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362A - 입상 세제 - Google Patents

입상 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362A
KR20160002362A KR1020150088312A KR20150088312A KR20160002362A KR 20160002362 A KR20160002362 A KR 20160002362A KR 1020150088312 A KR1020150088312 A KR 1020150088312A KR 20150088312 A KR20150088312 A KR 20150088312A KR 20160002362 A KR20160002362 A KR 2016000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ranular detergent
surfactant
mas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845B1 (ko
Inventor
다이스케 사사키
토시히코 타치카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과제] 세탁액의 혼탁의 저감이 도모되고, 또한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입상 세제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A) 성분 : 수불용성 성분 3질량% 이하와, (B) 성분 :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과, (C) 성분 :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 20질량% 이상과, (D) 성분 : 비이온 계면활성제(D1)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5~30질량%를 함유하고, (B) 성분/(C)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가 0.35 이하인 입상 세제. (D) 성분은 비비누계 음이온 계면활성제(D2)를 더 포함하고, (D1) 성분/(D2)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입상 세제{GRANULAR DETERGENT}
본 발명은 입상 세제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의료(衣料)용 세제에는 의료 등(피세정물)에 부착된 각종 오염에 대하여 높은 세정력이 요구된다. 이 중, 입상 세제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 이외에 제올라이트 등의 수 불용성 성분이나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등의 배합에 의해서 세정력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드럼식 세탁기로 대표되는 대용량 세탁기나 절수형 세탁기가 보급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 많은 피세정물이 함께 헹궈지거나 물이 적은 저욕비(低浴比)의 조건 하에서 세탁이 행해지거나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세탁이 행해졌을 경우, 세탁액에 혼탁이 발생하여 세탁 후에 있어서의 피세정물의 색상이나 하얘짐의 저하가 문제로 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특허문헌 1에서는 과탄산나트륨과, 알칼리 금속의 탄산수소염과,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과, 알루미노 규산염(제올라이트 등)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입상 세제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입상 세제에 의하면, 세탁시에 발생되는 세탁액의 혼탁이 저감되고, 세탁액 중으로 나온 오염의 피세정물로의 재부착이 억제된다.
일본 특허 공개 2013-15160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입상 세제에 있어서는 피세정물에 부착된 오염에 대하여 배합된 전부의 계면활성제가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아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고 있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세탁액의 혼탁의 저감이 도모되고 또한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입상 세제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검토에 의해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
입상 세제에 배합되는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은 수돗물 중의 칼슘 이온과 수불용성 염(탄산칼슘)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저욕비의 조건 하에서 세탁이 행해지는 경우, 상기 수불용성 염, 및 제올라이트 등의 수불용성 성분이 세탁액 중에 존재함으로써 세탁액은 혼탁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즉, 상기 수불용성 염이나 수불용성 성분은 오염의 1종이 된다). 그리고, 세정 성분인 계면활성제의 일부는 오염으로서의 수불용성 염이나 수불용성 성분에 소비됨으로써 종래의 오염(피세정물에 부착된 오염)에 소비되어야 하는 계면활성제량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피세정물에 부착된 오염에 대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더한 검토에 의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와 수불용성 성분과 함께,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을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과 특정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입상 세제는 (A) 성분 : 수불용성 성분 3질량% 이하와, (B) 성분 :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과, (C) 성분 :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 20질량% 이상과, (D) 성분 : 비이온 계면활성제(D1)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5~30질량%를 함유하고, (B) 성분/(C)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가 0.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상 세제에 있어서는 상기 (D) 성분이 비비누계 음이온 계면활성제(D2)를 더 포함하고, (D1) 성분/(D2)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입상 세제에 의하면, 세탁액의 탁도 저감이 도모되고 또한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입상 세제)
본 발명의 입상 세제는 (A) 성분 : 수불용성 성분과, (B) 성분 :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과, (C) 성분 :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과, (D) 성분 :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A) 성분 : 수불용성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성분은 수불용성 성분이고, 25℃의 이온 교환수에 대한 용해도가 0.1g/100mL 이하인 성분을 말한다.
(A)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A형 제올라이트, P형 제올라이트, X형 제올라이트 등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지방산 칼슘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가 바람직하다.
