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318A -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318A
KR20210057318A KR1020190143955A KR20190143955A KR20210057318A KR 20210057318 A KR20210057318 A KR 20210057318A KR 1020190143955 A KR1020190143955 A KR 1020190143955A KR 20190143955 A KR20190143955 A KR 20190143955A KR 20210057318 A KR20210057318 A KR 20210057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y wall
mooring
steel pipe
pi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318A/ko
Publication of KR2021005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벽 보강용으로 설치되는 안벽 강관파일을 무어링비트(mooring bitt)를 완성함에 이용함으로써 무어링비트의 구조 및 설치과정을 간략화하여 무어링비트 제작 및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함과 함께 무어링비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는 안벽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안벽 강관파일; 상기 안벽 강관파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용 파일; 및 상기 결합용 파일의 상부에 구비되어 무어링로프를 고정시키는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는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Mooring bitt structure using quay sheet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벽 보강용으로 설치되는 안벽 강관파일을 무어링비트(mooring bitt)를 완성함에 이용함으로써 무어링비트의 구조 및 설치과정을 간략화하여 무어링비트 제작 및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함과 함께 무어링비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안벽에 계류시키기 위해 안벽에는 무어링비트(mooring bitt)가 구비되고, 선박에는 볼라드(Bollard)가 설치된다. 양단이 각각 무어링비트, 볼라드에 고정되는 무어링로프를 통해 선박의 계류가 가능하게 된다.
안벽에 설치되는 무어링비트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약 5m 길이의 강관파일(11)과, 강관파일(11)을 지지하는 철제 프레임(12)과, 강관파일(1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무어링로프가 감기는 무어링로프 고정부재(1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무어링비트는 강관파일(11), 프레임(12) 및 무어링로프 고정부재(13)가 일체형으로 조합되는 구조물이다.
무어링비트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무어링비트가 설치될 위치에 일정 깊이의 피트(pit)를 판 후, 피트 내에 무어링비트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피트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무어링비트를 고정시킨다.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만 외부로 노출되며,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는 강관파일 상단부과 볼트체결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어링비트는 프레임, 강관파일,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로 이루어짐과 함께 설치를 위해서는 피트 터파기, 콘크리트 타설 등 복합한 과정이 요구된다. 이에, 무어링비트의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6-00023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안벽 보강용으로 설치되는 안벽 강관파일을 무어링비트(mooring bitt)를 완성함에 이용함으로써 무어링비트의 구조 및 설치과정을 간략화하여 무어링비트 제작 및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함과 함께 무어링비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는 안벽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안벽 강관파일; 상기 안벽 강관파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용 파일; 및 상기 결합용 파일의 상부에 구비되어 무어링로프를 고정시키는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는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용 파일의 상단면과 안벽 상부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가 맞닿는 부위에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 각각에 플랜지부재가 구비되며, 플랜지부재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트 체결공이 구비되며, 각각의 볼트 체결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가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상기 안벽 강관파일의 직경은 무어링로프 고정부재의 직경보다 작으며,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로프 고정부재의 직경은 일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의 설치방법은 안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안벽에 안벽 강관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안벽 강관파일의 상부에 결합용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결합용 파일을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용 파일의 상단부 높이까지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용 파일 상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안벽의 설계하중 확보를 위해 안벽에 설치되는 안벽 강관파일을 무어링비트 설치에 이용함에 따라, 무어링비트의 구조를 단순화함과 함께 무어링비트의 설치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어링비트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의 구성도.
도 3a는 결합용 파일의 상부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b는 결합용 파일에 무어링로프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본 발명은 무어링비트(mooring bitt)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함께 무어링비트의 설치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조선소의 안벽은 도크에서 진수된 선박, 해양구조물을 접안시켜 후속의 공정을 진행하거나 선박, 해양구조물을 인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도크에서 진수된 선박, 해양구조물이 안벽으로 이동하여 안벽에 접안되는 방식임에 따라, 안벽은 일정 설계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안벽에 설계하중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강관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안벽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복수의 강관파일을 구비시킴으로써 안벽의 철근콘크리트와 강관파일의 복합구조를 통해 안벽의 설계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벽에는 설계하중 증가를 목적으로 복수의 강관파일이 이격되어 관통, 구비된다. 안벽의 설계하중 증가를 목적으로 안벽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안벽 강관파일은 수십m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안벽 강관파일의 상단부는 안벽 상부면에 1m 안팎으로 근접하여 위치한다.
