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061A - 무선음향기기 - Google Patents

무선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061A
KR20160002061A KR1020140080798A KR20140080798A KR20160002061A KR 20160002061 A KR20160002061 A KR 20160002061A KR 1020140080798 A KR1020140080798 A KR 1020140080798A KR 20140080798 A KR20140080798 A KR 20140080798A KR 20160002061 A KR20160002061 A KR 2016000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evice
main body
stopper
receiver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919B1 (ko
Inventor
신충환
이병화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19B1/ko
Priority to EP14004434.8A priority patent/EP2963942B1/en
Priority to US14/606,641 priority patent/US9913016B2/en
Priority to CN201510178198.7A priority patent/CN105323667B/zh
Publication of KR2016000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양측에 구비되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에 각각 탈부착되는 제1 리시버와 제2 리시버;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기어를 포함하는 제1 감김장치;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제2 감김장치; 상기 제1 리시버와 상기 제1 감김장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둘레에 권취되는 제1 음향케이블; 및 상기 제2 리시버와 상기 제2 감김장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감김장치의 둘레에 권취되는 제2 음향케이블을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본체에 리시버를 수납할 수 있고, 리시버에 연결된 음향 케이블이 넥밴드 내측으로 수납되어 음향 케이블이 걸리적거리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음향기기{WIRELESS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와 리시버를 연결하는 선이 본체에 수납되고 사용 시에 상기 본체에서 선을 인출할 수 있는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이어셋은 단말기로 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어폰과 마이크가 결합된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이어셋을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이어셋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무선 음향기기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리시버를 귀에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목에 거치할 수 있는 본체를 구비한 이어셋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다만 종전의 본체를 구비한 이어셋은 본체로부터 리시버까지 연결하는 선이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보관시 선이 꼬이거나 다른 물건과 엉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와 리시버를 연결하는 선이 본체에 수납되고 사용 시에 상기 본체에서 선을 인출할 수 있는 무선 음향기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양측에 구비되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에 각각 탈부착되는 제1 리시버와 제2 리시버;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기어를 포함하는 제1 감김장치;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제2 감김장치; 상기 제1 리시버와 상기 제1 감김장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둘레에 권취되는 제1 음향케이블; 및 상기 제2 리시버와 상기 제2 감김장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감김장치의 둘레에 권취되는 제2 음향케이블을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형성되며 비대칭적인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멈춤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제1 감김장치와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은 완만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가파르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1 감김장치의 회전 방향의 상기 제1 경사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에 위치하면 상기 멈춤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제1 감기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를 상기 멈춤돌기로 부터 분리시켜 상기 제1 감김장치와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회전을 허용하는 복귀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돌출된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의 회전 하우징; 상기 회전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된 기어; 및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 나선형으로 감겨 타단은 상기 회전 하우징에 결합된 나선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나선 스프링과 상기 제2 감김장치의 나선 스프링은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수평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면, 상기 맞물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슬릿; 및 상기 제1 감김장치 또는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이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슬릿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제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김장치가 이동 중에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가 상기 슬라이드 슬릿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배치되며, 상기 감김장치가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돌기는 상기 수평 이동부의 이동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수평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슬라이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의 외측에 형성되며 비대칭적인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케이스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멈춤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제1 감김장치와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멈춤돌기 또는 상기 제2 김김장치의 멈춤돌기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멈춤돌기 및 상기 제2 감김장치의 멈춤돌기와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접혀진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는 커버케이스의 내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커버케이스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스토퍼가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멈춤돌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멈춤돌기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는 복귀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드 이동 후에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결합된 스피커 또는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U자 형상의 밴드이고, 상기 본체의 단부는 형태를 사용자가 변형하고, 변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본체에 내부에 실장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케이블 및 상기 제2 음향케이블은 상기 와이어의 둘레를 나선형으로 권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사용자의 귀의 하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제2 리시버는 자력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넥밴드에 리시버를 수납할 수 있고, 리시버에 연결된 음향 케이블이 넥밴드 내측으로 수납되어 음향 케이블이 걸리적거리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리시버의 수납시 일측의 리시버만 수납하거나, 일측의 리시버와 대칭적으로 타측의 리시버가 수납 또는 분리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감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감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감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스토퍼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감김장치 및 커버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듀얼모드에서 슬라이드 버튼이 외관상 보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듀얼모드에서 슬라이드 버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싱글모드에서 슬라이드 버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싱글모드에서 슬라이드 버튼 및 감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감김장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수평이동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힌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본체 내부에 음향 케이블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130)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200)는 제어부(285), 무선통신부(281), 리시버(240), 스피커(243), 마이크(260), 사용자 입력부(265) 및 전원공급부(29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281)는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음향기기(200)를 통해 입력된 소리 또는 신호를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무선 방식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무선통신부(281)의 대표적인 예로 블루투스를 들 수 있다.