(A)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입상 세제 중의 (A) 성분의 함유량은 3질량% 이하이고, 0.5~3질량%가 바람직하고, 1~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A) 성분의 함유량이 3질량% 이하이면 세탁액의 혼탁의 저감이 도모된다. 한편, 상기 바람직한 하한값 이상이면 세정력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A)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B) 성분의 수불용성 염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수돗물 중의 칼슘 이온에 의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불활화(수불용성 염 형성)가 억제된다.
<(B) 성분: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본 발명에 있어서의 (B) 성분은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이다.
(B) 성분으로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탄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입상 세제 중의 (B) 성분의 함유량은 1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하한값은 3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값 이하이면 수돗물 중의 칼슘 이온과의 수불용성 염 형성이 억제되어 세탁액의 혼탁이 보다 저감된다. 이것에 따라,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보다 발휘되기 쉬워진다. 한편, 상기 바람직한 하한값 이상이면 세탁액의 pH가 적당한 범위로 조정되기 쉬워진다.
<(C) 성분: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
본 발명에 있어서의 (C) 성분은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이다. (C) 성분은 수돗물에 용해되었을 때에 수불용성 염을 생성하기 어려운 성분이다.
(C) 성분으로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탄산수소나트륨이 바람직하다.
(C)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입상 세제 중의 (C) 성분의 함유량은 20질량% 이상이며, 20~60질량%가 바람직하고, 30~6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40~6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C)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입상 세제의 용해도가 높아진다. 한편, 상기 바람직한 상한값 이하이면 (B) 성분과의 배합 밸런스를 취하기 쉬워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보다 발휘되기 쉬워진다.
(B) 성분과 (C) 성분의 조합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입상 세제 중의 (B) 성분과 (C) 성분의 질량비, 즉, (B) 성분/(C)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는 0.35 이하이고, 0.10~0.25가 바람직하고, 0.10~0.20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질량비가 0.35 이하이면, 세탁액의 혼탁의 저감이 도모되고 또한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D) 성분: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D) 성분은 계면활성제이며, 적어도 비이온 계면활성제(D1)(이하, 「(D1) 성분」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D) 성분에 차지하는 (D1) 성분의 함유량은 (D) 성분의 총 질량(100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D1)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값 이상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D1) 성분)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1) 탄소수 6~22개, 바람직하게는 8~18개의 지방족 알코올에 탄소수 2~4개의 알킬렌옥시드를 평균 3~30몰, 바람직하게는 5~2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8몰 첨가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또는 알케닐)에테르.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또는 알케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또는 알케닐)에테르가 적합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제1급 알코올, 제2급 알코올이 예시된다. 또한, 그 알킬기는 분기쇄를 갖고 있어도 좋다.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제1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2) 폴리옥시에틸렌알킬(또는 알케닐)페닐에테르.
(3) 장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결합 사이에 알킬렌옥시드가 첨가된,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알콕실레이트.
R1CO(OA)mOR2···(I)
[식(I) 중, R1CO는 탄소수 6~22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8개의 지방산 잔기를 나타내고, OA는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등의 탄소수 2~4개, 바람직하게는 2~3개의 알킬렌옥시드의 부가 단위를 나타내고, m은 알킬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3~30개, 바람직하게는 5~20개의 수이다. R2는 탄소수 1~3개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탄소수 1~4개) 알킬기를 나타낸다.]
(4)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6)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7)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8)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D) 성분에는 (D1) 성분에 추가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병용해도 좋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1) 탄소수 8~20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 α-술포 지방산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에스테르염.
(2) 지방산의 평균 탄소수가 10~20개인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3) 탄소수 8~18개의 알킬기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벤젠술폰산 염(LAS 또는 ABS).
(4) 탄소수 10~20개의 알칸술폰산염.
(5) 탄소수 10~20개의 α-올레핀술폰산염(AOS).
(6) 탄소수 10~20개의 알킬 황산염 또는 알케닐 황산염(AS).
(7) 탄소수 2~4개의 알킬렌옥시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에틸렌옥시드(EO)와 프로필렌옥시드(PO)(몰비 EO/PO=0.1/9.9~9.9/0.1)를 평균 0.5~10몰 부가한 탄소수 10~20개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알킬(또는 알케닐)에테르 황산염(AES).
