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416A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416A
KR20040093416A KR1020040028393A KR20040028393A KR20040093416A KR 20040093416 A KR20040093416 A KR 20040093416A KR 1020040028393 A KR1020040028393 A KR 1020040028393A KR 20040028393 A KR20040028393 A KR 20040028393A KR 20040093416 A KR20040093416 A KR 2004009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ortable terminal
state
memory
removabl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167B1 (ko
Inventor
도마츠겐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6Electrical connectors within machine casing or motor housing, connector within casing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5Adapter for pcb or cart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 장치는, 그 메인 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1 몸체와, 그 메인 면에 표시부를 갖는 제 2 몸체와, 휴대 단말 장치가 개폐 가능하도록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와, 제 2 몸체의 다른 메인 면에 개방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메모리 수용부와, 메모리 수용부에서 개구부를 개폐하고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유지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조작부는 휴대 단말 장치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제 2 몸체에 의해 덮여지고, 또한 휴대 단말 장치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외측으로 노출되며, 표시부는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중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외측으로 노출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얇게 형성된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수용할 수 있는 휴대 전화 장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3271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얇게 형성된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수용하는 휴대 단말 장치는 그 몸체의 두께에 평행한 측면을 따라 메모리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을 구비한다. 이 휴대 단말 장치상에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탑재하는 경우,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슬롯내에 끼워맞춰져 몸체 내부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와 제거가능한 메모리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 장치는 백이나 코트 포켓 등의 내부에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몸체 내부에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는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장치를 얇게 하는 요구에 역행한다. 또한, 슬롯의 삽입구가 항상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 장치를 사용하거나 휴대할 때에,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빠질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실현되었으며, 얇은 몸체를 갖고 제거가능한 메모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 메인 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1 몸체와, 그 메인 면에 표시부를 갖는 제 2 몸체와, 휴대 단말 장치가 개폐 가능하도록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와, 제 2 몸체의 다른 메인 면에 개방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메모리 수용부와, 메모리 수용부에서 개구부를 개폐하고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유지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조작부는 휴대 단말 장치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제 2 몸체에 의해 덮여지고, 또한 휴대 단말 장치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외측으로 노출되며, 표시부는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중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외측으로 노출되는 휴대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메모리 수용부에 부착할 때에, 2개의 몸체를 개방하여 제 2 몸체의 다른 메인 면을 외측으로 노출시키며, 뚜껑을 제거하여서 메모리 수용부를 외측으로 개방시킨다. 그후에,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메모리 수용부내에 수용한 후에, 뚜껑을 사용하여 폐쇄한다.
2개의 몸체를 폐쇄 상태로 서로 중첩시킨 경우에, 제 2 몸체의 다른 메인 면상에 제공된 메모리 수용부 및 뚜껑은 제 1 몸체에 의해 덮여서 숨겨져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제 2 몸체내에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뚜껑 및 제 1 몸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기구가 간략화되어, 메모리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유발되는 제 2 몸체의 두께의 어떠한 증가도 제한할 수 있다.
