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395B1 -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395B1
KR102241395B1 KR1020200124379A KR20200124379A KR102241395B1 KR 102241395 B1 KR102241395 B1 KR 102241395B1 KR 1020200124379 A KR1020200124379 A KR 1020200124379A KR 20200124379 A KR20200124379 A KR 20200124379A KR 102241395 B1 KR102241395 B1 KR 10224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wireless earphone
electronic device
earphon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리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리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리센
Priority to KR102021004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838A/ko
Priority to PCT/KR2021/004783 priority patent/WO202122529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이어폰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며 충전단자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배터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이어폰 하우징과;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감싸는 탄성 연질재 이어팁으로 형성되는 스피커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이어폰 하우징을 이어주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이어폰 하우징에 고정되며, 다른 일단에는 스피커또는 스피커부가 장착되며, 스피커 또는 스피커부는 귀에 장착하기 위한 제 1 방향과 무선 이어폰을 전자기기에 수납하기 위해 설정되는 제 2 방향 사이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Wireless Earphones And Electronic Devices That Can Store Them}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에 수납할 수 있도록 무선 이어폰의 두께를 얇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 소리를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이어폰은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와 연결되기 위해서는 케이블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케이블은 전자기기와 사용자의 거리가 항상 일정거리 내로 유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무선 이어폰은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무선 이어폰은 대체로 좌우측 귀 전용으로 2개의 물품으로 구성되며, 귀에 고정되기 때문에 소형이며 경량으로 제작된다.
무선 이어폰은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들을 경우에 귀에 꽂아 사용하게 되지만, 사용후에는 전자기기와 별개로 소지하게 된다.
케이스 없이 보관하면 분실의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케이스 역시 무선 이어폰의 크기에 맞춰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케이스에 의한 휴대가 분실을 방지해주는 것도 아니다.
최근에는 무선 이어폰용 케이스에 충전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서 보관시 케이스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무선 이어폰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 이어폰과 함께 무선 이어폰용 케이스도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출원서에서의 이어폰이란 귀에 장착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것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마이크를 구비하여 소리를 입력하는 기능을 가진 것도 포함된다.
KR 10-0630045 B1, 2006.12.22. 도면 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 이어폰을 전자기기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분실의 위험 및 충전이나 휴대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또한 슬림한 형태를 갖더라도 우수한 음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이어폰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며 충전단자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배터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이어폰 하우징과;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감싸는 탄성 연질재 이어팁으로 형성되는 스피커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이어폰 하우징을 이어주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이어폰 하우징에 고정되며, 다른 일단에는 스피커부가 장착되며, 스피커는 귀에 장착하기 위한 제 1 방향과, 무선 이어폰을 전자기기에 수납하기 위해 설정되는 제 2 방향 사이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이어팁의 연결부재 끼움부에 연결부재가 끼워지고, 이어팁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스피커부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가 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이어팁은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에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탄성력, 자력 또는 동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력은 스프링, 탄성밴드 등 탄성력을 구비한 것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은 스피커부와 연결부재 또는 스피커부와 이어폰 하우징에 설치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은 스피커 또는 스피커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단자에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 스피커는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며, 충전단자에 공급되던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스피커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가 제어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무선 이어폰과 무선신호를 통해 연결되며 음향을 출력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 일부에는 무선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내에는 무선 이어폰의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무선 이어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단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무선 이어폰은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둘러싸는 연질 이어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회전가능하며 연질 이어팁은 압축가능하고, 상기 스피커는 귀에 장착될 때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고 연질 이어팁은 압축된 상태인 무선이어폰이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부는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공간에 무선 이어폰이 수납되어 무선 이어폰의 충전단자가 단자부와 접촉하면 전자기기는 무선 이어폰과의 무선 접속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단자와 단자부의 접촉이 해제되면 전자기기와 무선 이어폰과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기기에서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무선 이어폰의 스피커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공간에 무선 이어폰이 수납되어 무선 이어폰의 충전단자가 단자부와 접촉하면 전자기기는 무선 이어폰과의 무선 접속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단자와 단자부의 접촉이 해제되면 전자기기와 무선 이어폰과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이어폰을 전자기기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어 분실의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충전이나 휴대의 번거로움을 제거하며, 우수한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 무선이어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무선이어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무선이어폰의 내부 배치를 나타낸 도.
