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631B1 -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631B1
KR101612631B1 KR1020140173345A KR20140173345A KR101612631B1 KR 101612631 B1 KR101612631 B1 KR 101612631B1 KR 1020140173345 A KR1020140173345 A KR 1020140173345A KR 20140173345 A KR20140173345 A KR 20140173345A KR 101612631 B1 KR101612631 B1 KR 10161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ar
electronic device
fixed link
lin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진
전택진
Original Assignee
한호진
전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호진, 전택진 filed Critical 한호진
Priority to KR1020140173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는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가 내장되는 이어부와, 이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격링크부 및 이격링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링크부를 포함하고, 전자기기에는 이어부와 이격링크부와 고정링크부가 삽입되는 끼움홈부와, 이어부와 이격링크부와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끼움홈부에서 삽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이어장치{EAR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서 이어유닛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이어유닛의 휴대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전자기기의 슬림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장치는 핸드폰, 게임기, 라디오, 카세트, CD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이어장치는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잭과, 사용자 귀에 꽂히도록 형성된 이어폰과, 이어폰과 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된다. 일예로, 핸드폰은 어느 장소에서나 통화할 수 있는 통화 및 휴대의 용이성으로 그 사용자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핸드폰의 사용은 핸드폰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수화기를 귀에 밀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핸드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및 장시간 통화 시 수화기 부분이 뜨거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32528호(2006. 12. 21. 공개, 발명의 명칭 : 이어폰 내장 핸드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에서 이어유닛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이어유닛의 휴대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전자기기의 슬림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는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가 내장되는 이어부; 상기 이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격링크부; 및 상기 이격링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링크부; 를 포함하고, 전자기기에는, 상기 이어부와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가 삽입되는 끼움홈부와, 상기 이어부와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끼움홈부에서 삽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링크부는 상기 한 쌍의 이어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링크부는 상기 이격링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격링크부 또는 상기 고정링크부에는, 상기 한 쌍의 이어부 중 어느 하나가 안착 지지되도록 걸림턱부; 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어부에는,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상기 이격링크부가 삽입되는 안착홈;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자기기에는,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 상태 또는 상기 탈착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이어부에서 스피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끼움홈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탈착바디부; 상기 끼움홈부에서 상기 탈착바디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탄성을 가지고 상기 탈착바디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탄성돌부; 상기 탄성돌부에 구비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초기 위치를 한정하는 정위치부; 상기 탈착바디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정위치부에서 이격 배치되는 고정후크부; 및 상기 탈착바디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를 상기 정위치부로 안내하는 복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피벗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벗고정부는, 돌기 형상의 피벗돌부; 상기 피벗돌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벗홈부; 상기 피벗홈부에서 상기 피벗돌부의 회동 중심을 형성하는 피벗축부; 및 상기 피벗돌부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절곡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고정부는, 상기 피벗돌부와 상기 피벗홈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 및 상기 피벗돌부와 상기 피벗홈부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부는, 상기 이어부에 내장되는 스피커에 접속되어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이어부에 내장되는 스피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부;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음향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충전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크부에는,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가 내장된 마이크부; 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무선부를 통해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자기기와 유선 통신하는 유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선부는,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유선음향부; 상기 이어부에 내장되는 스피커와 상기 유선음향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부; 및 상기 연결라인부가 권취되는 권취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선부는, 상기 권취릴부에서 상기 연결라인부의 권취 여부를 선택하는 릴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크부에는,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가 내장된 마이크부; 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유선부를 통해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는 전자기기에서 이어유닛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이어유닛의 휴대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전자기기의 슬림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이어유닛 상호 간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한 쌍의 이어유닛의 밀착도를 향상시키며, 결합되는 한 쌍의 이어유닛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홈부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며, 끼움홈부에서 한 쌍의 이어유닛을 안정되게 삽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의 꺾임 구조를 통해 이어유닛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홈부에서 이어유닛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이어유닛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끼움홈부에서 이어유닛의 삽입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의 꺾임 