본 발명은 무어링비트를 설계함에 있어서, 안벽에 미리 설치된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다. 안벽에 관통, 구비된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함에 따라, 무어링비트의 구조를 간략화함과 함께 무어링비트의 설치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즉, 안벽에 설치된 안벽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결합용 파일을 설치하고, 결합용 파일에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무어링비트의 구조를 간략화하고 그 설치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는 안벽 강관파일(21), 결합용 파일(22) 및 무어링비트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벽 강관파일(21)은 안벽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안벽 강관파일(21)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강관파일 중 어느 하나가 무어링비트 제작에 이용될 수 있다. 안벽 강관파일(21)의 길이는 안벽의 수직길이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수십m의 길이를 갖는다.
안벽에 수직방향으로 박혀진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는 안벽의 상부면과 근접하여 위치한다. 일 예로,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와 안벽 상부면은 1m 안팎의 이격거리를 갖는다. 즉, 안벽 상부면으로부터 1m 안팎의 거리 이내에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가 위치한다.
상기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에는 결합용 파일(22)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용 파일(22)은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를 고정함과 함께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설치높이 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는 선택적으로 착탈이 가능한 것으로서,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착탈을 통해 안벽 상에 무어링비트를 완성하거나 무어링비트의 존재를 없앨 수 있다.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하단면이 구비되는 위치는 안벽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근접한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안벽 상부면 상에 무어링비트 관련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를 이루며,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가 결합된 경우 무어링비트가 완성된다.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하단면이 안벽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근접한 형태를 이루도록 함과 함께,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고정을 위해서 상기 결합용 파일(22)이 구비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는 안벽 상부면으로부터 1m 안팎 이내의 깊이에 위치함에 따라,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고정을 위해서는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와 안벽 상부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결합용 파일(22)이 필요하다. 또 다른 이유로, 무어링비트 고정부재는 안벽 강관파일(21)과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을 이루는데, 무어링비트 고정부재와 안벽 강관파일(21)의 직경이 서로 달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를 안벽 강관파일(21)에 직접 고정시킬 수 없어 결합용 파일(22)이 요구된다. 통상, 안벽 강관파일(21)의 직경이 무어링비트 고정부재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결합용 파일(22)은 용접 등을 통해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안벽 강관파일(21)에 고정된 결합용 파일(22)의 상단면이 구비되는 위치는 안벽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근접한 위치를 이룬다. 또한, 상기 결합용 파일(22)의 직경은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안벽 강관파일(21)의 직경은 무어링비트 고정부재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결합용 파일(22)의 상부에는 무어링비트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볼트 체결(25) 등을 통해 고정된다. 볼트 체결을 위해, 결합용 파일(22)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가 맞닿는 부위에 결합용 파일(22)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 각각에 플랜지부재(24)가 구비된다. 또한, 해당 플랜지부재(24)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트 체결공이 구비된다. 각각의 볼트 체결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결합용 파일(22)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가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무어링비트가 완성된다(도 3b 참조). 또한, 볼트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결합용 파일(22)로부터 무어링비트 고정부재를 해체시킬 수도 있다(도 3a 참조).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21)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강관파일(21)을 이용한 무어링비트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벽 강관파일(21)의 설치가 전제된다. 즉, 안벽에 안벽 강관파일(21)이 미리 설치된다(S401). 상기 안벽 강관파일(21)은 안벽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안벽 강관파일(21)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강관파일 중 어느 하나가 무어링비트 제작에 이용될 수 있다. 안벽 강관파일(21)의 길이는 안벽의 수직길이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수십m의 길이를 갖는다.
안벽에 수직방향으로 박혀진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는 안벽의 상부면과 근접하여 위치한다. 일 예로,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와 안벽 상부면은 1m 안팎의 이격거리를 갖는다. 즉, 안벽 상부면으로부터 1m 안팎의 거리 이내에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부가 위치한다.
안벽 강관파일(21)이 설치된 상태에서, 무어링비트의 설치가 진행된다.
무어링비트의 역할은 무어링로프를 고정시키는 것이고, 무어링로프는 무어링비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에 고정된다. 이에, 안벽 상부면 상에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를 설치하면 무어링비트 구조가 완성될 수 있는데,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직경과 안벽 강관파일(21)의 직경이 서로 달라 직접 체결이 어려운 점, 안벽 강관파일(21) 상단부가 안벽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이하에 위치하는 점 때문에 결합용 파일(22)이 요구된다.