블루투스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대표적인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이다. 주로 10~2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이며, 블루투스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한다.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쓴다.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인다.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 대역을 사용한다.
리시버(240)와 스피커(243)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리시버(240)는 사용자의 귀에 인접시에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이고, 스피커(243)는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리시버(24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는 스피커(243)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비해 작다.
마이크(2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281)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2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65)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무선음향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또는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 또는 리시버(240)를 본체(210) 내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리시버 수납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외에, 무선음향기기(2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선세,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무선음향기기(200)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리시버가 리시버 홀더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등을 포함할 수 있다.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200)는 내부에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음향기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285, 메인기판) 등이 실장되는 본체(210)를 구비한다. 본체(210)는 사용자의 목에 거는 C자 형상으로 휘어진 곡선의 밴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본체(210)는 사용자의 목의 뒤쪽에 걸어 착용가능하다. 착용시 용이하게 착용하기 위해 쉽게 휘어지고 원래 상태로 바로 복원가능하도록 상기 본체(210)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시버(240)는 음향신호를 소리로 전환하는 장치로서, 음향신호 및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본체(210)와 음향 케이블(245)을 통해 연결된다. 사용자가 음악을 듣지 않는 경우, 즉 무선음향기기(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리시버는 본체(210)의 좌우에 위치하는 홀더(218)에 결합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음악을 듣거나 통화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리시버(240)는 상기 홀더(218)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할 수 있다.
음향 케이블(245)의 일단은 상기 본체(210) 내부에 위치하며, 타단은 본체(210) 외측에 위치하는 리시버(240)와 연결되기 위해 홀더(218)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음향 케이블(245)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다.
리시버(240)와 본체(210)를 잇는 음향 케이블(245)은 리시버(240)가 홀더(218)에 수납시 도 2와 같이 본체(210) 내부에 인입되고, 사용자가 인출하면 음향 케이블(245)이 본체 내부으로부터 빠져나와 도 2와 같이 귀에 착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200)는 음향 케이블(245)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본체(210) 내부에 수납가능하다.
상기 본체(210)의 좌우에 구비된 홀더(218)는 리시버(2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리시버(2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홀더(218) 내측 또는 리시버(240) 중 하나에 자석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 자석 또는 금속물질을 구비하면 리시버(240)가 홀더(218)에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홀더(218)의 위치는 본체(210)의 좌우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8)에서 리시버(240)를 분리하여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가 목에 본체(210)를 착용시 귀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홀더(218)를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귀와 인접한 위치에 홀더(218)가 배치되면, 인출되는 음향 케이블(245)의 길이가 짧아 음향 케이블(245)이 걸리적 거리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본체(210)에는 물리적인 방식(돔버튼, 슬라이드 버튼 등) 또는 터치방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사용자 입력부(265)가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기능에 따라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원을 끄고 켜거나, 볼륨을 조절하거나, 수신된 전화를 연결하거나, 재생중인 음악을 일시정지 또는 재생하기 위한 물리적인 키 또는 터치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본체(2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체(2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이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은 각각 복수개의 조각으로 나눠질 수 있다.
상기 본체(210) 내부 공간에는 무선음향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기판(285),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미도시), 무선음향기기(200)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90) 등이 실장될 수 있으며, 음향 케이블(245)을 수납하기 위한 한 쌍의 감김장치(230)를 구비한다.