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의 꺾임 동작을 부드럽게 하고, 이어부가 사용자의 귀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의 꺾임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어유닛의 꺾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의 탈부착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어유닛의 꺾임 동작에 따라 스피커와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와 이어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의 탈부착에 따라 이어유닛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무선 통신 상에서 이어유닛을 안정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에서 소리를 출력함은 물론 소리를 입력할 수 있고, 마이크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선을 통해 전자기기와 이어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의 탈부착에 따라 이어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라인부의 간섭을 방지하는 한편 전자기기 내부에서 연결라인부를 안정되게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유닛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연결라인부의 권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유닛의 꺾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마이크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부와 이격링크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격링크부와 고정링크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탈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탈착부의 동작에 따른 이어부의 삽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탈착부의 동작에 따른 이어부의 인출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유닛은 단독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유닛은 전자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유닛의 꺾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마이크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부와 이격링크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격링크부와 고정링크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는 단독의 이어유닛이 전자기기(100)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는 이어유닛을 포함하고, 전자기기(100)에는 이어유닛이 삽입되는 끼움홈부(110)와, 이어유닛을 삽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착부(120)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전자기기(100)는 핸드폰, 게임기, 라디오, 카세트, CD플레이어 등과 같이 영상 또는 소리가 출력된다. 특히, 핸드폰의 경우, 두 핸드폰 간에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100)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1)와, 소리가 출력되는 출력부(103)와, 소리가 입력되는 입력부(105)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유닛은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를 포함한다. 이어부(10)는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11)가 내장된다. 이어부(10)는 케이스(15)에 스피커(11)가 삽입 지지되고, 덮개부(17)가 케이스(15)에 결합됨으로써, 이어부(10)에 스피커(11)를 내장할 수 있다. 이격링크부(20)는 이어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격링크부(20)는 이어부(10)에서 피벗 운동될 수 있다. 고정링크부(30)는 이격링크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링크부(30)는 이격링크부(20)에서 피벗 운동될 수 있다. 이때, 이어부(10)에는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이격링크부(20)가 삽입되는 안착홈(13)이 포함될 수 있다. 안착홈(13)에는 이격링크부(20)의 회동에 따라 이격링크부(2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안착홈(13)은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가 가상의 일직선 상태(도 3 참조)가 되었을 때, 이격링크부(20)는 안착홈(13)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이어부(10)의 배면에서 이격링크부(20)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어유닛을 끼움홈부(110)에 삽입할 때, 이격링크부(2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유닛은 피벗고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벗고정부(40)는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피벗고정부(40)는 이어부(10)에서 이격링크부(20)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피벗고정부(40)는 이격링크부(20)에서 고정링크부(30)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피벗고정부(40)는 피벗돌부(41)와, 피벗홈부(42)와, 피벗축부(43)와, 절곡고정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피벗돌부(41)는 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피벗홈부(42)는 피벗돌부(4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피벗축부(43)는 피벗홈부(42)에서 피벗돌부(41)의 회동 중심을 형성한다. 절곡고정부(44)는 피벗돌부(41)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절곡고정부(44)는 피벗돌부(41)와 피벗홈부(42)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46)와, 피벗돌부(41)와 피벗홈부(42) 중 다른 하나에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부(48)는 고정돌부(46)가 삽입 결합된다. 그러면, 피벗돌부(41)가 피벗홈부(42)에서 회동됨에 따라 고정돌부(46)가 고정홈부(48)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이격링크부(20) 또는 고정링크부(30)의 회동 상태 또는 꺾임 상태 또는 가상의 일직선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일예로, 피벗고정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부(10)에서 이격링크부(20)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돌부(41)는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피벗홈부(42)는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피벗홈부(42)가 이어부(10)에 구비되는 경우, 피벗홈부(42)와 안착홈(13)은 연통되어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공의 이어부(10)와 중공의 이격링크부(20)가 연통되도록 피벗축부(43)가 관통됨에 따라 스피커(11)에 접속되는 내부라인부(12)는 관통되는 피벗축부(43)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무선부(50)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절곡고정부(44)의 고정돌부(46)와 고정홈부(48)에는 내부라인부(12)가 접속되는 단자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이어부(10)에서 이격링크부(20)가 회동됨에 따라 고정홈부(48)에 고정돌부(46)가 삽입되는 경우, 고정돌부(46)의 단자와 고정홈부(48)의 단자가 접속되고, 스피커(11)와 무선부(50)를 접속할 수 있다. 동일한 구성 및 동작으로 후술하는 마이크(72)와 무선부(50)를 접속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벗고정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링크부(20)에서 고정링크부(30)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돌부(41)는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피벗홈부(42)는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또한, 중공의 이격링크부(20)와 중공의 고정링크부(30)가 연통되고록 피벗축부(43)가 관통됨에 따라 스피커(11)에 접속되는 내부라인부(12)는 관통된 피벗축부(43)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무선부(50)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절곡고정부(44)의 고정돌부(46)와 고정홈부(48)에는 내부라인부(12)가 접속되는 단자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이격링크부(20)에서 고정링크부(30)가 회동됨에 따라 고정홈부(48)에 고정돌부(46)가 삽입되는 경우, 고정돌부(46)의 단자와 고정홈부(48)의 단자가 접속되고, 스피커(11)와 무선부(50)를 접속할 수 있다. 동일한 구성 및 동작으로 후술하는 마이크(72)와 무선부(50)를 접속할 수 있다.