2개의 몸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2개의 몸체의 메인 면상에 제공된 조작부 및 표시부를 동시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2개의 몸체의 다른 메인 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들 몸체의 다른 메인 면에 메모리 수용부를 제공함으로써 외관 의장이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의 "메인 면"이란 몸체를 형성하는 상부면중 가장 큰 면적을 갖는 상부면이며, 몸체의 "다른 메인 면"이란 메인 면 다음으로 큰 면적을 갖는 메인 면이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수용부는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 종류의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규격의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휴대 단말 장치에 탑재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가 휴대 단말 장치와 다른 단말 장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전달되게 한다. 예를 들면,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 장치와 다른 단말 장치 사이에서 각종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에, 제거가능한 메모리의 규격은 다른 단말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것에 부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소정 규격의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메모리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다른 규격의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메모리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까지 변하는 경우에, 소정 규격의 제거가능한 메모리는 메모리 수용부로부터 제거되고, 그후에 다른 규격의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메모리 수용부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규격의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이 서로 중첩될 수 있으므로, 메모리 수용부의 용적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를 보다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 2 몸체의 다른 메인 면은 메모리 수용부의 개구부를 뚜껑으로 폐쇄한 경우에 뚜껑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뚜껑은 활주에 의해 메모리 수용부내로 삽입되고 또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가 이동 무선전화(mobile radiotelephon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폐쇄 상태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서로 겹쳐진 상태이며, 개방 상태는 조작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이며, 연결 장치는 제 1 및 제 2 몸체가 겹쳐진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몸체중 하나를 다른 몸체에 대하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폐쇄 상태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서로 겹쳐진 상태이며, 개방 상태는 조작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이며, 제 2 몸체를 제 1 몸체에 대하여 활주시킴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제 1, 제 2 몸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b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제 1, 제 2 몸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b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메모리 수용부에 수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 뚜껑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3a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메모리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메모리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 장치(휴대 단말 장치) 2 : 제 1 몸체
2a, 3a : 메인 면 3d : 다른 메인 면
3 : 제 2 몸체 5 : 연결 장치
7 : 조작부 15 : 표시부
31 : 메모리 수용부 33 : 뚜껑
51 :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 53 :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
도 1a 내지 도 5는 휴대 전화 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휴대 단말 장치)(1)는, 제 1 몸체(2)와, 이 제 1 몸체(2)에 평행하게 중첩될 수 있는 제 2 몸체(3)와, ① 제 1 및 제 2 몸체(2, 3)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 1 축선(기준 축선)(L1)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몸체(2, 3)를 AB 방향으로 회전할 수있고, 또한 ② 제 1 축선(L1)에 직교하는 제 2 축선(L2)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몸체(2, 3)를 CD 방향으로 서로 활주시킬 수 있는 연결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장치(5)는 2개의 몸체(2, 3)의 단부(2b, 3b)[이하, 베이스부(2b, 3b)라 칭함]를 연결한다.
조작부(7)는 통화 키, 통화 종료 키, 텐 키(ten key) 등의 각종의 제어 키를 포함하며, 제 1 축선(L1) 방향을 향하는 제 1 몸체(2)의 하나의 메인 면(2a)에 제공된다. 또한, 마이크로폰부(9)는 베이스부(2b)의 반대측상의 제 1 몸체(2)의 메인 면(2a)의 선단부(2c)에 제공된다. 조작부(7) 및 마이크로폰부(9)는 제 1 및 제 2 몸체(2, 3)를 폐쇄 상태로 서로 중첩시킨 경우에 제 2 몸체(3)에 의해 덮여진다.
또한, 이 제 1 몸체(2)의 내부에는 배터리(11) 및 제 1 회로 기판(13)이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11)는 휴대 전화 장치(1)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하며, 메인 면(2a)의 반대측상의 제 1 몸체(2)의 다른 메인 면(2d)으로부터 자유롭게 탈착될 수 있다. 이 배터리(11)는 제 1 회로 기판(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회로 기판(13)은 조작부(7)와 마이크로폰부(9)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제 1 회로 기판(13)상에는 통화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부품(도시되지 않음)이 탑재되어 있다.
제 1 몸체(2)의 메인 면(2a)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몸체(3)의 한쪽의 메인 면(3a)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5)가 제공된다. 또한, 스피커부(17)는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에 마이크로폰부(9)와 함께 사용되며, 베이스부(3c)의 반대측상의 제 2 몸체(3)의 메인 면(3a)의 선단부(타단부)(3b)에제공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몸체(2, 3)가 개방 상태로부터 제 1 축선(L1)을 중심으로 180° 회전되어 폐쇄 상태로 중첩되는 경우에, 표시부(15) 및 스피커부(17)는 외측으로 노출된다.
표시부(15) 및 스피커부(17)는 제 2 몸체(3)의 내부에 제공된 제 2 회로 기판(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회로 기판(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회로 기판(19)상에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부품(도시되지 않음)이 탑재되어 있다.