상기 감김장치(230)는 중심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210)의 내부공간에 실장되며, 한 쌍의 감김장치(23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리시버(240)를 홀더(218)에 수납시 음향 케이블(245)이 감김장치(230)에 감기고 리시버(240)가 홀더(218)에서 분리되어 음향 케이블(245)이 본체로 부터 인출되면, 감김장치(230)에 감긴 음향 케이블(245)이 풀리면서 본체(210)의 외측으로 음향 케이블(245)이 노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감김장치(23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감김장치(2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장치(230)는 외측에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기어(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감김장치(230)의 기어(232)는 서로 맞물려 있어 일측의 감김장치(230)가 회전시 타측의 감김장치(230)도 함께 회전된다. 사용자가 일측의 리시버(240)를 당겨 음향 케이블(245)을 인출시 타측의 음향 케이블(245)도 상기 감김장치(230)에서 풀리면서 본체(210) 외측으로 인출된다.
한 쌍의 감김장치(2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감김장치(230)에 음향 케이블(245)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아, 음향 케이블(245)이 동시에 감김장치(230)에서 풀리거나 동시에 감김장치(230)에 감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면상 우측 방향의 리시버(240)를 당겨 음향 케이블(245)을 인출시 우측의 감김장치(2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의 감김장치(2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감김장치(23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감김장치(230)는 베이스 플레이트(236), 회전축(237), 회전 하우징(231), 기어(232) 및 나선 스프링(235)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36)는 본체(210)에 결합하여 감김장치(230) 회전시 회전하지 않고, 본체(210)에 고정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36)의 중앙에서 돌출된 회전축(237)을 중심으로 감김장치(230)의 나머지 부재들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 하우징(231)은 원통형의 부재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36)의 상면에 안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36)에 회전 하우징(231)의 형상에 상응하는 요철을 형성하여, 회전 하우징(231)이 베이스 플레이트(236)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원통형의 회전 하우징(231)의 내측 원통부분에 끼워지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하우징(231)의 외측에 음향 케이블(245)이 감기면서 본체(210)에 음향 케이블(245)이 수납될 수 있다. 음향 케이블(245)의 단부는 회전 하우징(231)에 고정되어 있어, 음향 케이블(245)을 당기면 회전 하우징(231)이 음향 케이블(245)이 감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 하우징(23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음향 케이블(245)이 회전 하우징(231)에 감긴다.
나선 스프링(235)은 금속 테이프가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부재로서, 중심에서 호를 그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나선 스프링(235)은 중심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있으며, 따라서 반시계방향의 힘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복원하는 복원력이 생긴다.
나선 스프링(235)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237)에 결합하고, 회전축(237)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감기며 타단은 회전 하우징(231)에 결합한다. 회전 하우징(231)이 나선 스프링(235)이 감긴 방향으로 회전시 그 반대 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생긴다.
따라서, 음향 케이블(245)을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나선 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음향 케이블(245)이 회전 하우징(231)에 감긴다.
회전 하우징(231)의 외측에는 기어(232)가 형성되며, 한 쌍의 감김장치(230)는 상기 기어(232)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다. 맞물려있는 기어(232)에 의해 일측의 회전 하우징(231)이 회전하면 타측의 회전 하우징(23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이때 회전 방향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하우징(231)의 외측에 기어(232)와 다른 높이에 형성된 멈춤돌기(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멈춤돌기(233)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스토퍼(225a, 225b, 227)와 맞물려 나선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한 회전을 제한한다. 기어(232)와 멈춤돌기(233) 및 음향 케이블(245)이 감기는 위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확히 층상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스토퍼(225a, 225b, 227)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멈춤돌기(233)는 나선 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회전 하우징(231)이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멈춤돌기(233)는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된다. 음향 케이블(245)이 풀리면서 회전 하우징(231)이 회전하는 방향에 형성된 경사면(제1 경사면(233a))은 완만한 경사면이어서 사용자가 음향 케이블(245)을 당기면 하우징(231)이 쉽게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나선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의 경사면(제2 경사면(233b))은 경사가 급하거나 오히려 역경사를 이루며, 멈춤돌기(233)에 상기 스토퍼(225a, 225b, 227)가 걸려 회전 하우징(231)이 나선 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멈춤돌기(233)의 비대칭한 경사면(233a, 233b)에 의해 회전 하우징(231)은 음향 케이블(245)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용이하게 되나, 음향 케이블(245)이 감기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차단된다.