(8) 탄소수 2~4개의 알킬렌옥시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몰비 EO/PO=0.1/9.9~9.9/0.1)를 평균 3~30몰 부가한 탄소수 10~20개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알킬(또는 알케닐)페닐에테르 황산염.
(9) 탄소수 2~4개의 알킬렌옥시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몰비 EO/PO=0.1/9.9~9.9/0.1)를 평균 0.5~10몰 부가한 탄소수 10~20개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알킬(또는 알케닐)에테르 카르복실산염.
(10) 탄소수 10~20개의 알킬글리세릴에테르술폰산과 같은 알킬 다가 알코올에테르 황산염.
(11) 장쇄 모노알킬, 디알킬 또는 세스퀴알킬인산염.
(12) 폴리옥시에틸렌모노알킬, 디알킬 또는 세스퀴알킬인산염.
이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아민염, 암모늄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수돗물 중의 칼슘 이온과 수불용성 염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비비누계 음이온 계면활성제(D2)(이하, 「(D2) 성분」이라고도 함)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있어서의 (1) 및 (3)~(12)가 예시되고, 이들 중에서도 (1), (3), (7)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1) 디장쇄 알킬 디단쇄 알킬형 4급 암모늄염.
(2) 모노장쇄 알킬 트리단쇄 알킬형 4급 암모늄염.
(3) 트리장쇄 알킬 모노단쇄 알킬형 4급 암모늄염.
단, 상기 「장쇄 알킬」은 탄소수 12~26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18개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단쇄 알킬」은 페닐기, 벤질기, 히드록시기, 히드록시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포함하고, 탄소 사이에 에테르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4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개의 알킬기; 벤질기; 탄소수 2~4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3개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2~4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3개의 폴리옥시알킬렌기가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시된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양성 계면활성제≫
(D) 성분에 이용해도 좋은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의 양성 계면활성, 아미드베타인계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이 적합한 것으로서 예시된다. 이들 양성 계면활성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중에서도 (D) 성분으로서는, (D1) 성분만을 이용하는 것, 또는 (D1) 성분과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D1) 성분과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D) 성분은, (D1) 성분과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고, (D1) 성분과 (D2) 성분의 조합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상 세제 중의 (D) 성분의 함유량은 5~30질량%이며, 10~25질량%가 바람직하다. (D)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입상 세제의 세정력이 충분히 높아진다. 한편,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입상 세제는 고화를 발생시키기 어려워 유동성이 확보되기 쉽다.
입상 세제 중의 (D1) 성분과 (D2) 성분의 질량비, 즉, (D1) 성분/(D2)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가 더욱 바람직하고, 3~5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질량비가 1 이상이면, 즉, (D1) 성분의 함유량이 (D2) 성분의 함유량에 비해서 동량이거나 또는 많음으로써 (B) 성분의 수돗물 중의 칼슘 이온과의 수불용성 염 형성이 억제된다. 이것에 따라, 피세정물에 부착된 오염에 소비되는 계면활성제량이 유지되기 때문에 세정 효과가 보다 발휘되기 쉬워진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입상 세제는 상술한 (A) 성분, (B) 성분, (C) 성분 및 (D) 성분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서 기타 성분(세제 임의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세제 임의 성분으로서는 의료용 등의 세제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입상 세제에 있어서는 세제 임의 성분으로서 세정성 빌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성 빌더로서는 유기 빌더, 무기 빌더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빌더에는 저분자 킬레이트제, 고분자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저분자 킬레이트제로서는, 예를 들면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 β-알라닌디아세트산염, 아스파라긴산디아세트산염,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염, 이미노디숙신산염 등의 아미노카르복실산염; 세린디아세트산염, 히드록시이미노디숙신산염,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3아세트산염,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염 등의 히드록시아미노카르복실산염; 히드록시아세트산염, 주석산염, 구연산염, 글루콘산염 등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염; 피로멜리트산염, 벤조폴리카르복실산염,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염 등의 시클로카르복실산염; 카르복시메틸타르트로네이트, 카르복시메틸옥시숙시네이트, 옥시디숙시네이트, 주석산 모노 또는 디숙시네이트 등의 에테르카르복실산염 등이 예시된다.
고분자 킬레이트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산과 알릴알코올의 공중합체,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 히드록시아크릴산 중합체, 다당류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염; 폴리글리옥실산 등의 폴리아세탈카르복실산의 염; 말레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테트라메틸렌 1,2-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염; 전분,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펙틴 등의 다당류 산화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다당류 유도체 등이 예시된다.
