릴 수지/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크릴 수지/멜라민 화합물
외관 무색 투명 무색 투명 무색 투명

제품명
오리진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MG네트 P-2시타누리크리어」 오리진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코넷 EY」 오리진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MG네트 T 우와누리크리어」
이 예에서는, 도료 A 또는 도료 C에 관해서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했다. 도료 B는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사용했다. 자외선 흡수제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TINUVIN928을 이용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8질량부로 했다. 그리고, Mg 합금의 기재의 표면 상에 방식막과 도장막을 포함하는 피복막이 형성된 표 5에 나타내는 시료 No. 2-1∼No. 2-4, No. 2-6 및 No. 2-7의 Mg계 금속 부재를 제조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형성한 방식막 및 도장막(최내층 및 외층)의 각각의 두께를 측정한 바, 방식막의 두께는 20 nm이며, 최내층 및 외층의 두께는 각각 10 ㎛이고, 도장막 전체의 두께는 20 ㎛였다.
또한, 별도의 시료로서, Mg 합금의 기재 표면에 미세한 요철 가공으로서 다이아몬드 커트 가공을 실시한 것 이외는 시료 No. 2-2와 동일하게 하여, 표 5에 나타내는 시료 No. 2-5의 Mg계 금속 부재를 제조했다. 다이아몬드 커트 가공은 시판의 다이아몬드 커트 가공기로 행하고, 이 예에서는 기재 표면의 전면에 실시했다. 다이아몬드 커트 가공은 다음 조건으로 행했다.
(다이아몬드 커트 가공)
가공 반경 : 50 mm, 깊이 : 0.02 mm(20 ㎛), 피치 : 0.05 mm

시료 No.
도장막
기재 표면의
미세한 요철 가공
최내층 외층
사용 도료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사용 도료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2-1 도료 A 없음 도료 C 없음 없음
2-2 도료 A 없음 도료 C 있음 없음
2-3 도료 A 있음 도료 C 있음 없음
2-4 도료 A 있음 도료 C 없음 없음
2-5 도료 A 없음 도료 C 있음 다이아몬드 커트
2-6 도료 B 없음 도료 C 없음 없음
2-7 도료 B 없음 도료 C 있음 없음
시료 No. 2-1∼No. 2-7의 Mg계 금속 부재에 관해서, 외관(기재 표면)을 육안에 의해 관찰한 바, 피복막이 무색 투명이며, 우수한 금속 질감을 갖고 있었다.
다음으로, 시료 No. 2-1∼No. 2-7의 Mg계 금속 부재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최내층이 에폭시계 수지로 형성된 시료 No. 2-1∼No. 2-5 중, 최내층과 외층의 어느 형성 수지에도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지 않고, 도장막에 내후성층을 갖지 않는 시료 No. 2-1에서는, 내후성 시험 후에 최내층(에폭시계 수지)에 황변이 보여 의장성이나 금속 질감이 손상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최내층과 외층 중 어느 것이 형성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내후성층인 시료 No. 2-2∼No. 2-5에서는, 내후성 시험 후라도 도장막에 황변이라는 열화가 보이지 않고, 도장막의 투명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 금속 질감이 유지되어 있었다. 또한, 시료 No. 2-2∼No. 2-5와 시료 No. 2-1과의 비교로부터, 도장막(최내층 또는 외층)의 형성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것에 의한 밀착성이나 내식성, 내수성의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최내층의 형성 수지에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시료 No. 2-6 및 No. 2-7에서는,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비교해서, 내식성 시험(염수 분무 시험 및 인공땀 시험) 후나 내수성 시험 후에 변색이 보이거나, 인공땀 시험 후나 내수성 시험 후의 이차 밀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Mg 합금의 조성, 방식막의 종류, 도장막(최내층, 외층)의 형성 수지의 종류나 두께, 외층의 층수 등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내식성의 요구가 낮거나, 도장막을 두껍게 하여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는, 방식막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Mg계 금속 부재는, 휴대 전화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라는 휴대용전기·전자 기기류의 케이스나 수송 기기의 내장품 등, 특히 의장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3년 4월 23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13-090657)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인다.