도 4는 도 1의 무선이어폰의 스피커부를 회전시킨 형태를 나타낸 도.
도 5는 도 4의 무선이어폰의 내부 배치를 나타낸 도.
도 6은 도 4의 무선이어폰의 이어팁을 누른 형태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무선이어폰의 형태를 나타낸 도.
도 8은 도 7의 무선이어폰에서 이어팁을 제거한 형태를 나타낸 도.
도 9는 도 7의 무선이어폰에서 스피커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한 형태를 나타낸 도.
도 10은 도 7의 무선이어폰의 스피커를 제2 방향으로 향하게 한 후, 이어팁을 누른 형태를 나타낸 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무선이어폰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무선이어폰 수납가능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무선이어폰 수납가능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른 나타낸 도.
도 17 및 도 18은 도 15,16,20 형태의 전자기기 내의 접촉단자의 작동형태를 나타낸 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무선 이어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무선 이어폰(1)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며 충전단자(30)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1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배터리(2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0) 및 배터리(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이어폰 하우징(40)과; 스피커(51)와, 상기 스피커를 감싸는 탄성 연질재 이어팁(52)으로 형성되는 스피커부(50)와; 상기 스피커부(50)와 이어폰 하우징(40)을 이어주는 연결부재(60)로 이루어져 있다.
인쇄회로기판(10)에는 반도체 칩과 같은 여러 전자부품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같은 형태로 외부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주고 받은 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를 구동하고, 또는 경우에 따라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외부 전자기기로 입력신호를 전송하고, 배터리 충전이나 음량을 제어하게 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인쇄회로기판에는 무선이어폰의 작동을 온/오프하거나 무선이어폰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이어폰(1)의 작동을 온오프하거나 음량을 조절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와 충전단자(30)는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어 있는데 이어폰 하우징(40)에 별도로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10)의 관련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20)와 스피커(51)는 FPCB 또는 전선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20)은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폰 하우징(40)은 플라스틱이나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어폰의 스피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0)와 이어폰 하우징(40)이 일체로 사출형성되어 있으나,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스피커부(5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51)와 스피커(51)을 감싸며 연결부재(60)에 끼워지는 탄성 연질재 이어팁(52)으로 이루어진다. 이어팁은 실리콘, 우레탄 등 약한 힘에도 쉽게 변형되며 다시 제 모양으로 돌아올 수 있는 탄성 연질재로 제작되어야, 착용감이 우수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납공간 내에 거치될 때 용이하게 압축변형될 수 있다.
이어팁(52) 내부의 스피커(51)는 인쇄회로기판(10)의 관련 회로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케이블은 연결부재(60)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어팁(52)은 스피커(51)를 삽입할 수 있도록 분해되었다가 조립시 일체로 결합된다.(도 3 참조) 이어팁(52)의 일부 영역에 연결부재(60)가 끼워지는 형태로 스피커부(50)가 설치된다.
스피커부(50)는 귀에 장착하기 위한 제 1 방향(도 1 에서 스피커부(50)의 방향)에서 무선 이어폰을 전자기기에 수납하기 위한 제 2 방향(도 4에서 스피커부(50)의 방향)사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부재(60)에 끼워진다.
도 2, 3에 도시된 형태의 스피커는 지름이 10mm, 두께는 3mm 정도로 통상의 크기 정도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 이어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가로/세로/두께가 10/8/3 mmm 정도이고, 이어폰 하우징의 두께 약 0.3 ~ 1 mm 정도이다. 인쇄회로기판은 2.2 ~ 4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이어팁의 두께는 0.1~0.5mm 정도로 이루어진다.