상기 중에서도, 유기 빌더로서는 고분자 킬레이트제가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빌더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입상 세제가 유기 빌더를 함유하는 경우, 유기 빌더의 함유량은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빌더를 이용함으로써 수돗물 중의 칼슘 이온 등이 포착되고, (B) 성분의 수불용성 염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유기 빌더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세탁액의 혼탁의 저감이 더 한층 도모되고, 또한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보다 발휘된다.
무기 빌더로서는, 예를 들면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아황산염; 결정성 층상 규산염, 비정질 알칼리 금속 규산염 등의 규산염;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오르토인산염, 피로인산염, 트리폴리인산염, 메타인산염, 헥사메타인산염, 피틴산염 등의 인산염;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 무정형 알루미노규산염 등이 예시된다.
상기 중에서도 무기 빌더로서는 규산염이 바람직하다.
무기 빌더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입상 세제가 무기 빌더를 함유하는 경우, 무기 빌더의 함유량은 20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하한값은 3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무기 빌더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입상 세제의 용해성이 보다 높아지고, 또한 세탁액의 pH가 적당한 범위로 조정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입상 세제에는 세제 임의 성분으로서 상술의 세정성 빌더 이외에, 예를 들면 황산염 등의 입자 강도 유지제, 알칼리제, 환원제, 형광증백제, 자외선 흡수제, 효소제, 표백제, 표백활성화제, 표백활성화 촉매, 유연화제, 재오염(침착) 방지제, 기포 컨트롤제, 향료, 표면개질제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상 세제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 원료를 분말 혼합하는 드라이블렌드법, 분말 원료를 혼합하여 유동시키면서 조립하는 건식 조립법(造粒法), 분말 원료를 혼합하여 유동시키면서 액체 바인더를 분무해서 조립하는 교반 조립법, 원료를 반죽(kneading)해서 이것을 압출기에서 압출하는 압출 조립법, 원료를 반죽해서 이것을 분쇄하는 분쇄 조립법, 원료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분무 건조하는 분무 건조법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입상 세제의 평균 입자 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1,5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1,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700㎛이다. 입상 세제의 평균 입자 지름이 바람직한 하한값 이상이면 사용시의 입자화가 억제된다. 한편, 상기 평균 입자 지름이 바람직한 상한값 이하이면 물로의 용해성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상 세제의 평균 입자 지름은 닛폰야쿄쿠호에 기재된 입도의 시험에 준한 체가름에 의한 입도 분포로부터 산출되는 값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평균 입자 지름은 개구사이즈 1,680㎛, 1,410㎛, 1,190㎛, 1,000㎛, 710㎛, 500㎛, 355㎛, 250㎛ 및 149㎛의 9단계의 체와 받침접시를 이용한 분급 조작에 의해 측정한다.
분급 조작은 받침접시에 개구사이즈가 작은 체에서부터 개구사이즈가 큰 체의 순으로 적층시키고, 최상부의 1,680㎛의 체 상에서 100g/회의 입상 세제를 넣고, 뚜껑을 덮어 로우탭형 체 진탕기(가부시키가이샤 이이다세이사쿠죠제, 태핑: 156회/분, 롤링: 290회/분)에 장착하고, 10분 동안 진동시킨 후 각각의 체 및 받침접시 상에 잔류된 입상 세제를 체 메쉬마다 회수하는 작업을 행한다. 이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1,410~1,680㎛(1,410㎛의 체 상), 1,190~1,410㎛(1,190㎛의 체 상), 1,000~1,190㎛(1,000㎛의 체 상), 710~1,000㎛(710㎛의 체 상), 500~710㎛(500㎛의 체 상), 355~500㎛(355㎛의 체 상), 250~355㎛(250㎛의 체 상), 149~250㎛(149㎛의 체 상), 받침접시~149㎛(149㎛의 체 통과, 받침접시 상)의 각 입도의 분급 샘플을 얻어 그 질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받침접시와 각 체의 질량 빈도(%)를 산출한다. 적산의 질량 빈도가 50% 이상으로 되는 최초의 체의 개구사이즈를 「a㎛」라고 하고, a㎛보다 1단계 큰 체의 개구사이즈를 「b㎛」로 하고, 받침접시로부터 a㎛의 체까지의 질량 빈도의 적산값을 「c%」, 또한 a㎛의 체 상의 질량 빈도를 「d%」로 하여 아래 식(1)에 의해 평균 입자 지름(50질량% 입자 지름)을 구하고, 이것을 입상 세제의 평균 입자 지름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입상 세제의 부피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3kg/dm3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2kg/dm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1.1kg/dm3이다.