인출된 음향 케이블(245)을 다시 본체(210)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스토퍼(225a, 225b, 227)의 형상 또는 위치를 변화시켜 스토퍼(225a, 225b, 227)가 멈춤돌기(233)에 걸려있는 상태를 해제하면 나선 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해 음향 케이블(245)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 하우징(231)이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225a, 225b, 227)는 제1 경사면(233a)에 위치했을 때에는 회전 하우징(231)이 회전시 제1 경사면(233a)의 높이 변화에 따라 스토퍼(225a, 225b, 227)의 형상이 변화하거나 위치가 변화하며 하우징(231)의 회전을 허용한다. 제1 경사면(233a)의 높이 변화에 따라 변형 또는 위치가 변화되기 위해 스토퍼(225a, 225b, 227)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스토퍼(225a, 225b, 227)를 구현할 수 있다. 한 쌍의 감김장치(230) 외측을 감싸는 커버케이스(220)에 스토퍼(225a, 225b, 227)가 결합하여 상기 멈춤돌기(233)에 인접한 위치에 스토퍼(225a, 225b, 227)를 배치할 수 있다.
하나의 긴 판스프링(225)을 이용해서 도 9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스토퍼(225a, 225b, 227)를 구현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의 일측은 커버케이스(220)에 결합하고 타측이 스토퍼(227)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판스프링은 탄성이 있어, 제1 경사면(233a) 위에서는 제1 경사면(233a)의 높이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며 제1 경사면(233a)의 위를 통과하고, 제2 경사면(233b)에 도달하면 회전 하우징(231)의 회전을 제한한다.
스토퍼(225a, 225b, 227)의 위치를 감김장치(230)의 멈춤돌기(233)에서 이격되도록 힘을 가하면, 스토퍼(225a, 225b, 227)가 멈춤돌기(233)에서 분리되면서, 나선 스프링(235)의 복원력에 따라 회전 하우징(231)이 회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220)은 본체(210)에 고정된 고정부(221)와 고정부(221)에 일정거리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221)에 결합하는 이동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케이스(220)의 하측부가 고정부(221)이고 상부가 이동부(222)로 나눌 수 있다. 또는 커버케이스(220)의 중간부분만 이동부(222)로 구획되고
이동부(222)는 상기 고정부(221)에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이동부(222)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이동부(222)에서 돌출된 복귀 스위치(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귀 스위치(223)는 도 12와 같이 본체(2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본체(210)를 가압하면 이동부(222)가 이동한다. 또는 도 13과 같이 본체(210)에서 돌출되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스토퍼(225a, 225b, 227)는 상기 이동부(222)에 결합되며,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이동부(222)에 힘을 가하면 이동부(222)는 고정부(221)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225a, 225b, 227)의 위치도 같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25a, 225b, 227)가 상기 멈춤돌기(233)에서 이격되면 회전 하우징(231)이 회전될 수 있다.
이동부(222)와 고정부(221) 사이에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이동부(222)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와 멈춤돌기와 스토퍼(225a, 225b, 227)가 체결되어 회전 하우징(231)이 음향 케이블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동부(222)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부(222)를 이동부(222)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22)와 고정부(221)가 상하로 구획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의 일부만 이동부(222)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스토퍼(225a, 225b, 227)를 구성하는 판스프링이 결합되는 부분만 이동부(222)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스토퍼(225a, 225b, 227)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귀 스위치(223)와 달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21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체(210) 외측으로 돌출된 복귀 스위치(223)를 스토퍼(225a, 225b, 227)가 멈춤돌기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면 이동부(222)가 슬라이드 이동되며 스토퍼(225a, 225b, 227)에 의해 회전이 차단되었던 회전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싱글모드에서 슬라이드 버튼(255) 및 감김장치(23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쌍의 감김장치(23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감김장치(23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도 5와 같이 한 쌍의 감김장치(230)의 기어(232)가 서로 맞물려 있던 상태에서 기아도 이격되면서 한 쌍의 감김장치(230)가 분리된다.