Claims (16)

  1. 마그네슘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투명한 피복막을 포함하는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로서,
    상기 피복막은
    상기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투명한 방식막과,
    상기 방식막 위에 형성되고 수지로 이루어지는 1층 이상의 투명한 도장막을 포함하고,
    상기 도장막은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적어도 1층의 내후성층을 갖는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막은
    상기 방식막 바로 위에 형성된 최내층과,
    상기 최내층 위에 형성된 적어도 1층의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내층은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적어도 1층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적어도 1층과 상기 최내층은 각각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내후성층인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의 두께는 5 ㎛ 이상 50 ㎛ 이하이며,
    상기 외층의 두께는 5 ㎛ 이상 100 ㎛ 이하인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막은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를 구성하는 에폭시 수지는 인산 변성 에폭시 수지인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식막은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인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지르코늄 화성 피막은 지르코늄을 10 mg/㎡ 이상150 mg/㎡ 이하 함유하고, 그 두께가 10 nm 이상인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유기계의 자외선 흡수제인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미세한 요철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가공은 헤어라인 가공, 다이아몬드 커트 가공, 스핀컷트 가공, 쇼트블라스트 가공, 및 에칭 가공의 적어도 1종인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계 금속은 알루미늄을 3질량% 이상 함유하는 마그네슘 합금인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14. 마그네슘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 상에 투명한 피복막을 형성하는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에 방식 처리를 실시하여, 기재의 표면에 투명한 방식막을 형성하는 방식 공정과,
    상기 방식막 위에 수지를 도장하여, 1층 이상의 투명한 도장막을 형성하는 도장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도장 공정에서는, 도장막으로서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적어도 1층의 내후성층을 형성하는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공정에서는, 도장막의 적어도 1층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에폭시계 수지로 형성하는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공정에 있어서, 도장막으로서, 방식막의 바로 위에 최내층과 최내층의 위에 적어도 1층의 외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장 공정에서는, 최내층을 에폭시계 수지로 형성하고 외층의 적어도 1층을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하며, 최내층과 외층의 적어도 1층을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내후성층으로 하는 것인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57001018A 2013-04-23 2014-04-23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144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0657A JP5727543B2 (ja) 2013-04-23 2013-04-23 マグネシウム基金属部材、及びマグネシウム基金属部材の製造方法
JPJP-P-2013-090657 2013-04-23
PCT/JP2014/061372 WO2014175309A1 (ja) 2013-04-23 2014-04-23 マグネシウム基金属部材、及びマグネシウム基金属部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4A true KR20160002654A (ko) 2016-01-08
KR102144485B1 KR102144485B1 (ko) 2020-08-13