이어유닛은 무선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부(50)는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된다. 무선부(50)는 통신부(51)와, 충전부(53)와, 무선음향부(55)와, 전원공급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는 이어부(10)에 내장되는 스피커(11)에 접속되어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한다. 통신부(51)는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통신부(51)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무선음향부(55)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충전부(53)는 이어부(10)에 내장되는 스피커(1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충전된다. 충전부(53)는 스피커(11)와 통신부(51)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음향부(55)는 통신부(51)와 무선 통신한다. 일예로, 무선음향부(55)는 전자기기(100)에 구비되어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통신부(51)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7)는 이어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부(53)와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된다. 전원공급부(57)는 전자기기(100)의 끼움홈부(110)에 구비되고, 끼움홈부(110)에서 이어유닛이 탈부착됨에 따라 충전부(53)와 전원공급부(57)를 접속할 수 있다.
이어유닛은 마이크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부(70)는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72)가 내장된다. 마이크부(70)는 고정링크부(3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부(70)는 무선부(50)를 통해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일예로, 마이크(72)는 내부라인부(12)를 통해 통신부(51)와 충전부(53)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부(70)는 길이조절부(71)를 통해 고정링크부(30)에 신장 가능하게 결합된다. 길이조절부(71)는 고정링크부(30)에 신장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유단부에 마이크부(70)가 구비되도록 한다. 일예로, 마이크부(70)를 고정링크부(30)에서 잡아당기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크부(30)에서 길이조절부(71)가 신장됨에 따라 고정링크부(30)에서 마이크부(70)를 이격시킬 수 있다. 길이조절부(71)가 신장되면, 마이크(72)와 통신부(51)와 충전부(53)가 접속되고, 마이크(72)에 입력되는 소리를 전자기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부(70)를 고정링크부(30) 측으로 가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71)는 고정링크부(30)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링크부(30)에 마이크부(70)를 접촉시킬 수 있다. 길이조절부(71)가 고정링크부(30)에 삽입되면, 마이크(72)와 통신부(51)와 충전부(53)의 접속이 해제되고, 마이크(72)에 입력되는 소리를 전자기기(100)에 전달할 수 없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스피커(11)와 마이크(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를 조절하는 음량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충전부(53)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홈부(110)는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가 삽입된다. 또한, 탈착부(120)는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끼움홈부(110)에서 삽탈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탈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탈착부의 동작에 따른 이어부의 삽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탈착부의 동작에 따른 이어부의 인출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탈착부(120)는 탈착바디부(121)와, 탄성부재(122)와, 탄성돌부(123)와, 걸림부(124)와, 정위치부(125)와, 고정후크부(126)와, 복귀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바디부(121)는 끼움홈부(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탄성부재(122)는 끼움홈부(110)에서 탈착바디부(121)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122)는 탈착바디부(121)와 정위치부(12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탄성돌부(123)는 탄성을 가지고 탈착바디부(121)에서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124)는 탄성돌부(123)에 구비된다. 걸림부(124)는 탄성돌부(123)에서 돌출 형성되고, 탈착바디부(12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정위치부(125) 또는 고정후크부(126)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정위치부(125)는 걸림부(124)의 초기 위치를 한정한다. 걸림부(124)의 초기 위치는 이어유닛이 끼움홈부(1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걸림부(124)가 정위치부(125)에 걸림 결합된 상태이다. 고정후크부(126)는 탈착바디부(12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걸림부(124)가 걸림 결합된다. 고정후크부(126)는 정위치부(125)에서 이격 배치되고, 끼움홈부(11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귀부(127)는 탈착바디부(12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걸림부(124)를 정위치부(125)로 안내한다. 복귀부(127)는 고정후크부(126)와 연결되거나 고정후크부(126)에서 이격 배치되고, 끼움홈부(11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홈부(110)에는 걸림부(124)가 복귀부(127)를 거쳐 정위치부(125)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귀경로(128)가 형성될 수 있다.