도 1과 같은 형태의 이어폰에서는 스피커부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이와 같은 두께의 대부분을 통상 10mm에 달하는 스피커의 지름이 차지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연결부재(60)를 중심으로 스피커부(50)를 회전시킨 후, 연질의 이어팁(52)을 눌러 압축시키면 스피커부(5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도 6 참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이어폰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는 스피커부(50)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어팁(52)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이어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폰과 무선연결되는 전자기기에 이어폰을 수납시키기 위한 것으로, 두께가 감소되어야 전자기기 내에 수납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60)에 스피커(51)만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7~9) 이어팁(52)는 연결부재(60)의 일부와 스피커부를 감싸게 된다.
또한 이어팁(52) 내부에서 스피커(51)는 귀에 장착하여 음을 전달할 때 도 8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며, 전자기기 등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도 9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도 8과 같은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피커(52)와 연결부재(60)사이에 탄성부재(53)가 설치된다. 도 9의 방향으로는 탄성부재가 신장되어 도 8의 방향으로 스피커(51)이 다시 복귀하도록 하는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력이 존재하더라도 이어팁(52)를 도 10과 같은 형태로 압축시켜 전자기기 내에 무선 이어폰을 수납시키면, 전자기기 내 한정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수납 공간 내에 거치된 스피커(51)는 다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이나 탄성밴드(고무)에 의한 탄성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스피커부와 연결부재 또는 스피커부와 이어폰 하우징에 설치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 가지는 자력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회전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재(60)에 스피커(51)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스피커(51)의 회전축(51-1)에 이어폰 하우징(40) 내에 설치된 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스피커(51)을 회전시킨다.
모터(70)와 도면부호 51-1의 회전축(51-1) 사이에는 별도의 도면부호 51-2의 회전축을 더 설치하고, 모터(70)와 회전축(51-1), 회전축(51-1)과 회전축(51-2)사이는 벨트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51)은 도 8과 같은 제 1 방향과 도 9와 같은 제 2 방향 사이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의 실시예 무선이어폰 역시 도 10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이어팁(52)이 압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이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으나,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직각일 필요가 없다. 제 2 방향은 스피커가 얇은 두께를 보이는 위치로 회전한 방향으로 결정되며, 제 1 방향은 이어팁에서 귀로 소리를 전달하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실시예들과 같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기기는 노트북, 휴대폰, 태블릿피씨, 휴대 음향기기 등 음향의 전달이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를 수납하며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커버나 무선 이어폰 장착 전용 케이스 또는 상기 전자기기가 탑재되는 별도의 음향기기 등 다양한 부속장치 역시 본 발명에서의 전자기기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트북에 무선이어폰을 수납하는 일 실시예를 먼저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의 일부에는 무선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0)이 형성된다. 수납공간(110) 내에는 무선이어폰(1)이 끼워지는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12)에 끼워진 무선이어폰(1)의 충전단자(30)에 접축하여 무선이어폰(1)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단자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홈은 스피커가 수납을 위해 회전된 상태이며 이어팁이 압축된 상태로 무선이어폰(1)이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단자부(120)는 충전단자(30)와 효율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충전단자(30)측을 향해 돌출되는 탄성력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공간(110)은 덮개(130)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덮개(130)는 덮개 버튼(132)에 의해 밀폐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 버튼(132)를 누르면 밀폐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덮개 버튼(132)은 슬라이딩 방식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덮개의 밀폐를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때, 덮개에 의해 이어팁은 압축되며 수납공간 내에 거치되게 된다.
도 13은 삽입홈(112)에 삽입된 무선 이어폰을 나타낸 것이며, 이어팁(52)이 눌러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덮개를 닫았을 때 눌러지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덮개(130)를 닫았을 때의 노트북의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는 노트북의 상면으로부터 덮개 및 수납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덮개 및 수납공간은 노트북의 하면 즉 바닥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실시예는 도 15와 같이 노트북의 측면으로 무선이어폰을 수납하는 형태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에는 측면으로 입구가 형성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입구로 삽입된 무선이어폰은 도 16과 같이 노트북 내부의 수납공간(110)에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에 입구부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지만, 전면 또는 후면과 같은 전자기기의 테두리 면에 입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앞선 실시예와 같이 수납공간(110)내에는 무선이어폰(1)이 삽입되는 삽입홈(112)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12)의 하측에는 단자부(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홈(112)은 무선이어폰(1)의 충전단자(30)가 단자부(120)와 접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활도 하게 된다.