입상 세제의 부피 밀도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값 이상이면 입자화가 적고,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입상 세제의 보존시에 필요한 스페이스(보존 장소)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그 부피 밀도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값 이하이면 용해성이 보다 양호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피 밀도는 JISK3362-1998에 준하여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입상 세제를 이용하여 피세정물을 세탁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이 예시되고, 예를 들면 수돗물에 입상 세제를 용해해서 이루어지는 세탁액을 세탁기의 탱크 내에서 조제해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방법, 상기 세탁액에 피세정물을 담가놓은 후에 헹구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입상 세제는 (A) 성분: 수불용성 성분과, (B) 성분: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과, (C) 성분: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 20질량% 이상과, (D) 성분: 비이온 계면활성제(D1)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5~30질량%를 함유함으로써 오염에 대하여 양호한 세정력을 갖고 용해성이 우수하다. 또한, (A) 성분이 3질량% 이하이고, 또한 (B) 성분/(C)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가 0.35 이하임으로써 (B) 성분과 수돗물 중의 칼슘 이온의 수불용성염 형성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피세정물의 세탁시에 세탁액의 혼탁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수불용성 염 형성이 억제됨과 아울러, (A) 성분이 3질량% 이하로 저감되어 있음으로써 수불용성 염이나 수불용성 성분에 소비되는 (C) 성분의 양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배합된 전부의 계면활성제가 본래의 오염(피세정물에 부착된 오염)에 대하여 유효하게 작용하고, (C) 성분에 의한 세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입상 세제에 있어서는 수불용성 성분의 사용량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환경 부하가 낮다.
본 발명의 입상 세제는 가정용, 상업용, 공업용의 용도로서 이용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가정용으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며, 의료용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세정 대상물(피세정물)의 종류는 가정에 있어서의 세탁에서 세정 대상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 예시되지만, 예를 들면 의류, 행주, 타올류, 셔츠, 커튼 등의 섬유 제품 등이 예시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각 예의 입상 세제의 조성을 표 1, 표 2에 나타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원료는 하기와 같다.
·(A) 성분: 수불용성 성분
제올라이트(상품명 「쉴톤 B」, 미즈사와카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입상, 25℃의 이온 교환수에 대하여 용해되지 않는 것.
벤토나이트(상품명 「라운드로실 PR414」, 수드 케미사제) 입상, 25℃의 이온 교환수에 대하여 용해되지 않는 것.
·(B) 성분: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탄산 Na(상품명 「입회(粒灰)」, 소다 애쉬 재팬가부시키가이샤제) 입상.
·(C) 성분: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
탄산수소 Na(상품명 「Bicarbonate」, Penrice사제) 입상.
·(D) 성분: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D1)
LMAO(상품명 「LMAO-90」,가부시키가이샤닛폰쇼쿠바이제) 액상.
··비비누계 음이온 계면활성제(D2)
LAS(상품명 「라이폰」, 라이온가부시키가이샤제) 직쇄 알킬(탄소수 10~14개) 벤젠술폰산, 입상. 입상 세제의 제조시에 중화되어 나트륨염으로 된다.
AES[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상품명 「다이폴 SFES-733」, 타이코유시 카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을 황산 Na(상품명 「중성 무기염」, 시코쿠카세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에 분무하여 과립 형상으로 한 것] 과립상.
MES(상품명 「MIZULAN FL-80」, 라이온에코케미칼즈사제) 파우더 형상.
··비누
지방산 Na(상품명 「라우릴산 Na」, 칸토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파우더 형상.
·기타 성분
규산 Na(상품명 「퓨리피드」, 가부시키가이샤 토쿠야마실테크제) 입상.
MA제(상품명 「소칼란 CP7」, BASF사제) 아크릴산과 무수말레산의 공중합체 나트륨염, 과립상.