맞물려 있던 기아가 이격되면서, 일측의 감김장치(230)가 회전시 타측의 감김장치(23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음향 케이블(245)을 당긴 측의 감김장치(230)만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감김장치(230)가 각각 구동하는 경우를 싱글모드라 하고, 한 쌍의 감김장치(230)가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를 듀얼모드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감김장치(230)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나 두 개의 감김장치(230)가 동시에 움직이며 이격될 수도 있다. 일측의 감김장치(230)가 타측의 감김장치(23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이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버튼(2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버튼(255)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감김장치(230)의 베이스 플레이트(236)에 결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36), 베이스 플레이트(236) 위에 안착된 회전 하우징(231)과 나선스프링(235)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버튼(255)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210)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며,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나 도형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듀얼 모드인지 싱글모드인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해준다.
즉, 본체(210)의 케이스에 형성된 창을 통해 슬라이드 버튼(255)이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드 버튼(255)은 가압부(255a)와 표시부(255b, 255c)로 나뉠 수 있다. 가압부(255a)는 사용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접촉하는 부분이고, 표시부(255b, 255c)는 현재 상태가 싱글모드인지 듀얼모드인지 인지할 수 있도록 D 또는 S표시가 되어 있다. 가압부(255a)와 표시부(255b, 255c)가 단차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버튼(255)이 일정 범위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감김장치(230)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수평이동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한 쌍의 회동부(230) 중 적어도 하나의 회동부(230a)는 상기 수평동부를 통해 상기 회둥부(23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우로 이동하는 회동부를 제1 회동부(230a)라 하고 고정된 회동부를 제2 회동부(230b)라고 하며, 한 쌍의 회동부(230a, 230b)가 동시에 좌우로 이동할 수도 있다. 수평이동부는 슬라이드 바(238)와 슬라이드 슬릿(252)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바(238)는 제1 회동부(230a)의 베이스 플레이트(236)에는 바닥면에 돌출되며, 슬라이드 슬릿(252)은 감김장치(230)가 안착되는 바닥부(250)에서 상기 슬라이드 바(238)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슬라이드 바(238)에 비해 슬라이드 슬릿(252)은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슬라이드 슬릿(252)과 슬라이드 바(238)는 본체(210)의 형상에 상응하게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 슬릿(25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바(238)가 이동하며, 듀얼모드 및 싱글모드를 전환한다. 이때, 슬라이드 슬릿(252)을 따라 슬라이드 바(238)가 듀얼모드 상태 또는 싱글모드 상태로 이동한 후에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255)을 이용해 모드 상태를 바꾸지 않는 이상 모드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슬라이드 바(238)와 슬라이드 슬릿(252)에 고정돌기(238a, 2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 슬릿(252)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253)와 슬라이드 바(238)에 형성된 제2 고정돌기(238a)는 듀얼모드와 싱글모드 상태에서는 나란히 측방향으로 위치(길이방향으로 중첩)하나 듀얼모드에서 싱글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제2 고정돌기(238a)와 제1 고정돌기(253)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로 제1 멈출돌기(253)를 통과해야한다.
도 21과 같이 싱글모드에서 도 23의 듀얼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제2 고정돌기(238a)는 제1 고정돌기(253)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며 듀얼모드로 전환되면 도 19와 같이 제1 고정돌기(253)와 제2 고정돌기(238a)는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다. 제1 고정돌기(253)는 감김장치(230)가 이동하는 거리에 상응한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수평이동부를 따라 이동시 제1 회동부(230a)의 위치가 변화하므로 상기 스토퍼(227)와의 거리도 이격되게 된다. 즉, 듀얼모드에서 회동부(230a)의 회전을 제한하던 제1 스토퍼(227)가 싱글모드에서는 제1 회동부(230a)의 회전을 제한하지 못하므로 싱글모드에서 제1 회동부(230a)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225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제2 회동부(230b)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225a)는 싱글모드와 듀얼모드에서 모두 제2 회동부(230b)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힌지(215)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210)는 중앙의 제1 밴드(216) 및 상기 제1 프레임(216) 의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2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6)과 제2 프레임(217)은 꺽일 수 있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처럼 접힐 수 있다.