탈착부(120)의 동작을 살펴보면, 탈착바디부(121)는 끼움홈부(110)에서 탄성부재(122)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걸림부(124)는 정위치부(125)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가상의 일직선 상태(도 3 참조)인 이어유닛이 끼움홈부에 삽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부(10)는 일부가 전자기기(100)에서 돌출된 상태로 탈착바디부(121)에 지지되고,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는 탈착바디부(121)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53)는 전원공급부(57)에 비접속 상태를 이루는 것이 유리하다. 계속해서 이어부(10)를 가압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부(10)는 끼움홈부(110)에 완전히 삽입된다. 그리고, 탈착바디부(121)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재(122)는 압축되고, 걸림부(124)는 고정후크부(126)에 걸림 결합된다. 이때, 충전부(53)는 끼움홈부(110)에 구비된 전원공급부(57)와 접속됨으로써, 이어유닛을 충전할 수 있다. 이어부(10)가 끼움홈부(1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이어부(10)를 더 가압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부(10)는 끼움홈부(110)에 더 삽입된다. 그리고 탈착바디부(121)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재(122)는 더 압축되고, 걸림부(124)는 고정후크부(126)에서 이탈되어 복귀부(127)로 이동된다. 이때, 충전부(53)와 전원공급부(57)는 비접속 상태를 이루는 것이 유리하다. 이어부(1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22)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늘어나고, 걸림부(124)는 복귀부(127)에서 이탈되어 복귀경로(128)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탈착바디부(121)는 이어부(10)를 끼움홈부(110)에서 밀어내고, 걸림부(124)는 복귀경로(128)를 따라 이동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위치부(125)에 걸림 결합된다. 그러면, 이어부(10)는 일부가 전자기기(100)에서 돌출되고, 돌출된 이어부(10)를 파지하여 끼움홈부(110)에서 이어유닛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100)에는 컨트롤러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러부(130)는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 상태 또는 탈착부(1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이어부(10)에서 스피커(1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거나 마이크부(70)에서 마이크(72)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130)는 전자기기(100)에서 무선부(50)의 무선음향부(55)와 접속되고, 스피커(11) 또는 마이크(72)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일직선인 상태에서는 컨트롤러부(130)의 제어에 의해 전자기기(100)와 스피커(11) 또는 전자기기(100)와 마이크(72)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꺽인 상태에서는 컨트롤러부(130)의 제어에 의해 전자기기(100)와 스피커(11) 또는 전자기기(100)와 마이크(72)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11)에서 소리가 출력될 수 있고, 마이크(72)에 소리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71)가 신장되면, 전자기기(100)와 마이크(72)가 접속되도록 하고, 길이조절부(71)가 고정링크부(30)에 삽입되면, 전자기기(100)와 마이크(72)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탈착부(120)에서 걸림부(124)가 정위치부(125)에 걸림 결합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부(130)의 제어에 의해 전자기기(100)와 스피커(11) 또는 전자기기(100)와 마이크(72)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11)에서 소리가 출력될 수 있고, 마이크(72)에 소리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124)와 정위치부(125)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또는 걸림부(124)가 고정후크부(126)에 걸림 결합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부(120)의 제어에 의해 전자기기(100)와 스피커(11) 또는 전자기기(100)와 마이크(72)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다만, 걸림부(124)가 고정후크부(126)에 걸림 결합되는 경우에는 충전부(53)와 전원공급부(57)가 접속되어 충전부(53)를 충전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이어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과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는 복수의 이어유닛이 유선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이어유닛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좀더 자세하게, 이어부(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격링크부(20)는 한 쌍의 이어부(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링크부(30)는 각각의 이격링크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한 쌍의 이어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턱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부(31)는 이격링크부(20) 또는 고정링크부(30)에 구비되고, 한 쌍의 이어부(10) 중 어느 하나가 안착 지지된다. 그러면, 한 쌍의 이어부(10) 중 어느 하나와 걸림턱부(31) 사이에 한 쌍의 이어부(10) 중 다른 하나가 안착 지지된다. 이때, 한 쌍의 이어부(10) 중 다른 하나에는 한 쌍의 이어부(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가 삽입되도록 지지홈(18)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부(31) 또는 지지홈(18)이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이어유닛을 상호 접촉시키고, 접촉된 한 쌍의 이어유닛 두께를 감소시키며, 한 쌍의 이어유닛이 끼움홈부(110)에서 안정되게 삽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부(31) 또는 지지홈(18)이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이어유닛에서 좌우 구분이 명확해지고, 이어유닛의 착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이어유닛은 상술한 무선부(50)를 대신하여 유선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부(60)는 유선음향부(63)와, 연결라인부(유선음향부(63))와, 권취릴부(65)를 포함하고, 릴고정부(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음향부(63)는 전자기기(100)에 구비된다. 