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439A -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 Google Patents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439A
KR20180017439A KR1020160101250A KR20160101250A KR20180017439A KR 20180017439 A KR20180017439 A KR 20180017439A KR 1020160101250 A KR1020160101250 A KR 1020160101250A KR 20160101250 A KR20160101250 A KR 20160101250A KR 20180017439 A KR20180017439 A KR 20180017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ground connection
smart
earphone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돈호
Original Assignee
고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돈호 filed Critical 고돈호
Priority to KR102016010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439A/ko
Publication of KR2018001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이 개시되는 것으로, 양측단에 각각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제2본체접지연결부(12)가 구비되고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근거리 송수신부에 의해 송수신하는 스마트본체(10)와; 상기 스마트본체(10)와 연결되고 구부러짐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에 각각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연결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연결부(22)를 연결하는 연결선(23)이 내부에 구비되는 밴드체(20)와; 상기 밴드체(20)와 연결되는 이어폰접지연결부(31)가 구비되는 이어폰헤드(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earphone type length variable smart band}
본 발명은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워치 기능을 갖는 스마트밴드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목에 착용하거나 목에 걸어 사용하거나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헤드를 밴드 끝단에 연결하여 별도의 이어폰이 필요치 않도록 한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에 관한 것이다.
근자들어 스마트폰이나 휴대형 태블릿(이하 휴대용 스마트기기라 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할 때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 휴대용 스마트기기를 통해 음악을 듣거나 또는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게임을 즐기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게임을 할 때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이어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 이어폰은 휴대용 스마트기기에 직접 연결잭을 꽂아 사용하는 유선식 이어폰과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무선식 이어폰이 있다.
유선식 이어폰의 경우, 길이가 긴 연결선의 일단에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잭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사용자의 귀에 꽂는 이어폰 헤드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유선식 이어폰의 경우 사용할 때 길이가 긴 연결선에 의해 사용자가 걷거나 뛸 때 걸리적거리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연결선이 사용자의 의복이나 가방에 걸리게 되어 귀에 꽂은 이어폰 헤드가 빠지거나 뜨는 휴대용 스마트기기에 연결된 연결잭이 빠지거나 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유선식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가방이나 주머니에 그대로 넣어 보관하게 되는 바, 이 때 연결선이 서로 엉키게 되거나 꼬임이 발생되어 이후 사용할 때 엉킨 연결선을 풀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무선식 이어폰의 경우, 연결선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선을 갖는 유선식 이어폰이 지닌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 반면, 무선식 이어폰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항상 귀에 꽂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목에 걸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 무선식 이어폰의 경우에는 귀에 꽂아 사용하는 귀걸이형과 목에 걸어 사용하는 목걸이형으로 구분되는 바, 이와 같이 귀걸이형과 목걸이형이 따로 구분되어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귀걸이형과 목걸이형을 다같이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귀걸이형과 목걸이형을 각각 구비하여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유선식 이어폰은 물론 무선식 이어폰이 음악청취나 전화통신, 동영상감상을 위한 이어폰으로만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신체에 착용하는 장신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10-1562621호인 스마트 이어폰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어폰 잭과, 상기 이어폰 잭을 통해 상기 음향 신호 재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음향 출력부, 사용자의 측후방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획득된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2 음향 출력부를 갖는 이어폰 헤드 및 상기 이어폰 잭과 상기 이어폰 헤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객체 검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획득한 영상 정보에서 객체가 검출되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2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이어폰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획득한 후측방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면의 잠재적 위험을 경고하도록 하고 있으나, 휴대용 스마트기기와의 연결이 연결잭과 연결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래 유선식 이어폰이 지닌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 예로, 공개특허 10-2015-0063328호인 목걸이 겸용 블루투스 내장형 이어폰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이어폰 헤드 일측 이어폰 줄에 마이크 및 조절버튼이 구비된 조절몸체, 상기 이어폰 줄 양단 중앙에 설치한 블루투스 모듈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에 있어서,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시켜 형성한 넥밴드의 끼움부에 상기 이어폰 줄을 끼우되, 상기 넥밴드의 중앙에 형성한 하우징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내삽하여 넥밴드와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넥밴드의 하우징을 장신구 형상으로 하여 목걸이로 사용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사용자의 목에 항상 걸어 착용하여야 하고 목걸이형 이외에 또 다른 용도 예를 들어 귀걸이형이나 또는 손목장신구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62621호(2015.10.16.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5-0063328호(2015.06.09. 