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854Y1 -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854Y1
KR200391854Y1 KR20-2005-0013377U KR20050013377U KR200391854Y1 KR 200391854 Y1 KR200391854 Y1 KR 200391854Y1 KR 20050013377 U KR20050013377 U KR 20050013377U KR 200391854 Y1 KR200391854 Y1 KR 200391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bile device
center
output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20-2005-0013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모바일 기기의 출력단자와 연결하여 그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악 등의 정보를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음은 물론,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10)가 마련되고, 그 몸체(10)의 양측에는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20)가 마련되며, 몸체(10)의 중앙에는 휴대폰 충전단자(13)가 마련된 안착부(12)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12)의 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부(40)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10)의 중앙에는 안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전면커버(5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몸체(10)의 배면 중앙에는 외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입력부(60)가 마련되며, 몸체(10)의 배면 양측에는 배터리(70)가 내장되는 수용홈(14)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Speaker for mobile device}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모바일 기기의 출력단자와 연결하여 그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악 등의 정보를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음은 물론,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의 모바일 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이동중 음성 및 화상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과, 각종 정보를 저장 및 표시하는 PDA 및 다양한 형태(mp3, wav, midi 등)의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 개발되는 모바일 기기는 휴대폰, PDA 및 mp3 플레이어 기능이 통합된 모바일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악을 청취할 때에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출력단자(이어폰 단자)에 이어폰을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이어폰을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 한 명이 청취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이 동시에 청취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분기단자(일명 ; Y 잭)를 결합하고 있다.
또는 여러명이 동시에 음악을 청취할 경우에는 별도의 출력장치(스피커 등)를 모바일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고, 그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충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즉, 종래의 모바일 기기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입비용이 증가는 물론, 보관 및 사용이 불편하였고, 특히 이동 중에는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에 전원이 소진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모바일 기기의 출력단자를 연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단자를 마련하여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악을 간편하게 청취 할 수 있게됨은 물론, 몸체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을 모바일 기기로 공급하여 이동중에도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가 마련되고, 그 몸체의 양측에는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마련되며, 몸체의 중앙에는 휴대폰 충전단자가 마련된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부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안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전면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몸체의 배면 중앙에는 외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입력부가 마련되며, 몸체의 배면 양측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출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출력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출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출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5는 도4의 A - A선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10)가 마련되어 있고, 그 몸체(10)의 양측에는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2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몸체(10)의 전면 양측에는 스피커(20)에서 출력되는 음성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20)는 몸체(10)의 내부에 내장 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인출 또는 내장시킬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는 스피커(20)의 내부 측면에 탄성편(21)을 형성하고, 스피커(20)의 배면에 걸림돌기(22)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몸체(10)의 배면에는 힌지(3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인출레버(30)를 설치하되, 상기 인출레버(30)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22)와 결합되는 스토퍼(32)를 형성하며, 상기 인출레버(30)는 판스프링(33)으로 탄력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중앙에는 모바일 기기를 보관하는 안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안착부(12)의 저면에는 휴대폰에 설치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휴대폰 충전단자(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12)의 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40)에는 스피커(20)의 출력음을 조절하는 볼륨버튼(41)이 마련되어 있고, 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마이크단자(42)가 마련되어 있으며, 스피커(20)가 동작되도록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전원버튼(4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에는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43)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중앙에는 안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전면커버(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몸체(10)의 배면 중앙에는 외부 기기(휴대폰, mp3 플레이어, PDA 등)를 연결하기 위한 입력부(60)가 마련되어 있되, 그 입력부(60)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입력단자(61)가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의 배면 양측에는 배터리(70)가 내장되는 수용홈(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홈(14)의 표면에는 배터리(70)를 보호하기 위한 후방커버(8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부(60)에는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공급단자(6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보관 및 휴대 할 때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12)가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커버(50)를 표면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안착부(12)가 노출되도록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커버(50)를 회전시키면, 그 전면커버(50)의 일면은 지면에 접촉되면서 몸체(10)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10)의 배면에 마련된 입력부(60)의 입력단자(61)와 모바일 기기가 연결되도록 별도의 케이블(도면 미도시)을 결합한 후 모바일 기기를 작동시키고, 몸체(10)의 전면에 마련된 전원버튼(44)을 온 상태로 위치시키면,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악은 스피커(20)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피커(20)가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된 경우에는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통공(11)을 통하여 음악이 출력되는 것이고, 몸체(10)의 배면에 설치된 인출레버(30)를 당기면 그 인출레버(30)는 힌지(3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인출레버(3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토퍼(32)와 스피커(20)에 형성된 걸림돌기(22)가 분리되므로 상기 스피커(20)는 탄성편(21)의 복원력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출레버(30)를 놓으면 그 인출레버(30)는 판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서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스피커(20)를 통하여 출력된 음악의 크기는 볼륨버튼(41)을 조작하여 조절되는 것이며, 전면에 설치된 마이크단자(42)에 마이크(도면 미도시)를 결합하면 스피커(20)를 통하여 음악과 음성이 동시에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면에 설치된 램프(43)의 점등/소등에 따라서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2)의 저면에 마련된 휴대폰 충전단자(13)에 휴대폰을 결합하면 휴대폰에 내장된 배터리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20)를 통하여 음악을 출력하거나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는 전원 공급단자(62)에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도면 미도시)을 결합하거나, 수용홈(14)에 내장된 배터리(70)의 전원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배터리(70)를 교환 할 때에는 후방커버(80)를 개방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70)를 충전용 배터리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배터리(70)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단자가 제공되므로 각종 모바일 기기와 간편하게 연결하여 그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악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므로 여러명이 동시에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스피커의 동작은 물론, 휴대폰을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출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출력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출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출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5는 도4의 A - 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통공
12 : 안착부 13 : 휴대폰 충전단자
14 : 수용홈 20 : 스피커
21 : 탄성편 22 : 걸림돌기
30 : 인출레버 31 : 힌지
40 : 조작부 41 : 볼륨버튼
42 : 마이크단자 44 : 전원버튼
50 : 전면커버 60 : 입력부
61 : 입력단자 70 : 배터리