제1 프레임(216)과 제2 프레임(217)이 꺽이기 위해서는 제1 프레임(216)과 제2 프레임(217) 사이에 힌지로 연결되며, 힌지(215)의 회동운동에 의해 본체(210)를 접어서 휴대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본체(210)에 음향 케이블(245)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본체(210) 내부에 봉 형상의 와이어(244)를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244)의 둘레에 음향 케이블(245)이 감기면서 본체(2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며, 와이어(244)를 이용하여 더 긴 음향 케이블(245)를 수납할 수 있다.
와이어(244)는 휘어질 수 있는 철사나 실리콘 등으로 구성하면 본체(210)의 변형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사용 상태도로서, 사용자가 마이크(260)를 이용할 때, 본체(210)의 단부에 위치하는 마이크(260)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이크(260)를 사용자의 입 근처로 위치시키기 위해 통화 중에 본체(210)를 잡아 입 근처로 위치시키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도 22와 같이 본체(210)를 휘어지는 소재로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 본체(210)를 꺽어 본체(21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본체(210)는 변형된 상태로 고정되고 사용자가 다시 원래 모양대로 본체(210)를 펼 수 있다. 또는 본체(210)에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마이크(260)를 사용자의 입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꺽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2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본체(210)에 리시버를 수납할 수 있고, 리시버(240)에 연결된 음향 케이블(245)이 본체(210) 내측으로 수납되어 음향 케이블(245)이 걸리적거리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리시버(240)의 수납시 일측의 리시버(240)만 수납하거나, 일측의 리시버(240)와 대칭적으로 타측의 리시버(240)가 수납 또는 분리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00: 무선음향기기 210: 본체
211: 제1 하우징 212: 제2 하우징
215: 힌지 218: 홀더
220: 커버케이스 221: 고정부
222: 이동부 225: 판스프링
225a: 제2 스토퍼 225b: 제2 스토퍼
227: 제1 스토퍼 230: 감김장치
231: 회전 하우징 232: 기어
233: 멈춤돌기 235: 나선 스프링
236: 베이스 플레이트 237: 회전축
238: 슬라이드 바 238a: 제2 고정돌기
240: 리시버 243: 스피커
244: 와이어 245: 음향 케이블
252: 슬라이드 슬릿 253: 제1 고정돌기
255: 슬라이드 버튼 255a: 가압부
255b, 255c: 표시부 260: 마이크
265: 사용자 입력부 285: 메인기판
290: 전원공급부

Claims (22)

  1.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양측에 구비되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에 각각 탈부착되는 제1 리시버와 제2 리시버;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기어를 포함하는 제1 감김장치;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제2 감김장치;
    상기 제1 리시버와 상기 제1 감김장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둘레에 권취되는 제1 음향케이블; 및
    상기 제2 리시버와 상기 제2 감김장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감김장치의 둘레에 권취되는 제2 음향케이블을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형성되며 비대칭적인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멈춤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제1 감김장치와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완만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가파르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1 감김장치의 회전 방향의 상기 제1 경사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에 위치하면 상기 멈춤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제1 감기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멈춤돌기로 부터 분리시켜 상기 제1 감김장치와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회전을 허용하는 복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돌출된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의 회전 하우징;
    상기 회전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된 기어; 및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 나선형으로 감겨 타단은 상기 회전 하우징에 결합된 나선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나선 스프링과 상기 제2 감김장치의 나선 스프링은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수평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면, 상기 맞물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슬릿; 및
    상기 제1 감김장치 또는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수평 이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슬릿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제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김장치가 이동 중에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가 상기 슬라이드 슬릿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배치되며,