폴리아크릴산 Na(상품명 「아론 A-20P」, 토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제) 입상.
황산 Na(상품명 「중성 무수 망초」, 시코쿠카세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입상.
<입상 세제의 제조예>
표 1, 표 2에 나타내는 각 예의 조성[배합 성분, 함유량(질량%)]에 따라 하기 제조 방법에 의해 입상 세제를 각각 제조했다.
표 중, 빈 칸의 배합 성분이 있는 경우, 그 함유 성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다. 표 중, 배합 성분의 함유량은 순분 환산량을 나타낸다.
「질량비 (B) 성분/(C) 성분」은 입상 세제 중의 (C) 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B) 성분의 함유량의 질량 비율을 나타낸다.
「질량비 (D1) 성분/(D2) 성분」은 입상 세제 중의 (D2) 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D1) 성분의 함유량의 중량 비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레디게 믹서를 이용하여 제올라이트와 탄산 Na과 탄산수소 Na과 LAS와 규산 Na과 MA제와 황산 Na을 혼합했다.
이어서, LMAO를 분무하면서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입상 세제를 얻었다. 얻어진 입상 세제의 평균 입자 지름은 250㎛, 부피 밀도 0.98kg/dm3이었다.
(실시예 2~실시예 17, 비교예 1~비교예 5)
표 1, 표 2에 나타내는 각 예의 조성에 따라 각각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레디게 믹서를 이용하여 입상, 파우더상 및 과립상의 배합 성분을 혼합하고, 이어서 액상 배합 성분을 분무하면서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입상 세제를 얻었다.
얻어진 입상 세제의 평균 입자 지름은 125~300㎛, 부피 밀도 0.90~1.14kg/dm3이었다.
<입상 세제의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예의 입상 세제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세탁액의 혼탁 없음 및 세정 효과의 평가를 각각 행했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냈다.
[세탁액의 혼탁 없음]
용량 1L의 비커에 20℃ 수돗물 1L를 투입하고, 거기에 각 예의 입상 세제 1g 을 각각 첨가해서 1분간 교반하여 세탁액을 조제했다. 교반 후, 그 세탁액을 3분 동안 방치했다. 그 후, 비커 상에서 비커 내의 세탁액의 혼탁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세탁액의 혼탁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 : 세탁액은 균일 투명했다.
◎ : 세탁액에 약간 혼탁이 확인되었다.
○ : 세탁액에 다소 혼탁이 확인되었다.
△ : 세탁액에 조금 혼탁이 확인되었다.
× : 세탁액에 명백하게 혼탁이 확인되었다.
세탁액의 혼탁이 없을수록 수불용성 염 형성 또는 수불용성 성분의 석출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세정 효과]
용량 1L의 메스플라스크에 각 예의 입상 세제 1g을 채취했다. 이어서, 그 메스플라스크에 20℃ 수돗물을 첨가하여 1L로 메스업해서 입상 세제를 수돗물에 충분히 용해시키고, 세제 수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필터로 그 세제 수용액의 여과를 행하여 여과액을 얻었다. 이어서, 여과액 중의 계면활성제((D) 성분)의 양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아래 식으로부터 계면활성제의 잔존률을 산출했다.
계면활성제의 잔존률(%)=여과액 중의 계면활성제량/수돗물에 용해되기 전의 입상 세제 중의 계면활성제량×100
여기서, 계면활성제의 잔존률이 75% 이상이면 피세정물을 세정할 때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고 판단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1,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실시예 17의 입상 세제는 비교예 1~비교예 5의 입상 세제에 비해서 세탁액의 혼탁의 저감이 도모되고, 또한 계면활성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Claims (2)

  1. (A) 성분 : 수불용성 성분 3질량% 이하와,
    (B) 성분 :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과,
    (C) 성분 :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 20질량% 이상과,
    (D) 성분 : 비이온 계면활성제(D1)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5~30질량%를 함유하고,
    (B) 성분/(C)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가 0.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세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성분은 비비누계 음이온 계면활성제(D2)를 더 포함하고,
    (D1) 성분/(D2) 성분으로 나타내어지는 질량비가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세제.