공개)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블루투스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밴드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한 쪽 귀에 꽂아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꽂아 사용하거나 또는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여 손목 장신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길이가변형 스마트 이어폰은, 내측에 제1본체접지부를 갖는 제1본체접지연결부와 내측에 제2본체접지부를 갖는 제2본체접지연결부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근거리 송수신부에 의해 송수신하는 스마트본체와; 상기 스마트본체와 연결되고 구부러짐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에 각각 제1밴드접지부를 갖는 제1밴드접지연결부와 제2밴드접지부를 갖는 제2밴드접지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밴드접지부와 제2밴드접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밴드체와; 상기 밴드체와 연결되고 내측에 이어폰접지부를 갖는 이어폰접지연결부가 구비되는 이어폰헤드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스마트본체와 상기 밴드체는, 상기 스마트본체에 구비되는 제1본체접지연결부와 상기 밴드체에 구비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가 접지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헤드의 이어폰접지연결부는 상기 밴드체의 제2밴드접지연결부에 접지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본체의 제2본체접지연결부에 연결되는 마감모듈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밴드체와 상기 이어폰헤드는 각각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본체와 상기 밴드체는, 상기 2개의 밴드체 각각에 구비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와 상기 스마트본체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본체접지연결부와 제2본체접지연결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2개의 밴드체 각각에 구비되는 제2밴드접지연결부는 상기 2개의 이어폰헤드 각각에 구비되는 이어폰접지연결부가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밴드접지연결부와 제2밴드접지연결부가 구비되는 상기 밴드체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밴드체는 서로 대응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와 제2밴드접지연결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밴드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스마트본체는, 상기 제1본체접지연결부 및 제2본체접지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송수신하는 근거리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식 전원공급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스마트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원저장부와;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재생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근거리 송수신부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밴드체에는 상기 밴드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밴드체의 표면에는 유색안료층 또는 야광안료층 중 어느 하나의 안료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본체와 밴드체 및 이어폰헤드가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1개의 밴드체와 이어폰헤드를 연결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밴드체를 연결할 수 있어 밴드체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귀에 꽂는 귀걸이형이나 목에 거는 목걸이형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장신구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일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다른 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또 다른 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을 손목에 착용하기 전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을 손목에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을 손목에 착용한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는, 스마트본체(10)와 밴드체(20), 이어폰헤드(30)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본체(10)와 밴드체(20) 및 이어폰헤드(30)는 서로에 대해 각각 분리되거나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할 경우 다양한 형태로 연결시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귀에 꽂아 사용하거나 또는 목에 걸어 사용하거나 또는 손목에 착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목 뒷부분으로 넘겨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밴드체(20)를 복수개 구비하여 복수개 구비되는 밴드체(20)를 서로 연결하여 밴드체(2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본체(10)는, 내측에 제1본체접지부(11a)를 갖는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내측에 제2본체접지부(12a)를 갖는 제2본체접지연결부(12)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본체접지연결부(11)의 제1본체접지부(11a) 및 제2본체접지연결부(12)의 제2본체접지부(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13)와,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송수신하는 근거리 송수신부(14)와,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부(15)와,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본체(10)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6)와,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식 전원공급부(17)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근거리 송수신부(14)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마트본체(10)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테블릿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상기 근거리 송수신부(14)로 송수신되어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저장된 음원이나 또는 동영상의 음성을 상기 이어폰헤드(30)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는, 현재시간을 알려주는 시간이 표시되거나 또는 휴대용 스마트기기로부터 음원이 전달될 경우에는 전달되는 음원의 제목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밴드체(20)는, 상기 스마트본체(10)와 연결되고 구부러짐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제1밴드접지부(21a)를 갖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내측에 제2밴드접지부(22a)를 갖는 제2밴드접지연결부(22)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밴드접지연결부(21)의 제1밴드접지부(21a)와 상기 제2밴드접지연결부(22)의 제2밴드접지부(22a)를 연결하는 연결선(23)이 내부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밴드체(20)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튜브와 같은 