    상기 감김장치가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돌기는 상기 수평 이동부의 이동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수평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슬라이드 버튼을 더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의 외측에 형성되며 비대칭적인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케이스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멈춤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제1 감김장치와 상기 제2 감김장치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멈춤돌기 또는 상기 제2 김김장치의 멈춤돌기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감김장치의 멈춤돌기 및 상기 제2 감김장치의 멈춤돌기와 각각 체결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접혀진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감김장치 및 상기 제2 감김장치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는 커버케이스의 내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커버케이스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스토퍼가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멈춤돌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멈춤돌기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는 복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드 이동 후에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된 스피커 또는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U자 형상의 밴드이고,
    상기 본체의 단부는 형태를 사용자가 변형하고, 변형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본체에 내부에 실장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케이블 및 상기 제2 음향케이블은 상기 와이어의 둘레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사용자의 귀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제2 리시버는 자력에 의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KR1020140080798A 2014-06-30 2014-06-30 무선음향기기 KR10216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798A KR102163919B1 (ko) 2014-06-30 2014-06-30 무선음향기기
EP14004434.8A EP2963942B1 (en) 2014-06-30 2014-12-29 Wireless sound equipment
US14/606,641 US9913016B2 (en) 2014-06-30 2015-01-27 Wireless sound equipment
CN201510178198.7A CN105323667B (zh) 2014-06-30 2015-04-15 无线声音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798A KR102163919B1 (ko) 2014-06-30 2014-06-30 무선음향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09A Division KR101637369B1 (ko) 2015-11-16 2015-11-16 무선음향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61A true KR20160002061A (ko) 2016-01-07
KR102163919B1 KR102163919B1 (ko) 2020-10-12

Family

ID=5233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798A KR102163919B1 (ko) 2014-06-30 2014-06-30 무선음향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13016B2 (ko)
EP (1) EP2963942B1 (ko)
KR (1) KR102163919B1 (ko)
CN (1) CN1053236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213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8155B2 (en) 2016-01-04 2018-03-1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JP1566422S (ko) * 2016-06-08 2017-01-10
EP3280154B1 (en) * 2016-08-04 2019-10-0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wearable loudspeaker device
US10945076B2 (en) 2016-09-23 2021-03-09 Apple Inc. Low spring-rate band
JP6902605B2 (ja) 2016-09-23 2021-07-1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ヘッドホン
US11323793B2 (en) 2016-09-23 2022-05-03 Apple Inc. Synchronized telescoping headphones
USD837184S1 (en) * 2016-12-02 2019-01-01 Shenzhen Cannice Technology Co., Ltd. Wireless earphone
WO2018124560A1 (en) 2016-12-26 2018-07-05 Lg Electronics Inc. Earphone
KR101861689B1 (ko)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
US10412480B2 (en) * 2017-08-31 2019-09-10 Bose Corporation Wearable personal acoustic device having outloud and private operational modes
USD914634S1 (en) 2017-10-17 2021-03-30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D853987S1 (en) * 2017-10-17 2019-07-16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KR102386280B1 (ko) 2017-11-20 2022-04-14 애플 인크. 헤드폰
US10244307B1 (en) * 2018-02-09 2019-03-26 Bestechnic (Shanghai) Co., Ltd. Communication of wireless headphones
KR102414633B1 (ko) 2018-04-02 2022-06-30 애플 인크. 헤드폰
CN112165664B (zh) * 2020-09-24 2022-07-08 深圳市海瑞泰克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自救用安保耳机及其使用方法
IL309963A (en) * 2021-09-24 2024-03-01 C E S ?Ler? Kompoz?T Ve Savunma Teknoloj?Ler? Sanay? Ve T?Caret Anon?M ??Rket? Dial mechanism for tools for tightening screws and nuts for the helm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159A (ko) * 2008-01-29 2009-08-03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JP2010180055A (ja) * 2009-01-09 2010-08-19 Hidenobu Taketsuna コードリール
KR101289244B1 (ko) *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20140064590A (ko) * 2013-02-21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5281A (en) * 1921-11-16 1923-08-21 Thomas J Morrison Key-chain reel
NL7804041A (nl) * 1978-04-17 1979-10-19 Philips Nv Stethoscopische oortelefoon.