도 17은 무선이어폰(1)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초기 단계에서 단자부(120)에 접촉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8은 무선이어폰(1)이 삽입홈에 완전히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삽입홈에 무선이어폰(1)이 삽입될 때는 이어팁이 압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삽입 초기 무선이어폰(1)은 충전단자(30)가 접촉단자(121)에 접촉하게 되고, 도 17의 하측방향으로 밀어 넣어지게 된다. 이때 도 11의 실시예와 같은 이어폰은 스피커가 제 2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며, 충전단자와 접촉단자의 접촉이 해제되면 다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기기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이어폰의 스피커를 미리 회전시키도록 명령을 내리고, 이에 따라 스피커가 회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접촉단자(121)는 고정부(125)에 설치된 단자가이드부(122) 내부의 스프링(123)에 의해 도 17의 상측으로 탄성지지된다. 또한 접촉단자(121)는 연장부(124)에 의해 로킹부(126)과 연결된다. 연장부(124)는 노트북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무선이어폰(1)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로킹부(126)는 이동되어 그 일단이 인출버튼(127)과 결합되거나 해제되게 된다.
무선이어폰의 수납상태에서는 로킹부(126)가 인출버튼(127)에 결합되어 있으며, 인출버튼(127)을 누르면 로킹부(126)은 스프링(123)의 탄성력에 따라 연장부(124), 접촉단자(121)을 도 18의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무선이어폰(1)을 노트북 외부로 일부 노출되게 하고, 사용자는 노출된 부분을 파지하여 무선이어폰(1)을 노트북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5,16,20에서 수납공간을 덮고 있는 반투명 부분은 전자기기의 외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가 관찰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창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무선이어폰이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은 노트북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등에도 같은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19는 덮개에 의한 수납방식이며, 도 20은 테두리면으로 입구가 형성된 수납방식이다.
휴대폰과 같은 기기에서는 케이스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출버튼을 별도로 구비하기 힘들 수도 있다.
이때는 로킹부는 통상 물건의 삽입시 사용하는 푸시 인- 푸시 아웃 (PUSH IN - PUSH OUT)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측의 테두리면에 입구부를 형성하지 않고, 마주보는 또는 서로 다른 테두리면에 각각 입구부를 형성하여 무선이어폰을 하나씩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무선 이어폰이 수납되어 무선 이어폰의 충전단자가 단자부와 접촉하면 전자기기는 무선 이어폰과의 무선 접속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단자와 단자부의 접촉이 해제되면 전자기기와 무선 이어폰과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1 : 무선 이어폰 10 : 인쇄회로기판 20 : 배터리 30 : 충전단자
40 : 이어폰 하우징 50 : 스피커부 51 : 스피커 52 : 이어팁
53: 탄성부재 60 : 연결부재 70 : 모터
110 : 수납공간 112 : 삽입홈
120 : 단자부 121 : 접촉단자 122 : 단자가이드부 123 : 스프링
124 : 연장부 125 : 고정부 126 : 로킹부 127 : 인출버튼
130 : 덮개 132 : 덮개버튼

Claims (13)

  1.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며 충전단자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배터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이어폰 하우징과;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감싸는 탄성 연질재 이어팁으로 형성되는 스피커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이어폰 하우징을 이어주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이어폰 하우징에 고정되며, 다른 일단에는 스피커부가 장착되며, 스피커는 귀에 장착하기 위한 제 1 방향과, 무선 이어폰을 전자기기에 수납하기 위해 설정되는 제 2 방향 사이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스피커가 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이어팁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피커에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탄성력, 자력 또는 동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은 스피커부와 연결부재 또는 스피커부와 이어폰 하우징에 설치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은 스피커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8. 제 7 항에 있어서,
    충전단자에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 스피커는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며, 충전단자에 공급되던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스피커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