Family

ID=5179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018A KR102144485B1 (ko) 2013-04-23 2014-04-23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27543B2 (ko)
KR (1) KR102144485B1 (ko)
CN (1) CN105008124B (ko)
TW (1) TWI633191B (ko)
WO (1) WO2014175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421B1 (ko) * 2015-08-25 2017-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크래치 공법 적용을 통한 금속 표면 프로파일 형성 방법
CN106714487A (zh) * 2015-11-17 2017-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镁合金通信设备
DE102017118289B4 (de) * 2017-08-11 2023-08-0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schichteten Bauteils aus einem Magnesiumwerkstoff
KR20220106532A (ko) * 2021-01-2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층상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807708B (zh) * 2022-05-26 2022-10-28 长沙理工大学 一种医用复合镁合金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647A (ja) * 2000-08-11 2002-02-19 Tokyo Seitankosho:Kk 軽合金製の成形体
JP2003221684A (ja) * 2001-11-21 2003-08-08 Nippon Paint Co Ltd マグネシウム及び/又はマグネシウム合金の表面処理方法及びマグネシウム及び/又はマグネシウム合金製品
JP2005288993A (ja) * 2004-04-05 2005-10-20 Arrk Okayama Co Ltd マグネシウム又はマグネシウム合金からなる製品の製造方法
JP2007051323A (ja) * 2005-08-17 2007-03-01 Nippon Parkerizing Co Ltd 金属材料用水系表面処理剤及び表面被覆金属材料
JP2009120877A (ja) 2007-11-12 2009-06-0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部材
JP2009172511A (ja) * 2008-01-24 2009-08-06 Nippon Light Metal Co Ltd 金属塗装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4243A1 (fr) * 2001-11-21 2003-05-30 Nippon Paint Co., Ltd. Procede de traitement de surface pour magnesium et/ou alliage de magnesium, et produit en magnesium et/ou en alliage de magnesium
JP4233385B2 (ja) * 2003-05-22 2009-03-04 東洋鋼鈑株式会社 化粧フィルム、および化粧板
JP4588658B2 (ja) * 2006-03-29 2010-12-01 日新製鋼株式会社 透明フッ素樹脂塗装ステンレス鋼板
CN101376790B (zh) * 2007-08-30 2011-03-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镁合金的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647A (ja) * 2000-08-11 2002-02-19 Tokyo Seitankosho:Kk 軽合金製の成形体
JP2003221684A (ja) * 2001-11-21 2003-08-08 Nippon Paint Co Ltd マグネシウム及び/又はマグネシウム合金の表面処理方法及びマグネシウム及び/又はマグネシウム合金製品
JP2005288993A (ja) * 2004-04-05 2005-10-20 Arrk Okayama Co Ltd マグネシウム又はマグネシウム合金からなる製品の製造方法
JP2007051323A (ja) * 2005-08-17 2007-03-01 Nippon Parkerizing Co Ltd 金属材料用水系表面処理剤及び表面被覆金属材料
JP2009120877A (ja) 2007-11-12 2009-06-0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部材
JP2009172511A (ja) * 2008-01-24 2009-08-06 Nippon Light Metal Co Ltd 金属塗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8124A (zh) 2015-10-28
JP5727543B2 (ja) 2015-06-03
WO2014175309A1 (ja) 2014-10-30
TW201512417A (zh) 2015-04-01
KR102144485B1 (ko) 2020-08-13
JP2014213481A (ja) 2014-11-17
CN105008124B (zh) 2017-09-26
TWI633191B (zh)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485B1 (ko)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 및 마그네슘계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JP4323530B2 (ja) 耐食性に優れた塗料組成物
EP1959030B1 (en) Aqueous surface-treating agent for metal material and surface-coated metal material
JP5547415B2 (ja) 防錆塗料組成物
JP5669299B2 (ja) 耐食性に優れた塗料組成物
JP4988434B2 (ja) 耐食性に優れた塗料組成物
JP4443581B2 (ja) 耐食性に優れた塗料組成物
JP4403205B2 (ja) 耐食性に優れた塗膜形成金属材
EP2990505B1 (en)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for coated steel sheet, surface treated plat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tion of same
JP5231754B2 (ja) 耐食性に優れた塗料組成物
JP5814941B2 (ja) 耐食性に優れる塗料組成物
JP3962416B2 (ja) 塗装金属板
JP4374034B2 (ja) 耐食性に優れる塗料組成物
TWI443158B (zh) Resistant to white rust excellent coating to form galvanized steel
JP5161164B2 (ja) 耐食性に優れる塗料組成物
JP2010031297A (ja) 耐食性に優れた塗料組成物
KR20120126847A (ko) 건식도금용 다층 코팅,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소재
EP1693192A1 (en) Coated metal plate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reduced environmental impact
US20180057707A1 (en) Curable film-forming compositions demonstrating increased wet-edge time
JP2004176113A (ja) 高耐食性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5547438B2 (ja) 耐食性に優れる塗料組成物
JP5309648B2 (ja) 塗装済み金属部材
JP2012131907A (ja) 耐食性に優れる塗料組成物
TWI393754B (zh) 塗料組成物及使用該組成物之塗裝金屬板
JP2012011605A (ja) 樹脂被覆金属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