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연결부(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체(20)의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연결선(23)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어폰헤드(30)는, 상기 밴드체(20)와 연결되고 내측에 이어폰접지부(31a)를 갖는 이어폰접지연결부(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스마트본체(10)에 구비되는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제2본체접지연결부(12), 밴드체(20)에 구비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연결부(22), 이어폰헤드(30)의 이어폰접지연결부(31)는 각각 서로에 대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으로, 이들의 연결 및 분리는 나사체결방식으로 탈부착되거나 또는 자석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접지부(11a), 제2본체접지부(21a), 제1밴드접지부(21a), 제2밴드접지부(22a), 이어폰접지부(31a)는, 판형의 접지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암수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본체(10)와 상기 밴드체(20)는, 상기 스마트본체(10)에 구비되는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상기 밴드체(20)에 구비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가 접지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헤드(30)의 이어폰접지연결부(31)는 상기 밴드체(20)의 제2밴드접지연결부(22)에 접지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본체(10)의 제2본체접지연결부(12)에 연결되는 마감모듈(4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모듈(40)은, 상기 스마트본체(10)의 제2본체접지연결부(12)에 연결되어 제2본체접지연결부(12)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묻거나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꽂아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양 쪽 귀가 아닌 한 쪽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마치 블루투스 헤드셋을 귀에 걸거나 귀에 꽂아 사용하는 귀걸이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체(20)와 상기 이어폰헤드(30)는 각각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본체(10)와 상기 밴드체(20)는, 상기 2개의 밴드체(20) 각각에 구비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가 상기 스마트본체(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제2본체접지연결부(1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2개의 밴드체(20) 각각에 구비되는 제2밴드접지연결부(22)는 상기 2개의 이어폰헤드(30) 각각에 구비되는 이어폰접지연결부(31)와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양 쪽 귀에 2개의 이어폰헤드(30)를 각각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사용자의 얼굴 전방부 하부측을 감싸도록 밴드체(20)가 위치되며 이와 같이 양 쪽 귀에 각각 2개의 이어폰헤드(30)를 꽂아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음원의 출력을 입체적으로 들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연결부(22)가 구비되는 상기 밴드체(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밴드체(20)는 서로 대응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연결부(22)가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밴드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밴드체(20)를 서로에 대해 대응되게 연결하여 밴드체(20)의 전체길이를 가변시킨 후 사용자의 뒷목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2개의 이어폰헤드(30)가 사용자의 양 쪽 귀에 각각 꽂아지기 때문에 역시 음원을 입체적으로 들을 수 있다.
또한, 뒷목에 밴드체(20)가 걸어지기 때문에 걷거나 뛰거나 하더라도 밴드체(2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양 쪽 귀에 각각 꽂아진 2개의 이어폰헤드(30)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빠지게 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인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의 스마트본체(10)와 밴드체(20)를 서로 연결하여 둥근 고리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장신구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해 외부측으로 현재 시간이 표시될 수 있어 손목시계로서의 활용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손목에 착용할 때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밴드체(20)를 서로 연결하여 밴드체(20)의 길이를 연장시킨 후 길이가 연장된 밴드체(20)를 스마트본체(10)와 연결한 다음, 밴드체(20)를 여러 번 말아주어 복수개의 고리형을 형성하여 손목에 착용함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것과는 또 다른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1개의 밴드체(2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후 이용하여 복수개의 고리형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본체(10)에는,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원저장부(18)와, 상기 음원저장부(18)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재생부(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근거리 송수신부(14)를 이용하여 휴대용 스마트기기에 연결하지 않더라도 상기 음원저장부(18)에 저장된 음원을 상기 음원재생부(19)를 통해 재생시켜 상기 이어폰헤드(30)를 통해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밴드체(20)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체(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부(2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름부(24)가 밴드체(20)에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밴드체(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부(15)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상기 마이크부(15)가 구비되는 스마트본체(10)를 사용자의 입 주변에 위치시킴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밴드체(20)의 표면에는 유색안료층 또는 야광안료층 중 어느 하나의 안료층(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료층(25)이 더 구비됨에 따라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본 발명인 길이가변형 스마트 이어폰을 부각시킬 수 있어 타 이어폰과의 미감에 차별성을 더할 수 있으며, 손목에 착용하여 손목장신구로 활용할 때 장신구의 심미감을 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스마트본체 11 : 제1본체접지연결부
11a : 제1본체접지부 12 : 제2본체접지연결부
12a : 제2본체접지부 13 : 제어부
14 : 근거리 송수신부 15 : 마이크부
16 : 디스플레이부 17 : 충전식 전원공급부
18 : 음원저장부 19 : 음원재생부
20 : 밴드체 21 : 제1밴드접지연결부
21a : 제1밴드접지부 22 : 제2밴드접지연결부
22a : 제2밴드접지부 23 : 연결선
24 : 주름부 25 : 안료층
30 : 이어폰헤드 31 : 이어폰접지연결부
31a : 이어폰접지부 40 : 마감모듈

Claims (9)