  9. 무선으로 무선 이어폰과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 일부에는 무선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내에는 무선 이어폰의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무선 이어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무선 이어폰은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둘러싸는 연질 이어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회전가능하며 연질 이어팁은 압축가능하고, 상기 스피커는 귀에 장착될 때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고 연질 이어팁은 압축된 상태인 무선이어폰이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 무선 이어폰이 수납되어 무선 이어폰의 충전단자가 단자부와 접촉하면 전자기기는 무선 이어폰과의 무선 접속을 차단하고, 상기 충전단자와 단자부의 접촉이 해제되면 전자기기와 무선 이어폰과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서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무선 이어폰의 스피커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1020200124379A 2020-05-08 2020-09-25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10224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737A KR20210136838A (ko) 2020-05-08 2021-04-01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PCT/KR2021/004783 WO2021225299A1 (ko) 2020-05-08 2021-04-16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21 2020-05-08
KR20200054821 2020-05-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737A Division KR20210136838A (ko) 2020-05-08 2021-04-01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395B1 true KR102241395B1 (ko) 2021-04-19

Family

ID=757186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379A KR102241395B1 (ko) 2020-05-08 2020-09-25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1020210042737A KR20210136838A (ko) 2020-05-08 2021-04-01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737A KR20210136838A (ko) 2020-05-08 2021-04-01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41395B1 (ko)
WO (1) WO20212252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80A (ko) * 2021-06-25 2023-01-03 김종규 무선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US20230139532A1 (en) * 2021-10-29 2023-05-04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Listening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227Y1 (ko) * 2005-05-31 2005-08-22 (주)에버닉스 이어셋이 내장된 무선헤드셋
KR100641204B1 (ko) * 2005-07-21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045B1 (ko) 1998-12-18 2006-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수납식휴대폰
KR101612631B1 (ko) * 2014-12-04 2016-04-14 한호진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KR20180017439A (ko) * 2016-08-09 2018-02-21 고돈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KR101926429B1 (ko) * 2017-11-02 2019-03-07 이진표 안전사고 예방 및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헤드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045B1 (ko) 1998-12-18 2006-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수납식휴대폰
KR200393227Y1 (ko) * 2005-05-31 2005-08-22 (주)에버닉스 이어셋이 내장된 무선헤드셋
KR100641204B1 (ko) * 2005-07-21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12631B1 (ko) * 2014-12-04 2016-04-14 한호진 전자기기용 이어장치
KR20180017439A (ko) * 2016-08-09 2018-02-21 고돈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KR101926429B1 (ko) * 2017-11-02 2019-03-07 이진표 안전사고 예방 및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헤드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80A (ko) * 2021-06-25 2023-01-03 김종규 무선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KR102486907B1 (ko) * 2021-06-25 2023-01-09 김종규 무선 이어폰 내장형 휴대전화 케이스
US20230139532A1 (en) * 2021-10-29 2023-05-04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Listen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838A (ko) 2021-11-17
WO2021225299A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626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US6934568B2 (en) Extending hinged flip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102241395B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TWI384843B (zh) 可攜式終端
US9124681B2 (en) Portable terminal with stylus pen
CN112003970A (zh) 终端设备
KR20080093178A (ko) 휴대용 전자기기 모듈
CN210579112U (zh) 一种超薄无线耳机、耳机收纳盒及手持电子设备
CN111726726A (zh) 一种可切换用作对讲机的蓝牙耳机充电收纳盒
CN112702673A (zh) 电子组件
KR20220134397A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CN106488353B (zh) 一种终端设备
KR1006508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12812233U (zh) 一种电子设备
KR20040093416A (ko) 휴대 단말 장치
CN219181629U (zh) 一种发声单元可拆卸的电子设备
KR101474436B1 (ko) 휴대 단말기
KR200391854Y1 (ko)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KR1006067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라운드 스피커 장치
JP2002164978A (ja) 携帯型通信装置およびヒンジ
CN212305625U (zh) 一种可切换用作对讲机的蓝牙耳机充电收纳盒
CN213990979U (zh) 耳机盒和电子组件
CN214481160U (zh) 耳机盒和电子组件
CN216086980U (zh) 一种具有无线通讯功能的耳机盒及无线通讯设备
CN215835533U (zh) 耳机盒和电子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