몸체(2, 3)내에 있는 제 1 및 제 2 회로 기판(13, 19)은 2개의 몸체(2, 3)의 내부 공간을 연결시키는 연결 장치(5)의 연통 구멍(5a)을 거쳐서, 복수의 케이블(21)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케이블(21)은 2개의 회로 기판(13, 19) 사이에서 전기 신호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배터리(11)로부터 제 1 및 제 2 회로 기판(13, 19)을 거쳐서 표시부(15), 스피커부(17), 각종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
메인 면(3a)의 반대측상의 제 2 몸체(3)의 다른 메인 면(3d)에는 다른 메인 면(3d)에 개구부를 갖는 메모리 수용부(31)와, 메모리 수용부(31)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뚜껑(33)이 제공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3)은 평면도에서 대략 사각형인 얇은 시트의 형상을 가지며, 제 2 몸체(3)의 메인 면(3d)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평면도에서 대략 사각형인 공동부(35)를 덮을 수 있다. 이 뚜껑(33)의 두께는 공동부(35)의 깊이와 동일하며, 뚜껑(33)을공동부(35)내로 삽입한 경우, 외측으로 노출되는 뚜껑(33)의 상부면(33a)이 제 2 몸체(3)의 메인 면(3d)과 함께 단일의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또한, 이 뚜껑(33)은 제 2 몸체(3)의 선단부(3c)로부터 베이스부(3b)측을 향하여 공동부(35)내로 활주한다. 뚜껑(33)은 그 폭 방향의 양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7)를 구비한다. 또한, 뚜껑(33)의 돌출부(37)와 서로 결합하는 궤도(39)는 공동부(35)의 측벽면(35a)에 제공되며, 제 2 몸체(3)의 측면을 따라 뻗어있으며, 뚜껑(33)은 이들 궤도(39)의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7)가 궤도(39)와 서로 결합되는 경우, 뚜껑(33)은 제 2 몸체(3)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뚜껑(33)의 두께 방향의 하부면(33b)은 공동부(35)의 바닥면(35b)에 직접 접촉한다.
메모리 수용부(31)는 휴대 전화 장치(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제거가능한(외부) 메모리(51, 53)를 교환가능하게 수용하며, 공동부(35)의 바닥면(35b)으로부터 제 2 몸체(3)의 두께 방향으로 더욱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제 1 및 제 2 공동부(41, 43)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는 평면도에서 대략 사각형인 얇은 시트의 형상을 가지며,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휴대 전화 장치(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52)가 두께 방향의 상부면(51a)상에 제공된다. 또한,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는 평면도에서 대략 정사각형인 얇은 시트의 형상을 가지며,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와 마찬가지로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를 휴대 전화 장치(1)에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54)가 두께 방향의 상부면(53a)상에 제공된다.
또한,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보다 길고 두껍지만,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1)는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보다 폭이 넓다.
제 1 공동부(41)는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수용하며, 평면도에서 대략 사각형이다. 제 2 몸체(3)의 길이측을 따르는 제 1 공동부(41)의 길이, 및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몸체(3)의 폭을 따르는 제 1 공동부(41)의 폭은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각 길이 및 폭과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제 1 공동부(41)에 수용한 경우에,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는 제 2 몸체(3)에 대하여 그 메인 면(3d)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공동부(35)의 바닥면(35b)으로부터 제 1 공동부(41)의 바닥면(41a)까지의 깊이는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두께와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상부면(51a)이 제 1 공동부(41)의 바닥면(41a)에 대하여 직접 접촉된 경우에,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하부면(51b)은 공동부(35)의 바닥면(35b)과 함께 대략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제 1 공동부(41)는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동부(43)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를 수용하며, 평면도에서 대략 정사각형이다. 즉, 제 2 공동부(43)의 길이 및 폭은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길이 및 폭과 대략 일치하며,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를 제 2 공동부(43)에 수용한 경우에,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가 제 2 몸체(3)에 대하여 메인 면(3d)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공동부(35)의 바닥면(35b)으로부터 제 2 공동부(43)의 바닥면(43a)까지의 깊이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두께와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상부면(53a)이 제 2 공동부(43)의 바닥면(43a)에 대하여 직접 접촉된 경우,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하부면(53b)이 공동부(35)의 바닥면(35b)과 대략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제 2 공동부(43)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된다. 즉, 제 2 몸체(3)의 선단부(3c)에 위치된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수용 공간의 부분은 제 2 몸체(3)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된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수용 공간의 부분과 중첩한다. 따라서, 제 2 공동부(43)는 실제로 제 2 몸체(3)의 선단부(3c)에 위치된 제 1 공동부(41의 부분의 측벽면(41b)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단차부를 포함한다.