KR1020150088312A 2014-06-30 2015-06-22 입상 세제 KR102323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4859A JP6184024B2 (ja) 2014-06-30 2014-06-30 粒状洗剤
JPJP-P-2014-134859 201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62A true KR20160002362A (ko) 2016-01-07
KR102323845B1 KR102323845B1 (ko) 2021-11-09

Family

ID=5516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312A KR102323845B1 (ko) 2014-06-30 2015-06-22 입상 세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84024B2 (ko)
KR (1) KR102323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18A (ko) 2019-11-12 2021-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3424A (ja) * 2005-08-31 2007-03-15 Nippon Boeki:Kk ウィンドガラス洗浄剤
JP2013151607A (ja) 2012-01-25 2013-08-08 Lion Corp 衣料用洗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9028A1 (en) * 1997-06-23 1998-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zymatic detergent compositions
US6133227A (en) * 1997-06-23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zymatic detergent compositions
EP0994936A1 (en) * 1997-07-02 2000-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hwash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phospholipase and an amylase
CA2295953A1 (en) * 1997-07-09 1999-0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oxidoreductase
CA2295948A1 (en) * 1997-07-09 1999-0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specific oxygenase
US6964943B1 (en) * 1997-08-14 2005-11-15 Jean-Luc Philippe Bettiol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mannanase and a soil release polymer
EP0896998A1 (en) * 1997-08-14 1999-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saccharide gum degrading enzyme
US6376445B1 (en) * 1997-08-14 2002-04-23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mannanase and a protease
US6440911B1 (en) * 1997-08-14 2002-08-27 Procter & Gamble Company Enzymatic cleaning compositions
AU5531698A (en) * 1997-12-22 1999-07-12 Procter & Gamble Company, The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neopullulanase
US6420331B1 (en) * 1998-06-10 2002-07-16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mannanase and a bleach system
EP1065260A1 (en) * 1999-07-01 2001-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raw starch degrading enzyme
AU2456699A (en) * 1999-01-14 2000-08-01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pectate lyase and a low foaming nonionic surfactant
JP4263860B2 (ja) * 2001-12-06 2009-05-13 ジョンソンディバーシー株式会社 粉末漂白洗浄剤組成物
JP5213091B2 (ja) * 2006-08-22 2013-06-19 ディバーシー株式会社 自動食器洗浄機用粒状洗浄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3424A (ja) * 2005-08-31 2007-03-15 Nippon Boeki:Kk ウィンドガラス洗浄剤
JP2013151607A (ja) 2012-01-25 2013-08-08 Lion Corp 衣料用洗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18A (ko) 2019-11-12 2021-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84024B2 (ja) 2017-08-23
JP2016011399A (ja) 2016-01-21
KR102323845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1553B2 (ja) 洗剤組成物
JP2013528679A (ja) 器物洗浄用の高濃縮苛性ブロック
JPWO2013175659A1 (ja) 自動食器洗浄機用洗浄剤組成物
KR20160002362A (ko) 입상 세제
JP5253748B2 (ja) 粒状洗剤組成物
JP5250714B2 (ja) 衣料用粉末洗剤組成物
GB2397823A (en) Aqueous cleaning compositions
JP2008189719A (ja) 洗剤組成物
JP2011046925A (ja) 洗剤組成物及び洗濯方法
JP4170079B2 (ja) 粉末洗浄剤組成物
JP2013043940A (ja) 自動食器洗浄機用固体組成物
JP6148008B2 (ja) 手洗い洗濯用の洗剤組成物および洗濯方法
JP5809874B2 (ja) 繊維製品用洗浄剤
JP2005029587A (ja) 漂白剤含有洗浄剤組成物
JP6910199B2 (ja) 衣料洗剤用の香料組成物及び衣料用洗剤組成物
JP5101997B2 (ja) 高嵩密度洗剤組成物
JP2002003890A (ja) 洗浄剤組成物
US20130065960A1 (en) Method for producing powder mixture
JP6188196B2 (ja) 食器洗い機用洗浄剤
JP2002194397A (ja) 洗浄剤組成物
DE2360020A1 (de) Schaumarmes wasch-, spuel- und reinigungsmittel
JP4009103B2 (ja) 含水無機粒子及びそれを含有する洗剤組成物
JP4534193B2 (ja) 粉末洗剤組成物
JPS61231098A (ja) 濃縮粉末洗剤組成物
JP4907167B2 (ja) 粉末洗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