Claims (5)

  1.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10)가 마련되고, 그 몸체(10)의 양측에는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20)가 마련되며, 몸체(10)의 중앙에는 휴대폰 충전단자(13)가 마련된 안착부(12)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12)의 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부(40)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10)의 중앙에는 안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전면커버(5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몸체(10)의 배면 중앙에는 외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입력부(60)가 마련되며, 몸체(10)의 배면 양측에는 배터리(70)가 내장되는 수용홈(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20)의 내부 측면에는 탄성편(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배면에는 스피커(20)에 형성된 걸림돌기(2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스피커(20)를 고정 및 인출시키는 인출레버(30)가 힌지(3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전면 양측에는 스피커(20)에서 출력되는 음성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다수개의 통공(11)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0)에는 스피커(20)의 출력음을 조절하는 볼륨버튼(41)이 마련되고, 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마이크단자(42)가 마련되며,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전원버튼(44)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60)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입력단자(61)가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KR20-2005-0013377U 2005-05-12 2005-05-12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KR200391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377U KR200391854Y1 (ko) 2005-05-12 2005-05-12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377U KR200391854Y1 (ko) 2005-05-12 2005-05-12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854Y1 true KR200391854Y1 (ko) 2005-08-09

Family

ID=4369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377U KR200391854Y1 (ko) 2005-05-12 2005-05-12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8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43Y1 (ko) 2012-04-17 2013-08-01 주식회사 강일무역 거치대가 구비된 스피커
KR200472656Y1 (ko) 2013-03-11 2014-05-14 홍낙기 수납함을 갖는 스피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43Y1 (ko) 2012-04-17 2013-08-01 주식회사 강일무역 거치대가 구비된 스피커
KR200472656Y1 (ko) 2013-03-11 2014-05-14 홍낙기 수납함을 갖는 스피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3985B2 (en) Electronic device
US20090114550A1 (en) Eyeglass speaker case
US2008022081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speaker
KR20150016859A (ko) 보호 케이스
KR20010094829A (ko) 엠피3플레이어 휴대폰
KR200391854Y1 (ko) 모바일 기기용 출력장치
KR102241395B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US7623352B2 (en) Power supply and speakerphone for handheld devices
KR101369517B1 (ko) 모바일기기 케이스
JP4335503B2 (ja) 電子機器保護ケース
KR100774369B1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KR20000023881A (ko) 휴대폰배터리일체형엠피3플레이어및보이스레코더
CN219181629U (zh) 一种发声单元可拆卸的电子设备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8010B1 (ko) 휴대용 메가폰
JP2008187430A (ja) 携帯用電子機器
KR200364501Y1 (ko) 음성 저장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KR20090011898A (ko) 휴대용 디지털기기
KR20090004446U (ko) 휴대용 스피커
KR20060035183A (ko) 마이크로스피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44482B1 (ko)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용 핸드 스트랩
KR101109021B1 (ko) 핸즈프리 장치
KR200473244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080057860A1 (en) Multifunctional auxiliary audio device
KR20220154066A (ko)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 케이스와 무선 이어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