외부 접속 단자(45)는 제 2 몸체(3)의 베이스부(3b)에서 제 1 공동부(41)의 바닥면(41a)으로부터 돌출하며,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접속 단자(52)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제 1 공동부(41)에 수용한 경우에, 외부 접속 단자(45)는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에 의해 접촉 상태로 가압된다.
외부 접속 단자(47)는 제 2 몸체(3)의 선단부(3c)측에서 제 1 공동부(41)의 바닥면(41a)으로부터 돌출하며,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접속 단자(54)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를 제 2 공동부(43)에 수용한 경우에, 외부 접속 단자(47)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에 의해 접촉 상태로 가압된다.
2개의 외부 접속 단자(45, 47)는 제 2 몸체(3)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될 때에 탄성 변형하여 제 2 몸체(3)의 내부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2개의 몸체(2, 3)가 폐쇄 상태로 서로 중첩된 경우에, 제 1 몸체(2)의 메인 면(2a)과 제 2 몸체(3)의 메인 면(3d)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된다. 이것은, 2개의 몸체(2, 3)를 제 1 축선(L1)을 중심으로 개폐할 때에, 제 2 몸체(3)가 메인 면(2a)을 문지르는 경우에 유발되는 조작부(7)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 장치(1)에 제 1 및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15, 53)를 탈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휴대 전화 장치(1)에 부착하는 경우에,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 3)를 서로 중첩시킨 폐쇄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도 1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3)를 제 1 몸체(2)에 대하여 제 1 축선(L1)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켜서, 2개의 몸체(2, 3)를 서로 개방하여, 제 2 몸체(3)의 메인 면(3d)을 외측으로 노출한다. 다음에,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3)을 제 2 몸체(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하여, 메모리 수용부(31)를 외측으로 노출시킨다.
다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제 1 공동부(41)에 수용하고, 뚜껑(33)을 부착하여 메모리 수용부(31)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상부면(51a) 및 하부면(51b)은 제 1 공동부(41)의 바닥면(41a) 및 뚜껑(33)의 하부면(33b)에 각각 접촉하며, 외부 접속 단자(45)는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의 접속 단자(52)와 접촉한다. 결론적으로, 휴대 전화 장치(1)와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휴대 전화 장치(1)와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제 1 공동부(41)에 수용된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다른 형상의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와 교체할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몸체(2, 3)가 개방된 상태에서 뚜껑(33)을 제거하여,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를 제 1 공동부(41)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를 제 2 공동부(43)에 수용하고, 뚜껑(33)으로 메모리 수용부(31)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상부면(53a) 및 하부면(53b)은 제 2 공동부(43)의 바닥면(43a) 및 뚜껑(33)의 하부면(33b)에 각각 직접 접촉하며, 외부 접속 단자(47)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접속단자(54)와 접촉한다. 결론적으로, 휴대 전화 장치(1)와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휴대 전화 장치(1)와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이 휴대 전화 장치(1)를 백 또는 코트의 포켓에 휴대하는 경우에,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몸체(2, 3)를 폐쇄 상태로 중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표시부(15)가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2, 3)를 회전하여 개방하지 않고, 표시부(15)상에 표시되는 각종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2 몸체(3)의 메인 면(3d)에 제공된 메모리 수용부(31) 및 뚜껑(33) 모두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메모리 수용부(31)에 수용된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또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가 빠질 위험이 없다.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 조작부(7)를 조작할 경우에,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3)를 제 1 몸체(2)에 대하여 제 1 축선(L1)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켜서 2개의 몸체(2, 3)를 서로 개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2개의 몸체(2, 3)의 메인 면(2a, 3a)이 대략 동일 방향으로 면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메인 면(2a, 3a)상에 제공된 조작부(7) 및 표시부(15)를 동시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에, 제 1 및 제 2 몸체(2, 3)의 메인 면(2a, 3a)만이 시각적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다른 메인 면(2d, 3d)은 시각적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2개의 몸체(2, 3)를 중첩시킴으로써 메모리 수용부(31)가 덮여서 숨겨지기 때문에,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탈락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제거가능한 메모리(51) 또는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3)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가 뚜껑(33) 및 휴대 전화 장치(1)를 형성하는 제 1 몸체(2)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 2 몸체(3)의 두께의 증가를 억제하여, 휴대 전화 장치(1)를 보다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에 다른 형상을 갖는 2개의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를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 각각은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다른 단말 장치와의 데이터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를 사용하여 다른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 다른 