  1. 내측에 제1본체접지부(11a)를 갖는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내측에 제2본체접지부(21a)를 갖는 제2본체접지연결부(12)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근거리 송수신부에 의해 송수신하는 스마트본체(10)와;
    상기 스마트본체(10)와 연결되고 구부러짐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에 각각 제1밴드접지부(21a)를 갖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부(22a)를 갖는 제2밴드접지연결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밴드접지부(21a)와 제2밴드접지부(22a)를 연결하는 연결선(23)이 내부에 구비되는 밴드체(20)와;
    상기 밴드체(20)와 연결되고 내측에 이어폰접지부(31a)를 갖는 이어폰접지연결부(31)가 구비되는 이어폰헤드(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본체(10)와 상기 밴드체(20)는,
    상기 스마트본체(10)에 구비되는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상기 밴드체(20)에 구비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가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헤드(30)의 이어폰접지연결부(31)는 상기 밴드체(20)의 제2밴드접지연결부(22)에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본체(10)의 제2본체접지연결부(12)에 연결되는 마감모듈(4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체(20)와 상기 이어폰헤드(30)는 각각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본체(10)와 상기 밴드체(20)는,
    상기 2개의 밴드체(20) 각각에 구비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가 상기 스마트본체(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제2본체접지연결부(1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2개의 밴드체(20) 각각에 구비되는 제2밴드접지연결부(22)는 상기 2개의 이어폰헤드(30) 각각에 구비되는 이어폰접지연결부(31)와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연결부(22)가 구비되는 상기 밴드체(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밴드체(20)는 서로 대응되는 제1밴드접지연결부(21)와 제2밴드접지연결부(22)가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밴드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본체(10)는,
    내측에 제1본체접지부(11a)를 갖는 제1본체접지연결부(11)와 내측에 제2본체접지부(12a)를 갖는 제2본체접지연결부(12)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본체접지연결부(11)의 제1본체접지부(11a) 및 제2본체접지연결부(12)의 제2본체접지부(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13)와;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송수신하는 근거리 송수신부(14)와;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부(15)와;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본체(10)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6)와;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식 전원공급부(17)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본체(10)에는,
    상기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원저장부(18)와;
    상기 음원저장부(18)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재생부(19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송수신부(14)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체(20)에는 상기 밴드체(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부(2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체(20)의 표면에는 유색안료층 또는 야광안료층 중 어느 하나의 안료층(25)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KR1020160101250A 2016-08-09 2016-08-09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KR20180017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50A KR20180017439A (ko) 2016-08-09 2016-08-09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50A KR20180017439A (ko) 2016-08-09 2016-08-09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39A true KR20180017439A (ko) 2018-02-21

Family

ID=6152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250A KR20180017439A (ko) 2016-08-09 2016-08-09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4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5411A (zh) * 2020-05-11 2020-07-10 江西立讯智造有限公司 一种防脱落效果好的运动型蓝牙耳机
KR102241395B1 (ko) * 2020-05-08 2021-04-19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95B1 (ko) * 2020-05-08 2021-04-19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WO2021225299A1 (ko) * 2020-05-08 2021-11-11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CN111405411A (zh) * 2020-05-11 2020-07-10 江西立讯智造有限公司 一种防脱落效果好的运动型蓝牙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4054B2 (en) Ear jewelry with wireless audio device
JP3130901U (ja) アクセサリータイプワイヤレスイヤホン
US7565179B2 (en) No-cable stereo handsfree accessory
KR101686205B1 (ko) 넥밴드형 휴대폰용 블루투스 이어셋
US9888309B2 (en) Ear jewelry with wireless audio device
US9706283B2 (en) Necklace and earphone combination device
US20070025579A1 (en) Interchangeable personal audio device cables and cable covers
US200700415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users to inject sound effects into telephone conversations
CN109417662A (zh) 用于电子设备的可延展式耳机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KR101518010B1 (ko) 모바일 단말기용 다기능 이어폰
US20140192996A1 (en) Wireless Audio Control Apparatus
KR10171380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US9942645B2 (en) Ear jewelry with wireless audio device
KR20180017439A (ko) 확장가능한 이어폰형 스마트밴드
CN201001190Y (zh) 具装饰性的无线耳机
US20170078779A1 (en) Cord accessory system
KR100853812B1 (ko) 무선 mp3 이어폰
KR20160001507U (ko) 체온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어피스를 갖는 블루투스 일체형 귀걸이
KR100901361B1 (ko)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 및 이어폰
CN203943126U (zh) 帽子随身听装置
US10244298B1 (en) Wearable wireless audio device
KR101673940B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1283552B1 (ko) 오디오 출력 및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KR101427120B1 (ko)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