DE29823006U1 (de) * 1998-12-23 1999-02-25 Siemens Ag Vorrichtung zum Auf- und Abwickeln von Leitungen und Gerät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S20050220316A1 (en) * 2004-04-01 2005-10-06 Hsiang Yueh W Wireless earphone with alternating extension and retraction functions
WO2007070508A2 (en) * 2005-12-13 2007-06-21 Marcio Marc Abreu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US7810750B2 (en) * 2006-12-13 2010-10-12 Marcio Marc Abreu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CN101384098A (zh) 2007-09-05 2009-03-11 美律实业股份有限公司 颈挂式无线耳机
CN101237713A (zh) 2008-03-10 2008-08-06 新疆天地集团有限公司 一种耳机线收线装置、一种耳机总成和一种移动终端
US8774443B1 (en) * 2010-05-24 2014-07-08 John C. Anderson Mobile phone headset recoil device
KR101132975B1 (ko) 2010-08-20 2012-04-09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US8403247B2 (en) * 2010-12-03 2013-03-26 Ko-An Chen Slider case having cable retractor
US8336688B2 (en) * 2010-12-03 2012-12-25 Ko-An Chen Thin cable retractor
US8365887B2 (en) * 2010-12-17 2013-02-05 Fischer Consumer Electronics Retraction apparatus
US8811646B1 (en) * 2011-07-16 2014-08-19 Roy P. Romeo Retractable earphone set
US9008347B2 (en) * 2011-11-04 2015-04-14 Youngok Lee Hands-free device
SI24007A (sl) * 2012-02-24 2013-08-30 Miha Homar Dvojna samodejna navijalna naprava za vrvico sluĺ alk
KR101321008B1 (ko) * 2012-10-05 2013-10-23 함영남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02998406U (zh) 2012-11-20 2013-06-12 宝德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耳机
CN203161031U (zh) * 2013-03-26 2013-08-28 太仓敬富塑胶制品有限公司 具有制动单元的无外露拉绳百叶窗的收绳装置
CN203225862U (zh) 2013-04-27 2013-10-02 胡志刚 一种伸缩式蓝牙耳机
EP2919482B1 (en) * 2014-03-13 2019-11-0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ear pie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159A (ko) * 2008-01-29 2009-08-03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JP2010180055A (ja) * 2009-01-09 2010-08-19 Hidenobu Taketsuna コードリール
KR20140064590A (ko) * 2013-02-21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KR101289244B1 (ko) *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213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23667A (zh) 2016-02-10
CN105323667B (zh) 2018-12-11
EP2963942B1 (en) 2017-02-15
US9913016B2 (en) 2018-03-06
EP2963942A1 (en) 2016-01-06
KR102163919B1 (ko) 2020-10-12
US20150382095A1 (en)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2061A (ko) 무선음향기기
US10630332B2 (en) Electronic device
CN106254979B (zh) 便携式声音设备
KR101507869B1 (ko) 무선음향기기
CN108184184B (zh) 蓝牙耳机
US20220279264A1 (en) Electronic device
EP1954012A1 (en) Headset having wired/wireless sub-earphone
US10306351B2 (en) Portable sound device
US20100074462A1 (en) Heads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37369B1 (ko) 무선음향기기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CN109391865B (zh) 便携式音响设备
KR102369586B1 (ko) 전자기기
KR10175828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EP3439321B1 (en) Portable sound device
US9888313B2 (en) Wearable modular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1615240B1 (ko) 무선음향기기
KR102345345B1 (ko) 전자기기
KR101612631B1 (ko)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JP2005191767A (ja) 携帯用電子機器
JP2005191768A (ja) 携帯用電子機器
JP2008187430A (ja) 携帯用電子機器
KR20190069755A (ko) 휴대용 음향기기
JP2005086417A (ja) イヤホンコード
KR20190014978A (ko) 회전모듈 및 휴대용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