유선음향부(63)는 전자기기(100)에서 컨트롤러부(130)와 접속된다. 연결라인부(61)는 유선음향부(63)와 이어부(10)에 내장되는 스피커(11)를 연결한다. 연결라인부(61)는 이어유닛의 내부라인부(12)와 접속될 수 있다. 권취릴부(65)는 연결라인부(61)가 권취된다. 권취릴부(65)는 전자기기(100) 내부 또는 전자기기(100)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권취릴부(65)는 탄성을 갖는다. 일예로, 연결라인부(61)를 잡아당기면, 권취릴부(65)에서 연결라인부(61)가 풀리고, 연결라인부(61)에서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에 의해 권취릴부(65)에 연결라인부(61)가 감길 수 있다. 릴고정부(67)는 권취릴부(65)에서 연결라인부(61)의 권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유선부(60)가 릴고정부(67) 더 포함하는 경우, 연결라인부(61)를 잡아당기다가 연결라인부(61)에서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릴고정부(67)는 권취릴부(65)를 정지시켜 연결라인부(61)가 풀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릴고정부(67)를 조작하면, 탄성에 의해 권취릴부(65)에 연결라인부(61)가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표시부는 이어부(10)와 이격링크부(20)와 고정링크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스피커(11)와 연결라인부(61) 또는 마이크(72)와 연결라인부(61)의 접속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기기용 이어장치에 따르면, 전자기기(100)에서 이어유닛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이어유닛의 휴대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전자기기(100)의 슬림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이어유닛 상호 간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한 쌍의 이어유닛의 밀착도를 향상시키며, 결합되는 한 쌍의 이어유닛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끼움홈부(110)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며, 끼움홈부(110)에서 한 쌍의 이어유닛을 안정되게 삽탈할 수 있다. 또한, 이어유닛의 꺾임 구조를 통해 이어유닛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끼움홈부(110)에서 이어유닛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이어유닛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끼움홈부(110)에서 이어유닛의 삽입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유닛의 꺾임 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유닛의 꺾임 동작을 부드럽게 하고, 이어부(10)가 사용자의 귀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이어유닛의 꺾임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어유닛의 꺾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유닛의 탈부착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어유닛의 꺾임 동작에 따라 스피커(11)와 마이크(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100)와 이어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어유닛의 탈부착에 따라 이어유닛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무선 통신 상에서 이어유닛을 안정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유선을 통해 전자기기(100)와 이어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어유닛의 탈부착에 따라 이어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라인부(61)의 간섭을 방지하는 한편 전자기기(100) 내부에서 연결라인부(61)를 안정되게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이어유닛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연결라인부(61)의 권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어유닛에서 소리를 출력함은 물론 소리를 입력할 수 있고, 마이크(72)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전자기기 101: 디스플레이부 103: 출력부
105: 입력부 110: 끼움홈부 120: 탈착부
121: 탈착바디부 122: 탄성부재 123: 탄성돌부
124: 걸림부 125: 정위치부 126: 고정후크부
127: 복귀부 128: 복귀경로 130: 컨트롤러부
10: 이어부 11: 스피커 12: 내부라인부
13: 안착홈 15: 케이스 17: 덮개부
18: 지지홈 20: 이격링크부 30: 고정링크부
31: 걸림턱부 40: 피벗고정부 41: 피벗돌부
42: 피벗홈부 43: 피벗축부 44: 절곡고정부
46: 고정돌부 48: 고정홈부 50: 무선부
51: 통신부 53: 충전부 55: 무선음향부
57: 전원공급부 60: 유선부 61: 연결라인부
63: 유선음향부 65: 권취릴부 67: 릴고정부
70: 마이크부 71: 길이조절부 73: 마이크

Claims (16)

  1.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가 내장되는 이어부; 상기 이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격링크부; 및 상기 이격링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링크부; 를 포함하고, 전자기기에는, 상기 이어부와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가 삽입되는 끼움홈부와, 상기 이어부와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끼움홈부에서 삽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끼움홈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탈착바디부;
    상기 끼움홈부에서 상기 탈착바디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탄성을 가지고 상기 탈착바디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탄성돌부;
    상기 탄성돌부에 구비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초기 위치를 한정하는 정위치부;
    상기 탈착바디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정위치부에서 이격 배치되는 고정후크부; 및