따라서,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설치 전에 결합용 파일(22)의 설치가 먼저 진행된다(S402). 결합용 파일(22)의 직경은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의 직경과 일치하며,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부재(24)를 구비한다.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에도 동일한 형상의 플랜지부재(24)가 구비되며, 플랜지부재(24)의 둘레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의 볼트 체결공이 구비된다.
결합용 파일(22)은 안벽 강관파일(21)의 상단면 상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결합용 파일(22)의 상단면은 안벽 상단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결합용 파일(22)의 길이는 조정될 수 있다. 결합용 파일(22)이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용 파일(2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용 파일(22)이 설치된 부위에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S403).
이어, 결합용 파일(22)의 상부에 무어링로프 고정부재(23)를 위치시키고 볼트 체결하면 무어링비트의 설치가 완료된다(S404). 또한, 볼트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결합용 파일(22)로부터 무어링비트 고정부재를 해체시킬 수도 있다.
21 : 안벽 강관파일 22 : 결합용 파일
23 : 무어링로프 고정부재 24 : 플랜지부재
25 : 볼트

Claims (6)

  1. 안벽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안벽 강관파일;
    상기 안벽 강관파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용 파일; 및
    상기 결합용 파일의 상부에 구비되어 무어링로프를 고정시키는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는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파일의 상단면과 안벽 상부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가 맞닿는 부위에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 각각에 플랜지부재가 구비되며,
    플랜지부재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트 체결공이 구비되며, 각각의 볼트 체결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비트 고정부재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 강관파일의 직경은 무어링로프 고정부재의 직경보다 작으며, 결합용 파일과 무어링로프 고정부재의 직경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5. 안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안벽에 안벽 강관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안벽 강관파일의 상부에 결합용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결합용 파일을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용 파일의 상단부 높이까지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용 파일 상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무어링로프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의 설치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파일의 상단면은 안벽 상부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KR1020190143955A 2019-11-12 2019-11-12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20210057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55A KR20210057318A (ko) 2019-11-12 2019-11-12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55A KR20210057318A (ko) 2019-11-12 2019-11-12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18A true KR20210057318A (ko) 2021-05-21

Family

ID=7615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955A KR20210057318A (ko) 2019-11-12 2019-11-12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3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62A (ko) 2014-06-30 2016-01-0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입상 세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62A (ko) 2014-06-30 2016-01-0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입상 세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8652B2 (ja) 水中構造物の仮締切工法及び仮締切用構造体
EP2185816B2 (en) Monopile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
CN105926628B (zh) 一种浮动、固定可转换的水中桩基施工平台装置
CN101813069A (zh) 用于能够通过可替换的贯穿螺栓将风轮机塔锚固到其处的基座
JP6619204B2 (ja) 締切工法および止水壁構造体
KR101211811B1 (ko) 조립케이슨을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CN110042844B (zh) 一种现浇大直径基坑支护管桩的施工方法
CN104727336A (zh) 浅海风电场大型单管桩基础施工方法
CN102936899A (zh) 借助桥墩支撑架安装钢围堰的方法
CN209795746U (zh) 一种新型装配式系靠船装置
KR20210057318A (ko) 안벽 강관파일을 이용한 무어링비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CN102359122A (zh) 一种利用浮箱辅助安装扶壁的方法
CN208486272U (zh) 一种双管斜撑支护深基坑的施工结构
CN106677075B (zh) 一种用于桥墩施工的围堰挂桩与度汛方法
JP5087154B2 (ja) 水域構造物の足場構築工法及び足場構造
JP3463604B2 (ja) ドルフィンの施工方法
CN212715000U (zh) 在深水中的钢围堰定位系统
CN209211434U (zh) 一种逆作钢管柱在旋挖灌注桩内的安装定位装置
JP5820861B2 (ja) 洋上建物の施工方法
US10214870B2 (en) Buoyancy compensated erosion control module
JP2013130007A (ja) ダム堤体の仮締切工法
CN113431081A (zh) 海上风电多桩基础整体靠船防撞结构及施工方法
CN216194474U (zh) 一种装配式系船设施基础预埋件结构
JP3310452B2 (ja) 水域中への連続壁構築方法および構築用ガイド装置
KR200267057Y1 (ko) 교각 기초 강재 케이슨의 센터링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