단말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2개의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규격을 갖는 2 종류의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가 그들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일부에서 서로 중첩되기 때문에, 메모리 수용부(31)의 용적을 감소시켜 휴대 전화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몸체(2, 3)를 개방 상태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2개의 몸체(2, 3)의 메인 면(2a, 3a)에 제공되는 조작부(7) 및 표시부(15)를 동시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몸체(3)의 메인 면(3d)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또한, 2개의 몸체(2, 3)를 폐쇄 상태로 중첩시킨 경우에, 제 2 몸체(3)의 메인 면(3d)은 제 1 몸체(2)에 의해 덮여서 숨겨지며, 그에 따라 제 2 몸체(3)의 메인 면(3d)으로 개방되는 메모리 수용부(31)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 장치(1)의 우수한 외관 의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뚜껑(33)은 활주에 의해 부착되지만, 그 구성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모리 수용부(31)의 개구부가 폐쇄되어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만 하면 무방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를 수용하는 2개의 수용 공간은 서로 중첩하도록 형성되었지만, 제 2 몸체(3)의 소형화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서로 독립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1 및 제 2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공동부(41, 4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메모리 수용부(31)는 2개의 제거가능한 메모리(51, 53)를 서로 교체하여 수용할 수 있지만, 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신에 3개 이상의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수용할 수도 있다.
연결 장치(5)에 의해 2개의 몸체(2, 3)를 제 1 및 제 2 축선(L1, L2)을 중심으로 서로 각각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제 1 축선(L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되기만 하면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7)를 제 1 몸체(2)의 메인 면(2a)에 제공하고, 표시부(15)를 제 2 몸체(3)의 메인 면(3a)에 제공하였지만, 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를 제 2 몸체(3)의 메인 면(3a)에 제공할 수도 있고, 표시부를 제 1 몸체(2)의 메인 면(2a)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 장치(1)로 한정되지 않고, 랩톱(laptop) 컴퓨터 또는 PDA와 같이, 2개의 몸체를 연결 장치에 의해 회전되고 또한 개폐될 수 있도록 연결한 어떠한 휴대 단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몸체를 폐쇄 상태로 중첩시킨 경우에, 제 2 몸체상의 메모리 수용부가 제 1 몸체에 의해 덮여서 숨겨지며, 이에 따라 제거가능한 메모리의 탈락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제 2 몸체내에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가 뚜껑 및 제 1 몸체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 2 몸체의 두께 증가를 억제하여, 휴대 단말 장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시에 시각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제 2 몸체의 다른 메인 면상에 메모리 수용부를 제공함으로써, 2개의 몸체를 폐쇄 상태로 중첩시킨 경우에 제 2 몸체는 제 1 몸체에 의해 덮여서 숨겨지며, 그에 의해 우수한 외관 의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 장치에 복수의 규격을 갖는 제거가능한 메모리가 탑재될 수 있으므로, 제거가능한 메모리와 다른 단말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규격을 갖는 다른 형상의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을 서로 중첩하여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수용부의 용적을 감소시켜 휴대 단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기에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생략, 대체 및 다른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9)

  1.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그 메인 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1 몸체와,
    그 메인 면에 표시부를 갖는 제 2 몸체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와,
    상기 제 2 몸체의 다른 메인 면에 개방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메모리 수용부와,
    상기 메모리 수용부에서 개구부를 개폐하고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유지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휴대 단말 장치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 2 몸체에 의해 덮여지고, 또한 휴대 단말 장치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표시부는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중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외측으로 노출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용부는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 종류의 제거가능한 메모리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하여 형성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다른 메인 면은 상기 메모리 수용부의 개구부를 상기 뚜껑으로 폐쇄한 경우에 뚜껑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활주에 의해 상기 메모리 수용부내로 삽입되고 또한 그로부터 제거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이동 무선 전화(mobile radiotelephone)인
    휴대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인
    휴대 단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는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서로 겹쳐진 상태이며,
    상기 개방 상태는 상기 조작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이며,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가 겹쳐진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중 하나를 다른 몸체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는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서로 겹쳐진 상태이며,