    상기 탈착바디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를 상기 정위치부로 안내하는 복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링크부는 상기 한 쌍의 이어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링크부는 상기 이격링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링크부 또는 상기 고정링크부에는, 상기 한 쌍의 이어부 중 어느 하나가 안착 지지되도록 걸림턱부; 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부에는,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상기 이격링크부가 삽입되는 안착홈;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기기에는,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 상태 또는 상기 탈착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이어부의 스피커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링크부와 상기 고정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피벗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고정부는,
    돌기 형상의 피벗돌부;
    상기 피벗돌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벗홈부;
    상기 피벗홈부에서 상기 피벗돌부의 회동 중심을 형성하는 피벗축부; 및
    상기 피벗돌부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절곡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고정부는,
    상기 피벗돌부와 상기 피벗홈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 및
    상기 피벗돌부와 상기 피벗홈부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상기 이어부에 내장되는 스피커에 접속되어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이어부에 내장되는 스피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부;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음향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충전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크부에는,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가 내장된 마이크부; 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무선부를 통해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기기와 유선 통신하는 유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부는,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유선음향부;
    상기 이어부에 내장되는 스피커와 상기 유선음향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부; 및
    상기 연결라인부가 권취되는 권취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부는,
    상기 권취릴부에서 상기 연결라인부의 권취 여부를 선택하는 릴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크부에는,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가 내장된 마이크부; 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유선부를 통해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KR1020140173345A 2014-12-04 2014-12-04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KR10161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45A KR101612631B1 (ko) 2014-12-04 2014-12-04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45A KR101612631B1 (ko) 2014-12-04 2014-12-04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631B1 true KR101612631B1 (ko) 2016-04-14

Family

ID=5580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345A KR101612631B1 (ko) 2014-12-04 2014-12-04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95B1 (ko) * 2020-05-08 2021-04-19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95B1 (ko) * 2020-05-08 2021-04-19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WO2021225299A1 (ko) * 2020-05-08 2021-11-11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919B1 (ko) 무선음향기기
US20130094660A1 (en) Hands-free mobile audio device for wirelessl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headphone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therethrough
US11303985B2 (en) Electronic device
US9467763B2 (en) Integrated wireless headse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EP1954012A1 (en) Headset having wired/wireless sub-earphone
JP2015515787A (ja) 無線電話向けの一体型脱着可能イヤホン装置
CN104378706A (zh) 耳机型音响装置
US7601032B2 (en) Apparatus for altering poles on an accessory
EP2680550A1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s for cord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CN107027078B (zh) 可穿戴式的耳机配件、无线耳机以及耳机产品
KR20160021590A (ko) 블루투스 헤드셋
KR101612631B1 (ko)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KR102104897B1 (ko) 무선음향기기
US10645477B2 (en) Audio systems
KR101637369B1 (ko) 무선음향기기
US7640042B2 (en) Buckle phone
CN111095945B (zh) 用于将耳机耦接至移动装置的附接模块
JP2009033765A (ja) ヘッドホン機能付携帯電話
WO200913692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t least one detachable audio headset
KR101561782B1 (ko) 분리형 도킹 스피커
KR20090000629U (ko) 블루투스 스피커
WO2010063081A1 (en) Hands-free kit
KR101432588B1 (ko) 휴대 단말기
KR101200543B1 (ko) 이어폰 자동 줄감개
KR101109021B1 (ko)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