    상기 개방 상태는 상기 조작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이며,
    상기 제 2 몸체를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활주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40028393A 2003-04-28 2004-04-23 휴대 단말 장치 KR100600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3584A JP4021797B2 (ja) 2003-04-28 2003-04-28 携帯端末装置
JPJP-P-2003-00123584 2003-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416A true KR20040093416A (ko) 2004-11-05
KR100600167B1 KR100600167B1 (ko) 2006-07-12

Family

ID=3329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393A KR100600167B1 (ko) 2003-04-28 2004-04-23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46371B2 (ko)
JP (1) JP4021797B2 (ko)
KR (1) KR100600167B1 (ko)
CN (1) CN1003809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1797B2 (ja) 2003-04-28 2007-12-1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747570B1 (ko) * 2004-08-09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드 장착 소켓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222735A (ja) * 2005-02-10 2006-08-24 Sharp Corp 通信機器
KR101353417B1 (ko) * 2007-03-16 201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CN101662113B (zh) * 2008-08-27 2012-09-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固持装置
US8855724B2 (en) * 2008-11-25 2014-10-07 Molex Incorporated Hearing aid compliant mobile handset
US20100323757A1 (en) * 2009-06-19 2010-12-23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Data Using a Memory Module in a Cellular Phone
CN103311721B (zh) * 2012-03-16 2015-10-21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双sim卡托盘、连接器模块及电连接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7792B (en) * 1997-07-25 2001-09-12 Nokia Mobile Phones Ltd A data card housing
US5946635A (en) * 1997-08-12 1999-08-31 Dominguez; David C. Sporting event configurable radio receiver/scanner
US5933328A (en) * 1998-07-28 1999-08-03 Sandisk Corporation Compact mechanism for removable insertion of multiple integrated circuit cards into portabl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6062887A (en) * 1998-08-31 2000-05-16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dual card reader employing a drawer
JP2000215952A (ja) * 1999-01-25 2000-08-04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ドコネクタの実装構造
GB2346726B (en) * 1999-02-12 2003-05-07 Nokia Mobile Phones Ltd Mechanism for holding an intergrated circuit card
CN1311614A (zh) * 2000-03-01 2001-09-05 林家田 具多个身份卡的移动电话及操作方法
JP2001337741A (ja) * 2000-05-26 2001-12-07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02032715A (ja) 2000-07-18 2002-01-31 Sony Corp 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メモリーカードアダプター装置
JP2002280097A (ja) * 2001-03-19 2002-09-27 Jst Mfg Co Ltd フラッシュ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続構造、ならびにこの接続構造を用いた電子装置
JP2003008695A (ja) * 2001-06-25 2003-01-10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2003298698A (ja) * 2002-03-29 2003-10-17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2003309633A (ja) * 2002-04-16 2003-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JP4021797B2 (ja) 2003-04-28 2007-12-1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21797B2 (ja) 2007-12-12
CN100380906C (zh) 2008-04-09
US7346371B2 (en) 2008-03-18
CN1551599A (zh) 2004-12-01
KR100600167B1 (ko) 2006-07-12
US20040214531A1 (en) 2004-10-28
JP2004328596A (ja)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344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inimizing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value of electromagnetic waves
RU2151468C1 (ru) Переносное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мпьютером
US7565182B2 (en) Wireless cell phone
US20070022232A1 (en) Cellular telephone with integrated usb port engagement device that provides access to multimedia card as a solid-state device
CN100508705C (zh) 便携式终端的滑动模块及安装于其上的外置卡的盖装置
KR100600167B1 (ko) 휴대 단말 장치
CN209414978U (zh) 一种连接装置及手持云台设备
JP4909827B2 (ja) 携帯電子機器
KR102241395B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JPH08265404A (ja) 携帯電話機
US7949379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20789A (ko)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4672413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CN214481160U (zh) 耳机盒和电子组件
CN213990979U (zh) 耳机盒和电子组件
KR101123747B1 (ko) 외장형 메모리카드 슬롯을 갖는 이동단말기
KR20032772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단자 기구
KR20020078381A (ko)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7088706A (ja) 携帯電子機器
JPH11275194A (ja) 携帯電話機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KR20040032447A (ko) 휴대폰의 데이터 전송장치
CN112770304A (zh) 配对方法、无线适配器和无线耳机
JP2000099200A (ja) 情報処理端末装置
KR20030044190A (ko) 힌지부에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